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665A -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665A
KR20120057665A KR1020127012829A KR20127012829A KR20120057665A KR 20120057665 A KR20120057665 A KR 20120057665A KR 1020127012829 A KR1020127012829 A KR 1020127012829A KR 20127012829 A KR20127012829 A KR 20127012829A KR 20120057665 A KR20120057665 A KR 20120057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oil
surfactant
water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910B1 (ko
Inventor
유키 스기야마
코지 아베
스스무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5422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5766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05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계면활성제, (b) 물, (c) 유분 (d) 수용성자외선흡수제 및/또는 유용성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25℃에 있어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방어능, 사용감촉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도포시의 피부에의 퍼짐이 좋고, 도막균일성이 뛰어나며, 피부에의 친화력이 좋고, 투명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SUNBLOCK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방어능, 안정성이 뛰어나고, 나아가, 도포시 피부에의 퍼짐이 좋고, 도막균일성이 우수하며, 친화력이 좋고, 투명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bicontinous microemulsion)상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는 자외선 조사를 차단해 높은 SPF(Sun Protection Factor)치를 얻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거나 자외선 산란제(산화 아연, 이산화 티탄등)를 배합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 참조).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타입으로 수중유형 유화타입, 유중수형 유화타입등이 종종 언급된다.
산뜻하고 시원시원한 신선한 감촉을 얻으려면, 특허 문헌 1~2에 나타내는 것 같은 수중유형 유화타입의 것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 대해서는 본래 유화물이라는 계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내상이 되는 유분을 다량으로 배합할 수는 없다.
또, 사용감을 중시한다고 하는 화장료의 특이성을 고려하면, 유분을 다량으로 배합하는 경우 끈적임이 생기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유분을 다량으로 배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대해서는 특징인 시원시원한 신선한 감촉을 유지하면서 유용성(油溶性)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배합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다른 유화타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과 비교해 높은 자외선 방어능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만이 가능한 신선한 사용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높은 자외선 방어능을 얻기 위해서,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높이지 않고, 상기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에 추가해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일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 그렇지만,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계의 안정성을 꾀하기 위해 염(중화염)을 배합한다. 이것에 의해 유화 조성물중의 염농도가 높아져, 유화 입자의 정전반발이 깨져서 유화 안정성이 극단적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참조)은 유상이 연속상(외상)이다. 따라서, 수중유형 유화타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과 비교해 유분이나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배합할 수가 있어 높은 자외선 방어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사용에 대해서는 피부등의 표면상에 수분 투과성의 낮은 유막을 남겨, 장시간에 걸쳐서 건조로부터 보호함과 함께, 목욕, 부엌일 혹은 발한등에 의해 물과 접촉해도 재유화를 일으키는 것이 적기 때문에, 뛰어난 내한?내수성 기제로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서는 고극성의 자외선 흡수제를 유상에 용해해서 고배합해야 하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분리나 응집하는 현상을 볼 수 있어 장기의 경시 안정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피부 외용제로서의 사용성에 관해서도, 수중유형 타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과 비교해서, 끈적거림이나 유성감이 있어, 도포가 잘 안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유화형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이 유중에, 또는 기름이 수중에 유화 입자로서 분산된 비평형계인데 대해, 마이크로에멀전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이 유중에, 또는 기름이 수중에 가용화 된 평형계의 등방성 저점도 용액이다. 마이크로에멀전에는 기름이 수중에 가용화 된 미셀수용액상, 물이 유중에 가용화 된 역미셀유용액상, 및 수?유가 모두 연속 구조를 취하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의 3개의 타입이 있다.
미셀 수용액상은 물이 연속인 상태를 형성하고 있어, 계면활성제의 친유 기를 안쪽으로 향한 구상 또는 봉상의 회합체가 분산하고 있는 것이다. 회합체의 크기는 겨우 100 nm정도이며, 광학적으로 등방성으로 투명~약간 푸른 기가 산 반투명인 외관을 나타낸다. 미크로 수용액상을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로서 활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다량의 유분을 가용화할 수가 없기 때문에,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높이지 못하고, 따라서 높은 자외선 방어능을 얻을 수 없다.
역미셀유 용액상은, 계면활성제의 친수기를 안쪽으로 향한 구상 또는 봉상의 회합체가 분산하고 있는 것이다. 역미크로유용액상을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로서 활용하는 경우, 다량의 물을 가용화할 수가 없기 때문에, 끈적거림이나 유성감이 크고, 만족스러운 사용감을 얻을 수 없다.
한편,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이란, 일반적으로 친수성-소수성 밸런스가 어울린 조건으로 생성해, 유수계면장력이 극소가 되어, 계면활성제의 회합수가 증가해 무한하게 회합한 것이어서, 결과적으로 물 및 기름의 가용화량이 비약적으로 향상해, 물이나 기름도 연속적인 채널을 형성한 특이한 구조를 가지는 가용화계이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은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화합물의 조합의 탐색이 매우 곤란하고, 또, 그 생성 범위도 극히 좁다고 말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가용화 되지 않는 과잉의 물 및 기름과 공존한 유상/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수상의 3상 상태로서 관찰되는 것은 많지만(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이 1개 상태로서 관찰되는 보고예는 많지는 않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에는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4 EO), 유분으로서 이소 헥사 데칸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특허 문헌 3에는 계면활성제로서 디데실디메틸암모늄염, 유분으로서 도데칸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특허 문헌 4에는 계면활성제로서 대두 인지질, 계면활성조제로서 프로판올, 유분으로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각각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6에는 계면활성제로서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12 EO),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 알코올 및 에탄올, 유분으로서 유동 이소 파라핀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특허 문헌 7에는 계면활성제로서 POE(8) 이소 스테아린산글리세린, 유분으로서 옥탄산세틸이나 유동 파라핀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특허 문헌 8에는 계면활성제로서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및 POE 라우릴 에테르 황산염, 유성 성분으로서 모노지방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나 모노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각각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은 물 및 기름의 양쪽 모두가 연속인 특이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미셀상과 비교해 다량의 유분이나 유성 성분을 배합할 수가 있다. 또, 역미셀상과 비교해, 다량의 물이나 수성 성분을 배합할 수가 있다. 그 수?유의 어느 것에도 침투가 잘 되는 성질이나, 계면장력의 낮음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유성오염 및 수용성 오염의 양자에 대해서도 세정력이 뛰어나 헹굼성이 양호한 세제 조성물로서의 보고예(예를 들면, 특허 문헌 6~10 참조)는 많다. 그렇지만, 세정 목적 이외의 공업적인 활용은 충분히 되지 않았던 것이 현상이며,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등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로서의 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2-284638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5-255669호 공보 특허 문헌 3: 특개평 5-97644호 공보 특허 문헌 4: 특개 2008-162930호 공보 특허 문헌 5: 특개평 9-255544호 공보 특허 문헌 6: 특개 2004-217640호 공보 특허 문헌 7: 특개 2005-194249호 공보 특허 문헌 8: 특개 2007-77302호 공보 특허 문헌 9: 특허 공보 제 3684144호 특허 문헌 10: 특개 2009-196909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Langmuir, 1997, 13, 2001-2006. 비특허 문헌 2 :Langmuir, 2004, 20, 6594-6598. 비특허 문헌 3 :Langmuir, 2003, 19, 7196-7200. 비특허 문헌 4 :Langmuir, 1997, 13, 5061-5070.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자외선 방어능, 안정성이 뛰어나고 또한, 사용감이 뛰어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a) 계면활성제, (b) 물, (c) 유분, (d)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25℃에 있어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a) 계면활성제가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성분(a)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조합,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a)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그 HLB가 5에서 14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성분(d)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가 페닐 벤즈 이미다졸 술폰산염, 히드록시 메톡시벤조페논 술폰산염, 4-(2-β-글루코피라노실록시) 프로폭시 2-히드록시벤조페논, 페닐렌-1,4-비스(2-벤즈이미다질)-3, 3'-5, 5'-테트라 술폰산 비스-나트륨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d)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가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4-tert-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토크릴렌, 2, 4-비스-[{4-(2-에틸 헥실 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 페닐)-1, 3, 5-트리아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2, 4, 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 아닐리노]1, 3, 5-트리아진, 디에틸 아미노 히드록시 벤조일 안식향산헥실, 옥시벤존,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극히 뛰어난 자외선 방어능을 발휘하고, 한편, 사용감이 뛰어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도포시의 피부에의 퍼짐이 좋고 도막 균일성이 뛰어나 침투가 잘 되고, 투명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인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수 성분(a)~(d)의 배합량을 결정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2는 시험예 1-1, 1-3, 1-4, 1-5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도 1에서 시험예 4-1, 4-2의 조성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시험예 5-1~4의 조성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인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수 성분(a)~(d)의 배합량을 결정하기 위한 상태도이며, 시험예 6-1~4의 조성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시험예 7-1~3의 조성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4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술한다.
