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035A -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035A
KR20120030035A KR1020117021997A KR20117021997A KR20120030035A KR 20120030035 A KR20120030035 A KR 20120030035A KR 1020117021997 A KR1020117021997 A KR 1020117021997A KR 20117021997 A KR20117021997 A KR 20117021997A KR 20120030035 A KR20120030035 A KR 2012003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te
group
compound
acid compound
hyd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491B1 (ko
Inventor
신키 타니
Original Assignee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716Esters of keto-carboxylic acids or aldehyd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nt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only in singly boun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1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ntroduction of doubly bound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e.g.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6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of saturated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6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of saturated hydroxy-carboxylic acids
    • C07C69/704Cit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716Esters of keto-carboxylic acids or aldehydo-carboxylic acids
    • C07C69/72Acetoacet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론산 화합물을, 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염소산 화합물을 반응시켜, 말론산 화합물의 메틸렌기가 산화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독성이 높은 시약이나 안전성이 낮은 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수한 반응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특별한 반응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가의 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가의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는 귀금속과 같은 천이 금속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온화한 반응 조건을 선택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고, 공업화에 적절한 간편한 조건에서,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KETOMALONIC ACID COMPOUNDS OR HYDRATES THEREOF}
본 발명은 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말론산 화합물에 대하여 아염소산 화합물을 반응시켜, 종래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 수화물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 수화물은, 디아민과 반응시켜 피라진-2-온-3-카르본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할 때의 원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특허문헌 1 내지 4, 및 비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 반응은 특히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퀴녹살리논(quinoxalinone)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의약이나 농약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 말론산 디에스테르로부터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의 합성법으로서는 직접적 방법 및 간접적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그 어느 쪽도 시약의 독성이나 취급하기 어려운 점 등에서 공업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의 말론산 디에스테르로부터의 합성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말론산 디에스테르를 이산화셀렌(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3 참조, 수율은 사용한 이산화셀렌을 기준으로 한 이론 수량의 32.3%), 삼산화이질소(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4 참조, 수율 74-76%), 삼산화크롬(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6 참조, 수율 70%) 등의 산화제로 산화하여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시약의 독성, 시약의 안전성, 조작성이 나쁘고, 수율이 낮고, 특별한 반응 장치를 사용하고, 또는 천이 금속을 사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말론산 디에스테르의 활성 메틸렌 부분이 브롬으로 치환된 화합물을 질산은으로 반응시키는 방법(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7 참조), 아조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디메틸디옥시란으로 반응시키는 방법(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8 참조), 메틸렌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오존으로 반응시키는 방법(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5 및 9 참조), 수산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귀금속 촉매로 반응시키는 방법(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등으로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말론산 디에스테르 보다 훨씬 고가의 타르트론산을 원료로 이용한다는 난점이나, 말론산 디에스테르의 활성 메틸렌 부분을 미리 수식할 필요가 있어 경제적, 조작적으로 문제점이 있다. 또, 고가의 시약을 이용하고, 특수한 반응제를 이용하고, 특별한 반응 장치를 이용하고, 고가의 촉매를 이용하고, 또는 천이 금속을 이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6329389호 명세서 특허문헌 2: 미국 특허 제6348461호 명세서 특허문헌 3: 미국 특허 제4296114호 명세서 특허문헌 4: WO 2005/21547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개평 8-151346호 공보
비특허문헌 1: J. W. Clark-Lewis, et al., J. Chem. Soc., 1957, 430-439 비특허문헌 2: Fumio Yoneda, et al., J. Chem. Soc. Perkin Transactions 1, 1987, 75-83. 비특허문헌 3: S. Astin et al., J. Chem. Soc., 1933, 391-394. 비특허문헌 4: A. W. Dox, Organic Syntheses, 4, 1925, 27-28. 비특허문헌 5: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3711 (2001). 비특허문헌 6: Liang Xian liu et al., Chinese Chemical Letters, 3, 1992, 585-588. 비특허문헌 7: Chem. Abstr. 123:256144. 비특허문헌 8: Antonio Saba, Synthetic Communications, 24 , 695-699 (1994). 비특허문헌 9: Lutz F., et al., Organic Syntheses, 71,214-219 (199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결하는 신규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수한 반응 장치나 반응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원만한 조건하에서, 공업화 가능한 새롭고 간편한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말론산 화합물이 아염소산 화합물과 특이적으로 반응하고, 말론산 유도체의 메틸렌 부분을 선택적으로 산화하여 대응하는 케토체를 생성시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말론산 화합물과 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염소산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말론산 화합물의 활성 메틸렌기를 산화하여, 대응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화학식을 이용해 나타내면, 본 발명은, 다음의 일반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환상 알킬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2개의 R1이 결합하여 분자 전체로 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로 나타낸 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이하, 단순히 「원료 화합물」이라고 기재할 수도 있다)을, 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염소산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의 일반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1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이 산, 특히 카르본산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시행되는 상기 제조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공업적인 제조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말론산 화합물의 활성 메틸렌 부위를 산화하는데, 이때 원료로서 입수 용이한 일반식 (1)로 나타낸 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말론산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독성이 높은 시약이나 안전성이 낮은 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수한 반응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특별한 반응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가의 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가의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는 귀금속과 같은 천이 금속을 필요로 하지 않고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원료인 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말론산 화합물은 유기 합성에 있어서 범용되고 있는 화합물이며, 안전하고 입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산화제로 사용되는 아염소산염도 펄프나 섬유나 식품의 표백제로서, 또한 수돗물의 살균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 안전성 높은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말론산 디에스테르의 활성 메틸렌 부분을 미리 수식할 필요가 없고, 말론산 유도체를 직접 반응시킬 수 있어 경제적, 조작적으로 문제점이 없이,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율이 높아, 고수율, 고선택성으로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은 원만한 반응 조건을 선택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고, 공업화에 적절한 간편한 조건으로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등의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서는 촉매 혹은 천이 금속에서 유래하는 유해한 폐기물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가 용이하고 친환경적으로, 공업적인 이용가치가 높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28]과 같다.
