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33A -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33A
KR20120032433A KR1020110096936A KR20110096936A KR20120032433A KR 20120032433 A KR20120032433 A KR 20120032433A KR 1020110096936 A KR1020110096936 A KR 1020110096936A KR 20110096936 A KR20110096936 A KR 20110096936A KR 20120032433 A KR20120032433 A KR 2012003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camera
permanent magnet
coil
driv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지 바이
마사토시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3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03B9/20More than two members each moving in a single direction first to open and then to reclo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소형이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날개 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그 날개 부재를 비통전시에는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광로가 되는 개구부(10a)를 가지는 지판(10)과, 그 지판(10)에 지지되어 개구부(10a)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날개 부재(20)와, 지판(1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 구동 링(30)을 구비하고, 회전 운동하는 구동 링(30)에 연동시켜 날개 부재(20)를 동작하도록 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 구동 링(30)에, 영구 자석(31)을 설치하고, 지판(10)에는, 통전시에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구동 링(30)을 회전 운동시키는 코일(11)과, 그 코일(11)의 비통전시에 영구 자석(31)과의 사이에 생기는 자기력으로 흡인하는 것에 의해 구동 링(30)을 소정 위치로 유지하는 자성 부재(12)를 설치했다.

Description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CAMERA BLADE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의 셔터 날개, 조리개 날개 등의 날개 부재를 구동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발명에는, 방사상으로 다극자화된 원환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다극자화된 면에 홈 캠을 가지는 영구 자석 로터와, 그 로터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배치된 2개의 스테이터 유닛과, 상기 홈 캠에 걸어 맞추는 날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 유닛으로의 통전에 의해 영구 자석 로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홈 캠에 의해 날개 부재를 개폐 동작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터 유닛에 공급되는 펄스 전력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구 자석 로터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날개 부재를 원하는 개구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다극자화된 원환형의 로터, 및 2개의 스테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나, 상기 로터면으로의 홈 가공 등, 복잡한 구성이나 가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함과 더불어, 전체 구성이 대형화되기 쉽다.
또,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비통전시에 날개 부재를 정위치에 유지할 수 없어,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하는 데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전하 결합 소자)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등을 보호하는 관점으로부터, 전원 투입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날개 부재가 전폐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비통전시에 날개 부재를 전폐 상태로 유지할 수 없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2-8063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로 하는 것은, 소형이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날개 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그 날개 부재를 비통전시에는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광로용의 개구부를 가지는 지판과, 그 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날개 부재와, 상기 지판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 구동 링을 구비하고, 회전 운동하는 상기 구동 링에 연동시켜 상기 날개 부재를 동작하도록 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에,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지판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영구 자석을 흡인하는 자성 부재를 설치하고, 그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성 부재 사이에 생기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구동 링을 소정 위치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수단으로서는, 상기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자성 부재에 흡인되어, 상기 날개 부재가 전폐 상태 또는 전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폐 상태 또는 전개 상태의 날개 부재의 정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자성 부재에 흡인됨과 함께, 상기 날개 부재의 폐쇄 방향 또는 개방 방향의 동작이, 상기 지판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날개 부재가 전폐 상태 또는 전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 비교적 소형인 구조에 의해 구동 링의 회전 토크를 증강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구 자석,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성 부재를, 상기 구동 링의 외주를 따라 복수 세트 설치한다.
또 구동 링의 회전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복수 세트의 상기 영구 자석,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성 부재 중, 적어도 1세트와 다른 1세트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는 위치이며 또한 상기 날개 부재의 지지 개소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코일로의 통전 상태에는, 코일에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구동 링 및 영구 자석이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그 회전 운동하는 구동 링에 연동시켜, 날개 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코일로의 비통전 상태에는, 영구 자석이 자성 부재에 흡인되기 때문에, 구동 링 및 날개 부재를 소정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이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날개 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그 날개 부재를 비통전시에는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전폐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중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영구 자석, 코일, 자성 부재 등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감시 카메라에 적용한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 적용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는, 광로가 되는 개구부(10a)를 가지는 지판(10)과, 그 지판(10)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부(10a)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복수(도시한 예에 의하면 5개)의 날개 부재(20)와, 지판(1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 구동 링(30)과, 지판(10)과의 사이에 날개 부재(20) 및 구동 링(30)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된 커버부(40)를 구비하고, 회전 운동하는 구동 링(30)에 연동시켜 복수의 날개 부재(20)를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는, 지판(10)에 코일(11) 및 자성 부재(12)를 설치함과 함께, 구동 링(30)에 영구 자석(31)을 설치하고 있고, 코일(11)의 통전시에는, 코일(11)과 영구 자석(31)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력에 의해 구동 링(30)을 회전 운동시키고, 코일(11)의 비통전시에는, 영구 자석(31)과 자성 부재(12) 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구동 링(30)을 소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판(10)은,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광로가 되는 개구부(10a)를 가지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지판(10)의 일방의 면에 있어서의 개구부(10a)의 주위에는, 구동 링(30)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하는 환형 축(10b)과, 구동 링(30)의 마찰 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한 환형 레일(10c)이 설치된다.
