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330A - 유기염 화합물,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유기염 화합물,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330A
KR20120030330A KR1020117020145A KR20117020145A KR20120030330A KR 20120030330 A KR20120030330 A KR 20120030330A KR 1020117020145 A KR1020117020145 A KR 1020117020145A KR 20117020145 A KR20117020145 A KR 20117020145A KR 20120030330 A KR20120030330 A KR 2012003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atom
ring
optic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야 이시다
사토시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2003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33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11B7/249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as an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2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odd number of >CH- or >C[alkyl]- groups
    • C09B23/04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odd number of >CH- or >C[alkyl]- groups one >CH- group, e.g. cyanines, isocyanines, pseudocyan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5/00Azomethine dyes
    • C09B55/001Azomethine dyes forming a 1,2 complex metal compound, e.g. with Co or Cr, with an other dye, e.g. with an azo or azomethine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9/00Dyes not provided for by a single group of this subclass
    • C09B69/02Dyestuff salts, e.g. salts of acid dyes with basic dyes
    • C09B69/04Dyestuff salts, e.g. salts of acid dyes with basic dyes of anionic dyes with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 G11B7/247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cyani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11B7/249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as c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은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며, 감도 및 내광성이 뛰어나고, 특히 레이저광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광학기록재료에 사용되는 광학요소에 적합한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34

일반식(Ⅰ) 중, X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또는 셀렌원자이고, R1 및 R2는 C1?20의 알킬기, C7?30의 아릴알킬기 등이며, R3?R6은 수소원자, C1?20의 알킬기 등이고, R4와 R5는 연결해서 6원환을 형성해도 되며, Y1 및 Y2는 C1?20의 알킬기 등이고, R7?R10은 수소원자, C1?20의 알킬기 등을 나타내며, 인접하는 R7?R10은 연결해서 5?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일반식(Ⅳ) 중, M'은 Fe, Co, Ni, Cr, Mn 등을 나타내고, R11?R26은 수소원자, 니트로기, -NRR'(R, R'은 C1?4의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유기염 화합물,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ORGANIC SALT COMPOUND, AND OPTICAL RECORDING MATERIAL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ORGANIC SALT COMPOUND}
본 발명은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신규 유기염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기염 화합물은 광학요소 등, 특히 레이저광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광학기록매체의 광학기록층에 이용되는 광학기록재료에 함유시키는 광학기록제로서 유용하다.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 기록 및 재생에 이용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은, CD-R은 750?830nm이고, DVD±R은 620nm?690nm인데, 한층 더한 용량의 증가를 실현하기 위해 단파장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디스크가 검토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기록광으로서 380?420nm의 광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단파장 기록용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 광학기록층의 형성에는 각종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는 트리메틴 시아닌계 색소가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비대칭 트리메틴 시아닌계 색소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 화합물들은 무기 음이온을 사용하고 있고 내광성에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4에는 트리아졸을 가지는 배위자로 하는 금속 착체가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포르피린 골격을 가지는 색소가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는 트리메틴 시아닌계 색소와 아조메틴 착체를 포함하는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 화합물들은 각각이 무기의 대이온(counter ion)을 가진 채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Na+PF6 - 등의 염이 석출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7에는 아조메틴 착체의 트리에틸아민염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380?420nm에서의 감도가 불충분하였다.
특허문헌 8에는 트리메틴 시아닌계 색소와 아조메틴 착체의 염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380?420nm에서의 흡수 및 분해 거동의 양 특성을 만족하는 것은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07-08549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07-26260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30133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17483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5960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30583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7-11206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7-20732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도 및 내광성이 뛰어나고, 특히 레이저광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광학기록재료에 사용되는 광학요소에 적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 구조를 가지는 유기염 화합물이 감도 및 내광성이 뛰어난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 하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염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 중, X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셀렌원자 또는 -NY3-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일반식(Ⅱ) 혹은 (Ⅱ')로 표시되는 기,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이며, R1과 R2는 연결해서 3?6원환의 지환기를 형성해도 되고,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이며, R4와 R5는 연결해서 6원환을 형성해도 되고,
Y1, Y2 및 Y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 또는 하기 일반식(Ⅲ)로 표시되는 기이며,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7, R8, R9, R10은 각각 연결해서 5?6원환을 형성해도 되며,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 -N=CH- 또는 -CH=CH-로 중단되어 있어도 된다.)
