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885A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885A
KR20120025885A KR1020100088059A KR20100088059A KR20120025885A KR 20120025885 A KR20120025885 A KR 20120025885A KR 1020100088059 A KR1020100088059 A KR 1020100088059A KR 20100088059 A KR20100088059 A KR 20100088059A KR 20120025885 A KR20120025885 A KR 20120025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d
green
blu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734B1 (ko
Inventor
박종현
유준석
김종성
이강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734B1/ko
Priority to DE102011053276.5A priority patent/DE102011053276B4/de
Priority to US13/227,271 priority patent/US8593057B2/en
Priority to GB1115490.3A priority patent/GB2483764B/en
Priority to CN201110315742.XA priority patent/CN102403334B/zh
Publication of KR2012002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734B1/ko
Priority to US14/060,438 priority patent/US87861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이, 가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상기 제1열은 상기 가로방향에 수직인 세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열의 상기 제1 및 제2행에 교번 배치되는 적 및 녹 부화소영역과, 상기 제2열에 배치되는 청 부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적, 녹 및 청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해상도 및 고개구율에 적합한 배치구조 및 형태를 가지며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이 용이한 적, 녹, 청 부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평판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ELD Device)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박형이 가능하고,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그리고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전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나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Device)와 달리 공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증착 및 봉지(encapsulation) 장비가 전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active matrix type)에서는 화소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압이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에 충전되어 있어, 그 다음 프레임(frame)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전압을 유지해 줌으로써, 게이트 배선 수에 관계없이 한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발광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되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는, 서로 교차하여 부화소영역(SP)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GL), 데이터배선(DL) 및 파워배선(PL)이 형성되고, 부화소영역(SP)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발광 다이오드(Del)가 형성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는 게이트배선(GL) 및 데이터배선(DL)에 연결되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와 파워배선(PL) 사이에 연결되고, 발광 다이오드(Del)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연결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영상표시 동작을 살펴보면, 게이트배선(GL)에 인가된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가 턴-온(turn-on) 되면, 데이터배선(DL)에 인가된 데이터신호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를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에 인가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게이트전극에 인가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턴-온 되며, 그 결과 데이터신호에 비례하는 전류가 파워배선(PL)으로부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Del)로 흐르게 되고, 발광 다이오드(Del)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는 데이터신호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충전되어,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의하여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풀 컬러(full color)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나의 화소영역(pixel region)을 구성하는 적, 녹, 청 부화소영역(sub pixel region)을 포함하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는, 다수의 화소영역(P)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P) 각각은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를 포함한다.
다수의 화소영역(P) 각각은 가로길이(H) 및 세로길이(V)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은 다수의 화소영역(P) 각각을 3등분하여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은, 화소영역(P)의 가로길이(H)의 1/3에 해당하는 가로 변과 화소영역(P)의 세로길이(V)와 동일한 세로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는 각각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이 형성된다.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은, 그 상하부의 제1 및 제2전극(미도시)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도 1의 Del)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미리 설정된 폭(w) 및 높이(h)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인접 발광층과의 혼색(shadow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좌우로 서로 제1거리(d1)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은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열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은 제1 및 제2전극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제로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 각각 형성되는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의 면적은 도시된 면적보다 클 수 있으나, 제1 및 제2전극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이 발광하여 영상 표시에 기여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전극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에서는, 하나의 화소영역(P)을 가로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을 설정하고,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에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을 형성하여 풀 컬러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런데, 최근 표시장치에 요구되는 해상도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영역(P)에 할당되는 면적이 점점 감소되고,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에 할당되는 면적도 점점 감소된다.
그에 따라,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 각각에 할당되는 면적도 점점 감소되는데,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 각각의 높이(h)는 하나의 화소영역(P)의 세로길이(V)에 대응되므로 크게 문제 되지는 않지만,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 각각의 폭(w)은 하나의 화소영역(P)의 가로길이(H)의 1/3에 대응되므로 축소한계에 도달하여 더 이상 감소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은, 인접 발광층과의 혼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제1거리(d1)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제1거리(d1)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가 증가하여 각 화소영역(P)의 면적이 감소된 경우에도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 각각에 할당된 면적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적, 녹, 청 발광층(32, 34, 36)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각 화소영역의 제1열에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을 교번 배치하고 제2열에 청 부화소영역을 배치함으로써, 해상도 및 개구율이 개선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하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및 녹 부화소영역 중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서로 근접하게 모이도록 배치(grouping)함으로써, 발광층 형성용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이 용이하고 해상도 및 개구율이 더 개선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 부화소영역에 심청(deep blue) 및 연청(sky blue) 발광층을 교번 형성하고 렌더링(rendering)에 의하여 교번 구동함으로써, 수명 및 색감이 개선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 녹, 청 발광층 각각을 모서리가 제거된 사각형, 즉 변형된 팔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층 형성용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이 더 용이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이, 가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상기 제1열은 상기 가로방향에 수직인 세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열의 상기 제1 및 제2행에 교번 배치되는 적 및 녹 부화소영역과, 상기 제2열에 배치되는 청 부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적, 녹 및 청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가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서, 상기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 및 녹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는,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의 상기 적 발광층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영역과, 상기 다수의 개구영역을 둘러싸는 차단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서, 상기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은 동일한 색끼리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 및 녹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는, 각각이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화소영역의 근접 배치된 2개의 상기 적 발광층에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영역과, 상기 다수의 개구영역을 둘러싸는 차단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화소영역의 근접 배치된 2개의 상기 적 및 녹 발광층은 각각 바깥 4 모서리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청 부화소영역은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청 발광층은 심청 및 연청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은 상기 세로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으로 교번 배치되고, 상기 심청 및 연청 발광층은 각각 상기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청 및 연청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는, 각각이 상기 심청 발광층에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영역과, 상기 다수의 개구영역을 둘러싸는 차단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전극이 발광 다이오드를 이루고,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은 뱅크층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제1전극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영역의 제1열에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을 교번 배치하고 제2열에 청 부화소영역을 배치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 및 개구율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및 녹 부화소영역 중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서로 근접하게 모이도록 배치(grouping)함으로써, 발광층 형성용 섀도우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 및 개구율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 부화소영역에 심청(deep blue) 및 연청(sky blue) 발광층을 교번 형성하고 렌더링(rendering)에 의하여 교번 구동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수명 및 색감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적, 녹, 청 발광층 각각을 모서리가 제거된 사각형, 즉 변형된 팔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층 형성용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청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의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절단선 VIIa-VIIa 및 VIIb-VII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심청 및 연청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를 포함한다.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길이(H) 및 세로길이(V)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1열에 교번 배치되고, 청 부화소영역(SPb)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2열에 배치된다.
