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425A - 실리카 유리 도가니 - Google Patents

실리카 유리 도가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425A
KR20120059425A KR1020110126199A KR20110126199A KR20120059425A KR 20120059425 A KR20120059425 A KR 20120059425A KR 1020110126199 A KR1020110126199 A KR 1020110126199A KR 20110126199 A KR20110126199 A KR 20110126199A KR 20120059425 A KR20120059425 A KR 20120059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silica glass
layer
silica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330B1 (ko
Inventor
토시아키 스도
히로시 키시
에리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쟈판 스파 쿼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판 스파 쿼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판 스파 쿼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10Crucibles or containers for supporting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9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fusing powdered glass in a shaping mould
    • C03B19/095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fusing powdered glass in a shaping mould by centrifuging, e.g. arc discharge in rotating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quartz or fused silica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02Elements
    • C30B29/06Silic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17/00Single-crystal, oriented-crystal, and epitaxy growth processes; non-coating apparatus therefor
    • Y10T117/10Apparatus
    • Y10T117/1024Apparatus for crystallization from liquid or supercritical state
    • Y10T117/1032Seed pulling

Abstract

(과제)실리콘 융액으로의 불순물의 혼입의 우려가 없고, 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좌굴이나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는 실리카 유리 도가니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본 발명에 의하면, 실리콘 단결정의 인상에 사용하는 실리카 유리 도가니로서, 상기 도가니의 벽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을 향해서 두께 2mm의 영역의 실리카 유리의 라만스펙트럼에서의 492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1과, 606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2의 비I2/I1이 0.67~1.17인 실리카 유리 도가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실리카 유리 도가니 {VITREOUS SILICA CRUCIBLE}
본 발명은, 실리카 유리 도가니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단결정은, 일반적으로, 실리카 유리 도가니내에서 고순도의 다결정 실리콘을 용융시켜서 실리콘 융액을 얻고, 이 실리콘 융액에 종결정(seed crystal)의 단부(端部)를 담가서 회전시키면서 인상(引上)하여 제조된다.
실리콘 융액은, 실리콘의 융점이 1410℃이므로, 그 이상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 온도에서는, 실리카 유리 도가니와 실리콘 융액이 반응하고, 도가니의 벽의 두께가 서서히 감소된다. 도가니의 벽의 두께가 감소되면 그 강도가 저하하고, 그로 인해 도가니의 좌굴(buckling)이나 가라앉음(sinking)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가니의 외층에 결정화를 촉진하는 층을 마련하고, 이로 인해 도가니의 외층을 결정화하고, 도가니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러한 층을 마련하면, 도가니가 장시간 가열되었을 때에, 도가니의 외층이 결정화된다. 실리카의 결정은, 단위두께당의 강도가 유리보다도 높으므로, 결정화에 의해 도가니 벽의 단위두께당의 강도가 높아져, 도가니의 좌굴이나 가라앉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2000-247778호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외층이 결정화되어서 좌굴이나 가라앉음의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러나, 외층에 불순물을 첨가하였기에, 잉곳(ingot)의 인상 조건에 따라서는, 불순물이 실리콘 융액 중에 혼입하고, 실리콘 단결정의 결정성을 흐트러뜨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리콘 융액으로의 불순물의 혼입의 우려가 없고, 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좌굴이나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는 실리카 유리 도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리콘 단결정의 인상에 사용하는 실리카 유리 도가니로서, 상기 도가니의 벽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을 향해서 두께 2mm 영역의 실리카 유리의 라만스펙트럼(Raman spectrum)에서의 492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1과, 606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2의 비 I2/I1가 0.67~1.17인 실리카 유리 도가니가 제공된다.
