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558A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558A
KR20120041558A KR1020100103057A KR20100103057A KR20120041558A KR 20120041558 A KR20120041558 A KR 20120041558A KR 1020100103057 A KR1020100103057 A KR 1020100103057A KR 20100103057 A KR20100103057 A KR 20100103057A KR 20120041558 A KR20120041558 A KR 20120041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etching
forming
sacr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황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1558A/ko
Priority to US13/241,788 priority patent/US8921233B2/en
Publication of KR2012004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5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region and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41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insulating part of the electrode is defined by a sidewall spacer, e.g. dummy spacer, or a similar technique, e.g. oxidation under mask,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3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308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3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308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1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피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식각 대상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연결 영역에 형성된 상기 희생막을 패터닝하여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측벽들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1차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영역 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영역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2차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블 패터닝(double patterning) 기술은 노광 장비의 교체 없이, 상기 노광 장비가 노광 가능한 최소 피치 미만의 간격을 갖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형성된 희생 패턴의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희생 패턴을 제거한 뒤, 상기 스페이서만을 마스크로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더블 패터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이 개선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식각 대상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연결 영역에 형성된 상기 희생막을 패터닝하여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측벽들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1차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영역 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영역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2차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동안, 상기 셀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층이 더 패터닝되고, 상기 2차 식각하는 단계에 의해 식각된 상기 식각 대상막은, 상기 셀 영역에서는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이용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서는 구동 회로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기판은 반도체 기판, 터널링 절연층, 전하 저장층, 블로킹 절연층, 및 게이트 도전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1차 식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셀 영역의 상기 게이트 도전층이 더 식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식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게이트 도전층이 더 식각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2차 식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블로킹 절연층이 더 식각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식각 대상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터널링 절연층 및 상기 전하 저장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링 절연층,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차례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의 소모량이 상기 전하 저장층의 소모량보다 더 큰 식각 조건 하에서, 상기 소자 분리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소자 분리막 상에 블로킹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소자 분리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블로킹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셀 영역의 전하 저장층과 상기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전하 저장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물질막 상에 제 2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 1 물질막을 식각하여 제 1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동안,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 중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은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보다 더 많이 식각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식각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 중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의 식각 소모량이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의 식각 소모량보다 더 큰 식각 조건 하에서,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제 1 물질막 패턴 중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 1 물질막 패턴의 상면은 노출되고, 상기 연결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1 물질막 패턴의 상면은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 상에 스페이서 형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을 식각하여,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의 잔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일부 영역 상의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은 셀 영역에 형성된 희생 라인과 연결 영역에 형성된 제 1 희생 패드부 및 제 2 희생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희생 라인의 단부 영역 및 상기 제 1 희생 패드부와 상기 제 2 희생 패드부 사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동안, 상기 주변 영역 상의 상기 희생막은 패터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동안,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연결 영역 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은 패터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식각 대상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막을 패터닝하여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 상에 스페이서 형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일부 영역 상의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을 식각하여,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의 잔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1차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영역 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영역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2차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식각 대상막 및 희생 패턴 구조물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측벽들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1차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2차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더블 패터닝이 수행됨에 따라 피팅 현상에 의해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더블 패터닝 공정 동안 주변 영역에 형성된 식각 대상막을 패터닝하지 않고 별도의 사진 공정을 통해 주변 영역의 식각 대상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중간 정도의 식각 데미지"를 받는 선폭을 가지는 회로 패턴들이 피팅 데미지(pitting damage)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과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의 높이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스트링거(stringer)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반도체 소자 중 셀 영역과 연결 영역에 형성된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 및 평면도들이다.
도 18 내지 도 22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 내 기판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25는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의 회로도이다.
도 2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턴 구조물을 포함하는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의 평면도이다
도 27a 내지 도 29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0 내지 도 33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카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의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반도체 소자 중 셀 영역과 연결 영역에 형성된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는 기판(100) 상의 셀 영역 및 연결 영역에 형성된 제 1 패턴(122a) 및 제 2 패턴(122b)과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3 패턴(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영역과 연결 영역에 형성된 제 1 패턴(122a) 및 제 2 패턴(122b)은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반면에,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3 패턴(122c)은 상기 메모리 셀의 구동을 위한 회로들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122a)은 제1 선폭을 가지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라인 패턴(E)과, 상기 제1 라인 패턴(E)의 일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장 라인(F) 및 상기 제1 연장 라인(F)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선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1 패드(G)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패드(G)에는 신호 전달을 위한 콘택 플러그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폭을 갖는다. 상기 제1 라인 패턴(E)은 사진 공정의 한계 선폭보다 더 작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라인(F)은 상기 제1 라인 패턴(E)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꺾여져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연장 라인(F)은 상기 제1 라인 패턴(E)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꺾여져 있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연장 라인(F)은 상기 제1 라인 패턴(E)보다는 넓은 선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패드(G)보다는 좁은 선폭을 갖는다. 상기 제1 연장 라인(F) 및 상기 제1 라인 패턴(E)을 형성할 때 상대적으로 패턴 밀도가 낮은 상기 제1 연장 라인(F)에서 식각 로딩 효과가 현저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연장 라인(F)은 상기 제1 라인 패턴(E)보다는 넓은 선폭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패드(G)에서 어느 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124)는 상기 제1 연장 라인(F)의 일 단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4)는 상기 제1 연장 라인(F)과 유사한 정도의 좁은 선폭을 갖는 라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패드(G)에 포함된 돌출부(124) 자체는 별다른 기능을 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패턴 구조물의 구조적인 특징이 된다.
상기 제2 패턴(122b)은 상기 제1 패턴(122a)과 이웃하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패턴(122b)은 상기 제1 라인 패턴(E)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선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선폭을 갖는 제2 라인 패턴(E')과, 상기 제2 라인 패턴(E')의 일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 라인(F') 및 상기 제2 연장 라인(F')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선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2 패드(G')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드(G')는 신호 전달을 위한 콘택 플러그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폭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장 라인(F')은 상기 제1 라인 패턴(E)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 라인(F')은 상기 제2 라인 패턴(E')보다는 넓은 선폭을 가지며, 상기 제2 패드(G')보다는 좁은 선폭을 갖는다.