Figure pct00002
(상기 일반식(Ⅱ)에 있어서, G와 T 사이의 결합은 이중결합, 공역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이고, G는 탄소원자를 나타내며, T는 탄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단, T가 산소원자일 경우 y와 z는 0이고, T가 질소원자일 경우 y+z는 0 또는 1이다.), w는 0?4의 수를 나타내며, x, y 및 z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R01, R02, R03 및 R0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R01과 R04는 결합해서 시클로알켄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Ⅱ')에 있어서, G'와 T' 사이의 결합은 이중결합 또는 공역 이중결합이고, G'는 탄소원자를 나타내며, T'는 탄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w'는 0?4의 수를 나타내며, R01'은 수소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G' 및 T'를 포함하는 환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5원환, 헤테로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6원환, 퀴놀린환, 이소퀴놀린환 또는 안트라퀴논환을 나타내고, 이들 G' 및 T'를 포함하는 환은 할로겐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1?4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Figure pct00003
(식 중, Ra?Ri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Q는 직접결합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원자수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 -N=CH- 또는 -CH=CH-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M은 Fe, Co, Ni, Ti, Cu, Zn, Zr, Cr, Mo, Os, Mn, Ru, Sn, Pd, Rh, Pt 또는 Ir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식 중, M'은 Fe, Co, Ni, Cu, Cr, Mo, Os, Mn, Ru, Sn, Pd, Rh, Pt, Al 또는 Ir을 나타내고, R11?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R'을 나타내며, R 및 R'은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11?R26은 각각 연결해서 5?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基體)상에, 상기 광학기록재료로 형성된 광학기록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도 및 내광성이 뛰어난, 광학요소에 적합한 유기염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광학기록재료는 특히 단파장의 레이저광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광학기록매체의 광학기록층의 형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광학기록재료, 및 상기 광학기록재료를 이용한 광학기록매체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R1?R10, Y1, Y2 및 Y3 그리고 상기 일반식(Ⅳ)에서의 R11?R26으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부틸, t-부틸, 이소부틸, 아밀, 이소아밀, t-아밀, 헥실,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2-시클로헥실에틸, 헵틸, 이소헵틸, t-헵틸, n-옥틸, 이소옥틸, t-옥틸, 2-에틸헥실, 노닐, 이소노닐, 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2-메톡시에틸, 3-메톡시프로필, 4-메톡시부틸, 2-부톡시에틸, 메톡시에톡시에틸, 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 3-메톡시부틸, 2-메틸티오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R1?R10, Y1, Y2 및 Y3 그리고 상기 일반식(Ⅳ)에서의 R11?R26으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 나프틸,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4-비닐페닐, 3-이소프로필페닐, 4-이소프로필페닐, 4-부틸페닐, 4-이소부틸페닐, 4-t-부틸페닐, 4-헥실페닐, 4-시클로헥실페닐, 4-옥틸페닐, 4-(2-에틸헥실)페닐, 4-스테아릴페닐, 2,3-디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2,5-디메틸페닐, 2,6-디메틸페닐, 3,4-디메틸페닐, 3,5-디메틸페닐, 2,4-디-t-부틸페닐, 시클로헥실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R1?R10, Y1, Y2 및 Y3 그리고 상기 일반식(Ⅳ)에서의 R11?R26으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로서는 벤질, 페네틸, 2-페닐프로판-2-일,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스티릴, 신나밀, 2-페녹시에틸, 2-페닐티오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R1?R10, Y1, Y2 및 Y3 그리고 상기 일반식(Ⅳ)에서의 R11?R26으로 표시되는 알킬기,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R1?R10, Y1, Y2 및 Y3 그리고 상기 일반식(Ⅳ)에서의 R11?R26으로 표시되는 아릴기, 아릴알킬기는 각각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치환기로 치환될 경우에는 상기 치환기를 포함한 R1?R10, Y1, Y2, R11?R26으로 표시되는 기 전체의 탄소원자수가 각각 규정된 탄소원자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부틸, 제2부틸, 제3부틸, 이소부틸, 아밀, 이소아밀, 제3아밀, 시클로펜틸, 헥실, 2-헥실, 3-헥실, 시클로헥실, 비시클로헥실, 1-메틸시클로헥실, 헵틸, 