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526A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4526A KR20120044526A KR1020100105834A KR20100105834A KR20120044526A KR 20120044526 A KR20120044526 A KR 20120044526A KR 1020100105834 A KR1020100105834 A KR 1020100105834A KR 20100105834 A KR20100105834 A KR 20100105834A KR 20120044526 A KR20120044526 A KR 20120044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lab
- girder
- assembly position
- ang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39—Adjustable connections, e.g. using elongated slots or threaded adjustment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8—Connections between open section prof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7—Beam to beam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럼에 대하여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상호간 결합되어 건축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의 거더 및 빔을 갖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제1 거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더의 일측에 용접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지지하는 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거셋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1 볼트와 제1 너트를 구비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1 거더 영역으로의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상기 거셋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분리될 수 있도록 코어벽체 또는 슬래브의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슬래브 선 시공을 위한 구조적 안전성 확보, 후속으로 시공되는 형틀 설치 용이성 확보,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설치 용이성 확보는 물론 슬래브 및 코어 콘크리트 양생 후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품질, 공기 및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설치가 용이해짐은 물론 코어 및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RC구조), 철골 구조(S구조) 및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구조(SRC)로 축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근래에는 건축물의 대형화 및 초 고층화에 따라 각 구조의 장점을 조합한 복합구조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건축구조물의 초/고층화에 따라 지진력과 함께 풍압력에 대한 고려가 안전 설계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었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엘리베이터, 전기시설, 설비시설 및 계단 등이 있는 건물 코어 부분을 풍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채택하여 선행 시공하고, 나머지 주거 공간의 주기둥 부분을 철골 구조로 후행하여 보강하는 방식의 건축 공법을 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시행되고 있는 코어 선행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설명 부호 1은 건물 코어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어(1)는 풍압력을 고려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이용하여 선행 축조된다.
통상적으로 코어(1)의 내측 공간에는 타워크레인 및 콘크리트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이 설치되며, 그 외측으로 호이스트(hoist) 등의 코어 전용 시설이 가설된다.
이러한 코어공사 전용 시설을 이용하여 시스템 폼을 장착한 후 철근(3)을 배근하며, 콘크리트(5)를 타설하여 선행 코어를 축조하게 된다. 이때 후행 철골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콘크리트(5) 타설 시 앵커부재(7)를 함께 매립 설치하게 된다. 앵커부재(7)는 콘크리트(5)에 매립되는 연결재(7a)와, 연결재(7a)에 용접되는 앵커플레이트(7b), 및 앵커플레이트(7b)에 용접되는 거셋플레이트(7c)로 구성된다.
이후 거셋플레이트(7c)에 고장력볼트(7d)를 이용하여 철골보(9)를 조립 설치하고, 철골보(9)를 기초로 하여 슬래브 형틀재 설치,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거쳐 슬래브(11)를 축조 시공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코어 선행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축구조물 시공구조에서는 코어의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호이스트 및 콘크리트 디스트리뷰터 등의 전용 시설을 가설해야 될 뿐만 아니라 후행의 철골구조 설치 및 슬래브의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 시 비워둔 다음에 추후 타설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되는 코어는 후행되는 주거 공간보다 면적이 좁기 때문에 수직도 관리가 어렵고, 코어와 주거 공간 즉 슬래브의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해야 하므로 코어와 슬래브를 연결해주는 철근을 벽체에 사전 매립해야 하며, 이로 인해 추가비용 및 분리 타설로 인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코어와 슬래브층의 작업이 상, 하간 떨어져서 시공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공정, 품질, 안전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특히, 종래의 시공구조에서는 코어 벽체에 매립된 철골 설치용 앵커부재에는 별도의 접근로가 없는바, 앵커부재에 철골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주부 철골 기둥에 철골보를 1차 고정한 후 철골보에 가설되어 있는 안전 난간대에 설치된 구명로프에 의지하여 코어 벽체 쪽으로 작업자가 이동하여 2차 고정을 해야 철골보 설치가 완성되는 등, 작업 공정이 번거롭고 철골 시공기간이 출원인이 제안하였던 방법보다 길어지므로 인해 이를 보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인양 장비의 투입이 불가피하고 안전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건축구조물의 코어 및 슬래브용 철골을 선행하여 시공하고, 이후 슬래브 및 코어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 또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선타설하고 코어를 후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여 축조함으로써, 코어 및 슬래브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시공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시공 방법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며, 현재 일부 대규모 초고층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또한 SRC구조로 축조되는 종래의 시공 기술들은 최근에 유행되고 있는 코어가 순수 RC구조이고 외주부가 철골구조를 이루면서 코어가 선행 축조되는 이른 바, 코어선행 공법과 주로 중,저층에 과거부터 적용돼오던 코어 벽체에 철골 기둥과 보가 설치되는 재래식 철골선행 공법이 있는데, 코어선행 공법의 경우는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선행 시공된 RC코어 벽체에 셋트 앙카를 이용하여 앵글을 선 설치한 후 데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나, 기설치한 앵글은 제거하지 않으며, 또한 기존 재래식 철골선행 공법은 아예 앵글 설치를 고려하지 않았거나 슬래브 지지용 앵글이 거더에 용접되어 왔기 때문에 추후 콘크리트 양생 후에 콘크리트와 함께 일체로 묶이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는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슬래브 지지용 앵글을 제거해도 무방하지만 종래의 두 가지 종래의 시공기술들은 아예 앵글설치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앵글을 제거한다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존치시키고 있는 실정이어서 공사비의 증가 요인이 될 뿐더러, 코어벽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코어 외부 형틀 설치 용이성 확보가 되지 않는 것이 종래 기술의 현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브 선 시공을 위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후속으로 시공되는 