상기 제2 패드(G')는 상기 제2 연장 라인(F')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꺾여져 있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패드(G')의 일 측벽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측방으로 돌출되어 제2 돌출부(125)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돌출부(125)는 상기 제2 연장 라인(F')의 일 단부의 연장 방향과 마주하면서 상기 제2 연장 라인(F')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에 포함된 제1 및 제2 라인 패턴(E, E')에서 상기 연장 라인들(F, F') 및 패드들(G, G') 반대편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꺾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라인 패턴(E, E')의 타단부는 제1 방향과 수직하게 꺾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의 각 라인 패턴(E, E')의 타단부가 꺾어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 사이에 브릿지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이 서로 쇼트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턴(122a)은 상기 제2 패턴(122b)에 비해 길이가 짧다.
도 3a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 및 평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17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도면 중 a도는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고, b도는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a도는 b도의 I-I'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한다. 또한, 도 4c는 셀 영역 및 연결 영역 상에 형성된 희생 패턴 구조물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식각 대상막(102)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대상막(102)은 후속 공정을 통해 패터닝될 수 있고, 패터닝된 식각 대상막(102)은 하지막을 식각하기 위한 마스크 패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각 대상막(102)은 실리콘 산화물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산화물의 예로는 BPSG(boro-phospho silicate glass), TOSZ(tonen silazene), HDP(high density plasma), 및 PE-TEOS(plasma enhanced tetra-ethyl-orthyo-silicate glas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각 대상막(102) 상에 희생막(103)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103)은 영역에 따라 미세한 선폭 및 넓은 선폭을 각각 갖는 식각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버퍼막으로 제공된다. 상기 희생막(103)은 제1 물질막(103a) 및 제2 물질막(103b)을 순차적으로 증착시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각 대상막(102) 상에 제1 물질막(103a)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물질막(103a)은 에싱 및 스트립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1 물질막(103a)은 스핀 온 하드 마스크(SOH)막질 또는 탄소 스핀 온 하드 마스크(C-SOH) 막질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물질막(103a) 중 일부는 실질적인 식각 마스크로 사용되므로, 상기 제1 물질막(103a)은 식각 마스크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물질막(103a) 상에 제2 물질막(103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물질막(103b)은 실리콘 산 질화물(SiOxNy)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물질막(103b)은 식각 마스크로 사용되지 않고 식각 대상막을 식각하기 이전에 모두 제거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물질막(103b)은 상기 제1 물질막(103a)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막(103) 중 셀 영역 및 연결 영역에 형성된 희생막을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함으로써, 희생 패턴 구조물(104)을 형성한다. 후술하겠지만, 후속 공정들을 통해 하나의 희생 패턴 구조물(104) 양 측벽으로 2개의 패턴들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은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구조물의 패턴 개수의 1/2만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주변 영역에 형성된 희생막은 패터닝되지 않거나, 적어도 소정 길이 이상의 선폭을 가지도록 패터닝될 수 있는데, 이는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팅(pitt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피팅 현상이란 희생막 중 제2 물질막의 일부가 원하지 않게 식각됨으로써 제 1 물질막의 상부가 노출되고, 그에 따라 후속 애싱 및 스트립 공정 동안 식각되지 않아야 할 제1 물질막의 일부가 식각되는 현상을 말한다. 제1 물질막은 식각 대상막의 식각 마스크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피팅 현상에 의해 제1 물질막의 형상이 잘못 형성되는 경우 원하는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형상에 따라 이후에 형성되는 식각 마스크의 형상이 달라지므로,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형상을 갖는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을 형성하여야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은 제1 물질막 패턴(105a, 105c, 105e) 및 제2 물질막 패턴(105b, 105d, 105f)이 적층된 형상을 갖고,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선폭에 따라 상기 제2 물질막 패턴(105b, 105d)의 두께가 서로 다르다.
희생 패턴 구조물의 형상(104)에 따라 이후에 형성되는 식각 마스크의 형상이 달라지므로, 형상하고자 하는 패턴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형상을 가지는 희생 패턴 구조물(104)이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 영역의 희생 패턴 구조물은 콘택 플러그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패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셀 영역의 희생 패턴 구조물보다 더 넓은 선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물질막(103b)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막(도시안됨)을 코팅하고 이를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패터닝함으로써,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술한 피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막 중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1 포토레지스트막은 패터닝되지 않거나, 소정 선폭 이상을 가지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셀 영역에 형성된 좁은 선폭을 가지는 부분과 연결 영역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선폭을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 물질막(103b)을 식각한다. 이후, 식각된 상기 제2 물질막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 물질막(103a)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a, 105c) 및 제2 물질막 패턴(105b, 105d)이 적층된 희생 패턴 구조물(104)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들을 수행할 때, 좁은 선폭을 갖는 부위의 제2 물질막 패턴(105b)은 3차원 효과(즉, 폭이 좁은 패턴의 단위 면적당 식각량이 폭이 넓은 패턴의 단위 면적당 식각량보다 큼)에 의해 상대적으로 넓은 선폭을 갖는 제2 물질막 패턴(105d)보다 식각 데미지를 더 많이 받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좁은 선폭을 가지는 셀 영역의 제 2 물질막 패턴(105b)의 소모량이, 넓은 선폭을 가지는 연결 영역의 제 2 물질막 패턴(105d)의 소모량보다 더 큰 식각 조건 하에서, 제 1 물질막(105a, 105c)이 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각 공정을 수행하고 나면,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좁은 선폭을 갖는 라인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제2 물질막 패턴(105b)이 더 얇게 남아있게 되고, 상기 넓은 선폭을 갖는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제2 물질막 패턴(105d)이 더 두껍게 남아있게 된다.
도면의 경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1 포토레지스트막은 패터닝되지 않았으므로,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1 물질막(105e) 및 제2 물질막(105f)은 패터닝되지 않은 채 잔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터닝되지 않은 제 2 물질막(105f)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패턴 구조물의 형상이 달라진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희생 패턴 구조물의 형상을 설명한다.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선폭(d1)을 갖는 희생 라인(104a)을 포함한다. 상기 희생 라인의 일 단부에 근접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갖는 제1 희생 패드부(104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희생 라인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희생 패드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갖는 제2 희생 패드부(104c)를 포함한다.