환형 축(10b)은, 개구부(10a)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돌기이며, 구동 링(30)의 내주면과 끼워 맞춰져, 구동 링(30)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환형 레일(10c)은, 환형 돌기(11)의 주위에 설치된 환형의 돌기이며, 구동 링(30)에 대하여, 직경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마찰 저항을 경감한다. 이 환형 레일(10c)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돌기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지판(10)에 있어서의 환형 레일(10c)의 주위에는, 날개 부재(20)를 환형으로 장착하기 위한 지지축(10d)과, 날개 부재(20)의 개폐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2종류의 규제부(10e, 10f)(도 2, 4 및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10d)은, 원주 형상의 돌기이며, 개구부(10a)의 주위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도시한 예에 의하면 5개) 설치된다.
일방의 규제부(10e)는, 지판(10)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솟아오른 벽면이고, 날개 부재(20)가 전개되었을 때, 구동 링(30)의 돌출부(30a)에 맞닿아, 구동 링(30)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규제한다(도 5 참조).
타방의 규제부(10f)는, 지판(10)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이며, 전폐했을 때의 날개 부재(20)에 맞닿아, 날개 부재(20)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규제한다.
이 규제부(10f)는, 모든 날개 부재(20)에 대응시키도록 설치해도 되지만, 반드시 모두일 필요는 없다. 단, 전폐 상태에 있어서의 정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모든 날개 부재(20) 중 적어도 절반 이상(도시한 예에 의하면 3개)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 의하면, 규제부(10f)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지축(10d, 10d)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개구부(10a)를 사이에 두는 일방측에 1개, 그 타방측에 2개 설치된다.
그리고, 지판(10)에 있어서의 구동 링(30)측의 면에는, 복수(도시한 예에 의하면 2개)의 코일(11)이 고정되고, 그 이면측에는, 코일(11)과 동일한 수의 자성 부재(12)가 고정된다.
코일(11)은, 중공부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권회된 도선이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공부를, 지판(10)면에 형성된 볼록부(10g)와 끼워 맞추도록 하여 고정된다.
도시한 예에 의하면, 2개의 코일(11)은, 개구부(10a)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양측에 위치함과 함께, 날개 부재(20)의 지지 개소(지지축(10d)) 및 규제부(10f)에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된다(도 2, 4 및 5 참조).
또한, 코일(11)의 형상은 직경 방향의 변과 반직경 방향을 일치시키고, 둘레방향의 외측변을 내측변보다 길게 한, 대략 부채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성 부재(12)는, 예를 들면 철, 니켈, 산화크롬코발트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지판(10)의 이면측에 형성된 오목부(10h)(도 3 참조)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이 자성 부재(12)는, 코일(11)의 비통전시에, 구동 링(30)의 영구 자석(31)을 흡인하여, 구동 링(30)에 걸어 맞추는 날개 부재(20)를 전폐 상태로 유지하도록, 그 위치가 설정된다. 도시한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자성 부재(12)는, 코일(11)에 있어서의, 구동 링(30)의 폐쇄 회전 방향측(도 6에 의하면 우단측)의 도선 부분(11a)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도 2, 4 및 5 참조).
또, 구동 링(30)은,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환형의 평판이며, 지판(10)의 환형 축(10b)에 끼워 맞추는 축 구멍(30b)을 가진다. 이 구동 링(30)의 외주부에는, 원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도시한 예에 의하면 2개)의 돌출부(30a)를 가진다. 또, 구동 링(30)에 있어서의 지판 반대측의 면에는, 날개 부재(20)에 걸어 맞추기 위한 구동 돌기(30c)가 복수 형성된다.
