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840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840A
KR20120047840A KR1020117009719A KR20117009719A KR20120047840A KR 20120047840 A KR20120047840 A KR 20120047840A KR 1020117009719 A KR1020117009719 A KR 1020117009719A KR 20117009719 A KR20117009719 A KR 20117009719A KR 20120047840 A KR20120047840 A KR 2012004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guide plate
shape
illumin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873B1 (ko
Inventor
미쓰히데 사카모토
토시야키 야기
쥬니치 안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지
Publication of KR2012004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시설의 환경이나 유저의 요구에 맞추어,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에 필요로 하는 넓은 각의 배광특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충분하게 확산된 확산광이 조명장치에서 도출될 수 있으며, 디자인성이 우수한 조명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으로 입사한 광원부의 광을 분기시킨 출사면으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배치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설치한 전구형 램프에 관하여, 조립성을 확보하면서, 접속받침부를 각 발광소자로부터 대략 균등하게 멀어지게 하여 발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 배분의 균일성 저하를 억제한 램프의 구성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지지체 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반도체 광원을 가지는 조명장치에 관하여, 광원의 광이 할당된 라이트가이드에 지지체의 지름 평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결합되고, 라이트가이드가 반사면과 광사출면을 구비하여, 광사출면의 포락면(包絡面)이 곡면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있는 조명장치의 구성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10-03395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6-19068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에 필요로 하는 넓은 각의 배광특성을 얻을 수 없고, 또한 충분하게 확산시키기 전의 확산광이 조명장치에서 도출되는 것이므로 광의 지향성이 너무 강하게 지나치고, 또한 디자인성도 양호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의 기술적인 과제를 감안하여, 시설의 환경이나 유저의 요구에 맞추어,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에 필요로 하는 넓은 각의 배광특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충분하게 확산된 확산광이 조명장치에서 도출될 수 있으며, 디자인성이 우수한 조명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受電部)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으로 입사한 상기 광원부의 광을 분기시킨 출사면으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의하면, 시설의 환경이나 유저의 요구에 맞추어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에 필요로 하는 넓은 각의 배광특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충분하게 확산된 확산광이 조명장치로부터 출사될 수 있으며, 디자인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만곡한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 핀이 외주를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 핀이 외주를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c)는 외주에 방열용 핀이 형성되지 않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배치되어 출사면의 선단이 복수개의 도광편을 형성하도록 분기된 도광판 및 이 도광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광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과 광원을 도광판의 주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중앙의 도광편과 광원을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에 대하여 외측을 향하여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에 대하여 내측을 향하여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에 대하여 내측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에 각각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에 각각 소정 깊이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이 각각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 중에서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이 각각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선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설치된 응용 예에 상당하는 도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단부를 인접한 도광판의 단부에 접속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삼각기둥 형상으로 조합시킨 복수개의 도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삼각기둥 형상으로 일체 성형한 도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c)는 만곡된 도광판의 단부를 인접하여 만곡된 도광판의 단부에 접속함으로써 원통형상으로 조합시킨 복수개의 만곡된 도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d)는 원통형상으로 일체 성형한 도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e)는 +자 형상으로 도광판을 조합시킨 복수개의 도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f)는 +자 형상으로 일체 성형한 도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배치되어 출사면의 선단이 복수개의 도광편을 형성하도록 분기된 도광판 및 이 도광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광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과 광원을 도광판의 주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b)는 오목형상의 패턴이 대향하는 주면에 대면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의 중앙의 도광편과 광원을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배치되어 출사면의 선단이 복수개의 도광편을 형성하도록 분기된 도광판 및 이 도광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광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과 광원을 도광판의 주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b)는 오목형상의 패턴이 대향하는 주면에 대면하여 동일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의 중앙의 도광편과 광원을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부에 배치되어 출사면의 선단이 복수개의 도광편을 형성하도록 분기된 도광판 및 이 도광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광원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과 광원을 도광판의 주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b)는 오목형상의 패턴이 입사면에서 선단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의 중앙의 도광편과 광원을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의 일 주면에 형성된 패턴과 타 주면에 형성된 패턴을 투과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일 주면의 패턴에 대하여 타 주면의 패턴이 대면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b)는 일 주면의 패턴에 대하여 타 주면의 패턴이 X방향으로 반피치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c)는 일 주면의 패턴에 대하여 타 주면의 패턴이 Y방향으로 반피치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d)는 일 주면의 패턴에 대하여 타 주면의 패턴이 X방향 및 Y방향 모두 반피치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에 형성된 사각추로 이루어지는 오목형상의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도광판의 주면에서 오목형상의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광판의 측면에서 오목형상의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형성된 도광판을 조합시킨 도광부를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 형상의 4개로 분기된 도광편이 각각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도광판을 조합시킨 도광부를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 형상으로 형성된 3개의 도광편이 각각 원호형상이 되도록 도광판을 조합시킨 도광부를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 및 측면에도 각각 오목형상의 패턴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조합시킨 도광부를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도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보호부를 제거한 하우징부와 도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하우징부의 각도조정부와 도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하우징부의 각도조정부와 도광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하우징부의 각도조정부와 표시부를 가진 도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가공하는 초음파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가공하는 초음파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가공하는 초음파 가공장치에 의한 도광판기재로의 초음파가공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도광판기재에 초음파가공을 실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도광판기재에 초음파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가공하는 초음파 가공장치에 설치된 초음파가공용 혼의 일 예를 투과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가공하는 초음파 가공장치에 설치된 초음파가공용 혼의 일 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초음파가공용 혼에 복수개 형성된 가공도트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b)는 초음파가공용 혼에 복수개 형성된 가공도트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이하의 기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최초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대하여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각각 배치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본원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과 주요 작용효과에 대하여 각 청구항마다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전부(10), 전원부(20), 광원부(30), 하우징부(40), 및 도광부(100)로 구성된다. 이하, 조명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를 구성하는 수전부(10)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이러한 수전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꼭지쇠(11), 절연케이스(12) 및 절연케이스커버(13)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수전부(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전부(10)의 꼭지쇠(11)는, 예를 들면 실내시설에 시공되어 있는 소켓에 나사식으로 끼워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이다. 또한 꼭지쇠(11)의 직경은, 예를 들면 일반 사이즈인 직경 26㎜이다. 또한 꼭지쇠(11) 대신, 예를 들면 콘센트에 끼워 전력을 공급받는 플러그나, 발전기 또는 축전지를 접속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는 단자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수전부(10)의 절연케이스(12)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연케이스(12)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2D)에는, 후술하는 전원유니트(21)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전부(10)의 절연케이스커버(13)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의 일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연케이스커버(13)는, 절연케이스(12)의 내부공간(12D)에 전원유니트(21)가 수납된 상태에서, 절연케이스커버(13)의 접합부(13A)가, 절연케이스(12)의 타단(12B)에 형성된 접합부(12C)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절연케이스(12)는, 일단(12A)에 꼭지쇠(11)를 끼워넣어 접속되고, 또한 타단(12B)에 절연케이스커버(13)가 접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하우징부(40)의 하우징(41)을 끼워넣어 접합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를 구성하는 전원부(20)는, 수전부(10)와 접속되고, 이 수전부(1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구동전력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전원부(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유니트(21)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전원부(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부(20)의 전원유니트(21)는, 수전부(10)의 꼭지쇠(11)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전력을 광원부(30)의 광원(31)의 규격에 맞추어 100V에서 예를 들면 24V로 강압, 직류의 정전류로의 정류, 정류 후의 펄스 변조 및 노이즈 제거 등을 행하고, 후술하는 광원부(30)의 광원(31)에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유니트(21)는, 예를 들면 변압기, 정류기 및 콘덴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유니트(21)의 구성에 관하여, 광원부의 광원에 예를 들면 형광관, 냉음극관, 또는 네온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지 않고 사용한다. 또한 전원유니트(21)는, 수전부(10)의 절연케이스(12)의 내부공간(12D)에 수납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를 구성하는 광원부(30)는, 전원부(20)와 접속되고, 이 전원부(20)에서 공급된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한다. 이러한 광원부(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31) 및 기판(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광원부(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원부(30)의 광원(31)에는, 예를 들면 백색으로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ED에는, 이 LED의 색 온도가 예를 들면 3000켈빈(Kelvin) 정도의 주광색, 또는 5500켈빈 정도의 냉(冷) 백색의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 형상으로 조합된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의 입사면(101F) 및 입사면(102F)을 따라서, 예를 들면 10개의 표면실장형 LED를 +자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다. 이러한 광원(31)은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의 입사면(101F) 및 입사면(102F)에서 대향하는 선단(101G) 및 선단(102G)을 향하여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의 내부에 광을 입사한다.
또한, 광원부(30)에 관하여, 광원(31)은, 백색의 LE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백색, 등색, 황색, 녹색, 청색, 남색, 또는 자색 중 어느 하나의 색 또는 이들 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LED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광원(31)은, 자외(紫外) 영역의 광을 발하는 LED로 구성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광원(31)은, LE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유기발광 다이오드, 형광관, 냉음금관, 또는 네온관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광원부(30)의 기판(32)은, 광원(31)을 실장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기판(32)은, 예를 들면 경량이고 일정한 강도를 가진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32)의 재질에는 방열성에 우수한 동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글래스 에폭시 기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를 구성하는 하우징부(40)는, 광원부(30)를 수납한다. 이러한 하우징부(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1), 외주커버(42), 유지부재(43), 고정부재(44), 및 고정부재(45)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하우징부(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4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41)의 일면(41A)에 형성된 구멍(41B)에, 예를 들면 접시머리 나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4)를 각각 관통하여 절연케이스(12)에 형성된 나사구멍(12E) 및 절연케이스커버(13)에 형성된 나사구멍(13B)에 각각 나사 고정한다. 또한 하우징(41)의 일면(41A)에는, 기판(32)이 끼워맞춤 된다. 또한 전원유니트(21)의 구동전력은 도시하지 않은 전선에 의해 절연케이스커버(13)의 배선구멍(13C), 하우징(41)의 배선구멍(41C) 및 기판(32)의 배선구멍(32B)을 통해 광원(31)으로 공급된다.