<(a)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이용하는(a) 계면활성제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전리해서 전하를 가지는 계면활성제이며, 그 전하의 종류에 의해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관능기 및 음이온성 관능기를 적어도 1개씩 가져, 용액이 산성 때에는 양이온성, 알칼리성 때에는 음이온성이 되어, 등전점 부근에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기의 종류에 의해, 카르본산형, 황산 에스테르형, 술폰산형 및 인산 에스테르형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는 카르본산형, 황산 에스테르형 및 술폰산형이다. 카르본산형은 또한 아미노산형과 베타인형으로 분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타인형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 N, N-(히드록시 에틸 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시드 1-카르복시에틸옥시 2 나트륨염등);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 초산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드 베타인, 술포 베타인등 )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염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베헤닐디메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 세틸트리에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등의 제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또, 스테아린산디에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스테아린산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팔미틴산디에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팔미틴산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베헤닌산디에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베헤닌산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드, 스테아린산디에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 스테아린산디메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 팔미틴산디에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 팔미틴산디메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 베헤닌산디에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 베헤닌산디메틸 아미노 프로필 아미드등의 아미드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비누, N-아실 글루타민산염 , 알킬 에테르 초산등의 카르본산염형, α-올레핀 술폰산염, 알칸 술폰산염, 알킬 벤젠 술폰산등의 술폰산형,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등의 황산 에스테르염형, 인산 에스테르염형등으로 분류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본산염형, 술폰산형 및 황산 에스테르염형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황산 에스테르염형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등),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예를 들면,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칼륨등),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예를 들면, POE-라우릴 황산 트리 에탄올 아민, POE-라우릴 황산나트륨등), N-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 사르코신나트륨등 ), 고급 지방산 아미드 술폰산염 (예를 들면,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레이트 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레이트나트륨등 ), 인산 에스테르염 (POE-올레일 에테르 인산 나트륨, POE-스테아릴 에테르 인산등 ), 술포 호박산염 (예를 들면, 디 2-에틸 헥실 술포 호박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호박산나트륨, 라우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술포 호박산 나트륨등 ), 알킬 벤젠 술폰산염 (예를 들면, 리니어 도데실 벤젠 술폰산 나트륨, 리니어 도데실 벤젠 술폰산 트리 에탄올 아민, 리니어 도데실 벤젠 술폰산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예를 들면,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등), N-아실 글루타민산염 (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등 ),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트유등 ),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염,α-올레핀 술폰산염 ,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2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호박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세인 나트륨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혼합되었을 경우에, 기름에 대한 계면장력이 저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수계면장력이 극소인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생성하기 쉽고, 본 발명에 있어서 매우 적합한 조합이다.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 종류만 이용했을 경우에는 계면장력의 저하가 충분하지 않고,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얻을 수 없거나, 혹은, 얻을 수 있었을 경우여도 그 생성 영역이 좁고,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안정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전리해서 전하를 가질 수 없는 계면활성제이다. 소수기로서는 알킬을 이용한 타입 및 디메틸 실리콘을 이용한 타입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유도체,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등을 들 수 있다. 후자로서는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 글리세린 변성 실리콘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수기로서 알킬을 이용한 타입이다.
구체적으로는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키올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펜타 2-에틸 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 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등 ), 글리세린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르카산글리세린, 세스키올레인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α,α'-올레인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사과산등 ),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 글리콜등 ),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 알킬 에테르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이트등 ),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이트, POE-소르비트 모노스테아레이트등 ),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모노이소 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등의 POE-모노올레이트등 ), POE-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등), POE-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 에테르, POE-올레일 에테르, POE-스테아릴 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 도데실 에테르, POE-콜레스타놀에테르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등 ), POE?POP-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 테트라 데실 에테르, POE?POP-모노부틸 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 에테르등 ),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 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등 ),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 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 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말레인산등 ),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밀랍등 ), 알칸올 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우린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이소 프로파놀 아미드등 ), POE-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 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트리올레일인산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HLB가 5에서 14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HLB는 7일때 물에의 용해성과 기름에의 용해성이 균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매우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유/수용해성이 중간 정도의 것이다. HLB가 5 미만 또는 14를 넘으면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얻을 수 없거나 혹은, 얻을 수 있었을 경우여도 그 생성 영역이 좁고, 실제 사용시 안정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조제로서 기능하는 코서팩턴트로 불리는 성분을 배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모노글리세린 유도체 및/또는 디글리세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노글리세린 유도체로서 특히 모노옥탄산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노난산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노닐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데칸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운데실렌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운데실레닐 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도데칸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도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테트라 데칸산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헥사데칸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올레인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디글리세린 유도체로서 모노옥탄산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옥틸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데칸산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데실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운데실렌산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운데실레닐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도데칸산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도데실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테트라 데칸산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헥사 데칸산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올레인산 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모노이소 스테아린산디글리세린 에스테르등을 들 수 있다.
<배합량>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상태도에 의해 적당히 결정되지만,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1~50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3~30 질량%이다.
<(b) 물>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가리킨다고 하면 정제수, 이온 교환수, 수도물등을 들 수 있다.
<배합량>
물의 배합량은 상태도에 의해 적당 결정되지만,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95 질량%가 바람직하다.
