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600A - 피부 복구용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복구용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600A
KR20120059600A KR1020127008448A KR20127008448A KR20120059600A KR 20120059600 A KR20120059600 A KR 20120059600A KR 1020127008448 A KR1020127008448 A KR 1020127008448A KR 20127008448 A KR20127008448 A KR 20127008448A KR 20120059600 A KR20120059600 A KR 2012005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composition
amount
me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504B1 (ko
Inventor
에른스트 에이치. 브롬바
아룬 라지고팔
Original Assignee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5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6Morin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2Cassia, e.g. golden show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포유류 피부에서 SIRT1, Gadd45b, 및 SOD2 각각을 상향조절함으로써 포유류 피부의 DNA에 산화성 손상을 보호하고 또는 복구하는데 유효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조성물은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잎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중 최소한 2가지를 포함하며, 각 추출물의 양은 조성물이 SIRT1, Gadd45b, 및 SOD2 각각을 상향 조절하는데 유효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Description

피부 복구용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 AND METHOD FOR SKIN REPAIR}
본 출원은 2009년 9월 2일자로 제출된 미국 출원 번호 61/239,240(이는 전문이 참고문헌에 통합됨)에 대해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최소한 2가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정 구체예들에서, 산화성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반응하여 보호성 및/또는 회복성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의, 그리고 세포외 DNA 유전적 반응을 증가시키는데 유효한 양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존재하는 3가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 추출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조적인(synergistic) 방식으로 SIRT1, GADD45B, 및 SOD2 각각을 상향조절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조성물은 화장용 또는 피부과 조합제(preparation)로 조제된다.
몇몇 반응성 산소 종(ROS)으로 인한 산화성 스트레스와 같은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다양한 물질에 반응하여 피부는 노화된다. ROS는 대사 과정의 결과일 수 있지만, DNA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ROS를 만드는 낮은 수준의 지속적인 UV 방사(radiation)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이러한 DNA 손상의 결과로, 피부는 자체 재생에 문제가 있고, 이의 영향은 대개 눈으로 확인되며, 바람직하지 않다.
화장용 및 피부과 제형(formulations)은 ROS의 원인을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개발되어왔다. 일부 제형은 산화성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다른 제형은 피부에 일단 형성된 ROS를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햇볕화상방지제(sunscreens)는 피부로 들어오는 UV 방사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로 화장품에 포함된다. 햇볕화상방지제가 유효하기는 하지만, 모든 형태의 UV 방사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지는 못한다. 또한, 햇볕화상방지제는 유감스럽게도 비타민 D의 생산을 억제한다. 또한, 햇볕화상방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제형은 대개 땀 또는 물에 씻겨나가고, 기름기가 도는 또는 유질이어서, 만족스럽지 못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대안으로, 항산화제(antioxidants)는 생성된 ROS와 반응하거나 이를 중화시키는 시도로 화장품에 포함된다. ROS에 대항하는 항산화제 또는 기타 성분들을 포함하는 산물은 일반적으로 ROS와 접촉할 때만 활성이 있다. 그 결과, 피부에 남아있는 ROS는 항산화제 또는 중화제(counteractant)가 ROS와 접촉할 때까지 손상을 일으킨다.
또다른 방법은 손상된 피부로부터 수분 손실을 감소시키고, 건조한 또는 얇은 피부에 유연함(suppleness)을 추가하기 위한 시도로 모이스쳐 크림(moisturizers) 및 피부연화제(emollients)를 포함시킨다. 피부연화제와 모이스쳐 크림이 화장용 제형에 포함되면 피부로부터 상피를 통과하는 수분 손실은 감소될 것이지만, 이들이 있다고 해서 손상된 피부의 상태를 바꾸지는 못한다.
상기 각 방법은 장점이 있지만, 본 발명자들은 특정 DNA 복구 효소들을 조절함으로써, ROS에 의한 손상이 복구될 수 있고, DNA는 ROS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손상(또는 추가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예를 들면, SIRT1 세포 수명 및 DNA 복구에 연루되어 있다. 또한, Gadd45b (성장 중지 및 DNA 손상)는 특정 복구 효소들의 활성 및 접근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난 다중기능성 단백질이다. 유사하게, SOD2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의 DNA 보호에 연루되어 있다.