또한, 하우징부(40)에 관하여, 하우징(41)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전원부(20) 및 광원부(30)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 좋게 방열시키기 위해, 도 2 또는 도 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41E)에 만곡한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의 핀을 복수개 형성하여도 좋고,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41E')에 직선의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의 핀을 복수개 형성하여도 좋다. 물론, 광원(31)의 구동전류값이 충분히 낮을 경우나 전원유니트(21)에서의 전력손실이 적을 경우에는, 도 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41E'')에 방열용의 핀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외부커버(4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주커버(42)는, 꼭지쇠(11)측에서 하우징(41)을 향해 뚫려 있고, 이 외주커버(42)의 접합부(42A)가 후술하는 유지부재(43)의 측벽(43C)의 단부에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부(40)에 관하여, 유지부재(43)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에 걸어맞춤되고, 하우징(41)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부재(4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반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유지부재(43)는, 각각 이 유지부재(43)의 중앙에 개구된 홈부(43A)를, 후술하는 도광판(102)의 도광편(102A)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02H)에 삽입하여 걸어맞춤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유지부재(43)는, 각각 이 유지부재(43)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부(43B)를, 후술하는 도광판(101)의 도광편(101A) 및 도광편(101D)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형상의 걸어맞춤부(101H)에 삽입하여 걸어맞춤하고 있다. 또한, 도광판(101)에 도광판(102)이 삽입되고, 또한 한 쌍의 유지부재(43)가 각각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면 냄비머리나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5)를, 한 쌍의 유지부재(43)의 구멍(43D) 및 기판(32)에 개구된 나사구멍(32A)의 순서로 관통시킨다. 그 다음, 고정부재(45)를 하우징(41)의 일면(41A)에 형성된 나사구멍(41D)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도광판(101)과 도광판(102) 및 기판(32)을 하우징(41)에 대하여 각각 착탈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고정부재(45)를 반사제가 함유된 접착제로 밀봉하여도 좋다. 또한 한 쌍의 유지부재(43)의 측벽(43C)으로 각각 하우징(41)의 외주면(41E)에 형성된 걸어맞춤홈(41F)을 덮고 있다. 또한, 기판(32)을, 예를 들면 나사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하우징(41)의 일면(41A)에 대하여 독립하여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를 구성하는 도광부(100)는, 하우징부(40)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입사면으로 입사한 광원부(30)의 광을 분기시킨 출사면으로 도출시킨다. 이러한 도광부(100)에 관하여, 먼저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사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에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광학특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형상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응용 예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를 구성하는 도광부의 형상은, 도광부(100)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도광부(110) 내지 도광부(170)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먼저, 도광부(10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기본적인 사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광부(100)는, 예를 들면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을 +자 형상으로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은, 각각 예를 들면 투명한 아크릴수지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은, 투명한 수지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색된 수지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은, 예를 들면 가시영역의 광을 조사시킴으로써 확산광을 발하는 미립자형상의 확산부재를 첨가한 수지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은, 예를 들면 자외 영역이나 가시영역의 광을 조사시킴으로써 형광을 발하는 형광제를 도포 또는 첨가한 수지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사양에 관하여,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101)은, 도광판(101)의 선단이 도광편(101A), 도광편(101B), 도광편(101C) 및 도광편(101D)의 4개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1)은, 도광편(101B) 및 도광편(101C)의 선단(101G)의 길이가, 도광편(101A) 및 도광편(101D)의 선단(101G')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1)은, 도광편(101A)과 도광편(101B)의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101L)와, 도광편(101C)과 도광편(101D)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101N)의 깊이가,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1)은, 절결부(101M)의 깊이가, 좌우로 인접하여 형성된 절결부(101L) 및 절결부(101N)의 깊이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사양에 관하여, 도광판(101)에 삽입되어 조합되는 도광판(102)은, 도광판(101)과 마찬가지로, 이 도광판(102)의 선단이 도광편(102A), 도광편(102B), 도광편(102C) 및 도광편(102D)의 4개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2)은, 도광판(101)과 마찬가지로, 도광편(102B) 및 도광편(102C)의 선단(102G)의 길이가, 도광편(102A) 및 도광편(102D)의 선단(102G')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2)은, 도광판(101)과 마찬가지로, 도광편(102A)과 도광편(102B)의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102L)와, 도광편(102C)과 도광편(102D)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102N)의 깊이가,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2)은, 절결부(102M)의 깊이가, 좌우로 인접하여 형성된 절결부(102L) 및 절결부(102N)의 깊이보다도 얕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사양에 관하여, 도광판(101)의 절결부(101M)와, 도광판(102)의 입사면(102F)의 중앙에 형성된 접합부(102J)가 접합하도록 도광판(101)에 대하여 도광판(102)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101M)와 접합부(102J)를 접합시킬 때, 도광판(101)의 입사면(101F)과 도광판(102)의 입사면(102F)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에는, 각각 방수, 오염방지 및 방진 등의 기능을 가진 도시하지 않은 실리콘 코팅제 또는 초자(유리) 코팅제를 도포, 혹은 방수, 오염방지 및 방진 등의 기능을 가진 도시하지 않은 투명수지를 피복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광부(10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기본적인 광학특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4에는,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의 구성을 간략화한 도광판(103)과, 이 도광판(103)에 인접한 광원(3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광판(103)의 입사면(103F)으로 입사된 광원(31)의 광의 일부는, 예를 들면 4개로 분기된 도광편(103A) 내지 도광편(103D) 사이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절결부(103L) 내지 절결부(103N)에 의해 각각 넓은 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결부(103L) 내지 절결부(103N)에서 넓은 각으로 반사된 광의 일부는, 도광편(103A) 내지 도광편(103D)에 각각 형성된 일 주면(103V)과 타 주면(103Q) 사이를 다중 반사한다. 또한 도광판(103)의 절결부(103M)의 깊이를, 좌우에 인접하여 형성된 절결부(103L) 및 절결부(103N)의 깊이보다도 깊게 형성하면, 절결부(103M)에서 넓은 각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편(103A) 및 도광편(103D)에 도달하기 쉽다.
또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광학특성에 관하여, 종래의 도광판과 같이 단순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의 경우, 도광판의 입사면에서 입사하여 직진한 광의 대부분은, 직진하여 선단으로 방출된다. 그러나 본원발명에 따른 도광판(103)과 같이, 예를 들면 4개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광판(103)의 입사면(103F)에서 입사된 광은, 절결부(103L) 내지 절결부(103N)를 통해, 도광편(103A) 내지 도광편(103D)에 각각 형성된 일 주면(103V)과 타 주면(103Q) 사이에서 다중 반사된다. 또한, 도광판(103)에 입사된 광은, 도광판(103)의 각 면 사이에서 전방위로 반사함으로써 예를 들면 선단(103G) 또는 선단(103G')에 비스듬한 입사로 조사된 후, 그 선단(103G) 또는 선단(103G')으로 방출되지 않고 입사면(103F)측에 반사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도광판(103)에서는, 이 도광판(103)의 입사면(103F)으로 입사된 광이 직진하여 선단(103G) 또는 선단(103G')으로 방출되는 비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형상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도광판(104A)은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104A')의 선단의 외측을 향하여 곡면이 형성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도광판(104B)은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104B')의 선단의 내측을 향하여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도광판(104C)은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104C')의 선단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도광판(104C)의 도광편(104C')에 대하여는, 이 도광편(104C')의 선단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도광판(104D)은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104D')의 선단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104D)의 도광편(104D')의 선단은, 예를 들면 양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형상이 되는 모양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광판(104A) 내지 도광판(104D)의 각 도광편은, 선단부분이 특수한 형상으로 가공됨으로써 디자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시인하는 각도에 의한 각의 강도분포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4A) 내지 도광판(104D)의 각 도광편은, 선단부분에서 광이 난반사함으로써 이 광이 각 주면에서 다중반사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104A) 내지 도광판(104D)의 각 도광편의 선단부분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비율이 감소하고, 각 주면에서의 광의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4A) 내지 도광판(104D)의 각 도광편의 선단부분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각각 조명장치(1)에 대하여 외측방향, 내측방향 및 내측방향에 경사지게 도출된다.
또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형상에 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도광판(104E)은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104E')의 선단에 각각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도 10에 나타내는 도광판(104F)은 도광편(104F')의 선단에 각각 소정 깊이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광판(104E) 및 도광판(104F)은, 도광판(104A) 내지 도광판(104D)과 마찬가지로, 각 도광편의 선단부분이 특수한 형상으로 가공됨으로써 디자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시인하는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분포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4E) 및 도광판(104F)은, 예를 들면 보링머신을 사용하여,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에 원기둥 형상 또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할 때, 이 오목부의 표면 정밀도를 거칠게 함으로써 이 오목부의 내주면에서 광을 확산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104E) 및 도광판(104F)에 있어서의 광의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형상에 관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도광판(104G)은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104G')의 선단이 각각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2에 나타내는 도광판(104H)은 도광편(104H')의 선단이 각각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광판(104G) 및 도광판(104H)은, 도광판(104A) 내지 도광판(104F)과 마찬가지로, 각 도광편의 선단부분이 특수한 형상으로 가공됨으로써 디자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시인하는 각도에 의한 각의 강도분포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4G) 및 도광판(104H)에는, 예를 들면 밀링머신을 사용하여, 엔드밀가공을 실시함으로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선단에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광판(104G) 및 도광판(104H)의 각 도광편의 선단부분에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직교하는 각의 부분이 제거되어 도광판의 내부에서 광이 다중반사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104G) 및 도광판(104H)에 있어서의 광의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4G) 및 도광판(104H)의 각 도광편의 선단부분은,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렌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선단부분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거의 평행하게 된다.
