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205A -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205A
KR20120035205A KR1020127002912A KR20127002912A KR20120035205A KR 20120035205 A KR20120035205 A KR 20120035205A KR 1020127002912 A KR1020127002912 A KR 1020127002912A KR 20127002912 A KR20127002912 A KR 20127002912A KR 20120035205 A KR20120035205 A KR 20120035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ue
power
upper limi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닌 가케
신지 미야우치
히로아키 가쿠
게이이치 사토
히로시 나가사토
아키히토 오오타니
도루 구시사카
모토미치 가토우
마나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분산형 전원 시스템은, 전류 센서(5a,5b)의 검출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설정 상한치와, 진단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전류 센서가 검출한 실측 전류치의 차이가, 진단 처리의 실행 중에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전력 부하(7)에 흐르는 전류치인 부하 전류치 이상인지 여부의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하여, 부하 전류치 이상으로 판정한 경우에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DISTRIBUTED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용 전력 계통과는 별도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산형 전원 시스템으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자가 발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도 10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산형 전원 시스템(103)은, 분산형 전원 장치로서의 연료 전지 장치(104)를 구비하고, 그 연료 전지 장치(104)는 전선을 통해 상용 전력 계통(101)과 계통 연계하고 있다. 그 상용 전력 계통(101)은 U상, O상, W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상 삼선식의 교류 전원이며, 각 상에 대응하는 전선으로부터는 분기선이 연장되어 가정 내 부하(1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U상 및 W상을 흐르는 교류 전류의 크기 및 그 방향(정역)을 검출하는 전류 센서(105a, 105b), 상용 전력 계통(101)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106) 및 본 시스템(103)의 내부 부하를 이루는 히터(10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08), 가정 내 부하(102) 및 본 시스템(103)에서의 소비 전력을 적산하는 전력 적산 미터(109), 및 전력치나 본 시스템(103)의 이상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통지 수단을 이루는 LCD(Liquid Crystal Display)(1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1에서는, 전류 센서(105a, 105b)의 설치 방향으로서, 예컨대 상용 전력 계통(101)으로부터 연료 전지 장치(104)로 향하는 전류를 정의 전류로서 검출하는 설치 방향을 정의 설치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08)는, 전력 연산부(111), 전류 센서 설치 방향 판정부(112), 비휘발성 메모리(113), 부호 반전부(114) 및 히터 제어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전력 연산부(111)는, 전류 센서(105a, 105b) 및 전압 센서(106)의 각 검출치에 근거하여, U상 및 W상의 각각에서의 소비 전력을 개별적으로 산출한다. 전류 센서 설치 방향 판정부(112)는, 전류 센서(105a, 105b)의 전선에 대한 설치 방향을 판정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13)는, 상기 전류 센서 설치 방향 판정부(112)에서의 판정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다. 부호 반전부(114)는, 비휘발성 메모리(113)에 기억된 전류 센서(105a, 105b)의 설치 방향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전력 연산부(111)에서 연산된 소비 전력치의 정부의 부호를 적절하게 보정한다. 또한, 히터 제어부(115)는, 상기 히터(107)에 대한 통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분산형 전원 시스템(103)은, 제어 장치(108)가, 전원의 투입시에 전류 센서(105a, 105b)의 설치 방향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장치(108)는, 연료 전지 장치(104)가 발전하고 있지 않은 비발전 상태에 있어서 히터 제어부(115)에 의해 히터(107)를 온시키고, 이에 의해, 상용 전력 계통(101)으로부터 전선을 통해 연료 전지 장치(104)에 전력을 공급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연료 전지 장치(104)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전류 센서(105a, 105b)가 검출하는 전류의 방향은 일정 방향으로 정해질 것이고, 또한, 가정 내 부하에 의한 소비 전력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이 사이(히터(107)가 온인 사이), 전류 센서(105a, 105b)에 의해 전류치를 취득하고, 동시에 전압 센서(106)에 의해 전압치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력 연산부(111)에 있어서, 취득한 전류치 및 전압치에 근거하여, U상 및 W상의 각각에서의 전력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전력치에 근거하여, 전류 센서 설치 방향 판정부(112)는, 전류 센서(105a, 105b)의 설치 방향의 판정을 행하고, 비휘발성 메모리(113)가 U상 및 W상의 각각에 대한 판정 결과를 기억한다. 이 판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즉, 통상, 연료 전지 장치(104)가 비발전 상태이면, 상기와 같이, 히터(107)를 온하는 것에 의해 상용 전력 계통(101)으로부터 연료 전지 장치(104)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 때문에, 전류 센서(105a, 105b)의 설치 방향이 올바르면, 정의 전류치가 검출되고, 전력 연산부(111)에서 연산되는 전력치도 정의 값이 된다. 따라서, 설치 방향의 판정에 있어서는, 전력 연산부(111)에서 연산한 전력치가, 소정치(예컨대, 0W) 이상인 경우는 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고, 소정치 미만인 경우는 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이라고 하는 U상 및 W상마다의 판정 정보(설치 방향 정보)가, 비휘발성 메모리(113)에 기억된다.