이들 각 유전자는 복구 DNA를 보호하거나 복구하는 것을 돕고, 이는 영구적인 피부 손상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피부의 복구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SIRT1, Gadd45b, 및 SOD2 유전자들 각각을 공조적으로 상향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요약
본 발명은 캔들 부시(candle bush) 추출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노니 잎(noni leaf) 추출물 (morinda citrifolia), 그리고 멜론 추출물 (cucumis melo)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2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때 조성물에 포함된 각 추출물은 이 조성물이 SIRT1, Gadd45b, 및SOD2를 각각 상향 조절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존재한다. 한 구체예에서, 이 조성물은 캔들 부시 추출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노니 잎 추출물 (morinda citrifolia), 및 멜론 추출물 (cucumis melo) 각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때 조성물에 포함된 각 추출물은 이 조성물이 SIRT1, Gadd45b, 및SOD2를 각각 상향 조절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산화성 손상을 보호 또는 복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캔들 부시(candle bush) 추출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노니 잎(noni leaf) 추출물 (morinda citrifolia), 그리고 멜론 추출물 (cucumis melo)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2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때 조성물에 포함된 각 추출물은 이 조성물이 SIRT1, Gadd45b, 및 SOD2를 각각 상향 조절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존재한다. 이 방법은 SIRT1, Gadd45b, 및 SOD2 각각을 상향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포유류의 피부에 상기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안전하고 유효한 양"이란 당업계 숙련자의 정상적인 판단 범위내에서 치료될 상태에 양성적 변화를 유의적으로 유도하는 화합물, 조성물 또는 이 구절에서 설명된 다른 재료의 충분한 양을 의미하나, 원하지 않는 부작용(가령, 유의적인 피부 자극 또는 민감화)을 피할 수 있는 충분히 낮은 양을 말한다. 화합물, 조성물 또는 기타 물질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치료를 할 특정 피부, 치료를 받는 생물학적 개체의 나이 및 신체적 상태, 상태의 중증도, 치료 기간, 공존 요법의 성질, 이용되는 특이적 화합물, 조성물, 또는 기타 물질, 이용되는 특정 미용상 수용가능한 국소 운반체 및 당업계 숙련자의 지식 및 기술 범위내의 인자들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든 언급된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캔들 부시 추출물”및“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는 동의어로 사용되며, 그리고 콩과(Fabaceae) 식물 과(family)의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로 확인된 식물과 하기 관련된 이름을 가진 식물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지칭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노니 잎 추출물” 및 “모린다 씨트로폴리아(Morinda citrofolia)”는 동의어로 사용되며, 그리고 모린다(Morinda L.) 속의 모린다 씨트로폴리아(Morinda citrofolia)로 확인된 식물과 하기에서 언급된 관련 식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용어 “멜론 추출물”및 “쿠쿠미스 메로(cucumis melo)”는 동의어로 사용되며, 그리고 쿠쿠미스(Cucumis L) 속의 쿠쿠미스 메로(cucumis melo)로 확인된 식물과 하기에서 확된된 관련 식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도 1은 (1) 오직 0.3% DN-AGE LS 9653 (약 0.5% 내지 약 1.5%의 캔들 부시 추출물을 포함하는)만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오직 0.1% CITROFOLINE (약 1.5% 내지 약 3.5%의 노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만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오직 0.5%의 EXTRAMEL C (약 20%의 멜론 추출물을 포함하는)만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4) 0.3% DN-AGE LS 9653, 0.1% CITROFOLINE, 및 0.5% EXTRAMEL C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한 SIRT1, GADD45B, 및 SOD2 유전자의 조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캔들 부시 추출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노니 잎 추출물 (morinda citrifolia), 및 멜론 추출물 (쿠쿠미스 메로(cucumis melo))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2가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 조성물에 포함된 각 추출물은 이 조성물이 SIRT1, Gadd45b, 및 SOD2 각각을 상향 조절하는데 유효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캔들 부시 추출물
캔들 부시 추출물은 식물 종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의 속칭(common name)이다. 다른 관련된 종 이름에는 세나 알라타(Senna alata (L.) Roxb.,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L.,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L. var. 페레니스 팜프(perennis Pamp.),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L. var. 