또한, 도광부(100)에 설치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형상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도광부(100)에 설치되는 도광판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각각 입사면에서 선단에 걸쳐 비틀어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에 대하여는, 단면이 사각형상의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단면이 원형상이나 타원형상 또는 다각기둥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도광판의 입사면에서 선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는 추(錐)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광판의 측면 및 선단의 일부 또는 전체의 표면정밀도를 거칠게 함으로써 도광판의 내부에서 측면 또는 선단으로 조사된 광을, 그 측면 및 선단에서 확산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도광부(10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형상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광부(10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응용 예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 (a)에, 도광판(105)의 단부를 인접하는 도광판(105)의 단부에 접속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삼각기둥 형상으로 조합시킨 3개의 도광판(105)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 (b)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삼각기둥 형상이 되도록, 예를 들면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된 도광판(105')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광판은, 도 13 (a) 및 도 1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삼각기둥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사각기둥이나 오각기둥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각기둥으로 하여도 좋다. 도 13 (c)에, 만곡된 도광판(106)의 단부를 인접하여 만곡된 도광판(106)의 단부에 접속함으로써 원통형상으로 조합시킨 3개의 만곡된 도광판(106)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 (d)에, 원통형상이 되도록, 예를 들면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한 도광판(106')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광판은, 도 13 (c) 및 도 13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광부(10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응용 예에 관하여, 도 13 (e)에, 도광판(107)을 조합시켜 +자 형상으로 형성한 4개의 도광판(107)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 (f)에, +자 형상이 되도록, 예를 들면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한 도광판(107')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광판은, 도 13 (e) 및 도 13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4개의 도광편을 돌출시켜 +자 형상으로 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중심으로부터 3개 또는 5개 등의 복수개의 도광편을 돌출시킨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3의 각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광판을, 예를 들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단면이 다각형상이나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 등이 되도록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도 좋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도광부(10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응용 예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시설의 환경이나 유저의 요구에 맞추어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에서는, 배광특성이나 디자인성이 다른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의 도광부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에서는,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을 복수개로 분기시킴으로써 도광판의 내부에서 광을 다중 반사시키는 측면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에서 외부로 직접 도출되어 버리는 광의 비율이 감소하고, 도광판의 측면에서 도출되는 광의 비율이 증가하므로,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다. 즉, 조명장치(1)에서 도출되는 광의 지향성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은, 시인자의 눈에 입사될 때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에서는,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부분의 형상을, 예를 들면 외측이나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곡면으로 하거나,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이나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이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의 출사방향을 소정각도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난반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것이므로 도광판의 내부에서 이 광을 다중반사시키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을 거의 집광광이나 발산광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를 사용하면, 조명장치(1)의 도광부에서 도출되는 광의 광 강도분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조명장치(1)에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수평에 이르는 방향까지 거의 균등한 광 강도분포의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을 예를 들면 하우징부로부터 이격하는 만큼 수평방향에 대하여 확장하도록 돌출시켜 설치하면, 조명장치(1)의 전방에 더하여 후방으로도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에서는,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예를 들면 2개의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교차시켜 조합함으로써,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주면에서 도출된 광을, 이 도광판에 인접한 다른 도광판에 차광되지 않고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은 투명으로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대향한 타 주면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인접한 다른 도광판의 일 주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1)의 원주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도광부를 보는 경우에도,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의 명암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예를 들면 +자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도광판이 겹쳐짐으로써, 예를 들면 1개의 도광판의 내부에서 다중반사된 광의 일부는, 이 하나의 도광판에 인접하여 겹친 다른 도광판에 입사된 후에, 이 다른 도광판의 내부에서 더욱 다중반사되어 도출된다. 즉, 도광판의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원의 광을, 확산광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도광판에서 도출된 광을 시인자가 시인할 경우에,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지 않고 명암의 차이가 적은 양호한 면광원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에서는,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를 사용하면, 단순히 실내 등을 조명하여 일정한 조도를 얻는 종래의 조명장치에 그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스토랑이나 결혼식 등에서 조명장치(1)를 시인하는 시인자에 대하여, 소정의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는,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를 구성하는 도광부(100)의 도광판(101) 및 도광판(102)에, 오목형상 또는 돌출형상의 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또한, 그 이외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형태의 예를 들면 조명장치(2)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와 동일한 사양으로 이루어지는 수전부(10), 전원부(20), 광원부(30) 및 하우징부(40)와,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적용된 특유의 도광부(110)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른 구성인 도광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2)를 구성하는 도광부(110)의 도광판은,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원부(30)의 광을 확산광으로 도출하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은, 도광부(110)의 도광판에 따른 복수의 출사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광부(110)에 관하여, 먼저 도광부(11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사양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에 도광부(11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광학특성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광부(110)에 설치된 도광판에 복수의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킬 경우의 도광판의 광학특성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광부(110)에 설치된 도광판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패턴에 대하여 도 2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도광부(110)의 외형 형상의 응용 예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광부(11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기본적인 사양에 대하여, 전술한 도광부(100)와 다른 사양에 대하여만,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광부(110)의 도광판(111)에는, 확산광을 도출하는 오목형상의 패턴, 볼록형상의 패턴 또는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111P)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광부(110)의 도광판(112)에도 확산광을 도출하는 오목형상의 패턴, 볼록형상의 패턴 또는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112P)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턴(111P) 및 패턴(112P)의 간격은, 각각 예를 들면 1㎜에서 6㎜이다.
다음에, 도광부(110)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기본적인 광학특성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의 각 도면 (a)에서는, 도광판의 주면에 패턴을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도 16에는, 도광판(111) 및 도광판(112)의 구성을 간략화한 도광판(113)과, 이 도광판(113)에 인접한 광원(31)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광판(113)의 입사면(113F)으로 입사된 광원(31)의 광의 일부는, 예를 들면 4개로 분기된 도광편(113A) 내지 도광편(113D) 사이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절결부(113L) 내지 절결부(113N)에 의해 각각 넓은 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결부(113L) 내지 절결부(113N)에서 넓은 각으로 반사된 광의 일부는, 도광편(113A) 내지 도광편(113D)에 각각 형성된 일 주면(113V)과 타 주면(113Q) 사이를 다중 반사하므로, 일 주면(113V)에 복수개 형성된 패턴(113W)과 타 주면(113Q)에 복수개 형성된 패턴(113R)에 의해 효율 좋게 확산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113)의 절결부(113M)의 깊이를, 좌우에 인접하여 형성된 절결부(113L) 및 절결부(113N)의 깊이보다도 깊게 형성하면, 절결부(113M)에서 넓은 각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편(113A) 및 도광편(113D)에 도달하기 쉽다.
또한, 도광부(11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광학특성에 관하여, 도광판(113)의 입사면(113F)으로 입사된 광원(31)의 광 일부는, 절결부(113L) 내지 절결부(113N)를 통하는 것은 아니고, 도광편(113A) 내지 도광편(113D)에 각각 형성된 패턴(113W) 및 패턴(113R)에 의해 확산광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종래의 도광판과 같이 단순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의 경우, 도광판의 입사면으로 입사하여 직진한 광의 대부분은, 확산광으로 변환하지 않고 직진하여 선단으로 방출된다. 그러나 본원발명에 따른 도광판(113)과 같이, 예를 들면 4개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광판(113)의 입사면(113F)으로 입사된 광은, 절결부(113L) 내지 절결부(113N)를 통해, 도광편(113A) 내지 도광편(113D)에 각각 형성된 일 주면(113V)과 타 주면(113Q) 사이에서 다중 반사된다. 또한, 도광판(113)에 입사된 광은, 도광판(113)의 각 면 사이에서 전방위로 반사함으로써 예를 들면 선단(113G)에 비스듬한 입사로 조사된 후, 그 선단(113G)으로 방출되지 않고 입사면(113F)측에 반사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도광판(113)에서는, 이 도광판(113)의 입사면(113F)에 입사된 광이 확산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직진하여 선단(113G)으로 방출되는 비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광부(110)에 설치된 도광판의 기본적인 광학특성에 관하여, 도광판(113)에 형성된 패턴(113W) 및 패턴(113R)의 밀도가 충분하게 높으면, 이 패턴(113W) 및 패턴(113R)에서 발생한 복수의 확산광은 거의 균일한 면광원으로서, 도광판(113)의 일 주면(113V) 및 타 주면(113Q)으로 도출된다. 또한, 일 주면(113V)의 패턴(113W)에서 발생한 확산광의 일부와, 타 주면(113Q)의 패턴(113R)에서 발생한 확산광의 대부분은, 시인자의 눈(E)에서 시인된다. 이 때문에 도 16 (b)에 나타내는 일 주면(113V)에 복수개 형성된 패턴(113W)과 타 주면(113Q)에 복수개 형성된 패턴(113R)이 대면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113)보다도, 도 17 (b)에 나타내는 일 주면(114V)에 복수개 형성된 패턴(114W)과 타 주면(114Q)에 복수개 형성된 패턴(114R)이 반피치 어긋나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114) 쪽이, 시인자의 눈(E)으로 시인되는 확산광이 발생하는 패턴의 수가 증가하므로, 도광판(114)에서의 광의 명암 차이가 작아지게 된다. 또한, 광원(31)의 광의 강도가 도광판의 입사면 쪽보다 선단쪽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도 1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턴의 깊이를 도광판(115)의 입사면(115F)에서 선단(115G)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깊게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확산광의 강도를 올려, 복수개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의 강도를 평균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턴의 피치를 도광판(115)의 입사면(115F)에서 선단(115G)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조밀하게 형성함으로써 확산광의 강도를 평균화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광부(110)에 설치된 도광판에 복수의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킨 경우의 도광판의 광학특성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9에 나타내는 도광판(116)은,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도광판(112)의 입사면(111F)에 광원(31)을 설치하고, 도광판(112)의 도광편(112B)와 도광편(112C) 사이에도 광원(31)을 설치한 상태에 상당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116C) 내지 도광판(116F)의 일 주면에 형성된 패턴(116A) 및 타 주면에 형성된 패턴(116B)은, 각각 피치(P1)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 (a) 내지 도 19 (d) 의 도면에 나타내는 도광판(116C) 내지 도광판(116F)에서는, 도광판(116)의 각 패턴에 대하여 도 19의 수평방향(X)에서 입사광(L1)이 조사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광판(116C) 내지 도광판(116F)의 각 패턴에 대하여 도 19의 수직방향(Y)에서 입사광(L2)이 조사되고 있다. 이하,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과 같이 패턴(116A)과 패턴(116B)이 대면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도 19 (b) 내지 (d)에 나타낸 도광판(116D) 내지 도광판(116F)과 같은 패턴(116A)에 대하여 패턴(116B)이 소정의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는 3개의 조건에서의 광학특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광판에 복수의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킨 경우의 광학특성에 관하여, 도 19 (b)에 나타낸 도광판(116D)과 같이, 패턴(116A)에 대하여 패턴(116B)이 X방향으로 반피치(P2)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광판(116D)의 일 주면측에서 시인할 수 있는 도광판(116)의 X방향에 형성된 패턴은,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과 비교하여 2배이다. 그러므로, 도 19 (b)에 나타낸 도광판(116D)은,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과 비교하여, 도광판(116D)의 일 주면측에서 시인 가능한 패턴에 의한 휘점(輝點)이, 도광판(116D)의 X방향에서 2배가 되므로, 도광판(116D)의 X방향에서 광의 명암 차이는 작아지게 된다. 또한 도 19 (c)에 나타낸 도광판(116E)과 같이, 패턴(116A)에 대하여 패턴(116B)이 Y방향으로 반피치(P2)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광판(116E)의 일 주면측에서 시인할 수 있는 도광판(116E)의 Y방향에 형성된 패턴은,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과 비교하여 2배이다. 그러므로, 도 19 (c)에 나타낸 도광판(116E)은,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과 비교하여, 도광판(116E)의 일 주면측에서 시인 가능한 패턴에 의한 휘점이, 도광판(116E)의 Y방향에서 2배가 되므로, 도광판(116E)의 Y방향에서 광의 명암 차이는 작아지게 된다.
