KR20120067274A - 곤로용 버너 - Google Patents

곤로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274A
KR20120067274A KR1020110086949A KR20110086949A KR20120067274A KR 20120067274 A KR20120067274 A KR 20120067274A KR 1020110086949 A KR1020110086949 A KR 1020110086949A KR 20110086949 A KR20110086949 A KR 20110086949A KR 20120067274 A KR20120067274 A KR 2012006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ireball
burner
transi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818B1 (ko
Inventor
히로야스 사토
히데오 오카모토
야스노부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10Flame flash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버너바디(2) 상에 설치되는 버너헤드(3)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하 2층의 화염구를 구비하고, 하층 화염구(4L)에만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와 상층 화염구(4U)에도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 간에 상태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상층 화염구에 대한 가스공급의 개시에 의하여 하층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시키도록 한 곤로용 버너로서,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할때의 역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큰 착화음도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하층 화염구(4L)의 일부를, 상하방향치수가 타 하층 화염구보다 크고, 상단이 타 하층 화염구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화염전이 화염구(4La)로 한다.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4U)의 하단 사이의 상하방향거리(LH)는,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하방향치수(Lh)의 2.5배 이하의 범위에서, 상층 화염구(4U)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량 이상이 되기 전에 상층 화염구(4U)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된다.

Description

곤로용 버너{BURNER FOR RANGES}
본 발명은 버너바디(burner body) 상에 설치되는 버너헤드(burner head)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상하 2층의 화염구(火炎口)를 구비하는 곤로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곤로용 버너로서, 하층 화염구에만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와 상층 화염구에도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 간에 상태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상층 화염구에 대한 가스공급의 시작에 의하여 하층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火炎轉移) 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버너에서는, 하층 화염구만으로 연소시키는 약한불에서부터 하층과 상층의 양쪽 화염구에 의하여 연소시키는 강한불까지 화력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은, 하층 화염구만으로 연소시킬 때에 피가열 물체에 대한 화력을 가급적 약하게 할 수 있도록, 하층 화염구와 상층 화염구 사이의 상하방향거리를 하층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3배 이상으로 설정하여 하층 화염구의 위치를 가능한 한 낮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상층 화염구에 대한 가스공급을 시작했을 때에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가 늦어지고, 그 사이에 상층 화염구로부터 방출된 다량의 가스가 한꺼번에 착화(着火)하여 큰 착화음(着火音)이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좋지 않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하층 화염구의 일부를, 상하방향치수가 타(他) 하층 화염구보다 크고 상단(上端)이 타 하층 화염구의 상단보다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화염전이 화염구(火炎轉移 火炎口)로 하여서, 화염전이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신속하게 화염전이 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화염전이 화염구를 구비하여 상층 화염구로 신속하게 화염전이 시키면,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逆火)가 쉽게 발생하는 것이 밝혀졌다. 즉 상층 화염구로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할 때에, 상층 화염구로의 공급가스량을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량으로 급증시켜도, 상층 화염구로부터 분출하는 가스량이 소정량으로 증가할 때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소정량으로 증가하기 전에 하층 화염구로부터 화염전이 하면,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가스분출 속도보다 연소속도가 더 빠르게 되어 역화가 발생된다.