룸피아나(rumphiana DC.), 카시아 브랙테아타(Cassia bracteata) L. f., 카시아 헤르페티카(Cassia herpetica) Jacq., 카시아 룸피아나(Cassia rumphiana) (DC.) Bojer, 헤르페티카 알라타(Herpetica alata) (L.) Raf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련된 속칭은 대스무르단(Dadmurdan (Hi)), 구아자보(Guajavo), 다트카파트(Datkapat (Hi)), 쿠아트레 에핀글레스(Quatre Epingles), 다르트레스(Dartres), 타르트리에르(Dartrier), 캐리온 크로우 부시(Carrion Crow Bush), 캔들-부시(Candle-bush), 카티핑(Cattiping), 제왕의 촛대(emperor's candlesticks), 케이트핀(Katepin), 에피스 디오르(Epis d'Or), 촛대(Candlesticks), 구아카마야 프란체사(Guacamaya Francesa), 모코테(Mocote), 플오르 델 세크레토(Flor del Secreto), 촛대(Candlestick) 식물, 카쎄 드 야바(Casse de Java), 물라물라(Mulamula), 카테펜(Cat), 골드 칸델라브라 나무(Golden Candelabra 나무), 캔들 부시, 칸델라브라 부시(Candelabra Bush), 로만 캔들 나무(Roman Candle 나무), 허브 다르트레(Herbe Dartres), 플루르 세인트. 크리스토프(Fleur St. Christophe), 백선 부시(Ringworm Bush), 백선 카시아(Ringworm Cassia (En)), 백선(Ringworm) 식물, 백선 쉬러브(Ringworm Shrub (En)), 아카풀코(Acapulco), 플루르 어 다르트레(Fleur Dartre), 세나무카이(Senamukhi (Hi)), 7가지 골드 촛대(Seven Golden Candlesticks), 타페리바 구아주(TaperibGuaz), 타라타나(Taratana), 소론콘틸(Soroncontil), 탈렌트로(Talentro), 툴리판(Tulip), 빌라야티-아가타티(Vilayati-aghatea (Hi)), 윙그드 세나(Winged Senna (En)), 제르베 세인트. 크리스토퍼(Zerbe St. Christoph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의 언급은 상기 제시한 관련된 종 이름 각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를 언급하면 세나 알라타(Senna alata (L.)) Roxb를 포함한다.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는 콩과(Fabaceae) 식물로부터 얻는다. 이 추출물은 식물 또는 이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출법(maceration), 재침출법(remaceration), 침지(digestion), 교반 침출법(agitation maceration), 와동(vortex) 추출, 초음파 추출, 역류 추출, 여과(percolation) 재여과(repercolation), 저압추출(evacolation) (낮은 압력에서 추출), 다이아콜레이션(diacolation) 및 Soxhlet 추출기에서 연속 역류하에 고체/액체 추출과 같은 공정은 전문가들이 잘 아는 것들이며,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의 추가 상세한 내용은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5 th Edition , Vol . 2, pp . 1026-1030, Springer Verlag, Berlin - Heidelberg - New York 1991)에서 볼 수 있으며,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기계적으로 크기를 줄이고, 선택적으로 추출전 지방을 제거한 식물 및/또는 식물의 일부가 보통 이용되지만, 신선한 또는 건조된 식물 또는 이의 일부는 출발 물질로 적합하다. 임의의 크기 감소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이 있는 도구를 이용한 분쇄가 이용될 수 있다. 식물의 잎은 추출에 적합하다.
추출 공정에 전형적인 용매는 유기 용매, 물 또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면, 대체로 많은 물(증류된 또는 증류되지 않은) 함량을 가진 저분자량 알코올,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또는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많은 물 함량을 가진 수성 알코올성 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의 이성질체, 아세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및 이의 혼합물들로 추출하는 것이 적합하다.
추출 과정은 약 20℃ 내지 약 100℃의 온도, 또는 약 80℃ 내지 약 100℃의 범위, 또는 약 80℃ 내지 90℃의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실행한다. 한 가지 가능한 구체예에서, 추출 과정은 추출물의 성분들의 산화를 피하기 위하여 비활성 기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추출 시간을 선택하는데, 이 시간은 출발 물질, 추출 과정, 추출 온도 및 원료에 대한 용질의 비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추출 과정 후, 정제안된 수득된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다른 일반적인 단계들, 가령, 정제, 농축 및/또는 탈색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준비된 추출물은 예를 들면 개별적으로 원치않는 성분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추출 과정은 임의의 수준으로 실행되지만, 보통 고갈될 때가지 지속된다. 건조된 식물 또는 건조된 식물 부분들 (임의의 지방이 제거된)의 추출에서 전형적인 수득율(이용된 원료 양에 근거하여 추출물 건조 중량)은 10wt% 내지 20wt%, 바람직하게는 12wt% 내지 19wt%,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13wt% 내지 16%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의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플라본 유도물질들, 더 구체적으로 캄프페롤(kaempferol) 및 캄프페롤 유도물질들, 타닌(tannins), 쿠마린(coumarins), 안트라퀴논(anthraquinones) 및 또한 자유 페놀산, 더 구체적으로 p-하이드록시벤조산으로 구성된 군의 물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플라본 유도물질들은 식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들로 이해된다. 더 구체적으로, 이들 유도물질은 2-페닐-4H-1-벤조피란의 수소화, 산화 또는 치환 산물들이며; 수소화(hydrogenation)는 탄소 쇄의 2,3-위치에 이미 존재할 수 있고, 산화는 4-위치에 이미 존재할 수 있고, 치환 산물은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 기에 의해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들의 대체로 이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의는 전통적인 견지에서 또한 플라반(flavans), 플라반-3-올(카테콜), 플라반-3,4-디올(루코안토시아니딘), 플라본, 플라보놀 및 플라보논을 포함한다. 식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로부터 유도된 유명한 플라본 유도물질들은 캄프페롤 및 캄프페롤, 예를 들면, 캄프페롤-3-O-소포로시드, 캄프페롤-7-라마노시드, 캄프페롤-3,7-디라마노시드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타닌은 식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타닌이다. 더 구체적으로, 타닌은 갈산(gallic acid)의 유도에 의해 갈로타닌(gallotannins)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폴리페놀이다. 타닌은 또한 1,2,3,4,6-펜타갈로일-D-글루코스에서 갈로일 잔기의 산화 결합에 의해 형성된 물질 및 이러한 물질의 유도물질들이다.