돌출부(30a)에는, 관통 형상의 끼워 맞춤 구멍(30a1)이 형성되고, 그 끼워 맞춤 구멍(30a1)에 영구 자석(31)이 끼워 맞춰진다. 이 돌출부(30a) 및 영구 자석(31)은, 코일(11)과 동일한 수로 설치되고, 각각이, 코일(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구동 핀(30c)은, 구동 링(3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위치하도록 복수(도시한 예에 의하면 5개) 설치된다. 각 구동 핀(30c)은, 원주축 형상의 돌기이며, 후술하는 날개 부재(20)에 여유 있게 삽입된다.
영구 자석(31)은, 2개의 영구 자석을 조합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극성이 반대가 되고, 또한 구동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 영구 자석(31)의 자력은, 날개 부재(20)의 전개 상태(도 5 참조)에 있어서 코일(11)을 비통전으로 했을 경우에, 그 영구 자석(31)과 자성 부재(12) 사이에 생기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구동 링(30)이 회전 운동하여 날개 부재(20)가 전폐하도록, 적당히 설정되어 있다.
또, 날개 부재(20)는, 일단측에 지판(10)의 지지축(10d)에 환형으로 장착되는 원 형상의 축 구멍(20a)을 가짐과 함께, 그 타단측에, 개구부(10a)에 임하여 그 개구부(10a)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키는 차광부(20b)를 가지는 박판 형상의 부재이다.
이 날개 부재(20)에 있어서의 축 구멍(20a)과 차광부(20b)의 사이에는, 구동 링(30)의 구동 핀(30c)에 걸어 맞추는 긴 구멍 형상의 구동 구멍(20c)이 형성된다. 이 구동 구멍(20c)은, 각 날개 부재(20)가, 구동 핀(30c)의 원호 형상의 운동에 추종하여 순조롭게 회전 운동하도록, 구동 핀(30c)의 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날개 부재(20)에 있어서의 폐쇄 회전 방향측에는, 그 날개 부재(2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 지판(10)의 규제부(10f)에 맞닿아, 날개 부재(20)의 폐쇄 방향의 회전량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부(20d)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도시한 예에 의하면 5개)의 날개 부재(20) 중, 상기 규제 돌기부(20d)에 맞닿는 날개 부재(20)는 일부(도시한 예에 의하면 3개)뿐이다. 다른 날개 부재(20)에 대해서는, 구동 링(30)을 통하여 상기 일부의 날개 부재(20)에 연동함으로써, 폐쇄 방향의 회전량이 규제되게 된다.
또, 커버부(40)는, 지판(10)과의 사이에 구동 링(30) 및 날개 부재(20)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지판(10)에 고정되는 원반 형상의 부재이다.
이 커버부(40)에는, 그 중심부에서 개구부(10a)에 연통하는 관통공(40a)과, 각 날개 부재(20)를 관통한 지지축(10d)의 선단측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 구멍 (40b), 날개 부재(20)에 여유있게 삽입된 구동 핀(30c)을 원호 형상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 돌기 지지 구멍(40c) 등이 형성된다.
또, 이 커버부(40)에는, 관통 형상의 센서 끼워 맞춤 구멍(40d)이 형성되고, 이 센서 끼워 맞춤 구멍(40d)에는, 구동 링(30) 및 영구 자석(31)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위치 센서(41)가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회전 위치 센서(41)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영구 자석(31)의 자계를 검출하는 이른바 홀 센서이다.
이 회전 위치 센서(41)는, 그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가 카메라 등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제어 회로에 대하여, 영구 자석(31)의 자계 강도에 따른 전기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에 대하여, 그 특징적인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코일(11)로의 통전을 하지 않은 비통전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영구 자석(31)이 그 자력에 의해 지판(10)의 자성 부재(12) 방향으로 흡인되기 때문에(도 6(a) 참조), 구동 링(30)이 일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회전 운동하는 구동 링(30)의 구동 핀(30c)에 의해, 복수의 날개 부재(20)가, 각각 폐쇄 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이들 복수의 날개 부재(20)의 차광부(20b)에 의해 개구부(10a)가 전폐된다(도 2 참조).