<(c) 유분>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성 성분은 통상적으로 화장품, 의약부외품등에 사용되는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액체 유지, 고체 유지, 밀랍류등을 들 수 있고, 일종 또는 2종이상의 유성 성분을 이용할 수가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토르산, 이소 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인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 알코올(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등), 분지쇄 알코올(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린 에테르(바틸알코올)-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카놀등 )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면 옥탄산옥틸, 노난산노닐,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 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 옥탄산헥실 데실, 유산세틸, 유산 미리스틸, 초산 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코레스테릴, 디 2-에틸 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 스테아린산N-알킬 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 글리콜, 피바린산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디 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린, 트리-2-에틸 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 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 헥산산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토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올레인산 올레일,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 2-헵틸 운데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 L-글루타민산-2-옥틸 도데실 에스테르, 아디핀산디 2-헵틸 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 디 2-에틸 헥실, 미리스틴산 2-헥실 데실, 팔미틴산 2-헥실 데실, 아디핀산 2-헥실 데실,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호박산 2-에틸 헥실, 구연산 트리 에틸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쇄장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디페닐 폴리실록산등 ), 환상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 시클로 헥사 실록산등 ), 3 차원 망목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 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등 ), 아크릴 실리콘류등을 들 수 있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드유, 동백유, 거북이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기름, 퍼식유, 소맥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니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에노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중국오동나무유, 일본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 글리세린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카오지방,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등을 들 수 있다.
밀랍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납, 칸데릴라납, 면납, 카르나우바납, 베이베리납, 쥐똥나무납, 고래넙, 몬탄납, 쌀겨납, 라놀린, 케이폭랍, 초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납,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죠죠바납, 경질 라놀린, 쉘락납, POE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코올 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POE 수첨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등을 들 수 있다.
<배합량>
유분의 배합량은 상태도에 의해 적당 결정되지만,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1~90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5~80 질량%이다.
<(d)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면 2, 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벤조페논, 2, 2', 4, 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 4-페닐벤조페논, 2-에틸 헥실-4'-페닐벤조페논 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페닐 벤즈 이미다졸-5-술폰산 및 그 염, 페닐렌비스벤조이미다졸테트라술폰산 및 그 염등의 벤조이미다졸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 l-캄파-, 3-벤질리덴 d, l-캄파-,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에스테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PABA), PABA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N, N-디프로폭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 N-디에톡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 N-디메틸 PABA 에틸 에스테르, N, N-디메틸 PABA 부틸 에스테르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호모멘틸 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파놀페닐살리실레이트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 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 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 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 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 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 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 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3, 4, 5-트리 메톡시 계피산 3-메틸-4-[메틸 비스(트리메틸시릭시)실일]부틸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2-페닐-5-메틸벤족사졸, 2, 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진, 디아니소일 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 3-디메틸-2-노르보르니리덴)-3-펜탄-2-온, 옥토크릴렌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d)으로서는, 특히,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페닐 벤즈 이미다졸 술폰산염, 히드록시 메톡시벤조페논 술폰산염, 4-(2-β-글루코피라노실록시) 프로폭시 2-히드록시벤조페논, 페닐렌-1,4-비스(2-벤즈이미다질)-3, 3'-5, 5'-테트라 술폰산 비스-나트륨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4-tert-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토크릴렌, 2, 4-비스-[{4-(2-에틸 헥실 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 페닐)-1, 3, 5-트리아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일테트라메틸부틸페놀, 2, 4, 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 아닐리노]1, 3, 5-트리아진, 디에틸 아미노 히드록시 벤조일 안식향산헥실, 옥시벤존,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상태도에 의해 적당 결정되지만,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1~20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3~15 질량%이다.
본 발명에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일반적으로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부외품의 피부 외용별로 이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알코올, 증점제등을 배합할 수가 있어 한층 더 소망에 따라 무기 안료, 체질안료등의 분말류, 보습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색소, 향료등을 적당 배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는 각종 수용성 알코올을 배합해도 괜찮다.
수용성 알코올은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집합체, 2가의 알코올 알킬 에테르류, 2가알코올 알킬 에테르류, 2가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 글리세린 모노알킬 에테르, 당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및 그러한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저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 프로판월, 이소 부틸 알코올, t-부틸 알코올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2가알코올(예를 들면,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 2-부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 3-부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 1, 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등 ), 3가알코올(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등 ), 4가알코올(예를 들면, 디글리세린, 1, 2, 6-헥산트리올등의 펜타에리스리톨등 ), 5가알코올(예를 들면, 자일리톨, 트리글리세린등 ), 6가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등 ), 다가 알코올 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트리 글리세린, 테트라 글리세린, 폴리 글리세린등 ), 2가의 알코올 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2-메틸 헥실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이소 아밀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벤질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등 ), 2가알코올 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등 ), 2가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지베이트, 에틸렌글리콜디삭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아세테이트등 ), 글리세린 모노알킬 에테르(예를 들면, 키실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등 ), 당 알코올(예를 들면, 말트트리오스, 만니톨, 자당, 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전분 분해당, 말토스, 전분 분해당환원 알코올등 ), 글리소리드, 테트라 하이드로 풀프릴 알코올, POE-테트라 하이드로 풀프릴 알코올, POP-부틸 에테르, POP?POE-부틸 에테르 트리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세린 에테르, POP-글리세린 에테르, POP-글리세린 에테르 인산, POP?POE-펜탄 에리스리톨 에테르, 폴리 글리세린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3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 아세톤등 ), 4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스, D-에리톨로스, D-트레오스, 에리스리톨등 ), 5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스, D-크실로오스, L-리키소오스, D-아라비노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키실로스, L-키실로스등 ), 6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오스, D-타로스, D-부시코스, D-갈락토오스, D-프룩토오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등 ), 7탄당(예를 들면, 알도헵토오스, 헵로오스등 ), 8탄당(예를 들면, 옥트로스등 ), 데옥시당(예를 들면, 2-데옥시 D-리보스, 6-데옥시 L-갈락토오스, 6-데옥시 L-만노오스등 ),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등 ),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크론산, D-만누론산, L-글론산, D-갈락투론산, L-이즈론산등 )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당, 군치아노스, 운베리페로스, 락토스, 프란테오스, 이소릭노오스류, α,α-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릭노오스류, 운비리신, 스탁오스베르바스코오스류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퀸스시드, 전분, 갈락탄, 델마탄 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 검, 헤파란 황산 트라간트감,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친, 