이와 같은 판정 정보의 취득 및 기억 뒤, 제어 장치(108)는, 히터 제어부(115)에 의해 히터(107)를 오프시키는 것에 의해, 전류 센서(105a, 105b)의 설치 방향의 판정을 종료한다. 또, 그 후에 제어 장치(108)는, 전류 센서(105a, 105b)의 설치 방향 정보에 근거하여, 부호 반전부(114)에 의해 U상 및 W상에 대하여 연산한 전력치의 보정(부호의 반전)을 행한다. 그리고, 보정 후의 전력치를 전력 적산 미터(109)에서 적산하고, 전력의 적산치를 LCD(110)에서 표시 출력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류 센서(105a, 105b)는, 검출 대상인 전류치와 센서의 출력 전압치의 관계가 선형을 이루는 영역과 비선형을 이루는 영역을 갖고 있다. 도 11은 특허 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분산형 전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류 센서에 있어서의, 검출 전류치와 출력 전압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 센서는, 전류가 소정치 미만인 영역에 있어서는 검출 전류치에 대한 출력 전압치의 변위는 선형성을 갖지만, 소정치 이상인 영역에 있어서는 비선형성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전류 센서는 검출 전류가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리니어 센서로서 기능하지만, 소정치 이상의 전류에 대해서는 리니어 센서로서 기능하지 않고, 전류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출력 전압치는 거의 일정하게 되어, 전류치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가정 내 부하(102)에 의한 소비 전력은 일정하지 않고, 항상 크게 변동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 센서(105a, 105b)의 리니어 센서로서의 한계치를 넘어 전류치가 변동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전류치의 검출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전류 센서에는, 정밀도를 보증할 수 있는 검출 전류치의 범위가 존재하고, 상술한 소정치가 그 상한치(검출 상한치)가 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18673호 공보
최근, 환경 보호의 관심도 높아져, 자가 발전 장치로서의 분산형 전원 시스템을, 학교나 병원 등에 설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 학교나 병원 등의 건물은, 개인의 집보다 큰 계약 전류치(이하에서는 「계약 상한치」라고 칭한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 「계약 상한치」란, 건물마다 전력 회사와의 계약에 의해 결정된 사용 가능한 상한 전류치이며, 사용 전류가 이 계약 상한치를 넘으면, 일반적으로는, 과전류 보호 장치가 작동하여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약 상한치가 비교적 큰 건물에 분산형 전원 시스템을 도입하면, 전류 센서는 그 검출 상한치 부근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래의 시스템 구성이면, 상술한 전류 센서에 관한 판정을 실행하도록 히터(107)를 온하면, 전선을 흐르는 전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전류 센서의 검출 상한치를 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전류 센서에 의해 정확한 전류치의 측정을 행할 수 없고, 그 결과로서 정확한 판정을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전류 센서의 설치 방향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으면, 부호 반전 처리 등의 보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전력치의 연산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여, LCD(110)에 잘못된 전력 적산치를 표시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단순하게 검출 상한치가 보다 큰 전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전류 센서는 외형 치수가 크기 때문에 설치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어, 다른 수단에 의한 과제의 해결이 요망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류 센서의 설치 방향의 판정 등, 전류 센서에 관한 진단 처리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은,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용 전력 계통과는 별도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용 전력 계통에 대하여 전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전력 수요점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산형 전원 장치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부하와, 상기 전선에 접속되고, 그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전력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와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의 상기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치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전류 센서의 진단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소정의 상한치인 설정 상한치와,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류 센서가 검출한 실측 전류치의 차이가,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 중에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상기 전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치인 부하 전류치 이상인지 여부의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하고,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진단 처리를 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의 실측 전류치에 대하여, 가령 진단 처리를 실행했을 때의 부하 전류치를 가산한 결과와, 소정의 설정 상한치를 비교하고, 가산치가 설정 상한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진단 처리를 행하지 않고, 가산치가 설정 상한치 미만이 되는 경우에만 진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설정 상한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전류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보증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진단 처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 결과에 근거하여 전력치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여기서의 「전력 수요점」이란,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로서, 예컨대, 개인 주택, 학교, 병원 등이 구비하는 것이 해당한다.
또한, 상기 설정 상한치는, 상기 전류 센서가 검출 전류치와 출력 전압치의 사이에 선형성을 보증할 수 있는 상한치인 검출 상한치, 상기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기 상용 전력 계통이 공급하는 전류의 상한치로서 상기 검출 상한치 이하로 정해진 계약 상한치, 또는 그 계약 상한치 미만의 소정치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설정 상한치를 검출 상한치로 한 경우에는, 전류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보증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진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상한치를, 검출 상한치 이하로 정해진 계약 상한치로 한 경우에는, 실측 전류치와 부하 전류치의 가산치가 검출 상한치를 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어, 진단 처리의 실행시에 있어서 전류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보다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상한치를, 계약 상한치 미만의 소정치로 한 경우에는, 보다 엄밀한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단 가부 판정에 의해 상기 부하 전류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진단 가부 판정을 다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일시적인 실측 전류치의 증대에 의해 진단 처리를 실행할 수 없었던 경우라도, 타이밍을 다르게 하여 재시도하는 것에 의해, 진단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수요점에서의 전력 소비의 변동에 의해 실측 전류치가 일시적으로 커져, 진단 처리의 실행 불가라고 하는 진단 가부 판정의 결과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실측 전류치가 작은 타이밍에 다시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진단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단 가부 판정에 의해 상기 부하 전류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을 불가로 함과 아울러 과거에 실행한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를 이번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로서 채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번 진단 처리가 실행 불가인 경우에는, 과거의 진단 처리의 결과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부드럽게 전력치의 보정 및 적산을 행할 수 있어, 시스템의 부드러운 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의 기동 전에 상기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하여, (1)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한 후에, (2) 상기 부하 전류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과거에 실행한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를 이번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로서 채용한다고 결정한 후에,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진단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전력치의 보정을 한 후에, 분산형 전원 장치를 기동하기 때문에, 분산형 전원 장치의 운전 당초로부터, 진단 처리의 결과를 반영한 전력 적산치를 출력(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센서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링코어와, 그 링코어에 감긴 권선과, 그 권선의 양단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를 갖고, 상기 검출 상한치는, 상기 저항 소자의 허용 인가 전압 영역의 상한 전압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진단 처리의 실행에 의해 전류치가 검출 상한치를 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 인가 전압 영역의 상한 전압치를 넘은 전압이, 저항 소자에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저항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처리에는, (1) 상기 전류 센서의 설치 방향, (2) 상기 전선에 대한 상기 전류 센서의 설치 위치의 상태, (3) 상기 전류 센서의 고장의 상태 및 (4) 상기 전선에 대한 상기 전류 센서의 착탈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상태 검출 처리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전류 센서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전력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시간 간격을 두고 3회 이상 연속하여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은 다른 시간 간격의 정수배 이외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3회 이상이라고 하는 복수회의 진단 처리의 결과로부터, 보다 정밀도가 높은 진단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간 간격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진단 처리를 복수회 실행할 때의 각 회의 타이밍과, 전력 수요점에 상용 계통 전력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변동 주기가 동기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는, 직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 유닛과, 그 발전 유닛이 발전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선에 출력하는 인버터를 갖고, 상기 전력 부하는, 상기 인버터를 통해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히터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진단 처리에 이용하는 히터를 전용품으로서 구비할 필요가 없고, 발전 유닛에서 생긴 잉여 전력(교류 전력)을 소비하기 위해 구비된 히터가 있으면, 이것을 겸용할 수 있다. 