[1] 다음의 일반식 (1)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환상 알킬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2개의 R1이 결합하여 분자 전체로 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로 나타낸 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이하, 단순히 「원료 화합물」이라고 기재할 수도 있다)을, 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염소산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말론산 화합물의 메틸렌기를 산화시켜, 다음의 일반식 (2)
[화학식 2]
Figure pct00004
(식 중, R1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 말론산 화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의 반응이, 산의 존재하에서 행해지는 상기 [1]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3] 산이 카르본산 화합물인 상기 [2]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4] 카르본산 화합물이 카르본산, 카르본산염, 및 카르본산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카르본산 화합물인, 상기 [3]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5] 카르본산 화합물이 카르본산 또는 카르본산 무수물인,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6] 카르본산 화합물이 아세트산 또는 무수 아세트산인, 상기 [3]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7] 카르본산 화합물이 아세트산인, 상기 [6]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8] 카르본산 화합물이 카르본산 및 카르본산염을 병용하는 것인,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9] 카르본산염이 카르본산 알칼리금속염 또는 카르본산 알칼리토류 금속염인, 상기 [8]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0] 카르본산염이 카르본산 알칼리금속염인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1] 카르본산 화합물이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나트륨인 상기 [8] 내지 [1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2] 말론산 화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과의 반응이 용매 존재 하에서 행해지는, 상기 [1] 내지 [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3] 용매가 극성 용매인, 상기 [12]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4] 용매가 물, 카르본산, 니트릴류, 케톤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산 무수물, 아미드류, 설폭사이드, 또는 설폰류인,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5] 용매가 물, 카르본산, 니트릴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산 무수물, 또는 아미드류인, 상기 [12] 내지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6] 용매가 물,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이소부틸메틸케톤, 메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인, 상기 [12] 내지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7] 용매가 물,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인, 상기 [12] 내지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8] 용매가 물 또는 아세트산인, 상기 [12] 내지 [1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9] 용매가 물인, 상기 [12] 내지 [1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0] 말론산 화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과의 반응을 함수용매의 존재하에 실시하는 것에 의해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수화물을 제조하는, 상기 [12] 내지 [1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1]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수화물을 가열 처리나 탈수 처리하는 것에 의해 케토말론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기 [20]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2] 말론산 화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과의 반응이 pH 2 내지 pH 7의 범위에서 행해지는, 상기 [1] 내지 [2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3] pH의 범위가 pH 4 내지 pH 7인, 상기 [22]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4] pH의 범위가 pH 4 내지 pH 6인, 상기 [22] 또는 [23]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5] 아염소산 화합물이 아염소산염인, 상기 [1] 내지 [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6] 아염소산 화합물이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 또는 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인, 상기 [1] 내지 [2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7] 아염소산 화합물이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인, 상기 [1] 내지 [2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8] 아염소산 화합물이 아염소산 나트륨인, 상기 [1] 내지 [2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일반식 (1)로 나타낸 원료 화합물을 아염소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산화하는 것을 제 1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염소산 화합물이 말론산 화합물의 메틸렌기를 특이적으로 산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산화제인 아염소산 화합물과 유사한 산화제인 차아염소산 화합물이나 아브롬산 화합물 등을 이용해도 목적하는 반응은 진행되지 않는 것이다. 후기의 비교예 1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예가, 비교예 2에는 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예가, 비교예 3에는 과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예가, 그리고 비교예 4에는 아브롬산나트륨을 이용한 예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산화제를 이용한 예에서는 목적하는 케토말론산 디에틸을 검출할 수 없었던 것이다. 