키산탄검, 구아감, 덱스트란, 케라트 황산, 로카스트빈 검, 삭시노글루칸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폴리올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E-10),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글루캄 P-10)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는 각종증점제를 배합해도 괜찮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캬로브 검, 퀸스시드(마르메로), 카세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아라긴산나트륨,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CMC,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PVA, PVM, PVP,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카스트빈 검, 구아감, 타마린트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오스, 크산탄검,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헤토라이트, 규산 A1Mg(비검), 라포나이트, 무수 규산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캬로브검, 카라야감, 카라기난, 펙틴, 한천, z퀸스시드(마르메로), 알개콜로이드(갈조류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소맥), 글리틸리틴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크산탄검, 덱스트란, 삭시노글루칸, 풀루란등 ),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세인, 알부민, 젤라틴등 )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 히드록시 프로필 전분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나트륨,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말등 ),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등 )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등), 폴리옥시 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0, 40,000, 60,000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폴리 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 아미드등 ), 포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등을 들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운모, 권운모(견운모),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파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바륨,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규산 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소석고), 인산 칼슘, 불소 아파타이트,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세라믹 가루,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틴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질화 붕소등), 유기 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 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 4불화 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등 ),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 티탄, 산화 아연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적산화철), 티탄산철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면,γ-산화철등 ),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산화철, 황토등 ),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산화철, 저차산화 티탄등 ),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등 ),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 크로늄, 수산화 크롬, 티탄산코발트등 ),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등 ),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 치탄 코팅된 운모, 산화 치탄 코팅된 옥시 염화 비스머스, 산화 티탄 코팅된 탈크, 착색 산화 티탄 코팅된 마이카, 옥시 염화 비스머스, 어린박등 ),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가루, 구리-가루등 ),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등의 유기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등의 유기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등 ), 천연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β-카로틴등 )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콘드로이친 황산, 히알론산, 무코이틴 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유산 나트륨, 담즙산염 , DL-피롤리돈카르본산염, 단쇄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부가물, 체스트넛로즈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메리로트 추출물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 에탄-1, 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 에탄-1, 1-디포스폰산4 나트륨염 , 에데트산2 나트륨, 에데트산3 나트륨, 에데트산4 나트륨, 구연산 나트륨, 폴리 인산 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호박산, 에데트산, 에틸렌 디아민 히드록시 에틸3 초산 3 나트륨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등 ), 알칼리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 라이신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 글루타민산염 , 아실β-알라닌 나트륨, 글루타치온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 에탄올 아민, 모르포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 프로필) 에틸렌 디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 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멀젼, 폴리 아크릴산 에틸 에멀젼, 아크릴 레진액, 폴리 아크릴 알킬 에스테르 에멀젼, 폴리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천연 고무 라텍스등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산-유산 나트륨, 구연산-구연산 나트륨, 호박산-호박산 나트륨등의 완충제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몰식자산 에스테르류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말레인산, 마론산, 호박산, 푸말산, 케파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 디아민 4 초산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부제(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 에탄올등 ),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틸리틴산유도체, 글리틸레틴산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녹티올, 산화 아연, 알란토인등 ), 미백제(예를 들면, 바위취 추출물, 알부틴등 ),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벽, 황련, 자근, 작약, 당약, 자작나무, 세이지, 비파,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의이인,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Ononis), 마늘, 고추, 진피-당귀, 해조등 ), 활력제(예를 들면, 로열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등 ), 혈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 아레닐아미드,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틴키, 익타몰, 탄닌산,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크란데레이트, 신나리진, 트라졸인,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γ-오리자놀등 ), 항지루제(예를 들면, 유황, 티안톨등 ), 항염증제(예를 들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등 )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a)~(d)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 첨가해, 25℃에 대해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건인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은 열역학적인 평형 상태이며, 첨가 순서에 관련되지 않고 생성한다. 따라서, 어떠한 첨가 순서에서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가장 신속하게 평형 상태에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물, 계면활성제,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 염 등 수용성의 물질을 혼합해, 계면장력이 충분히 저하한 수용액을 조제한 후, 유분,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등의 유용성의 물질을 교반 하면서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인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간편하게는 그림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상태도를 작성하는 것으로, 필수 성분(a)~(d)의 배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림 1중의 상태도의 각 정점은 A성분, B성분, 물이며, A성분 및 B성분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A성분>
이미다졸리늄베타인 35. 0
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나트륨 15. 0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30.0
페닐 벤즈 이미다졸 술폰산 12. 5
트리 에탄올 아민 7. 5
<B성분>
옥탄산옥틸 75. 0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5. 0
도 1의 상평형도의 작성 방법을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1:우선, A성분, B성분, 및 물을 비스구 시험관에 칭량하여, 격렬하게 진탕 한 후 항온 수조중에 정치해 용액 상태를 관찰한다. 탁함이 없고 완전하게 투명하면 1상이다. 탁함이 있는 경우에는 한층 더 장기간 정치 해 각각의 상의 분리를 기다린다. 드물게 상분리가 매우 늦고, 성분의 열화등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원심분리 장치를 이용한다. 이 경우, 온도 컨트롤이 가능한 타입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2:다음에 용액이 1상의 경우에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 미셀 수용액상, 액정상, 역미셀유 용액상등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어느 상인지를 결정한다. 결정방법은 점도에 의한 판정, 광학적 등이방성, 전기전도도 측정, 편광 현미경 관찰, X선구조 해석등의 수법을 이용한다.
3:용액이 다상의 공존 상태인 경우에는 완전한 상분리 후에 각 상의 광학적등(이)방성을 확인한다. 또, 이 공존하는 몇개의 상중 하나는 근접하는 1상영역의 상이다. 확실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용액의 조성을 근접하는 1상의 영역으로 향해 서서히 변화시켜 몇개의 용액을 조제하는, 다상공존용액중 해당상의 전용액에 차지하는 용적이 서서히 증가해, 마침내 1상이 되는 것으로부터 확인이 가능하다. 또, 비중을 고려해 각 상의 시험관내의 존재 위치로부터의 확인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은 수상 및 미셀 수용액상보다 비중이 가볍고, 유상 및 역미셀유 용액상보다 비중이 무거운 일이 일반이지만, 이것은 구성 성분(계)에 따라서 다르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과 라멜라 액정상의 비중은 가깝지만, 양자는 광학적 등방성에 의해 판별이 가능하다.
4:상기의 순서에 의해, 다수의 용액을 조제해, 각각의 조성에 대해 출현하는 상을 특정해, 영역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평형 도가 완성된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은 계면활성제가 무한하게 회합한 용액이고, 물 및 기름의 양쪽 모두가 연속이며,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투명저점도의 용액을 의미한다. 미들페이즈 마이크로에멀전상, 바이컨티뉴어스상, 스펀지상, L3상, D상등이라고도 칭해지며, 본 발명에 있어서, 뛰어난 자외선 방어능이나 사용 감촉을 준다.
외관적으로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은 투명한 저점도 1상영역이며 광학적으로는 등방성이다. 이것이 다른 등방성 1상영역인 미셀 수용액, 역미셀유 용액이나, 액정상과의 구별에는 한층 더 다음의 방법이 유효하다.
성분(a)~(d)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인지의 여부는 (1) 외관에 의한 판정, (2) 상평형도의 작성, (3) 전기전도도 측정, (4) NMR에 의한 자기 확산 계수의 측정, (5) 동결할단법을 이용해 조제한 레플리카의 전자현미경 관찰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어느 방법에 의해 결정해도 괜찮다.