형틀 설치 용이성 확보하며,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설치 용이성 확보는 물론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 후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으로 인하여 품질, 공기 및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컬럼에 대하여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상호간 결합되어 건축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의 거더 및 빔을 갖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제1 거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 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더의 일측 또는 상기 제2 거더 및 빔 양측에 용접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지지하는 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거셋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1 볼트와 제1 너트를 구비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1 거더 영역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거셋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분리될 수 있도록 코어벽체 또는 슬래브의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구조의 방향성에 따라 상기 제1 거더에 용접되고 상기 제1 거더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슬래브를 지지하는 지지판부를 갖는 제1 타입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지지판부의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전면에서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및 상기 지지판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구조의 방향성에 따라 상기 제2 거더 및 빔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용접되어 형틀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고정되는 제2 타입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의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에 부착된 브라켓 전면에서 상기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구조의 방향성에 따라 상기 제2 거더 및 빔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용접되어 형틀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와는 별도로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상부 플랜지에 별도의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고정할 수 있는 거셋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제3 타입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된 거셋 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하방에서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된 거셋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거셋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1 볼트와 제1 너트는, 방향성을 달리하여 체결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및 상기 지지판부를 통과하여 그 헤드부가 상기 지지판부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전면에서 상기 제1 볼트 선단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거셋 플레이트 및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는 다각 형상의 철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1 거더, 제2 거더 및 빔은 상기 거셋 플레이트와 일체형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제1 타입의 경우 제1 거더에 용접되는 거셋 플레이트는 일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지지판부에 체결시키는 제2 볼트와 제2 너트를 구비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제2 타입의 경우 제2 거더 및 빔의 양측에 용접되는 거셋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양측 홈을 차폐하되 일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홈막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2 볼트와 제2 너트를 구비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제3 타입의 경우 제2 거더 및 빔의 플랜지 상단에 용접되는 거셋 플레이트는 일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거셋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2 볼트와 제2 너트를 구비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제1 거더, 제2 거더, 슬래브 영역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분리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속에 매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2 볼트는 상기 제1 거더, 제2 거더, 슬래브 영역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분리될 수 있도록 그 헤드부가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전면에서 상기 제2 볼트 선단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2 볼트와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볼트 및 제2 너트와 함께 체결되는 덧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덧판은, 그 일단이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내측 벽면 단부에 부분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되고, 덧판 돌출부에는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상측의 관통공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덧판은,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인접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거더의 슬래브 상에 그 일단부에 부분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되고, 덧판 돌출부에는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상측 단부의 관통공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덧판은,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인접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거더의 슬래브 측면에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되고, 덧판 돌출부에는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상측 단부의 관통공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용접되어 다른 거더 또는 다른 빔과의 조립위치를 조정하는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2 거더,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및 상기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은 일체형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브 선 시공을 위한 구조적 안전성 확보, 후속으로 시공되는 형틀 설치 용이성 확보, 슬래브 지지용 앵글의 설치 용이성 확보는 물론 슬래브 및 코어 콘크리트 양생 후 슬래브 지지용 앵글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품질, 공기 및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철골보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3에 콘크리트를 양생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3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B 영역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측면 구조도,
도 10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3는 도 10의 측면 구조도,
도 14은 도 5의 A 영역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5는 도 5의 A 영역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 이다.