일본국 특허 제3586974호 공보 (도3)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하층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할때의 역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큰 착화음도 발생하지 않는 곤로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너바디(burner body) 상에 설치되는 버너헤드(burner head)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상하 2층의 화염구(火炎口)를 구비하고, 하층 화염구에만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와 상층 화염구에도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 간에 상태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상층 화염구에 대한 가스공급의 개시에 의하여 하층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火炎轉移) 시키도록 한 곤로용 버너에 있어서, 하층 화염구의 일부를, 상하방향치수가 타(他) 하층 화염구보다 크고, 상단(上端)이 타 하층 화염구의 상단보다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화염전이 화염구(火炎轉移 火炎口)로 하고,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의 하단(下端) 사이의 상하방향거리는,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2.5배 이하의 범위에서,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방지(逆火防止)에 필요한 소정량 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의 하단 사이의 상하방향거리가 지나치게 짧으면, 상층 화염구로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할 때에 상층 화염구로의 공급가스량을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량으로 급증시켜도,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하여 역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의 하단 사이의 상하방향거리가,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량 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기 때문에, 화염전이 할때의 역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방향거리가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5배 이상이면,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량 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방향거리가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2.5배를 넘으면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가 과도하게 지연되고, 그 사이에 상층 화염구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가스에 한꺼번에 착화하여 큰 착화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방향거리가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2.5배 이하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가 과도하게 늦어지는 일이 없어서, 큰 착화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하방향치수가 큰 화염전이 화염구로 하는 것은 하층 화염구의 일부뿐이며, 화염전이 화염구 이외의 하층 화염구의 상단의 위치는 상층 화염구로의 화염전이를 고려하지 않고 충분히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층 화염구만으로 연소시킬 때의 피가열 물체에 대한 화력을 충분히 약하게 할 수 있어 화력의 조절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너헤드의 외주면에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下方)을 향하는 오버행면(overhang 面)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오버행면이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에 대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량(延長量)을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3배 이상으로 설정하면 화염전이 화염구에 생기는 화염의 솟아오름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상하방향거리를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5배보다 짧게 설정해도,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량 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방향거리를 짧게 하는 것은, 상층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를 크게 하여 강한불에서의 화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므로 유리하다. 또한 오버행면의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에 대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량이,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배를 넘으면 상층 화염구로의 화염전이에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연장량은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3?1배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곤로의 상판 위에 재치(載置)하는 오덕(五德; '냄비 등의 피가열물체를 얹는 쇠살대 등'을 의미한다)의 복수의 오덕폴(五德 pole)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버너헤드의 원주방향 복수장소의 부분을 오덕폴 합치부분(五德 pole 合致部分)으로 해서, 오덕폴 합치부분에 상층 화염구를 형성하면 상층 화염구에 생기는 화염이 오덕폴에 접촉해서 불완전 연소한다. 이 때문에 각 오덕폴 합치부분에는 상층 화염구를 형성하지 않고 하층 화염구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덕폴 합치부분에 형성하는 하층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는, 화염이 오덕폴에 접촉하지 않도록 비교적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하층 화염구만으로 연소시킬 때에는, 오덕폴 합치부분에서 발생하는 열량이 다른 부분에 비해 저하되어 열분포가 불균일하게 된다. 여기서 각 오덕폴 합치부분에 인접하는 원주방향부분에 화염전이 화염구를 형성하면, 오덕폴 합치부분에서의 열량저하를 화염전이 화염구에서 생기는 큰 화염에 의하여 보충하여, 하층 화염구만으로 연소시킬 때에도 열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를 구비하는 곤로의 단면도이다.
도2는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사시도이다.
도3은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요부(要部)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5는 하층 화염구와 상층 화염구에 공급되는 가스량의 변화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은 제2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도4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제3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도4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A는 곤로 본체, B는 곤로 본체(A)의 상면을 덮는 상판이며, 상판(B)에 형성된 버너용 개구(B1)를 통해서 곤로용 버너(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판(B)위에는, 버너용 개구(B1)를 둘러싸도록 하여 버너(1)로 가열되는 냄비 등의 피가열 물체를 얹는 오덕(五德)(C)이 재치(載置)된다. 또한 오덕(C)은 환상(環狀)의 오덕 프레임(五德 frame)(C1)과, 오덕 프레임(C1)에 방사상으로 설치한 복수의 오덕폴(五德 pole)(C2)에 의하여 구성된다.
버너(1)는 버너용 개구(B1)에 삽입되는 버너바디(burner body)(2)와, 버너바디(2)상의 버너헤드(burner head)(3)를 구비하고 있다. 버너헤드(3)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2층의 화염구(4U, 4L)가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덕(C)의 복수의 오덕폴(C2)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버너헤드(3)의 원주방향 복수장소의 부분을 오덕폴 합치부분(五德 pole 合致部分)(3a)으로 하고, 각 오덕폴 합치부분(3a)에는 오덕폴(C2)에 화염이 접촉해서 불완전 연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층 화염구(4U)를 형성하지 않고 하층 화염구(4L)만을 형성하고 있다.