쿠마린(coumarin)은 식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쿠마린으로 이해한다. 쿠마린(coumarin)이란 이름은 쿠마린(cumarin), 크로텐-2-온, 2H-1-벤조피란-2-온, o-쿠마린산 락톤 및 콩 녹나무 장뇌(tonka bean camphor)와 등가의 동의어다. 쿠마린은 쿠마린산의 고리화 산물이다. 쿠마린 산은 오르소-하이드록시씨나민산(ortho-hydroxycinnamic acid)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쿠마린은 쿠마린산의 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안트라퀴논은 식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안트라퀴논이다. 더 구체적으로, 안트라퀴논 또는 9,10-안트라센 디온의 산화 또는 치환 산물이고, 치환 산물은 하이드록시 또는 메틸기에 의해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들이 대체된 것으로 이해한다. 안트라퀴논은 알리자린(alizarin), 퀴니자린(quinizarin), 크리사진(chrysazin), 히트사자린(hytsazarin), 푸르푸린(purpurin), 크리소파닌산(chrysophanic acid), 퀴날리자린(quinalizarin) 및 플라보푸르푸린(flavopurpurin)일 수 있다.
자유 페놀산은 식물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p-하이드록시벤조산 및 o-하이드록시벤조산 또는 살리실산으로 이해한다.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의 추출물의 추가 상세한 것은 US 2003/0180231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 내용은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판되는 산물은 Laboratories Serobiologiques의 DN-AGE LS 9653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세타 알라타(L.) Roxb의 추출물로도 확인된다). 이 산물은 물, 글리세린 및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잎 추출물을 포함하며, 물에 가용성이며, 지방 및 오일에는 불용성이다.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잎 추출물은 약 0.5% 내지 약 1.5%의 양으로 이 산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캔들 부시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1%의 범위로 존재하며, 약 0.05% 내지 약 0.5%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캔들 부시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0.3%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노니 나무 추출물
노니 나무 추출물은 모린다(Morinda L) 속의 모린다 씨트로폴리아(Morinda citrofolia)의 속칭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유용한 노니 나무 추출물은 모린다(Morinda L) 속에서 수득한 식물 종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노니 나무 추출물은 식물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는 하지만, 식물의 잎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추출물은 다음의 과정을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우선, 모린다 씨트리폴리아(Morinda citrifolia L.) 식물의 상대적으로 마른 잎들을 수거하고,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그리고 잎 조각들을 부수게 되는 액압 프레스와 같은 부수는 장치에 넣는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부서진 잎 조각들은 에탄올,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다른 알코올계 유도물질들과 같은 알코올로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여과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일부 구체예들에서, 알코올 및 모든 알코올-가용성 성분들은 부서진 잎 조각으로부터 추출되고, 그 다음 잎 추출물을 열로 환원시켜, 실질적으로 모든 액체를 제거한다. 생성된 건조 잎 추출물은 "1차 잎 추출물" 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들에서, 1차 잎 추출물은 추출물을 부분적으로 멸균하고, 유해(objectionable) 유기체를 파괴시키기 위하여 저온살균한다. 1차 잎 추출물은 70 내지 80℃ 범위의 온도, 그리고 추출물의 주요 화학적 변형 없이 임의의 유해 유기체를 파괴시키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저온살균된다. 저온살균(Pasteurization)은 다양한 방사 기술 또는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들에서, 저온살균된 1차 잎 추출물을 원심분리 디켄터(centrifuge decanter)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클로로필을 포함하는 다른 물질로부터 임의의 잔류 잎 즙을 제거 또는 분리시킨다. 원심분리 주기가 완료되면, 잎 추출물은 상대적으로 정제된 상태에 있다. 그 다음, 이러한 정제된 잎 추출물은 정제된 1차 잎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다시 저온살균한다.
저온살균된 및/또는 정제된 1차 잎 추출물은 2가지 개별 분획물로 추가 분획시킨다: 건조 헥산 분획물과 수성 메탄올 분획물. 이는 이산화 실리콘 및 CH2Cl2-MeOH 성분들을 포함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와 당분야에 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들에서, 메탄올 분획물은 2차 메탄올 분획물을 얻기 위하여 추가 분획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헥산 분획물은 2차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추가 분획한다.
1차 잎 추출물, 헥산 분획물, 메탄올 분획물 또는 2차 헥산 또는 메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잎 추출물이 복합될 수 있다.
상표명 CITRIFOLINE의 CEP로부터 적합한 시판 제품을 구할 수 있고, 이 제품은 부티렌 글리콜 및 물에 약 1.5% 내지 약 3.5%의 건조 추출물을 포함한다. 건조 추출물은 구연산에서 적정된 모린다 씨트리폴리아(Morinda citrifolia)의 잎으로부터 하이드로글리콜 추출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시판되는 제품은 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에 가용성이며, 식물성 및 미네랄 오일에 불용성이다.
노니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약 0.03% 내지 약 0.5%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 측면에서, 노니 추출물은 약 0.05% 내지 약 0.2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멜론 추출물
천연 멜론 또는 쿠쿠미스 메로(cucumis melo)는 슈퍼옥시드 디스무타제(SOD), 카타라제, 비타민, 코엔자임 Q10, 리포산, 글루타티온, 및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셀레늄과 같은 광물 염을 포함하는 피부에 유익한 성분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SOD 및 카타라제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항산화제는 피부에 자유 라디칼 손상을 최소화시켜, 노화의 징후를 감소 또는 지연시킨다.