후속 공정에서, 상기 희생 라인(104a)의 양 측벽에는 2개의 라인 형상의 식각 마스크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희생 라인(104a)은 최종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상기 라인 형상의 식각 마스크들을 서로 이격시킨다. 상기 식각 마스크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희생 라인(104a)은 사진 공정의 한계 선폭만큼 좁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희생 라인(104a)은 약 40nm 내지 약 60nm 정도의 선폭을 가질 수 있다.
후속 공정에서, 상기 제1 희생 패드부(104b)는 1개의 라인 형상(즉,상기 2개의 라인 형상의 식각 마스크들 중 어느 하나)의 식각 마스크 패턴과 연결되는 패드 형상의 식각 마스크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희생 패드부(104c)는 나머지 1개의 라인 형상의 식각 마스크 패턴과 연결되는 패드 형상의 식각 마스크 패턴으로 형성된다.
희생 패턴 구조물(104) 중 주변 영역에 형성된 부분(104d)의 경우, 패터닝되지 않아 제1 물질막(105e) 및 제2 물질막(105f)이 주변 영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형태로 잔존한다. 이는 상술한 피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주변 영역에 형성된 부분(104d)은 별도의 패터닝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별도의 패터닝 공정에 대해서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희생 패드부(104b)는 상기 희생 라인(104a)의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예비 연장부(A)와 상기 제1 예비 연장부(A)와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패드가 형성되는 부위인 제1 예비 패드부(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희생 패드부(104c)는 상기 희생 라인(104a)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희생 라인(104a)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예비 연장부(A')와 상기 제2 예비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패드가 형성되는 부위인 제2 예비 패드부(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예비 패드부들(B, B')은 형성하고자 하는 패드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예비 연장부들(A, A')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게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꺾어진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희생 라인(104a)에서 상기 희생 패드부들(104b, 104c)의 반대편 단부들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꺾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와는 다른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희생 라인(104a)의 단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일정 각을 갖도록 꺾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에서 상기 꺾어진 부위의 선폭은 후속 공정에서 상기 희생 라인(104a)의 양 측벽에 형성되는 2개의 식각 마스크들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가 된다. 상기 2개의 식각 마스크들의 단부가 서로 브릿지되지 않으면서 충분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희생 라인(104a)에서 상기 꺾어진 부위의 선폭은 상기 제1 선폭(d1)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표면 및 식각 대상막(102)의 상부면을 따라 스페이서 형성막(108)을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은 실리콘 산화물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이 증착되는 두께는 이 후의 식각 마스크의 선폭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은 형성하고자 하는 식각 마스크의 선폭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은 사진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한계 선폭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은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을 덮도록 제2 포토레지스트막(미도시)을 코팅한다. 다음에, 사진 공정을 수행하여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은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11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꺾어진 부위가 노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의 제1 개구부(112)를 통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 및 스페이서 형성막(108)의 일부분이 노출된다. 비록 도 6b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12)는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단부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의 제1 개구부(112) 측벽으로부터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희생 라인(도 4c의 104a)의 외측벽까지의 거리(d2)가 적어도 약 30nm 내지 약 100n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개구부(112) 측벽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외측벽과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미스 얼라인에 의하여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구부(112) 측벽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외측벽과 지나치게 멀어지면 완성되는 미세 패턴들이 서로 브릿지되어 쇼트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은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반대편의 희생 라인(104a) 단부 외벽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형성막(108)을 노출시킨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셀 영역 및 연결 영역의 제 1 개구부(도 6b의 112)에 위치하는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일부 영역 상의 스페이서 형성막(108)이 제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노출되어 있는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 및 희생 패턴 구조물(104)을 식각한다.
상기 식각 공정을 수행하면,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반대편의 희생 라인(104a) 단부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형성막(108)이 식각되어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의 일 단부가 2개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식각 공정을 수행하면,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에서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사이에 제2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 개구부(114)의 측벽에는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측벽이 노출된다. 반면에, 상기 제2 개구부(114) 측벽 부위 및 상기 희생 라인(104a) 단부 이외에는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이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에 의해 모두 덮여있기 때문에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제거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은 애싱 및/또는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2 개구부(114) 측벽 및 희생 라인(104a) 단부에서 노출되는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제1 물질막 패턴(105a)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a)은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과 식각 특성이 유사한 유기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이 등방성으로 제거되므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a)의 일부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 및 제1 물질막 패턴(105a)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2 개구부(114)의 하부 측방으로 홈(130)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 개구부(114)의 하부의 폭이 상부 폭에 비해 더 커지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식각선택비를 가지는 스페이서 형성막(108)에 둘러싸인 제 1 물질막 패턴(105a, 105c, 105e)의 경우 제거되지 않은 채 잔존한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의 하부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물질막 패턴(105a)을 제거하여 상기 제2 개구부(114) 하부 측벽에 상기 희생 라인(104a) 양 측에 배치된 스페이서 형성막(108)이 각각 노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제거 공정에서,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의 각 예비 연장부(A, A')의 하부가 제거되며, 실질적으로 패드가 형성되는 부위인 각각의 예비 패드부(B, B')는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2 물질막 패턴(105c)은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상부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형상을 갖게 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을 이방성으로 식각함으로써,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양 측벽에 각각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108a, 108b, 108c)를 형성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개구부(114) 부위에는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108)이 이미 제거되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측벽에는 양쪽 단부가 각각 분리되어 있는 2개의 스페이서(108a, 108b)들이 형성된다. 