실리카 유리의 라만스펙트럼은, 492cm-1과 606cm-1에 피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자가 이들 피크의 면적 강도비I2/I1과 실리카 유리의 결정화되기 쉬운 정도(이하, 「결정화 용이성」이라 칭함)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한 바, 면적 강도비I2/I1이 0.67~1.17일 경우에 실리콘 잉곳의 인상 중에 도가니 외면에 형성되는 결정화층의 두께가 두터워져서 도가니의 강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 면적 강도비는 실리카 분말을 융해후에 냉각해서 실리카 유리를 형성할 때의 융해 온도나 냉각 프로필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가능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실리카 유리를 형성할 때의 융해 및 냉각 조건을 조절하여, 도가니 외면영역에서의 면적 강도비I2/I1을 0.67~1.17으로 함으로써, 광화원소(mineralizing element)를 첨가하는 일 없이, 도가니의 외면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리콘 융액으로의 불순물의 혼입의 우려가 없고, 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좌굴이나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1중 영역A의 확대도이다.
1.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구성
이하, 도1~도2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실리카 유리 도가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중 영역A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실리카 유리 도가니(1)는, 실리콘 단결정의 인상에 사용되는 실리카 유리 도가니(1)로서, 도가니(1)의 벽(3)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을 향해서 두께 2mm의 영역(3c)의 실리카 유리의 라만스펙트럼에서의 492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1과, 606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2의 비I2/I1이 0.67~1.17이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리카 유리 도가니(1)의 벽(3)은, 도1에 도시한 단면도와 같이 , 곡률이 비교적 큰 코너부(32)와, 윗면으로 개구한 연부를 갖는 원통형 측벽부(31)와, 직선 또는 곡률이 비교적 작은 곡선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사발 모양의 저부(33)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코너부란, 측벽부(31)와 저부(33)를 연접하는 부분으로, 코너부의 곡선의 접선이 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측벽부(31)와 겹치는 점으로부터, 저부와 공통 접선을 갖는 점까지의 부분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벽(3)의 직선형상의 부분(즉, 측벽부(31))이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점이 측벽부(31)와 코너부(32)의 경계이다. 더욱이, 도가니의 밑바닥의 곡률이 일정한 부분이 저부(33)이며, 도가니의 밑바닥의 중심에서의 거리가 멀어졌을 때에 곡률이 변화되기 시작하는 점이 저부(33)와 코너부(32)의 경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3)의 두께 방향의 구성은,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2mm의 영역(3c)의 상기 면적 강도비I2/I1이 0.67~1.17이면 되고, 그 이외의 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1층 구조여도 2층 이상의 구조여도 좋다. 1층구조의 경우, 합성 실리카 유리층(이하, 「합성층」이라고 칭함)이여도, 천연 실리카 유리층(이하, 「천연층」이라고 칭함)이여도 좋다. 합성층은, 고순도이기 때문에, 실리콘 융액으로의 불순물의 혼입을 막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천연층은, 고온점도가 합성층보다도 높으므로, 도가니의 고온강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그래서, 이들의 이점을 모두 구비하게끔 내면측에 합성층(3a), 외면측에 천연층(3b)을 구비하는 구조의 도가니가 바람직하다.
