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886A -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886A
KR20120035886A KR1020110101223A KR20110101223A KR20120035886A KR 20120035886 A KR20120035886 A KR 20120035886A KR 1020110101223 A KR1020110101223 A KR 1020110101223A KR 20110101223 A KR20110101223 A KR 20110101223A KR 20120035886 A KR20120035886 A KR 20120035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map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마사 모리치카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4Data obtained from position sensors only, e.g. from inertial navig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지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와,
표시부(16)와,
사용자의 이동 상태의 복수의 종류 중에서, 현재의 사용자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류를 검출하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와,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종류의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부(32)와,
상기 표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표시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33)
를 구비하는 정보 표시 처리 장치.

Description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따른 적절한 표시 형태로, 지도를 표시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비게이션 장치 중에는, 차량에 탑재된 상태(이하, "탑재 상태"라고 함) 뿐만 아니라, 차량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이하, "비탑재 상태"라고 함)로도 사용 가능한 것도 있다.
여기서, 탑재 상태와 비탑재 상태에서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이동 속도, 즉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지도의 확인 작업을 행하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크게 다르다.
따라서, 탑재 상태와 비탑재 상태 중 어느 쪽의 경우에도 동일한 축척의 지도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된 지도로부터 적절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가, 탑재 상태로부터 비탑재 상태로 천이하였을 때, 상세한 지도의 축척으로 변경하는 기술이,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8-286577호 공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적절한 표시 형태로 지도를 표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지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표시 수단과,
현재의 사용자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 수단과,
상기 표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표시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정보 표시 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사용자 상태 검출 단계와,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 단계와,
상기 표시 설정 단계에 의해 설정된 상기 표시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사용자 상태 검출 기능과,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 기능과,
상기 표시 설정 기능에 의해 설정된 상기 표시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기능
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지도 표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 중, 사용자의 이동 상태와 그 검출 조건을 등록(기억)하기 위한 테이블(영역)의 구조예이다.
도 4는 지도 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표시부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표시부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표시부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정보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1)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메모리(12)와, 촬상부(13)와,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와, 조작부(15)와, 표시부(16)와, 백라이트(17)와, GPS부(18)와, GPS 수신 안테나(19)와, 센서부(20)와, 자율 항법부(21)와, 드라이브(22)를 구비한다.
CPU(11)는, 메모리(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후술하는 지도 표시 처리를 포함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12)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12)에 있어서, ROM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다.
RAM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12)에 포함되는 DRAM은, 후술하는 촬상부(13)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한, DRAM은, 각종 화상 처리나 음성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도 기억한다.
또한, DRAM은, 화상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의 보존과 판독을 행하기 위한 표시 메모리 영역을 구비한다.
촬상부(13)는, 예를 들면,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다.
광학 렌즈부는, 촬상 화각에 포함되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광학 렌즈부에는, 또한,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설치된다.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면, 광전(光電)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셔터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피사체상(被寫體像)이 입사된다.
그리고, 광전 변환 소자는, 일정 시간마다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영)하여 화상 신호를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AFE에 차례로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해, 디지털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가, 이미지 센서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그리고, 이하, 화상 신호의 디지털 신호를, "화상 데이터"라고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촬상부(13)로부터는 최종적으로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12)에 공급된다.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축적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에는, 지도 정보와 위치 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지도 데이터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조작부(15)는, 셔터 키, 전원 버튼, 줌 키, 및 모드 전환 키 등의 각종 버튼이나 키로 구성된다.
사용자에 의해 각종 버튼이나 키가 푸시 조작되면, 푸시 조작된 버튼이나 키에 대응한 조작 신호가 발생하고, CPU(11)에 공급된다.
표시부(16)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6)는, 디지털 카메라(1)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지도를 표시한다.
백라이트(17)는, 표시부(16)를 구성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그 배면으로부터 조명한다.
즉, 백라이트(17)의 밝기 등의 상태가 변화하면,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밝기(휘도) 등도 변화한다.
GPS부(18)는, GPS 수신 안테나(19)를 통하여, 복수의 GPS용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한다.
GPS부(18)는, 이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1)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산출한다.
센서부(20)는, 3축 지자기(地磁氣) 센서(20A)와, 3축 가속도 센서(20B)와, 경사 센서(20C)를 구비한다.
3축 지자기 센서(20A)는, 예를 들면, 외부 자계의 변동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MI 소자(자기 임피던스 소자: Magneto-Impedance element)를 구비하고 있다.