한 구체예에서, 멜론 추출물은 다양한 쿠쿠미스 메로(cucumis melo)로부터 얻는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멜론 추출물은 95LS444 계와 같은 유전자 교배에 의해 수득된 쿠쿠미스 메로(cucumis melo)로부터 얻거나 또는 이 계에서 얻은 하이브리드중 하나로부터 얻는다(U.S. 특허 제5,747,043호 및 제5,616,323호, 이들 모두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이러한 멜론 종류(variety)는 14일의 일반적인 유효기간을 가지는데, 통상적인 종류보다 약 3배 길다. 항산화제, 특히 SOD 및 카타라제의 존재가 부분적으로 이러한 독특한 멜론 종류의 예외적인 긴 저장 수명을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멜론 추출물은 임의의 용매없이 오로지 멜론 펄프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원하는 멜론 추출물은 약 5 내지 약 9, 일반적으로 약 7.5 범위의 pH에서 수성 배지에서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갈고(grinding), 이어서 예를 들면,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상청액을 회수하여 수득할 수 있다. 회수된 상청액은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미립자(microgranule)로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는 동결 건조 또는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멜론 추출물의 미립자는 그 자체로 제형에 이용할 수 있고, 나노스페어(nanospheres)에 통합시킬 수 있고, 수소화된(hydrogenated) 지방과 같은 물질내에 포집시키거나 또는 마이크로 또는 마크로 유액에 포집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공안된 멜론 추출물은 식물성 지방으로 피복될 수 있다. 미립자는 예를 들면, 약 50% 추출물과 약 50% 지방을 포함할 수 있고, 화장용 제형에 용이하게 통합시킬 수 있다. 당업계 숙련자가 인지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추출물과 지방의 비율은 원하는 조성물에 따라, 추출물에 식물성 지방을 복합시켜 변화시킬 수 있다. 항산화제와 생체 이용성을 위한 강력한 장벽이 생성되고, 수분, 온도, 산성 pH 등에 대항하여 항산화제를 보호하고 안정화시킨다. 코딩된 멜론 추출물의 한 가지 설명은 US 2005/0025737에서 제공하며,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대안으로, 추출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 말토덱스트린 크로스폴리머 또는 유사한 물질을 이용하여 포집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집된 멜론 추출물의 설명은 US 특허 제7,132,118호에서 제공하며, 참고문헌에 통합한다. 적합한 상업 제품은 Bionov의 EXTRAMEL™ C이다. 이 제품은 약 20% 멜론 추출물과 약 80%의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 말토덱스트린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적합한 방법들에 의해 수득한 멜론 추출물은 단백질 ㎎당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제(SOD) 활성에 대해 일반적으로 표준화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들에서, 멜론 추출물은 단백질 ㎎당 최소한 6 units의 SOD 활성을 제공하며, 그리고 단백질 ㎎당 최소한 14 units의 SOD 활성을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단백질 ㎎당 최소한 18 units의 SOD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구체예들에서, 멜론 추출물은 단백질 ㎎당 약 20 내지 약 100 units범위의 SOD 활성을 제공하고, 그리고 단백질 ㎎당 약 30 내지 약 50 units 범위의 SOD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멜론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3%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약 0.03% 내지 약 2%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 측면에서, 멜론 추출물은 약 0.05% 내지 약 1%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에서 설명된 양으로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나무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나머지(balance)는 당업계 숙련자에 잘 알려진 공지의 화장용 및 국소용 성분들을 포함하며, U.S. 특허 번호 제6,184,247호 및 U.S. 특허 제6,579,516호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전문은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예로서, 특정 화장용 제형 성분들은 물; 부틸렌 글리콜; 피마자유;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옥수수 기름; 디메틸 술폭시드; 에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판올; 대두유; 글리세린; 가용성 콜라겐; 이산화 아연; 산화 티타늄; 또는 카올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타 화장용 제형 성분들은 디부틸 프탈레이트; 가용성 콜라겐; 솔비톨; 또는 나트륨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흡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습윤제의 다른 예로는 CTFA (Cosmetic T오일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osmetic Ingredient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관련 부분들은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허용가능한 화장용 제형 성분은 부탄-1,3-디올; 세틸 팔미테이트; 디메틸폴리실옥산; 글리세릴 모노리친올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데실 올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옥타데칸-2-올; 카프릴 트리글리세리드; 카프리 트리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판-1,2-디올; 트리에틸렌 글리콜; 참기름; 코코넛 오일; 홍화기름;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논옥시놀-9; 판테놀; 수소첨가된 식물성 오일;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리놀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라키스 오일; 카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린산;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리놀레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데실 올레이트; 또는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피부연화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피부연화제의 다른 예로는 CTFA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osmetic Ingredient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관련 부분들은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화장용 제형 성분들은 피롤리돈, 예를 들면, 2-피롤리돈; 알코올, 가령 에탄올; 알카놀, 가령 데카놀; 글리콜, 가령, 프로피렌 글리콜, 디프로피렌 글리콜, 부티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또는 테르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침투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핵 