도가니(1)의 외표면으로부터 2mm의 영역(3c)은, 라만스펙트럼이 측정되는 영역이며, 다른 영역과 외견상 또는 조성상 명확히 구별가능할 필요는 없고, 외층의 실리카 유리층의 일부여도 좋다. 이 영역(3c)의 실리카 유리에는, 광화원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의 도가니는 광화원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결정화되므로, 광화원소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서, 영역(3c)은, 비도핑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도핑"이란, 불순물농도가 20ppm이하(바람직하게는 15ppm)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한편, 영역(3c)을 더욱 쉽게 결정화시키기 위해서, 영역(3c)에 광화원소를 첨가해도 좋다. 영역(3c)에서는, 실리카 유리 자체가 결정화되기 쉬운 특성을 갖고있으므로, 광화원소를 첨가한다고 하여도, 그 첨가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광화원소란, 유리의 결정화를 촉진하는 원소를 가리키고, 무기염, 질산염(nitrate), 탄산염, 황산염, 아세트산염(acetate), 옥살산염, 불화염, 인산염, 산화물, 과산화물, 수산화물, 염화물 등 상태로 유리에 혼재하는 상태, Si와 원자치환된 상태, 이온화된 상태,혹은 3Al2O3?2SiO2등 화합물의 상태로, 실리카 유리 중에 존재한다. 광화원소의 종류로서는, Na, K, Li, Ca, Sr, Ba, Ra, Ti, Zr, Cr, Mo, Fe, Co, Ni, Cu, Ag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실리카 유리중의 왜곡 정도가 실리카 유리의 결정화 용이성에 관련된 것이 아닐까 라는 가설하에서, 실리카 유리의 라만스펙트럼에서의, 실리카 유리의 왜곡 구조인 평면4원환구조나 평면3원환구조에 관련되는 피크를 주목했다. 그리고, 평면4원환구조에 귀속되는 492cm-1의 피크의 면적 강도I1와, 평면3원환구조에 귀속되는 606cm-1의 피크의 면적 강도I2의 비I2/I1이 0.67~1.17일 경우에 실리카 유리가 결정화되기 쉬워진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비I2/I1은, 예를 들면, 0.67, 0.7, 0.75, 0.8, 0.85, 0.9, 1, 1.05, 1.10, 1.15, 1.17이고,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의 수치의 범위내여도 좋다.
도가니(1)의 외면 전체에 걸쳐, 영역(3c)의 비I2/I1이 0.67~1.17여도 좋지만, 좌굴이나 가라앉음을 막기 위해서는 도가니의 측벽부(31)나 코너부(32)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측벽부(31)만 또는 측벽부(31)및 코너부(32)만에 있어서, 영역(3c)의 비I2/I1이 0.67~1.17이여도 좋다.
도가니(1)의 외표면으로부터 2mm의 영역(3c)의 라만스펙트럼은, 영역(3c)을 도가니(1)에서 제거한 후, 분쇄해서 분말형상으로 하여 충분히 교반한 시료, 혹은 도가니(1)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2mm의 영역(3c)을 잘라낸 시료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합성층(3a)은, 도가니(1)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있어서, 실리콘 융액과 접촉하는 층이다. 합성층(3a)은, 화학합성된 실리카(이산화 실리콘)을 용융시킨 것을 고화(solidification)해서 형성되는 유리(이하, 「합성 실리카 유리」라고 칭함)로 되는 층이며, 불순물농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도가니(1)의 내층을 합성층(3a)으로 함으로써 실리콘 융액으로의 불순물의 혼입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리카의 화학합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염화규소(SiCl4)의 기상산화(건식합성법)이나, 실리콘 알콕시드(Si(OR)4)의 가수분해(졸?겔법)을 들 수 있다.
천연층(3b)은, α-석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물 유래의 실리카 분말을 용융시킨 것을 고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α-석영을 용융시키면 점도는 대폭 저하되지만, SiO결합의 반복에 의한 쇄상구조는 완전히는 절단되지 않고, 천연 실리카 유리 중에는 결정형의 미세구조가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천연 실리카 유리는, 구조가 변화되기 어렵다. 이때문에, 천연층은, 점도가 비교적 크다. 또한, 천연층(3b)은, 원료가 천연물이므로 20ppm이하의 불순물이 거의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2.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실리카 유리 도가니(1)는, (1)실리카 유리 도가니의 외형을 규정하는 사발 모양의 내표면을 갖는 몰드를 회전시키면서, 그 내부의 저부 및 측면상에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실리카 분말을 소정두께로 퇴적시키는 것에 의해 실리카 분말층을 형성하고, (2)이 실리카 분말층을 아크 방전에 의해 융해시킨 후에 냉각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리카 분말의 융해는, 회전 몰드의 내표면에서의 최고 도달 온도가 2000~2600℃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고 도달 온도가 2000℃보다도 낮으면 실리카 유리의 구조 중 혹은 실리카 유리중에 기포로서 잔존하는 가스가 완전히 빠지지 않고, 실리콘 단결정 중의 인상중에, 도가니가 심하게 팽창한다. 또한, 최고 도달 온도가 2600℃보다도 높으면 실리카 유리의 점도가 저하해서 형상붕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융해후의 냉각은, 비I2/I1이 0.67~1.17이 되게 실시한다. 비I2/I1은, 융해 온도와 냉각 프로필에 의존해서 변화된다. 일반적으로는, 융해 온도가 높을수록 비I2/I1이 커지고, 또한,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비I2/I1이 커진다. 따라서, 처음에는 비I2/I1을 생각하지 않고 융해 및 냉각을 실시하고, 형성된 도가니에 대해서 비I2/I1을 측정하고, 측정된 비I2/I1의 값이 0.67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융해 온도를 높게 하거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함으로써 비I2/I1의 값을 0.67~1.17로 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비I2/I1의 값이 1.17보다도 클 경우에는, 융해 온도를 낮게 하거나, 냉각 속도를 늦게 하거나 함으로써 비I2/I1의 값을 0.67~1.17로 할 수 있다.