3축 지자기 센서(20A)는, 상기 MI 소자를 사용하여, 지자기의 3축(X, Y, Z) 성분을 검출하고, 그 검출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3축 지자기 센서(20A)의 검출 데이터를, 이하, "3축 지자기 데이터"라고 한다.
3축 가속도 센서(20B)는, 피에조 저항형 또는 정전 용량형의 검출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있다.
3축 가속도 센서(20B)는, 상기 검출 기구를 사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가속도의 3축(X, Y, Z) 방향 성분을 검출하고, 그 검출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3축 가속도 센서(20B)의 검출 데이터를, 이하, "3축 가속도 데이터"라고 한다.
여기서, 3축 가속도 데이터의 3축 방향 성분 중, X축 방향 성분은, 중력 가속도의 방향 성분(중력 방향 성분)에 대응하고 있다.
Y축 방향 성분은, 중력 가속도에 대하여 수직인 수평면 내에서,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성분(가로 방향 성분)에 대응하고 있다.
Z축 방향 성분은, 중력 가속도에 대하여 수직인 수평면 내에서, 사용자의 진행하는 방향 성분(진행 방향 성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3축 가속도 센서(20B)는, 임의의 경사 각도로 유지된 상태에서도, 경사 각도에 따른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CPU(11)는, 경사 각도에 따라 보정된 상기 3축 가속도 센서(20B)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가동 기구를 가지는 센서류, 구체적으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사용한 경사 센서(20C)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한다.
이로써, CPU(11)는, 디지털 카메라(1)에 원심력 등의 외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전철이나 자동차 등으로 이동 중에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라도, 각종 데이터를 정확하게 취득하여 측위(測位)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경사 센서(20C)는, 예를 들면, 가해진 각속도(角速度)에 대응한 전압값을 출력하는 압전 진동 자이로 등의 각속도 센서로 구성된다.
즉, 경사 센서(20C)의 검출 결과가, 디지털 카메라(1)의 경사 그 자체를 나타내지 않고, 경사 센서(20C)의 검출 결과(각속도를 나타내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1)의 경사의 변화량이 CPU(11)에 의해 산출된다.
구체적으로는, CPU(11)는, 경사 센서(20C)로부터 차례로 출력되는 각 전압값을 적분함으로써, 경사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경사 변화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CPU(11)는, 3축 가속도 센서(20B)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사 센서(20C)의 검출 결과를 보정함으로써, 원심력 등의 외력이 인가된 상태에 있어서도 방위의 계측이 가능하다.
자율 항법부(21)는, GPS부(18)로부터의 위치 정보의 출력이 중단된 경우나 GPS부(18)를 간헐적으로 구동 동작시켜 위치 정보를 출력할 때, CPU(11)가 대신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적인 정보(이하, "위치 보조 정보"라고 함)를 출력한다.
자율 항법부(21)는, 이와 같은 위치 보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 자율 항법 제어부(21A)와, 자율 항법 기억부(21B)와, 자율 항법 오차 보정부(21C)를 구비하고 있다.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3축 지자기 센서(20A)로부터 출력된 3축 지자기 데이터와 3축 가속도 센서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1)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진행 방향의 방위를 산출한다.
또한,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3축 가속도 센서(20B)로부터 차례로 출력된 3축 가속도 데이터의 진행 방향 성분을 적분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여기서, 이동 거리란, 소정의 개시점 위치로부터, 현재의 디지털 카메라(1)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소정의 개시점 위치란, 자율 항법 제어부(21A)가 적분을 개시한 때의 위치를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개시점 위치란, 초기 설정으로 적분이 0으로 셋팅된 시점 또는 그 후 0으로 리셋된 시점에서의, 디지털 카메라(1)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말한다.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이동 방위 및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위치 보조 정보로서 CPU(11)에 공급한다.
CPU(11)는, 위치 보조 정보에 기초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후술하는 자율 항법 오차 보정부(21C)로부터 공급되는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보조 정보를 보정한다.
이 보정 정보의 생성에는, GPS부(18)로부터 위치 정보에 대응한 위치 보조 정보의 이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GPS부(18)로부터 위치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수시로 위치 보조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
자율 항법 기억부(21B)는, 자율 항법부(21)의 연산 결과나, 그 연산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적절하게 기억한다.