또, 발전 유닛으로서는, 연료 전지 장치, 태양광 발전 장치, 태양열 발전 장치 및 풍력 발전 장치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용 전력 계통과는 별도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분산형 전원 장치와, 상기 상용 전력 계통 및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의 사이를 접속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부하를 구비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소정의 상한치안 설정 상한치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전류 센서의 진단에 관한 소정의 진단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류 센서가 검출한 실측 전류치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 중에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상기 전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치인 부하 전류치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설정 상한치와 상기 실측 전류치의 차이가,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의 결과,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하여 전류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보증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전력치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진단 가부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8)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설정 상한치로서 선택한 검출 상한치와 실측 전류치와 부하 전류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설정 상한치로서 선택한 계약 상한치와 실측 전류치와 부하 전류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불허가 처리에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전류 센서 진단 처리에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분산형 전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류 센서에 있어서의, 검출 전류치와 출력 전압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의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은, 상용 전력 계통(1)과 수요가 내 부하(전력 수요점)(2)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용 전력 계통(1)으로서, U상, O상, W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상 삼선식의 교류 전원을 이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상 이선식 또는 이상 삼선식의 회로를 채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수요가 내 부하(2)란, 수요가에 설치된 세탁기 등의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이며, 수요가로서는 일반적인 개인 주택 외에, 학교나 병원 등도 포함된다.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은,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분산형 전원 장치(4)와, 전류 센서(5a, 5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그 분산형 전원 장치(4)는, U상, O상, W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전선(1u, 1o, 1w)을 통해 상용 전력 계통(1)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분산형 전원 장치(4)는, 예컨대 연료 전지 장치, 태양광 발전 장치, 태양열 발전 장치 또는 풍력 발전 장치 등의 발전 유닛을 채용할 수 있고, 채용할 때에는, 발전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도 함께 구비하면 된다. 전류 센서(5a, 5b)는, 예컨대 상용 전력 계통(1)의 책임 분해점(책임 분계점이라고도 한다)에 설치된 분전반 내에 마련되고, U상 및 W상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은, 상용 전력 계통(1)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6)와, 수요가 내 부하(2)와는 별체(別體)로서 본 시스템(3A)의 내부 부하를 이루는 전력 부하(7)(저항치 R)와, 전선(1u, 1o, 1w)에 대하여 전력 부하(7)를 접속/비접속(이하, 온/오프)시키는 스위치(7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스위치(7a)를 온하면, 전선(1u, 1o, 1w)을 통해 전력 부하(7)에 전류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력 부하(7)로서는 히터를 채용할 수 있고, 특히, 분산형 전원 장치(4)로서의 발전 유닛이 발전한 잉여 전력을 소비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히터를 전력 부하(7)로서 겸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은, 그 시스템(3A)이 구비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8)에는 전류 센서(5a, 5b)나 전압 센서(6)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한편, 제어 장치(8)는, 스위치(7a)에 대하여 이것을 온/오프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8)는, 분산형 전원 장치(4)의 기동, 운전, 정지의 각 단계에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8)는,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전류 센서(5a, 5b)에 관한 진단 처리(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분산형 전원 장치(4)로부터 상용 전력 계통(1)에 이르는 전선에 대하여, 분산형 전원 장치(4)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차례로, 스위치(7a), 수요가 내 부하(2), 전압 센서(6) 및 전류 센서(5a, 5b)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전류 센서(5a, 5b)의 전기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류 센서(5a, 5b)는, 도 1의 하부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전류 센서(5a, 5b)는, 전선(1u, 1w)이 삽입되는 링코어(51)와, 그 링코어(51)에 감긴 권선(52)과, 그 권선(52)의 양단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53)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전류 센서(5a, 5b)는, 전선(1u, 1w)에 교류 I가 흐르면, 링코어(51) 내에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권선(52)에 유도 전류가 흐르고, 저항 소자(53)의 양단 사이에 전압(전위차) V가 생긴다. 따라서, 이 전압 V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전선(1u, 1w)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센서(5a, 5b)가 갖는 저항 소자(53)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허용 인가 전압 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그 영역 내이면, 저항 소자(53)를 흐르는 전류치와 저항 소자(53)에 생기는 전압 V의 관계는 선형성을 갖는다. 그러나, 허용 인가 전압 영역의 상한 전압치를 넘는 전류가 흐르면, 상기의 관계는 비선형이 되고, 또한, 저항 소자(53)의 열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 바꿔 말하면, 전선(1u, 1w)을 흐르는 전류치 I가 소정치 미만이면, 이 전류치 I와 전류 센서(5a, 5b)가 출력하는 검출치(전압 V)의 관계는 선형성을 갖지만, 전류치 I가 상기 소정치 이상이 되면, 전류치 I와 전압 V의 관계는 비선형이 된다(도 11 참조).
이하에서는, 상기 소정치를 「검출 상한치」라고 칭한다. 이 검출 상한치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저항 소자(53)의 전압 V가 허용 인가 전압 영역의 상한 전압치가 되는 경우에, 전선을 흐르는 전류치이다. 또한, 전선(1u, 1w)을 흐르는 전류치 I에 대하여 전류 센서(5a, 5b)의 검출치(전압 V)의 변화가 선형성을 갖는 전류치 I의 범위(리니어리티 측정 가능 범위), 즉 검출 상한치 미만을 「선형 영역」이라고 칭하고, 검출 상한치 이상을 「비선형 영역」이라고 칭한다. 또, 이와 같은 전류치 I의 검출 상한치는, 전류 센서(5a, 5b)의 검출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설정 전류치의 하나로서, 제어 장치(8)의 도시하지 않는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그런데, 개인 주택, 학교, 병원 등의 각 전력 수요점(건물)에는, 전력 회사와의 계약에 의해 정해진,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상한치(이하, 「계약 상한치」라고 칭한다)가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개인 주택 등이면, 이 계약 상한치는 전류 센서의 검출 상한치 이하의 소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력 수요점에서의 사용 전류가 이 계약 상한치를 넘은 경우에는, 과전류 보호 장치가 작용하여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계약 상한치는, 전류 센서(5a, 5b)의 검출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설정 전류의 하나로서, 상기 검출 상한치와 함께, 제어 장치(8)의 도시하지 않는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진단 가부 판정 처리)
다음으로, 제어 장치(8)가 행하는 진단 가부 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이 구비하는 전류 센서(5a, 5b)는, 전선(1u, 1w)에 대한 설치 방향이나, 제어 장치(8)로의 출력 단자의 접속을 잘못하면, 검출되는 전류치의 정부가 역전되어 버린다. 예컨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분산형 전원 장치(4)로 향하는 전류의 방향을 「정」, 역조류할 때의 전류의 방향을 「부」와 같이 전류 방향을 설정하고, 그 설정 내용이 제어 장치(8)에 기억되어 있다. 그러나,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방향이나 접속을 잘못하면, 검출되는 전류의 방향이 상기 설정 방향과 반대로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본 시스템(3A)에서는,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상태를 취득함과 아울러,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보정 등의 각종 처리를 포함하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행한다.