실리카 분말층의 융해시에는, 몰드측으로부터 실리카 분말층을 -50이상 ~-95kPa미만의 압력으로 감압 함으로써, 기포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기포함유율이 0.5%미만의)투명층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투명층을 형성한 후에, 감압의 압력을 +10kPa~-20kPa으로 함으로써, 투명층의 외측에, 기포함유율이 0.5%이상 50%미만의 기포함유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명세서에 있어서, 기포함유율이란, 도가니(1)의 일정 체적(W1)에 대한 기포점유 체적(W2)의 비(W2/W1)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압력의 값은 주위 기압에 대한 값이다.
3.실리콘 잉곳의 제조 방법
실리콘 잉곳은, (1)본 실시 형태의 실리카 유리 도가니(1)내에서 다결정 실리콘을 용융시켜서 실리콘 융액을 생성하고, (2)실리콘 종결정의 단부를 상기 실리콘 융액중에 담근 상태로 상기 종결정을 회전시키면서 인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리콘 단결정의 형상은, 위쪽으로부터 원주 형상의 실리콘 종결정, 그 아래로 원추 형상의 실리콘 단결정, 상부 원추 저면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원주 형상의 실리콘 단결정(이하, 직동부(直胴部)라고 칭함), 정점이 하향인 원추 형상의 실리콘 단결정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실리콘 잉곳의 인상(引上)은, 통상의 경우, 1450~1500℃정도에서 행하여 진다. 본 실시 형태의 도가니(1)의 외측이 결정화되기 쉬우므로, 본 실시 형태의 도가니(1)를 이용해서 실리콘 잉곳의 인상을 실시하면, 인상 도중의 도가니(1)의 외측이 결정화되어서 강도가 향상되어 도가니의 좌굴이나 가라앉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종래의 도가니와 같이, 불순물이 첨가된 층이 도가니의 외면에 마련되어져 있으면, 이 불순물이 실리콘 융액중에 혼입되고, 실리콘 잉곳의 결정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도가니(1)는, 이러한 불순물을 첨가하지 않고, 도가니의 외면을 쉽게 결정화시키기는 것으로서, 불순물이 실리콘 융액에 혼입되는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회전 몰드법에 의해, 외경이 800mm이고, 벽두께가 15mm인 도가니를 제조했다. 외측이 두께 14mm의 비도핑 천연 실리카 유리층, 내측이 두께 1mm의 비도핑 합성 실리카 유리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고 도달 온도와, 냉각시에 몰드에 분사하는 에어의 분사 속도를 바꾸면서, 10개의 도가니 샘플을 작성했다. 도가니 샘플은, 도가니의 상단부를 2cm이상 잘라 버려서 작성하지만, 이 잘라 버린 부분을 두께 2mm로 깍아서 분말 형상으로 해서 충분히 교반한 샘플 혹은 도가니(1)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2mm의 영역(3c)을 잘라낸 샘플에 대하여 라만스펙트럼의 측정을 행했다(JASCO Corporation제의 레이저 라만 분광 광도계를 사용). 얻어진 라만스펙트럼의 492cm-1의 피크의 면적 강도I1과, 606cm-1의 피크의 면적 강도I2의 비I2/I1을 구한 바, 표1과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표1에 있어서의 에어의 유속은, 아래와 같다 .