예를 들면, 자율 항법 기억부(21B)는, 자율 항법 제어부(21A)로부터 출력된 위치 보조 정보, 즉 디지털 카메라(1)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이동 방위 및 이동 거리를 기억한다.
자율 항법 오차 보정부(21C)는, 센서부(20)의 검출 결과에 기인하는 위치 보조 정보[디지털 카메라(1)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이동 방위 및 이동 거리]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보정 정보"라고 함)를 생성한다.
자율 항법 오차 보정부(21C)는, 생성한 보정 정보를 자율 항법 제어부(21A)에 공급한다.
이 경우,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보정 정보를 사용하여, 위치 보조 정보를 보정한다.
이로써, 센서부(20)의 검출 결과에 기인하는 오차가 저감된 위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센서부(20)의 검출 결과는,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쉽다.
따라서, 이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은 센서부(20)의 검출 결과에 기인하여, 위치 보조 정보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자율 항법 오차 보정부(21C)는, 수시로, 자율 항법 제어부(21A)에 의해 위치 보조 정보로서 산출된 이동 방위 및 이동 거리와, GPS부(18)로부터 출력된 위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이동 방위 및 이동 거리와의 차분을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방위의 차분과 이동 거리의 비율이, 보정 정보로서 연산된다.
그리고, 자율 항법 오차 보정부(21C)는, 연산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하, "차분 데이터"라고 함)를 보정 정보로서, 상기 차분 데이터가 얻어졌을 때의 온도나 온도 변화량과 대응시켜, 자율 항법 기억부(21B)에 기억시킨다.
이 경우,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이동 방위 및 이동 거리를 연산할 때, 그 시점의 온도에 대응하는 차분 데이터를 보정 정보로서, 자율 항법 기억부(21B)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보정 정보를 사용하여, 위치 보조 정보를 보정한다.
이로써, 센서부(20)의 검출 결과에 기인하는 오차가 저감된 위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드라이브(22)에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매체(23)가 적절하게 장착된다.
드라이브(22)에 의해 이동식 매체(23)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메모리(12)나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 등에 인스톨된다.
또한, 이동식 매체(23)는,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 대신, 복수의 지도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와 대응시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매체(23)는, 메모리(12) 등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1)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1)는, 3축 가속도 센서(20B)로부터 출력되는 각 방향 성분의 가속도 데이터의 진동 주기와 그 진폭량을 구한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는, 이 진동 주기와 진폭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한다.
여기서, 검출 가능한 사용자의 이동 상태로서 복수 종류가 있다.
이들 복수 종류 중에서, 현재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적합한 종류가 검출된다.
디지털 카메라(1)는, 검출된 종류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표시부(16)에 표시하게 하는 지도의 표시 형태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표시부(16)에 표시하게 하는 지도의 축척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를, 이하, "지도 표시 처리"라고 한다.
이와 같은 지도 표시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따라 바람직한 축척의 지도가 표시부(16)에 표시된다.
도 2는, 이와 같은 지도 표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1)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구성 중, CPU(11)와,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와, 표시부(16)와, 백라이트(17)와, GPS부(18)와, 센서부(20)만이 도시되어 있다.
CPU(11)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와, 표시 설정부(32)와, 표시 제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는, 지도 데이터베이스(41)[이하, "지도 DB(41)"라고 함]와, 문자 폰트 데이터베이스(42)[이하, "문자 폰트 DB(42)"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센서부(20)의 3축 가속도 센서(20B)로부터 출력되는 각 방향 성분의 가속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예를 들면, 3축 가속도 데이터의 각 방향 성분의 진동 주기와 그 진폭량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 상태 검출부(31)가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할 때까지 실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이하, "상태 검출 처리"라고 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처리가, 상태 검출 처리로서 채용되고 있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용 불휘발성 메모리(14) 중, 사용자의 이동 상태와 그 검출 조건을 등록(기억)하기 위한 테이블(영역)의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종류의 이동 상태, 즉 정지 상태, 보행 상태, 주행 상태, 및 탈것(vehicle) 등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가, 상태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테이블 행렬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 도 3의 가로 방향의 항목의 집합체를 "행"이라고 하고, 세로 방향의 항목의 집합체를 "열"이라고 한다.
도 3에 있어서, #K는, 행 번호 K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K행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의 소정의 종류가 대응하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K행 1열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의 항목에는, 상기 K행에 대응하는 종류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등록(기억)된다.