종래부터, 말론산 디에틸 등의 말론산 화합물의 메틸렌기가 할로겐계의 산화제로 산화될 수 있다는 것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1부터 4에도 나타내듯이 통상의 할로겐계의 산화제로는 산화되지 않지만, 놀랍게도 산화제로서 아염소산 화합물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목적의 산화 반응이 진행하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이 본 발명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은, 아염소산 화합물로서 아염소산염과 카르본산류를 병용하는 것이다. 유리 아염소산은 매우 불안정하고, 실온에서는 불균화 반응에 의해 분해된다. 따라서, 통상은 아염소산염, 예를 들어 아염소산바륨이나 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아염소산염을 산에 접촉시켜 반응계 내에서 아염소산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아염소산바륨을 묽은 황산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 아염소산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사용하는 산에 대해 한층 더 검토하였으며, 산으로서 아세트산 등의 카르본산이 적합한 것을 발견하였다. 카르본산의 작용에 대한 상세한 것은 아직 충분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후기 비교예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산과 같은 광산에서는 아염소산의 발생이 너무 빨라서 원료인 말론산 화합물과의 반응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카르본산을 이용한 경우에는 반응이 완만하게 진행되어 원료인 말론산 화합물과의 반응이 완만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목적하는 산화 반응이 충분한 수율로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반응을 함수용매 중에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은 안전성이 높고, 또한 염가로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아염소산염은 물에 잘 녹아 용매로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물과 함께 수혼화성의 유기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 THF, 메탄올, DMF 등의 수혼화성 유기용매를 병용할 수도 있다. 아세트산 등의 카르본산류는 상기 카르본산으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용매의 하나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한 용매의 1종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성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은 에스테르기 사이에 케토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케토기에 인접하는 위치에 전자 흡인기를 갖는 케토 화합물로, 클로랄과 마찬가지로 물의 존재 하에 있어서는 다음의 일반식 (3),
Figure pct00005
(식 중, R1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수화물을 형성한다. 이 수화물은 가열 처리나 탈수 처리하는 것에 의해 케토형의 케토말론산 화합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의 존재 하에서는 수화물로 된다. 이러한 가역 반응은 포수 클로랄과 같은 수화물의 일반적인 성질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은, 물의 존재 하에, 예를 들어 함수용매를 사용한 반응에서의 제조의 경우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수화물로서 단리할 수 있고, 무수계에서는 케토형의 케토말론산 화합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수화물은 필요에 따라 케토형의 케토말론산 화합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 (1)로 나타낸 원료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환기의 탄소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6의 경우를 「C1?C6」과 같이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식 (1) 중의 R1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환상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페닐기(페닐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요오도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피리딜기, 푸라닐기 등의 헤테로아릴기(헤테로아릴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요오도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를 나타낸다.
일반식 (1)로 나타낸 말론산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말론산, 말론산 디메틸, 말론산 디에틸, 말론산 디n-프로필, 말론산 디이소프로필, 말론산 디 n-부틸, 말론산 디이소부틸, 말론산 디sec-부틸, 말론산 디t-부틸, 말론산 디n-펜틸, 말론산 디n-헥실, 말론산 디사이클로프로필, 말론산 디사이클로펜틸, 말론산 디사이클로헥실, 말론산 디페닐, 말론산 디(4-피리딜), 말론산 디(2-피리딜), 말론산 메틸 에틸, 말론산 메틸 n-프로필, 말론산 에틸 n-프로필, 말론산 메틸 페닐, 말론산 메틸 (4-피리딜), 말론산 메틸 (2-피리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말론산 화합물로는, 말론산 디알킬 에스테르, 특히 말론산 디에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일반식 (1)로 나타낸 말론산 화합물(원료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법에 따른 말론산의 에스테르화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는 아염소산 화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염소산 화합물이 사용된다.
아염소산염으로서는 아염소산 이온과 양이온이 형성하는 염을 나타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이온으로서는, 금속 양이온 또는 오늄 양이온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양이온으로서는,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또는 세슘 이온등의 알칼리금속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또는 바륨 이온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 이온; 알루미늄 등의 토류 금속 이온; 아연 등의 아연족 이온; 동 이온, 은 이온, 니켈 이온, 망간 이온, 또는 철 이온 등의 천이 금속 이온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늄 양이온으로서는 암모늄 이온(NH4 ); 테트라메틸 암모늄 이온, 테트라부틸 암모늄 이온, 테트라옥틸 암모늄 이온, 트리메틸부틸 암모늄 이온, 트리메틸옥틸 암모늄 이온, 트리부틸메틸 암모늄 이온, 트리옥틸메틸 암모늄 이온 등의 직쇄 혹은 분기 C1?C8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가지는 4급 암모늄 이온; 테트라메틸 포스포늄 이온,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이온,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이온 등의 직쇄 혹은 분기 C1?C8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가지는 4급 포스포늄 이온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염소산염으로서는 아염소산과 아민류의 염(아민염)도 예시할 수 있다.