DNA, 미토콘드리아의 DNA, 또는 이둘 모두의 손상에 대해 바람직한 보호 및 복구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 한, 및/또는 예를 들면, 반응성 산소 종으로부터 이러한 NDA에 손상의 예방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 한, 기타 공지된 다양한 그리고 통상적인 화장용 어쥬번트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분야에 공지된 하나이상의 추가제 또는 다른 선택적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비타민, 레티노이드, 및 레티놀(가령, 비타민 B3, 비타민 A, 등); 안료; 방향제; 햇볕화상방지제 및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및 라디칼 소거제; 유기 히드록시산; 각질제거제(exfoliants); 피부 유연제(conditioners); 모이스쳐 크림; 세라미드(ceramides), 슈도세라미드(pseudoceramides), 인지질(phospholipids), 스핑고리피드(sphingolipids), 콜레스테롤, 글루코사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침투제(가령, n-데실메틸 술폭시드, 레시틴 오르가노겔, 티로신, 리신, 등); 항균제; 프롤린과 같은 아미노산,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이의 유도물질들 및 염, 사카라이드 이성질체, 판테놀,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와 함께 완충액; 밀랍(beeswax), 지랍(ozokerite wax), 석랍(paraffin wax)과 같은 왁스; 알로에 베라, 수레국화, 하마멜리스(witch hazel), 딱총나무의 꽃(elderflower), 또는 오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식물 추출물; 유탁제; 현탁제; 결합제; 보존제;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함될 수 있는 보존제의 한 가지 예는 2-페녹시에탄올 및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하는 항균성 식물 추출물 혼합물인 Phenonip®(Clariant, Charlotte, N.C.)이다. 기타 적합한 첨가제 및/또는 어쥬번트는 U.S. 특허 제6,184,247호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이의 전체 내용은 전문이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공동-용매,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추가 비활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가령, 친수성 및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에 및 조성물의 의도하고자 하는 운반에 근거하여 이용될 수 있다. 유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톡실화된(PEG) 지방산, PEG-지방산 디에스테르, PEG-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혼합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알코올-오일 에스테르교환반응(transesterification) 산물, 폴리글리세르화된 지방산, 프로피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피렌 글리콜 에스테르-글리세롤 에스테르의 혼합물,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스테롤 및 스테롤 유도물질들,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사카라이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페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피렌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저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추가적 무수한 성분들의 작용(Elaboration)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유일한 식물 추출물은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나무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이라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1%의 캔들 부시 추출물, 약 0.01% 내지 약 1%의 노니 나무 추출물, 및 약 0.05% 내지 약 3%의 멜론 추출물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추출물 혼합물과, 나머지는 화장용 성분들로 포함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1%의 캔들 부시 추출물, 약 0.01% 내지 약 1%의 노니 나무 추출물, 그리고 약 0.05% 내지 약 3%의 멜론 추출물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과, 나머지는 화장용 성분을 포함한다. 이 구체예에서, 다른 식물 추출물은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국소 제형의 적합한 형태는 로션, 크림, 버터(butters), 스틱, 스프레이 및 남아있게 되는 제품(leave-on product)의 기능을 하는 방식으로 피부에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제품형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국소 제형은 남아있는(leave-on) 제형보다는 덜 바람직할 수 있지만, 씻어내는(wash-off) 제품을 포함한다. 활성 추출물 (캔들 부시, 노니 나무, 및 멜론)은 리포좀과 같이 포집되거나 또는 조제될 수 있거나, 또는 제형의 안정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피부 침착 또는 침투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최소한 일일 기준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여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핵 DNA, 미토콘드리아의 DNA, 또는 둘다,에 손상을 복구하는 정도 및/또는 예를 들면 반응 산소 종으로부터 이러한 DNA 손상의 보호 또는 예방 수준은 이용되는 조성물의 총량 및 빈도에 직접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만 한다.
한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루에 최소한 한번 투여된다. 또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루에 최소한 두번 투여된다. 추가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루에 3 내지 5회 투여된다. 또다른 예에서, 매일 투여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최고의 효과를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최소 1주 내지 수주간 최소한 매일 투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주 내지 1개월 내지 몇 개월, 내지 1년 내지 몇 년간 최소한 일일 기준으로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얼마나 자주 또는 얼마나 오래 투여하는 지에 대해서 제한이 없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제한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설명을 위한 의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험적인 조사 및 실시예로 더 설명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특허를 통하여 언급된 모든 참고문헌, 특허 및 공개된 출원들의 내용은 참고문헌에 통합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나무 추출물, 멜론 추출물, 또는 이 세 가지 추출물 모두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3차 부틸 퍼옥시드(ROS 발생물질)로 세포를 공격한다. 추출물-처리된 세포와 처리안된 세포 간에 유전자 발현에서 변화를 측정한다.