또한, 도광판에 복수의 입사면에서 광을 입사시킨 경우의 광학특성에 관하여, 도 19 (d)에 나타낸 도광판(116F)과 같이, 패턴(116A)에 대하여 패턴(116B)이 X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 반피치(P2)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광판(116F)의 일 주면측에서 시인할 수 있는 도광판(116F)의 X방향 및 Y방향에 각각 형성된 패턴은,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의 패턴과 비교하여 각각 2배이다. 그러므로, 도 19 (d)에 나타낸 도광판(116F)은,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과 비교하여, 도광판(116F)의 일 주면측에서 시인 가능한 패턴에 의한 휘점이, 도광판(116F)의 X방향 및 Y방향에서 각각 2배가 되므로, 도광판(116F)의 X방향 및 Y방향에서 광의 명암 차이는 매우 작아지게 된다. 도 19 (a) 내지 도 19 (d)에 나타낸 도광판(116C) 내지 도광판(116F)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판(116)의 패턴(116A)에 대한 패턴(116B)의 위치를 X, Y방향으로 편심하여 형성함으로써, 도광판(116)의 광학특성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도 19 (d)에 나타낸 도광판(116F)에 있어서는, 도 19 (a)에 나타낸 도광판(116C)과 비교하여 X, Y방향 모두 광의 명암 차이가 각각 작아지게 되므로, 양호한 광학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도광부(110)에 형성되는 도광판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패턴에 대하여, 도 2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도광판(117)에 형성된 사각추로 이루어지는 오목형상의 패턴(117A)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광판(117)에 있어서, 사각추로 이루어지는 오목형상의 패턴(117A)이, 최하부(117A')에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면을 가짐으로써, 일 주면(117C) 및 타 주면(117D)에서 확산광을 효율 좋게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사면(117F)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는, 예를 들면 일 주면(117C) 측에 형성된 패턴(117A)의 최하부(117A')에 조사되고, 입사면(117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타 주면(117D) 측으로 반사된다. 마찬가지로 입사면(117F)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는, 예를 들면 타 주면(117D) 측에 형성된 패턴(117A)의 최하부(117A')에 조사되고, 입사면(117F)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일 주면(117C)측으로 반사된다. 따라서, 입사면(117F)에서 입사된 광을 보다 효율 좋게 확산광으로 변환하여 일 주면(117C) 및 타 주면(117D)에서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에 형성된 오목형상 패턴의 상세에 관하여, 사각추로 이루어지는 오목형상의 패턴(117A)이 최하부(117A')에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면을 가짐으로써 일 주면(117C) 및 타 주면(117D)에서 확산광을 효율 좋게 직접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만일 오목형상의 패턴(117A)이 순수한 사각추 형상인 경우, 이 사각추의 최하부(117A')의 근방에서 발생한 확산광은, 그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일면(117M)에서 대향하는 타면(117N)까지의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최하부(117A')의 근방에서의 다중반사에 의해 확산광이 크게 감쇠하여, 일 주면(117C) 또는 타 주면(117D)에서 직접 도출되지 않는다. 한편, 오목형상의 패턴(117A)이 사각추의 최하부(117A')에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면을 가지는 경우, 이 사각추의 최하부(117A')의 근방에서 발생한 확산광은, 최하부(117A')의 근방에 있어서의 일면(117M)에서 대향하는 타면(117N)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으므로, 다중반사되기 전에 일 주면(117C) 또는 타 주면(117D)에서 직접 도출된다. 따라서 입사면(117F)에서 입사된 광을 보다 효율 좋게 주면에서 도출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광부(110)의 외형 형상의 응용 예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조명장치(3)의 도광부(120)는,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형성된 도광판(121) 및 도광판(122)을 조합시켜 설치하고, 복수개로 분기된 도광편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조명장치(3)의 도광부(120)에 관한 사양은, 전술한 도광부(110)의 사양과 동일하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조명장치(4)의 도광부(130)는, +자 형상의 4개로 분기된 도광편이 각각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도광판(131) 및 도광판(132)을 조합시켜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광판(131)은, 이 도광판(131)의 선단(131G)이, 도광편(131A) 및 도광편(131B)의 2개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31)은, 도광편(131A) 및 도광편(131B)의 선단(131G)이, 조명장치(4)의 주변에서 중심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31)에 삽입되어 조합되는 도광판(132)은, 도광판(131)과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도광부(110)의 외형 형상의 응용 예에 대하여, 도 23에 나타내는 조명장치(5)의 도광부(14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선단이 각각 원호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도광판(141) 및 도광판(142)을 조합시켜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광판(141)은, 이 도광판(141)의 선단(141G)이, 도광편(141A) 및 도광편(141B)의 2개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41)은, 도광편(141A) 및 도광편(141B)의 선단(141G)이, 조명장치(5)의 주변에서 중심을 향하여 각각 높아지도록 만곡하여 있는 것으로,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41)에 삽입되어 조합되는 도광판(142)은, 선단(142G)이, 조명장치(5)의 주변에서 중심을 향하여 만곡하여 있는 것으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조명장치(6)의 도광부(150)는, 전술한 도 21에 나타낸 조명장치(3)의 도광부(120)와 외형 형상은 동일하다. 한편, 도광부(150)의 도광판(151) 및 도광판(152)에는, 선단(151G) 및 선단(152G)이나, 측면(151U) 및 측면(152U)에도, 오목형상의 패턴, 볼록형상의 패턴, 또는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도광부(120) 내지 도광부(140)의 외형 형상에 대하여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110)의 외형 형상의 응용 예에 관하여, 도광부(110) 내지 도광부(140)에 대하여, 각 도광부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1m 이격시킨 위치와, 이 1m 이격시킨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30㎝, 50㎝ 및 100㎝ 떨어뜨린 위치의 모두 4 장소에서, 조도[1x] 측정결과의 일 예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광원의 조건은 각 도광부에 있어서 동일하다.
Figure pct00001
이상,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시설의 환경이나 유저의 요구에 맞추어 결정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광의 배광특성이나 디자인성이 다른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의 도광부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을 복수개로 분기시킴으로써 도광판의 내부에서 광을 다중 반사시키는 측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에서 외부로 직접 도출되어 버리는 광의 비율이 감소하고, 도광판의 측면에서 도출되는 광의 비율이 증가하므로,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다. 즉, 각 조명장치에서 도출되는 광의 지향성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은, 시인자의 눈에 입사될 때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부분의 형상을, 예를 들면 외측이나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곡면으로 하거나,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이나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이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의 출사방향을 소정각도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난반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것이므로 도광판의 내부에서 이 광을 다중반사시키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을 거의 집광광이나 발산광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각 조명장치의 도광부에서 도출되는 광의 광 강도분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 조명장치에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수평에 이르는 방향까지 거의 균등한 광 강도분포의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을 예를 들면 하우징부로부터 이격하는 만큼 수평방향에 대하여 확장하도록 돌출시켜 설치하면, 각 조명장치의 전방에 더하여 후방으로도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예를 들면 2개의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교차시켜 조합함으로써,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주면에서 도출된 광을, 이 도광판에 인접한 다른 도광판에 차광되지 않고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은 투명으로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대향한 타 주면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인접한 다른 도광판의 일 주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각 조명장치의 원주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도광부를 보는 경우에도,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의 명암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예를 들면 +자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도광판이 겹쳐짐으로써, 예를 들면 1개의 도광판의 내부에서 다중반사된 광의 일부는, 이 하나의 도광판에 인접하여 겹친 다른 도광판에 입사된 후에, 이 다른 도광판의 내부에서 더욱 다중반사되어 도출된다. 즉, 도광판의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원의 광을, 확산광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도광판에서 도출된 광을 시인자가 시인할 경우에,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지 않고 명암의 차이가 적은 양호한 면광원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단순히 실내 등을 조명하여 일정한 조도를 얻는 종래의 조명장치에 그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스토랑이나 결혼식 등에서 각 조명장치를 시인하는 시인자에 대하여, 소정의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와 달리,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에,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원부(30)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하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는, 도광판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하여 도출된 광에 더하여, 도광판에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는, 도광판의 주면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시켜 형성한 것으로, 도광판의 각 패턴에서 발생한 복수의 확산광에 의해, 도광판의 주면을 거의 균일한 면광원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주면에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은, 시인자의 눈에 어둡게 느껴지지 않고, 시인자에 보다 자연에 가까운 우수한 광으로서 시인된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에서 입사한 상기 광원부의 광을 분기된 출사면에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도광부는, 상기 출사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의 구성은,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에서 입사한 상기 광원부의 광을 분기된 출사면에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도광부는, 상기 출사면에 상기 광원부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시키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출사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면을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면을 형성한 도광부(160)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이외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은,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는,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와 동일한 사양으로 이루어지는 수전부(10), 전원부(20), 광원부(30) 및 하우징부(40)와,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에 적용된 특유의 도광부(160)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는 다른 구성인 도광부(1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는,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의 도광부(100)를 도광부(160)로 치환하는 구성, 또는 제2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의 각 도광부를 도광부(160)로 치환하는 구성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를, 제2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의 각 도광부를 도광부(160)로 치환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를 구성하는 도광부(160)는, 도광판(161)의 선단(161G)에서 돌출한 도광판(162)의 부분에 표시면(162S)을 형성하고, 이 표시면(162S)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밀집시킴으로써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광부(160)는, 도광판(161) 및 도광판(1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광부(16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광판(161)은, 선단(161G) 및 선단(161G')의 사양을 제외하고,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2)를 구성하는 도광부(110)의 도광판(111)과 동일한 사양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광판(161)의 선단(161G) 및 선단(161G')은, 대향한 2개의 경사면에 의해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또한, 도광부(160)에 관하여, 도광판(162)은, 선단(162G) 및 선단(162G')의 사양과, 도광편(162A)과 도광편(162D)의 사이에 표시부(162S)를 형성한 도광편(162E)을 가지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2)를 구성하는 도광부(110)의 도광판(112)과 동일한 사양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광판(162)의 선단(162G)은 서로 다른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에 의해 복수의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광판(162)의 선단(162G')은, 대향한 2개의 경사면에 의해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또한, 도광편(162E)은, 도광판(112)의 도광편(112B)과 도광편(112C) 사이가 분기되어 있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상당한다. 