2-헵틸, 3-헵틸, 이소헵틸, 제3헵틸, n-옥틸, 이소옥틸, 제3옥틸, 2-에틸헥실, 노닐, 이소노닐, 데실 등의 알킬기; 메틸옥시, 에틸옥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부틸옥시, 제2부틸옥시, 제3부틸옥시, 이소부틸옥시, 아밀옥시, 이소아밀옥시, 제3아밀옥시, 헥실옥시, 시클로헥실옥시, 헵틸옥시, 이소헵틸옥시, 제3헵틸옥시, n-옥틸옥시, 이소옥틸옥시, 제3옥틸옥시, 2-에틸헥실옥시, 노닐옥시, 데실옥시 등의 알콕시기;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제2부틸티오, 제3부틸티오, 이소부틸티오, 아밀티오, 이소아밀티오, 제3아밀티오, 헥실티오, 시클로헥실티오, 헵틸티오, 이소헵틸티오, 제3헵틸티오, n-옥틸티오, 이소옥틸티오, 제3옥틸티오, 2-에틸헥실티오 등의 알킬티오기; 비닐, 1-메틸에테닐, 2-메틸에테닐, 2-프로페닐, 1-메틸-3-프로페닐, 3-부테닐, 1-메틸-3-부테닐, 이소부테닐, 3-펜테닐, 4-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비시클로헥세닐, 헵테닐, 옥테닐, 데세닐, 펜타데세닐, 에이코세닐, 트리코세닐 등의 알케닐기; 벤질, 페네틸,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스티릴, 신나밀 등의 아릴알킬기; 페닐, 나프틸 등의 아릴기; 페녹시, 나프틸옥시 등의 아릴옥시기; 페닐티오, 나프틸티오 등의 아릴티오기;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질, 피페리딜, 피라닐, 피라졸릴, 트리아질, 피롤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이미다졸릴, 벤조이미다졸릴, 트리아졸릴, 푸릴, 푸라닐, 벤조푸라닐, 티에닐, 티오페닐, 벤조티오페닐,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벤조티아졸릴, 옥사졸릴, 벤조옥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소옥사졸릴, 인돌릴, 2-피롤리디논-1-일, 2-피페리돈-1-일, 2,4-디옥시이미다졸리딘-3-일, 2,4-디옥시옥사졸리딘-3-일 등의 복소환기;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의 할로겐원자; 아세틸, 2-클로로아세틸, 프로피오닐, 옥타노일,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페닐카르보닐(벤조일), 프탈로일,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피발로일, 살리실로일, 옥잘로일, 스테아로일,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n-옥타데실옥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등의 아실기;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n-부틸에스테르, t-부틸에스테르, n-프로필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기; 아세틸옥시, 벤조일옥시 등의 아실옥시기; 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부틸아미노, 시클로펜틸아미노, 2-에틸헥실아미노, 도데실아미노, 아닐리노, 클로로페닐아미노, 톨루이디노, 아니시디노, N-메틸-아닐리노, 디페닐아미노, 나프틸아미노, 2-피리딜아미노,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 아세틸아미노, 벤조일아미노, 포르밀아미노, 피발로일아미노, 라우로일아미노, 카르바모일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N,N-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모르폴리노카르보닐아미노,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n-옥타데실옥시카르보닐아미노, N-메틸-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 술파모일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술포닐아미노, 메틸술포닐아미노, 부틸술포닐아미노, 페닐술포닐아미노 등의 치환 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술포닐기, 카르복실기, 시아노기, 술포기, 수산기, 니트로기, 메르캅토기, 이미드기, 카르바모일기, 술폰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기는 또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카르복실기 및 술포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R1과 R2는 연결해서 3?6원환의 기를 형성해도 된다. 3?6원환을 형성하는 기로서는 시클로프로판-1,1-디일, 시클로부탄-1,1-디일, 2,4-디메틸시클로부탄-1,1-디일, 3-디메틸시클로부탄-1,1-디일, 시클로 펜탄-1,1-디일, 시클로헥산-1,1-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4,4-디일, 티안-4,4-디일, 피페리딘-4,4-디일, N-치환 피페리딘-4,4-디일, 모르폴린-2,2-디일, 모르폴린-3,3-디일, N-치환 모르폴린-2,2-디일, N-치환 모르폴린-3,3-디일 등을 들 수 있고, 그 N-치환기로서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R4와 R5는 연결해서 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6원환으로서는 벤젠환, 시클로헥산환 등을 들 수 있다(한편 벤젠환의 경우, R3, R6은 없다). 