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704A -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 Google Patents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704A
KR20120027704A KR1020100089450A KR20100089450A KR20120027704A KR 20120027704 A KR20120027704 A KR 20120027704A KR 1020100089450 A KR1020100089450 A KR 1020100089450A KR 20100089450 A KR20100089450 A KR 20100089450A KR 20120027704 A KR20120027704 A KR 2012002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roll
roll forming
air
air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994B1 (ko
Inventor
이은일
Original Assignee
이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일 filed Critical 이은일
Priority to KR102010008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9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3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서, 임펠러의 전면 및 배면판의 테두리부위를 롤포밍 형태로 가공형성함으로서 외부충격을 완충하여 변형이나 파손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판(10)과 배면판(20) 사이에 다수개의 에어포일 팬(30)이 고정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판(10) 중앙부에는 외부로 부터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공(11)이 형성된 송풍기용 임펠러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 및 배면판(2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일정 곡률형태로 가공된 롤포밍부(12,22)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A ROLL FORMING TYPE IMPELLER STRUCTURE FOR AIR 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용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포일타입의 팬이 구비된 송풍기용 임펠러의 측판 테두리부를 기존의 직각형 가공이 아닌 롤포밍 형태로 가공을 하여 외부 충격에 따른 파손 또는 변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송풍기는 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impeller), 임펠러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casing)으로 이루어진다. 송풍기의 분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임펠러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에 의한 분류이며, 그것은 크게 축류형 송풍기(Axial-flow fan)와 원심형 송풍기(Centrifugal fan)로 나눈다.
공기의 유동이 임펠러의 회전축과 평행 방향으로 발생하면 축류송풍기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임펠러 입구와 출구의 유동 방향이 모두 회전축과 일치한다. 프로펠러형 송풍기, 즉 보통의 가정용 선풍기가 여기에 속한다. 축류형 송풍기는 가해준 에너지가 주로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유량은 많이 필요하나 압력은 그리 필요하지 않은 곳에 사용된다. 원심형 송풍기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가 주된 목적이며 따라서 유량보다는 압력이 필요한 곳에 많이 사용된다.
원심형 송풍기는 보통 임펠러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 되도록 나선형의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와 임펠러 입구 유동과 출구 유동이 둘 다 회전축 방향이 되도록 튜브형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크게 구별된다.
이러한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는 그 날개깃의 형상 및 경사에 따라 다익 팬(Multiblade Fan), 레이디얼 팬(Radial Fan), 터보 팬(Turbo Fan), 한정부하 팬(Limited Loaded Fan) 및 에어포일 팬(Airfoil Fan)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에어 포일 타입 임펠러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배면판(61)과 전면판(62) 사이에 다수개의 에어포일 팬(63)을 고정하며, 그 단면을 유선형의 익형(翼型)으로 유지하면서 회전시 형태적인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2개의 만곡된 임펠러(63) 사이에 보강 리브(64)의 양단을 용접하여 고정하고, 에어포일 팬(63) 양측을 배면판(61)과 전면판(62) 사이에 용접하였다. 미설명 부호 58은 회전축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 에어포일타입 임펠러는 보관 또는 이동과정에서 배면판(61) 및 전면판(62)의 테두리부가 주변 물건과의 충돌에 따른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임펠러는 배면판(61)과 전면판(62)의 테두리부가 직각꺽임 형태로 가공되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시 쉽게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날카로운 꺽임 부위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임펠러의 배면판 및 전면판의 테두리부를 완충형 구조로 개선함으로서 보관 또는 이동 및 설치 과정에서 제품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다수개의 에어포일 팬이 고정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판 중앙부에는 외부로 부터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송풍기용 임펠러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 및 배면판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일정 곡률형태로 가공된 롤포밍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송풍기용 임펠러는, 임펠러의 전면 및 배면판의 테두리부위가 롤포밍 형태로 가공형성됨으로서 외부충격을 완충하여 변형이나 파손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기존 날카롭던 부위가 곡면을 형성하게 됨으로 작업자의 부상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롤포밍부의 단부에 이격공간을 형성시킴으로서 충격흡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포일팬의 안내비드를 일정 경사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송풍기의 고속운행시 와류발생을 최소화하여 송풍효율을 극대화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임펠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임펠러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임펠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임펠러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7a는 기본 실시예도.
7b는 응용 실시예도.
도 8은 도 5의 C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 측면 구조도.
도 10은 일반적인 에어포일 팬의 형상도.
도 11은 종래 임펠러의 외관 부분 절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기용 임펠러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살펴보면, 다수의 에어포일 팬(30)이 일정간격을 이루어 전면판(10)과 배면판(20) 사이에 용접 결합되어져 있으며, 전면판(10) 중앙에는 외부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공(11)이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전면판(10) 및 배면판(20)의 외측 테두리부 그리고 공기유입공(11) 주변부에는 일정 곡률형태로 가공된 롤포밍부(12,13,22)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즉, 도 5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각 테두리부, 그리고 공기유입공(11) 주변은 성형 가공시 롤형태로 가공을 하여 롤포밍부(12,13,22)를 형성하였는데, 롤포밍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공기유입공(11)의 롤포밍부(13)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완전히 원형의 단면형태로 롤링하여 가공할 수도 있지만, 전면판(10) 및 배면판(20) 테두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6 및 도 7a에서와 같이 일측이 일정 이격간격(d)으로 개방된 개방부(12a,22a)를 형성하는 고리형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부분 롤링 가공을 실시하게 되면 외부 충격 발생시 상기 개방부(12a,22a)의 이격공간이 완충역할을 실시하게 되어 완충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12a,22a)에는 롤포밍부(12,22)의 탄성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7b에서와 같이 탄력성의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진 우레탄실링제(23)를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다른 실시예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각각의 에어포일 팬(30)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비드(31)가 양면에 대칭 형태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안내비드(31)는 임펠러의 고속회전시 방사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와류형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θ)을 이루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임펠러의 회전 동작에 따라 공기유입공(1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에어포일 팬(30)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꺽여서 방사방향으로 강제 송풍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송풍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일정 경사형태를 이루는 안내비드(31)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기를 안내하게 됨으로 와류에 따른 소음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은 샤프트축이 결합되어지게 되는 샤프트 결합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송풍기용 임펠러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임펠러는 제작 후 보관 또는 운반과정에서 외부충격이나 작업장 바닥면과의 마찰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각 테두리부위에 롤포밍부(12,13,22)가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자체 완충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변형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작업자가 작업 과정에서 접촉되어지더라도 부상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6 및 도 7a에서와 같이 일정 이격간격(d)을 형성하는 개방부(12a,22a)가 형성되어질 경우 이격거리만큼 외부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됨으로 완충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도 7b에서와 같이 우레탄실링제(23)가 구비되는 경우, 우레탄실링제(23)가 해당 롤포밍부(12,22)를 탄성력으로 지지함으로서 완충에 따른 탄성복원력이 극대화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풍기용 임펠러는 외부충격에 따른 변형이나 파손발생이 방지됨으로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10 : 전면판 11 : 공기유입공
12,13,22 : 롤포밍부 12a,22a: 개방부
20 : 배면판 21 : 샤프트 결합공
30 : 에어포일 팬 31 : 안내비드