또한, 분리된 하나의 스페이서(108a)는 상기 제1 희생 패드부(104b)의 측벽 부위를 감싸고, 분리된 나머지 스페이서(108b)는 상기 제2 희생 패드부(104c)의 측벽 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셀 영역 및 주변 영역과 마찬가지로, 주변 영역의 패터닝되지 않은 희생 패턴 구조물(104)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 형성막(108) 역시 이방성 식각됨으로써, 주변 영역의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양 측벽에 제3 스페이서(108c)가 형성된다. 제3 스페이서(108c)는 제1 희생막(105e) 및 제2 희생막(105f)의 측벽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에 포함되어 있는 제2 물질막 패턴(105d)이 남아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선폭을 갖는 희생 라인(104a)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물질막 패턴(105b)을 제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좁은 선폭을 가지는 셀 영역의 제 2 물질막 패턴(105b)의 소모량이, 넓은 선폭을 가지는 연결 영역의 제 2 물질막 패턴(105d)의 소모량보다 더 큰 식각 조건 하에서, 제 2 물질막 패턴(105b, 105d)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식각 조건은 상술한 3차원 효과에 기인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희생 패턴 구조물(104)의 형성 공정 결과, 상기 제1 선폭을 갖는 희생 라인(104a)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제2 물질막 패턴(105b)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제2 물질막 패턴(105d)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식각 마스크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식각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제2 물질막 패턴(105b, 105d)을 식각하면, 상기 희생 라인(104a)에 포함되어 있는 제2 물질막 패턴(105b)은 모두 제거되고, 나머지 희생 패드부(104b, 104c)에 포함되어 있는 제2 물질막 패턴(105d)은 남아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2 물질막(105f)은 패터닝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2 물질막 패턴(105b, 105d)의 식각 공정이 수행되더라도 상술한 3차원 효과에 의해 상대적으로 소량만이 제거된다. 따라서 제2 물질막(105f)은 여전히 제 1 물질막(105e)을 덮는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상기 3차원 효과와 관련하여 상기 피팅 현상을 설명하면, 워드 라인과 같이 매우 좁은 선폭, 예를 들어 40 nm 이하의 선폭을 가지는 패턴은 3차원 효과에 의해 많은 식각 데미지를 받게 되고, 따라서 도 4a의 셀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제2 물질막 패턴(105b)만이 남아있게 된다. 한편 패드와 같이 두터운 선폭, 예를 들어 100nm 이상의 선폭을 가지는 패턴은 3차원 효과에 의해 적은 식각 데미지를 받게 되고, 따라서 도 4a의 연결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2 물질막 패턴(105d)이 남아있게 된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구동 회로를 구현하는 주변 영역의 경우, 형성되어야 할 패턴의 선폭의 종류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야 할 패턴의 선폭이 i) 셀 영역의 워드 라인과 같이 40nm 이하의 선폭을 요구할 수도 있고, ii) 연결 영역의 패드와 같이 100nm 이상의 선폭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iii) 40nm 내지 100nm 사이의 선폭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i) 40nm 이하의 선폭과 iii) 100nm 이상의 선폭은 셀 영역 및 연결 영역과 동일한 방식의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ii) 40nm 내지 100nm 사이의 선폭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도 4a에 나타난 3차원 효과에 의해 "강한 식각 데미지(40nm 이하의 선폭)"와 "약한 식각 데미지(100nm 이상의 선폭)" 사이의 "중간 정도의 식각 데미지"를 받게 된다.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1 물질막(105e)과 제2 물질막(105f)이 패터닝된 경우, 제1 및 제2 물질막 패턴(미도시)은 40nm 내지 100nm 사이의 선폭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물질막 패턴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물질막 패턴이 온전히 남아있어야만 후속 공정에 의해 제1 물질막 패턴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40nm 내지 100nm의 선폭으로 구현된 상기 제2 물질막 패턴은 상기 "중간 정도의 식각 데미지"를 받게 되므로, 후속되는 더블 패터닝 공정(예를 들어, 도 10a의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물질막 패턴의 상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물질막의 일부가 원하지 않게 식각됨으로써 제 1 물질막의 상부가 노출되고, 그에 따라 식각되지 않아야 할 제1 물질막 일부가 식각되는 피팅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빌명의 기술 사상은 주변 영역에 형성된 패턴 구조물을 패터닝하지 않고(도 4a 참조), 추후 더블 패터닝 공정에 의한 미세 패턴의 형성 이후에 별도의 패터닝 공정(도 15a 참조)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제1 물질막(도 4a의 105e) 및 제2 물질막(도 4a의 105f)은 주변 영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형태로 잔존하며, 이러한 제1 및 제 2 물질막(도 4a의 105e, 105f)은 매우 큰 선폭을 가지게 되므로 더블 패터닝 공정에 의한 피팅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노출된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a)을 제거한다. 상기 제2 물질막 패턴(105d)이 남아있는 부위에는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c)이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c)이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2 물질막(105f)이 형성된 부위에는 제 1 물질막(105e)이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1 물질막(105e)이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된다.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a)을 제거하는 공정은 이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선폭을 갖는 희생 라인(104a)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물질막 패턴(105a)이 제거되면서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 사이에 갭이 생성된다. 반면에,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물질막 패턴(105c)은 그대로 남아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에서 예비 연장부(A, A')에 해당하는 부위는 제2 물질막 패턴(105d)만이 남아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 사이의 하부는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희생 패드부(104b, 104c)에서 예비 패드부(B, B')에 해당하는 부위는 제1 및 제2 물질막 패턴(105c, 105d)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예비 패드부(B. B') 측벽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도 남아있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남아있는 상기 제2 물질막 패턴(105d, 105f)을 모두 제거한다. 상기 제2 물질막 패턴(105d, 105f)을 모두 제거하면, 기판(100) 상의 식각 대상막(102)을 식각하기 위한 식각 마스크 패턴이 완성된다.
셀 영역에서,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은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를 포함한다. 셀 영역의 경우 제1 및 제 2 스페이서(108a, 108b) 사이에 형성된 제1 물질막 패턴(도 10a의 105a)이 제거되었으므로, 제1 및 제 2 스페이서(108a, 108b) 사이의 공간에 식각 대상막(102)의 상면이 노출된다.
연결 영역에서,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은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와, 상기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의 일 단부와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패드 마스크 패턴(118a, 118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패드 마스크 패턴(118a, 118b)은 연결 영역에 잔존하는 제1 물질막(105c)과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주변 영역에서,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은 제 3 스페이서(108c)와 제 3 스페이서(108c)의 단부와 접하는 벌크 마스크(118c)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패드 마스크 패턴(118a, 118b)과 벌크 마스크(118c)는 제1 물질막(105c, 105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은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셀 영역에서, 미세한 선폭을 갖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가 라인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도 매우 좁다.