또한 이들 6원환은 다른 환과 축합되어 있거나 치환되어 있거나 해도 되고, 그 예로서는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에 있어서의 R7?R10으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Ⅰ)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R7, R8, R9, R10 및 상기 일반식(Ⅳ)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R11?R26은 각각이 연결되어 5 또는 6원환의 기를 형성해도 된다. 5원환의 기로서는 예를 들면 피롤환, 피라졸리딘환, 피라졸환, 이미다졸환, 이미다졸리딘환, 옥사졸환, 이소옥사졸환, 이소옥사졸리딘환, 티아졸환, 이소티아졸리딘환 등을 들 수 있다. 6원환으로서는 벤젠환, 피페리딘환, 피페라진환, 모르폴린환, 티오모르폴린환, 피리딘환, 피라진환, 피리미딘환, 피리다진환, 트리아진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환은 다른 환과 축합되어 있거나 치환되어 있거나 하고 있어도 되고, 그 예로서는 나프탈렌환, 퀴놀린환, 이소퀴놀린환, 인돌환, 유롤리딘(julolidine)환, 벤조옥사졸환, 벤조트리아졸환, 헥사하이드로-2H-퀴놀리딘환, 옥타하이드로-2H-퀴놀리딘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Ⅱ)에서의 R01, R02, R03, R04 및 상기 일반식(Ⅱ')에서의 R01'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일반식(Ⅱ)에서의 R01, R02, R03, R04 및 상기 일반식(Ⅱ')에서의 R01'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부틸, t-부틸, 이소부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O-로 중단된 기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CO-로 중단된 기로서는 아세틸, 1-카르보닐에틸, 아세틸메틸, 1-카르보닐프로필, 2-옥소부틸, 2-아세틸에틸, 1-카르보닐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모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R01과 R04가 연결되어 형성하는 시클로알켄환으로서는 시클로프로펜환, 시클로부텐환, 시클로펜텐환, 시클로헥센환 등을 들 수 있고, R01과 R04가 연결되어 형성하는 복소환으로서는 테트라하이드로피란환, 피페리딘환, 피페라진환, 피롤리딘환, 모르폴린환, 티오모르폴린환, 피리딘환, 피라진환, 피리미딘환, 피리다진환, 트리아진환, 퀴놀린환, 이소퀴놀린환, 이미다졸환, 옥사졸환, 이미다졸리딘환, 피라졸리딘환, 이소옥사졸리딘환, 이소티아졸리딘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환은 다른 환과 축합되어 있거나 치환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Ⅱ)에서의 R01, R02, R03, R04 및 상기 일반식(Ⅱ')에서의 R01'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상기 일반식(Ⅱ)에서의 R01과 R04가 연결되어 형성하는 환구조의 치환기로서는 상기 일반식(Ⅰ)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치환기 중에서도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치환기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치환기를 포함한 R01?R04, R01'로 표시되는 기 전체의 탄소원자수가 규정된 탄소원자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일반식(Ⅱ')에 있어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5원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환, 티아졸환, 피라졸환, 옥사졸환, 이소옥사졸환, 티오펜환, 푸란환, 피롤환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일반식(Ⅱ')에 있어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6원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리딘환, 피페라진환, 피페리딘환, 모르폴린환, 피라진환, 피론환, 피롤리딘환 등을 들 수 있다.
G' 및 T'를 포함하는 환을 치환해도 되는 할로겐원자로서는 R01?R04, R01'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Ⅱ')에 있어서, G' 및 T'를 포함하는 환이 치환기로서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로서는 R01?R04, R01'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고, G' 및 T'를 포함하는 환이 치환기로서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콕시기로서는 상기 알킬기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Ⅲ)에 있어서의 Ra?Ri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로서는 상기 일반식(Ⅱ)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O-로 중단된 기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CO-로 중단된 기로서는 아세틸, 1-카르보닐에틸, 아세틸메틸, 1-카르보닐프로필, 2-옥소부틸, 2-아세틸에틸, 1-카르보닐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Ⅲ)에 있어서의 Q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원자수 1?8의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메틸에틸렌, 부틸렌, 1-메틸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1,2-디메틸프로필렌, 1,3-디메틸프로필렌, 1-메틸부틸렌, 2-메틸부틸렌, 3-메틸부틸렌, 4-메틸부틸렌, 2,4-디메틸부틸렌, 1,3-디메틸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헵틸렌, 옥틸렌, 에탄-1,1-디일, 프로판-2,2-디일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렌기 중의 메틸렌기가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 -N=CH- 또는 -CH=CH-로 중단된 기로서는 메틸렌옥시, 에틸렌옥시, 옥시메틸렌, 티오메틸렌, 카르보닐메틸렌, 카르보닐옥시메틸렌, 메틸렌카르보닐옥시, 술포닐메틸렌, 아미노메틸렌, 아세틸아미노, 에틸렌카르복시아미드, 에탄이미도일, 에테닐렌, 프로페닐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Ⅲ)에 있어서의 Ra?Ri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및 상기 일반식(Ⅲ)에 있어서의 Q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8의 알킬렌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치환기로서는 상기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고, 탄소원자수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다.
