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082A -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082A
KR20120046082A KR20110112075A KR20110112075A KR20120046082A KR 20120046082 A KR20120046082 A KR 20120046082A KR 20110112075 A KR20110112075 A KR 20110112075A KR 20110112075 A KR20110112075 A KR 20110112075A KR 20120046082 A KR20120046082 A KR 2012004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vehicle
combination
regular
smart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가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2004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2Circuits for receivers in which no local oscillation is generated
    • H04B1/24Circuits for receivers in which no local oscillation is generated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외측에서 검출되고 이러한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다. 그 다음에, 다른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것으로 판정될 때, 다른 정규 휴대기가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로 지정된다. 또한,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라는 동작 개시 지시에 따라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를 제외한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어떠한 정규 휴대기도 차실의 내측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금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복수개의 휴대기를 조합(照合)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그 개시 내용이 참조로 여기에 합체되어 있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45347호(출원일: 2010년 11월 1일)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96109호(출원일: 2011년 9월 8일)를 기초로 하고 있다.
휴대기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 도어 로킹 제어, 도어 언로킹 제어 및 엔진 시동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키리스 장치는 예컨대 US2009/0289759A에 대응하는 JP2008-14019A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차량 키리스 장치에서, 복수개의 정규 휴대기(proper portable unit)를 조합하고 복수개의 휴대기 중 임의의 휴대기가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게 하고 엔진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키리스 장치에서, 정규 휴대기들 중 하나가 차실의 내측에 남겨져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다른 정규 휴대기로 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정규 휴대기에 의해 로킹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무단 사용자(unauthorized person)가 창유리를 파괴하고 차실로 진입하면, 상기 조합은 차실에 남겨져 있는 정규 휴대기로 이루어질 수 있어, 엔진이 시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이 도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규 휴대기들 중 하나가 차실의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위치되지 않은 것을 판정한 후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 또는 차실의 외측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 및/또는 휴대기가 검출되지 않은 지의 여부 등의 각각의 정규 휴대기의 위치 또는 상태를 검출하도록 차량 및 조합 영역의 각각의 위치 내에 제공되는 안테나를 연속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복수개의 정규 휴대기의 조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모든 정규 휴대기의 위치가 검출된 후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되는 구조에서, 도어를 로킹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고, 그에 따라 응답성이 저하된다. 또한, 응답성은 정규 휴대기의 개수의 증가에 따라 더욱 저하된다.
본 발명은 위의 사항의 관점에서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로킹할 때의 향상된 응답성 그리고 향상된 보안성을 갖는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정규 휴대기, 도어 로킹 제어 요소, 이용 불가 휴대기 지정 요소 및 동작 개시 금지 요소를 포함한다. 도어 로킹 제어 요소는, 도어 로킹 제어를 개시하라는 도어 로킹 제어 개시 지시에 따라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외측에 있는 지의 여부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외측에 있고 차실의 내측에는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한다. 이용 불가 휴대기 지정 요소는, 도어 로킹 제어가 도어 로킹 제어 요소에 의해 수행된 후 다른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차실의 내측에서 검출된 다른 정규 휴대기를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로 지정한다. 동작 개시 금지 요소는, 차량의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라는 동작 개시 지시에 따라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를 제외한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차실의 내측에는 어떠한 정규 휴대기도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금지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어 로킹 제어 개시 지시에 따라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외측에 있는 지의 여부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외측에 있고 차실의 내측에는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다.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 후, 다른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른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것으로 판정될 때, 다른 정규 휴대기가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로 지정된다. 또한,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라는 동작 개시 지시에 따라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를 제외한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어떠한 정규 휴대기도 차실의 내측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금지된다.
따라서, 도어를 로킹할 때의 응답성이 개선되고, 또한 안전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동일한 부품을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조합 영역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스마트 엔트리 ECU로부터 출력되는 요청 신호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엔트리 ECU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엔트리 ECU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엔트리 ECU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엔트리 ECU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 운전석 안테나(11a), 승객석 안테나(11b), 트렁크 안테나(11c), 튜너(12) 및 스피커(13)를 포함한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운전석 도어 스위치(3a), 승객석 도어 스위치(3b), 도어 ECU(4) 및 엔진 ECU(5)에 연결된다.