도 2는 종래 철골보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3에 콘크리트를 양생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3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B 영역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측면 구조도,
도 10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3는 도 10의 측면 구조도,
도 14은 도 5의 A 영역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5는 도 5의 A 영역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3에 콘크리트를 양생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3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먼저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시공구조 역시, 건축구조물의 코어(1) 벽체에 매입 설치되는 철골(10,31,33) 및 슬래브용 철골(20,21,32)을 선행하여 시공하고, 이후 슬래브 및 코어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 또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선타설하고 코어(1)를 후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여 축조된 구조이며, 이로써 코어(1) 및 슬래브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시공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종래와는 달리 제1 및 제2 슬래브 지지용 앵글(41,42)의 설치가 용이해짐은 물론 코어(1) 또는 슬래브 쪽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제1 및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42)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3 및 도 5는 코어(1)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상태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모습으로서, 도 3 내지 도 5는 편의를 위해 일측을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컬럼(10)에 대해 다수의 거더, 본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제1 내지 제3 거더(31,32,33)가 상호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외곽을 이루게 된다.
이때, 컬럼(10)과 다수의 제1, 제2, 제3 거더(31,32,33) 대부분은 H형 빔으로 이루어지는데, 컬럼(10)과 다수의 제1, 제2, 제3 거더(31,32,33)보다 하중 분담이 적은 빔(20) 역시 필요에 따라 사용되면서 하나의 건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컬럼(10)에 대하여 다수의 제1, 제2, 제3 거더(31,32,33)를 상호간 횡방향 혹은 종방향으로 결합시키는데 있어 다수의 제1,제2,제3거더(31,32,33) 및 제1,제2빔(20,21)에는 각각 위치별로 제1 및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42)이 조립되어야 하고,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제1 및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42)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과는 다른 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대해 아래의 참조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5의 B 영역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를 표현하고 있으며, 도 9는 도 6의 측면 구조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더(31)에는 거셋 플레이트(50)가 일체로 용접되어 마련된다. 즉 거셋 플레이트(50)는 제1 거더(3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거더(31)에 용접되어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거셋 플레이트(50)는 제1 거더(31)에 용접되는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51)와,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51)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과 접촉되어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을 지지하는 지지판부(52)를 갖는다.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51)는 다각 형상의 철판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마치 사다리꼴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51)의 형상은 도시된 것을 벗어나 다양할 수 있다.
지지판부(52)에는 다수의 홀(5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판부(52)는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51)를 기준으로 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도 8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듯이 한쪽 방향으로만 형성된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며, 이는 위치에 따라 적당하게 조율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의 연속된 중간부를 처짐 억제된 상태로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라면 한 방향으로 절곡된 지지판부(52)를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의 연결되는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되게 유지하고자 하는 지점이라면 양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를 가진 지지판부(52)를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제1 거더(31)와 거셋 플레이트(50)는 일체형 제품으로 마련되는데,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제품일 수도 있고 현장 조립 제품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 즉 거셋 플레이트(50)는 일체로 형성된 제1 거더(31)에 거셋 플레이트(50) 영역으로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을 체결(혹은 조립)시키기 위해 제1 체결부재(60)가 마련된다.