이 전폐 상태는, 복수의 날개 부재(20) 중 일부(도시한 예에 의하면 3개)가 규제부(10f)에 맞닿는 것에 의해, 안정된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복수의 날개 부재(20) 중, 규제부(10f)에 맞닿지 않는 날개 부재(20)(도시한 예에 의하면 2개의 날개 부재(20))는, 회전 운동을 정지한 구동 링(30)과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또, 코일(11)로의 통전이 행해졌을 때에는, 코일(11)의 주위에 발생하는 자계의 작용에 의해, 구동 링(30) 및 영구 자석(31)이 타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회전 운동하는 구동 링(30)의 구동 핀(30c)에 의해, 복수의 날개 부재(20)가, 각각 개방 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복수의 날개 부재(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개구부(10a)가 개방된다.
이때, 회전 위치 센서(41)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코일(11)에 통전되는 전력이나 전류의 방향을 적절하게 제어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0a)를 임의의 개방량(개구 면적)으로 한 상태에서, 날개 부재(20) 및 구동 링(30)을 정지할 수 있다.
또, 코일(11)로의 통전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 부재(20)를 전개한 경우에는, 구동 링(30)에 있어서의 일방의 돌출부(30a)가, 지판(10)의 규제부(10e)에 맞닿음으로써, 그 전개 상태가 안정된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또, 복수의 날개 부재(20)를 다시 폐쇄 동작하려면, 코일(11)에 역전류를 통전 한다. 혹은, 코일(11)을 통전을 끊음으로써 비통전 상태로 해도 된다.
즉, 코일(11)에 대하여, 개방 동작시와는 정부가 반대인 전류를 통전하면, 코일(11)의 주위에 발생하는 자계의 작용에 의해, 구동 링(30) 및 영구 자석(31)이 상기 일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복수의 날개 부재(20)를 각각 폐쇄 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또, 코일(11)을 비통전 상태로 했을 경우에도, 영구 자석(31)과 자성 부재(12) 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구동 링(30) 및 영구 자석(31)이 상기 일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복수의 날개 부재(20)를 각각 폐쇄 방향(도시한 예에 의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폐쇄 동작을 역전류의 통전에 의해 행할지, 코일(11)로의 통전을 끊는 비통전에 의해 행할지는, 그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의 용도 등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복수의 날개 부재(20)를 신속하게 폐쇄 동작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전자와 같이 역전류에 의해 폐쇄 동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에 의하면, 소형이며 간단한 구조의 영구 자석(31), 코일(11) 및 자성 부재(12)를 이용하여, 복수의 날개 부재(20)를 개폐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이들 날개 부재(20)를, 비통전시에는 전폐위치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그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를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에 있어서, 비통전시에 날개 부재(20)를 전폐함으로써 CCD나 CMOS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비통전시에 날개 부재(20)를 전폐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비통전시에 날개 부재(20)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자성 부재(12)를, 코일(11)에 있어서의, 구동 링(30)의 개방 회전 방향 가까이(도 6에 의하면 왼쪽 가까이)에 배치하면 된다.
또, 다른 예로서는, 비통전시에 날개 부재(20)를 중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자성 부재(12)를, 코일(11)의 중심부나 그 중심부의 근방 등, 날개 부재(20)가 원하는 개방량이 되는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영구 자석(31), 코일(11) 및 자성 부재(12)를, 구동 링(30)의 외주를 따라 2세트 설치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1세트로 하거나, 3세트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비교적 소형인 구성에 의해 높은 토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영구 자석(31), 코일(11) 및 자성 부재(12)를 2세트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구동 링(30)의 회전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복수 세트의 영구 자석(31), 코일(11) 및 자성부재(12) 중, 적어도 1세트와 다른 1세트는, 개구부(10a)를 사이에 두는 위치이며 날개 부재(20)의 지지 개소(지지축(10d))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자성 부재(12)를 자성체로 했지만, 자성 부재(12)의 다른 예로서는, 자성체를 포함한 합성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성 부재(12)의 다른 예로서는, 구동 링(30)의 영구 자석(31)을 흡인하도록 극성을 배치한 다른 영구 자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 적용한 바람직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예로서는, 카메라용 셔터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10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 카메라(100)는, 본체부(110)와, 그 본체부(110)의 전부측에 설치된 전측 렌즈군(120) 및 후측 렌즈군(130)과, 이들 전측 렌즈군(120)과 후측 렌즈군(130)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구성의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40)를 구비하고, 건물내부나 외부에 설치되어, 방범, 방재, 계측기록 등의 목적으로, 수상한 사람이나, 그 외의 사람, 동물, 물체 등을 감시한다.