상기 일반식(Ⅳ)에 있어서, R11?R26으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로서는 상기 일반식(Ⅱ)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Ⅳ)에 있어서, R 및 R'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로서는 상기 일반식(Ⅱ)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은 상기 일반식(Ⅳ)로부터 명백한 대로, 금속원자에 2개의 아조메틴 배위자가 배위한 것인데, 이 2개의 아조메틴 배위자들은 서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은 하기 [화학식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공명 구조를 가지는데, 일반식(Ⅰ) 및 (I') 중 어느 구조식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식(Ⅰ)로 대표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에는 R1과 R2, R3과 R4 및 R5와 R6으로 표시되는 기가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원자를 키랄 중심(chiral center)으로 하는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또는 라세미체(racemate) 등의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중 어떠한 광학 이성체를 단리해서 사용하거나, 혹은 그들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Figure pct00005
상기 일반식(Ⅰ)에 있어서, R1이 탄소원자수 1?5의 알킬기(특히 메틸기), R2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7?12의 아릴알킬기(특히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벤질기)이고, Y1 및 Y2가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이며, 상기 일반식(Ⅳ)에 있어서 M'이 Fe, Co, Ni, Cr 또는 Mn(특히 Co)이고, R11?R26이 수소원자, 니트로기, -NRR',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특히 수소원자, 니트로기, -NRR')인 것이, 레이저광에 의한 광학기록시의 분해 거동이 뛰어나고 고감도이며, 제조 비용이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 상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V)로 표시되는 것이, 제조 비용이 작고, 흡수파장 특성이 380?420nm에서의 단파장 레이저용 광학기록매체의 광학기록층으로서 높은 흡수를 가지며, 분해 거동이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6
(식 중, R2, R7, R8, R9, R10, Y1, Y2는 상기 일반식(Ⅰ)과 같고, z는 0?4의 수를 나타내며, R27?R35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탄소원자수 1?5의 에스테르기,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1?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27?R35는 각각 연결해서 탄소원자수 3?12의 탄소환을 형성해도 되며, R11?R26 및 M'은 상기 일반식(Ⅳ)과 같다.)
상기 일반식(V)에 있어서, 인접하는 R27?R35가 각각 연결되어 형성해도 되는 탄소원자수 3?12의 탄소환으로서는 벤젠환, 시클로헥센환, 나프탈렌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양이온 No.1?139를 들 수 있다. 이하의 양이온 No.1?139에 있어서, 이중결합은 공명 구조를 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화학식 13-1]
Figure pct00013
[화학식 13-2]
Figure pct00014
[화학식 13-3]
Figure pct00015
[화학식 13-4]
Figure pct00016
[화학식 13-5]
Figure pct00017
[화학식 13-6]
Figure pct00018
[화학식 13-7]
Figure pct00019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은 그 제조방법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주지 일반의 시아닌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음이온 No.1?18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상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은 그 제조방법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주지 일반의 아조메틴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은 그 제조방법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과, 상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용매 중에서 염교환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상기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 BF4 -, PF6 - 또는 SbF6 - 등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상기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과, 트리에틸암모늄 이온, 트리메틸암모늄 이온 등의 암모늄 이온; Na+, Li+, K+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등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 아조메틴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은 380nm?1100nm의 범위의 광에 대한 광학요소, 바람직하게는 380?620nm의 범위의 광에 대한 광학요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380?450nm의 범위의 광에 대한 광학요소로서 적합하다. 상기 광학요소란, 특정 광을 흡수함으로써 기능을 발휘하는 요소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광흡수제, 광학기록제, 광증감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기록제는 BD-R 등의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광학기록층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기체상에 광학기록층이 형성된 광학기록매체의 상기 광학기록층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은 정보를 레이저 등에 의한 열적 정보 패턴으로서 부여함으로써 기록하는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광학기록층에 사용되는 광학기록재료에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는 광학기록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며,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후술하는 유기 용매나 각종 화합물과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를 사용해서 광학기록매체의 광학기록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부틸디글리콜 등의 에테르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메톡시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등의 불화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류; 메틸렌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류 등의 유기 용매에,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각종 화합물을 용해하여 용액상의 광학기록재료를 제작하고, 상기 