이후에서, 운전석 안테나(11a), 승객석 안테나(11b), 운전석 도어 스위치(3a) 및 승객석 도어 스위치(3b)는 각각 D-측 안테나(11a), P-측 안테나(11b), D-측 도어 스위치(3a) 및 P-측 도어 스위치(3b)로도 불린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에서, "D-측" 및 "P-측"은 각각 "운전석측" 및 "승객석측"을 의미한다.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차량 내에 장착된다.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전자 키로서의 휴대기(2)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어 로킹 제어, 도어 언로킹 제어, 엔진 시동 제어 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휴대기(2)의 조합은 차량의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 안테나(11a, 11b, 11c)로부터 전파를 전송함으로써 그리고 전파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휴대기(2)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응답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저장 섹션(10a), 제어 섹션(10b), 통신 제어 섹션(10c) 및 LF 안테나 출력 섹션(10d)을 포함한다.
저장 섹션(10a)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공된다. 예컨대, 저장 섹션(10a)은 RAM, ROM 및 EEPRPM을 포함한다.
제어 섹션(10b)은 CPU, I/O부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제공된다. CPU는 저장 섹션(10a)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통신 제어 섹션(10c)은 차량 LAN으로서의 CAN을 통해 연결된 도어 ECU(4), 엔진 ECU(5) 등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LF 안테나 출력 섹션(10d)은 제어 섹션(10b)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LF 밴드 신호를 발생시키고, 안테나(11a, 11b, 11c)가 LF 밴드 신호에 따라 전파를 발생시키도록 안테나(11a, 11b, 11c)로 LF 밴드 신호를 보낸다.
D-측 안테나(11a)는 운전석측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에 위치되는 필러의 내측에 배치된다. P-측 안테나(11b)는 승객석측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에 위치된 필러의 내측에 배치된다. 트렁크 안테나(11c)는 트렁크의 내측에 배치된다. 안테나(11a, 11b, 11c)는 스마트 엔트리 ECU(10)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따라 전파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이다.
튜너(12)는 휴대기(2)로부터 전송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안테나(11a) 및 P-측 안테나(11b)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전파의 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차실의 외측에 위치된 휴대기(2)를 조합하는 차실-외측 조합 그리고 차실의 내측에 위치된 휴대기(2)를 조합하는 차실-내측 조합을 별개로 수행한다.
도 2는 D-측 안테나(11a)를 통한 차실-외측 조합을 위한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DOUT), D-측 안테나(11a)를 통한 차실-내측 조합을 위한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DIN), P-측 안테나(11b)를 통한 차실-외측 조합을 위한 P-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POUT), P-측 안테나(11b)를 통한 차실-내측 조합을 위한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PIN), 그리고 트렁크 안테나(11c)를 통한 트렁크-내측 조합을 위한 트렁크-내측 조합 영역 등의 조합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예에서,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고 P-측 차실-내측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휴대기(2)는 운전석측의 차실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휴대기(2)가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그리고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휴대기(2)는 차실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기(2)의 위치가 조합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휴대기(2)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예컨대 100 밀리초(ms)마다 주기적으로 조합 영역을 변경한다.
휴대기(2)에는 고유 키 식별(ID) 코드가 할당된다.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될 때, 복수개의 휴대기(2)의 ID 코드가 휴대기(2)를 정규 또는 인증 휴대기로서 식별하도록 스마트 엔트리 ECU(10)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컨대, 2개의 휴대기(2)의 ID 코드가 스마트 엔트리 ECU(10)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또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예컨대, 메인 키)로서 2개의 휴대기(2) 중 하나를 그리고 서브 휴대기(예컨대, 서브 키)로서 2개의 휴대기(2) 중 다른 하나를 기억한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메인 휴대기 및 서브 휴대기를 스위칭한다. 즉,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메인 휴대기를 서브 휴대기로 그리고 서브 휴대기를 메인 휴대기로 변경한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에 기억된 정규 휴대기(2)의 ID 코드를 나타내는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스마트 엔트리 ECU(10)로부터 출력된 요청 신호의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의 메인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그리고 서브 휴대기의 서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이벤트 조합과, 메인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만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신되는 메인 휴대기 한정 조합과, 서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만이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신되는 서브 휴대기 한정 조합을 구별하여 수행한다.
