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081A -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081A
KR20120059081A KR1020100120695A KR20100120695A KR20120059081A KR 20120059081 A KR20120059081 A KR 20120059081A KR 1020100120695 A KR1020100120695 A KR 1020100120695A KR 20100120695 A KR20100120695 A KR 20100120695A KR 20120059081 A KR20120059081 A KR 2012005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thermoplastic resin
acrylonitr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819B1 (ko
Inventor
장민술
남기영
황용연
유제선
심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12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8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08K5/03Halogenated hydrocarbons aromatic, e.g. C6H5-CH2-C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10 내지 89 중량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89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유기 난연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C) 무기산 0.1 내지 1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에 브롬계 유기 난연제 및 무기산을 포함시켜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를 억제하면서도 난연성이 뛰어나고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Thermal Stability Property}
본 발명은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에 브롬계 유기 난연제 및 무기산을 포함시켜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를 억제하면서도 난연성이 뛰어나고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이하, ABS라 칭함)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의 강성과 내화학성,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로 인하여 전기?전자 제품, 사무용 기기 등의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ABS 수지는 그 자체가 쉽게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화재에 대한 저항성이 거의 없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기?전자 제품, 사무용 기기 등에 사용되는 ABS 수지는 전기?전자 제품의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난연규격을 만족하여야 한다.
상기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제조시 난연성 단량체를 포함시켜 중합하는 방법과 제조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혼합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와 인계, 질소계 및 수산화게 등의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있으며, 상기 난연조제로는 유기산, 실리콘계 화합물 및 아연계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할로겐계 난연제는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해 난연 효율이 높고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현재 ABS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할로겐게 난연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며, 이중 브롬계 난연제가 특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브롬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ABS 수지를 가공할 경우, 가공 중 발생하는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하여 열 안정성이 저하되어 브롬계 난연제가 분해되고 수지 내의 난연제 성분의 함량이 저하되어 난연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 성분으로 인하여 변색 등의 제품의 외관 품질 저하 및 물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 성분은 작업 환경 및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수지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켜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난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가지는 ABS 수지에 대한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ABS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에 브롬계 유기 난연제 및 무기산을 포함시켜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를 억제하면서도 난연성이 뛰어나고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10 내지 89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이하 SAN이라 칭함) 89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유기 난연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C) 무기산 0.1 내지 1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10 내지 89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89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유기 난연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C) 무기산 0.1 내지 1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부타디엔계 고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스티렌계 단량체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한 다음, 이를 응집, 탈수 및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고,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부타디엔계 고무는 평균입경 0.1 내지 0.5 ㎛ (micrometer)인 부타디엔계 고무 50 내지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총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제 0.6 내지 2 중량부, 분자량조절제 0.2 내지 1 중량부 및 중합개시제 0.05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용액에,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5 내지 40 중량부 및 스티렌계 단량체 20 내지 65 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연속 또는 일괄 투입하여 유화 그라프트 중합한 다음, 이를 5% 황산 수용액에 의한 응집, 탈수 및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부타디엔 고무가 50 중량% 미만일 때는 내충격성이 크게 저하되며, 70 중량%를 초과할 때에는 표면의 경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50,000이고,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가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며, 단일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브롬계 유기 난연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와 유동성이 저하되지 않고, 우수한 내열성과 내후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브롬계 유기 난연제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헥사브로모싸이클로도데칸, 테트라브로모싸이클로옥탄, 모노클로로펜타브로모싸이클로헥산,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옥타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비스(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탄,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 시아누레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알릴에테르) 및 그 유도체 등이 있으나, 이중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시아누레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2를 갖는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무기산은 첨가제로서 상기 브롬계 유기 난연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난연제의 분해를 억제하여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과 열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무기산으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수지의 통상적인 가공 온도 조건 하에서 기화되지 않고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붕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산은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 강도가 저하됨 없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함량보다 과량을 투입하게 되면 충격 강도가 감소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로 충격보강제, 활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차단제, 안료 및 무기충진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에 브롬계 유기 난연제 및 무기산을 포함시켜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를 억제하면서도 난연성이 뛰어나고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평균입경 0.3 ㎛ (micrometer)인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사용하여 유화 그라프트 중합으로 제조된 ABS 공중합체(제품명 DP270 -부타디엔 고무 55 중량%, LG화학 제조) 2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5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8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브롬계 유기 난연제인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 시아누레이트(제품명 SR245) 27 중량부, 붕산 0.5 중량부, 활제로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5 중량부, 산화방지제로서 스테아릴-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1.0 중량부, 적하방지제로서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폴리머 0.1 중량부를 첨가하고, 헨셀 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하여 물성 및 난연시험을 위한 시편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붕산을 1.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붕산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붕산을 투입하지 않고 브롬계 유기 난연제인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 시아누레이트)를 30 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붕산 대신 붕산아연(Zinc Bor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사용한 물질을 하기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유화중합 ABS 20 20 20 20 20
SAN 80 80 80 80 80
브롬계 난연제 27 27 27 30 27
붕산 0.5 1.0 - - -
붕산아연 - - - - 1.0
[ 시험예 ]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 난연도(Vertical Flammability): UL-94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체류 후 사출물 표면가스 발생량 비교 실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사출기에서, 수지를 사출기의 노즐 내부의 고온 조건 (250 ℃ 이상)에서 15분간 적체시켜 수지 조성물의 열분해를 유도시킨 후 사출을 진행하였다. 사출품의 외관 표면의 가스 발생 자국의 많고 적음을 평가한 후, 가스 발생량이 가장 적어서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0점으로, 가스 발생량이 많아서 열 안정성이 가장 떨어지는 경우를 10점으로 평가하였다.
