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611A -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 Google Patents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611A
KR20120027611A KR1020100089283A KR20100089283A KR20120027611A KR 20120027611 A KR20120027611 A KR 20120027611A KR 1020100089283 A KR1020100089283 A KR 1020100089283A KR 20100089283 A KR20100089283 A KR 20100089283A KR 20120027611 A KR20120027611 A KR 20120027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rail
sheet
roller coaste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521B1 (ko
Inventor
윤치호
최정희
Original Assignee
윤치호
최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치호, 최정희 filed Critical 윤치호
Priority to KR102010008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5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9/00Model railways
    • A63H19/30Permanent way; Rails; Rail-joint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자가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독창적인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을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구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서, 학생들의 창의력 개발 및 단체 활동 과제로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롤러코스터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Assembling set of roller coaster educational kit for developing ingenuity}
본 발명은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자가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독창적인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을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구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서, 학생들의 창의력 개발 및 단체 활동 과제로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롤러코스터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는 지상보다 높은 곳에서 급경사 및 급회전하도록 설치된 레일을 따라 궤도열차가 고속으로 달리도록 만들어진 놀이기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롤러코스터는 사람들이 타고 스릴을 즐길 수 있도록 야외 놀이동산 등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사용자가 직접 제작 또는 조립하여 놀이용 또는 학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놀이용 롤러코스터도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20-0371786호(등록일자; 2004년 12월 22일)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단위막대를 연결 조립하여 구성한 막대 조립체와; 상기 막대 조립체에 고정 지지되어 소정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그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플렉시블 레일과; 상기 플렉시블 레일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운동하는 볼(Ball); 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육용 롤러코스터가 소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레일은 일정 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고, 그 상면에는 상기 볼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선형돌기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벨크로테입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막대조립체를 구성하는 단위막대에는 상기 플렉시블 레일을 단위막대에 고정시켜 주는 벨크로테입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교육용 롤러코스터는 조립자가 직접 슬라이딩 레일을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조립 및 놀이 과정에서 어린이나 학생들이 물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관계를 이해하고, 원심력과 구심력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육용 롤러코스터는 레일이 미리 제작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보다 창의적인 회로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고, 제품 단가가 높아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 선로의 경우에 완전한 회전 레일을 형상하기가 어려워서 상기 볼이 레일을 이탈하는 경우가 많으며, 나아가 상기 레일이 중간에서 단락되는 회로 등을 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학습용 또는 놀이용 롤러코스터 조립기구에 있어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과 다양한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지지틀의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조립자로 하여금 최대한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롤러코스터 조립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는, 볼(Ball)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일정한 선로를 따라 굴러 내리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지지해 주는 지지틀로 이루어진 롤러코스터 조립세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조립부재는,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접힘선에 의해서 바닥부와 우벽부 및 좌벽부로 분할되어 있는 직선레일 제작시트와;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우벽부와 좌벽부가 절개선에 의해서 각각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회전레일 제작시트와;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와 우벽부가 절개선에 의해서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우회전레일 제작시트와;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와 좌벽부가 절개선에 의해서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좌회전레일 제작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틀의 조립부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직선형 스트로우(Straw)와; 상기 스트로우를 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지지틀을 구성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에는 동심원 상에서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두개의 원호로 이루어져서 그 양변을 맞붙이면 깔때기 모양을 구성하는 깔때기 제작시트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는 하나의 평면상에서 2~8방향으로 스트로우를 연결하고, 동시에 상기 평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각각 스트로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 방향으로 스트로우 삽입바가 돌출되어 있는 고정연결체와; 하나의 평면상에서 2~8방향으로 각각 스트로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 방향으로 스트로우 삽입바가 돌출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상기 평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스트로우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스트로우 관통공이 관통되어 있는 이동연결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는 조립자가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독창적인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을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고, 그 슬라이딩 레일을 통해 실제로 볼이 굴러 내리는지, 또는 얼마나 빠르게 또는 느리게 굴러 내리는지 직접 확인해 보면서 물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관계는 물론, 볼의 가속도와 원심력의 관계 등 과학적 학습 효과를 체험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레일의 구조를 손쉽게 변경해 가면서 보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고, 나아가 다수의 인원이 하나의 팀을 이루어 분업화 작업을 통해 각 레일 부품을 제작하고, 최종적으로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무한대의 대형 롤러코스터를 만들 수 있어서 팀 원간 협동심을 배양하는데도 큰 도움이 줄수 있어서 특히 학생들의 학습용이나 단체활동 과제로 활용하기에 매우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롤러코스터 조립세트를 이용하여 조립한 롤러코스터의 일례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직선레일 제작시트(110)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회전레일 제작시트(120)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깔때기 제작시트(150)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스트로우(210) 및 연결체(220)를 촬영한 사진,