버너바디(2)는 외측의 통체(筒體)(21)와 중간의 통체(22)와 내측의 통체(23)의 내외 3겹의 통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측통체(21)에는 그 상단부(上端部)의 외주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린 스커트부(skirt 部)(21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커트부(21a)에 상판(B)의 버너용 개구(B1)를 덮는 커버링(covering)(D)을 삽입하여, 끓어 넘치는 국물이 버너용 개구(B1)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커버링(D)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덕(C)에서 오덕 프레임(C1)의 내주(內周)의 원주방향의 한 군데 또는 복수장소에 돌기(C3)를 형성함과 아울러, 커버링(D)의 외주(外周)에 돌기(C3)가 결합하는 노치(notch)(D1)를 형성하여 오덕(C)을 위상결정(位相決定)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버너헤드(3)는, 내주에 버너바디(2)의 중간통체(22)와 결합하는 통부(31a)를 수직으로 설치한 환상의 하측 헤드부재(31)와, 하면에 버너바디(2)의 내측통체(23)와 결합하는 통부(32a)를 수직으로 설치한 원판모양의 상측 헤드부재(3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측 헤드부재(31)의 상면 외주부(上面 外周部)에는 상측 헤드부재(32)가 착석(着席)하는 상측 환상벽(上側 環狀壁)(33)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상측 환상벽(33)에는 그 상단면(上端面)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움푹 패인 상층 화염구(4U)로 되는 홈이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홈의 상단이 상측 헤드부재(32)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하측 헤드부재(31)와 상측 헤드부재(32) 사이에 상층 화염구(4U)가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하측 헤드부재(31)의 하면 외주부(下面 外周部)에는, 버너바디(2)의 외측통체(21)의 상단부에 착석하는 하측 환상벽(下側 環狀壁)(34)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측 환상벽(34)에는 그 하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움푹 패인 하층 화염구(4L)로 되는 홈이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홈의 하단이 외측통체(21)의 상단부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버너바디(2)와 하측 헤드부재(31) 사이에 하층 화염구(4L)가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하층 화염구(4L)에는, 도3에 명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치수가 다른 복수종류의 화염구가 있다. 그리고 각 오덕폴 합치부분(3a)에 형성하는 하층 화염구(4L)는, 오덕폴(C2)에 화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치수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하고, 또한 오덕폴 합치부분(3a) 사이의 원주방향부분에는 상하방향치수가 비교적 큰 하층 화염구(4L)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큰 하층 화염구(4L)를 연속하여 형성하면 연소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치수가 큰 하층 화염구(4L)와 작은 하층 화염구(4L)를 교대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오덕폴 합치부분(3a)에 인접한 원주방향부분에 형성하는 하층 화염구(4L)는, 상하방향치수가 가장 크고, 상단이 타(他) 하층 화염구(4L)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화염전이 화염구(4La)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염전이 화염구(4La) 이외의 하층 화염구(4L)의 상하방향치수를 하측 환상벽(34)의 상하방향치수보다 작게 하고,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하방향치수를 하측 환상벽(34)의 상하방향치수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버너헤드(3)의 외주면의 상층 화염구(4U)와 하층 화염구(4L) 사이의 부분, 즉 상측 환상벽(33)과 하측 환상벽(34) 사이 하측 헤드부재(31)의 외주면 부분에, 지름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된 연장부(35)를 형성하고 있다.
버너(1)는, 또한 버너바디(2)의 중간통체(22)와 내측통체(23) 사이의 공간에 연통(連通)하는 상층 화염구(4U)용의 제1혼합관(5U)과, 버너바디(2)의 외측통체(21)와 중간통체(22)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는 하층 화염구(4L)용의 제2혼합관(5L)을 구비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혼합관(5U)에는 공통의 가스공급로(gas 供給路)(6)로부터 분기된 제1분기로(第1分岐路)(6U)를 통하여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제2혼합관(5L)에는 가스공급로(6)로부터 분기된 제2분기로(6L)를 통하여 연료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각 혼합관(5U, 5L)내에서 연료가스와 각 혼합관(5U, 5L)에 흡입되는 1차공기가 혼합되고, 제1혼합관(5U)으로부터의 혼합가스가 버너바디(2)의 중간통체(22)와 내측통체(23) 사이의 공간 및 하측 헤드부재(31)와 상측 헤드부재(3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층 화염구(4U)로부터 분출하고, 제2혼합관(5L)으로부터의 혼합가스가 버너바디(2)의 외측통체(21)와 중간통체(22) 사이의 공간 및 외측통체(21)와 하측 헤드부재(31)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하층 화염구(4L)로부터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가스공급로(6)에는 점화시에 열리고 소화시에 닫히는 메인밸브(7)가 삽입설치되고, 제1 및 제2의 각 분기로(6U, 6L)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화력조절용의 레버나 손잡이로 이루어진 조작부재(操作部材)에 연동하여, 열리는 정도가 변화되는 제1 및 제2의 각 유량조절밸브(8U,8L)가 삽입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는 약한불 위치로부터 강한불 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재를 약한불 위치로부터 강한불 위치까지 조작하면, 제2유량조절밸브(8L)의 열리는 정도는 최소의 열림정도에서부터 점차 증가한다. 