Claims (6)

  1. 전면판(10)과 배면판(20) 사이에 다수개의 에어포일 팬(30)이 고정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판(10) 중앙부에는 외부로 부터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공(11)이 형성된 송풍기용 임펠러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 및 배면판(2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일정 곡률형태로 가공된 롤포밍부(12,22)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의 공기유입공(11) 주변에는 일정 곡률형태로 가공된 롤포밍(13)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포밍부(12,13,22)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포밍부(12,13,22)는 일측이 일정 이격간격(d)으로 개방된 개방부(12a,22a)를 형성하는 고리형 단면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2a,22a)에는 탄성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력성의 우레탄실링제(2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일 팬(30)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비드(31)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안내비드(31)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θ)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KR1020100089450A 2010-09-13 2010-09-13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KR10122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50A KR101228994B1 (ko) 2010-09-13 2010-09-13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50A KR101228994B1 (ko) 2010-09-13 2010-09-13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04A true KR20120027704A (ko) 2012-03-22
KR101228994B1 KR101228994B1 (ko) 2013-02-04

Family

ID=4613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450A KR101228994B1 (ko) 2010-09-13 2010-09-13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8324A (zh) * 2019-01-31 2019-04-05 中国电建集团上海能源装备有限公司 一种径向弯叶片离心泵叶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7477A (ja) * 1984-03-30 1985-10-19 Hitachi Ltd 電動アクチユエ−タ
US20100175331A1 (en) * 2006-06-19 2010-07-15 Pentti Piri Roll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half-round gutter profile, as well as a gutter prof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8324A (zh) * 2019-01-31 2019-04-05 中国电建集团上海能源装备有限公司 一种径向弯叶片离心泵叶轮
CN109578324B (zh) * 2019-01-31 2020-07-17 中国电建集团上海能源装备有限公司 一种径向弯叶片离心泵叶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994B1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9361B2 (en) Centrifugal fan
JP5645596B2 (ja) 多翼遠心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TWI394895B (zh) Centrifugal fans and air fluid machinery using the centrifugal fan
TWI460352B (zh) Electric blower and equipped with its electric vacuum cleaner
US20080229776A1 (en)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6295434B2 (ja) 遠心送風機及びそれを用いた消音ボックス付送風機
JP2012207600A (ja) 遠心ファン
US10662973B2 (en) Reversible flow fan
US20080219837A1 (en) Fan and fan frame thereof
JP2010090835A (ja) 多翼遠心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5722367B2 (ja) 遠心送風機
WO2014147952A1 (ja) 片吸込み型遠心送風機
JP5769960B2 (ja) 遠心式ファン
KR101228994B1 (ko) 테두리가 롤포밍 가공된 에어포일타입 송풍기용 임펠러
JP2008232536A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
WO2022085175A1 (ja) 多翼遠心送風機
AU2017410135B2 (en) Propeller fan and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1198794B (zh) 送风装置和具有该送风装置的空调机用室外单元
JP5805413B2 (ja) 遠心式ファン
JP6134407B2 (ja) 遠心式ファン
EP1411248B1 (en) Impeller for centrifugal fan and centrifugal fan equipped with the same
JP2001032794A (ja) 遠心ファン
JP6528112B2 (ja) 遠心送風機
KR100654993B1 (ko) 터보팬
KR20120023319A (ko)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