(1) 외관에 의한 판정에서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은 투명한 저점도 1상영역이며 광학적으로는 등방성이다. 광학적 이방성이 있는 액정상과의 구별은 편광판 2매를 90번의 위상차이로 조합한 사이에 샘플을 보관 유지해, 빛의 투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과 다른 등방성 1상영역인 미셀 수용액, 역미셀유 용액과의 구별에는, 한층 더(2)~(5) 방법이 유효하다.
(2) 상평형도의 작성에서는 물/유성 성분/계면활성제(유성 성분에는 코서팩턴트의 계면활성조제를 포함한다)로 구성되는 3성분계의 상평형도를 작성하면 등방성 투명저점도 1상영역에서 또한 물 및 오일 정점의 어느쪽으로터도 연속하는 영역이 아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동정가능하지만, 이 특징은 구성되는 계(성분)에 따라서 다르다.
(3) 전기전도도 측정에서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의 전도도는 같은 계로 얻을 수 있는 미셀 수용액상의 약 2/3의 값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다.
(4) NMR에 의한 자기 확산 계수 측정은 Lindman등에 의해 J. Colloid Interface Sci. , 1981, 83, 569등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방법이다.
(5) 동결할단법을 이용해 조제한 상 샘플의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의 물 및 오일의 양쪽 모두가 연속이 된 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에 의하면 물 혹은 오일이 연속의 미셀 수용액상으로 얻을 수 있는 구상의 회합체상과의 구별이 용이하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이마에등에 의한 문헌 Colloid polym. Sci. , 1994, 272, 604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한층 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질량%를 나타낸다.
각 시험예의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상법에 의해 제조하고, 회합 상태(25℃에 있어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나타내는지의 여부)와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로서의 효과에 대해 비교 검토했다.
덧붙여 이하의 시험예에 있어서, (a) 계면활성제, (b) 물, (c) 유분, (d)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25℃에 있어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시험예의 번호는 시험예 1-1, 1-2, 2-1, 3-1, 4-1, 5-1~4, 6-1~4, 7-1이다. 상기 이외의 그 외의 시험예는 25℃에 있어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나타내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되지 않는다.
우선 각 시험예로 이용한 평가법에 대해 설명한다.
평가(1):회합 상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회합 상태를 평가했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의 판정에는 상술한 방법을 취했다.
L3: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 일상의 회합 상태를 취하고 있다.
L1:미셀 수용액상 일상의 회합 상태를 취하고 있다.
L2:역미셀유 용액상 일상의 회합 상태를 취하고 있다.
II:수분리, 유분리등이 일어나고 있다.
O/W:수중유형의 유화 상태를 취하고 있다.
W/O:유중수형의 유화 상태를 취하고 있다.
평가(2):자외선 방어 효과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자외선 방어 효과를 평가했다. 각각의 시험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판에 일정량 도포해,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자외선 방어 효과를 평가했다. 표중에는 각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파장 310 nm에 있어서의 흡광도의 값을 나타낸다. 값이 큰 만큼 자외선 방어 효과가 뛰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평가(3):친화력
사용중의 피부와의 친화력을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각각의 시험예의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8명 이상이, 사용중 친화력이 좋다고 인정했다.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중 친화력이 좋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중 친화력이 좋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미만이, 사용중 친화력이 좋다고 인정했다.
평가(4):끈적거림
사용중 및 사용후의 피부에 끈적거림이 없음을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각각의 시험예의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8명 이상이, 사용중 및 사용후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평가(5):도막의 균일성
유상에 형광 물질을 배합해, 시료를 조제했다. 이것을 슬라이드 글래스상에 도포해, 15분간 건조한 후, 도막을 현미경 관찰해, 유상(흰 형광을 발한다)과 수상의 면적 비율로부터, 도막의 균일성을 평가했다.
◎…도막의 균일성이 극히 높다.
○…도막의 균일성이 높다.
△…도막이 약간 불균일이다.
×…도막이 불균일이다.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
이하의 표 1에 기재한 배합 조성보다 되는 시험 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해, 상기의 평가(1)~(5)에 임해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
1-1 1-2 1-3 1-4 1-5
이미다졸리늄베타인 9.0
POE(2.5)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3.8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6.4
POE(8)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20.8
POE(60)경화피마자유 5
POE(20)POP(8)세틸에테르 3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 0.1
수산화칼륨 0.06
에탄올 8.9
디프로필렌글리콜 7
옥탄산옥틸 15 15 15 15 15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구연산 0.01 0.01 0.01 0.01 0.01
구연산나트륨 0.09 0.09 0.09 0.09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평가 1: 회합상태 L3 L3 O/W O/W O/W
평가 2: 자외선방어효과 1.47 1.39 1.01 0.95 1.15
평가 3: 친화력
평가 4: 끈적거림
평가 5 : 도막 균일성 ×
시험예 1-1, 1-3~5의 흡수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그림 2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시험예 1-1~5는 모두 유분(옥탄산옥틸) 및 자외선 흡수제(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의 배합 농도는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O/W유화 상태를 취하는 시험예 1-3~5는 모두 자외선 방어 효과가 뒤떨어지며, 사용감촉도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시험예 1-4에 대해서는 도막의 균일성도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성분(a)으로서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1-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1-2는 모두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해, 평가(1)~(5)의 어느 평가에도 뛰어난 것이었다.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
이하의 표 2에 기재한 배합 조성에 의해 형성되는 시험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해, 평가(1)~(5)에 임해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 (%)
2-1 2-2 2-3 2-4 2-5
이미다졸리늄베타인 8.4 1.1
POE(3)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3.6 0.5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7.14
POE(60)경화피마자유 5
POE(20)POP(8)세틸에테르 3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 0.1
수산화칼륨 0.06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3.0 3.0 3.0 3.0 3.0
트리에탄올아민 1.78 1.78 1.78 1.78 1.78
디프로필렌글리콜 7
옥탄산옥틸 20 20 20 20
구연산 0.01 0.01 0.01 0.01 0.01
구연산나트륨 0.09 0.09 0.09 0.09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평가 1: 회합상태 L3 L1 O/W O/W O/W
평가 2: 자외선방어효과 0.77 0.37 0.41 0.25 0.54
평가 3: 친화력 ×
평가 4: 끈적거림
평가 5 : 도막 균일성 × ×
표 2의 결과로부터, 시험예 2-2~5는 모두 자외선 흡수제(페닐 벤즈 이미다졸 술폰산)의 배합 농도는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미셀 수용액상을 취하는 시험예 2-2, O/W유화 상태를 취하는 시험예 2-3~5는 모두 자외선 방어 효과가 뒤떨어지고, 사용감촉도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시험예 2-2, 2-4에 대해서는, 도막의 균일성도 뒤떨어지는 경향에 있었다.
한편, 시험예 2-1은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해, 평가(1)~(5)의 어느 평가에도 뛰어난 것이었다.