K행 2열의 "검출 조건"의 항목에는, 상기 K행에 대응하는 종류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검출되기 위한 조건, 즉 상기 K행 1열에 등록(기억)된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검출되기 위한 조건이 등록(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1행 1열에는 "정지 상태"가 기억되어 있다.
1행 2열에는, "3축 가속도 센서(20B)에 의해 가속도의 각 방향 성분이 검출되지 않음(각 방향 성분의 진폭량이 0.5G 이하)"의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정지 상태"인 것으로 인식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2행 1열에는 "보행 상태"가 기억되어 있다.
2행 2열에는, "3축 가속도 센서(20B)에 의한 가속도의 수직 방향 성분의 진동 주기가 2Hz 이하이며, 그 진폭량이 소정값 1.0G 이상을 검출"의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보행 상태"인 것으로 인식된다.
마찬가지로, 3행 1열에는 "주행 상태"가 기억되어 있다.
3행 2열에는, "3축 가속도 센서(20B)에 의한 가속도의 수직 방향 성분의 진동 주기가 2Hz를 초과하고, 그 진폭량이 소정값 1.0G 이상을 검출"의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주행 상태"인 것으로 인식된다.
마찬가지로, 4행 1열에는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가 기억되어 있다.
4행 2열에는, "3축 가속도 센서(20B)에 의한 가속도의 수직 방향 성분의 진폭량이 소정값 0.5G 이하이며, 진행 방향 성분이 소정값 0.5G 이상을 검출"의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인식된다.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이와 같이 하여 도 3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태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태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한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표시 설정부(32)에 공급한다.
표시 설정부(3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이동 상태 외에, 디지털 카메라(1)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도 공급된다.
표시 설정부(32)는, 이와 같이 하여 공급된 사용자의 이동 상태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16)에 표시하게 하는 지도의 표시 형태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표시 설정부(32)는, 지도의 축척, 지도의 문자 사이즈,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 등의 표시 형태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의 데이터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상세"와 "통상"의 각각의 지도의 데이터가 지도 DB(4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지도의 축척으로서 적어도 "상세"와 "통상"의 2단계의 레벨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동 정보 중, 보행 상태 및 주행 상태에 대하여 "상세"가 대응되고, 정지 상태 및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 대하여 "통상"이 대응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나 주행 상태일 때는, 지도의 축척을 "상세"로 설정한다.
이에 대하여,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나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일 때는, 지도의 축척을 "통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문자 폰트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큰 사이즈"와 "통상 사이즈"의 각각의 문자 폰트가 문자 폰트 DB(42)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지도의 문자의 사이즈로서, 적어도 "큰 사이즈"와 "통상 사이즈"의 2개의 사이즈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동 정보 중, 주행 상태에 대하여 "큰 사이즈"가 대응되고, 보행 상태, 정지 상태, 및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 대하여 "통상 사이즈"가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지도의 문자 사이즈를 "큰 사이즈"로 설정한다.
이에 비해,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 정지 상태 또는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지도의 문자 사이즈를 "통상 사이즈"로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 설정부(32)는,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로서,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대응하는 점등 상태를 설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도의 표시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가 변화하면, 이 변화에 따라, 표시부(16)의 표시 형태(밝기 등의 형태)가 변화한다.
따라서,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를 설정하는 것은, 지도의 표시 형태(밝기 등의 형태)를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의 설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백라이트(17)의 밝기(휘도)를 변화시키는 설정이라도 되며, 백라이트(17)의 점멸의 주기나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설정이라고 되고, 백라이트(17)의 발광색을 변화시키는 설정이라도 된다.
백라이트(17)의 발광색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시키는 형광등 등을 복수 준비하고, 복수의 형광등 등의 각각의 밝기(휘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와 사용자의 이동 상태와의 대응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가속도의 진동 주기나 진폭량을 사용함으로써, 분류할 수 있다.
그래서,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와, 가속도의 진동 주기나 진폭량을 대응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와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대응시킬 수 있다.
표시 설정부(32)는, 이와 같이 하여 지도의 표시 형태를 설정하면, 이 설정 내용에 따른 지도 정보(지도의 데이터 등)를 지도 DB(41)로부터 취득하고, 또한 이 설정 내용에 따른 문자 사이즈의 문자 폰트를 문자 폰트 DB(42)로부터 취득한다.
취득된 지도 정보나 문자 폰트는, 표시 제어부(33)에 공급된다.