연결 영역에서,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은, 남아있는 제1 물질막 패턴(105c) 및 제1 물질막 패턴(105c)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은 패드를 형성하기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제1 및 제2 패드 마스크 패턴(118a, 118b)을 포함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스페이서(108a)는 상기 제1 패드 마스크 패턴(118a)의 측벽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패드 마스크 패턴(118a)의 일 측방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P)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스페이서(108b)는 상기 제2 패드 마스크 패턴(118b)의 측벽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2 패드 마스크 패턴(118b)의 일 측방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P)를 갖는다.
연결 영역의 상기 스페이서(108a, 108b)의 돌출부(P)는,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2 개구부 측벽(114)에 노출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108a, 108b)는 제거되지 않고 이웃하는 제1 물질막 패턴(105a)들이 일부 제거되면서 생성된 것이다. 즉, 상기 제1 물질막 패턴(105a)이 제거된 깊이만큼 상기 제1 및 제2 스페이서들(108a, 108b)이 측방으로 돌출된다.
주변 영역에서,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은, 남아있는 제1 물질막(105e)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공되는 벌크 마스크(118c)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벌크 마스크(118c)는 패터닝되지 않은 상태이며, 별도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다양한 선폭을 자기는 패턴으로 형성될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식각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식각 대상막(102)을 식각함으로써 원하는 패턴 구조물(122)을 형성한다. 셀 영역 및 주변 영역에서 상기 패턴 구조물(12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을 포함하고, 주변 영역에서 상기 패턴 구조물(122)은 제3 패턴(122c)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의 제 3 패턴(122c)은 제3 스페이서(도 12의 108c) 및 벌크 마스크(도 12의 118c)에 의해 마스킹되어 형성된 것으로, 실질적으로 패터닝되지 않은 벌크 패턴에 해당한다. 이는 상술한 더블 패터닝 공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별도의 공정을 통해 다양한 선폭을 가지는 패턴들로 형성될 것이다.
도 8a 내지 도 13b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을 수행할 때, 사진 공정이 수반되지 않고 계속하여 막들의 식각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도 8a 내지 도 13b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은 인-시튜(in-situ)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한 사진 공정이 수반되지 않기 때문에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되고, 인-시튜로 식각 공정들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 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공정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식각 대상막인 패턴 구조물(122) 상에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을 형성한다. 이후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을 패터닝하기 위해,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에 대한 사진 공정을 수행한다. 노광에 의해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의 일부(132a)의 막질이 변화(예를들어, 알칼리 가용성으로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 영역의 회로 패턴(도 17b의 170)은 별도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은 상기 별도의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 중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막만이 사진 공정의 대상이 되고, 셀 영역 및 연결 영역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막은 사진 공정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의 막질이 약해진 부분(도 14a의 132a)을 제거하여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형성한다.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에 의해 식각 대상막인 제3 패턴(122c)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3 개구부(135)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은 주변 영역 상에만 형성될 수 있고, 셀 영역 및 연결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막은 패터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선택 트랜지스터(도 26의 SSL, GSL)의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셀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막이 패터닝될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27a 내지 도 29b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 3 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3 패턴(122c)을 식각한다. 벌크 패턴인 제3 패턴(122c)은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복수개의 패턴(도 17a 및 도 17b의 170a, 170b)으로 분리된다.
이후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이 제거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셀 영역 및 연결 영역상에 제1 구조물(160)과 주변 영역 상에 제2 구조물(170)이 형성된다. 제1 구조물(160)은 제1 패턴(122a) 및 제2 패턴(122b)을 포함하고, 제2 구조물(170)은 복수개의 패턴(170a, 17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부에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패드를 포함하고 미세한 선폭을 갖는 패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라인 패턴과 패드를 각각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라인 패턴과 패드가 서로 미스-얼라인되는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들이 피팅 현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더블 패터닝 공정 동안 주변 영역에 형성된 식각 대상막을 패터닝하지 않고 별도의 사진 공정을 통해 주변 영역의 식각 대상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상술한 "중간 정도의 식각 데미지"를 받는 선폭을 가지는 패턴들이 피팅 데미지(pitting damage)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도 3a 내지 도 17b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일부 변형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간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판은 반도체 기판(50), 소자 분리막(55), 터널링 절연층(60), 전하 저장층(70), 블로킹 절연층(80), 및 게이트 도전층(9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5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실리콘-온-절연체(silicon-on-insulator), 실리콘-온-사파이어(silicon-on-sapphire), 게르마늄, 실리콘-게르마늄, 및 갈륨-비소(gallium-arsenid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50)의 액티브 영역(A)은 소자 분리막(5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터널링 절연층(60)은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3N4), 실리콘 산질화물(SiON), 하프늄 산화물(HfO2), 하프늄 실리콘 산화물(HfSixOy),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및 지르코늄 산화물(ZrO2)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들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전하 저장층(70)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터널링 절연층(60) 상에 위치한다. 전하 트랩 플래시(charge trap flash) 방식에서, 전하 저장층(70)은 실리콘 질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게이트 방식에서, 전하 저장층(70)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 절연층(80)은 전하 저장층(70) 상에 형성되어, 전하 저장층(70)에 저장된 전하가 게이트 도전층(90)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블로킹 절연층(80)은, 하부 유전층, 고유전율 층, 및 상부 유전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영역에 형성된 블로킹 절연층은 내부에 버팅 콘택 홀(butting contact hole, 85)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도전층(90)은 블로킹 절연층(8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도전층(80)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실리사이드 물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게이트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에서, 주변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도전층(90)은 버팅 콘택 홀(85) 내부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게이트 도전층(90)과 전하 저장층(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기판(50), 터널링 절연층(60), 전하 저장층(70), 소자 분리막(55), 및 블로킹 절연층(80)의 형성 과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50) 상에 터널링 절연층(60) 및 전하 저장층(70)을 차례로 형성하고, 전하 저장층(70), 터널링 절연층(60), 및 반도체 기판(50)을 패터닝하여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트렌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을 평탄화시킴으로써 소자 분리막(55)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는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 에치 백(etch back)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셀 영역에 형성된 액티브 영역 및 소자 분리막(55a)은 매우 조밀하게(densely) 형성되는 반면, 주변 영역에 형성된 액티브 영역 및 소자 분리막(55b)은 성기게(sparsely)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셀 영역에 형성된 소자 분리막(55a)의 패턴 밀도는 주변 영역에 형성된 소자 분리막(55b)의 패턴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이후, 도 24를 참조하면, 셀 영역 내 전하 저장층(70a)의 측면을 감싸도록 블로킹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하기 위해, 소자 분리막(55)을 식각하여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전하 저장층(70)의 소모량보다 소자 분리막(55)의 소모량이 더 큰 식각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3차원 효과(즉, 폭이 좁은 패턴의 단위 면적당 식각량이 폭이 넓은 패턴의 단위 면적당 식각량보다 큼)에 의해,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b) 보다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a)이 더욱 많이 식각된다. 