이러한 도광편(162E)은, 도광판(162)과 조합된 도광판(161)의 선단(161G)에서 돌출한 부분에 표시부(162S)를 형성하고, 이 표시부(162S)에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소정의 정보가 나타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소정의 정보는, 예를 들면 캐릭터, 도형, 상호, 문자 또는 기호로 이루어지고, 그들을 조합시킨 것으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나타낸 표시부(162S)에는, 예를 들면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밀집시킴으로써 알파벳의 대문자로 「A」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표시부(162S)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상,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7)에 의하면,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시설의 환경이나 유저의 요구에 맞추어 결정할 수 있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에서는, 광의 배광특성이나 디자인성이 다른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의 도광부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을 복수개로 분기시킴으로써 도광판의 내부에서 광을 다중 반사시키는 측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에서 외부로 직접 도출되어 버리는 광의 비율이 감소하고, 도광판의 측면에서 도출되는 광의 비율이 증가하므로,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다. 즉, 조명장치(7)에서 도출되는 광의 지향성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은, 시인자의 눈에 입사될 때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부분의 형상을, 예를 들면 외측이나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곡면으로 하거나,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이나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이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의 출사방향을 소정각도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난반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것이므로 도광판의 내부에서 이 광을 다중반사시키기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을 거의 집광광이나 발산광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를 사용하면, 조명장치(7)의 도광부에서 도출되는 광의 광 강도분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조명장치(7)에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수평에 이르는 방향까지 거의 균등한 광 강도분포의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을 예를 들면 하우징부로부터 이격하는 만큼 수평방향에 대하여 확장하도록 돌출시켜 설치하면, 조명장치(7)의 전방에 더하여 후방으로도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예를 들면 2개의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교차시켜 조합함으로써,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주면에서 도출된 광을, 이 도광판에 인접한 다른 도광판에 차광되지 않고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은 투명으로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대향한 타 주면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인접한 다른 도광판의 일 주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7)의 원주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도광부를 보는 경우에도,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의 명암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예를 들면 +자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도광판이 겹쳐짐으로써, 예를 들면 1개의 도광판의 내부에서 다중반사된 광의 일부는, 이 하나의 도광판에 인접하여 겹친 다른 도광판에 입사된 후에, 이 다른 도광판의 내부에서 더욱 다중반사되어 도출된다. 즉, 도광판의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원의 광을, 확산광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도광판에서 도출된 광을 시인자가 시인할 경우에,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지 않고 명암의 차이가 적은 양호한 면광원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를 사용하면, 단순히 실내 등을 조명하여 일정한 조도를 얻는 종래의 조명장치에 그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스토랑이나 결혼식 등에서 각 조명장치를 시인하는 시인자에 대하여, 소정의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와 달리,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에,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원부(30)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하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는, 도광판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하여 도출된 광에 더하여, 도광판에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는 도광판의 주면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시켜 형성한 것으로, 도광판의 각 패턴에서 발생한 복수의 확산광에 의해, 도광판의 주면을 거의 균일한 면광원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주면에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은 시인자의 눈에 어둡게 느껴지지 않고, 시인자에 보다 자연에 가까운 우수한 광으로서 시인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달리, 도광판의 선단에서 돌출한 다른 도광판의 부분에 표시면(162S)을 형성하고, 이 표시면(162S)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소정의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는, 예를 들면 조명장치(7)를 사용하고 있는 시설의 명칭 등을 표시면(162S)에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성을 높임과 동시에, 시각효과에 의해 시설의 명칭 등을 쉽게 유저의 기억에 남길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대하여,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에서 입사한 상기 광원부의 광을 분기된 출사면에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도광부를 배치한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부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의 구성을,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에서 입사한 상기 광원부의 광을 분기된 출사면에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도광부는, 상기 출사면에 상기 광원부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시키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도광부를 배치한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부를 설치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의 구성을,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에서 입사한 상기 광원부의 광을 분기된 출사면에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도광부는, 상기 출사면에 상기 광원부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시키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출사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으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면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도광부를 배치한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부를 설치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는, 도광부(170) 및 이 도광부(170)에 설치된 도광판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하우징부(50)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이외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은,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는,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와 동일한 사양으로 이루어지는 수전부(10), 전원부(20) 및 광원부(30)와,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적용된 특유의 도광부(170) 및 이 도광부(170)에 설치된 도광판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하우징부(50)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는 다른 구성인 도광부(170) 및 하우징부(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는,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 제2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 또는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7)에 따른 각 도광부 및 각 하우징부 중 어느 하나를, 도광부(170) 및 하우징부(50)로 치환하는 구성으로 한다.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도광부(170)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17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광판(171)은, 도 27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부(基材部)(171A) 및 8개의 도광편(171B) 내지 도광편(171I)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171)은, 예를 들면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부(171A)의 일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각각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광편(171B) 내지 도광편(171I)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일체로 성형 또는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71)의 도광편(171B) 내지 도광편(171I) 중의 일면 이상에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6 내지 도 30에서는, 도광판(171)의 도광편(171B) 내지 도광편(171I)에 대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의 도시를 각각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171)의 도광편(171E)의 일 주면(171V)의 일부나 도광편(171D)의 선단(171S)에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별 형태의 도형을 나타내도록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밀집시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광편(171D)의 선단(171S)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밀집시켜 나타낸 별 형태의 도형 위에, 도시하지 않은 반원형의 수지를 렌즈로서 접합함으로써 이 별 형태의 도형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벽면 등에 투영시켜도 좋다.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부(50)는, 각도조정부(51), 지지부(52), 연결부(53), 보호부(54) 및 고정부재(55)로 구성된다. 이하, 하우징부(5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부(50)의 각도조정부(51)에 관하여, 예를 들면 원반형상으로 형성된 얹어놓는부재(51B)에, 광원(31)을 배치한 기판(32)을 얹어놓고 있다. 또한, 얹어놓는부재(51B)에 연결하여 예를 들면 구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운동부재(51C)는, 지지부(52)의 수납부재(52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부고정부재(51D)는, 예를 들면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도광판(171)의 도광편(171B) 내지 도광편(171I)을 통과시키는 +자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고정부재(51D)와 얹어놓는부재(51B) 사이에, 도광판(171)의 기재부(171A) 및 기판(32)이 수납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고정부재(51D)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재(51A)의 내주면의 일단이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50)의 지지부(52)는, 예를 들면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52A)의 상부에, 각도조정부(51)의 회전운동부재(51C)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을 형성한 수납부재(52B)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수납부재(52B)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걸어맞춤하도록 예를 들면 원반형상으로 형성된 조정부재(52C)의 내주에 형성된 홈을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조정부재(52C)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납부재(52B)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조정부재(52C)의 내주에 형성된 홈이 힘을 가한 상태에서 걸어맞춤하여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부(50)에 관하여, 연결부(53)는, 이 연결부(53)의 일단이 지지부(52)의 지지부재(52A)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53)는, 외주에 나사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3)는, 예를 들면 수전부(1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구멍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부(50)의 보호부(54)는, 각도조정부(51) 및 지지부(52)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부재(54)는, 보호부재(54)의 외주면(54A)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나사구멍(54B)에 예를 들면 냄비머리나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고정부재(55)를 통과시켜, 이 고정부재(55)의 선단을 각도조정부(51)의 보호부재(51A)의 외주면에 힘을 가함으로써, 각도조정부(51)를 소정 각도로 고정한다.