염을 형성하는 아민류로서는 메틸 아민, 디메틸 아민, 트리메틸 아민, 에틸 아민, 디에틸 아민, 트리에틸 아민, 프로필 아민, 디프로필 아민, 트리프로필 아민, 부틸 아민, 디부틸 아민, 트리부틸 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하이드라진, 메틸 하이드라진, 피리딘, 2-메틸 피리딘, 3-메틸 피리딘, 4-메틸 피리딘, 2,4-디메틸 피리딘, 퀴놀린, 아닐린, 또는 N,N-디에틸 아닐린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아염소산염은 무수물 또는 수화물일 수 있다.
이들 아염소산염은 단염 또는 복염일 수 있다.
아염소산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염소산; 아염소산 리튬, 아염소산 나트륨, 아염소산 나트륨 삼수화물, 또는 아염소산 칼륨 등을 포함하는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 아염소산 마그네슘, 아염소산 마그네슘 삼수화물, 아염소산 칼슘, 아염소산 칼슘 삼수화물, 아염소산 바륨, 또는 아염소산 바륨 이수화물 등을 포함하는 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 아염소산 알루미늄 등의 아염소산 토류 금속염; 아염소산 아연 이수화물 등의 아염소산 아연족염; 아염소산 동(Ⅱ), 아염소산 동(Ⅲ), 아염소산 은, 아염소산 니켈 이수화물 또는 아염소산 망간 등의 아염소산 천이금속염; 아염소산 암모늄; 아염소산 테트라 메틸 암모늄 등의 아염소산 4급 암모늄염; 아염소산 (2,4-디니트로페닐)트리에틸 포스포늄 등의 아염소산 4급 포스포늄염; 메틸아민 아염소산염, 트리프로필아민 아염소산염, 히드라진 아염소산염, 피리딘 아염소산염, 4-메틸피리딘 아염소산염, 2,4-디메틸피리딘 아염소산염, 퀴놀린 아염소산염 등의 아염소산 아민염; KClO2?NaClO2, Cu(ClO2)2?2KClO2?2H2O, Cu(ClO2)2?Mg(ClO2)2?8H2O, 또는 Cu(ClO2)2?Ba(ClO2)2?4H2O 등의 복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아염소산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이다.
이들 아염소산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아염소산 화합물은 아염소산 화합물만의 액체 혹은 고체, 또는 수용액 혹은 물 이외의 용매의 용액 등, 어떤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물 이외의 용매로서는 후술하는 해당 반응에 이용할 수 있는 용매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수 용이성이나 취급의 간편함, 그리고 반응성 등의 관점으로는, 아염소산 화합물로서 아염소산염이 바람직하고,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 또는 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이 더욱 바람직하고, 아염소산 나트륨 또는 아염소산 칼륨이 더욱 바람직하고, 아염소산 나트륨의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반응에 있어서 아염소산 화합물의 사용 몰 비는, 일반식 (1)에 나타낸 원료 화합물에 대하여 어떠한 몰 비로도 반응이 진행하지만, 원료 화합물이 일반식 (1)에 나타낸 화합물일 때 원료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아염소산 화합물이 통상 1.0?15.0 몰, 바람직하게는 1.5?5.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 몰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산성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pH로는, pH 2부터 pH 7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pH 4부터 pH 7이 더욱 바람직하고, pH 4부터 pH 6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산 등의 광산을 이용해 pH를 극도로 낮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비교예 5 참조).
또한, 반응 중 pH의 변동이 커지지 않도록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 등의 완충액 중에서 반응을 실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카르본산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산으로서 카르본산, 카르본산염, 및 카르본산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카르본산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카르본산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카르본산, 지환식 카르본산, 방향족 지방족 카르본산, 방향족 카르본산, 복소환식 카르본산 등의 유기 카르본산을 들 수 있다.바람직한 카르본산으로서는, 다음의 일반식 (4),
Figure pct00006
(식 중, R2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수소 원자,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환상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낸 카르본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 (4) 중의 R2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당해 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당해 환상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페닐기(당해 페닐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요오도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피리딜기, 푸라닐기 등의 헤테로아릴기(당해 헤테로아릴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C3?C6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6 알콕시기; 예를 들어,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요오도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푸릴기 등의 헤테로아릴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카르본산염으로서는, 상기 일반식 (4)로 나타낸 카르본산 화합물의 염을 들 수 있다. 염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 이온에서 금속 원자로는 리튬 원자, 나트륨 원자, 또는 칼륨 원자의 알칼리금속 원자; 마그네슘 원자, 칼슘 원자, 또는 바륨 원자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 원자; 알루미늄 등의 토류 금속 원자; 아연 등의 아연족 원자; 동 원자, 은 원자, 니켈 원자, 납 원자, 망간 원자, 또는 철 원자 등의 천이금속 원자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염을 형성하기 위한 오늄 양이온으로서는 암모늄 이온(NH4 ); 테트라메틸 암모늄 이온, 테트라부틸 암모늄 이온, 테트라옥틸 암모늄 이온, 트리메틸부틸 암모늄 이온, 트리메틸옥틸 암모늄 이온, 트리부틸메틸 암모늄 이온, 트리옥틸메틸 암모늄 이온 등의 직쇄 혹은 분기 C1?C8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갖는 4급 암모늄 이온; 테트라메틸 포스포늄 이온,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이온,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이온 등의 직쇄 혹은 분기 C1?C8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갖는 4급 포스포늄 이온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카르본산염으로서는 카르본산과 아민류의 염(카르본산 아민염)도 예시할 수 있다.