따라서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b)과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a)의 단차(즉, 높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8의 전하 저장층(도 18의 70)은 도 24에서 설명된 단차가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이는 공정 도시의 단순성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셀 영역과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도 18의 70)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50), 소자 분리막(55), 터널링 절연층(60), 전하 저장층(70), 블로킹 절연층(80), 및 게이트 도전층(9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형성된 식각 대상막에 대해 도 3a 내지 도 13b에 설명된 더블 패터닝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더블 패터닝 공정에 의해 셀 영역에 제1 패턴(122a) 및 제2 패턴(122b)과 주변 영역에 제3 패턴(122c)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블 패터닝 공정에 의해 패터닝되지 않은 제3 패턴(122c)은 실질적으로 벌크 패턴에 해당한다. 피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3 패턴(122c)은 후술할 별도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패터닝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패턴(122a), 제2 패턴(122b), 및 제3 패턴(122c)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게이트 도전층(90)에 대한 식각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게이트 도전층(90) 사이의 공간에 블로킹 절연층(80)의 상면이 노출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블로킹 절연층(80), 게이트 도전층(90), 및 제1 내지 제3 패턴들(122a, 122b, 122c)을 덮도록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을 패터닝하여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블 패터닝 공정 동안 "중간 정도의 식각 데미지"를 받는 선폭을 가지는 주변 영역의 회로 패턴들이 피팅 데미지를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이용하여 별도의 패터닝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막 중 주변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막만이 패터닝되고, 셀 영역 및 연결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막(132)은 패터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식각 마스크로 노출된 제3 패턴(122c) 및 게이트 도전층(90)을 식각한다.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 3 패턴(122c)은 복수개의 패턴들(170a, 170b)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각 공정 동안 블로킹 절연층(80)이 더 식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영역에 블로킹 절연층(80)이 남아 있음에도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된 블로킹 절연층(80)을 먼저 식각하는 이유는, 도 23 및 도 2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영역과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들(도 24의 70a, 70b) 사이에 단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셀 영역과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들(도 24의 70a, 70b)의 패턴 밀도 차이(도 24 참조)에 의해,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도 24의 70b)의 높이가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도 24의 70a)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차이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셀 영역과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70) 모두에 동일한 식각 공정을 진행할 경우, 셀 영역의 전하 저장층은 완전히 식각되지만,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이 완전히 식각되지 않을 수 있다. 전하 저장층이 완전히 식각되지 않고 하부에 전하 저장층 일부가 잔존하는 경우, 식각된 전하 저장층 패턴들 사이에 스트링거(stringer) 불량과 같은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각 공정 동안 제3 패턴(122c) 및 게이트 도전층(90) 뿐만 아니라, 블로킹 절연층(80)이 더 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추후 셀 영역과 주변 영역 모두에 동일한 식각 공정이 진행되더라도 셀 영역의 블로킹 절연층이 식각되는 동안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이 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셀 영역과 주변 영역간에 단차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이 잔존하지 않고 완전히 식각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제3 포토레지스트막(132) 및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제1 패턴(122a), 제2 패턴(122b), 및 제3 패턴(122c)을 포함하는 패턴 구조물(122)을 식각 마스크로, 액티브 영역(A) 상의 블로킹 절연층(80), 전하 저장층(70), 및 터널링 절연층(60)을 순차적으로 식각한다. 이 경우 소자 분리막(55) 상에서는, 블로킹 절연층(80) 및 소자 분리막(55) 일부가 식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킹 절연층(80)은 셀 영역 상에서만 식각될 수 있고, 셀 영역의 블로킹 절연층(80)이 식각되는 동안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가지는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70)이 식각됨으로써, 셀 영역과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70) 모두가 완전히 식각될 수 있다.
도 25는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의 회로도이다. 도 2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턴 구조물을 포함하는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의 평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기판의 셀 영역에는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들이 구비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되는 각각의 셀 스트링은 복수의 워드 라인들(WL1, WL2, WL3,..., WLm)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트링에는 32개 또는 64개의 워드 라인이 배치된다. 상기 워드 라인들(WL1, WL2, WL3,..., WLm)과 연결되어 단위 셀 트랜지스터들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워드 라인들(WL1, WL2, WL3,..., WLm)의 최외곽에는 각각 셀 선택 라인(SSL) 및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이 배치된다. 상기 셀 선택 라인(SSL) 및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과 연결되어 각각 셀 선택 트랜지스터 및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가 구비된다.
상기 셀 선택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은 비트 라인(bit line)과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은 공통 소오스 라인(GSL)과 연결된다. 상기 공통 소오스 라인(CSL)은 워드 라인들(WL1, WL2, WL3,..., WLm)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른 스트링들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연장된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공통 소오스 라인(CSL)을 기준으로 셀 스트링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된 NAND 플래시 셀 회로들은 기판 상에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은 반도체 기판, 터널링 절연층, 전하 저장층, 블로킹 절연층, 및 게이트 도전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은 회로들이 구현되기 위한 액티브 영역 및 각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소자 분리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액티브 영역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액티브 패턴(350)들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350)은 사진 공정의 한계 선폭만큼 좁은 선폭을 갖는다. 상기 액티브 패턴(350)들 사이에는 트렌치들(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트렌치들 내부에는 절연 물질이 채워짐으로써 소자 분리막 패턴들(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액티브 패턴(350) 상에는 셀 트랜지스터(354), 워드 라인(360) 및 선택 트랜지스터(356)들이 구비된다.