광학기록재료를 기체상에 스핀 코트, 스프레이, 딥핑 등으로 도포하는 습식 도포법이 이용되며,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 중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의 함유량이 0.1?10질량%가 되는 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기록층은 박막으로서 형성되며, 그 두께는 통상 0.001?10㎛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0.01?5㎛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 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에 포함되는 고형분 중 10?100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기록층은 광학기록층 중에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50?100질량% 함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유기염 화합물 함유량의 광학기록층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는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에 포함되는 고형분 기준으로 50?100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에 포함되는 상기 고형분은 상기 광학기록재료에서 유기 용매 등의 고형분 이외의 성분을 제외한 성분이며, 상기 고형분의 함유량은 상기 광학기록재료 중 0.01?100질량%가 바람직하고, 0.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는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 외에,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 이외의 시아닌 화합물, 아조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옥소놀계 화합물, 스쿠아릴륨계 화합물, 인돌 화합물, 스티릴계 화합물, 포르핀계 화합물, 아줄레늄계 화합물, 크로코닉 메틴(croconic methine)계 화합물, 피릴륨계 화합물, 티오피릴륨계 화합물, 트리아릴메탄계 화합물, 디페닐메탄계 화합물, 테트라하이드로콜린계 화합물, 인도페놀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크산텐계 화합물, 티아진계 화합물, 아크리딘계 화합물, 옥사진계 화합물,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플루오렌계 화합물, 로다민계 화합물 등의, 통상 광학기록층에 사용되는 화합물;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류;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활제; 난연제; 힌더드아민 등의 라디칼 포착제; 페로센 유도체 등의 피트 형성 촉진제; 분산제; 산화 방지제; 가교제; 내광성 부여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는 일중항 산소 등의 퀀처(quencher)로서 방향족 니트로소 화합물, 아미늄 화합물, 이미늄 화합물, 비스이미늄 화합물, 천이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에 있어서, 이들 각종 화합물은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에 포함되는 고형분 중 0?50질량%의 범위가 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학기록층을 형성하는 상기 기체의 재질은 기입(기록)광 및 읽어내기(재생)광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유리 등이 사용된다. 또한 그 형상은 용도에 따라 테이프, 드럼, 벨트, 디스크 등의 임의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기록층상에는 금, 은, 알루미늄, 구리 등을 이용해서 증착법 혹은 스퍼터링법에 의해 반사막을 형성할 수도 있고, 아크릴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의 유기물을 사용하거나, 혹은 무기물을 사용해서 스퍼터링법에 의해 보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는 기록, 재생에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학기록매체에 적합하고, 특히 고속기록 타입의 CD-R, DVD±R, HD-DVD-R, BD-R 등의 공지의 단층식, 이층식, 다층식 광디스크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에 의해 전혀 제한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 1?14는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의 실시예(합성예)이고, 실시예 15?16은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을 사용한 본 발명의 광학기록재료 및 상기 광학기록재료를 사용한 광학기록매체의 실시예(제작예)이다.
비교예 1?5는 음이온의 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과는 다른 유기염 화합물을 사용한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의 예이며, 비교예 6은 양이온의 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는 다른 유기염 화합물을 사용한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의 예이다.
[실시예 1] 양이온 No.78과 음이온 No.8로 이루어지는 유기염 화합물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플라스크에 양이온 No.78의 BF4염 4mmol, 음이온 No.8의 트리에틸암모늄염 4mmol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9.16g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40℃까지 승온하고 그 온도로 2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메탄올 18.32g을 적하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후, 정석(晶析)한 고체를 여과 분별, 건조하여 갈색 결정을 4.24g(수율 92.6%) 얻었다. 얻어진 갈색 결정은 목적물인 양이온 No.78과 음이온 No.8로 이루어지는 유기염 화합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얻어진 갈색 결정에 관한 분석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14]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양이온과 음이온 No.8로 이루어지는 유기염 화합물의 합성
양이온 No.78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양이온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법으로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양이온과 음이온 No.8로 이루어지는 유기염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유기염 화합물에 관한 분석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실시예 15]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유기염 화합물을 화합물의 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에 용해하여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으로 해서 광학기록재료를 얻었다. 폴리카보네이트 디스크 기판상에, 상기 광학기록재료를 스핀 코팅법으로 2000rpm, 60초의 조건으로 도포해서 광학기록층을 형성하여 광학기록매체 No.1을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에서 얻은 유기염 화합물을 실시예 2에서 얻은 유기염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수법으로 광학기록재료를 제작하고, 상기 광학기록재료를 이용해서 광학기록매체 No.2를 얻었다.