제1 체결부재(60)는 통상의 각이 진 제1 볼트(60a)와 제1 너트(60b)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추후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 볼트(60a)를 해체하면 거셋 플레이트(50)로부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이 분리될 수 있도록 제1 너트(60b)의 체결위치를 코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도록 마련한다.
이때, 제1 너트(60b)는 지지판부(52)의 뒤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볼트(60a)는 제1 슬래브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의 전면에서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 및 지지판부(52)를 통과하여 제1 너트(60b)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면,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을 거셋 플레이트(50)의 지지판부(52)에 배치시킨 후에, 제1 볼트(60a)를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의 전면에서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 및 지지판부(52)를 통과시켜 제1 너트(60b)에 체결함으로써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은 쉽게 조립된다.
이후에, 형틀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코어(1)를 만들게 되는데,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각이 진 제1 볼트(60a)를 공구를 이용하여 해체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을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거셋 플레이트(50)가 일체로 형성된 제1 거더(31)는 코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시공된다.
한편, 제1 거더(31)와 다르게 시공되는 제2 거더(32) 및 제1 빔(20)의 경우에는 제1 거더(31)와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는 도 5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은 도 11의 요부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13는 도 10의 측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거더(32) 및 제1 빔(20)에는 제2 거더(32) 및 제1 빔(20) 공히, 양측에 용접되어 H형태로 된 제2 거더(32) 및 제1 빔(20)의 양측 홈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되 일측에서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홈막이 플레이트(70)가 용접된다.
그리고 홈막이 플레이트(70)의 하단부에는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45)이 더 용접된다.
결과적으로 제2 거더(32) 또는 제1 빔(20), 홈막이 플레이트(70)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45)은 일체형 제품으로 마련되는데,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제품일 수도 있고 현장 조립 제품일 수도 있다. 제2 거더(32) 또는 제1 빔(20), 홈막이 플레이트(70) 및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45)은 일체형 제품이라는 것을 도 12에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한편, 제2 거더(32) 및 제1 빔(20)과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홈막이 플레이트(70)에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을 체결시키기 위해 앞서 기술한 동일 방식으로서 제2 체결부재(80)가 마련된다.
제2 체결부재(80)는 통상의 각이 진 제2 볼트(80a)와 제2 너트(80b)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추후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2 볼트(80a)를 해체하면 홈막이 플레이트(70)로부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이 분리될 수 있도록 제2 너트(80b)의 체결위치를 코어 콘크리트 벽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도록 마련한다.
이때, 제2 너트(80b)는 홈막이 플레이트(70)의 뒤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볼트(80a)는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에 부착된 덧판(77)에서 홈막이 플레이트(70)를 통과하여 제2 너트(80b)에 체결된다.
도 13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면, 덧판(77)이 부착된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을 홈막이 플레이트(70) 전면에 배치시킨 후에, 제2 볼트(80a)를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에 부착된 덧판(77) 전면에서 홈막이 플레이트(70)를 통과시켜 제2 너트(80b)에 체결함으로써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은 쉽게 조립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덧판(77)이 그 일단을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의 내측 벽면 단부에 부분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하고 있고, 덧판(77)의 돌출부에는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70) 상측의 관통공(70a)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77a)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덧판(77)이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을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70) 인접부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거더(32)의 슬래브 상에 그 일단부에 부분 돌출되도록 겹침 용접하고, 슬래브 외부로 노출되는 덧판 돌출부에는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의 상측 단부에 천공되는 관통공(42a)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77a)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8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덧판(77)을 상기 제2 거더(32)의 슬래브 측면에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요구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거더(31,32,33) 슬래브 영역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70)로부터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42)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볼트(80a)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형틀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코어(1)를 만들게 되는데,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각이 진 제2 볼트(80a)를 공구를 이용하여 해체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2)을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홈막이 플레이트(70)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45)이 일체로 형성된 제2 거더(32) 및 제1 빔(20)은 코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시공된다.