특히, 인간 섬유아세포 HS27 세포 계는 0.3% DN-AGE LS 9653, 0.1% CITROFOLINE, 0.5% EXTRAMEL C, 또는 세가지 모두의 조합(가령, 0.3% DN-AGE LS 9653, 0.1% CITROFOLINE, 0.5% EXTRAMEL C)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세포를 용해시키고,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의 RNA를 우선 이중 가닥 이중 가닥 cDNA를 합성하는데 이용하고, 그 다음 바이오틴을 증폭된 RNA (aRNA)에 라벨시켰다. cDNA로부터 aRNA로의 합성 과정은 Enzo Life Sciences의 Bioarray 키트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다음 합성된 aRNA를 이용하여 Affymetrix 인간 게놈 유전자 칩을 혼성화시키고, 유전자 프로파일과 발현을 정량화하였다. 마이크로어래이 혼성화는 Michigan State University 마이크로어래이 설비에서 실시하였다.
도 1은 결과를 나타내는데,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나무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의 조합은 SIRT1, Gadd45B, 및 SOD2 유전자들 각각을 공조적으로 상향 조절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함이며,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더 넓은 측면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만들어 질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잎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중 최소한 2가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이때 상기 각 추출물은 조성물이 SIRT1, Gadd45b, 및 SOD2 각각을 상향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잎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 각각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캔들 부시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노니 나무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멜론 추출물은 약 0.05% 내지 약 3%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캔들 부시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고, 노니 나무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고, 그리고 멜론 추출물은 약 0.05% 내지 약 3%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7. 산화성 손상을 보호 또는 복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잎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들 각 추출물의 양은 SIRT1, Gadd45b, 및 SOD2 각각을 상향조절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조성물은 캔들 부시 추출물, 노니 잎 추출물, 및 멜론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캔들 부시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노니 나무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멜론 추출물은 약 0.05% 내지 약 3%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캔들 부시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고, 노니 나무 추출물은 약 0.01% 내지 약 1%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고, 그리고 멜론 추출물은 약 0.05% 내지 약 3%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3. 약 0.01% 내지 약 1%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는 캔들 부시 추출물, 약 0.01% 내지 약 1%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는 노니 나무 추출물, 그리고 약 0.05% 내지 약 3% 범위내의 양으로 존재하는 멜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화장용 또는 피부과조성물.
KR1020127008448A 2009-09-02 2010-08-25 피부 복구용 조성물 및 방법 KR101696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924009P 2009-09-02 2009-09-02
US61/239,240 2009-09-02
PCT/US2010/046613 WO2011028567A2 (en) 2009-09-02 2010-08-25 Composition and method for skin rep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600A true KR20120059600A (ko) 2012-06-08
KR101696504B1 KR101696504B1 (ko) 2017-01-13

Family

ID=4283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448A KR101696504B1 (ko) 2009-09-02 2010-08-25 피부 복구용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89026B2 (ko)
EP (1) EP2473180A2 (ko)
JP (1) JP5771611B2 (ko)
KR (1) KR101696504B1 (ko)
CN (1) CN102639139B (ko)
HK (1) HK1174825A1 (ko)
RU (1) RU2532343C2 (ko)
WO (1) WO20110285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6039A (zh) * 2015-10-30 2015-12-30 无锡锡山安达防爆电气设备有限公司 大型电机联轴器拆卸工装
JP6735225B2 (ja) * 2015-12-25 2020-08-05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及び経口組成物
KR102101869B1 (ko) * 2017-09-26 2020-04-20 (주)아모레퍼시픽 1,2,3,4,6-펜타-O-갈로일-β-D-글루코스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84758B1 (ko) * 2020-05-11 2020-12-01 (주)엔바이오 고안전성 액상 분무형 타입의 항균성과 항염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고 지속성을 보유한 손세정제
CN113546024A (zh) * 2021-08-24 2021-10-26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铁皮石斛的晒后修复啫喱及其制备方法
CN114515262A (zh) * 2022-02-22 2022-05-20 广东省科学院生物与医学工程研究所 一种以坚果油为介质的牛樟叶及诺丽叶成分提取方法及其提取物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6778A1 (fr) * 1998-12-04 2000-06-09 Soldive Extrait placentaire de fruit,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 le contenant
EP1607098A1 (en) * 2004-05-28 2005-12-21 Cognis France, S.A.S. Cosmetic use of an active ingredient that increases Gadd45 gene expression
US20070218045A1 (en) * 2000-06-09 2007-09-20 Crawford Healthcare Limited Skin treatment preparation
US20080199489A1 (en) * 2007-02-16 2008-08-21 Parrinello Vincene M Skin treatment formulation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6884B1 (fr) 1994-03-03 1996-10-04 Bio Obtention Sc Extrait protéique de cucumis melo à activité antioxydante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composition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ou composition alimentaire contenant un tel extrait.