그리고 하층 화염구(4L)로의 공급가스량은, 도5에서 a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 화염구(4L)에서의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의 최소량인 QLmin으로부터 최대량인 QLmax까지 점차 증가한다. 한편 제1유량조절밸브(8U)는 조작부재가 소정의 중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열리지 않다가, 중간위치를 넘어서면 소정의 정도까지 갑자기 열리고 그 후의 강한불 위치로의 조작에 의하여 열리는 정도가 점차 증가한다. 그리고 조작부재를 약한불 위치로부터 강한불 위치까지 조작했을 때, 도5에서 b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 화염구(4U)에는 중간위치에 도달할때까지 가스가 공급되지 않다가, 중간위치를 넘으면 상층 화염구(4U)로의 공급가스량이 상층 화염구(4U)에서의 역화방지에 필요한 소정의 최소량인 QUmin으로 급증하고, 그 후 최대량인 QUmax까지 점차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층 화염구(4L)의 합계면적이 163.5mm2, 상층 화염구(4U)의 합계면적이 256.6mm2일 경우, QLmin은 330kcal/h(화염구 부하(火炎口負荷)는 2.0kcal/h/mm2), QLmax는 740kcal/h(화염구 부하는 4.5kcal/h/mm2), QUmin은 850kcal/h(화염구 부하는 3.3kcal/h/mm2), QUmax는 3810kcal/h(화염구 부하는 14.8kcal/h/mm2)로 설정된다.
상층 화염구(4U)에서도 연소시키는 경우, 상층 화염구(4U)에 화염전이 화염구(4La)로부터 화염전이 될때까지 조작부재를 중간위치를 넘어서 강한불 위치 측으로 조작한다. 중간위치를 넘으면 상층 화염구(4U)로의 공급가스량은 QUmin으로 급증하지만, 상층 화염구(4U)로부터 분출하는 실제 가스량이 QUmin으로 증가할 때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그 결과 조작부재가 중간위치로부터 강한불 위치측으로 일정량 변위한 도5의 c로 나타낸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층 화염구(4U)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은 순간적인 매우 짧은 시간으로는 QUmin까지 증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층 화염구(4U)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QUmin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4La)로부터 상층 화염구(4U)로 화염전이 하면, 상층 화염구(4U)로부터의 가스분출 속도보다 연소속도가 더 빨라서 역화가 발생된다.
여기서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4U)의 하단 사이의 상하방향거리를 LH,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하방향치수를 Lh로 하여서, LH<1.5Lh 이면 조작부재를 중간위치를 넘어서 강한불 위치까지 조작했을 때에 도5의 c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 즉 상층 화염구(4U)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QUmin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4La)로부터 상층 화염구(4U)로 화염전이 하여 역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LH≥1.5Lh이면, 상층 화염구(4U)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QUmin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4La)로부터 상층 화염구(4U)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역화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H>2.5Lh이면, 상층 화염구(4U)로의 화염전이가 과도하게 지연되고, 그 사이에 상층 화염구(4U)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가스에 한꺼번에 착화하여 큰 착화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LH≤2.5Lh이면, 상층 화염구(4U)로의 화염전이가 과도하게 늦어지는 일이 없어서 큰 착화음을 발생하지 않는 것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화염전이 화염구(4La)로부터 상층 화염구(4U)로 화염전이 시킬 때의 역화와 큰 착화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1.5Lh≤LH≤2.5Lh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LH를 2Lh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방향치수가 큰 화염전이 화염구(4La)로 하는 것은 하층 화염구(4L)의 일부뿐이며, 화염전이 화염구(4La) 이외의 하층 화염구(4L)의 상단의 위치는 상층 화염구(4U)로의 화염전이를 고려하는 일 없이 충분히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층 화염구(4L)만으로 연소시킬 때에 피가열 물체에 대한 화력을 충분히 약하게 할 수 있어 화력의 조절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오덕폴 합치부분(3a)에 형성하는 하층 화염구(4L)의 상하방향치수를 비교적 작게 하기 때문에, 하층 화염구(4L)만으로 연소시킬 때에 오덕폴 합치부분(3a)에서 발생하는 열량이 다른 부분에 비해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오덕폴 합치부분(3a)에 인접하는 원주방향 양측부분에 화염전이 화염구(4La)를 형성하기 때문에, 오덕폴 합치부분(3a)에서의 열량저하를 화염전이 화염구(4La)에서 발생하는 큰 화염에 의해 보충하여, 하층 화염구(4L)만으로 연소시킬 때에도 열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6에 나타내는 제2실시예와 도7에 나타내는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와 제3의 각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상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2실시예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하층 화염구(4L)가 형성된 버너헤드(3)의 하부외주면(하측 환상벽(34)의 외주면)을 제1실시예보다 지름방향 내측으로 오프셋(offset) 시켜서,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단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을 향하는 오버행면(overhang 面)(36)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3실시예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측 환상벽(33)과 하측 환상벽(34) 사이의 하측 헤드부재(31)의 외주면 부분에 형성하는 연장부(35)의 외경을 제1실시예보다 크게 하고,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단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을 향하는 오버행면(36)을 형성한 것이다.