한편, 도 5 및 도 11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할 때, 제1 빔(20), 제2 거더(32), 제2 빔(21)에 교차된 제1 거더(31), 제1 기둥(10), 제3 거더(33) 간의 조립은 제1 거더(31), 제1 기둥(10), 제3 거더(33)에 별도의 거셋 플레이트(33a)를 용접시켜 거셋 플레이트(33a)의 홀(33b)과 제2 거더(32)의 돌출단부(32a)의 홀(32b)이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 조립에 의해 수행된다. 볼트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홀(33b,32b)들 중 어느 한 쪽은 장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시공구조에 의하면,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42)의 설치가 용이해짐은 물론 코어와 접속되는 거더 및 빔 주위의 형틀 아물림이 매우 쉬워지며 코어(1) 콘크리트 양생 후에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41,42)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코어
10 : 컬럼
20,21 : 빔
31,32,33 : 거더
41,42 :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45 :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
33a,50 : 거셋 플레이트
51 :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
52 : 지지판부
60 : 제1 체결부재
70 : 홈막이 플레이트
77 : 덧판
80 : 제2 체결부재
10 : 컬럼
20,21 : 빔
31,32,33 : 거더
41,42 :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45 :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
33a,50 : 거셋 플레이트
51 :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
52 : 지지판부
60 : 제1 체결부재
70 : 홈막이 플레이트
77 : 덧판
80 : 제2 체결부재
Claims (18)
- 컬럼에 대하여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상호간 결합되어 건축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의 거더 및 빔을 갖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제1 거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 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더의 일측 또는 상기 제2 거더 및 빔 양측에 용접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지지하는 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거셋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1 볼트와 제1 너트를 구비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1 거더 영역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거셋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분리될 수 있도록 코어벽체 또는 슬래브의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구조의 방향성에 따라 상기 제1 거더에 용접되고 상기 제 1거더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과 접촉하며 상기 제1 슬래브를 지지하는 지지판부를 갖는 제1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지지판부의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전면에서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및 상기 지지판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구조의 방향성에 따라 상기 제2 거더 및 빔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용접되어 형틀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고정되는 제2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의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에 부착된 브라켓 전면에서 상기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구조의 방향성에 따라 상기 제2 거더 및 빔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용접되어 형틀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용접판부(거셋 플레이트)와는 별도로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상부 플랜지에 별도의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고정할 수 있는 거셋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제3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된 거셋 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하방에서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된 거셋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거셋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1 볼트와 너트가 방향성을 달리하여 체결됨으로서,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및 상기 지지판부를 통과하여 그 헤드부가 상기 지지판부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1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전면에서 상기 제1 볼트 선단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다각 형상의 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더 또는 제2 거더 및 빔은 상기 거셋 플레이트와 일체형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제1 거더에 용접되는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일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지지판부에 체결시키는 제2 볼트와 제2 너트를 구비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제2 거더 및 빔의 양측에 용접되는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거더 및 빔의 양측 홈을 차폐하되 일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홈막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2 볼트와 제2 너트를 구비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제2 거더 및 빔의 플랜지 상단에 용접되는 상기 거셋 플레이트는, 일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거셋 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제2 볼트와 제2 너트를 구비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제1 거더, 제2 거더, 슬래브 영역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분리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는 상기 제1 거더, 제2 거더, 슬래브 영역으로의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이 분리될 수 있도록 그 헤드부가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뒤쪽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고,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전면에서 상기 제2 볼트 선단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9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더,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및 상기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은 일체형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와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볼트 및 제2 너트와 함께 체결되는 덧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덧판은,