즉,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제1열은 가로방향에 수직인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제1열의 제1 및 제2행은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으로 정의되며, 제2열은 청 부화소영역(SPb)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배치되는데,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상이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그리고,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는 각각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이 형성된다.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은, 그 상하부의 제1 및 제2전극(도 5의 130, 138)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도 5의 Del)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인접 발광층과의 혼색(shadow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상하좌우)으로 서로 제1거리(d1)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거리(d1)는 약 22μm 일 수 있다.
여기서, 적 및 녹 발광층(132, 134)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1폭(w1) 및 제1높이(h1)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청 발광층(136)은 미리 설정된 제2폭(w2) 및 제2높이(h2)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데, 적 및 녹 발광층(132, 134)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1폭(w1)이 제1높이(h1)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청 발광층(136)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2폭(w2)이 제2높이(h2)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은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열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은 제1 및 제2전극(130, 138)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즉, 실제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 각각 형성되는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의 면적은 도시된 면적보다 클 수 있으나, 제1 및 제2전극(130, 138)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이 발광하여 영상 표시에 기여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전극(130, 138)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제1전극(130)이 뱅크층(도 5의 128)의 개구부(도 5의 128a)를 통하여 노출되고,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이 뱅크층(128) 상부에 형성되어 노출된 제1전극(130)과 접촉하고, 제2전극(138)이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 전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전극(130, 138)의 중첩영역은 뱅크층(128)의 개구부(128a)와 동일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에서는,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을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제1 및 제2열을 정의한 후,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교번 배치하고, 제2열에 청 부화소영역(SPb)을 배치하며,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에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가로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도 2의 SPr, SPg, SPb)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축소할 여유(margin)가 있으며, 해상도 증가에 따른 화소영역의 축소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해상도 증가에 따라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의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의 면적이 축소되는 경우에도,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 각각의 면적은 한계까지 축소되지 않으므로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각 화소영역의 회로적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다수의 게이트배선(GL1, GL2), 다수의 데이터배선(DL1, DL2, DL3) 및 다수의 파워배선(PL1, PL2, PL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게이트배선(GL1, GL2)과, 제1데이터배선(DL1)과, 제3파워배선(PL3)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화소영역(P)으로 정의된다.
화소영역(P)은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제1열은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어, 제1열의 제1행은 적 부화소영역(SPr), 제1열의 제2행은 녹 부화소영역(SPg), 제2열은 청 부화소영역(SPb)으로 정의된다.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발광 다이오드(Del)가 형성되는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위치는 해당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상이한 부화소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Del)의 제1전극(도 5의 130)을 해당 부화소영역 SPr, SPg, SPb)에 형성하고, 적, 녹, 청 발광층(도 3의 132, 134, 136)을 제1전극(130)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을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파워배선(PL1), 제2데이터배선(DL2), 제2파워배선(PL2), 제3데이터배선(DL3)이 제1데이터배선(DL1)과 제3파워배서(PL3) 사이에 차례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파워배선(PL2)을 생략하고 제2데이터배선(DL2)을 제2파워배선(PL2) 위치에 형성한 상태에서, 녹 부화소영역(SPg)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제1파워배선(PL1)에 연결함으로써, 제1파워배선(PL1) 하나를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공용토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 부화소영역(SPr)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발광 다이오드(Del)는 제1게이트배선(GL1) 및 제1데이터배선(DL1)으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고, 녹 부화소영역(SPg)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발광 다이오드(Del)는 제1게이트배선(GL1) 및 제2데이터배선(DL2)으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고, 청 부화소영역(SPb)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발광 다이오드(Del)는 제1게이트배선(GL1) 및 제3데이터배선(DL3)으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11), 기판(111) 상부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Del)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111) 상부에는 다수의 게이트배선(도 4의 GL1, GL2), 다수의 데이터배선(도 4의 DL1, DL2, DL3) 및 다수의 파워배선(도 4의 PL1, PL2, PL3)이 형성되고,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도 4의 Ts)도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 상부에는 액티브영역(112a), 소스영역(112b) 및 드레인영역(112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12)이 형성되고, 반도체층(112) 상부의 기판(111) 전면에는 게이트 절연막(114)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12)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액티브영역(112a)은 순수 실리콘(intrinsic silicon)으로 이루어지고, 소스영역(112b) 및 드레인영역(112c)은 불순물 실리콘(impurity-doped silico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이트 절연막(114)은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12)에 대응되는 게이트 절연막(114)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16)이 형성되고, 게이트전극(116) 상부의 기판(111) 전면에는 층간 절연막(118)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16)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도전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지고, 층간 절연막(118)은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18)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 112c)을 각각 노출하는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콘택홀(120a, 122a)을 포함한다.
층간 절연막(118) 상부에는 소스전극(120), 드레인전극(122), 데이터배선(124)이 형성되는데, 소스전극(120)은 소스영역 콘택홀(120a)을 통하여 소스영역(112b)에 연결되고, 드레인전극(122)은 드레인영역 콘택홀(122a)을 통하여 드레인영역(112c)에 연결된다.
여기서, 반도체층(112), 게이트전극(116), 소스전극(120) 및 드레인전극(122)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이루는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게이트배선은 게이트전극(116)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상부의 기판(111) 전면에는 보호막(126)이 형성되는데, 보호막(126)은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레인전극(122)을 노출하는 드레인전극 콘택홀(126a)을 포함한다.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보호막(126) 상부에는 제1전극(130)이 형성되는데, 제1전극(130)은 드레인전극 콘택홀(126a)을 통하여 드레인전극(122)에 연결된다.
제1전극(130) 상부에는 제1전극(13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bank layer: 128)이 형성되는데, 뱅크층(128)은 각각이 제1전극(130)을 노출하는 다수의 개구부(128a)를 포함한다.
뱅크층(128)은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개구부(128a) 각각을 통하여 노출되는 제1전극(130) 상부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는 각각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이 형성되고,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 상부의 기판(111) 전면에는 제2전극(138)이 형성된다.