[비교예 1?6]
비교예 1?5에서는 음이온 No.8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음이온으로 변경하고, 비교예 6에서는 양이온 No.78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양이온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해서 광학기록재료를 제작하고, 상기 광학기록재료를 이용해서 비교 광학기록매체 No.1?No.6을 각각 얻었다.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내광성 시험>
얻어진 광학기록매체 및 비교 광학기록매체의 UV 흡수 스펙트럼의 40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어서 조도 22000lux의 광을 200시간 조사한 후, 다시 UV 흡수 스펙트럼의 40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조사 전의 흡광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조사 후의 흡광도의 비율로부터 잔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을 사용한 광학기록매체 No.1 및 2는 조사 200시간 후에도 흡광도 잔존율이 높아, 광학기록매체에 사용하는 화합물로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서 사용한 유기염 화합물은 조사 200시간 후에 있어서 흡광도 잔존율이 0%로 내광성 불량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광학기록매체로서의 내광성이 뛰어나다는 것이 명백하다.
<감도 시험>
얻어진 광학기록매체 및 비교 광학기록매체의 UV 흡수 스펙트럼의 405nm에서의 흡광도(Abs)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UV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λmax 및 λmax에서의 흡광도도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9
본 발명의 유기염 화합물을 사용한 광학기록매체 No.1은 405nm에서의 흡수가 높고, 고감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학기록매체 No.2도 양호한 감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 광학기록매체는 405nm에서의 흡수가 낮고, 저감도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는 감도가 뛰어나, 고속기록에 적합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3)

  1.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모노메틴 시아닌 양이온과 하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아조메틴 착체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염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30

    (식 중 X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셀렌원자 또는 -NY3-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일반식(Ⅱ) 혹은 (Ⅱ')로 표시되는 기,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이며, R1과 R2는 연결해서 3?6원환의 지환기를 형성해도 되고,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이며, R4와 R5는 연결해서 6원환을 형성해도 되고,
    Y1, Y2 및 Y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 또는 하기 일반식(Ⅲ)로 표시되는 기이며,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탄소원자수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7, R8, R9, R10은 각각 연결해서 5?6원환을 형성해도 되며,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 -N=CH- 또는 -CH=CH-로 중단되어 있어도 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31

    (상기 일반식(Ⅱ)에 있어서, G와 T 사이의 결합은 이중결합, 공역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이고, G는 탄소원자를 나타내며, T는 탄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단, T가 산소원자일 경우 y와 z는 0이고, T가 질소원자일 경우 y+z는 0 또는 1이다.), w는 0?4의 수를 나타내며, x, y 및 z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R01, R02, R03 및 R0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R01과 R04는 결합해서 시클로알켄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Ⅱ')에 있어서, G'와 T' 사이의 결합은 이중결합 또는 공역 이중결합이고, G'는 탄소원자를 나타내며, T'는 탄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w'는 0?4의 수를 나타내며, R01'은 수소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G' 및 T'를 포함하는 환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5원환, 헤테로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6원환, 퀴놀린환, 이소퀴놀린환 또는 안트라퀴논환을 나타내고, 이들 G' 및 T'를 포함하는 환은 할로겐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1?4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화학식 3]
    Figure pct00032

    (식 중, Ra?Ri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또는 -C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Q는 직접결합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원자수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CONH-, -NHCO-, -N=CH- 또는 -CH=CH-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며, M은 Fe, Co, Ni, Ti, Cu, Zn, Zr, Cr, Mo, Os, Mn, Ru, Sn, Pd, Rh, Pt 또는 Ir을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pct00033

    (식 중, M'은 Fe, Co, Ni, Cu, Cr, Mo, Os, Mn, Ru, Sn, Pd, Rh, Pt, Al 또는 Ir을 나타내고, R11?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1?2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R'을 나타내며, R 및 R'은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11?R26은 각각 연결해서 5?6원환을 형성해도 된다.)