이 감시 카메라(100)에 의하면, 전측 렌즈군(120)을 통과한 빛은,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40), 후측 렌즈군(130)을 통과하여, 본체부(110) 내에 유도되고, 본체부(110) 내의 촬상 소자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본체부(110)는, 도시한 예에 의하면,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나, 상기 전기 신호인 촬상 데이터를 감시 컴퓨터 등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회로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한 예에 의하면,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40)를 전측 렌즈군(120)과 후측 렌즈군(13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140)를 전측 렌즈군(120)의 전측 또는 후측 렌즈군(130)의 후측에 배치한 태양이나, 도시한 예 이외의 조합의 렌즈군에 대하여 그 중간부나 전후에 배치한 태양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10:지판
10a:개구부
10d:지지축(날개 부재의 지지 개소)
11:코일
12:자성 부재
20:날개 부재
30:구동 링
31:영구 자석
41:회전 위치 센서

Claims (5)

  1. 광로용의 개구부를 가지는 지판과, 상기 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날개 부재와, 상기 지판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 구동 링을 구비하고, 회전 운동하는 상기 구동 링에 연동시켜 상기 날개 부재를 동작하도록 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에,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지판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영구 자석을 흡인하는 자성 부재를 설치하고, 그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성 부재 사이에 생기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구동 링을 소정 위치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자성 부재에 흡인되어, 상기 날개 부재가 전폐 상태 또는 전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자성 부재에 흡인됨과 함께, 상기 날개 부재의 폐쇄 방향 또는 개방 방향의 동작이, 상기 지판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날개 부재가 전폐 상태 또는 전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성 부재를, 상기 구동 링의 외주를 따라 복수 세트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 세트의 상기 영구 자석,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성 부재 중, 적어도 1세트와 다른 1세트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는 위치이며 상기 날개 부재의 지지 개소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KR1020110096936A 2010-09-28 2011-09-26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KR20120032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7727 2010-09-28
JP2010217727A JP5604246B2 (ja) 2010-09-28 2010-09-28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33A true KR20120032433A (ko) 2012-04-05

Family

ID=4587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936A KR20120032433A (ko) 2010-09-28 2011-09-26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75064B2 (ko)
JP (1) JP5604246B2 (ko)
KR (1) KR20120032433A (ko)
CN (1) CN102419504B (ko)
TW (1) TW201214019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890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40009761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구동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구동 방법
KR20190129656A (ko) * 2018-05-10 2019-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09823A (ko) * 2018-07-20 2020-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20371A (ko) * 2018-08-17 2020-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824051B2 (en) 2019-01-29 2020-11-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52623B2 (en) 2018-06-08 2020-12-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0969653B2 (en) 2018-08-22 2021-04-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stop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969654B2 (en) 2019-06-18 2021-04-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156898B2 (en) 2019-03-21 2021-10-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169430B2 (en) 2018-05-10 2021-11-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top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226539B2 (en) 2019-06-28 2022-01-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8071B2 (ja) * 2011-03-31 2015-01-2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JP5826703B2 (ja) 2012-04-24 2015-12-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調節システム
JP6297584B2 (ja) * 2012-11-26 2018-03-20 ソルラブ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双安定電磁制御式シャッタ
CN104155828B (zh) * 2014-08-26 2017-04-05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改进型的旋转快门机构
JP6624786B2 (ja) * 2015-01-20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絞り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70123615A (ko) * 2015-02-27 2017-11-08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날개 구동 장치
JP6871153B2 (ja) 2015-02-27 2021-05-1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
US10237458B2 (en) * 2015-03-16 2019-03-19 Micro Actuator Co., Ltd. Filter switching device used for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WO2016199899A1 (ja) 2015-06-12 2016-12-15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USD881973S1 (en) 2015-07-24 2020-04-21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for camera
CN110036338B (zh) * 2016-12-09 2021-03-30 株式会社日东 光圈装置、透镜镜筒及摄影装置或投影装置