US6579516B1 (en) 1995-06-13 2003-06-17 Zahra Mansouri Methods of delivering materials into the skin, and compositions used therein
JP3307604B2 (ja) 1998-04-14 2002-07-24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スーパーオキシドジスムターゼを大量生産する形質転換されたきゅうりの製造方法
GB9808796D0 (en) 1998-04-24 1998-06-24 Rowett Research Services Limit Antithrombotic agents
US6184247B1 (en) 1999-05-21 2001-02-06 Amway Corporation Method of increasing cell renewal rate
FR2813195B1 (fr) * 2000-08-29 2003-04-04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extraits de la plante cassia alata dans des produits de soin
JP4489923B2 (ja) * 2000-10-13 2010-06-23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
FR2822381B1 (fr) 2001-03-20 2004-10-22 Bio Obtention Sc Extrait de cucumis melo enrobe et/ou microencapsule dans un agent liposoluble a base de matiere grasse
US6753017B2 (en) * 2001-11-07 2004-06-22 Jrs Pharma Lp Process for preparing dry extracts
JP2004051492A (ja) * 2002-07-16 2004-02-19 Kose Corp 老化防止剤又は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4099459A (ja) 2002-09-05 2004-04-02 Asama Chemical Co Ltd 抗腫瘍剤
US7749535B2 (en) 2003-01-15 2010-07-06 Neway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Morinda citrifolia
US20050025737A1 (en) 2003-07-30 2005-02-03 Sebagh Jean Louis Compositions containing melon extracts
FR2874827B1 (fr) 2004-09-09 2007-01-19 Alain Dreyer Brevets Et Dev So Microparticules polymeriques biodegradables
CN101247824A (zh) 2005-06-28 2008-08-20 生命科学发明有限公司 超氧化物歧化酶和过氧化氢酶的混合物治疗炎性皮肤病损的应用
US20070202206A1 (en) 2005-11-29 2007-08-30 Palu Afa K Morinda Citrifolia Leaf Juice And Leaf Extract Based Formulations
US20070237735A1 (en) 2006-03-31 2007-10-11 Laboratoires Dermo-Cosmetik Inc. Anti-aging composition, kit and method of use
US20080138393A1 (en) 2006-12-11 2008-06-12 Access To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soluble extract of spinach for prevention and repair of DNA damage
US8668944B2 (en) * 2007-04-03 2014-03-11 Donna Greco Topical oil for treating physical ailments and method for making and applying the same
EP2036568A1 (en) * 2007-09-12 2009-03-18 Nestec S.A. Wolfberries and inflammation
CN101129946A (zh) * 2007-09-17 2008-02-27 吴兴保 一种跌打伤湿追风膏及其制备方法
US20090092561A1 (en) * 2007-10-09 2009-04-09 Lupia Joseph A Body-care and household product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pecific sulfur-containing compounds
JP2009161494A (ja) * 2008-01-09 2009-07-23 Noevir Co Ltd Sirt1活性化剤
CN101497851A (zh) * 2008-02-15 2009-08-05 耿普忠 一种保健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6778A1 (fr) * 1998-12-04 2000-06-09 Soldive Extrait placentaire de fruit,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 le contenant
US20070218045A1 (en) * 2000-06-09 2007-09-20 Crawford Healthcare Limited Skin treatment preparation
EP1607098A1 (en) * 2004-05-28 2005-12-21 Cognis France, S.A.S. Cosmetic use of an active ingredient that increases Gadd45 gene expression
US20080199489A1 (en) * 2007-02-16 2008-08-21 Parrinello Vincene M Skin treatment formulation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2741A1 (en) 2011-03-03
RU2532343C2 (ru) 2014-11-10
WO2011028567A3 (en) 2011-04-28
WO2011028567A2 (en) 2011-03-10
HK1174825A1 (en) 2013-06-21
WO2011028567A4 (en) 2011-06-16
CN102639139A (zh) 2012-08-15
KR101696504B1 (ko) 2017-01-13
JP2013503866A (ja) 2013-02-04
CN102639139B (zh) 2014-12-17
JP5771611B2 (ja) 2015-09-02
EP2473180A2 (en) 2012-07-11
RU2012112399A (ru) 2013-10-10
US8389026B2 (en)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udhan et al. A review on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Areca catechu L. seed
US20060105069A1 (en)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derived from Garcinia mangostana L plant
Ho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Tannin Components from Vaccinium vitis‐idaea L.
KR101696504B1 (ko) 피부 복구용 조성물 및 방법
Salimi et al.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sumac (Rhus coriaria L.) in the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07002666A2 (en)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tions derived from garcinia mangostana l plant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CA26523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hair and scalp health
KR100793019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4660B1 (ko)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및 꿀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효소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002819A (ja) 皮膚組成物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2170331B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proanthocyanidins, gamma-tocotrienol and niacin
KR20220079414A (ko) 캘러스 대사 산물이 다량 함유된 캘러스 용해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65126A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209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070081293A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20120004021A (ko) 리포좀에 포획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JP7129105B2 (ja) 高含有量のカルス代謝産物を有するカルス溶解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197228B2 (ja) 多目的美容液
Begum et al. A review on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Areca catechu L. S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