한편, 이 전류 센서 진단 처리에서는, 스위치(7a)를 온/오프하여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전력 부하(7)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 때에 전선(1u, 1w)을 흐르는 전류치를 전류 센서(5a, 5b)에서 검출한다(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상세는, 실시의 형태 2 참조). 그 때문에,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했기 때문에, 전선(1u, 1w)을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전류 센서(5a, 5b)의 검출 상한치를 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사태를 회피하고, 정확한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에서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행한다.
도 2는 진단 가부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8)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 제어 장치(8)는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전류 센서(5a, 5b)의 설정 상한치(검출 상한치 또는 계약 상한치) I1을 취득하고(단계 S1), 스위치(7a)가 오프의 상태에서의 실측 전류치 I2를 취득한다(단계 S2). 즉, 단계 S2에서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스위치(7a)가 오프의 상태)에서, 전류 센서(5a, 5b)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전선(1u, 1w)을 흐르는 전류치 I2를 개별적으로 취득한다. 또한, 가령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하도록 스위치(7a)를 온으로 한 경우에 전력 부하(7)에 흐르는 부하 전류치 I3을 취득한다(단계 S3). 이 부하 전류치 I3은, 전력 부하(7)의 부하 용량(저항 R)과 실측 전류치 I2로부터, 거의 정확한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취득한 각 전류치를 이용하여, 설정 상한치 I1과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가 부하 전류치 I3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 그리고, 설정 상한치 I1과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가 부하 전류치 I3 이상(단계 S4 : 예)이면 허가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5), 부하 전류치 I3 미만(단계 S4 : 아니오)이면 불허가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
도 3은 설정 상한치 I1로서 선택한 검출 상한치 I1a와 실측 전류치 I2와 부하 전류치 I3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 3에는, 검출 상한치 I1a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가 부하 전류치 I3 이상이 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그래프 1과, 부하 전류치 I3 미만이 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그래프 2, 3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프 1의 경우, 검출 상한치 I1a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 (I1a-I2)는, 부하 전류치 I3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7a)를 온한 경우라도, 전류 센서(5a, 5b)에서 검출되는 전류치 I4(I2+I3)는 검출 상한치 I1a 미만이 되기 때문에, 허가 처리(단계 S5)를 실행한다.
한편, 도 3의 그래프 2의 경우, 검출 상한치 I1a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 (I1a-I2)가 부하 전류치 I3 미만이다. 또한, 그래프 3의 경우는, 실측 전류치 I2가 이미 검출 상한치 I1a보다 크기 때문에, 역시, 검출 상한치 I1a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 (I1a-I2)는 부하 전류치 I3 미만이 된다. 따라서, 스위치(7a)를 온하면, 전류 센서(5a, 5b)에서 검출되는 전류치 I5, I6은 검출 상한치 I1a보다 큰 값이 되기 때문에, 불허가 처리(단계 S6)를 실행한다.
도 4는 설정 상한치 I1로서 선택한 계약 상한치 I1b와 실측 전류치 I2와 부하 전류치 I3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 4에 있어서도, 계약 상한치 I1b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가 부하 전류치 I3 이상이 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그래프 1과, 부하 전류치 I3 미만이 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그래프 2, 3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프 1에 대표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의 예에서는 계약 상한치 I1b는 전류 센서(5a, 5b)의 검출 상한치 I1a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래프 1의 경우, 계약 상한치 I1b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 (I1b-I2)는, 부하 전류치 I3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7a)를 온한 경우라도, 전류 센서(5a, 5b)에서 검출되는 전류치 I4(I2+I3)는 계약 상한치 I1b 미만이 되고, 따라서 확실하게 검출 상한치 I1a 미만이 되기 때문에, 허가 처리(단계 S5)를 실행한다.
한편, 도 4의 그래프 2의 경우, 계약 상한치 I1b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 (I1b-I2)가 부하 전류치 I3 미만이다. 또한, 그래프 3의 경우는, 실측 전류치 I2가 이미 계약 상한치 I1b보다 크기 때문에, 역시, 계약 상한치 I1b와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 (I1b-I2)는 부하 전류치 I3 미만이 된다. 따라서, 스위치(7a)를 온하면, 전류 센서(5a, 5b)에서 검출되는 전류치 I5, I6은 계약 상한치 I1b보다 커져, 예컨대 수요가 내 부하(2)에서의 소비 전력의 변동 상태에 따라서는, 전류치 I5, I6이 검출 상한치 I1a도 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불허가 처리(단계 S6)를 실행한다.
설정 상한치로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검출 상한치나 계약 상한치를 채용할 수 있지만, 이 밖에도, 계약 상한치 미만의 소정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계약 상한치보다 더 여유를 갖는 작은 값이 판단 기준치가 되기 때문에, 보다 엄밀한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상한치와 계약 상한치의 대소 관계에 관계없이, 둘보다 작은 소정치를 설정 상한치로 정하더라도 좋다. 또, 이와 같은 소정치를 설정 상한치 I1로 한 경우의 진단 가부 판정 처리는, 도 2~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같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단계 S5에서의 허가 처리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단계 S6에서의 불허가 처리로서는, 진단 가부 판정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형태(불허가 처리 1)와, 과거에 행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를 이번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로서 채용하는 형태(불허가 처리 2)를, 적합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도 5는 불허가 처리 1, 2에서의 제어 장치(8)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불허가 처리 1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불허가 처리 1에서는, 제어 장치(8)가 구비하는 카운터 기능을 이용하여 카운터값 N1을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10), 카운터값 N1이 소정치 X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 이 소정치 X는, 설정 상한치 I1과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가 부하 전류치 I3 미만이었던 경우에, 진단 가부 판정의 단계 S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하는 상한 횟수이며, 임의의 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카운터값 N1이 소정치 X 이상(단계 S11 : 예)이면 불허가 처리 1을 종료하고, 소정치 X 미만(단계 S11 : 아니오)이면, 제어 장치(8)가 구비하는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여 계시를 개시한다(단계 S12). 계시의 개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하면(단계 S13 : 예), 도 2에 나타내는 단계 S1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최초로 진단 가부 판정 처리을 실행했을 때에, 일시적으로 실측 전류치 I2가 컸기 때문에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 허가가 나지 않은 경우라도, 타이밍을 엇갈리게 하여 복수회 판정하는 것에 의해, 실측 전류치 I2가 작아졌을 때에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불허가 처리 2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불허가 처리 2에서는, 과거에 실행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가 제어 장치(8)의 내장 메모리 또는 제어 장치(8)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 그 결과,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0 : 아니오)는, 불허가 처리 2를 종료한다. 한편, 기억되어 있는 경우(단계 S20 : 예)는, 기억된 과거의 결과의 중에서 소정의 것을 선택하고, 이것을, 이번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로서 채용한다(단계 S21).