* 착색도(Colorability): 컬러 미터(SUGA Color Computer)를 이용하여 체류 전의 사출물의 착색도를 기준으로 체류 후의 사출물에 대한 착색 정도를 측정하여 L, a, b 값으로 표시하는데, 이중 L 값은 밝기를 나타내는 수치로 값이 낮을수록 색이 어두운 것을 나타낸다.
* 산화-유도 시간(Oxidative-Induction Time) 측정 실험: ASTM D389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난연도(1/10"
V-1)
통과 통과 실패 통과 실패
체류 후 사출물
표면가스 발생량
2 1 4 5 4
체류 전 착색도(L) 91 92 91 92 92
체류 후 착색도(L) 83 83 76 74 78
산화-유도시간(분) 19.3 21.1 12.3 12.0 12.4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롬계 난연제인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시아누레이트와 붕산을 동시에 투입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난연도 V-1과 함께 체류 실험시의 가스 발생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붕산을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수지 가공중의 고온 조건에 의한 난연제의 분해 정도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난연도 V-1을 달성하지 못하고, 또한 체류 실험시의 가스 발생량이 실시예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붕산을 투입하지 않은 대신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시아누레이트의 양을 증량한 비교예 2의 경우, 난연제의 기본 함량이 많으므로 난연제 V-1은 달성하였으나, 분해되는 난연제 성분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체류 실험시의 가스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붕산 대신 붕산 아연을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난연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붕산은 버퍼로서 존재하여 브롬계 난연제의 분해(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낳는데 반해, 비교예 3에서 대체한 붕산 아연은 산이 아니므로 이같은 효과를 낳지 못한 것을 추론해볼 수 있다.
또한, 체류 전과 체류 후의 사출물의 착색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붕산을 투입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는 착색도의 감소폭이 작았으나, 붕산을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모두 난연제의 변색이 심하여 착색도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붕산 대신 붕산 아연을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체류 후 착색도 값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화-유도 시간 측정 실험의 경우, 붕산을 투입한 실시예 1 및 실싱예 2의 경우 각각 19.3분 및 21.1분의 측정값을 얻었으나, 붕산을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 3의 경우엔 약 12분의 측정값을 얻었다. 상기 실험 결과들로부터, 붕산이 투입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모두 열 안정성이 우세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브롬계 난연제와 무기산을 동시에 사용하여 열 안정성을 향상시켜 난연제의 분해를 억제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난연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10 내지 89 중량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89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유기 난연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C) 무기산 0.1 내지 1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는, 부타디엔계 고무가 5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고, 유화그라프트 중합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50,000이고,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가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계 유기 난연제는 헥사브로모싸이클로도데칸, 테트라브로모싸이클로옥탄, 모노클로로펜타브로모싸이클로헥산,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옥타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비스(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탄,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 시아누레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알릴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계 유기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시아누레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2를 갖는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은, 붕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 활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차단제, 안료 및 무기충진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100120695A 2010-11-30 2010-11-30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1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695A KR101413819B1 (ko) 2010-11-30 2010-11-30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695A KR101413819B1 (ko) 2010-11-30 2010-11-30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081A true KR20120059081A (ko) 2012-06-08
KR101413819B1 KR101413819B1 (ko) 2014-07-02

Family

ID=4661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695A KR101413819B1 (ko) 2010-11-30 2010-11-30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8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7322A (ja) * 2012-09-03 2014-03-17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難燃化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2020007792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448B2 (en) * 2002-11-04 2006-11-21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100583170B1 (ko) * 2003-12-16 2006-05-2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후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난연성 수지조성물
KR100985356B1 (ko) * 2006-09-25 2010-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율이 우수한 초내후성 내열 난연수지 조성물
CN101885859B (zh) 2009-05-11 2014-10-08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阻燃微胶囊及其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7322A (ja) * 2012-09-03 2014-03-17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難燃化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2020007792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819B1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772B1 (ko) 내후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009849B1 (ko)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수지 조성물
KR101875999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100453B1 (ko)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40447B1 (ko) 충격강도와 광택성이 우수한 난연수지 조성물
KR101292350B1 (ko)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20059081A (ko)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45298B1 (ko) 난연제 분해억제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KR101101578B1 (ko)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45380B1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사출성형품
KR100985356B1 (ko) 신율이 우수한 초내후성 내열 난연수지 조성물
KR10113624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83339B1 (ko) 스티렌계 난연수지용 적하 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렌 난연수지 조성물
KR100776208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1166957B1 (ko) 난연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672669B1 (ko) 난연 수지 조성물
KR20110007372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90388B1 (ko) 난연 수지 조성물
KR20130057137A (ko) 안티몬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00809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200077926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KR20210036439A (ko)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210038025A (ko) 난연 수지 조성물
KR20090073751A (ko) 난연성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수지 조성물
KR20140147260A (ko) 난연제 분해억제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