제1전극(130), 각 발광층(132, 134, 136) 및 제2전극(138)은 적, 녹, 청 발광 다이오드(Del)를 이루며, 제1 및 제2전극(130, 138)은 서로 일함수(work function) 값이 상이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각 발광층(132, 134, 136) 전체 영역 중에서, 뱅크층(128)의 개구부(128a)를 통하여 노출된 제1전극(130)의 직상부에 형성된 부분에만 전자와 홀(hole)이 공급되어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의 개구율을 결정하는 각 부화소영역(SPr, SPg, SPb)의 발광층(132, 134, 136)의 발광면적을 고려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뱅크층(128)의 개구부(128a)를 통하여 노출된 제1전극(130)이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은 각 부화소영역(SPr, SPg, SPb)의 뱅크층(128)의 개구부(128a)에 대응되는 패턴형상을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전극(130, 138)은 양극(anode) 및 음극(cathode)으로 동작하는데, 양극으로 동작하는 전극의 일함수 값이 음극으로 동작하는 전극의 일함수 값보다 크도록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으로 동작하는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음극으로 동작하는 전극은 알루미늄(aluminum)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발광층(132, 134, 136)은 컬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물질로 부화소영역(SPr, SPg, SPb) 별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홀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의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극(138)이 형성된 기판(111)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을 위한 별도의 기판(미도시)을 합착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에서, 적, 녹, 청 발광층(132, 134, 136)은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청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 발광층(132) 또는 녹 발광층(134)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는, 발광물질을 투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개구영역(162)과, 다수의 개구영역(162)을 둘러싸며 발광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영역(164)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적 발광층(132)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의 정렬위치와 녹 발광층(134)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의 정렬위치는 서로 상이하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기판(111)에 정렬될 수 있다.
다수의 개구영역(162) 각각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의 각 화소영역(P)의 적 발광층(1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제1폭(w1) 및 제1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적 발광층(132)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의 다수의 개구영역(162)은,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청 발광층(136)의 제2폭(w2)와 제1거리(d1)의 2배의 합에 대응되는 제1길이(L1)(L1 ~ w2 + 2*d1) 만큼 이격되고,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적 또는 녹 발광층(132, 134)의 제1높이(h1)와 제1거리(d1)의 2배의 합에 대응되는 제2길이(L2)(L2 ~ h1 + 2*d1)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개구영역(162) 사이의 가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1거리(L1)는 다수의 개구영역(162) 사이의 세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2길이(L2)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 발광층(136)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170)는, 다수의 개구영역(172)과, 다수의 개구영역(172)을 둘러싸는 차단영역(174)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개구영역(172) 각각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의 각 화소영역(P)의 청 발광층(136)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제2폭(w2) 및 제2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청 발광층(136)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 섀도우 마스크(170)의 다수의 개구영역(172)은,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적 또는 녹 발광층(132, 134)의 제1폭(w1)과 제1거리(d1)의 2배의 합에 대응되는 제3길이(L3)(L3 ~ w1 + 2*d1) 만큼 이격되고,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제1거리(d1)에 대응되는 제4길이(L4)(L4 ~ d1)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런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가 더욱 증가할 경우, 섀도우 마스크의 개구영역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여 뒤틀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적녹 섀도우 마스크의 경우 세로방향(상하) 및 가로방향(좌우)의 이격거리인 제1 및 제2길이(L1, L2)가 동시에 감소하여 차단부의 두께가 상이하게 감소하므로 더욱 문제가 되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의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절단선 VIIa-VIIa 및 VIIb-VII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a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두께(t1)를 갖는 금속원판(미도시)을 식각하여 다수의 개구영역(162) 및 차단영역(164)을 갖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를 형성할 경우, 다수의 개구영역(162) 사이의 가로방향의 이격거리인 제1길이(L1)는 다수의 개구영역(162) 사이의 세로방향의 이격거리인 제2길이(L2)보다 작을 수 있으며, 다수의 개구영역(162) 각각의 가로방향으로의 제1폭(w1)은 세로방향의 제1높이(h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길이(L1), 제2길이(L2), 제1폭(w1), 제1높이(h1)는 각각 약 38μm, 약 46.5μm, 약 49μm, 약 41.5μm 일 수 있다.
이때, 발광층의 원활한 형성을 위하여, 금속원판을 식각하여 다수의 개구영역(162)을 형성함에 있어서 잔존하는 차단영역(164)의 테이퍼각()은 약 59도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여기서, 식각에 의하여 제거되는 다수의 개구영역(162)의 크기와 다수의 개구영역(162) 사이의 이격거리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따라 서로 상이하므로, 잔존하는 차단영역(164)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따른 두께도 서로 달라지게 된다.
즉, 식각에 의하여 제거되는 다수의 개구영역(162)의 가로방향에 따른 제1폭(w1)이 세로방향에 따른 제1높이(h1)보다 크므로, 금속원판은 가로방향을 따라 더 많이 식각되고, 그 결과, 차단영역(164)은, 가로방향을 따라 제1두께(t1)보다 작은 제2두께(t2)를 가지고, 세로방향을 따라 제2두께(t2)보다 큰 제3두께(t3)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두께(t2, t3)는 각각 약 31.2μm, 약 38.2μm 일 수 있다.
식각에 의하여 형성된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는 프레임 등에 고정된 상태로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데, 프레임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를 스트레칭(stretching)하게 된다.
스트레칭 동안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가 약 40μm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는데, 적녹 섀도우 마스크(160)는 약 40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므로 스트레칭 동안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으며, 특히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므로 방향에 따라 팽창 정도가 상이하게 되어 뒤틀림 등의 변형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은 다수의 개구영역(162)의 크기 변형을 초래하고, 그 결과 적, 녹 발광층(132, 134)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도록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을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를 포함한다.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길이(H) 및 세로길이(V)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데,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1열에 교번 배치되고, 청 부화소영역(SPb)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2열에 배치된다.
즉,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제1열은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제1열의 제1 및 제2행은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으로 교번 정의되고, 제2열은 청 부화소영역(SPb)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교번 배치되는데,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상이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또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우측으로 인접한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행의 적 부화소영역(SPr)과 반대인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되고,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2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상이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에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이유는, 하나의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에 대응되는 적 부화소영역(SPr) 또는 녹 부화소영역(SPg)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는 각각 적, 녹, 청 발광층(232, 234, 236)이 형성되는데, 적, 녹, 청 발광층(232, 234, 236)은, 그 상하부의 제1 및 제2전극(미도시)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인접 발광층과의 혼색(shadow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로방향(상하) 및 가로방향(좌우)으로 서로 제1거리(d1)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제1거리(d1)는 약 22μm 일 수 있다.