이에 의해, 실측 전류치 I2가 크기 때문에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라도, 과거의 결과를 활용하여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상황을 추측하고, 적절하게 전력치의 보정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단계 S21에 있어서 선택하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과거의 결과로서는, 예컨대, 직전에 실행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불허가 처리 1, 2를 합한 불허가 처리를 실행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불허가 처리 1을 실행한 결과, 단계 S1 이후의 처리의 반복 횟수(카운터값 N1)가 소정치 X 이상이 된 경우(단계 S11 : 예)에, 이어서 불허가 처리 2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분산형 전원 장치(4)에 의한 공급 전력을 정확하게 취득하기 위해, 분산형 전원 장치(4)의 기동 전에 상술한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이 허가되고(단계 S5), 또한, 실제로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한 후, 혹은, 과거의 진단 결과를 이번 것으로서 채용한다고 결정하고(단계 S21), 또한, 실제로 채용하는 과거의 진단 결과를 특정한 후에, 분산형 전원 장치(4)를 기동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에서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 전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전류 센서(5a, 5b)의 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를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검출 상한치가 비교적 작은 저렴하고 소형의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분산형 전원 시스템(3A)을 구축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으로,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과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에서는, 분산형 전원 장치(4)가, 발전 유닛(4a) 및 인버터(4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8)는, 전력 연산부(11), 전류 센서 상태 판정부(12), 비휘발성 메모리(13), 부호 반전부(14) 및 전력 부하 제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전력 연산부(11)는, 제어 장치(8)에 입력된 전류 센서(5a, 5b)로부터의 전류치와 전압 센서(6)로부터의 전압치의 곱을 취해, U상 및 W상마다의 전력을 산출한다. 전력 부하 제어부(15)는, 스위치(7a)를 온/오프 제어한다. 전류 센서 상태 판정부(12)는, 전력 연산부(11)에서 산출된 전력 및 전력 부하 제어부(15)로부터 입력된 스위치(7a)의 상태(온/오프) 등에 근거하여,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상태를 판정한다. 또, 이 설치 상태의 판정으로서는, 적어도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방향의 판정을 행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3)는, 전류 센서 상태 판정부(1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를 기억한다. 또한, 부호 반전부(14)는, 비휘발성 메모리(13)에 기억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력 연산부(11)에서 산출된 전력의 부호를 적절하게 보정(정부를 반전)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은, 전력 적산 미터(9)와 표시 수단, 통지 수단을 이루는 LCD(1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전력 적산 미터(9)는, 전력 연산부(11)에서 산출된 전력으로서, 필요에 따라 부호 반전부(14)에서 보정된 전력을 적산하고, 전력량을 취득한다. LCD(10)는, 전력 및 전력량을 표시하는 전력 표시부와,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의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이상 표시부와, 이상 상태를 음성 등에 의해 통지하는 이상 통지부를 갖고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서 동일 부호가 붙은 구성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시스템(3B)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말하면, 분산형 전원 장치(4)의 기동의 소정 시간 전의 시점에 실행하도록 설정하더라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요가 내 부하에서의 전력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분산형 전원 장치(4)가 기동 타이밍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분산형 전원 장치(4)를 기동하기 소정 시간 전(예컨대, 5분 전 등)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여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하여 기동 시간을 결정하면 된다.
혹은, 과거의 전력 수요의 실적으로부터 학습하여, 분산형 전원 장치(4)를 기동하는 것에 적합한 시각을 미리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시각의 소정 시간 전의 시점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혹은, 상술한 것과 같은 분산형 전원 장치(4)의 기동의 소정 시간 전이 아닌, 제어 장치(8)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 상한치가 새로운 값으로 갱신된 경우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상기와 같은 적절한 타이밍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가 실행된 결과,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이 허가되면(도 2의 단계 S5), 제어 장치(8)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한다. 도 7은 전류 센서 진단 처리에서의 제어 장치(8)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개시한 제어 장치(8)는, 처음에 카운터값 N2를 1만큼 증가시킨다(단계 S30). 다음으로, 전력 부하 제어부(15)에 의해 스위치(7a)를 온으로 하여(단계 S31),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전력 부하(7)에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의 전류치 및 전압치를, 전류 센서(5a, 5b) 및 전압 센서(6)에 의해 각각 검출하고, 전력 연산부(11)는, 이들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U상 및 W상마다 전력을 산출함과 아울러 기억한다(단계 S32).
이어서, 전력 부하 제어부(15)에 의해 스위치(7a)를 오프로 전환하고(단계 S33),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전력 부하(7)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3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의 전류치 및 전압치를, 전류 센서(5a, 5b) 및 전압 센서(6)에 의해 각각 검출하고, 전력 연산부(11)는, 이들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U상 및 W상마다 전력을 산출함과 아울러 기억한다(단계 S34).
그 후, 제어 장치(8)는, 카운터값 N2가 소정치 Y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5). 이 소정치 Y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에 있어서, 스위치(7a)의 온 상태에서의 전력치와 오프 상태에서의 전력치를 취득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횟수를 정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정치 Y로서는, 1 이상의 수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3 이상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3 이상의 값이 소정치 Y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35에 있어서, 카운터값 N2가 Y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는(단계 S35 : 아니오), 소정 시간만큼 대기(단계 S36)한 후에, 단계 S30 이후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7a)를 온한 상태 및 오프한 상태의 각 전력의 산출을, 미리 설정한 소정치 Y의 횟수만큼 반복한다. 여기서, 전력 산출을 반복할 때에, 단계 S36에 있어서 소정 시간의 대기를 행하는 것은, 전력 산출을 행하는 타이밍과, 수요가 내 부하(2)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동 주기가 동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대기하는 시간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동기를 회피하는 것에 적합한 시간을 설정하면 좋고, 단계 S36을 실행할 때마다 동일 시간만큼 대기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매회 다른 시간만큼 대기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1회째의 대기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N회째에는 1회째에 비하여 (2N-1)배의 대기 시간이 되도록 설정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력 연산을 Y회 실행하는 사이의 복수의 대기 타이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 시간을, 다른 하나의 대기 시간의 정수배 이외가 되도록 설정하더라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회째의 대기 시간에 대하여 2회째의 대기 시간을 1.5배로 설정하더라도 좋다.