<계면활성제의 배합>
이하의 표 3에 기재한 배합 조성에 의해 형성되는 시험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해, 평가(1)~(5)에 임해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
3-1 3-2
야자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8.4
POE(3)팔미틸에테르황산나트륨 3.6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7.14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3.0 3.0
트리에탄올아민 1.78 1.78
이소노난산이소노닐 15 15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5 5
구연산 0.01 0.01
구연산나트륨 0.09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적당량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평가 1: 회합상태 L3 II
평가 2: 자외선방어효과 1.66 -
평가 3: 친화력 -
평가 4: 끈적거림 -
평가 5: 도막 균일성 -
표 3의 결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있지 않는 시험예 3-2는, 가용화 상태, 유화 상태의 모두 취하지 못하고, 분리 상태가 되어, 평가할 수 없었다.
한편,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3-1은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해, 평가(1)~(5)의 어느 평가에도 뛰어난 것이었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의 효과>
이하의 표 4에 기재한 배합 조성에 의해 형성되는 시험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해, 평가(1)~(5)에 임해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
4-1 4-2 4-3
이미다졸리늄베타인 6.7 2.0 6.7
POE(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2.9 0.9 2.9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5.7 1.7
페닐벤즈이마다졸술폰산 2.4 2.4 2.4
트리에탄올아민 1.4 1.4 1.4
옥탄산옥틸 15 15 15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구연산 0.01 0.01 0.01
구연산 나트륨 0.09 0.09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평가 1: 회합상태 L3 O/W O/W
평가 2: 자외선방어효과 1.65 1.22 1.46
평가 3: 친화력
평가 4: 끈적거림 ×
평가 5 : 도막 균일성
도 1의 상태도에 있어, 시험예 4-1 및 4-2의 조성을 나타낸 것을 도 3에 나타낸다. 시험예 4-1 및 4-2는 같은 농도의 B성분(유분 및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을 함유 하지만, 시험예 4-1은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하고, 시험예 4-2는 다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도 3의 시험예 4-2의 조성에서는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농도가 4-1보다 적게 되기 때문에, 그 차분은 나중에 첨가하는 것으로 보정하고 있다.
표 4의 결과로부터,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하지 않고 O/W유화 상태를 취하는 시험예 4-2는 자외선 방어 효과에 뒤떨어지고, 사용감촉도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 계면활성조제인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를 배합하고 있지 않는 시험예 4-3은 같은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하지 않고 O/W유화 상태를 취해, 자외선 방어 효과가 뒤떨어지고, 사용 감촉도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하는 시험예 4-1은 평가(1)~(5)의 어느 평가에도 뛰어난 것이었다.
이하의 표 5에 기재한 배합 조성보다 되는 시험 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해, 평가(1)~(5)에 임해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 (%)
5-1 5-2 5-3 5-4
이미다졸리늄베타인 8.6 6.7 4.5 2.4
POE(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3.7 2.9 1.9 1.0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7.3 5.7 3.9 2.1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3.1 2.4 1.6 0.9
트리에탄올아민 1.8 1.4 1 0.5
옥탄산옥틸 22.5 15 7.5 3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7.5 5 2.5 1
구연산 0.01 0.01 0.01 0.01
구연산 나트륨 0.09 0.09 0.09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평가 1: 회합상태 L3 L3 L3 L3
평가 2: 자외선방어효과 2.02 1.65 1.10 0.60
평가 3: 친화력
평가 4: 끈적거림
평가 5: 도막 균일성
도 1의 상태도에 있어, 시험예 5-1~5-4의 조성을 나타낸 것을 도 4에 나타낸다.
표 5의 결과로부터, 시험예 5-1~5-4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해, 배합한 자외선 흡수제(페닐 벤즈 이미다졸 술폰산 및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의 배합량에 응해 자외선 방어 효과는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또, 모두 사용 감촉이나 도막의 균일성이 뛰어나는 것이었다.
이온성 계면활성제계의 상태도상에서 생성하는 다양한 조성의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활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농도의 계면활성제, 유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의 표 6에 기재한 배합 조성에 의해 형성되는 시험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해, 평가(1)~(5)에 임해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또, 본시험을 실시하는 것에 있어서, 작성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계의 상태도 및 그 중에 시험예 6-1~6-4의 조성을 나타낸 것을 도 5에 나타낸다. 도 5중의 상태도의 각 정점은 POE(8) 글리세린 모노이소 스테아레이트(HLB=10, 일본 에멀젼 사제, 제품명:EMALEX GWIS-108), B성분, 물이며, B성분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B성분>
옥탄산옥틸 75. 0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5. 0
시험예 (%)
6-1 6-2 6-3 6-4
POE(8)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24.5 20 13.5 9.6
옥탄산옥틸 22.5 15 7.5 3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7.5 5 2.5 1
구연산 0.01 0.01 0.01 0.01
구연산나트륨 0.09 0.09 0.09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에탄올 6.8 9.0 11.5 13.0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평가 1: 회합상태 L3 L3 L3 L3
평가 2: 자외선방어효과 1.65 1.42 0.93 0.45
평가 3: 친화력
평가 4: 끈적거림
평가 5: 도막 균일성
표 6의 결과로부터, 시험예 6-1~6-4는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해, 배합한 자외선 흡수제(2-에틸 헥실-p-메톡시시신나메이트)의 배합량에 응해 자외선 방어 효과는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모두 사용 감촉이나 도막의 균일성이 뛰어나는 것이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계의 상태도상에 생성하는 다양한 조성의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활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농도의 계면활성제, 유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 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의 효과>
이하의 표 7에 기재한 배합 조성에 의해서 형성되는 시험예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해, 평가(1)~(5)에 임해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
7-1 7-2 7-3
POE(8)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24.5 7.0 42.0
옥탄산옥틸 22.5 22.5 22.5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7.5 7.5 7.5
구연산 0.01 0.01 0.01
구연산나트륨 0.09 0.09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에탄올 6.8 9.45 4.2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평가 1: 회합상태 L3 O/W II(L3+액정)
평가 2: 자외선방어효과 1.65 1.55 1.58
평가 3: 친화력
평가 4: 끈적거림 ×
평가 5: 도막 균일성
도 5와 같은 상태도에 있어서, 시험예 7-1~7-3의 조성을 나타낸 것을 도 6에 나타낸다. 시험예 7-1~7-3은 같은 농도의 유분 및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 하지만, 시험예 7-1은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하고, 시험예 7-2 및 시험예 7-3은 다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7의 결과로부터,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하지 않고 O/W유화 상태를 취하는 시험예 7-2는 자외선 방어 효과가 뒤떨어지고, 사용감촉도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포함한 다상 상태가 되는 시험예 7-3은 자외선 방어 효과에 약간 뒤떨어지고, 사용감촉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형성하는 시험예 7-1은 평가(1)~(5)의 어느 평가에도 뛰어난 것이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부터 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처방예를 든다. 얻어지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25℃에 있어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나타내며, 안전성, 사용 감촉이 양호하고, 또한 높은 기제 안정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한편, 실시예 1~3의 흡수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실시예 1:자외선 차단제 로션
이미다졸리늄베타인 7. 0
POE(2. 5) 라우릴 에테르 황산나트륨 3. 0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6. 0
페닐 벤즈 이미다졸 술폰산 2. 5
트리 에탄올 아민 1. 5
구연산 0.01
구연산 나트륨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이온 교환수 잔여
옥탄산옥틸 11. 3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3. 8
디에틸 아미노 히드록시 벤조일 안식향산헥실 0.5
2, 4, 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 아닐리노]1, 3, 5-트리아진 0.5
4-tert-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
실시예 2:자외선 차단제 미스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7. 0
POE(2) 라우릴 에테르 황산나트륨 1. 5
POE(3) 라우릴 에테르 황산나트륨 1. 5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5. 9
페닐 벤즈 이미다졸 술폰산 2. 5
트리 에탄올 아민 1. 5
구연산 0.01
구연산 나트륨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이온 교환수 잔여
노난산노닐 11.3
2-에틸 헥실-p-메톡시시신나메이트 3.75
2, 4-비스-[{4-(2-에틸 헥실 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 페닐)-1, 3, 5-트리아진 1.0
옥토크릴렌 1.0
실시예 3:자외선 차단제 로션
피탄트리올 28. 5
구연산 0.01
구연산 나트륨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이온 교환수 잔여
디메틸 폴리실록산 61. 0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5. 0
디에틸 아미노 히드록시 벤조일 안식향산헥실 0.5
실시예 4:자외선 차단제 리퀴드
모노이소 스테아린산그리세릴 44. 4
구연산 0.01
구연산 나트륨 0.09
킬레이트제 적당량
이온 교환수 잔여
이소 도데칸 45. 0
옥토크릴렌 2.2
4-tert-4'-메톡시디벤조일메탄 1.1
2, 4-비스-[{4-(2-에틸 헥실 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 페닐)-1, 3, 5-트리아진 0.5
2-에틸 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1. 6
디에틸 아미노 히드록시 벤조일 안식향산헥실 0.5
본 발명은 투명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극히 뛰어난 자외선 방어능을 발휘하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또한, 도포시 피부에의 퍼짐이 좋고 도막 균일성이 뛰어나 피부에 대한 친화력이 뛰어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자외선 방어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공업제품에도 유용하게 이용된다.