상기 셀 트랜지스터(354)는 터널링 절연층(도 29b의 60), 전하 저장층(도 29b의 70), 블로킹 절연층(도 29b의 80), 및 게이트 도전층(도 29b의 9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링 절연층(도 29b의 60)은 액티브 패턴(350)의 표면 상에 구비된다. 게이트 도전층(도 29b의 90)은 워드 라인(360)에 해당하고, 상기 워드 라인들(360) 각각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워드 라인(360)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의 패턴 구조물 어레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 구조물(도 22b의 122)이 반복되는 패턴 구조물 어레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워드 라인(360)들의 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선폭을 갖는 패드(361)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패드(361)상에는 상기 패드(36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콘택 플러그(368a)가 구비된다.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356)는 셀 트랜지스터(354)와 마찬가지로 터널링 절연층(도 29b의 60), 전하 저장층(도 29b의 70), 블로킹 절연층(도 29b의 80), 및 게이트 도전층(도 29b의 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 트랜지스터는 데이터 저장의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터널링 절연층(도 29b의 60)은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하고, 전하 저장층(도 29b의 70), 블로킹 절연층(도 29b의 80), 및 게이트 도전층(도 29b의 90)은 게이트 전극(362)으로서 기능한다. 전하 저장층(도 29b의 70) 및 게이트 도전층(도 29b의 90)이 하나의 게이트 전극(362)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블로킹 절연층(도 29b의 80)은 내부에 버팅 콘택 홀(8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62)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356)에 포함되는 게이트 전극(362)은 워드 라인(360)에 비해 충분히 넓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356)의 게이트 전극(362)와 마찬가지로, 주변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390)에 포함된 터널링 절연층(도 29b의 60)은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하고, 전하 저장층(도 29b의 70), 블로킹 절연층(도 29b의 80), 및 게이트 도전층(도 29b의 90)은 게이트 전극(362)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블로킹 절연층(도 29b의 80)은 내부에 버팅 콘택 홀(85)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주변 영역의 게이트 전극(390)은 워드 라인(360)에 비해 충분히 넓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390)은 별도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362) 역시 워드 라인(360)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피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주변 영역의 게이트 전극(390)이 아닌 셀 영역의 게이트 전극(362) 대해서도 선택적으로 별도의 패터닝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7a 내지 도 29a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a 내지 도 29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각각의 도면 중 a도는 도 26의 A-A'를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고, b도는 도 26의 B-B'를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도 18 내지 도 22b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일부 변형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간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7a 를 참조하면, 셀 영역의 제1 및 제 2 패턴(122a, 122b)과 벌크 패턴(122d) 상에 제3 포토레지스트막(미도시)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벌크 패턴(122d)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형성한다. 벌크 패턴(122d)은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도 26의 362)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으로서, 사진 공정의 한계 선폭보다 더 큰 선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7b를 참조하면, 주변 영역의 제3 패턴(122c) 상에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주변 영역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형성한다.
도 28a를 참조하면, 셀 영역의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벌크 패턴(122d), 게이트 도전층(90), 및 블로킹 절연층(80)을 차례로 식각한다. 벌크 패턴(122d)이 식각됨으로써 선택 트랜지스터 패턴(17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28b를 참조하면, 주변 영역의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제 3 패턴(122c), 게이트 도전층(90), 및 블로킹 절연층(80)을 차례로 식각한다. 제 3 패턴(122c)이 식각됨으로써 주변 영역의 회로 패턴(170)이 형성된다.
이후 도 29a를 참조하면, 셀 영역의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제거하고,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과 벌크 패턴(122d)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블로킹 절연층(80), 전하 저장층(70), 및 터널링 절연층(60)을 차례로 식각한다.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2개의 선택 트랜지스터(도 26의 35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9b를 참조하면, 셀 영역의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제거하고,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과 벌크 패턴(122d)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블로킹 절연층(80), 전하 저장층(70), 터널링 절연층(60) 및 소자 분리막(55)을 차례로 식각한다.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주변 영역의 게이트 전극(도 26의 3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더블 패터닝 공정 이후 별도로 수행되는 사진 공정 동안, 주변 영역의 제3 패턴(122c) 뿐만 아니라, 셀 영역의 벌크 패턴(122d) 또한 패터닝될 수 있다. 따라서 더블 패터닝 공정을 적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주변 영역의 제 3 패턴(122c)의 피팅 현상뿐만 아니라 셀 영역의 벌크 패턴(122d)의 피팅 현상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패턴(122c)은 주변 영역의 구동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이용되고, 벌크 패턴(122d)은 셀 영역의 선택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이용된다.
도 30 내지 도 33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중 도 30 및 도 31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일부 변형한 것이고, 도 32a 내지 도 33b는 도 28a 내지 도 29b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일부 변형한 것이다.
도 2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자 분리막(55)을 식각함으로써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a)과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b)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0을 참조하면,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a)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420)을 형성하고,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만(70b)을 노출시킨다. 이후, 도 31을 참조하면,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70b)에 대한 식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b)과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70a)의 단차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들(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2b(및 도 23과 도 24)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또는 도 27a 내지 도 29b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과 셀 영역에 형성된 전하 저장층의 높이 차이 때문에 스트링거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사진 공정에 따른 식각 공정 동안 주변 영역에 형성된 블로킹 절연층을 미리 식각하였고, 그에 따라 셀 영역과 주변 영역 모두에 동일한 식각 공정이 진행되더라도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이 완전히 식각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경우, 소자 분리막(55) 형성시 발생할 수 있는 전하 저장층(70a, 70b)의 높이 차이를 더블 패터닝 공정 전에 미리 제거하여 스트링거 불량의 문제를 방지하고 더블 패터닝 공정 및 사진 공정 등이 더욱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32a 및 도 32b를 참조하면, 스트링거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벌크 패턴(122d), 제3 패턴(122c), 게이트 도전층(90), 및 블로킹 절연층(80)을 차례로 식각하는 도 28a 및 도 28b와 달리, 셀 영역 및 주변 영역의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벌크 패턴(122d), 제3 패턴(122c), 및 게이트 도전층(90)을 차례로 식각하고, 블로킹 절연층(80)은 식각하지 않는다.