카르본산염을 형성하는 아민류로서는 메틸 아민, 디메틸 아민, 트리메틸 아민, 에틸 아민, 디에틸 아민, 트리에틸 아민, 프로필 아민, 디프로필 아민, 트리프로필 아민, 부틸 아민, 디부틸 아민, 트리부틸 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피리딘, 퀴놀린, 이소퀴놀린, 아닐린, 또는 N,N-디에틸 아닐린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카르본산 무수물로서는, 상기 일반식 (4)로 나타낸 카르본산 화합물의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카르본산 무수물은 동일한 카르본산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카르본산으로 형성되는 카르본산 무수물일 수도 있다. 이들 카르본산 무수물은 물 또는 함수 용매계에서 유리 카르본산을 생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카르본산, 카르본산염, 및 카르본산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카르본산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카르본산; 아세트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프로피온산 칼륨 등의 카르본산 알칼리금속염; 아세트산 마그네슘, 프로피온산 마그네슘, 아세트산 칼슘, 프로피온산 칼슘 등의 카르본산 알칼리토류 금속염; 아세트산 암모늄, 프로피온산 암모늄, 아세트산 테트라부틸 암모늄 등의 카르본산 4급 암모늄염; 아세트산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등의 카르본산 4급 포스포늄염; 트리에틸아민 아세트산염, 피리딘 아세트산염 등의 카르본산 아민염; 무수 아세트산, 무수 프로피온산 등의 카르본산 무수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카르본산, 카르본산염, 및 카르본산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카르본산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2 이상의 임의의 카르본산 화합물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카르본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바람직한 것으로는 카르본산 또는 카르본산 무수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본산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등의 지방족 카르본산 또는 무수 아세트산 등의 지방족 카르본산 무수물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등의 지방족 카르본산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해 카르본산 화합물의 다른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카르본산 화합물의 조합으로 카르본산과 카르본산염의 조합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조합으로서 카르본산과 카르본산 알칼리금속염의 조합을 들 수 있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과 아세트산 나트륨의 조합 등의 지방족 카르본산과 그 염과의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해 카르본산 화합물의 당해 반응에 있어서의 사용량은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는 양이면 어느 경우라도 가능하지만, 일반식 (1)로 나타낸 말론산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0.01?50 몰, 바람직하게는 0.2?1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 몰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으며, 카르본산 화합물로서 카르본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과잉량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용매를 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무용매에서도 실시할 수 있지만, 용매의 존재 하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수용매로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아염소산 화합물을 수용액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아염소산 화합물의 수용액에서 유래하는 수용매만으로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물 이외의 다른 용매를 이용해 실시할 수도 있다. 당해 반응에 이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카르본산; 예를 들어, 무수 아세트산, 무수 프로피온산 등의 산 무수물;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로 대표되는 에스테르류; 아세톤, 에틸메틸 케톤, 이소부틸메틸 케톤 등의 케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 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테트라메틸 요소 등의 알킬 요소류, 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미드(HMPA) 등의 인산 아미드류, 디메틸 설폭사이드 등의 설폭사이드; 설폴란 또는 디메틸 설폰 등의 설폰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등의 탄산 에스테르류;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류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류; 펜탄, n-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 혼합 비율의 혼합 용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원료 화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과의 친화성, 반응성의 관점 등에서 극성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물, 카르본산, 니트릴류, 케톤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산 무수물, 아미드류, 설폭사이드류, 또는 설폰류가 바람직하다. 특히, 물, 카르본산, 니트릴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산 무수물, 또는 아미드류가 바람직하다. 특히, 물, 카르본산, 니트릴류, 또는 알코올류가 바람직하다. 특히, 물, 카르본산, 또는 니트릴류가 바람직하다. 특히, 물,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이소부틸메틸 케톤, 메탄올 또는 아세트산 에틸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또는 아세트산 에틸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 아세트산, 또는 아세토니트릴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 또는 아세트산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이 간편하고 염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극성 용매는 비유전률(比誘電率)이 5 이상인 용매이다. 여기서 비유전률은, 일본화학회편 「화학편람」(기초편), 개정 5판, I-770?777 쪽, 丸善, 2004년에 기재된 값으로 한다. 당해 반응에 이용하는 용매는 비유전률이 5 이상의 극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비유전률이 7 이상의 극성 용매가 보다 바람직하고, 비유전률이 17 이상의 극성 용매가 더욱 바람직하고, 비유전률이 20 이상의 극성 용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용매의 극성을 너무 낮게 하는 것은 반응계를 2층계로 하여, 원료 화합물이 포함되는 유상과 아염소산 화합물이 포함되는 수상과의 친화성이 감소하는 것에 의해 반응이 진행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용매의 존재 하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수용매 존재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반응 후처리 시의 처리 조건을 적의 선택하는 것에 의해 목적물의 취출 형태를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형태로 할지 일반식 (3)으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 수화물의 형태로 할지를 선택할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용매량으로는, 반응계의 교반을 충분하게 할 수 있는 양이면 좋지만, 일반식 (1)로 나타낸 원료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통상 0.05?100 몰, 바람직하게는 0.5?35 몰의 범위일 수 있다.