도 4는 운전석 옆의 도어 내에 배치되는 D-측 도어 스위치(3a)가 동작될 때 스마트 엔트리 ECU(1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운전자가 하차하고 D-측 도어 스위치(31a)가 동작될 때, D-측 도어 스위치(3a)에 대한 동작에 따른 신호가 D-측 도어 스위치(3a)로부터 스마트 엔트리 ECU(10)로 입력된다. D-측 도어 스위치(3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스마트 엔트리 ECU(10)가 도 4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한다.
S10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트렁크-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이벤트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타겟 조합 영역으로서 트렁크-내측 영역을 설정할 것을 트렁크 안테나(11c)에 지시하고, 메인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그리고 서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트렁크 안테나(11c)를 통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 다음에,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튜너(12)가 요청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지의 여부 그리고 응답 신호가 정규 휴대기(2)의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트렁크-내측 조합 영역에서의 휴대기(2)의 조합을 수행한다.
S10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100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메인 휴대기(2)가 트렁크-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0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100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서브 휴대기(2)가 트렁크-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인 휴대기(2)가 트렁크의 내측에 위치될 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이러한 메인 휴대기(2)로부터 전송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가 트렁크 내에서 검출되는 것으로 판정하고, 이것은 S102에서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0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사용자에게 메인 휴대기(2)가 트렁크 내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예컨대, 부저음이 경고를 위해 스피커(13)로부터 발생된다. 그 후,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서브 휴대기(2)가 트렁크의 내측에 위치될 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이러한 서브 휴대기(2)로부터 전송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서브 휴대기(2)가 트렁크 내에서 검출되는 것으로 판정하고, 이것은 S104에서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0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사용자에게 서브 휴대기(2)가 트렁크 내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그 후,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메인 휴대기(2) 및 서브 휴대기(2) 양쪽 모두가 트렁크 내에 위치되지 않을 때, S102의 판정 결과 및 S104의 판정 결과는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0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 대한 이벤트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타겟 조합 영역으로서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을 설정할 것을 D-측 안테나(11a)에 지시하고, 메인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그리고 서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D-측 안테나(11a)를 통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 다음에,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튜너(12)가 요청 신호에 따라 휴대기(2)로부터 발생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지의 여부 그리고 요청 신호가 정규 휴대기(2)의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 대한 이벤트 조합을 수행한다.
S11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108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1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108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인 휴대기(2) 및 서브 휴대기(2) 양쪽 모두가 검출되지 않을 때, S110의 판정 결과는 "아니오"로 나타나고, S112의 판정 결과는 "아니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고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S110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하고, S112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서브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타겟 조합 영역으로서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을 설정할 것을 P-측 안테나(11b)에 지시하고, 서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송되도록 P-측 안테나(11b)를 통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다음에, S11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S116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17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차량의 도어를 로킹하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를 로킹할 것을 도어 ECU(4)에 지시하는 정보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도어가 로킹된다.
다음에, S11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 및 서브 휴대기(2)를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가 서브 휴대기(2)로서 메인 휴대기(2)를 기억하고 메인 휴대기(2)로서 서브 휴대기(2)를 기억하게 한다. 그 다음에,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고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영역에서 검출될 때,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되고, 서브 휴대기(2)가 메인 휴대기(2)로 스위칭된다.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어 S116에서 "예"에 해당할 때, S12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가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서브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서 설정되고, 도 3c에 도시된 서브 키 ID 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이후, S12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S112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2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사용자에게 휴대기(2)가 차실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예컨대,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스피커(13)가 부저음을 발생시키게 하고, 그 다음에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고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 및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 양쪽 모두 내에서 검출될 때, 경고가 수행된다.
S122에서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S122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40)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S110에서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영역에서 검출될 때, S110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2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메인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b에 도시된 메인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S12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인 휴대기(2)가 P-측 차실 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S128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30에서,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다.