Claims (6)

  1. (a) 계면활성제
    (b) 물
    (c) 유분
    (d) 수용성자외선흡수제 및/또는 유용성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25℃에 있어서 바이컨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 계면활성제가, 이온성 및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계면활성제의 조합,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그 HLB가 5 부터 14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d) 수용성자외선흡수제가,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염, 4-(2-β-글루코피라노실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벤조페논, 페닐렌-1,4-비스(2-벤즈이미다질)-3,3'-5,5'-데트라술폰산비스-나트륨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d)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가 2-에틸헥실-ρ-메톡시신나메이트, 4-tert-4'-메톡시 디벤조일메탄, 옥토크릴렌,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메틸렌 비스 벤조트리아졸일테트라메틸부틸페놀,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 1,3,5-트리아진,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안식향산헥실, 옥시벤존,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0127012829A 2010-03-04 2011-03-02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1197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7572 2010-03-04
JP2010047572A JP4834775B2 (ja) 2010-03-04 2010-03-04 日焼け止め用組成物
PCT/JP2011/054755 WO2011108583A1 (ja) 2010-03-04 2011-03-02 日焼け止め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665A true KR20120057665A (ko) 2012-06-05
KR101197910B1 KR101197910B1 (ko) 2012-11-05

Family

ID=4454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829A KR101197910B1 (ko) 2010-03-04 2011-03-02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44624B2 (ko)
EP (1) EP2543356B1 (ko)
JP (1) JP4834775B2 (ko)
KR (1) KR101197910B1 (ko)
CN (1) CN102844015B (ko)
HK (1) HK1178797A1 (ko)
WO (1) WO2011108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83258C (en) * 2009-10-20 2011-08-09 Asa Bullion Investment Limited Lotion for cleaning human anorectal area
EP2604253A1 (en) * 2011-12-13 2013-06-19 Otto Glatter Water-in-oil emuls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CN103987365A (zh) * 2011-12-22 2014-08-13 陶氏环球技术有限公司 防晒制剂和方法
WO2013095994A2 (en) * 2011-12-22 2013-06-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parent aqueous fragrance microemulsions
JP5981192B2 (ja) * 2012-03-29 2016-08-3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グリセリルモノアルキルエーテルによる油溶性成分の安定化方法及びこれを含む化粧料
JP6321943B2 (ja) * 2012-11-14 2018-05-09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CN103039444A (zh) * 2012-12-31 2013-04-17 深圳诺普信农化股份有限公司 抗光解农药及其应用
HUE050440T2 (hu) * 2014-02-18 2020-12-28 Scherer Technologies Llc R P Helyileg alkalmazható, vízmentes töltõanyag készítmény UV-szûrõ anyagokhoz
CN106232089B (zh) * 2014-04-24 2021-07-13 株式会社资生堂 护肤化妆品
DE102014207919A1 (de) 2014-04-28 2015-10-29 Beiersdorf Ag Sonnenschutzmittel mit reduzierter Neigung zur Textilverfleckung I
DE102014207924A1 (de) 2014-04-28 2015-10-29 Beiersdorf Ag Sonnenschutzmittel mit reduzierter Neigung zur Textilverfleckung IV
DE102014207916A1 (de) 2014-04-28 2015-10-29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Sonnenschutzmittel mit reduzierter Neigung zur Textilverfleckung II
US9820920B2 (en) 2014-09-30 2017-11-21 L'oreal High UV protection alcohol-free emulsion system, that is clear on application
CN106999385B (zh) * 2014-11-10 2020-12-29 花王株式会社 水包油型紫外线防护化妆品
EP3072500B1 (en) * 2015-01-12 2019-07-1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product comprising water-insoluble sponge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having ultraviolet ray blocking function
KR20190035698A (ko) * 2016-08-08 2019-04-03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투명 고형 조성물
KR101957585B1 (ko) * 2016-09-23 2019-03-14 씨제이제일제당 (주) 화장품용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WO2018180009A1 (ja) * 2017-03-30 2018-10-04 ビタミンC60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フラーレン含有化粧料用組成物
JP6882148B2 (ja) * 2017-11-29 2021-06-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両連続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化粧料
JP7096542B2 (ja) * 2017-12-19 2022-07-06 株式会社ピカソ美化学研究所 日焼け止め組成物
TW202034890A (zh) * 2018-09-14 2020-10-01 日商資生堂股份有限公司 油中水型皮膚外用組成物
JP7048480B2 (ja) 2018-12-19 2022-04-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WO2020128556A1 (en) * 2018-12-19 2020-06-25 L V M H Recherche 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with ultraviolet ray-protecting effect
JPWO2020230617A1 (ko) * 2019-05-10 2020-11-19
KR102321530B1 (ko) * 2019-10-29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JP7250725B2 (ja) 2020-04-24 2023-04-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CN112062878A (zh) * 2020-08-25 2020-12-11 南方科技大学 水溶性光吸收剂及其制备方法和3d打印材料
WO2023013535A1 (ja) * 2021-08-06 2023-02-09 住友精化株式会社 粘性組成物
WO2023053959A1 (ja) * 2021-09-28 2023-04-06 株式会社 資生堂 12-ヒドロキシステアリン酸を含みバイコンティニュアス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構造を有する皮膚外用剤
WO2023127703A1 (ja) * 2021-12-28 2023-07-06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WO2023221014A1 (en) * 2022-05-19 2023-11-23 Beiersdorf Ag Cosmetic emulsion with reduced white foaming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413B2 (ja) * 1987-12-14 1997-03-05 ライオン株式会社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
US4940577A (en) * 1988-04-25 1990-07-10 Lipo Chemicals Inc. Ester based water-in-oil cosmetic microemulsions
JPH01288330A (ja) * 1988-05-13 1989-11-20 Shiseido Co Ltd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
JPH0597644A (ja) 1991-10-11 1993-04-20 Kao Corp 紫外線防御化粧料