한편, 전력 연산 횟수가 소정치 Y에 달했다고 판정하면(단계 S35 : 예), 기억한 전력에 근거하여 전류 센서(5a, 5b)의 상태 이상의 유무 판정을 행한다(단계 S37). 그 결과, 전류 센서(5a, 5b)의 상태에 이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38 : 아니오)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종료하고, 이상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38 : 예), 소정의 대응 처리(단계 S39)를 실행한 뒤에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단계 S37에서의 상태 이상 유무 판정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이 상태 이상 유무 판정으로서,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방향이, 미리 설정된 설치 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분산형 전원 장치(4)가 전력을 출력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위치(7a)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면, 전력 부하(7)로의 전력 공급의 필요에 따라,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전류 센서(5a, 5b)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으면, 즉, 설정 내용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이 증대 전력(전력 부하(7)가 전선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와 접속되어 있을 때의, 전선을 통해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차이)을 올바르게 「정」의 전력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전류 센서(5a, 5b)의 설치가 잘못되어 있으면, 상술한 증대 전력은 올바르게 「정」의 전력으로서 검출할 수 없고, 예컨대 「부」의 전력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그래서 단계 S37의 상태 이상 유무 판정에서는, 스위치(7a)가 온의 상태 및 오프의 상태인 전력에 대하여 차분치를, 단계 S30~S34의 일련의 처리마다, Y회분만큼 산출한다. 그리고, Y회분의 차분치 중, 「정」의 값이 되는 것이 복수회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방향은 「올바르다」고 판정하고, 그 이외일 때에는 「잘못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방향이 「잘못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근거를, 상기한 것 대신에, Y회분의 차분치 중에 「부」의 값이 되는 것이 복수회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경우로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Y회분의 차분치 중에, 「정」의 값이 되는 것 및 「부」의 값이 되는 것 중 어느 것도 복수회 연속하여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정 불능으로 판단하여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처음부터 다시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단계 S39에서의 대응 처리에 대하여 보충하여 둔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대응 처리는,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방향이 미리 설정되어 있던 것과 다른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이며, 예컨대, 설치 방향이 잘못되어 있던 전류 센서에 관하여, 그 검출 전류치의 정부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설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부호의 반전은, 제어 장치(8)가 갖는 부호 반전부(14)에 의해 행한다. 이에 의해, 가령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방향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라도, 전류 센서를 올바른 방향으로 다시 설치하지 않고서, 정확한 소비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것에 더하여 또는 상기한 것 대신에, 예컨대, LCD(10)에 있어서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이상을 표시 및 통지하는 처리나, 분산형 전원 장치(4)의 기동을 불허가로 하는 처리 등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에 의하면, 본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A)과 마찬가지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 전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전류 센서(5a, 5b)의 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를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검출 상한치가 비교적 작은 저렴하고 소형의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에 있어서는, 설치 방향의 판정에 이용하는 전력치를 복수회분 취득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력치를 취득하는 타이밍과 수요가 내 부하로의 공급 전력의 변동 주기가 동기하지 않는 고안을 쓰고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보다 신뢰성이 높은 진단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에서는, 단계 S31~S34의 처리에 있어서, 스위치(7a)가 온인 상태에서의 전력 산출을, 스위치(7a)가 오프인 상태에서의 전력 산출보다 먼저 실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순서를 반대로 하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분산형 전원 시스템(3C)의 다른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분산형 전원 시스템(3C)은, 전류 센서 진단 처리에 있어서,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문제, 권선(52)의 단선, 혹은 무언가의 고장의 유무 등을 판정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B)에 비하여, 휘발성 메모리(16), 전류 센서 이상 판정부(17), 스위치(18) 및 시간 계측부(19)를 더 구비하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휘발성 메모리(16)는, 전력 연산부(11) 및 전력 부하 제어부(15)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특히, 전력 연산부(11)에서 산출된 전력치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센서 이상 판정부(17)는, 부호 반전부(14), 전력 부하 제어부(15) 및 휘발성 메모리(16)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문제, 권선(52)의 단선, 혹은 무언가의 고장의 유무 등을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18)는, 제어 장치(8)에 미리 설정된 타이밍 이외에, 유지보수(maintenance)시의 필요에 따른 타이밍 등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받아 진단 가부 판정 및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스위치(18)는 비조작시에는 LOW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조작되었을 때에는 HI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간 계측부(19)는, 소정의 타이밍에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함과 아울러, 소정의 타이밍에 계측 결과를 전력 부하 제어부(15)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C)에서는, 스위치(18)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 또는, 본 시스템(3C)의 전원 투입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 및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한다. 스위치(18)에 대한 조작의 유무는, 전력 부하 제어부(15)에 스위치(18)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신호가, LOW로부터 HI로 전환된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전원 투입시로부터의 소정 시간의 경과는, 시간 계측부(19)가 계측하는 시간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요가 내 부하에서의 전력 수요의 변화에 따라, 혹은, 과거의 전력 수요의 실적으로부터 학습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외의 적절한 타이밍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 및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타이밍에 개시되는 진단 가부 판정 처리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도 2~도 5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것과 같으며, 설정 상한치 I1과 실측 전류치 I2의 차이가 부하 전류치 I3 이상인 경우에만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진단 가부 판정 처리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진단 가부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이 허가되면(도 2의 단계 S5), 이어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가 실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실행되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는,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단계 S30~S39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단, 단계 S37에 나타내는 상태 이상의 유무 판정의 내용이,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령 전류 센서(5a, 5b)가, 설치 위치 상태에 문제가 있어 전류를 검출할 수 없게 설치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 전류 센서(5a, 5b)에 단선 또는 무언가의 고장이 있는 경우, 혹은, 전류 센서(5a, 5b)가 원래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 부하(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의 전력치와,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의 전력치의 차이는, 이상적으로는 제로가 된다. 이것은, 분산형 전원 장치(4)가 발전 상태인지 비발전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또한, 발전 상태인 경우에는 비역조류인지 역조류인지에 관계없이 들어맞는 사정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류 센서 이상 판정부(17)는, 스위치(7a)를 온했을 때와 오프했을 때의 전력의 차분치를 취득하고(도 7의 단계 S31~S34 참조), 이것이 소정치 이내이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다(도 7의 단계 S37).