그 일단이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의 내측 벽면 단부에 부분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되고, 덧판 돌출부에는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상측의 관통공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덧판은,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인접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거더의 슬래브 상에 그 일단부에 부분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되고, 덧판 돌출부에는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상측 단부의 관통공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덧판은,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을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 인접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거더의 슬래브 측면에 돌출되도록 용접 고정되고, 덧판 돌출부에는 상기 제2 슬래브 지지 및 형틀 조립위치 조정 겸용 앵글 상측 단부의 관통공과 마주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막이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용접되어 다른 거더 또는 다른 빔과의 조립위치를 조정하는 형틀 조립위치 조정용 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834A KR101227715B1 (ko) | 2010-10-28 | 2010-10-28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PCT/KR2011/008006 WO2012057510A2 (ko) | 2010-10-28 | 2011-10-26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CN201180051317.2A CN103180528B (zh) | 2010-10-28 | 2011-10-26 | 用于构建具有包含钢架的增强混凝土结构高层建筑物的结构 |
US13/877,605 US8919072B2 (en) | 2010-10-28 | 2011-10-26 |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hav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steel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834A KR101227715B1 (ko) | 2010-10-28 | 2010-10-28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526A true KR20120044526A (ko) | 2012-05-08 |
KR101227715B1 KR101227715B1 (ko) | 2013-01-29 |
Family
ID=4599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5834A KR101227715B1 (ko) | 2010-10-28 | 2010-10-28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919072B2 (ko) |
KR (1) | KR101227715B1 (ko) |
CN (1) | CN103180528B (ko) |
WO (1) | WO2012057510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88510A1 (ko) * | 2016-04-28 | 2017-11-0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고강성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
KR20220117524A (ko) * | 2021-02-17 | 2022-08-24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철골 매입형 합성보의 거더와 빔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의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45890B2 (ja) * | 2013-08-20 | 2017-12-13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建物 |
CN103498510A (zh) * | 2013-09-25 | 2014-01-08 | 张跃 | 钢结构组合柱 |
CN109267651A (zh) * | 2014-12-24 | 2019-01-25 | 寇长花 | 可装配式桁架组合柱结构 |
ES2584456B2 (es) * | 2015-03-25 | 2017-06-20 | Click Box Smart System, S.L. | Sistema constructivo |
JP6823950B2 (ja) * | 2016-07-01 | 2021-02-03 | センクシア株式会社 | 柱と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
CN106193311B (zh) * | 2016-08-22 | 2018-07-06 | 王一 | 模块化组装式房屋结构 |
US10316511B1 (en) | 2017-02-14 | 2019-06-11 | Valmont Industries | Bolt calibrated angle mainstay for towe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use |
CN106836489B (zh) * | 2017-02-23 | 2018-11-02 | 青岛理工大学 | 一种装配式圆形钢管套管纤维混凝土柱连接节点及安装方法 |
US11530547B2 (en) * | 2017-02-24 | 2022-12-20 | Parkd Ltd | Building structure |
CN107893479A (zh) * | 2017-11-27 | 2018-04-10 | 广州大学 | 一种预制装配式混凝土框架 |
CN108005235A (zh) * | 2017-12-19 | 2018-05-08 | 浙江绿筑集成科技有限公司 | 一种两跨连续式楼板的连接方法 |
CN108979168A (zh) * | 2018-08-30 | 2018-12-11 | 宁波建工工程集团有限公司 | 钢梁安装支架及其安装使用方法 |
CN111021721A (zh) * | 2019-04-17 | 2020-04-17 | 安徽省中功立业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建筑用支承结构 |
AU2020385108A1 (en) * | 2019-11-11 | 2022-04-21 | Valmont Industries, Inc. | Bolt calibrated angle mainstay wall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
CN112575903B (zh) * | 2020-12-12 | 2022-02-01 | 深圳新艺华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 一种超高异型框架钢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2663791A (zh) * | 2020-12-16 | 2021-04-16 | 澧县红似火新型建材有限责任公司 | 一种组合拼接式钢结构的连接件结构 |