약: 유속 0.1m3/s
중: 유속 1m3/s
강: 유속 10m3/s
작성한 도가니 샘플을 이용해서 직경 300mm의 실리콘 잉곳의 인상을 실시했다. 인상후의 도가니 외면의 결정화층 두께를 측정했다. 또한, 수득한 실리콘 잉곳의 결정성을 평가했다. 결정성의 평가는,(실리콘 단결정의 직동부의 질량)/(인상 직전에 도가니에 충전된 폴리실리콘의 질량)의 값(단결정율)에 근거하여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에 있어서의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 단결정율이 0.80이상 ~0.99미만
○: 단결정율이 0.70이상 ~0.80미만
△: 단결정율이 0.60이상 ~0.70미만
×: 단결정율이 0.60미만
Figure pat00001
표1를 참조하면, 샘플2,4,5,7~9에서는, 비I2/I1이 0.67~1.17이며, 외면의 결정화층 두께가 두껍고, 단결정율이 높았다. 한편, 이들 이외의 샘플에서는, 비I2/I1이 0.67~1.17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결정화층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았고, 단결정율도 낮았다.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고 도달 온도가 높을수록, 비I2/I1의 값이 커지는 경향에 있고, 에어의 유속을 낮게 할수록, 비I2/I1의 값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최고 도달 온도와 몰드에 분사하는 에어의 유속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비I2/I1의 값을 0.67~1.17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상에서 보다시피, 도가니의 외면에서 두께 2mm의 영역에서의 492cm-1의 피크의 면적 강도I1과, 606cm-1의 피크의 면적 강도I2의 비I2/I1을 0.67~1.17로 함으로써, 외면이 결정화되기 쉬운 도가니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Claims (2)

  1. 실리콘 단결정의 인상에 사용하는 실리카 유리 도가니로서, 상기 도가니의 벽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을 향해서 두께 2mm의 영역의 실리카 유리의 라만스펙트럼에서의 492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1과, 606cm-1에 있어서의 피크의 면적 강도I2의 비 I2/I1이 0.67~1.17인 실리카 유리 도가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실리카 유리는, 광화원소의 함유량이 20ppm이하인 실리카 유리 도가니.
KR1020110126199A 2010-11-30 2011-11-29 실리카 유리 도가니 KR101340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7590 2010-11-30
JP2010267590A JP5500686B2 (ja) 2010-11-30 2010-11-30 シリカガラスルツ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425A true KR20120059425A (ko) 2012-06-08
KR101340330B1 KR101340330B1 (ko) 2013-12-11

Family

ID=4509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99A KR101340330B1 (ko) 2010-11-30 2011-11-29 실리카 유리 도가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97063B2 (ko)
EP (1) EP2458040B1 (ko)
JP (1) JP5500686B2 (ko)
KR (1) KR101340330B1 (ko)
CN (1) CN102485973B (ko)
TW (1) TWI433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2405B2 (ja) * 2011-11-30 2017-02-01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0716B1 (ko) * 2013-05-31 2017-10-26 가부시키가이샤 섬코 단결정 인상용 실리카 유리 도가니 및 그 제조 방법
JP6030764B2 (ja) * 2013-06-30 2016-11-24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の検査方法
WO2018055974A1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Sumco 石英ガラスルツ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石英ガラスルツボを用いた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JP6204560B2 (ja) * 2016-10-07 2017-09-27 株式会社Sumco 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JP6200057B2 (ja) * 2016-10-20 2017-09-20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428A (en) * 1990-10-30 1995-04-25 Shin-Etsu Quartz Products Co. Ltd. Optical member made of high-purity and transparent synthetic silica glas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or blank thereof