당해 반응의 반응 온도는 0 ℃?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 ℃?30 ℃의 범위일 수 있다.
당해 반응의 반응 시간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산물 억제의 관점 등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시간?24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시간?10 시간일 수 있다.
당해 반응은 산화 반응이지만, 예를 들어 대규모 실시의 경우 반응에 수반되는 발열의 크기가 염려되는 경우에는, 적의 원료의 분할 투입이나 적하 투입 등의 수법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반응에 수반되는 발열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당해 반응을 수용매 존재하에서 실시하면 생성물은 일반식 (3)으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 수화물의 형태로 얻을 수 있고, 비수 조건 하에서 실시하면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당해 반응을 물 존재 하에서 실시하고, 동시에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형태로 생성물을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응 후 처리시에 예를 들어 톨루엔 공비 탈수와 같은 탈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일반식 (3)으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 수화물을 탈수하여 용이하게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형태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 방법에 대해서는, 반응 용매나 반응 후처리를 적의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생성물의 취출 형태를 일반식 (3)으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 수화물의 형태, 또는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형태의 어느 쪽이나 원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pH는 유리 전극식 수소이온 농도 지시계, DKK-TOA 코포레이션 제조의 모델: HM-20P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케토말론산 디에틸의 제조
기계식 교반기, 적하 깔때기, 온도계를 갖춘 1000 mL의 4 구 플라스크에, 25%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 496.8 g(1.37 mol), 이어서 아세트산 26 mL(0.46 mol)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계 내의 pH는 pH 4.4였다. 다음에 실온 하에 말론산 디에틸 100 g(0.62 mol)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다음, 계에 아세트산 에틸 490 mL를 가하여 분액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감압 하에서 아세트산 에틸을 유거하였다. 여기에 톨루엔을 가하여 공비 탈수를 실시하고, 감압 하에 톨루엔을 유거하여 105 g의 케토말론산 디에틸을 오일상 물질로 얻었다(수율 97%).
1H-NMR(300 MHz, CDCl3) δ:
4.41(q, J=7.2Hz, 2H), 1.40(t, J=7.2Hz, 3H) ppm.
13C-NMR(300 MHz, CDCl3) δ:
178.2, 160.3, 63.6, 14.1 ppm.
GC-MS M=174.
[실시예 2]
케토말론산 디에틸 수화물의 제조
기계식 교반기, 적하 깔때기, 온도계를 갖춘 100 mL의 4 구 플라스크에, 25%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 49.6 g(0.137 mol), 이어서 아세트산 2.6 mL(0.046 mol)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계 내의 pH는 pH 4.4였다. 다음에 실온 하에 말론산 디에틸 10 g(0.062 mol)를 천천히 가한 후,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다음, 계에 아세트산 에틸 49 mL를 가하여 분액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감압 하에서 아세트산 에틸을 유거하여, 11.6 g의 케토말론산 디에틸 수화물(융점: 54.6-56.9 ℃)를 얻었다(수율 97%).
1H-NMR(300 MHz, CDCl3) δ:
4.31(q, J=7.2Hz, 2H), 1.30(t, J=7.2Hz, 3H) ppm.
13C-NMR(300 MHz, CDCl3) δ:
168.6, 90.4, 63.7, 14.1 ppm.