여기서, 적 및 녹 발광층(232, 234)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1폭(w1) 및 제1높이(h1)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청 발광층(236)은 미리 설정된 제2폭(w2) 및 제2높이(h2)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데, 적 및 녹 발광층(232, 234)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1폭(w1)이 제1높이(h1)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청 발광층(236)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2폭(w2)이 제2높이(h2)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적, 녹, 청 발광층(232, 234, 236)은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열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적, 녹, 청 발광층(232, 234, 236)은 제1 및 제2전극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에서는,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을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제1 및 제2열을 정의한 후,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교번 배치하되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제2열에 청 부화소영역(SPb)을 배치하며,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에 적, 녹, 청 발광층(232, 234, 236)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가로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도 2의 SPr, SPg, SPb)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축소할 여유(margin)가 있으며, 해상도 증가에 따른 화소영역의 축소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적, 녹, 청 발광층(232, 234, 236)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부화소영역(SPr) 또는 녹 부화소영역(SPg)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적 및 녹 발광층(232, 234)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에서, 적 및 녹 발광층(232, 234)은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청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는 제1실시예의 청 섀도우 마스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 발광층(232) 또는 녹 발광층(234)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260)는, 발광물질을 투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개구영역(262)과, 다수의 개구영역(262)을 둘러싸며 발광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영역(264)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적 발광층(232)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260)의 정렬위치와 녹 발광층(234)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260)의 정렬위치는 서로 상이하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기판(미도시)에 정렬될 수 있다.
다수의 개구영역(262) 각각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의 각 화소영역(P)의 적 발광층(2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제1폭(w1) 및 제1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적 발광층(232)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녹 섀도우 마스크(260)의 다수의 개구영역(262)은,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적 또는 녹 발광층(232, 234)의 제1높이(h1)와 제1거리(d1)의 2배의 합에 대응되는 제2길이(L2)(L2 ~ h1 + 2*d1) 만큼 이격되고, 대각방향으로 청 발광층(236)의 제2폭(w2)과 제1거리(d1)의 2배의 합과 제1거리(d1)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5길이(L5)(L5 ~ ((w2 + 2*d1)2 + d12)1/2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개구영역(262) 사이의 대각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5길이(L5)는 제1실시예에서의 다수의 개구영역(162) 사이의 가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1길이(L1)(L1 ~ w2 + 2*d1)보다 큰 값이 되며, 다수의 개구영역(262) 사이의 세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2길이(L2)에 더 가까운 값이 된다.
즉, 다수의 개구영역(262)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의 해상도 증가에 좀 더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개구영역(262) 사이의 다양한 방향의 이격거리가 유사해지므로, 적녹 섀도우 마스크(260)의 차단영역(264)의 두께 편차가 감소되어 적녹 섀도우 마스크(2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개구영역의 크기 및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을 근접 배치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3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를 포함한다.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길이(H) 및 세로길이(V)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데,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1열에,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청 부화소영역(SPb)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2열에 배치된다.
즉,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제1열은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제1열의 제1 및 제2행은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으로 교번 정의되며, 제2열은 청 부화소영역(SPb)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교번 배치되는데,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근접하도록 묶여서 배치(grouping)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동일한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되고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2행에는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또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우측으로 인접한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행의 적 부화소영역(SPr)과 반대인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되고,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2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상이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물론, 제2화소영역(P2)과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제4화소영역(P4)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2행의 적 부화소영역(SPr)과 동일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되고, 제4화소영역(P4)의 제1열의 제2행에는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근접하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근접 배치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섀도우 마스크의 하나의 개구영역에 대응되도록 하여,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의 크기 및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에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이유는, 하나의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에 대응되는 적 부화소영역(SPr) 또는 녹 부화소영역(SPg)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위의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 배치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는 각각 적, 녹, 청 발광층(332, 334, 336)이 형성되는데, 적, 녹, 청 발광층(332, 334, 336)은, 그 상하부의 제1 및 제2전극(미도시)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인접한 상이한 색의 발광층과의 혼색(shadow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거리(d1)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런데, 동일한 색의 발광층이 인접한 경우에는 혼색의 위험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접한 발광층이 제1거리(d1)보다 작은 제2거리(d2) 만큼 이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1거리(d1)는 약 22μm 이고, 제2거리(d2)는 약 13μ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되고,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녹 및 적 부화소영역(SPg, SPr)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의 적 및 녹 발광층(332, 334) 사이와 제3화소영역(P3)의 녹 및 적 발광층(324, 322) 사이는 각각 제1거리(d1)로 이격되고, 제1화소영역(P1)의 녹 발광층(334)과 제3화소영역(P3)의 녹 발광층(334) 사이는 제1거리보다 작은 제2거리(d2)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제3실시예의 적 및 녹 발광층(332, 334) 각각의 크기를 제2실시예의 적 및 녹 발광층(232, 234) 각각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적 및 녹 발광층(332, 334)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1폭(w1)과, 제1높이(h1)보다 큰 제3높이(h3)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청 발광층(336)은 미리 설정된 제2폭(w2) 및 제2높이(h2)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 및 녹 발광층(332, 334)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1폭(w1)이 제3높이(h3)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높이(h3)가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하여 적 및 녹 발광층(332, 334)이 제3높이(h3)가 제1폭(w1)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청 발광층(336)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2폭(w2)이 제2높이(h2)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적, 녹, 청 발광층(332, 334, 336)은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열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적, 녹, 청 발광층(332, 334, 336)은 제1 및 제2전극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310)에서는,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을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제1 및 제2열을 정의한 후,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교번 배치하되,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근접하게 모아서 배치하고,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제2열에 청 부화소영역(SPb)을 배치하며,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에 적, 녹, 청 발광층(332, 334, 336)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310)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가로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도 2의 SPr, SPg, SPb)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축소할 여유(margin)가 있으며, 해상도 증가에 따른 화소영역의 축소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적, 녹, 청 발광층(332, 334, 336)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 중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모아서 배치하여 하나의 개구영역에 대응토록 하고,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부화소영역(SPr) 또는 녹 부화소영역(SPg)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적 및 녹 발광층(332, 334)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310)에서, 적 및 녹 발광층(332, 334)은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청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청 섀도우 마스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 발광층(332) 또는 녹 발광층(334)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360)는, 발광물질을 투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개구영역(362)과, 다수의 개구영역(362)을 둘러싸며 발광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영역(364)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적 발광층(332)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360)의 정렬위치와 녹 발광층(334)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360)의 정렬위치는 서로 상이하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기판(미도시)에 정렬될 수 있다.