제2, 제3실시예에 의하면, 오버행면(36)에 의하여 화염전이 화염구(4La)에 생기는 화염의 솟아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4U)의 하단 사이의 상하방향거리(LH)를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하방향치수(Lh)의 1.5배 미만인, 예컨대 1.3Lh로 설정해도 상층 화염구(4U)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QUmin이상이 되기 전에 상층 화염구(4U)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염전이 할때 역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LH를 짧게 하는 것은, 상층 화염구(4U)의 상하방향치수를 크게 하여 강한불 위치에서의 화력을 증가하는 것에 도움이 되므로 유리하다.
또한 오버행면(36)이 화염전이 화염구(4La)의 상단에 대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량(延長量)을 R로 하여서, R<Lh/3이면 화염전이 화염구(4La)에 생기는 화염의 솟아오름을 억제할 수 없게 되고, LH<1.5Lh로 설정하면 화염전이 할때의 역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R>Lh이면 상층 화염구(4U)로의 화염전이가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Lh/3≤R≤Lh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제3실시예에서는 R이 0.7Lh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A: 곤로 본체
B: 상판
C: 오덕
C2: 오덕폴
1: 곤로용 버너
2: 버너바디
3: 버너헤드
3a: 오덕폴 합치부분
36: 오버행면
4U: 상층 화염구
4L: 하층 화염구
4La: 화염전이 화염구
LH: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의 하단 사이의 상하방향거리
Lh: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
R: 오버행면의 연장량

Claims (4)

  1. 버너바디(burner body) 상에 설치되는 버너헤드(burner head)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상하 2층의 화염구(火炎口)를 구비하고, 하층 화염구에만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와 상층 화염구에도 가스를 공급하는 상태 간에 상태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상층 화염구에 대한 가스공급의 개시에 의하여 하층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火炎轉移) 시키도록 한 곤로용 버너에 있어서,
    하층 화염구의 일부를, 상하방향치수가 타(他) 하층 화염구보다 크고, 상단(上端)이 타 하층 화염구의 상단보다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화염전이 화염구(火炎轉移 火炎口)로 하고,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과 상층 화염구의 하단(下端) 사이의 상하방향거리는,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2.5배 이하의 범위에서, 상층 화염구로부터의 실제 분출가스량이 상층 화염구에서의 역화방지(逆火防止)에 필요한 소정량 이상이 되기 전에 화염전이 화염구로부터 상층 화염구로 화염전이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거리는 상기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5?2.5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의 외주면에, 상기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下方)을 향하는 오버행면(overhang 面)이 형성되고, 이 오버행면이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단에 대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량(延長量)은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3?1배로 설정되고, 상기 상하방향거리는 화염전이 화염구의 상하방향치수의 1.5배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곤로의 상판 위에 재치(載置)하는 오덕(五德)의 복수의 오덕폴(五德 pole)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버너헤드의 원주방향 복수장소의 부분을 오덕폴 합치부분(五德 pole 合致部分)으로 하고, 각 오덕폴 합치부분에는 상기 상층 화염구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하층 화염구만을 형성하고, 각 오덕폴 합치부분에 인접하는 원주방향부분에 상기 화염전이 화염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KR1020110086949A 2010-12-15 2011-08-30 곤로용 버너 KR101221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8862 2010-12-15
JP2010278862A JP5291696B2 (ja) 2010-12-15 2010-12-15 コンロ用バー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274A true KR20120067274A (ko) 2012-06-25
KR101221818B1 KR101221818B1 (ko) 2013-01-14

Family

ID=4640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949A KR101221818B1 (ko) 2010-12-15 2011-08-30 곤로용 버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91696B2 (ko)
KR (1) KR101221818B1 (ko)
CN (1) CN102563715B (ko)