또한, 표시 설정부(32)는,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의 설정 내용도 표시 제어부(33)에 공급한다.
표시 제어부(33)는, 표시 설정부(32)로부터 공급된 지도 정보나 문자 폰트에 기초하여, 표시 설정부(32)에 의해 설정된 표시 형태로, 지도를 표시부(16)에 표시하게 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33)는, 표시 설정부(32)로부터 공급된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즉 표시 설정부(32)에 의해 설정된 점등 상태로, 백라이트(17)의 점등을 제어한다.
지도 DB(41)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지표의 상태를 일정한 비율로 축척하여 평면 상에 나타낸 지도의 데이터와, 상기 지도 상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정보가, 지도 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지도의 데이터의 형식으로서는, 일반적으로 (vector) 지도와 래스터(raster) 지도가 채용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벡터 지도를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벡터 지도란, 지도 중 도로나 시설, 문자 등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표시용의 데이터가, 지도의 다른 요소를 나타내는 표시용의 데이터로부터 사전에 분리되어 있는 지도의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벡터 지도의 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표시용의 데이터는 유향(有向; directed) 선분의 데이터, 또는 벡터 데이터의 집합체로 구성되며, 도로 폭이나 규모 등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속성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벡터 지도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 중, 문자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문자 폰트가, 문자 폰트 DB(42)에 기억되어 있다.
문자 폰트는, 전술한 "큰 사이즈"와 "통상 사이즈"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문자 사이즈마다, 문자 폰트 DB(42)에 기억되어 있다.
이 벡터 지도에 의한 표시 처리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표시 설정부(32)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대응하는 축척에 기초하여 지도 범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설정부(32)는, 각 도로나 시설에 부가되어 있는 도로 폭이나 규모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 범위에 따른 표시 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표시 대상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지도 DB(41)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표시 설정부(32)는, 문자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대응하는 문자 사이즈의 문자 폰트를 문자 폰트 DB(42)로부터 취득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1)의 처리 중, 이와 같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에 의해 실현되는 처리(이하, "지도 표시 처리"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지도 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의 지도 표시 처리에서는, 지도의 표시 형태의 설정으로서 지도의 축척과 문자 사이즈만이 설정되고,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의 설정은 생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도 표시 처리는,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로서 GPS 모드로 전환된 타이밍에서 개시하고, 그 후, 소정 시간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GPS 모드란,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 중 하나이며, 디지털 카메라(1)의 현재 위치 등이 나타내어진 지도를 표시부(16)에 표시하게 하는 모드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5)에는,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지시를 행하는 모드 전환 키가 포함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모드 전환 키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GPS 모드로 전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시가 행해져, GPS 모드로 전환하면, 지도 표시 처리는 개시되어, 다음과 같은 단계 S11 내지 S20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센서부(2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20)의 검출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축 가속도 센서(20B)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방향 성분의 가속도 데이터이다.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각각의 방향 성분의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진동 주기와 진폭량을 구하고, 그 진동 주기와 진폭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로부터 표시 설정부(32)에 공급된다.
단계 S12에 있어서, 표시 설정부(32)는, GPS부(18)로부터 출력된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표시 설정부(32)는, 단계 S11의 처리에서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인 경우, 단계 S13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표시 설정부(32)는, 지도의 축척을 "상세"로 설정하고, 지도의 문자 사이즈를 "통상 사이즈"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에 적절한 축척인 "상세"가 설정된다.
즉, 사용자는, 보행 시에는 이동 속도가 늦어져, 주변의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지도의 축척으로서 "상세"가 설정된다.
이로써, 보행 시에 대응한 편리성이 높은 지도의 표시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14에 있어서, 지도의 축척과 문자 사이즈를 설정했지만, 사용자가, 단계 S14의 전에, 지도의 축척을 "상세"로 설정한 경우에는, 지도의 문자 사이즈만을 "통상 사이즈"로 설정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가 아닌 경우, 즉 정지 상태, 주행 상태, 또는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단계 S13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한다.
단계 S15에서, 표시 설정부(32)는, 단계 S11의 처리에서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주행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주행 상태인 경우, 단계 S15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 있어서, 표시 설정부(32)는, 지도의 축척을 "상세"로 설정하고, 지도의 문자 사이즈를 "큰 사이즈"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주행 속도에 적절한 축척인 "상세"가 설정된다.