  2. 제1항에 기재된 유기염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재료.
  3. 기판상에, 제2항에 기재된 광학기록재료로 형성된 광학기록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매체.
KR1020117020145A 2009-05-28 2010-04-22 유기염 화합물,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 KR20120030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9456 2009-05-28
JPJP-P-2009-129456 2009-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30A true KR20120030330A (ko) 2012-03-28

Family

ID=4322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145A KR20120030330A (ko) 2009-05-28 2010-04-22 유기염 화합물, 상기 유기염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기록재료 및 광학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07689B2 (ko)
EP (1) EP2436737B1 (ko)
JP (1) JP5558462B2 (ko)
KR (1) KR20120030330A (ko)
CN (1) CN102341460B (ko)
TW (1) TWI457403B (ko)
WO (1) WO20101374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6741A (en) * 1977-09-23 1979-09-04 Polaroid Corporation Yellow azomethine dye developers
US4507124A (en) * 1982-07-02 1985-03-26 Ciba-Geigy Corporation 1:2 Metal complexes of azomethine dyes having arylazo groups
JPS5978362A (ja) * 1982-10-28 1984-05-07 Hodogaya Chem Co Ltd 電子写真用トナ−
EP0181941B1 (en) * 1984-05-07 1990-01-24 TDK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JP2957386B2 (ja) 1993-06-28 1999-10-04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光記録媒体
JPH07262604A (ja) 1994-03-25 1995-10-13 Mitsui Toatsu Chem Inc 光記録媒体
JPH11208118A (ja) * 1997-11-20 1999-08-03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US6683188B1 (en) * 1999-12-17 2004-01-27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Cyanine dye
JP2001301333A (ja) 2000-02-16 2001-10-31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記録媒体および記録方法
JP2004174838A (ja) 2002-11-26 2004-06-24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2005305839A (ja) * 2004-04-21 2005-11-04 Tdk Corp 光記録材料及び光記録媒体
JP3716856B2 (ja) 2004-09-30 2005-11-16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学記録媒体
EP1897915A4 (en) * 2005-05-20 2010-06-16 Hayashibara Biochem Lab CYANINE DYE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7090768A (ja) * 2005-09-29 2007-04-12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学記録媒体の記録層形成用色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記録媒体
JP2007112066A (ja) 2005-10-21 2007-05-10 Tdk Corp 光記録材料及び光記録媒体
JP2007207324A (ja) * 2006-01-31 2007-08-16 Tdk Corp 光記録媒体
EP2371905B1 (en) 2006-03-31 2013-03-06 Adeka Corporation Cyanine compound and optical recording material
JP5241084B2 (ja) * 2006-07-21 2013-07-17 株式会社Adeka 架橋型シアニン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記録材料
JP5475244B2 (ja) * 2007-03-30 2014-04-16 株式会社Adeka シアニ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フィルター及び光学記録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37432A1 (ja) 2012-11-12
US8507689B2 (en) 2013-08-13
JP5558462B2 (ja) 2014-07-23
EP2436737A4 (en) 2015-09-09
EP2436737A1 (en) 2012-04-04
US20120016134A1 (en) 2012-01-19
TWI457403B (zh) 2014-10-21
TW201100496A (en) 2011-01-01
CN102341460B (zh) 2014-05-07
WO2010137432A1 (ja) 2010-12-02
EP2436737B1 (en) 2016-05-11
CN102341460A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1905B1 (en) Cyanine compound and optical recording material
EP2045238B1 (en) Bridged cyanine compounds and optical recording materials containing the same
TWI436979B (zh) Indolium (INDOLIUM) compound and an optical recording material using the same
KR101491756B1 (ko) 인돌륨 화합물 및 광학기록재료
KR101308639B1 (ko) 광학기록재료 및 시아닌화합물
JP5558462B2 (ja) 有機塩化合物、該有機塩化合物を用いた光学記録材料及び光学記録媒体
JP5241121B2 (ja) メロシアニン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記録材料
JP5054018B2 (ja) 光学記録材料
EP2177572B1 (en) Indolium compound and optical recording material using the compound
JP2008120074A (ja) シアニン化合物の光学異性体を用いた光学記録材料
JP5579281B2 (ja) メロシアニン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用いた光学記録材料
JP4785697B2 (ja) 光学記録材料
JP2008284876A (ja) 光学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