TW (1) TWI4432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513A1 (ko) * 2022-01-19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버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848B (zh) * 2012-08-13 2015-04-22 中山维佳厨卫有限公司 一种分层燃烧的燃气灶
GB2544069A (en) * 2015-11-04 2017-05-10 Aga Rangemaster Ltd Cooking hob gas burner
CN105351927B (zh) * 2015-11-20 2018-07-20 中山百得厨卫有限公司 一种上进风燃烧器
CN106765110B (zh) * 2016-12-07 2023-04-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燃烧器火盖和燃烧器以及燃气灶具
JP7145016B2 (ja) * 2018-02-20 2022-09-30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JP7164392B2 (ja) * 2018-10-23 2022-11-01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JP7101103B2 (ja) * 2018-11-19 2022-07-14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バーナー
JP7115969B2 (ja) * 2018-12-11 2022-08-09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並びにガス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300524V0 (it) * 1983-03-25 1983-03-25 Defendi Off Mec Srl Piastra di supporto per bruciatori a gas costruita in un unico blocco metallico
JPS59191032U (ja) * 1983-05-31 1984-12-18 株式会社ターダ ガスバ−ナ
FR2620199B1 (fr) * 1987-09-08 1992-02-28 Sourdillon Airindex S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bruleurs a gaz a flamme pilote et chapeau de bruleur pour ces bruleurs perfectionnes
CA2166733A1 (en) * 1996-01-08 1997-07-09 Ozmond Jacob Multiple flame pattern
JP3455014B2 (ja) * 1996-04-25 2003-10-06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こんろバーナ
JP3586974B2 (ja) * 1996-05-17 2004-11-10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調理器のバーナ
JP3524689B2 (ja) * 1996-07-15 2004-05-10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調理器
KR100272358B1 (ko) * 1997-10-10 2000-12-01 구자홍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JPH11344209A (ja) * 1998-04-03 1999-12-14 Osaka Gas Co Ltd ガスバーナ
JP3782589B2 (ja) * 1998-09-18 2006-06-07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バーナ
JP2002206711A (ja) * 2001-01-09 2002-07-26 Rinnai Corp コンロバーナ
JP3730128B2 (ja) * 2001-02-05 2005-12-21 リンナイ株式会社 複数供給経路用ガスバーナ装置
CN100520186C (zh) * 2003-07-11 2009-07-29 柴文龙 燃气灶
JP4458298B2 (ja) * 2007-09-03 2010-04-28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JP4408923B2 (ja) * 2007-09-19 2010-02-03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KR100938201B1 (ko) 2007-12-17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513A1 (ko) * 2022-01-19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버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63715A (zh) 2012-07-11
TW201224368A (en) 2012-06-16
CN102563715B (zh) 2015-04-01
JP5291696B2 (ja) 2013-09-18
TWI443289B (zh) 2014-07-01
JP2012127563A (ja) 2012-07-05
KR101221818B1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818B1 (ko) 곤로용 버너
US10488051B2 (en) 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2077050A2 (en) A gas burner
CN204478056U (zh) 一种油气联合低NOx燃烧器
CN205480977U (zh) 比例调节圆火焰低NOx排放燃气燃烧器
JP7145016B2 (ja) コンロ用バーナ
CN109595556B (zh) 一种灶具燃烧器
JP4203456B2 (ja) こんろバーナ
CN104296177B (zh) 一种商用低噪音节能猛火炉头
KR100431987B1 (ko) 곤로 버너
US20160201921A1 (en) High Power Dual Gas Burner
KR100826712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20220070673A (ko) 캠핑용 난로
JP4639319B2 (ja) コンロ
JP2021169896A (ja) コンロ用バーナ並びにガスコンロ
KR20110024575A (ko) 가스버너
CN104180370A (zh) 一种炉头
EP3034942B1 (en) Bio oil burner with oil nozzle
JP7384737B2 (ja) コンロ用バーナ並びにガスコンロ
KR200328077Y1 (ko) 가스버너
KR20110106785A (ko) 고화력 가스버너
JP2006138596A (ja) ガスコンロ
CN110173688B (zh) 炉具用燃烧器
JP2005233498A (ja) ガスコンロ
JP6227322B2 (ja) 多管式貫流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