즉, 사용자는, 주행 시에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비교적 늦어지므로, 주변의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어, 지도의 축척으로서 "상세"가 설정된다.
이로써, 주행 시에 대응한 편리성이 높은 지도의 표시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행 시에는 진동에 의해 지도 상의 문자의 시인성(視認性)이 악화되므로, 지도 상에 표시되는 문자의 사이즈를 "큰 사이즈"로 변경함으로써, 주행 시에도 시인성이 높은 지도의 표시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주행 상태가 아닌 경우, 즉 정지 상태 또는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의 경우, 단계 S15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 있어서, 표시 설정부(32)는, 지도의 축척을 "통상"으로 설정하고, 지도의 문자 사이즈를 "통상 사이즈"로 설정한다.
이 처리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도 아니고 주행 상태도 아닌 경우에는, 지도의 축척을 통상 시의 축척으로 설정함으로써, 자동차나 전철 등 탈것의 이동 스피드, 또는 정지 시에 최적인 축척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또한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도 주행 상태도 아닌 경우에는, 문자의 사이즈를 통상의 문자 사이즈로 되돌림으로써, 지도 상에 표시되는 문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자동차나 전철 등 탈것에 타고 있을 때, 또는 정지 시에는, 지도의 디폴트의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지도 전체를 파악하는데 편리성이 높은 지도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나 전철을 타고 있을 때, 또는 정지 시에는, 진동에 의한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따라서, 지도 상에 표시되는 문자의 사이즈를 통상 시로 변경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지도를 볼 수가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S14, 단계 S16 또는 단계 S17의 처리에서, 지도의 축척 및 문자 사이즈가 설정되면, 처리는 단계 S18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 있어서, 표시 설정부(32)는, 단계 S14, 단계 S16 또는 단계 S17의 처리에서 설정된 지도의 축척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지도 DB(41)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설정부(32)는, 단계 S12의 처리에 있어서 취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인식하고, 상기 지도 중, 설정된 축척의 지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지도 DB(41)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S19에 있어서, 표시 설정부(32)는, 단계 S14, 단계 S16 또는 단계 S17의 처리에서 설정된 지도의 문자 사이즈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문자 사이즈의 문자 폰트를 문자 폰트 DB(42)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S20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33)는, 단계 S18의 처리에서 취득된 지도 정보 및 단계 S19의 처리에서 취득된 문자 폰트에 기초하여, 지도를 표시부(16)에 표시하게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적합한 표시 형태로, 지도가 표시부(16)에 표시된다.
도 5 내지 도 7은, 표시부(16)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표시부(16)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로서, 지도의 축척이 "통상"으로 설정되고, 지도의 문자 사이즈가 "통상 사이즈"로 설정된 경우의 지도(51)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도 주행 상태도 아닌 경우, 즉 정지 상태 또는 탈것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의 경우에, 표시부(16)에 표시되는 지도(51)가 표시된다.
지도(51)에 있어서, 영역(61)은, 지도의 축척이 "상세"인 경우에 표시되는 지리적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지도의 축척이 "통상"인 지도(51)의 사이즈는, 지도의 축척이 "상세"인 경우에 비해, 표시되는 지리적 범위가 넓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의 예의 지도(51)에는, 건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가 복수개 표시되어 있다.
이들 문자의 사이즈는, "통상 사이즈", 예를 들면, 14포인트로 되어 있다.
도 6은, 표시부(16)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로서, 지도의 축척이 "상세"로 설정되고, 지도의 문자 사이즈가 "통상 사이즈"로 설정된 경우의 지도(52)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보행 상태인 경우에, 표시부(16)에 표시되는 지도(52)가 나타내어져 있다.
지도(52)는, 지도의 축척이 "통상"인 경우에 표시되는 지도(51)의 영역(61)에 상당하는 지리적 범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지도의 축척이 "상세"인 지도(52)의 사이즈는, 지도의 축척이 "통상"인 경우에 비해, 표시되는 지리적 범위가 좁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예의 지도(52)에는, 건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가 복수개 표시되어 있다.
이들 문자의 사이즈는, "통상 사이즈", 예를 들면, 14포인트로 되어 있다.
도 7은, 표시부(16)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로서, 지도의 축척이 "상세"로 설정되고, 지도의 문자 사이즈가 "큰 사이즈"로 설정된 경우의 지도(53)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7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주행 상태인 경우에, 표시부(16)에 표시되는 지도(53)가 나타내어져 있다.