또, 이 소정치로서는, 전류 센서(5a, 5b) 및 전압 센서(6)의 측정 오차를 고려한 적절한 수치를 채용할 수 있고, 예컨대, 차분치가 +100W~-100W의 범위 이내이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류 센서(5a, 5b)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경우에 스위치(7a)를 온하여 전력 부하(7)에 공급되는 전력(혹은 그 예측치)을 취득하여 두고, 상기 차분치가 이 값(또는, 이 값으로부터 정한 소정치) 이하이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상기와 같은 판정(단계 S37)의 결과, 상태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38 : 예)는 대응 처리(단계 S39)를 행한다. 이 단계 S39의 대응 처리에서는, 상태 이상이 존재하는 것을 LCD(10)에 의해 표시 및 통지하거나, 분산형 전원 장치(4)의 기동을 금지하는 등의 처리를 적절하게 실행한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C)에 의하면, 본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A)과 마찬가지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실행 전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전류 센서(5a, 5b)의 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센서 진단 처리의 결과를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검출 상한치가 비교적 작은 저렴하고 소형의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분산형 전원 시스템(3C)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류 센서 진단 처리로서, 시스템(3C)의 설치시나 유지보수 작업시에 있어서는 전류 센서(5a, 5b)의 설치 문제를 검출할 수 있고, 시스템(3C)이 올바르게 설치된 후에 있어서는, 전류 센서(5a, 5b)의 단선이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필요로 하는 적절한 타이밍에, 진단 가부 판정 처리 및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3C)의 설치 공사나 유지보수 작업 등을 부드럽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계측부(19)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미리 설정한 타이밍에 자동적으로 진단 가부 판정 처리 및 전류 센서 진단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수요에 관계없이, 또한, 오퍼레이터가 스위치(18)를 조작하지 않아도, 각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류 센서(5a, 5b)의 설치의 방향도 함께 진단하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다른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D)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D)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시스템(3B)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설정 상한치에 근거하는 진단 가부 판정 처리에 필요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포함시킨 것이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D) 및 수요가 내 부하(2)는, 과전류 보호 장치(20)를 통해 상용 전력 계통(1)과 연계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본 시스템(3D)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전원 시스템(3B)과 비교하면, 제어 장치(8)가 설정 상한치 설정부(20)를 구비하는 점 및 수요가 내 부하(2)와 전선의 접속 위치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전류 보호 장치(20)는, 수요가 내 부하(2)에서 전력이 소비될 때에 흐르는 전류치가, 전력 회사와 미리 계약한 전류치(「계약 상한치」 : 실시의 형태 1 참조)를 넘은 경우에,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설정 상한치 설정부(21)는, 전류 센서(5a, 5b)의 검출 상한치, 상술한 바와 같이 계약에 의해 정해진 계약 상한치 및 그 계약 상한치 미만의 소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오퍼레이터의 조작 설정에 의해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시스템(3D)에서는, 분산형 전원 장치(4)로부터 상용 전력 계통(1)에 이르는 전선에 대하여, 분산형 전원 장치(4)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차례로, 스위치(7a), 전압 센서(6), 수요가 내 부하(2) 및 전류 센서(5a, 5b)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1~3과 마찬가지로, 분산형 전원 장치(4)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스위치(7a), 수요가 내 부하(2), 전압 센서(6) 및 전류 센서(5a, 5b)의 차례로 마련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이와 같은 분산형 전원 시스템(3D)에 의한 진단 가부 판정 처리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도 2~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내용과 같으며, 설정 상한치 설정부(21)에 기억된 검출 상한치, 계약 상한치, 또는 소정치 중 하나를 설정 상한치 I1로 하여 도 2의 단계 S4의 판정이 행해진다. 또한, 상용 전력 계통(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치가 계약 상한치를 넘은 경우에는, 과전류 보호 장치(20)가 가동되어, 이후의 전류의 공급을 차단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상 삼선식의 전기 회로를 갖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단상 이선식의 전기 회로 또는 이상 삼선식의 전기 회로를 갖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용 전력 계통과는 별도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 상용 전력 계통
2 : 수요가 내 부하
3A~3D : 분산형 전원 시스템
4 : 분산형 전원 장치
4a : 발전 유닛
4b : 인버터
5a, 5b : 전류 센서
6 : 전압 센서
7 : 전력 부하
7a : 스위치
8 : 제어 장치
10 : LCD
11 : 전력 연산부
12 : 전류 센서 상태 판정부
14 : 부호 반전부
15 : 전력 부하 제어부
17 : 전류 센서 이상 판정부
18 : 스위치
19 : 시간 계측부

Claims (10)

  1.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용 전력 계통과는 별도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용 전력 계통에 대하여 전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전력 수요점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산형 전원 장치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부하와,
    상기 전선에 접속되고, 그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전력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와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의 상기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치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전류 센서의 진단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소정의 상한치인 설정 상한치와,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류 센서가 검출한 실측 전류치의 차이가,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 중에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상기 전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치인 부하 전류치 이상인지 여부의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하고,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상한치는, 상기 전류 센서가 검출 전류치와 출력 전압치의 사이에 선형성을 보증할 수 있는 상한치인 검출 상한치, 상기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기 상용 전력 계통이 공급하는 전류의 상한치로서 상기 검출 상한치 이하로 정해진 계약 상한치 또는 그 계약 상한치 미만의 소정치인 분산형 전원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단 가부 판정에 의해 상기 부하 전류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진단 가부 판정을 다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단 가부 판정에 의해 상기 부하 전류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을 불가로 함과 아울러 과거에 실행한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를 이번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로서 채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의 기동 전에 상기 진단 가부 판정을 행하여, (1)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한 후에, (2) 상기 부하 전류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과거에 실행한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를 이번 상기 진단 처리의 결과로서 채용한다고 결정한 후에,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서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링코어와, 그 링코어에 감긴 권선과, 그 권선의 양단 사이에 접속된 저항 소자를 갖고,
    상기 검출 상한치는, 상기 저항 소자의 허용 인가 전압 영역의 상한 전압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처리에는, (1) 상기 전류 센서의 설치 방향, (2) 상기 전선에 대한 상기 전류 센서의 설치 위치의 상태, (3) 상기 전류 센서의 고장의 상태, (4) 상기 전선에 대한 상기 전류 센서의 착탈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상태 검출 처리가 포함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시간 간격을 두고 3회 이상 연속하여 상기 진단 처리를 실행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은 다른 시간 간격의 정수배 이외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는, 직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 유닛과, 그 발전 유닛이 발전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선에 출력하는 인버터를 갖고,
    상기 전력 부하는, 상기 인버터를 통해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히터인
    분산형 전원 시스템.