도 33a 및 도 33b를 참조하면,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140)을 제거하고, 제1 및 제2 패턴(122a, 122b)과 벌크 패턴(122d)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블로킹 절연층(80), 전하 저장층(70a, 70b), 및 터널링 절연층(60)을 차례로 식각함으로써 선택 트랜지스터 및 회로 패턴을 형성한다. 도 24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 셀 영역의 전하 저장층(70a)과 주변 영역의 전하 저장층(70b)의 높이가 동일해졌기 때문에, 주변 영역의 블로킹 절연층(80)이 따로 식각되지 않아도 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카드(100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10)와 메모리(1020)는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10)에서 명령을 내리면, 메모리(102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해당 로직 게이트 설계에 대응하여 "NAND" 및 "NOR" 아키텍쳐 메모리 어레이(미도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된 메모리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1020)은 이러한 메모리 어레이(미도시) 또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1000)는 상술한 메모리 어레이 뱅크(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하여 통상의 행디코더(미도시), 열디코더(미도시), I/O 버퍼들(미도시), 및/또는 제어 레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1000)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 예를 들어 메모리 스틱 카드(memory stick car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 media card; SM), 씨큐어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SD), 미니 씨큐어 디지털 카드(mini secure digital card; mini SD), 또는 멀티 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MMC)와 같은 메모리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시스템(110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메모리(1130) 및 인터페이스(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은 모바일 시스템 또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PDA,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또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일 수 있다. 컨트롤러(11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스템(11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컨트롤러(111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 장치(1120)는 시스템(1100)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1100)은 입/출력 장치(113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120)는, 예를 들어 키패드(keypad), 키보드(keyboard) 또는 표시장치(display)일 수 있다. 메모리(1130)는 컨트롤러(1110)의 동작을 위한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컨트롤러(111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40)는 상기 시스템(1100)과 외부의 다른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통로일 수 있다.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메모리(1130) 및 인터페이스(1140)는 버스(115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스템(1100)은 모바일 폰(mobile phone),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고상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또는 가전 제품(household appliances)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첨부한 도면의 각 부위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시된 형상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기재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식각 대상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연결 영역에 형성된 상기 희생막을 패터닝하여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측벽들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1차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영역 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영역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2차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동안, 상기 셀 영역 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이 더 패터닝되고,
    상기 2차 식각하는 단계에 의해 식각된 상기 식각 대상막은, 상기 셀 영역에서는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이용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서는 구동 회로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도체 기판, 터널링 절연층, 전하 저장층, 블로킹 절연층, 및 게이트 도전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식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셀 영역의 상기 게이트 도전층이 더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식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게이트 도전층이 더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물질막 상에 제 2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 1 물질막을 식각하여 제 1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동안,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 중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은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보다 더 많이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식각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 중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의 식각 소모량이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2 물질막 패턴의 식각 소모량보다 더 큰 식각 조건 하에서,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제 1 물질막 패턴 중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 1 물질막 패턴의 상면은 노출되고,
    상기 연결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제 1 물질막 패턴의 상면은 상기 제 2 물질막 패턴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식각 대상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막을 패터닝하여 희생 패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 상에 스페이서 형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일부 영역 상의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을 식각하여, 상기 스페이서 형성막의 잔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1차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영역 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영역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2차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셀 영역, 연결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식각 대상막 및 희생 패턴 구조물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의 측벽들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희생 패턴 구조물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1차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영역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막을 2차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00103057A 2010-10-21 2010-10-2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20041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057A KR20120041558A (ko) 2010-10-21 2010-10-2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13/241,788 US8921233B2 (en) 2010-10-21 2011-09-23 Microelectronic fabrication methods using composite layers for double patte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057A KR20120041558A (ko) 2010-10-21 2010-10-2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558A true KR20120041558A (ko) 2012-05-02

Family

ID=4597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057A KR20120041558A (ko) 2010-10-21 2010-10-2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21233B2 (ko)
KR (1) KR201200415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501B2 (en) 2015-01-05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759A (ko) * 2013-10-15 2015-04-2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9406522B2 (en) 2014-07-24 2016-08-02 Applied Materials, Inc. Single platform, multiple cycle spacer deposition and etch
KR20160022637A (ko) * 2014-08-20 201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9324619B2 (en) * 2014-08-25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290460B1 (ko) * 2014-08-25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365311A1 (en) * 2015-06-10 2016-12-15 Macronix International Co.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mbined array and periphery patterning in self-aligned double patterning
KR102480002B1 (ko) 2015-09-23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패턴 형성 방법
KR20170091833A (ko) * 2016-02-01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418252B2 (en) * 2016-12-16 2019-09-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Fin-like field effect transistor patterning methods for increasing process margi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6578B2 (en) * 2006-09-14 2010-02-23 Micron Technology, Inc. Efficient pitch multiplication process
JP2009049338A (ja) 2007-08-23 2009-03-0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92359B1 (ko) 2007-12-17 201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0083B1 (ko) 2008-10-22 2015-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501B2 (en) 2015-01-05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00706A1 (en) 2012-04-26
US8921233B2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1233B2 (en) Microelectronic fabrication methods using composite layers for double patterning
US781174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456811B1 (ko) 인접 메모리 셀 사이의 서로 다른 실질적 수직 거리를 갖는 메모리 어레이
US6593190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a bit line contact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700982B2 (ja) 半導体装置のパターン構造物
US2006023416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09194244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320934B2 (en) Method of forming a contact in a flash memory device
KR100809328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를통해서 제조된 비휘발성 메모리 집적 회로 장치
KR100660543B1 (ko) 낸드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032763A1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bit lines
US7541243B2 (en)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gate electrodes formed on non-uniformly thick gate insulating layers
KR101360134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90049379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0021496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43905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131635A1 (en) Flash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60148198A1 (en) Method for forming device isolation region in semiconductor device
US738165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20090127007A (ko) 공유 비트라인을 구비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00649308B1 (ko) 자기 정렬 플로팅 게이트 어레이 형성 방법 및 자기 정렬플로팅 게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KR100890400B1 (ko) 도전성 구조물 및 그 형성 방법, 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3824B1 (ko) 부유 게이트의 측벽 상에 이중 스페이서들을 구비하는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9990018367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47764A1 (en) Non-volatile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