지도(53)은, 지도의 축척이 "통상"인 경우에 표시되는 지도(51)의 영역(61)에 상당하는 지리적 범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지도의 축척이 "상세"인 지도(53)의 사이즈는, 지도의 축척이 "통상"인 경우에 비해, 표시되는 지리적 범위가 좁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의 예의 지도(53)에는, 건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가 복수개 표시되어 있다.
이들 문자의 사이즈는, "큰 사이즈", 예를 들면, 28포인트로 되어 있다.
도 4의 단계 S20의 처리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도가 표시되면 지도 표시 처리는 종료로 된다.
그 후, 이와 같은 지도 표시 처리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따라, 지도의 표시 형태도 시시각각 변화되어 간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로부터 보행 상태로 천이하고, 또한 주행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천이할 때마다,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의 각 지도가 표시부(16)에 차례로 표시되어 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와, 표시 설정부(32)와, 표시 제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의 복수 종류 중에서, 현재의 사용자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류를 검출한다.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종류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지도의 표시 형태를 설정한다.
표시 제어부(33)는, 표시 설정부(32)에 의해 설정된 표시 형태로 지도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적절한 지도의 표시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3축 가속도 센서(20B)로부터의 3축 가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X성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진동 주기를 구하고, 상기 수직 방향의 진동 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한다.
이 경우,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로서, 적어도 보행 상태와 주행 상태의 2종류를 명확하게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상태에 적합한 표시 형태와 그것과는 다른 주행 상태에 적합한 각각의 형태로, 지도를 각각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부(33)에 의해 표시가 제어되는 지도의 축척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이동 속도가 느린 종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정지 상태나 보행 상태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로서는, 주변의 상세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표시 설정부(32)는, 지도의 축척을 "상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지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부(33)에 의해 표시가 제어되는 지도의 문자 사이즈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진동하는 종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주행 상태인 경우, 사용자로서는, 지도 상의 문자의 시인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표시 설정부(32)는, 문자 사이즈를 "큰 사이즈"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지도의 시인성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지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는, 그 현재지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 가능한 GPS부(18)를 추가로 구비하였다.
표시 설정부(32)는, GPS부(18)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의 표시 형태를 설정한다.
따라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가 표시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33)는, 지도를, 백라이트(17)에 의해 조명된 표시부(16)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표시 설정부(32)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백라이트(17)의 점등 상태를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적절한 지도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정지 상태나 보행 상태 등의 경우에는, 지도의 축척을 "상세"로 설정하고, 주행 상태의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를 "큰 사이즈"로 설정하도록 했지만, 지도의 축척은, 변경시키지 않고, 정지, 보행, 주행과 이동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문자 사이즈를 서서히 "큰 사이즈"로 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자율 항법 제어부(21A)는, 3축 가속도 센서(20B)로부터 차례로 출력된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적분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있지만, 3축 가속도 센서(20B)의 센서 출력에 나타나는 상하 방향의 가속도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보수(步數)를 계수하고, 이것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보폭 데이터를 승산(乘算)함으로써, 이동량을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상태 검출부(31)는, 3축 가속도 센서(20B)의 각 방향 성분의 출력값(3축 가속도 데이터)으로부터 구한 진동 주기와 진폭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이동 상태의 검출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표시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1)로 구성되는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히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지도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일반적인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용 게임기 등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된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 퍼스널 컴퓨터라도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이동식 매체(23)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동식 매체(23)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floppy disk를 포함함),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메모리(12)나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한다.

Claims (9)

  1. 지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표시 수단;
    현재의 사용자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 수단; 및
    상기 표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표시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진동 주기를 구하고, 상기 수직 방향의 진동 주기에 기초하여, 현재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류를 검출하는, 정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한 진폭에 기초하여, 현재의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류를 검출하는, 정보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설정 수단은,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가 제어되는 지도의 축척을 설정하는, 정보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설정 수단은,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가 제어되는 지도의 문자 사이즈를 설정하는, 정보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지도를, 백라이트에 의해 조명된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표시 설정 수단은,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설정하는, 정보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설정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의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정보 표시 장치.
  8. 기억 수단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사용자 상태 검출 단계;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 단계; 및
    상기 표시 설정 단계에 의해 설정된 상기 표시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방법.