다수의 개구영역(362) 각각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310)의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P)의 근접 배치된 2개의 적 발광층(3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제1폭(w1)과, 제3높이(h3)의 2배와 제2이격거리(d2)의 합에 대응되는 제4높이(h4)(h4 ~ 2*h3 + d2)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2개의 적 발광층(232)과 그 사이의 이격구간의 합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녹 섀도우 마스크(360)의 다수의 개구영역(362)은, 대각방향으로 청 발광층(336)의 제2폭(w2)과 제1거리(d1)의 2배의 합과 제1거리(d1)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5길이(L5)(L5 ~ ((w2 + 2*d1)2 + d12)1/2 만큼 이격되고,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적 또는 녹 발광층(332, 334)의 제3높이(h3)의 2배와 제1거리(d1)의 2배와 제2거리(d2)의 합에 대응되는 제6길이(L6)(L6 ~ 2*h3 + 2*d1 + d2)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개구영역(362) 각각의 제4높이(h4)는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의 다수의 개구영역(162, 262) 각각의 제1높이(h1)보다 큰 값이 되고, 다수의 개구영역(362) 사이의 세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6길이(L6)는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의 다수의 개구영역(162, 262) 사이의 세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2길이(L2)(L2 ~ h1 + 2*d1) 보다 큰 값이 된다.
즉, 다수의 개구영역(362) 각각의 크기 및 다수의 개구영역(362)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310)의 해상도 증가에 좀 더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개구영역(362) 사이의 다양한 방향의 이격거리가 유사해지므로, 적녹 섀도우 마스크(360)의 차단영역(364)의 두께 편차가 감소되어 적녹 섀도우 마스크(360)의 변형을 방지하고 적녹 섀도우 마스크(360)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이한 종류의 2개의 청 부화소영역을 배치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적, 녹, 심청(deep blue) 부화소영역(SPr, SPg, SPb1) 또는 적, 녹, 연청(sky blue) 부화소영역(SPr, SPg, SPb2)를 포함한다.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길이(H) 및 세로길이(V)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데,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1열에 배치되는데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SPb1, SPb2)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2열에 세로방향(상하) 및 가로방향(좌우)으로 교번 배치된다.
즉,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제1열은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제1열의 제1 및 제2행은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으로 교번 정의되며, 제2열은 심청 또는 연청 부화소영역(SPb1, SPb2)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교번 배치되는데,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근접하도록 묶여서 배치(grouping)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동일한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되고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2행에는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또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우측으로 인접한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행의 적 부화소영역(SPr)과 반대인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되고,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2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상이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물론, 제2화소영역(P2)과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제4화소영역(P4)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2행의 적 부화소영역(SPr)과 동일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되고, 제4화소영역(P4)의 제1열의 제2행에는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근접하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근접 배치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섀도우 마스크의 하나의 개구영역에 대응되도록 하여,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의 크기 및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에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이유는, 하나의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에 대응되는 적 부화소영역(SPr) 또는 녹 부화소영역(SPg)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위의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 배치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세로방향(상하) 및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제1, 제2, 제3 및 제4화소영역(P1, P2, P3, P4)의 제2열에는 각각 심청, 연청, 연청, 심청 부화소영역(SPb1, SPb2, SPb2, SPb1)이 배치되는데,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SPb1, SPb2)의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므로 동시에 형성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섀도우 마스크의 제작이 용이한데, 이러한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의 배치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적, 녹, 심청, 연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1, SPb2)에는 각각 적, 녹, 심청, 연청 발광층(432, 434, 436, 438)이 형성되는데, 적, 녹, 심청, 연청 발광층(432, 434, 436, 438)은, 그 상하부의 제1 및 제2전극(미도시)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상이한 색의 근접한 발광층은 제1거리(d1)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동일한 색의 근접한 발광층은 제1거리(d1)보다 작은 제2거리(d2) 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때, 제1거리(d1)는 약 22μ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되고,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녹 및 적 부화소영역(SPg, SPr)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의 적 및 녹 발광층(432, 434) 사이와 제3화소영역(P3)의 녹 및 적 발광층(434, 432) 사이는 각각 제1거리(d1)로 이격되고, 제1화소영역(P1)의 녹 발광층(434)과 제3화소영역(P3)의 녹 발광층(434) 사이는 제1거리보다 작은 제2거리(d2)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제4실시예의 적 및 녹 발광층(432, 434) 각각의 크기를 제2실시예의 적 및 녹 발광층(232, 234) 각각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하여, 적 및 녹 발광층(432, 434)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1폭(w1)과, 제1높이(h1)보다 큰 제3높이(h3)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2폭(w2) 및 제2높이(h2)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적 및 녹 발광층(432, 434)은 제1폭(w1)이 제3높이(h3)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제3높이(h3)가 제1폭(w1)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은 각각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2폭(w2)이 제2높이(h2)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적, 녹, 심청, 연청 발광층(432, 434, 436, 438)은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열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적, 녹, 심청, 연청 발광층(432, 434, 436, 438)은 제1 및 제2전극의 중첩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은 재료의 물성에 의하여 장단점을 갖는데, 심청 발광층(436)은 색재현성 면에서 장점이 있는 반면, 연청 발광층(438)은 수명 및 광효율 면에서 장점이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의 장점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을 교대로 구동한다.
즉, 색감이 중시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연청 발광층(438)이 오프(off)된 상태로 심청 발광층(436)만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때 제2화소영역(P2)의 적, 녹 발광층(432, 434)은 제1화소영역(P1)의 심청 발광층(436)과 하나의 단위화소(P21)을 이룬다.
또한, 색감이 중시되지 않는 일반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심청 발광층(436)이 오프된 상태로 연청 발광층(438)만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때 제2화소영역(P2)의 적, 녹 발광층(432, 434)은 제2화소영역(P2)의 연청 발광층(438)과 하나의 단위화소(P22)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는 영상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심청 또는 연청 발광층(436, 438)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색특성이 우수한 영상을 표시하거나 수명이 연장되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렌더링(rendering)에 의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단위인 단위화소가 상이하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서는,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을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제1 및 제2열을 정의한 후,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교번 배치하되,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근접하게 모아서 배치하고,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제2열에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SPb1, SPb2)을 교대로 배치하며, 적, 녹, 심청, 연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1, SPb2) 각각에 적, 녹, 심청, 연청 발광층(432, 434, 436, 438)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310)의 적, 녹, 심청, 연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1, SPb2)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가로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도 2의 SPr, SPg, SPb)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축소할 여유(margin)가 있고, 해상도 증가에 따른 화소영역의 축소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적, 녹, 심청, 연청 발광층(432, 434, 436, 438)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 중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모아서 배치하여 하나의 개구영역에 대응토록 하고,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부화소영역(SPr) 또는 녹 부화소영역(SPg)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적 및 녹 발광층(432, 434)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더구나,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SPb1, SPb2)의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을 상이한 공정으로 형성하므로,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를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서, 심청 및 연청 발광층(436, 438)은 청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심청 및 연청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는 제3실시예의 적녹 섀도우 마스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청 발광층(436) 및 연청 발광층(438)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470)는, 발광물질을 투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개구영역(472)과, 다수의 개구영역(472)을 둘러싸며 발광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영역(474)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심청 발광층(436) 형성을 위한 청 섀도우 마스크(470)의 정렬위치와 연청 발광층(438) 형성을 위한 청 섀도우 마스크(470)의 정렬위치는 서로 상이하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기판(미도시)에 정렬될 수 있다.