이상,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시설의 환경이나 유저의 요구에 맞추어 결정할 수 있다. 즉,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광의 배광특성이나 디자인성이 다른 스폿형이나 전구형 등의 도광부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을 복수개로 분기시킴으로써 도광판의 내부에서 광을 다중 반사시키는 측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에서 외부로 직접 도출되어 버리는 광의 비율이 감소하고, 도광판의 측면에서 도출되는 광의 비율이 증가하므로,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다. 즉, 조명장치에서 도출되는 광의 지향성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은, 시인자의 눈에 입사될 때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선단부분의 형상을, 예를 들면 외측이나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곡면으로 하거나,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이나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이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의 출사방향을 소정각도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난반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것이므로 도광판의 내부에서 이 광을 다중반사시키기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을 거의 집광광이나 발산광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조명장치의 도광부에서 도출되는 광의 광 강도분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조명장치에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수평에 이르는 방향까지 거의 균등한 광 강도분포의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을 예를 들면 하우징부로부터 이격하는 만큼 수평방향에 대하여 확장하도록 돌출시켜 설치하면, 조명장치의 전방에 더하여 후방으로도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예를 들면 2개의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교차시켜 조합함으로써, +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주면에서 도출된 광을, 이 도광판에 인접한 다른 도광판에 차광되지 않고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은 투명으로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대향한 타 주면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인접한 다른 도광판의 일 주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의 원주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도광부를 보는 경우에도,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의 명암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예를 들면 +자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도광판이 겹쳐짐으로써, 예를 들면 1개의 도광판의 내부에서 다중반사된 광의 일부는, 이 하나의 도광판에 인접하여 겹친 다른 도광판에 입사된 후에, 이 다른 도광판의 내부에서 더욱 다중반사되어 도출된다. 즉, 도광판의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원의 광을, 확산광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도광판에서 도출된 광을 시인자가 시인할 경우에,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지 않고 명암의 차이가 적은 양호한 면광원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갖출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단순히 실내 등을 조명하여 일정한 조도를 얻는 종래의 조명장치에 그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스토랑이나 결혼식 등에서 조명장치를 시인하는 시인자에 대하여, 소정의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제2 및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에,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원부(30)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하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는, 도광판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하여 도출된 광에 더하여, 도광판에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는, 도광판의 주면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시켜 형성한 것으로, 도광판의 각 패턴에서 발생한 복수의 확산광에 의해, 도광판의 주면을 거의 균일한 면광원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주면에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은, 시인자의 눈에 어둡게 느껴지지 않고, 시인자에 보다 자연에 가까운 우수한 광으로서 시인된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7)와 마찬가지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주면이나 선단의 일부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밀집시킴으로써 소정의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는, 디자인성을 높임과 동시에, 공지하고 싶은 소정의 정보를 유저의 기억에 쉽게 남길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각 조명장치와 달리, 조명장치에 배치한 도광부의 도광판을, 임의의 각도로 가변하여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는, 이 조명장치의 수전부(10)의 꼭지쇠(11)를 나사식으로 삽입하는 실내시설에 설치된 소켓의 각도에 의하지 않고, 도광판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는, 예를 들면 실내시설의 측벽의 상부에 소켓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실내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각각 배치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31 내지 도 35 등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에 배치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는, 예를 들면 성형가공 및 절단가공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각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형가공에서는, 성형할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반영시킨 형상을 금형의 내부에 형성하고, 예를 들면 사출성형기에 장착한 금형에 대하여 가열하여 연화시킨 수지를 주입한 다음, 이 수지를 냉각시킴으로써 외형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절삭가공에서는, 예를 들면 밀링머신을 이용하여 엔드밀 가공에 의해 도광판용의 기재를 절삭하여,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는, 예를 들면 초음파가공, 가열가공, 절삭가공, 레이저가공, 성형가공 및 실크 인쇄가공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각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음파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맞닿아 접촉시킨 초음파가공용 혼의 초음파 진동을 사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이 표면에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가열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맞닿아 접촉시킨 가공도구의 열을 사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이 표면에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절삭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맞닿아 접촉시키면서 회전 또는 힘을 가한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절삭함으로써, 이 표면에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레이저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집광시킨 레이저광의 열을 사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이 표면에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성형가공에서는, 성형할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반영시킨 형상을 금형의 내부에 형성하여, 예를 들면 사출성형기에 장착한 금형에 대하여 가열하여 연화시킨 수지를 주입한 다음, 이 수지를 냉각시킴으로써 도광판의 표면에 오목형상의 패턴, 볼록형상의 패턴, 또는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실크 인쇄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구멍이 개구된 판을 맞닿게 접촉시키고, 구멍을 통해 경화성 수지를 표면에 부착시켜, 이 표면을 부분적으로 수지로 피복시킴으로써, 이 표면에 볼록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성형가공 또는 실크 인쇄가공을 사용하는 수지에, 예를 들면 확산광을 발하는 미립자상의 확산부재를 첨가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초음파가공, 가열가공, 절삭가공, 또는 레이저가공을 행하는 도광판의 기재인 수지에, 예를 들면 확산광을 발하는 미립자상의 확산부재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술한 초음파가공, 가열가공, 절삭가공, 레이저가공, 성형가공 및 실크 인쇄가공을 조합하여 도광판을 형성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성형가공에 의해 도광판의 외형 형상만을 형성한 후에, 예를 들면 초음파가공에 의해 도광판의 표면에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성형가공에 의해 도광판의 외형 형상만을 형성한 후에, 예를 들면 실크 인쇄가공에 의해 도광판의 표면에 볼록형상의 패턴을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특히 초음파가공에 의한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초음파가공에 사용하는 초음파 가공장치와, 이 초음파 가공장치에 의한 초음파가공방법에 대하여,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구성기기를 탑재하여 수용하는 상자체부(1010), 도광판에 형성하기 전의 기재(基材)인 도광판 기재(D)를 예를 들면 진공흡인하여 고정하는 가공받침부(1020), 도광판 기재(D)에 대하여 후술하는 초음파가공부(104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1030), 도광판 기재(D)의 주면에 초음파가공용 혼(1042)의 돌기를 맞닿게 하여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상기 주면을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초음파가공부(1040) 및 도광판 기재(D)의 가공조건에 의거하여 초음파가공부(1040)에 의한 초음파가공을 제어하는 제어부(1050)로 구성된다. 이하,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상자체부(1010), 가공받침부(1020), 이동기구부(1030), 초음파가공부(1040) 및 제어부(1050)의 각 구성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에 나타내는 삼차원 직교좌표 또는 이차원 직교좌표를 수시로 사용한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상자체부(1010)는,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구성기기를 탑재하여 수용한다. 이러한 상자체부(1010)는, 상단판(1011), 지주(1012), 하단판(1013) 및 다리(1014)로 구성된다. 이하, 상자체부(10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자체부(1010)의 상단판(1011) 및 하단판(1013)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지고,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하단판(1013)에는, 이동기구부(1030)의 콘트롤러(1034), 초음파가공부(1040)의 초음파발진기(1043) 및 제어부(1050)의 제어장치(1054) 등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부(1010)의 지주(101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지고, 봉형상으로 중공의 각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상자체부(1010)의 지주(1012)에는 제어부(1050)의 지지부재(105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부(1010)의 다리(1014)는, 예를 들면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가공받침부(1020)는,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에 형성하기 전의 기재인 도광판 기재(D)를 예를 들면 진공흡인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가공받침부(1020)는, 가공받침(1021), 진공펌프(1022), 흡인배관(1023), 분배기(1024) 및 커넥터(1025)로 구성된다. 이하, 가공받침부(10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공받침부(1020)의 가공받침(102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흡인구멍(1021A)을 가지는 판상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공받침(1021)은, 상자체부(1010)의 상단판(101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배관(1023)의 일단이 진공펌프(1022)에 접속되고, 흡입배관(1023)의 타단이 분배기(1024)를 통해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받침(1021)에 복수개 형성된 흡인구멍(1021A)에 커넥터(1025)를 사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 기재(D)를 가공받침(1021)의 흡인구멍(1021A)에 진공흡착시키는 것으로, 도광판 기재(D)가 가공중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도광판 기재(D)의 뒤집힘이나 휨 등을 보정 한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이동기구부(1030)는,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받침부(1020)에 고정된 도광판 기재(D)에 대하여 초음파가공부(104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기구부(1030)는, 예를 들면 제어부(1050)의 조작반(1052)에서 입력된 도광판 기재(D)에 관한 초음파가공 정보에 의거하여 초음파가공부(1040)를 도 31에 나타내는 X축, Y축 및 Z축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기구부(1030)는, X축레일부재(1031), 보조X축레일부재(1031'), Y축레일부재(1032), Z축레일부재(1033) 및 콘트롤러(1034)로 구성된다. 또한, 콘트롤러(1034)는, 후술하는 제어부(1050)의 조작반(1052)에서 입력된 도광판 기재(D)의 가공정보에 의거하여, 각 레일부재를 이용하여 초음파가공부(1040)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장치이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초음파가공부(1040)는,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 기재(D)의 주면에 초음파가공용 혼(1042)의 돌기를 맞닿게 접촉시켜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상기 주면을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초음파가공부(1040)는, 지지부재(1041), 초음파가공용 혼(1042) 및 초음파발진기(1043)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가공부(1040)의 초음파가공용 혼(1042)은, Z축레일부재(1033)의 가동테이블(1033A)에 접속된 플레이트(1033B)에 배치된 지지부재(1041)에 접속되고, 초음파발진기(1043)로 공급된 구동신호에 의거하여 도광판 기재(D)의 표면에 맞닿게 접촉하여 초음파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선단부(1042B)와, 도시하지 않은 피에조(Piezo) 압전소자 및 콘부재를 구비한 진동자(1042A)로 이루어진다. 도 3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Z축레일부재(1033)의 플레이트(1033B)에는 지지블럭(1033C)을 개재하여 스토퍼부재(1033D)가 설치되고, 초음파가공부(1040)를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초음파가공부(1040)가 도면의 아래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초음파가공용 혼(1042)의 선단부(1042B)가 도광판 기재(D)의 표면에 접촉하면, 도 3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가공부(1040)가 정지하고, 지지블럭(1033C)과 스토퍼부재(1033D)가 이격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초음파가공용 혼(1042)이 상승한다.