S13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서브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c에 도시된 서브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S13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 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S134에서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S134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3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서브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c에 도시된 서브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S13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38에서 서브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S14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가 엔진 시동 제어 및 도어 언로킹 제어를 위한 조합에서 이용할 수 없는 이용 불가 휴대기로 서브 휴대기(2)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에 서브 휴대기(2)가 이용 불가 휴대기인 것을 기억시킨 뒤, 처리를 종료한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엔진 시동 제어를 위한 조합에서 조합 타겟으로부터 메모리에 기억된 이용 불가 휴대기(2)를 제외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 언로킹 제어가 수행된 후 조합 타겟으로부터 제외된 이용 불가 휴대기(2)를 조합 타겟, 즉 이용 가능한 휴대기(2)로 회복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키로서의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도어를 로킹할 때의 응답성을 개선시키도록, 서브 휴대기(2)를 검출하는 S132 및 S136의 조합이 수행되기 전에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서브 휴대기(2)가 차실에 남겨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무단 사용자가 차창을 파괴하고 승차하면, 차실에 남겨져 있는 휴대기로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엔진이 시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이 도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브 휴대기(2)는 엔진 시동 제어 및 도어 언로킹 제어를 위한 조합에서 사용되지 않는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다. 이와 같이, 엔진이 차실에 남겨져 있는 서브 휴대기(2)에 의해 시동되기 어렵다.
S110에서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S126에서 메인 휴대기 한정 조합이 수행된다. 또한, S128에서 메인 휴대기(2)가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S142에서 서브 휴대기 한정 조합이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 대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c에 도시된 서브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S14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S144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4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메인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b에 도시된 메인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S14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S148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5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경고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휴대기(2)가 차실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스피커(13)로부터 부저음이 발생된다. 그 다음에, 스마트 엔트리 EUC(10)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 및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고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될 때, 메인 휴대기(2)가 차실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경고가 수행된다.
S148에서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148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S144에서 서브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144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5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서브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c에 도시된 서브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다음에, S15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서브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서브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154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5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어를 로킹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도어 ECU(4)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로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 및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고, 서브 휴대기(2)가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 검출되고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는 검출되지 않을 때, 메인 휴대기(2)를 검출하는 S162의 조합이 수행되기 전에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다.
다음에, S15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 및 서브 휴대기(2)를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가 메인 휴대기(2)로서 서브 휴대기(2)를 기억하고 서브 휴대기(2)로서 메인 휴대기(2)를 기억하게 한다.
S16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 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메인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c에 도시된 서브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S16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62에서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162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16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엔진 시동 제어 및 도어 언로킹 제어를 위한 조합에 사용되지 않은 이용 불가 휴대기로 메인 휴대기(2)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가 조합에 이용 불가한 휴대기라는 것을 메모리가 기억하게 하고, 그 다음에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휴대기(2)가 엔진 시동 제어를 위한 조합의 조합 타겟으로부터 제외되므로, 엔진이 차실에 남겨져 있는 메인 휴대기(2)에 의해 시동되기 어렵다.
S162에서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162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S154에서 서브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154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6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메인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b에 도시된 메인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S168에서,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S168에서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168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7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사용자에게 휴대기(2)가 차실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경고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휴대기(2)가 차실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스피커(13)로부터 부저음이 발생되고, 그 다음에 처리가 종료된다.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168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7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메인 휴대기 한정 조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이 타겟 조합 영역으로 설정되고, 도 3b에 도시된 메인 키 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전송된다.
다음에, S17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74에서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174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17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사용자에게 휴대기(2)가 차실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경고를 수행한다.
메인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174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엔진 시동 제어를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 6에 도시된 처리를 주기적으로 실행한다.
우선, S20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엔진을 시동하라는 엔진 시동 요청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운전자의 시동 스위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엔진을 시동하라는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판정을 수행한다.
엔진 시동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가 시동 스위치로부터 발생되지 않을 때, S200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시동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가 운전자의 시동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발생될 때, S200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20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서의 휴대기(2)의 조합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합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 정규 휴대기(2)를 조합 타겟으로부터 제외한다. 예컨대, 메인 휴대기(2)가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되는 경우, 조합 타겟으로부터 메인 휴대기(2)를 제외한 상태에서 조합이 수행된다.
다음에, S20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202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04에서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204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204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20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조합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합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 정규 휴대기(2)를 조합 타겟으로부터 제외한다.
다음에, S20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206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08에서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208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S208에서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208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21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엔진 시동 제어를 수행할 것을 엔진 ECU(5)에 지시하고, 그 다음에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ECU(5)는 스마트 엔트리 ECU(10)로부터의 이러한 지시에 따라 엔진을 시동한다.