JP3621282B2 (ja) 1999-02-25 2005-02-16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石英ガラスルツ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5368B2 (ja) * 1999-06-01 2006-04-12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石英ガラスルツ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79015B2 (ja) 2002-03-19 2009-06-17 コバレントマテリアル株式会社 石英ガラスルツボ及び石英ガラスルツボの製造方法
JP4444559B2 (ja) * 2002-10-09 2010-03-31 ジャパンスーパークォーツ株式会社 石英ガラスルツボの強化方法とシリコン単結晶の引き上げ方法
JP2004292210A (ja) * 2003-03-26 2004-10-21 Kuramoto Seisakusho Co Ltd シリコン単結晶引き上げ用石英ルツボ
JP4470479B2 (ja) * 2003-12-17 2010-06-02 旭硝子株式会社 光学部材用合成石英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67391B2 (ja) * 2004-09-21 2010-05-26 コバレントマテリアル株式会社 石英ルツボ
JP4994647B2 (ja) 2005-11-30 2012-08-08 ジャパンスーパークォーツ株式会社 結晶化し易い石英ガラス部材とその用途
JP5213356B2 (ja) * 2007-05-31 2013-06-19 信越石英株式会社 シリコン単結晶引上用石英ガラスルツボ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017068A1 (ja) * 2007-07-28 2009-02-05 Japan Super Quartz Corporation 石英ガラスルツボ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199049A4 (en) * 2007-09-13 2014-08-27 Asahi Glass Co Ltd TiO2-containing quartz glass substrate
US20100000465A1 (en) * 2008-07-07 2010-01-07 Japan Super Quartz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vitreous silica crucible
US8286447B2 (en) * 2008-07-09 2012-10-16 Japan Super Quartz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quartz glass crucible
JP5610570B2 (ja) * 2010-07-20 2014-10-22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シリコンインゴットの製造方法
JP5605902B2 (ja) * 2010-12-01 2014-10-15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の製造方法、シリカガラスルツボ
JP5500689B2 (ja) * 2010-12-03 2014-05-21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
JP6072405B2 (ja) * 2011-11-30 2017-02-01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649383B (zh) * 2012-03-23 2016-08-17 信越石英株式会社 单晶硅提拉用二氧化硅容器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8040B1 (en) 2013-10-23
EP2458040A3 (en) 2012-08-22
KR101340330B1 (ko) 2013-12-11
CN102485973B (zh) 2015-11-25
US9797063B2 (en) 2017-10-24
CN102485973A (zh) 2012-06-06
JP2012116702A (ja) 2012-06-21
TW201221707A (en) 2012-06-01
TWI433969B (zh) 2014-04-11
JP5500686B2 (ja) 2014-05-21
US20120132133A1 (en) 2012-05-31
EP2458040A2 (en)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330B1 (ko) 실리카 유리 도가니
KR101423074B1 (ko) 실리카 유리 도가니
TW592945B (en) Silica glass crucible
JP4086283B2 (ja) シリコン単結晶引上げ用石英ガラスルツ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75229B2 (ja) シリカガラスルツボ
WO2001092609A2 (en) Multilayered quartz glass crucible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JP5500684B2 (ja) シリカガラスルツボ及びその製造方法、シリコンインゴットの製造方法
SG172748A1 (en) Vitreous silica crucib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4994568B2 (ja) シリカガラスルツボ
JP4678667B2 (ja) シリコン単結晶引上げ用石英ガラスルツボ及びその製造方法
JP5453677B2 (ja) シリカガラスルツボ、シリコンインゴットの製造方法
CN102337585B (zh) 氧化硅玻璃坩埚,硅锭的制造方法
JP5557333B2 (ja) シリコン単結晶引上げ用シリカガラスルツボ
JP5447946B2 (ja) シリコン単結晶引き上げ用石英ガラスルツ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328009B2 (en) Vitreous silica crucible for pulling silicon single cryst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43326B2 (ja) シリコン単結晶引上げ用シリカガラスルツボ
KR20200140815A (ko) 석영유리도가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2136397A (ja) シリコン単結晶引上げ用シリカガラスルツ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