도 8은 스트로우(210)와 고정연결체(220a) 및 이동연결체(220b)의 결합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연결체(220)의 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롤러코스터 조립세트는 조립자가 롤러코스터를 조립하기 이전의 상태, 즉 조립자에게 제공되는 초기 상태를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와 무게를 갖는 볼(Ball;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하면서 일정한 선로를 따라 굴러 내리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1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100)을 지지해 주는 지지틀(200)로 이루어진 놀이용 롤러코스터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100)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와, 상기 지지틀(200)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지지틀 조립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는 소정의 형상으로 미리 재단된 여러 종류의 시트지, 즉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회전레일 제작시트(120),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와, 그리고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직선레일 제작시트(110)는 직선방향으로 진행되는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접힘선(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힘선(A)에 의해서 장차 볼이 통과하게 되는 바닥부(B1)와, 볼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우벽부(B2), 그리고 좌측에 위치하는 좌벽부(B3)로 분할되어 있다. 그래서 장차 조립자가 상기 접힘선(A)을 접으면, 바닥부(B1)의 양변을 따라 우벽부(B2)와 좌벽부(B3)가 나란히 기립한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일 제작시트(120)는 도 3과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우벽부(B2)와 좌벽부(B3)가 각각 절개선(C)에 의해서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다. 상기 회전레일 제작시트(120)은 360도 회전하는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우벽부(B2)와 좌벽부(B3)에서 절개선(C)에 의해서 절개된 부분을 서로 겹쳐서 맞붙이면 바닥부(B1)가 활처럼 휘어지면서 회전형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우벽부(B2)와 좌벽부(B3)의 절개선(C)에는 절개된 부위를 서로 맞붙일 수 있도록 직삼각형 형상의 중첩부(D)를 표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첩부(D)를 형성하는 직삼각형의 일 꼭지점은 접힘선(A)과 절개선(C)의 교차점과 일치한다. 그리고, 상기 중첩부(D)의 면적이 넓어지면, 상기 회전레일 제작시트(120)가 구성하는 회전레일의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반대로 상기 중첩부(D)의 면적이 좁아지면 상기 회전레일 제작시트(120)가 구성하는 회전레일의 회전반경은 상대적으로 확대되어 자유롭게 360도 회전레일의 곡률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는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B1)와 우벽부(B2)가 각각 절개선(C)에 의해서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다.
상기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은 우측으로 돌아가는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B1)와 우벽부(B2)에서 절개선(C)에 표시된 중첩부(D,D')를 서로 겹쳐서 맞붙이면 전체적으로 우측으로 돌아가는 곡선형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 역시, 도 5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B1)와 좌벽부(B3)가 절개선(C)에 의해서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다.
상기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은 좌측으로 돌아가는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B1)와 좌벽부(B3)에서 절개선(C)에 표시된 중첩부(D,D')를 서로 겹쳐서 맞붙이면 전체적으로 좌측으로 돌아가는 곡선형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와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의 경우, 바닥부(B1)에 표시되는 중첩부(D)는 상기 회전레일 제작시트(1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직각삼각형을 이루지만, 우벽부(B2) 및 좌벽부(B3)에 표시되는 중첩부(D’)는 구조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처럼 상기 중첩부(D’)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은 장차 접힘선(A)을 접어서 중첩부(D’)를 맞붙였을 때, 상기 우벽부(B2)와 좌벽부(B3)에 구김이 생기지 않고 완만한 곡선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회전레일 제작시트(120),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 및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의 각 바닥부(B1)에는 각각 볼(Ball)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레일 제작시트(120)와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 및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에서, 각 접힘선(A)과 절개선(C)이 이루는 각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는 추가적으로 깔때기 제작시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깔때기 제작시트(150)는 도 6과 같이, 동심원 상에서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두개의 원호로 이루어져서 그 양변을 맞붙이면 깔때기 모양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깔때기 제작시트(150)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상기 양변의 각도가 180도를 이루는 반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깔때기 제작시트(150)를 사용하여 제작된 깔때기는 슬라이딩 레일(100) 상에서 볼이 굴러 내려오다가 일정한 지점에서 점프를 하여 위로 솟아 오른 다음 다시 떨어지는 선로를 구성할 때, 그 볼을 받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들은 장차 양단이 서로 다른 조립부재와 접착되어서 다양한 형상의 슬라이딩 레일(100)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조립부재들은 다른 조립부재를 맞붙일 수 있도록 각 조립부재의 일측에다 ‘풀칠하는 곳’을 표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들은 인쇄가 가능하고 접어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지 재질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가능하지만, 빳빳하고 함수율이 적은 재질의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장차 볼이 지나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시트지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미리 재단된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 이외에도 조립자가 자신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예컨대 물레방아나 계단, 시소 등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는 자유 구조물 창작시트(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틀(200)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지지틀 조립부재는 스트로우(210)와 연결체(220)로 이루어진다. 도 7은 상기 스트로우(210)와 연결체(220)를 촬영한 사진이다.