[실시예 3?7]
자석식 교반기를 구비한 50 mL의 가지형 플라스크에, 다음 표 1에 나타낸 반응 규모 및 몰 비의 말론산 디에틸(DEM), 아염소산나트륨(아염소산 Na),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 Na), 및 물을 가하였다. 여기서, 반응계 내의 pH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시간으로 실온 하에 교반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에 의해 분석하여 수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번호 반응규모
(DEM 첨가량)
몰 비(DEM은 1로 함) pH 시간 수율
GC 면적 백분율
mmol 아염소산Na 아세트산 아세트산Na L/mol - hr %
3 5.19 2.20 0.48 0.10 1.0 5.3 7 100
4 5.62 2.20 0.44 0.13 1.0 5.5 8 100
5 6.06 2.20 0.41 0.17 1.0 5.8 24 100
6 5.19 2.20 0.48 0.10 2.0 5.2 24 100
7 5.19 2.20 0.48 0.10 3.0 5.2 24 100
표 1에 나타내듯이, 아염소산에 의한 산화에 의해 거의 정량적으로 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말론산 디에틸 0.25 g(0.0016 mol), 아세트산 0.95 mL(0.0166 몰), 25% 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 1.71 g(0.0047 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GC 분석으로 케토말론산 디에틸은 GC 전면적값 88.1%로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말론산 디에틸 0.25 g(0.0016 mol), 아세트산 0.94 mL(0.0164 몰)을 사용하고, 25% 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대신 5%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8.14 g(0.0056 mol)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켰지만, GC 분석으로 케토말론산 디에틸은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2
말론산 디에틸 0.25 g(0.0016 mol), 아세트산 0.94 mL(0.0164 몰)을 사용하고, 25% 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대신 염소산나트륨 0.58 g(0.0056 mol), 물 1.49 mL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켰지만, GC 분석으로 케토말론산 디에틸은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3
말론산 디에틸 0.25 g(0.0016 mol), 아세트산 0.94 mL(0.0164 몰)을 사용하고, 25% 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대신 과염소산나트륨 0.67 g(0.0056 mol), 물 1.49 mL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켰지만, GC 분석으로 케토말론산 디에틸은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4
말론산 디에틸 0.25 g(0.0016 mol), 아세트산 0.94 mL(0.0164 몰)을 사용하고, 25% 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대신 아브롬산나트륨 0.74 g(0.0056 mol), 물 1.49 mL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켰지만, GC 분석으로 목적의 케토말론산 디에틸은 검출되지 않고, 디브롬화물이 19.5% 생성되었다.
비교예 5
말론산 디에틸 0.25 g(0.0016 mol), 아염소산나트륨 0.49 g(0.0056 mol)를 사용하고, 아세트산 대신 35% 염산 0.48 mL(0.0056 mol)를 사용하여 반응 개시시 pH 0.8인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켰지만, GC 분석으로 케토말론산 디에틸은 검출되지 않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독성이 높은 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전성이 낮은 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수한 반응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특별한 반응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가의 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가의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는 천이금속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 수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말론산 디에스테르의 활성 메틸렌 부분을 미리 수식할 필요가 없고, 경제적, 조작 면에서 문제점이 없이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 수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수율이 높게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 수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조작성이 좋고, 온화한 조건에서 공업화 가능하고 간편하게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 수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일반식 (2)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 수화물은 의약, 농약 등의 중간 원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Claims (12)

  1. 다음의 일반식 (1)
    [화학식 1]
    Figure pct00007

    (식 중, R1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환상 알킬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2개의 R1이 결합하여 분자 전체로 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로 나타낸 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을, 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염소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산화시키는 것에 의한, 다음의 일반식 (2)
    [화학식 2]
    Figure pct00008

    (식 중, R1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낸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염소산 화합물이 아염소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염소산 화합물이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 또는 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염소산 화합물이 아염소산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의 반응이, pH 2 내지 pH 7의 범위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의 반응이, 카르본산, 카르본산염, 및 카르본산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카르본산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카르본산 화합물이 카르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카르본산 화합물이 아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카르본산 화합물이 카르본산 및 카르본산염을 병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카르본산 화합물이 카르본산 및 카르본산 알칼리금속염을 병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과 아염소산 화합물과의 반응이 용매의 존재 하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용매가 극성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 방법.
KR1020117021997A 2009-06-26 2010-06-25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방법 KR101738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2062 2009-06-26
JPJP-P-2009-152062 2009-06-26
PCT/JP2010/004225 WO2010150548A1 (ja) 2009-06-26 2010-06-25 ケトマロン酸化合物又はその抱水体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035A true KR20120030035A (ko) 2012-03-27
KR101738491B1 KR101738491B1 (ko) 2017-05-22

Family

ID=4338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997A KR101738491B1 (ko) 2009-06-26 2010-06-25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859803B2 (ko)
EP (1) EP2447243B1 (ko)
JP (1) JP5548685B2 (ko)
KR (1) KR101738491B1 (ko)
CN (1) CN102341364B (ko)
AU (1) AU2010263872B2 (ko)
BR (1) BRPI1013620B1 (ko)
CA (1) CA2766772C (ko)
CO (1) CO6430455A2 (ko)
ES (1) ES2461966T3 (ko)
IL (1) IL217160A (ko)
MX (1) MX2011013758A (ko)
MY (1) MY155641A (ko)
PL (1) PL2447243T3 (ko)
RU (1) RU2532906C2 (ko)
TW (1) TWI460159B (ko)
WO (1) WO20101505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770A (ko) * 2014-02-17 2016-10-24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유통 반응기를 사용한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연속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0544A (ja) * 2013-05-20 2015-06-18 本部三慶株式会社 亜塩素酸水製剤の長期保存および新規用途
JP5921500B2 (ja) 2013-07-19 2016-05-24 イハラケミカル工業株式会社 ケトマロン酸化合物の製造方法
US20180050976A1 (en) * 2015-02-16 2018-02-22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Practical Processes for Producing Fluorinated alpha-Ketocarboxylic Esters and Analogues Thereof
JP2018534315A (ja) 2015-11-18 2018-11-22 エフ エム 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Fmc Corporation 1,3,4−トリアジン誘導体の調製に有用な中間体の合成方法
TW201829363A (zh) * 2016-12-05 2018-08-16 日商組合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三側氧基丙烷化合物的製造法
CN108017542B (zh) * 2018-01-12 2021-03-30 浙江鼎龙科技股份有限公司 氧代二羧酸二乙酯类似物的管道化制备方法
CN110452119A (zh) * 2019-08-30 2019-11-15 苏州汉德创宏生化科技有限公司 一种酮基丙二酸二乙酯单水合物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061378A (en) * 1977-10-19 1980-04-17 Merck & Co., Inc. 1-azabicyclo (3.2.0) hept-2-enes
EP0008864A1 (en) 1978-08-15 1980-03-19 FISONS plc Pyridopyrazine and quinoxaline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H652709A5 (de) * 1983-01-06 1985-11-29 Lonz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stern der mesoxalsaeure.