또한,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초음파가공부(1040)에 관하여,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내는 초음파가공용 혼(1044)은, 도 33 등에 나타낸 초음파가공용 혼(1042)과 비교하여, 도광판 기재(D)의 주면을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인 가공도트(1045)가, 보다 많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공도트(1045)가, 초음파가공용 혼(1044)의 선단부의 110㎜×60㎜의 범위에 있어서, 2㎜피치로 54×29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공도트(1045)의 형상은, 45도의 경사면을 가진 사각추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초음파가 인가된 가공도트(1045)를 도광판 기재(D)의 표면에 맞닿게 접촉시키면, 도광판 기재(D)가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열되어 용융되고, 도광판 기재(D)의 표면에 가공도트(1045)의 형상을 반영한 사각추로 이루어지는 오목형상의 패턴이 형성된다. 이러한 초음파가공용 혼(1044)을 사용하면, 도광판의 주면의 크기가, 110㎜×60㎜ 이하이면, 초음파가공을 1회 실시하는 것만으로 도광판의 주면에 오목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도광판의 가공에 따른 택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초음파가고용 혼(1044)의 선단부의 크기나, 가공도트(1045)의 피치 및 형상은, 상기의 사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특히 본원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각 조명장치에 있어서, 도광부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주면의 크기는 예를 들면 110㎜×60㎜이고, 이러한 110㎜×60㎜의 영역에 대하여, 오목형상의 패턴을 2㎜에서 2.5㎜ 피치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하면, 복수의 오목형상의 패턴에 의해 발생한 각 확산광이, 시인자에게는 소정의 모양과 같이 시인되는 것이므로, 각 조명장치의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를 구성하는 제어부(1050)는,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 기재(D)의 가공조건에 의거하여 초음파가공부(1040)에 의한 초음파가공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050)는, 지지부재(1051), 조작반(1052), 표시패널(1053) 및 제어장치(1054)로 구성된다. 이하, 제어부(10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050)의 지지부재(1051)는, 상자체부(1010)에 복수개 설치된 지주(1012)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조작반(1052) 및 표시패널(1053)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50)의 조작반(1052)은, 유저가 도광판 기재(D)의 가공조건 등을 제어장치(1054)에 입력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050)의 표시패널(1053)은, 조작반(1052)에서 입력된 도광판 기재(D)의 가공조건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050)의 제어장치(1054)는, 초음파 가공장치(1000) 전체를 소정의 제어에 의거하여 구동하기 위한 제어기판이나 제어조건을 기록하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본원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과 주요한 작용효과에 대하여 각 청구항별로 설명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10)와, 수전부(10)와 접속되고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20)와, 전원부(20)와 접속되고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30)와, 광원부(30)를 수납하는 하우징부(40)와, 하우징부(40)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으로 입사한 광원부(30)의 광을 분기시킨 출사면으로 도출시키는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에 설치된 도광판의 선단의 출사면에서 외부로 직접 도출되어 버리는 광의 비율이 감소하고, 도광판의 측면에서 도출되는 광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다. 즉, 조명장치(1)에서 도출되는 광의 지향성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은, 시인자의 눈에 입사할 때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에서는, 예를 들면 +자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도광판이 겹쳐짐으로써, 예를 들면 1개의 도광판의 내부에서 다중반사된 광의 일부는, 이 하나의 도광판에 인접하여 겹친 다른 도광판에 입사된 후에, 이 다른 도광판의 내부에서 더욱 다중반사되어 도출된다. 즉, 도광판의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원의 광을, 확산광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도광판에서 도출된 광을 시인자가 시인할 경우에, 이 시인자가 어둡게 느끼지 않고 명암의 차이가 적은 양호한 면광원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는, 도광부(110) 내지 도광부(150)의 출사면에, 광원부(30)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시키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도광부(110) 내지 도광부(150)에 출사면을 1면 이상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에 의하면, 도광부(110) 내지 도광부(150)에 형성된 도광판의 주면에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시켜 형성한 것으로, 도광판의 각 패턴에서 발생한 복수의 확산광에 의해, 도광판의 주면을 거의 균일한 면광원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주면에 형성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은, 시인자의 눈에 어둡게 느껴지지 않고, 시인자에 보다 자연에 가까운 우수한 광으로서 시인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도광부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이, 하우징(40)의 중심에서 +자 형상으로 방사하여 형성된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도광판(107)의 단면형상, 마찬가지로 하우징(40)의 중심에서 3갈래 형상으로 방사하여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도광판의 단면형상과 같이, 입사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각각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한 출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에 연직방향에서 볼 때,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된 출사면을 8면 이상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청구항 4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의 주면에서 도출된 광을, 이 도광판에 인접한 다른 도광판에 차광되지 않고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은 투명으로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대향한 타 주면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인접한 다른 도광판의 일 주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1)의 원주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도광부를 보는 경우에도,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의 명암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도광부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이, 각각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도광판(105) 및 도광판(105')에 상당하는 다각형상,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도광판(106) 및 도광판(106')에 상당하는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추(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도광부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도광부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이,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크게 또는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가 각각 특수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광부의 내부에서 다중반사가 발생하기 쉽고, 디자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시인하는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분포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가, 출사면이 분기된 도광편을 복수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도광편이, 입사면으로부터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도광편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도광편이,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 또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도광편이,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입사면에서 연장한 도광편이,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추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4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에 설치된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의 출사방향을 소정각도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난반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것이므로 도광판의 내부에서 이 광을 다중반사시키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광판의 선단에서 도출되는 광을 거의 집광광이나 발산광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1)를 사용하면, 조명장치(1)의 도광부에서 도출되는 광의 광 강도분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조명장치(1)에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수평에 이르는 방향까지 거의 균등한 광 강도분포의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을 예를 들면 하우징부로부터 이격하는 만큼 수평방향에 대하여 확장하도록 돌출시켜 설치하면, 조명장치(1)의 전방에 더하여 후방으로도 광을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도광편이,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의 선단이 분기된 절결부분 또는 돌출부분에, 다른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의 입사면을 삽입하여 조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15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복수의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를 임의로 조합시켜, 필요로 하는 입체형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에 설치된 예를 들면 2개의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교차시켜 조합하는 것에 의해 +자 형상의 형상으로 하면, 도광판의 주면에서 도출된 광을, 이 도광판에 인접한 다른 도광판에 차광되지 않고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에 설치된 도광판은 투명으로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대향한 타 주면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도광판의 일 주면 너머로 인접한 다른 도광판의 일 주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1)의 원주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도광부를 보는 경우에도, 도광판에서 도출되는 광의 명암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오목형상의 패턴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대향하는 출사면에 대하여 대면 비동일 또는 대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청구항 16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오목형상의 패턴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을 대향하는 출사면에 대하여 대면 비동일로 형성함으로써, 시인자의 눈으로 시인되는 확산광이 발생하는 패턴의 수가 증가하므로, 도광판에서 광의 명암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오목형상의 패턴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대향하는 출사면에 대하여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청구항 17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에 의하면, 광원(31)의 광의 강도가 도광판의 입사면 쪽보다 선단쪽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오목형상의 패턴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의 깊이를 도광판의 입사면에서 선단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깊게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확산광의 강도를 올려, 복수개의 패턴에서 발생한 확산광의 강도를 평균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8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오목형상의 패턴이, 초음파가공, 가열가공, 절삭가공, 레이저가공 및 성형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9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볼록형상의 패턴이, 성형가공 및 실크 인쇄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청구항 18 및 청구항 19에 기재된 조명장치(2) 내지 조명장치(6)에 의하면, 오목형상의 패턴 및 볼록형상의 패턴을, 도광판에 정밀도 좋게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0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가, 실리콘 코팅제가 도포되거나, 초자코팅제가 도포되거나 또는 투명수지가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청구항 20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를 방수, 오염방지 및 방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1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광원부(30)가, 하우징(4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2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21에 기재된 광원부(30)가, 3갈래 또는 +자 형상이 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21 및 청구항 22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의 입사면의 형상에 맞추어, 최적의 광학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3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하우징부(40)가, 광원부(30)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23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광원부(30)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 좋게 방열시킴으로써 광원부(30)가 열 포화에 의해 광의 광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4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하우징부(40)가 도광부와 끼워맞춤하여 고정되는 유지부를 설치하고, 유지부가 광원부(30)를 덮는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 측에 광을 반사하는 불투명한 반사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5에 기재된 조명장치(1)는, 청구항 24에 기재된 유지부가 하우징을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고정부재에서 유지부를 고정한 후에 고정구멍이 반사제가 함유된 접착제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24 및 청구항 25에 기재된 조명장치(1)에 의하면,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에서 방사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도광부(100) 내지 도광부(170)를 하우징부(40)에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1, 2, 3, 4, 5, 6, 7 : 조명장치
10 : 수전부 11 : 꼭지쇠
12 : 절연케이스 12A : 일단
12B : 타단 12C : 걸어맞춤부
12D : 내부공간 12E : 나사구멍
13 : 절연케이스커버 13A : 접합부
13B : 나사구멍 13C : 배선구멍
20 : 전원부 21 : 전원유니트
30 : 광원부 31 : 광원
32 : 기판 32A : 나사구멍
32B : 배선구멍 40 : 하우징부
41 : 하우징 41A : 일면
41B : 구멍 41C : 배선구멍
41D : 나사구멍 41E, 41E', 41E' : 외주면
41F : 걸어맞춤홈 42 : 외주커버
42A : 접합부 43 : 유지부재
43A : 홈부 43B : 돌기부
43C : 측벽 43D : 구멍
44 : 고정부재 45 : 고정부재
50 : 하우징부 51 : 각도조정부
51A : 보호부재 51B : 얹어놓는부재
51C : 회전운동부재 51D : 상부고정부재
52 : 지지부 52A : 지지부재
52B : 수납부재 52C : 조정부재
53 : 연결부 54 : 보호부
54A : 외주면 54B : 나사구멍
55 : 고정부재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 도광부
101, 102, 103, 104A, 104B, 104C, 104D, 104E, 104F, 104G, 104H, 105, 105' 106, 106', 107, 107', 111, 112, 113, 114, 115, 116C, 116D, 116E, 116F, 117, 121, 122,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 도광판