SE9503143D0 (sv) 1995-09-12 1995-09-12 Astra Ab New preparation
DE19548014A1 (de) * 1995-12-21 1997-06-26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Emulsionen, insbesondere O/W-Makroemulsionen, O/W-Mikroemulsionen oder O/W/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in fester, dispergierter Form vorliegenden, in Ölkomponenten schwerlöslichen oder unlöslichen UV-Filtersubstanzen
DE19548016A1 (de) * 1995-12-21 1997-06-26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W-Mikroemulsionen oder O/W/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in gelöster Form vorliegenden, an sich schwerlöslichen UV-Filtersubstanzen, insbesondere Triazinderivaten
JPH09255544A (ja) 1996-03-28 1997-09-30 Shiseido Co Ltd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DE19641274C1 (de) * 1996-10-07 1998-02-12 Henkel Kgaa Sonnenschutzmittel in Form von O/W-Mikroemulsionen
JP4010647B2 (ja) * 1998-05-15 2007-11-21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US6710038B1 (en) * 1999-12-14 2004-03-23 Kibun Food Chemifa Co., Ltd. Emulsification method using propylene glycol hyaluronate
JP3684144B2 (ja) 2000-07-12 2005-08-17 株式会社資生堂 洗浄剤組成物
US6528070B1 (en) * 2000-09-15 2003-03-04 Stepan Company Emulsion comprising a ternary surfactant blend of cationic, anionic, and bridging surfactants, oil and water,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DE10061360A1 (de) 2000-12-09 2002-06-13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wasserlöslichen, filmbildenden Polymeren zur Verstärkung des Lichtschutzfaktors und/oder der UV-A-Schutzleistung kosmetischer oder dermatologischer Formulierungen
JP4898011B2 (ja) 2001-03-28 2012-03-14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化粧料
US7344706B2 (en) * 2002-03-12 2008-03-18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UV absorber compositions comprising a hydroxyphenyltriazine compound
DE10233330B4 (de) * 2002-07-22 2007-04-26 Sasol Germany Gmbh Mikroemulsion enthaltend UV-Lichtschutzfilter und/oder Antischuppenmittel
JP4638669B2 (ja) * 2002-12-27 2011-02-23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EP1433476B2 (en) * 2002-12-27 2013-07-24 Kao Corporation Skin cleansing composition
US7655613B2 (en) * 2004-10-20 2010-02-02 Firmenich Sa Solubilizing systems for flavors and fragrances
DE10323178A1 (de) * 2003-05-22 2004-12-09 Basf Ag Mischung, umfassend ein Tensid und ein Cotensid
JP4757446B2 (ja) 2004-01-09 2011-08-24 株式会社 資生堂 油性クレンジング組成物
DE102004003478A1 (de) * 2004-01-22 2005-08-18 Basf Ag Retinoid-haltige Zubereitungen
JP2005255669A (ja) 2004-02-09 2005-09-22 Kose Corp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US8383687B2 (en) * 2004-02-13 2013-02-26 Medds, Inc. Microemulsion preparation of high concentration propofol for anesthetic uses
CA2578594C (en) * 2004-08-31 2012-04-17 Connetics Australia Pty Ltd Microemulsion & sub-micron emulsion process & compositions
TWI365075B (en) * 2004-09-22 2012-06-01 Kao Corp Microemulsion
CN101039653B (zh) * 2004-10-20 2010-06-16 弗门尼舍有限公司 调味料和芳香剂的增溶体系
JP4827236B2 (ja) 2005-09-15 2011-11-30 株式会社 資生堂 洗浄剤組成物
JP2007269713A (ja) * 2006-03-31 2007-10-18 Kanebo Cosmetics Inc メイクアップ用もしくは日焼け止め用化粧料
JP2008162930A (ja) 2006-12-27 2008-07-17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4602999B2 (ja) * 2007-01-29 2010-12-22 花王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08184413A (ja) * 2007-01-29 2008-08-14 Kao Corp クレンジング組成物
BRPI0721862B1 (pt) * 2007-07-09 2016-03-15 Symrise Ag preparação compreendendo sais solúveis estáveis de ácido fenilbenzimidazol sulfônico, e uso de aminoácidos básicos
JP5241011B2 (ja) * 2007-07-27 2013-07-17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EP2039352A1 (en) 2007-09-18 2009-03-25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Aqueous-core lipid nanocapsules for encapsulating hydrophilic and/or lipophilic molecules
JP5311842B2 (ja) 2008-02-20 2013-10-09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化粧料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130164246A1 (en) * 2010-06-25 2013-06-27 Shiseido Company, Ltd. Hair Styling Cosmeti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3356A4 (en) 2014-01-01
CN102844015B (zh) 2015-09-09
EP2543356B1 (en) 2017-01-04
US9044624B2 (en) 2015-06-02
HK1178797A1 (en) 2013-09-19
WO2011108583A1 (ja) 2011-09-09
KR101197910B1 (ko) 2012-11-05
JP2011178769A (ja) 2011-09-15
EP2543356A1 (en) 2013-01-09
US20120321576A1 (en) 2012-12-20
JP4834775B2 (ja) 2011-12-14
CN102844015A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910B1 (ko)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EP2151230B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506130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
TWI555533B (zh) Oxidizing hair dye
EP2433616A1 (en) Cosmetic preparation
KR20100050494A (ko) 수중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WO2003059315A1 (fr) Preparation d'une emulsion a phase continue huileuse a usage cutane externe
EP3530722B1 (en) Detergent composition
KR101051898B1 (ko) 수중유형 유화 피부 화장료
EP3520772A1 (en) Cosmetic raw material using core-corona type microparticles and 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
CN108778231B (zh) 水包油型组合物
EP2474302B1 (en)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ultraviolet absorber
KR101727350B1 (ko) 폴리머솜 및 제조 방법
WO2020110608A1 (ja) 油水分離組成物及び物品
JP5414064B2 (ja) 化粧料
JP2008208046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TW201909885A (zh) 含有粉體之水系組成物及皮膚外用劑
WO2020110606A1 (ja) 洗浄剤組成物
CN113164801A (zh) 洗涤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