먼저 스트로우(210)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통상적인 직선형 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로우(210)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길이로 미리 절단된 상태로 제공되지만, 필요에 따라 가위나 칼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220)는 상기 스트로우(21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100)을 지지하는 지지틀(200)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연결체(220a)와 이동연결체(220b)로 분류된다.
상기 고정연결체(220a)는 하나의 평면상에서 2~8방향으로 서로 다른 스트로우(210)를 연결하고, 동시에 상기 평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스트로우(2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연결체(220a)에는 각 스트로우(210)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스트로우 삽입바(221)가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삽입바(221)에다 각각 서로 다른 스트로우(2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연결체(220b)는 하나의 평면상에서 2~8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스트로우(2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각 방향으로 스트로우 삽입바(221)가 돌출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상기 평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스트로우(210)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스트로우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스트로우(210)와 고정연결체(220a) 및 이동연결체(220b)의 결합상태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고정연결체(220a)는 지지틀(200) 상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이동 연결체(220b)는 상기 스트로우(220)를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연결체(220a)와 이동 연결체(220b)에서 각 스트로우 삽입바(221)는 그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되, 장지름은 상기 스트로우(210)의 내경보다 크고 단지름은 상기 스트로우(210)의 내경보다 작은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스트로우 삽입바(221)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 구조를 갖게 되면, 상기 스트로우 삽입바(221)의 외경과 상기 스트로우(210)의 내경 사이에 약간의 오차가 있더라도 삽입이 용이하고, 특히 상기 스트로우(210)를 반복 사용하여 그 내경이 확대되더라도 상기 스트로우 삽입바(221)에서 스트로우(210)가 쉽게 빠져나오지 않고 단단히 지지해 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연결체(220a)와 이동연결체(220b)의 구조는 본 발명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여러가지 연결체(220)의 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립세트를 이용하여 놀이용 롤러코스터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각자의 상상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독창적인 슬라이딩 레일의 구조를 설계하고, 본 발명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직선 레일과 회전 레일, 그리고 좌측 곡선레일 및 우측 곡선레일 등의 슬라이딩 레일의 각 부분품들을 각각 필요한 수량만큼 나누어 제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지틀 조립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틀을 조립한다. 이어, 상기 지지틀에다 미리 제작해 둔 각 레일 부분품들을 연결하여 미리 설계된 슬라이딩 레인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중간 중간에다 깔때기 제작시트(150)로 만든 깔대기와,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110)를 상하로 맞붙인 터널, 또한 자유 구조물 창작시트를 이용한 물레방아나 계단 등을 배치하면 더욱 재미있고 다양한 롤러코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직선 레일은 적당한 경사를 갖도록 배치하여 볼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상기 직선레일의 경사면을 따라 볼이 천천히 이동시키거나, 볼을 급속히 가속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회전레일은 가속된 볼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볼을 360도 회전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따라서, 회전레일 이전에는 직선레일을 거의 수직으로 충분한 가속도를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일단 롤러코스터의 형태가 갖추어지면, 슬라이딩 레일의 맨 상단에서 실제로 볼을 굴려 보고, 그 볼이 레일을 이탈하지 않고 하단까지 잘 굴러 내려오는지, 그리고 그 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시험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틀의 구조를 일부 변경해 가면서 슬라이딩 레일의 위치나 각도 등을 부분적으로 수정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 조정하거나, 상기 이동연결체(220b)의 위치를 조정하면 슬라이딩 레일의 위치나 각도를 보다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조립자는 이러한 조립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물리학적 과학지식과 기하학적 수학지식을 체험하며 이해하게 된다.