CN107065393A (zh) * 2017-02-16 2017-08-18 北京灵铱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快门结构
CN108663871B (zh) * 2017-03-31 2021-06-25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快门装置
KR102104453B1 (ko) * 2017-11-09 2020-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892121B2 (ja) * 2017-12-21 2021-06-18 株式会社nittoh 絞り装置、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又は投影装置
CN110087055B (zh) * 2018-01-25 2022-03-2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三维物体信息获取系统和三维物体信息获取方法
US11473616B2 (en) 2018-10-22 2022-10-18 Raytheon Company Flexure device
US10771710B2 (en) * 2018-10-22 2020-09-08 Raytheon Company Shutter assembly for managing light relative to a photosensitive device
CN112955800B (zh) * 2018-10-25 2023-03-10 富士胶片株式会社 透镜镜筒
EP3862810A4 (en) * 2019-06-26 2021-10-13 SZ DJI Technology Co., Ltd. MOTOR, APERTURE DEVICE AND PHOTOGRAPHY DEVICE
CN211878277U (zh) * 2019-09-12 2020-11-0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CN114207516B (zh) * 2020-05-29 2024-05-1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快门及拍照设备
WO2022052039A1 (en) * 2020-09-11 2022-03-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device for variable aperture
US20220413359A1 (en) * 2021-06-23 2022-12-29 New Shicoh Motor Co., Ltd. Blade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6991017A (zh) * 2022-04-22 2023-11-03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2636C2 (de) * 1978-10-23 1984-12-13 Canon K.K., Tokio/Tokyo Elektromagnetisch betätigter Zentralverschluß
JPS6280636A (ja) 1985-10-04 1987-04-14 Canon Inc 絞り機構
JP2000347240A (ja) * 1999-03-31 2000-12-15 Seiko Precision Inc カメラ用シャッタ
JP2002315293A (ja) * 2001-04-11 2002-10-25 Nidec Copal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2005037866A (ja) * 2003-06-24 2005-02-10 Alps Electric Co Ltd 小型シャッタ
US20050152691A1 (en) * 2004-01-09 2005-07-14 Alps Electric Co., Ltd. Shutter apparatus
JP2006284641A (ja) * 2005-03-31 2006-10-19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US7513702B2 (en) * 2005-11-16 2009-04-07 Va, Inc. Non-contact shutter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890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40009761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구동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구동 방법
KR20190129656A (ko) * 2018-05-10 2019-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169430B2 (en) 2018-05-10 2021-11-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top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52623B2 (en) 2018-06-08 2020-12-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00009823A (ko) * 2018-07-20 2020-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931857B2 (en) 2018-07-20 2021-02-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020371A (ko) * 2018-08-17 2020-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969653B2 (en) 2018-08-22 2021-04-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stop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24051B2 (en) 2019-01-29 2020-11-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156898B2 (en) 2019-03-21 2021-10-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969654B2 (en) 2019-06-18 2021-04-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226539B2 (en) 2019-06-28 2022-01-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19504B (zh) 2016-08-03
JP2012073383A (ja) 2012-04-12
JP5604246B2 (ja) 2014-10-08
CN102419504A (zh) 2012-04-18
US20120076486A1 (en) 2012-03-29
US8475064B2 (en) 2013-07-02
TW201214019A (en) 201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2433A (ko)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US7560836B2 (en) Driving device and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US7794162B2 (en) Mechanical shutte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40146919A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CN112596321A (zh) 光圈组件、摄像模组和电子装置
US7071591B2 (en) Electromagnetic circuit and servo mechanism for articulated cameras
WO2016136932A1 (ja) 羽根駆動装置
JP6871153B2 (ja) 羽根駆動装置
KR20060118788A (ko) 휴대폰의 셧터 및 조리개 구조
CN110073287A (zh) 叶片驱动装置
KR20180105970A (ko) 조리개장치
CN112334828A (zh) 开关电机、快门装置及摄像装置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11684350A (zh) 电机、快门装置及摄像装置
CN111684349B (zh) 快门结构及拍摄设备
JP4796835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4934365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CN214011702U (zh) 光圈组件、摄像模组和电子装置
JP20082501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8046209A (ja) 光路絞り・開閉装置
JPH01120542A (ja) 絞り装置
JP2019095508A (ja) アクチュエータ、羽根駆動装置、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CN117761947A (zh) 一种叶片驱动装置、摄像装置以及便携式电子设备
CN115877632A (zh) 一种可变光圈及其驱动机构及具有该可变光圈的透镜镜头
JP2016144276A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羽根駆動装置、及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