도 7은 도어 로킹 제어를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 7에 도시된 처리를 주기적으로 실행한다.
S30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도어 스위치(3a)가 동작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도어 스위치(3a)의 사용자(예컨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D-측 도어 스위치(3a)로부터 발생되는 D-측 도어 스위치(3a)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D-측 도어 스위치(3a)의 동작을 판정한다.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D-측 도어 스위치(3a)로부터 발생되지 않을 때, S300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D-측 도어 스위치(3a)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D-측 도어 스위치(3a)로부터 입력될 때, S300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S30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D-측 차실-외측 조합 영역에서의 휴대기(2)의 조합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합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 정규 휴대기(2)를 조합 타겟으로부터 제외한다. 예컨대, 메인 휴대기(2)가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되는 경우, 조합 타겟으로부터 메인 휴대기(2)를 제외한 상태에서 조합이 수행된다.
다음에, S304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302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304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304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306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P-측 차실-내측 조합 영역에 대한 휴대기(2)의 조합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합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 정규 휴대기(2)를 조합 타겟으로부터 제외한다.
다음에, S308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S306의 조합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규 휴대기(2)가 검출되지 않을 때, S308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처리를 종료한다. 휴대기(2)가 검출될 때, S308의 판정 결과가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S310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언로킹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도어를 언로킹할 것을 엔진 ECU(4)에 지시한다.
이와 같이, 도어 ECU(4)는 스마트 엔트리 ECU(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도어를 언로킹한다.
다음에, S312에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 정규 휴대기(2)를 조합 타겟으로 즉 이용 가능한 상태로 회복시킨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ECU(10)는 정규 휴대기(2)가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 것으로 S140에서 기억된 정보를 메모리가 삭제하게 하고, 그 다음에 처리를 종료한다.
위에서-설명된 구성에서, 차실의 외부에서 정규 휴대기(2)를 조합하는 차실-외부 조합 및 차실의 내부에서 정규 휴대기(2)를 조합하는 차실-내측 조합은 도어 로킹 제어를 개시하라는 도어 로킹 제어 개시 지시에 따라 수행된다.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외측에 있고 차실의 내측에는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다.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 후, 다른 정규 휴대기(2)를 위한 차실-내측 조합이 수행된다. 다른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것으로 판정될 때, 차실의 내측에서 검출된 다른 정규 휴대기가 이용 불가 휴대기로 지정된다.
또한, 차량의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라는 동작 개시 지시가 발생될 때, 차실의 내측에 위치된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를 조합 타겟으로부터 제외한 상태에서 차실-내측 조합이 수행된다.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 이외의 어떠한 정규 휴대기(2)도 차실의 내측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금지된다. 따라서, 도어를 로킹할 때의 응답성이 개선되고, 또한 안전성도 개선된다.
도어 로킹 제어는 다른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되기 전에 수행된다.
차실-외측 조합은 도어를 언로킹하라는 도어 언로킹 지시에 따라 수행된다. 차실-외측 조합에 의해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외측에 있는 것으로 판정될 때, 도어 언로킹 제어가 수행되고,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가 조합 타겟으로 즉 이용 가능한 정규 휴대기로 회복된다. 그러므로, 한번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로 지정된 정규 휴대기(2)도 정규 휴대기(2)로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차실-외측 조합은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를 제외한 상태에서 수행된다. 그러므로, 차실-외측 조합에서 차실에 남겨져 있는 휴대기에 의해 조합이 수행될 가능성 그리고 도어 언로킹 제어가 차실에 남겨져 있는 휴대기에 의해 수행될 가능성이 낮다.
예시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에서-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위에서-설명된 예시 실시예에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구동원으로서 엔진을 갖는 차량에 채용된다. 이와 달리,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임의의 다른-형태의 차량에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구동원으로서 엔진 및 모터를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 그리고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갖는 전기 차량에 채용될 수 있다.