100; 슬라이딩 레일 110; 직선레일 제작시트
120; 회전레일 제작시트 130;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
140;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 150; 깔때기 제작시트
200; 지지틀 210; 스트로우(Straw)
220,220a,220b; 연결체 221; 스트로우 삽입바
222; 스트로우 관통공
A; 접힘선 B1; 바닥부
B2; 우벽부 B3; 좌벽부
C; 절개선 D,D'; 중첩부

Claims (5)

  1. 볼(Ball)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일정한 선로를 따라 굴러 내리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1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100)을 지지해 주는 지지틀(200)로 이루어진 롤러코스터 조립세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100)의 조립부재는,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접힘선(A)에 의해서 바닥부(B1)와 우벽부(B2) 및 좌벽부(B3)로 분할되어 있는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우벽부(B2)와 좌벽부(B3)가 절개선(C)에 의해서 각각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회전레일 제작시트(120)와;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부(B1)와 우벽부(B2)가 절개선(C)에 의해서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우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30)와; 상기 직선레일 제작시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부(B1)와 좌벽부(B3)가 절개선(C)에 의해서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좌측 곡선레일 제작시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틀(200)의 조립부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직선형 스트로우(210)와; 상기 스트로우(210)를 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지지틀(200)을 구성하는 연결구(2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A)과 절개선(C)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B1)에는 볼(Ball)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100)의 조립부재에는, 동심원 상에서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두개의 원호로 이루어져서 그 양변을 맞붙이면 깔때기 모양을 구성하는 깔때기 제작시트(150)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20)는 하나의 평면상에서 2~8방향으로 스트로우(210)를 연결하고, 동시에 상기 평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스트로우(2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 방향으로 스트로우 삽입바(221)가 돌출되어 있는 고정연결체(220a)와; 하나의 평면상에서 2~8방향으로 스트로우(2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 방향으로 스트로우 삽입바(221)가 돌출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상기 평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스트로우(210)가 관통하는 스트로우 관통공(222)이 관통되어 있는 이동연결체(22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삽입바(221)는 그 횡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되, 장지름은 상기 스트로우(210)의 내경보다 크고 단지름은 상기 스트로우(210)의 내경보다 작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KR1020100089283A 2010-09-13 2010-09-13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KR10117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83A KR101173521B1 (ko) 2010-09-13 2010-09-13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83A KR101173521B1 (ko) 2010-09-13 2010-09-13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11A true KR20120027611A (ko) 2012-03-22
KR101173521B1 KR101173521B1 (ko) 2012-08-14

Family

ID=4613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283A KR101173521B1 (ko) 2010-09-13 2010-09-13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59Y1 (ko) * 2012-11-05 2013-08-26 이하영 골드버그 학습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65524A (ko) * 2021-11-05 2023-05-12 이세이 볼 레일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볼 트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974B1 (ko) 2017-12-18 2019-12-02 조영명 롤러코스터 완구용 지지구조체
IT201900019541A1 (it) 2019-10-22 2021-04-22 Simone Bernardini Metodo per la progettazione topologica e la produzione con manifattura additiva o similare processo 3d di elementi meccanici/strutturali di giostre
EP4071653A1 (en) 2021-04-08 2022-10-12 Simone Bernardini A constrained method for multi-parametric optimization design and related production process for the 3d additive synthesis of mechanical and structural components of a roller-coaster and amusement rides/devices according to en13814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581A (en) 1996-09-24 1998-01-20 Chaos, L.L.C. Kinetic toy
JP2002045579A (ja) 2000-08-01 2002-02-12 Stec:Kk 滑走玩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59Y1 (ko) * 2012-11-05 2013-08-26 이하영 골드버그 학습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65524A (ko) * 2021-11-05 2023-05-12 이세이 볼 레일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볼 트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521B1 (ko)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21B1 (ko) 창의력 개발용 롤러코스터 조립세트
CN107635631B (zh) 具备一体式结合部与插入部的单元块及结合方法或使用方法
US20100199427A1 (en) Play mats with interlocking pieces
KR102537404B1 (ko)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JP3132065U (ja) マット玩具
KR200465045Y1 (ko) 영어 학습 교구
JP3222445U (ja) マット玩具
CN202751816U (zh) 一种滚珠积木玩具
CN208406085U (zh) 插接式轨道积木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KR102542709B1 (ko) 무대장치 완구세트용 지지유닛
KR102549295B1 (ko) 연산 블록
CN218686317U (zh) 一种多功能儿童用游戏操作板
RU2223809C1 (ru) Модуль для оригам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626253B1 (ko) 조립식 led 블록 완구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JP7391258B1 (ja) 組みブロック具作成用シート、組みブロック具作成用キット
KR200366109Y1 (ko) 학습용 조형블럭
RU200152U1 (ru) Развивающая игрушка для детей
CN209967667U (zh) 一种魔方公仔玩具
ES2247844T3 (es) Rompecabezas animado que tiene elementos de interconexion.
KR20230064119A (ko) 종이접기를 이용한 시각 놀이 장치
CN106730872B (zh) 游具
JPH0315120Y2 (ko)
KR20120067877A (ko) 종이로 제작된 블록 조립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