  9. 기억 수단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사용자 상태 검출 기능;
    상기 사용자 상태 검출 기능에 의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표시 설정 기능; 및
    상기 표시 설정 기능에 의해 설정된 상기 표시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기능
    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KR1020110101223A 2010-10-05 2011-10-05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20035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5505A JP2012078273A (ja) 2010-10-05 2010-10-05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10-225505 2010-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886A true KR20120035886A (ko) 2012-04-16

Family

ID=4588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23A KR20120035886A (ko) 2010-10-05 2011-10-05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81281A1 (ko)
JP (1) JP2012078273A (ko)
KR (1) KR20120035886A (ko)
CN (1) CN1024452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5343B2 (ja) * 2007-12-21 2012-04-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CN103033836B (zh) * 2012-12-19 2014-07-02 江苏科技大学 一种车载导航指向装置的导航指向方法
JP5803995B2 (ja) * 2013-07-16 2015-11-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機器、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5128972A (ja) * 2014-01-09 2015-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倒立型移動体用表示制御方法
US20150248378A1 (en) * 2014-02-28 2015-09-03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Readability on mobile devices
JP5954349B2 (ja) * 2014-03-18 2016-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とその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4320534B (zh) * 2014-09-19 2018-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设置字体显示状态的方法
US10134368B2 (en) * 2015-06-04 2018-11-20 Paypal, Inc. Movement 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925718B (zh) * 2015-07-31 2020-09-1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用于图像处理的系统和方法
JP6206459B2 (ja) * 2015-09-02 2017-10-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機器、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8255046B (zh) * 2016-12-28 2020-06-09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电子设备、显示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JP6504216B2 (ja) * 2017-08-30 2019-04-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95170B1 (ko) * 2017-11-30 2021-08-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조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작 방법
JP7406340B2 (ja) * 2019-10-18 2023-12-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加速度検出装置、作業機械および加速度検出方法
JP7476845B2 (ja) * 2021-04-27 2024-05-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0719B2 (ja) * 1996-02-29 2004-09-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344352A (ja) * 2000-05-31 2001-12-14 Toshiba Corp 生活支援装置および生活支援方法および広告情報提供方法
JP3594011B2 (ja) * 2001-11-30 2004-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937667B2 (en) * 2006-09-27 2011-05-03 Donnelly Corporation Multimedia mirror assembly for vehicle
JP4804416B2 (ja) * 2007-05-16 2011-11-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294659B2 (en) * 2007-05-18 2012-10-23 Apple Inc. Secondary backlight indicator for portable media devices
JPWO2009016693A1 (ja) * 2007-07-27 2010-10-07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AU2008316525A1 (en) * 2007-10-26 2009-04-30 Tomtom International B.V. A method of processing positioning data
US8373549B2 (en) * 2007-12-31 2013-02-12 Apple Inc.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JP4840413B2 (ja) * 2008-07-02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
JP5232733B2 (ja) * 2008-08-11 2013-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問題出題装置及び問題出題方法
JP5454038B2 (ja) * 2009-09-17 2014-03-26 ソニ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動作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US20110126119A1 (en) * 2009-11-20 2011-05-26 Young Daniel J Context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1281A1 (en) 2012-04-05
CN102445212A (zh) 2012-05-09
JP2012078273A (ja)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5886A (ko)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256543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EP2448239B1 (en) Playback display device, image capturing device, and playback display method
KR20100114012A (ko) 전자 기기 장치 및 내비게이션 방법
KR20110073335A (ko) 측위 장치, 측위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8255046B (zh) 电子设备、显示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JP6033689B2 (ja) 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車両特定装置
KR20180077088A (ko) 시계, 표시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US201603202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9162722A (ja) 案内装置、案内方法、及び案内プログラム
JP2011135404A (ja) 情報取得装置、位置情報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89318B2 (en) Self-position measuring terminal
JP596740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89467A (ja) 測位装置、歩幅データ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73439A (ko) 정보 처리 장치, 이동 궤적 정보 출력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CN111512120A (zh) 用于显示增强现实poi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JP4824522B2 (ja) 車載装置
US10704917B2 (en) Image positioning method and image positioning device for using the same
JP2011199358A (ja) 測位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S58201018A (ja) 移動体の現在位置表示装置
KR20070050157A (ko) 네비게이션 시가지 표시장치
JP2013141111A (ja) 撮像システム
JP2008101986A (ja) 車載装置、及び、走行距離補正方法
JP2008101985A (ja) 車載装置
JP2013038734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