위에서-설명된 예시 실시예에서, 메인 휴대기 및 서브 휴대기 등의 2개의 휴대기가 정규 휴대기로서 채용된다. 이와 달리, 위에서-설명된 구성은 3개 이상의 정규 휴대기를 갖는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위에서-설명된 예시 실시예에서, 예컨대, S108, S110, S126, S128 및 S130 등을 수행하는 섹션은 도어 로킹 제어 수단 또는 요소에 대응한다. S132, S134, S136, S138 및 S140을 수행하는 섹션은 이용 불가 휴대기 지정 수단 또는 요소에 대응한다. S300 내지 S312를 수행하는 섹션은 도어 언로킹 제어 수단 또는 요소에 대응한다. 또한, S106, S124, S150 및 S170을 수행하는 섹션은 통지 수단 또는 요소에 대응한다. S200 내지 S210을 수행하는 섹션은 동작 개시 금지 수단 또는 요소에 대응한다.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고려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더 넓은 관점에서 도시 및 설명된 특정한 세부 사항, 대표 장치 및 예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5)

  1. 복수개의 정규 휴대기(2)를 조합(照合)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며,
    도어 로킹 제어를 개시하라는 도어 로킹 제어 개시 지시에 따라,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외측에 있는 지의 여부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외측에 있고 차실의 내측에는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 로킹 제어 요소와,
    상기 도어 로킹 제어가 도어 로킹 제어 요소에 의해 수행된 후 다른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차실의 내측에서 검출된 다른 정규 휴대기(2)를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로 지정하는 이용 불가 휴대기 지정 요소와,
    차량의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라는 동작 개시 지시에 따라, 상기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를 제외한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차실의 내측에는 어떠한 정규 휴대기(2)도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때 구동원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동작 개시 금지 요소를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킹 제어 요소는 상기 이용 불가 휴대기 지정 요소가 다른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도어 로킹 제어를 수행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어 언로킹 지시에 따라,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외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외측에 있는 것으로 판정될 때 도어 언로킹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이용 불가 정규 휴대기를 이용 가능 정규 휴대기(2)로 회복시키는, 도어 언로킹 제어 요소를 더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언로킹 제어 요소는 이용 불가 휴대기를 제외한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외측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킹 제어가 수행된 후, 상기 다른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의 내측에 있는 것으로 판정될 때 사용자에게 상기 다른 정규 휴대기(2)가 차실이 내측에 남겨져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요소를 더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20110112075A 2010-11-01 2011-10-31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20120046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5347 2010-11-01
JP2010245347 2010-11-01
JP2011196109A JP2012112235A (ja) 2010-11-01 2011-09-08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JP-P-2011-196109 2011-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082A true KR20120046082A (ko) 2012-05-09

Family

ID=4599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2075A KR20120046082A (ko) 2010-11-01 2011-10-31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09422A1 (ko)
JP (1) JP2012112235A (ko)
KR (1) KR201200460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9783B2 (ja) * 2011-02-25 2014-06-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JP5438048B2 (ja) * 2011-02-25 2014-03-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1362848B1 (ko) * 2012-12-14 2014-02-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인식 방법
KR20180054318A (ko)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367445B1 (ko) 2017-06-30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1907470B (zh) * 2019-05-09 2022-08-30 南京天擎汽车电子有限公司 车辆的控制方法、车辆、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282529A (zh) * 2020-09-29 2021-01-29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门锁的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797B1 (ko) * 2001-07-04 2003-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시스템의 카드 무력화 장치 및 방법
JP4274156B2 (ja) * 2005-06-09 2009-06-0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5169685B2 (ja) * 2008-09-25 2013-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12235A (ja) 2012-06-14
US20120109422A1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6082A (ko)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JP3988618B2 (ja) 車両の遠隔制御装置
JP5046025B2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600393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9965912B2 (en) On-vehicle apparatus control system, on-vehicl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machine
EP1642789B1 (en) Smart keyless system control unit
JP5950542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車載通信装置、および位置判定方法
JP6292719B2 (ja) 車両無線通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JP5082729B2 (ja) 無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110100A (ko) 차량 무선 통신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US9396597B2 (en) Smart entry system
CN107867263B (zh) 车辆通信系统、车载装置以及便携式装置
JP4739985B2 (ja) 車両用施解錠制御装置
JP2017014839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車載制御装置
US7336001B2 (en) Door lock control device
JP2008106579A (ja) 車両のスマートキーレス装置
JP2006077408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5984168B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097677A (ja) 制御システム、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JP6287673B2 (ja) 制御システム
JP2000145226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4570944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JP5467534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機
JP6094793B2 (ja) 車両設備制御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5817411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