CN115467534B (zh) * | 2022-10-19 | 2023-07-28 |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全钢超高层结构跨后浇带处钢梁和楼板提前施工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51694A (en) * | 1977-06-22 | 1979-05-01 | Roll Form Products, Inc. | Floor system |
RU2004722C1 (ru) * | 1990-04-03 | 1993-12-15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изыск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плоэлектропроект" |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вутавровой балки с колонной |
JPH10280601A (ja) | 1997-04-02 | 1998-10-20 | Kazuaki Wake | 梁のデッキ受け |
JPH11343700A (ja) | 1998-05-29 | 1999-12-14 | Taisei Corp | カットt鋼材を用いた合成小梁 |
US6298630B1 (en) * | 2000-05-18 | 2001-10-09 | Verost Russell L. | Wall plate for attaching beams to masonry walls |
JP2003097057A (ja) * | 2001-09-20 | 2003-04-03 | Mitsui Constr Co Ltd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その方法 |
KR100454478B1 (ko) * | 2002-04-18 | 2004-10-28 | 한봉길 |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
JP2004278210A (ja) * | 2003-03-18 | 2004-10-07 | Ohbayashi Corp | 小梁と大梁の接合方法、小梁と大梁の接合構造 |
JP2009052302A (ja) | 2007-08-28 | 2009-03-12 | Takenaka Komuten Co Ltd | 鉄骨小梁の剛接構造 |
US8056291B1 (en) * | 2007-10-12 | 2011-11-15 | The Steel Networks, Inc. | Concrete and light gauge cold formed steel building structure with beam and floor extending over a load bearing stud wall and method of forming |
CN101302776A (zh) * | 2008-06-24 | 2008-11-12 | 沈阳建筑大学 | 蜂窝钢骨混凝土柱与钢筋混凝土梁框架节点 |
JP5065179B2 (ja) | 2008-06-27 | 2012-10-31 | 大成建設株式会社 | 型枠装置 |
CN101333825B (zh) * | 2008-08-06 | 2011-12-28 | 北京首钢建设集团有限公司 | 高层建筑框支型钢砼梁式结构转换层施工方法 |
-
2010
- 2010-10-28 KR KR1020100105834A patent/KR1012277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10-26 US US13/877,605 patent/US891907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0-26 CN CN201180051317.2A patent/CN10318052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0-26 WO PCT/KR2011/008006 patent/WO2012057510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88510A1 (ko) * | 2016-04-28 | 2017-11-0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고강성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
KR20220117524A (ko) * | 2021-02-17 | 2022-08-24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철골 매입형 합성보의 거더와 빔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의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180528B (zh) | 2015-08-05 |
KR101227715B1 (ko) | 2013-01-29 |
CN103180528A (zh) | 2013-06-26 |
US20130205707A1 (en) | 2013-08-15 |
WO2012057510A2 (ko) | 2012-05-03 |
WO2012057510A3 (ko) | 2012-06-28 |
US8919072B2 (en) | 2014-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7715B1 (ko)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 |
US7647742B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SRC structured high rise building | |
US20080282644A1 (en) |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EP2479430B1 (en) | Method for assembling shell segments for forming tower sections of a hybrid wind turbine tower | |
KR101766807B1 (ko) |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 |
US8631628B1 (en) | Tilt-up concrete spandrel assemblies and methods | |
KR20120096605A (ko) |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
JP5405337B2 (ja) |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 |
CN105803924B (zh) | 客货共线铁路简支t梁人行道组合结构及组合方法 | |
CN115305833A (zh) | 一种盖梁施工系统及方法 | |
KR20070000950A (ko) |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
KR101750177B1 (ko) |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 |
JP4235079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部の構造 | |
JP2010261270A (ja) | 複合構造および複合構造建築物の施工方法 | |
KR101735077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 |
KR20170049719A (ko) |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 |
KR20070107495A (ko) |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200450609Y1 (ko) |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 |
KR101482523B1 (ko) |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130011408A (ko) | 영구보거푸집 설치용 기둥캡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083062B1 (ko) | 복합보 | |
KR101735539B1 (ko) | 철근 기둥의 선조립체 양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하여 철근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 | |
JP4872301B2 (ja) | Rc構造体の構築工法 | |
KR101219995B1 (ko) |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는 가설 브레이스와 강합성 거더, 변단면 강재 거더 및 이들을 이용한 건축구조물 축조공법. | |
KR102289243B1 (ko) | 철근 선조립기둥, u형 강판보 및 골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식화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