IT1175533B (it) * 1984-06-20 1987-07-01 Montedison Spa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composti carbonilici
UA26982A1 (uk) * 1986-03-31 2000-02-28 Рон-Пуленк Аг Компані Інк. Похідhі малоhової кислоти, які проявляють властивості іhгібітору росту рослиh
JPH08151346A (ja) 1994-11-25 1996-06-11 Kao Corp ケトマロン酸の製造方法
CA2302161A1 (en) 1997-09-01 1999-03-11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6,7-asymmetrically disubstituted quinoxa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ddition salts thereof,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both
CA2327695A1 (en) 1998-04-08 1999-10-2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mine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somatostatin receptor antagonists or agonists
JP4916612B2 (ja) * 2000-12-28 2012-04-18 花王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及び/又はカルボニル基を有する化合物の製法
WO2005021547A2 (en) 2003-08-28 2005-03-10 Pharmaxis Pty Ltd. Heterocyclic cannabinoid cb2 receptor antagonis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770A (ko) * 2014-02-17 2016-10-24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유통 반응기를 사용한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연속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1364B (zh) 2014-07-02
EP2447243A4 (en) 2013-06-26
CO6430455A2 (es) 2012-04-30
RU2532906C2 (ru) 2014-11-20
WO2010150548A1 (ja) 2010-12-29
CN102341364A (zh) 2012-02-01
AU2010263872A1 (en) 2011-09-15
BRPI1013620B1 (pt) 2018-05-22
PL2447243T3 (pl) 2014-08-29
US20120004443A1 (en) 2012-01-05
EP2447243B1 (en) 2014-04-02
US8859803B2 (en) 2014-10-14
AU2010263872B2 (en) 2014-06-05
CA2766772C (en) 2017-06-13
JPWO2010150548A1 (ja) 2012-12-10
KR101738491B1 (ko) 2017-05-22
EP2447243A1 (en) 2012-05-02
TWI460159B (zh) 2014-11-11
ES2461966T3 (es) 2014-05-21
RU2012102669A (ru) 2013-08-10
JP5548685B2 (ja) 2014-07-16
BRPI1013620A2 (pt) 2016-04-19
MX2011013758A (es) 2012-02-22
IL217160A (en) 2014-07-31
MY155641A (en) 2015-11-13
CA2766772A1 (en) 2010-12-29
IL217160A0 (en) 2012-07-31
TW201114737A (en) 201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0035A (ko) 케토말론산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제조방법
US20180305290A1 (en)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ketomalonic acid compound using flow reactor
JP7030059B2 (ja) トリオキソプロパン化合物の製造法
KR102034610B1 (ko) 케토말론산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04649934B (zh) 一种医药中间体三氟甲基取代芳烃类化合物的合成方法
CN107250097A (zh) 含氟α‑酮羧酸酯类的实用制造方法
RU266244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2-(хлорфенокси)-пропионовой кислоты
CN109456257B (zh) 一种高收率2-氯-5-硝基吡啶的制备方法
KR100525358B1 (ko) 카르복실 벤조트리아졸 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N117736139A (zh) 一种吡啶-3-磺酰氯的合成方法
CN110294686A (zh) α-酮酰胺的绿色制备方法
KR20190022894A (ko) 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진-2-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WO2003066566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rans-3,3-dimethyl-2-form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esters
JPH0770076A (ja) ピラゾールカルボン酸類の製造方法
JPS6155507B2 (ko)
JPH0437059B2 (ko)
KR20010038273A (ko) α-케토카르복시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199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