  10. 전력 수요점에 대하여 상용 전력 계통과는 별도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분산형 전원 장치와, 상기 상용 전력 계통 및 상기 분산형 전원 장치의 사이를 접속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부하를 구비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소정의 상한치인 설정 상한치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 센서의 진단에 관한 소정의 진단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류 센서가 검출한 실측 전류치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 중에 상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상기 전력 부하에 흐르는 전류치인 부하 전류치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상한치와 상기 실측 전류치의 차이가,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의 결과, 상기 부하 전류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진단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27002912A 2010-08-02 2011-08-01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352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3350 2010-08-02
JPJP-P-2010-173350 2010-08-02
JP2010277585 2010-12-14
JPJP-P-2010-277585 2010-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205A true KR20120035205A (ko) 2012-04-13

Family

ID=4555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912A KR20120035205A (ko) 2010-08-02 2011-08-01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58923B2 (ko)
EP (1) EP2602629A4 (ko)
JP (1) JP5352743B2 (ko)
KR (1) KR20120035205A (ko)
WO (1) WO2012017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376819B2 (en) * 2012-04-12 2017-04-20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anch circuit current
CN104412113B (zh) 2012-04-25 2018-04-20 施耐德电气It公司 电流监测装置
EP2939034B1 (en) 2012-12-27 2019-05-29 Schneider Electric USA, Inc. Power meter with current and phase sensor
US11126242B2 (en) 2013-10-28 2021-09-21 Virtual Power Systems, Inc. Time varying power management within datacenters
US10128684B2 (en) 2013-10-28 2018-11-13 Virtual Power Systems, Inc. Energy control via power requirement analysis and power source enablement
US10429914B2 (en) 2013-10-28 2019-10-01 Virtual Power Systems, Inc. Multi-level data center using consolidated power control
US10747289B2 (en) 2013-10-28 2020-08-18 Virtual Power Systems, Inc. Data center power manipulation
US9973036B2 (en) 2013-12-31 2018-05-15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Automatic sub-millisecond clock synchronization
EP2978122A1 (en) * 2014-07-22 2016-01-27 ABB Technology AG Model predictive control of a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KR102399722B1 (ko) * 2014-12-29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류 추정 방법 및 장치
US11455021B2 (en) 2016-08-18 2022-09-27 Cato Datacenter power management using AC and DC power sources
US11107016B2 (en) 2016-08-18 2021-08-31 Virtual Power Systems, Inc. Augmented power control within a datacenter using predictive modeling
US11461513B2 (en) 2016-08-18 2022-10-04 Cato Data center power scenario simulation
US10585468B2 (en) 2016-08-18 2020-03-10 Virtual Power Systems, Inc. Datacenter power management using dynamic redundancy
US10969846B2 (en) 2017-05-25 2021-04-06 Virtual Power Systems, Inc. Secure communication initiation and execution for datacenter power control
WO2019173203A1 (en) 2018-03-05 2019-09-12 Virtual Power Systems, Inc. Dynamic tiering of datacenter power for workloads
JP7215175B2 (ja) * 2019-01-09 2023-01-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センサ異常検出装置、分散型電源システム、及びセンサ異常判定方法
JP7345329B2 (ja) * 2019-09-13 2023-09-15 大阪瓦斯株式会社 診断装置、分散型発電システム、診断方法
US11531079B2 (en) * 2020-12-23 2022-12-20 Powertree Services, Inc. Multi-meter energy allocation system with no back fee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066A (ja) 1995-10-18 1997-05-02 Sanyo Electric Co Ltd 系統連系電源システム
JP3929235B2 (ja) 2000-08-01 2007-06-13 関西電力株式会社 配電系統における状態推定方法
JP3908203B2 (ja) * 2003-07-22 2007-04-25 デンヨー株式会社 分散型電源システムにおける変流器の異常検出装置
JP4709501B2 (ja) * 2004-05-13 2011-06-2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センサ位置検出方法、センサ位置検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および、磁気検出装置
JP4501873B2 (ja) * 2006-02-27 2010-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の異常判定装置及び異常判定方法
JP5358873B2 (ja) * 2006-08-23 2013-12-04 オムロン株式会社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EP2113979B1 (en) * 2007-02-20 2013-03-20 Panasonic Corporatio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003417B2 (ja) 2007-11-08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分散型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7638A1 (ja) 2012-02-09
EP2602629A1 (en) 2013-06-12
US20120218794A1 (en) 2012-08-30
US8958923B2 (en) 2015-02-17
EP2602629A4 (en) 2017-07-05
JP5352743B2 (ja) 2013-11-27
JPWO2012017638A1 (ja)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5205A (ko) 분산형 전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820461B2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
JP5003417B2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
EP2613164B1 (e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2365348B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current transformer
US9857406B2 (en) Three-phase wiring detection device and coincidence phase detection method
US20120286759A1 (e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JP2011160562A (ja) 分散型発電装置
JP4353114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US8803497B2 (en) Current detector of inductive load
JP2012184985A (ja) 分散型発電システム
JP2012222923A (ja) 分散型発電装置
JP2012220330A (ja) 分散型発電システム
JP6456115B2 (ja) 地絡検出回路故障診断装置
US10811877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apparatus
JP6738263B2 (ja) 絶縁抵抗検査装置、電力変換装置、および絶縁抵抗の測定方法
US1099116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mean time to failure of an electrical device
JP6054807B2 (ja) センサ位置判定方法及びセンサ位置判定装置
JP5939568B2 (ja) 自然エネルギーによる発電電力適正使用システム
WO2019082431A1 (ja) 系統連系蓄電システム及び電流センサの取り付け異常検出方法
WO2024057625A1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による電気系統異常検出方法
JP2002325462A (ja) 太陽光発電用電力変換装置
JP2017026227A (ja) 給湯装置
JP2018007332A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校正方法
JP2018038144A (ja) 電力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