다수의 개구영역(472) 각각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의 심청 발광층(436)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제2폭(w2) 및 제2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심청 발광층(436)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 섀도우 마스크(470)의 다수의 개구영역(472)은, 대각방향으로 적 발광층(432)의 제1폭(w1)과 제1거리(d1)의 2배의 합과 제1거리(d1)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7길이(L7)(L7 ~ ((w1 + 2*d1)2 + d12)1/2 만큼 이격되고,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심청 발광층(436)의 제2높이(h2)와 제1거리(d1)의 2배의 합에 대응되는 제8길이(L8)(L8 ~ h2 + 2*d1)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다수의 개구영역(472)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의 해상도 증가에 좀 더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개구영역(472) 사이의 다양한 방향의 이격거리가 유사해지므로, 청 섀도우 마스크(470)의 차단영역(474)의 두께 편차가 감소되어 청 섀도우 마스크(470)의 변형을 방지하고 청 섀도우 마스크(470)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개구영역 각각의 모서리를 제거함으로써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적 및 녹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화소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5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를 포함한다.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길이(H) 및 세로길이(V)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데,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1열에,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청 부화소영역(SPb)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의 제2열에 배치된다.
즉,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은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제1열은 세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제1행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제1열의 제1 및 제2행은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으로 교번 정의되고, 제2열은 청 부화소영역(SPb)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교번 배치되는데,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서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근접하도록 묶여서 배치(grouping)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동일한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되고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2행에는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또한,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은,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 우측으로 인접한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행의 적 부화소영역(SPr)과 반대인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되고,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2행에는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부화소영역(SPg)과 상이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된다.
물론, 제2화소영역(P2)과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제4화소영역(P4)의 제1열의 제1행에는 제2화소영역(P2)의 제1열의 제2행의 적 부화소영역(SPr)과 동일한 적 부화소영역(SPr)이 배치되고, 제4화소영역(P4)의 제1열의 제2행에는 녹 부화소영역(SPg)이 배치된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의 크기 및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 배치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에는 각각 적, 녹, 청 발광층(532, 534, 536)이 형성되는데, 적, 녹, 청 발광층(532, 534, 536)은, 그 상하부의 제1 및 제2전극(미도시)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상이한 색의 근접한 발광층은 제1거리(d1)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동일한 색의 근접한 발광층은 제1거리(d1)보다 작은 제2거리(d2) 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때, 제1거리(d1)는 약 22μ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이 배치되고, 제1화소영역(P1) 하부로 인접한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 및 제2행에 각각 녹 및 적 부화소영역(SPg, SPr)이 배치된 경우, 제1화소영역(P1)의 적 및 녹 발광층(532, 534) 사이와 제3화소영역(P3)의 녹 및 적 발광층(524, 522) 사이는 각각 제1거리(d1)로 이격되고, 제1화소영역(P1)의 녹 발광층(534)과 제3화소영역(P3)의 녹 발광층(534) 사이는 제1거리보다 작은 제2거리(d2)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제5실시예의 적 및 녹 발광층(532, 534) 각각의 크기를 제2실시예의 적 및 녹 발광층(232, 234) 각각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적 및 녹 발광층(532, 534) 각각의 2 모서리는 제거되는데,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의 근접 배치된 부화소영역의 동일한 색의 발광층의 바깥 4 모서리가 제거된다.
예를 들어,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 및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행에 녹 발광층(534)이 근접 배치된 경우, 근접 배치된 2개의 녹 발광층(534)의 바깥 4 모서리, 즉 제1화소영역(P1)의 제1열의 제2행의 녹 발광층(534)의 위쪽 2 모서리와 제3화소영역(P3)의 제1열의 제1행의 녹 발광층(534)의 아래쪽 2 모서리가 제거된다.
제거된 부분은 한 변의 길이가 a인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며, 발광층의 모서리를 제거한다는 것은 뱅크층(도 5의 128)의 개구부(도 5의 128a)의 형태를 변경하여 노출되는 제1전극의 면적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 및 녹 발광층(532, 534)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1폭(w1)과, 제1높이(h1)보다 큰 제3높이(h3)를 갖는 모서리가 절단된 직사각형 형상, 즉 변형된 육각형 형상을 가지며, 청 발광층(536)은 미리 설정된 제2폭(w2) 및 제2높이(h2)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적 및 녹 발광층(532, 534)은 제1폭(w1)이 제3높이(h3)보다 큰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 형상(가로방향으로 긴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제3높이(h3)가 제1폭(w1)보다 큰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 형상(세로방향으로 긴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청 발광층(536)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을 가로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므로 제2폭(w2)이 제2높이(h2)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510)에서는, 다수의 화소영역(P1 내지 P4) 각각을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제1 및 제2열을 정의한 후, 제1열을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을 교번 배치하되,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3, 또는 P2와 P4)의 제1열에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근접하게 모아서 배치하고,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다수의 화소영역(P1과 P2, 또는 P3와 P4)의 제1열에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제2열에 청 부화소영역(SPb)을 배치하며,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 각각에 적, 녹, 청 발광층(532, 534, 536)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510)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SPr, SPg, SPb)은 하나의 화소영역(P1 내지 P4)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가로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 녹, 청 부화소영역(도 2의 SPr, SPg, SPb)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축소할 여유(margin)가 있고, 해상도 증가에 따른 화소영역의 축소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적, 녹, 청 발광층(532, 534, 536)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및 녹 부화소영역(SPr, SPg) 중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을 모아서 배치하여 하나의 개구영역에 대응토록 하고, 가로방향(좌우)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부화소영역(SPr) 또는 녹 부화소영역(SPg)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적 및 녹 발광층(532, 534)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더구나, 적 및 녹 발광층(532, 534) 각각의 2 모서리를 제거함으로써, 적 및 녹 발광층(532, 534) 형성에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의 다수의 개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섀도우 마스크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510)에서, 적 및 녹 발광층(532, 534)은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적 및 녹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청 발광층 형성에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청 섀도우 마스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 발광층(532) 또는 녹 발광층(534) 형성에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560)는, 발광물질을 투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개구영역(562)과, 다수의 개구영역(562)을 둘러싸며 발광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영역(564)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적 발광층(532)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560)의 정렬위치와 녹 발광층(534) 형성을 위한 적녹 섀도우 마스크(560)의 정렬위치는 서로 상이하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기판(미도시)에 정렬될 수 있다.