101A, 101B, 101C, 101D, 102A, 102B, 102C, 102D, 103A, 103B, 103C, 103D, 104A', 104B', 104C', 104D', 104E', 104F', 104G', 104H', 111A, 111B, 111C, 111D, 112A, 112B, 112C, 112D, 113A, 113B, 113C, 113D, 114A, 114B, 114C, 114D, 115A, 115B, 115C, 115D, 121A, 121B, 121C, 121D, 122A, 122B, 122C, 122D, 131A, 131B, 132A, 132B, 141A, 141B, 151A, 151B, 151C, 151D, 152A, 152B, 152C, 152D, 162A, 162D, 162E, 171B, 171C, 171D, 171E, 171F, 171G, 171H, 171I : 도광편
101F, 102F, 103F, 111F, 112F, 113F, 114F, 115F, 117F : 입사면
101G, 101G', 102G, 102G', 103G, 103G', 111G, 111G', 112G, 112G', 113G, 113G', 114G, 114G', 115G, 115G', 121G, 122G, 131G, 132G, 141G, 142G, 151G, 152G, 161G, 161G', 162G, 162G', 171S : 선단
101H, 102H, 111H, 112H : 걸어맞춤부
102J, 112J : 접합부
101L, 101M, 101N, 102L, 102M, 102N, 103L, 103M, 103N, 111L, 111M, 111N, 112L, 112M, 112N, 113L, 113M, 113N, 114L, 114M, 114N, 115L, 115M, 115N : 절결부
103V, 113V, 114V, 115V, 117C, 171V : 일 주면
103Q, 113Q, 114Q, 115Q, 117D : 타 주면
113W, 113R, 114W, 114R, 115W, 115R, 111P, 112P, 116A, 116B, 117A : 패턴
117A' : 최하부 117M : 일면
117N : 타면 151U, 152U : 측면
162S : 표시부 171A : 기재부
1000 : 초음파 가공장치 1010 : 상자체부
1011 : 상단판 1012 : 지주
1013 : 하단판 1014 : 다리
1020 : 가공받침부 1021 : 가공받침
1021A : 흡인구멍 1022 : 진공펌프
1023 : 흡인배관 1024 : 분배기
1025 : 커넥터 1030 : 이동기구부
1031 : X축레일부재 1031' : 보조X축레일부재
1032 : Y축레일부재 1033 : Z축레일부재
1033A : 가동테이블 1033B : 플레이트
1033C : 지지블럭 1033D : 스토퍼부재
1034 : 콘트롤러 1040 : 초음파가공부
1041 : 지지부재 1042, 1044 : 초음파가공용 혼 1042A : 진동자 1042B : 선단부
1043 : 초음파발진기 1044 : 가공도트
1050 : 제어부 1051 : 지지부재
1052 : 조작반 1053 : 표시패널
1054 : 제어장치 E : 눈
P1 : 피치 P2 : 반피치
L1, L2 : 입사광 D : 도광판 기재

Claims (25)

  1.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와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소정의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입사면으로 입사한 광원부의 광을 분기시킨 출사면으로 도출시키는 도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상기 출사면은, 상기 광원부의 광을 확산광으로서 도출시키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출사면을 1면 이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한 상기 출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연직방향에서 본 형상을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출사면을 8면 이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은, 각각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상기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추(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상기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은, 상기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크게 또는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출사면이 분기된 도광편을 복수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편은, 상기 입사면으로부터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편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편은, 소정 깊이의 원기둥형상 또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편은, 사각의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에서 연장한 상기 도광편은,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추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편은, 도광부의 상기 선단이 분기된 절결부분 또는 돌출부분에, 다른 도광부의 상기 입사면을 삽입하여 조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의 패턴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은, 대향하는 상기 출사면에 대하여 대면 비동일 또는 대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의 패턴 또는 볼록형상의 패턴은, 대향하는 상기 출사면에 대하여 상기 입사면에서 멀어질수록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의 패턴은, 초음파가공, 가열가공, 절삭가공, 레이저가공 및 성형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상의 패턴은, 성형가공 및 실크 인쇄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실리콘 코팅제가 도포되거나, 초자코팅제가 도포되거나 또는 투명수지가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3갈래 또는 +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도광부와 끼워맞춤하여 고정되는 유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광원부를 덮는 상기 도광부 측에 광을 반사하는 불투명한 반사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유지부를 고정한 후에, 상기 고정구멍이 반사제를 함유한 접착제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17009719A 2010-05-26 2010-05-26 조명장치 KR101367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3537 WO2011148420A1 (ja) 2010-05-26 2010-05-26 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840A true KR20120047840A (ko) 2012-05-14
KR101367873B1 KR101367873B1 (ko) 2014-02-27

Family

ID=4500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719A KR101367873B1 (ko) 2010-05-26 2010-05-26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30044497A1 (ko)
EP (1) EP2578920A4 (ko)
JP (1) JP5558354B2 (ko)
KR (1) KR101367873B1 (ko)
CN (1) CN102405373B (ko)
HK (1) HK1165532A1 (ko)
MY (1) MY175576A (ko)
SG (1) SG184799A1 (ko)
TW (1) TWI418743B (ko)
WO (1) WO2011148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504A1 (ja) * 2010-12-15 2012-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8573823B2 (en) * 2011-08-08 2013-11-05 Quarkstar Llc Solid-state luminaire
JP5676410B2 (ja) * 2011-10-11 2015-02-25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Led電球
JP5396498B2 (ja) 2012-03-02 2014-01-22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発光装置
TWI470170B (zh) * 2012-05-22 2015-01-21 Coretronic Corp 照明裝置
US10422944B2 (en) * 2013-01-30 2019-09-24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Multi-stage optical waveguide for a luminaire
CN103148380A (zh) * 2013-02-05 2013-06-12 天津圣明科技有限公司 一种led灯泡
CN104516047A (zh) * 2013-09-30 2015-04-15 大億交通工业制造股份有限公司 自由发光图案的导光结构
US20150098217A1 (en) * 2013-10-04 2015-04-09 Deran Stinson Eaton Color Blending System and Method
TWM481324U (zh) * 2014-01-29 2014-07-01 Hsu Hsiu Yu Led裝飾燈具
JP6391330B2 (ja) * 2014-07-07 2018-09-19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導光部材、導光部材の作製方法及び導光部材成形用金型
CN104456427B (zh) * 2014-12-11 2018-03-02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元件及照明装置
KR101793322B1 (ko) 2015-03-25 2017-11-02 김헌철 광 실린더의 광 입사부 및 출사부에 프레넬 렌즈부를 가지는 벌브 타입의 조명 장치
US9977170B2 (en) * 2015-03-25 2018-05-22 Heon Cheol Kim Light cylinder and light device using the same
CN204853043U (zh) * 2015-08-06 2015-12-09 邓锦洪 带有导光柱的led灯及该导光柱
WO2017027215A1 (en) * 2015-08-07 2017-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guide assemblies
JP6544186B2 (ja) * 2015-10-07 2019-07-17 オムロン株式会社 光デバイス及び光システム
US10338305B1 (en) * 2015-11-06 2019-07-0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Luminaire with integrated lightguide
US20170370528A1 (en) * 2016-01-13 2017-12-28 Aleddra Inc. Omnidirectional Lighting Device
CN105782891B (zh) * 2016-03-21 2018-10-23 深圳市顺发光电子有限公司 带遥控的能够声图互动的球形气氛灯
CN105736981B (zh) * 2016-04-08 2019-02-22 漳州立达信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导光体和led灯泡
JP6828538B2 (ja) * 2017-03-22 2021-02-10 豊田合成株式会社 光源を有する装置
EP3561367B1 (en) * 2018-04-23 2020-12-02 Xiamen Eco Lighting Co., Ltd. Light apparatus with enlightened pattern
US10677400B2 (en) * 2018-05-07 2020-06-09 Ledvance Llc Edgelit light emitting diode retrofit lamp
EP3627039A1 (en) * 2018-09-20 2020-03-25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A segmented light gui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1306509B (zh) * 2018-12-12 2022-04-01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光学透镜以及光源模块
US10780819B2 (en) * 2018-12-19 2020-09-22 Ficosa North America Corporation Vehicle winglet with sequential blinker
KR102159785B1 (ko) * 2019-08-13 2020-09-24 주식회사 센트로 연승 어장용 피싱 라이트
GB2608383B (en) * 2021-06-29 2023-12-20 Edwards Ltd Vacuum pump cooler for cooling a pumped fluid in a multistage vacuum pump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4008A (ja) * 1990-03-02 1991-11-1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けい光ランプ装置
US6712481B2 (en) * 1995-06-27 2004-03-30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US6010747A (en) * 1996-12-02 2000-01-04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making optical structures for diffusing light
US6139176A (en) * 1998-07-02 2000-10-31 Federal-Mogul World Wide, Inc. Optical waveguide structure with raised or embedded waveguides
US6814470B2 (en) * 2000-05-08 2004-11-09 Farlight Llc Highly efficient LED lamp
JP2002297072A (ja) * 2001-03-30 2002-10-09 Okaya Electric Ind Co Ltd 光点式表示器
JP2003016805A (ja) * 2001-06-28 2003-01-17 Koichi Imai ライト及びライトの製造方法
JP4648338B2 (ja) * 2002-07-16 2011-03-09 ライツ・アドバンス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192911A (ja) * 2002-12-10 2004-07-08 Arakawa:Kk 光源保持体及び面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JP3099041U (ja) * 2003-07-03 2004-03-25 株式会社昭電 家具用照明器具
JP2005268600A (ja) * 2004-03-19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DE102004063574A1 (de) * 2004-12-30 2006-07-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euchtvorrichtung mit mehreren Halbleiterlichtquellen
TWM272939U (en) * 2005-04-12 2005-08-11 Keeper Technology Co Ltd Illuminator with light-guiding structure
JP4403121B2 (ja) * 2005-09-12 2010-01-20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US7588359B2 (en) * 2005-09-26 2009-09-15 Osram Sylvania Inc. LED lamp with direct optical coupling in axial arrangement
KR100812207B1 (ko) * 2005-12-05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JP2007194132A (ja) * 2006-01-20 2007-08-02 Fujifilm Holdings Corp 照明装置
JP4989170B2 (ja) * 2006-09-20 2012-08-01 オスラム・メルコ株式会社 コンパクト形ledランプ
TWM312773U (en) * 2006-10-05 2007-05-21 Chih-Pang Chou Led lamp
JP5243439B2 (ja) * 2006-10-06 2013-07-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自動立体3dディスプレイ装置用の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lcdデバイス用の走査式バックライト
JP2008103273A (ja) * 2006-10-20 2008-05-01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WO2008072577A1 (ja) * 2006-12-11 2008-06-19 Alps Electric Co., Ltd. 照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光機能付き入力装置
TWM316359U (en) * 2007-01-29 2007-08-01 Heng-Ji Bai Wobble-sensing lamp
JP2008251444A (ja) * 2007-03-30 2008-10-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電球および照明器具
GB2449262B (en) * 2007-05-14 2011-08-24 Visteon Global Tech Inc Illumination system
JP2009026708A (ja) * 2007-07-23 2009-02-05 Hitachi Lighting Ltd 光源装置
JP2009080966A (ja) * 2007-09-25 2009-04-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JP2009277479A (ja) * 2008-05-14 2009-11-2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led光源および車両用灯具
WO2009150574A1 (en) * 2008-06-10 2009-12-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amp unit and luminaire
TWM348908U (en) * 2008-06-13 2009-01-11 Shou-Ren Zhang Illuminator
JP3148997U (ja) * 2008-12-24 2009-03-05 佑浩股▲分▼有限公司 電球構造
CN201368364Y (zh) * 2009-03-04 2009-12-23 深圳市洲明科技有限公司 Led面光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873B1 (ko) 2014-02-27
WO2011148420A1 (ja) 2011-12-01
EP2578920A1 (en) 2013-04-10
JPWO2011148420A1 (ja) 2013-07-22
EP2578920A4 (en) 2014-10-29
TW201142209A (en) 2011-12-01
HK1165532A1 (en) 2012-10-05
MY175576A (en) 2020-07-01
SG184799A1 (en) 2012-11-29
TWI418743B (zh) 2013-12-11
JP5558354B2 (ja) 2014-07-23
US20130044497A1 (en) 2013-02-21
CN102405373A (zh) 2012-04-04
CN102405373B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873B1 (ko) 조명장치
TWI356888B (en) Illumination system
JP4627572B1 (ja) 照明装置
KR101265118B1 (ko) 조명장치
JP2008515138A (ja) 照明システム
JP6550923B2 (ja) 表示装置
JP2006141808A (ja) 遊技機における表示装置
CN109557716A (zh) 面光源装置以及显示装置
JP2022034073A (ja) インターコネクタブルライトガイドタイル
JP5667427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5113228B2 (ja) 照明装置
JP5308562B2 (ja) 照明装置
JP5308557B2 (ja) 照明装置
JP4913912B2 (ja) 照明装置
JP5650340B2 (ja) 照明装置
JPWO2013141020A1 (ja) 導光板、照明装置及び照明スタンド
JP2011175954A (ja) 照明装置
JP2005245539A (ja) 照明装置、この照明装置を用いたスリットランプ、およびこの照明装置を用いた顕微鏡
JP5368230B2 (ja) 照明装置
JP6060689B2 (ja) 電飾役物
TWI352223B (en) Optical coupling device and backlight module using
JP6521371B2 (ja) 照明装置および容器ホルダ
JP4815023B1 (ja) 照明装置
JP2009139717A (ja) 表示装置
WO2013150908A1 (ja) 導光デバイス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