다수의 개구영역(562) 각각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510)의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P)의 근접 배치된 2개의 적 발광층(5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제1폭(w1)과, 제3높이(h3)의 2배와 제2이격거리(d2)의 합에 대응되는 제4높이(h4)(h4 ~ 2*h3 + d2)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2개의 적 발광층(232)과 그 사이의 이격구간의 합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개구영역(562) 각각은, 모서리가 제거된 적 및 녹 발광층(532)에 대응되어 모서리가 제거된 사각형, 즉 변형된 팔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거된 부분의 한 변이 a인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는 약 3μm 이상인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적녹 섀도우 마스크(560)의 다수의 개구영역(562)은, 대각방향으로 청 발광층(536)의 제2폭(w2)과 제1거리(d1)의 2배의 합과 제1거리(d1)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5길이(L5)에서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a/21/2)의 2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증가된 제9길이(L9)(L9 ~ (((w2 + 2*d1)2 + d12)1/2 + 2*a/21/2)만큼 이격되고, 세로방향(수직방향)으로 적 또는 녹 발광층(332, 334)의 제3높이(h3)의 2배와 제1거리(d1)의 2배와 제2거리(d2)의 합에 대응되는 제6길이(L6)(L6 ~ 2*h3 + 2*d1 + d2)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개구영역(562) 각각의 제4높이(h4)는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의 다수의 개구영역(162, 262) 각각의 제1높이(h1)보다 큰 값이 되고, 다수의 개구영역(562) 사이의 세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6길이(L6)는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의 다수의 개구영역(162, 262) 사이의 세로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2길이(L2)(L2 ~ h1 + 2*d1) 보다 큰 값이 된다.
또한, 다수의 개구영역(562) 사이의 대각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9길이(L9)는 제3 및 제4실시예에서의 다수의 개구영역(362, 462) 사이의 대각방향으로의 이격거리인 제5길이(L5)(L5 ~ ((w2 + 2*d1)2 + d12)1/2 보다 큰 값이 된다.
따라서, 다수의 개구영역(562) 각각의 크기 및 다수의 개구영역(562)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510)의 해상도 증가에 좀 더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개구영역(562) 사이의 다양한 방향의 이격거리가 유사해지므로, 적녹 섀도우 마스크(560)의 차단영역(564)의 두께 편차가 감소되어 적녹 섀도우 마스크(560)의 변형을 방지하고 적녹 섀도우 마스크(560)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영역의 제1열에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을 교번 배치하고 제2열에 청 부화소영역을 배치함으로써, 해상도 및 개구율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상하)으로 인접한 화소영역의 적 및 녹 부화소영역 중 동일한 색의 부화소영역이 서로 근접하게 모이도록 배치(grouping)함으로써, 발광층 형성에 이용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고해상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SPr: 적 부화소영역
SPg: 녹 부화소영역 SPb: 청 부화소영역
132: 적 발광층 134: 녹 발광층
136: 청 발광층

Claims (9)

  1. 각각이, 가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열로 분할되고, 상기 제1열은 상기 가로방향에 수직인 세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행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열의 상기 제1 및 제2행에 교번 배치되는 적 및 녹 부화소영역과, 상기 제2열에 배치되는 청 부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적, 녹 및 청 발광층
    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가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서, 상기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 및 녹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는,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의 상기 적 발광층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영역과, 상기 다수의 개구영역을 둘러싸는 차단영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서, 상기 적 및 녹 부화소영역은 동일한 색끼리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 및 녹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적녹 섀도우 마스크는, 각각이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화소영역의 근접 배치된 2개의 상기 적 발광층에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영역과, 상기 다수의 개구영역을 둘러싸는 차단영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화소영역의 근접 배치된 2개의 상기 적 및 녹 발광층은 각각 바깥 4 모서리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 부화소영역은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청 발광층은 심청 및 연청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은 상기 세로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으로 교번 배치되고, 상기 심청 및 연청 발광층은 각각 상기 심청 및 연청 부화소영역에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심청 및 연청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청 섀도우 마스크는, 각각이 상기 심청 발광층에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영역과, 상기 다수의 개구영역을 둘러싸는 차단영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 각각과,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전극이 발광 다이오드를 이루고, 상기 적, 녹 및 청 발광층은 뱅크층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제1전극에 대응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00088059A 2010-09-08 2010-09-0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25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59A KR101257734B1 (ko) 2010-09-08 2010-09-0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E102011053276.5A DE102011053276B4 (de) 2010-09-08 2011-09-05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Anzeigevorrichtung
US13/227,271 US8593057B2 (en) 2010-09-08 2011-09-07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GB1115490.3A GB2483764B (en) 2010-09-08 2011-09-07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201110315742.XA CN102403334B (zh) 2010-09-08 2011-09-08 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
US14/060,438 US8786182B2 (en) 2010-09-08 2013-10-22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59A KR101257734B1 (ko) 2010-09-08 2010-09-0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128A Division KR101663743B1 (ko) 2013-03-29 2013-03-29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85A true KR20120025885A (ko) 2012-03-16
KR101257734B1 KR101257734B1 (ko) 2013-04-24

Family

ID=4559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59A KR101257734B1 (ko) 2010-09-08 2010-09-0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93057B2 (ko)
KR (1) KR101257734B1 (ko)
CN (1) CN102403334B (ko)
DE (1) DE102011053276B4 (ko)
GB (1) GB2483764B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936A (ko) * 2012-11-22 201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118010A (ko) * 2013-03-27 2014-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19253A (ko) * 2013-03-27 2014-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124095A (ko) * 2013-04-16 2014-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KR20150039708A (ko) * 2012-07-31 2015-04-13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전자 기기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50055264A (ko) * 2013-11-13 2015-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60296A (ko) * 2013-11-26 2015-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79252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
KR20160038912A (ko) * 2014-09-30 2016-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KR20160093776A (ko) * 2015-01-29 2016-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76191A (ko) * 2018-12-19 202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3471255A (zh) * 2014-11-26 2021-10-01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电气光学装置、电气设备、金属掩膜以及像素阵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34B1 (ko) * 2010-09-08 2013-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328979B1 (ko) * 2011-06-30 201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1306843B1 (ko) * 2012-02-24 2013-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10832616B2 (en) 2012-03-06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615332B1 (ko) 2012-03-06 2016-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
EP3780113A1 (en) * 2012-09-13 2021-02-17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900914B1 (ko) * 2012-09-18 2018-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82388A (ko) * 2012-10-30 2015-07-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발광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
KR101999560B1 (ko) * 2012-11-28 2019-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580832B2 (en) 2013-01-18 2020-03-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with extended lifetime
CN103123927B (zh) * 2013-01-24 2015-05-06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用于oled显示屏的像素结构及其金属掩膜板
KR101485166B1 (ko) * 2013-04-25 2015-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마스크 유닛
KR101427593B1 (ko) 2013-04-26 2014-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5105A (ko) * 2013-07-04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05264A (ko) * 2013-07-05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1507131A (zh) * 2013-08-05 2015-02-16 Ye Xin Technology Consulting Co Ltd 有機發光二極體顯示面板
US9262961B2 (en) * 2013-08-30 2016-02-16 Au Optronics Corporation Pixel arrangement of color display apparatus
KR102150080B1 (ko) * 2013-09-12 2020-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103205B2 (en) 2013-11-04 2018-10-16 Shenzhen Yunyinggu Technology Co., Ltd. Subpixel arrangements of displays and method for rendering the same
KR102184677B1 (ko) 2014-01-13 2020-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5146304A (ja) * 2014-02-04 2015-08-1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3872091A (zh) * 2014-03-18 2014-06-18 四川虹视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高解析度oled器件及制造用掩膜板
JP6369799B2 (ja) * 2014-04-23 2018-08-08 Tianma Japan株式会社 画素アレイ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気機器
US10115739B2 (en) 2014-05-07 2018-10-30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6594863B2 (ja) * 2014-05-23 2019-10-23 株式会社Joled 有機el表示パネル及び有機el表示装置
US10700134B2 (en) * 2014-05-27 2020-06-3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KR101991431B1 (ko) * 2014-06-03 2019-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마스크 유닛
KR102215092B1 (ko) * 2014-06-05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711958B2 (en) 2014-09-11 2023-07-2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4269411B (zh) * 2014-09-11 2018-07-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和显示装置
US11004905B2 (en) * 2014-09-11 2021-05-1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4409470B (zh) * 2014-10-31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单元及其制备方法、oled阵列基板及显示装置
JP6433266B2 (ja) * 2014-11-28 2018-1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4466007B (zh) * 2014-12-30 2017-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CN104465714B (zh) * 2014-12-30 2017-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KR102263603B1 (ko) * 2015-01-20 2021-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185352B (zh) * 2015-08-28 2018-10-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图像的边缘修饰方法和边缘修饰装置
CN107275359B (zh) * 2016-04-08 2021-08-13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CN107665905B (zh) * 2016-07-29 2021-07-06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466529B2 (en) * 2016-12-05 2019-1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80075958A (ko) * 2016-12-27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7059574B2 (ja) * 2017-02-01 2022-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6892576B2 (ja) * 2017-04-28 2021-06-23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
JP6329711B1 (ja) * 2017-07-05 2018-05-23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3678182A4 (en) * 2017-08-31 2020-09-02 Kunshan Go-Visionox Opto-Electronics Co., Ltd. PIXEL STRUCTURE, OL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9427850B (zh) 2017-08-31 2020-02-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像素结构及包含所述像素结构的显示面板
WO2019064564A1 (ja) * 2017-09-29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KR102460920B1 (ko) * 2017-12-21 2022-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의 형성방법
JP6872571B2 (ja) * 2018-02-20 2021-05-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502183B1 (ko) * 2018-04-10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JP7045951B2 (ja) * 2018-07-20 2022-04-0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TWI800538B (zh) * 2018-10-08 2023-05-0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
KR20200106589A (ko) 2019-03-04 2020-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1562689B2 (en) * 2019-03-25 2023-01-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10098243B (zh) 2019-05-22 2022-05-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141166B1 (ko) * 2019-06-14 2020-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마스크 유닛
KR20210016141A (ko) * 2019-07-31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US11557635B2 (en) * 2019-12-10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20210175299A1 (en) * 2019-12-10 2021-06-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11179763B (zh) * 2020-01-03 2021-06-2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像素结构和显示面板
KR20210099243A (ko) 2020-02-03 2021-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3996145B1 (en) 2020-08-17 2023-10-2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220096188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40196692A1 (en) * 2021-03-15 2024-06-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8819B2 (en) * 2000-06-19 2005-01-04 Lg Electronics Inc. Full color organic E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riving circuit thereof
US7755652B2 (en) * 2002-01-07 2010-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flat panel display sub-pixel rendering and driver configuration for sub-pixel arrangements with split sub-pixels
US7098060B2 (en) * 2002-09-06 2006-08-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s for producing full-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DE60335300D1 (de) * 2003-02-13 2011-01-20 Fujifilm Corp Anzeigevorr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7129634B2 (en) * 2004-04-07 2006-10-31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with added color gamut pixels
US7645478B2 (en) * 2005-03-31 2010-01-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making displays
JP2007018902A (ja) 2005-07-08 2007-01-25 Pentax Corp 多色発光表示装置
EP3176628B1 (en) * 2007-02-13 2019-09-11 Samsung Display Co., Ltd. Subpixel layouts and subpixel rendering methods for directional displays and systems
KR101476433B1 (ko) * 2007-07-03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30352B2 (en) * 2007-11-13 2012-12-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79994B1 (ko) * 2007-11-13 2015-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650495B2 (ja) * 2008-02-05 2011-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4623138B2 (ja) * 2008-05-21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499234B1 (ko) * 2008-06-27 2015-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섀도우 마스크
US9385167B2 (en) * 2008-10-01 2016-07-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KR101542398B1 (ko) * 2008-12-19 2015-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3486B1 (ko) 2009-01-29 2013-03-1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KR101533764B1 (ko) * 2009-05-01 2015-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US8330152B2 (en) * 2009-12-02 2012-12-1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with improved aperture ratio
CN101752407B (zh) * 2009-12-31 2011-03-30 四川虹视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器及其掩膜板和掩膜板对位方法
KR101182442B1 (ko) * 2010-01-27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129531A (ko) * 2010-05-26 2011-12-0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배열구조
DE102011053000B4 (de) * 2010-08-27 2017-08-17 Lg Display Co.,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KR101257734B1 (ko) * 2010-09-08 2013-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708A (ko) * 2012-07-31 2015-04-13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전자 기기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40065936A (ko) * 2012-11-22 201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546906B2 (en) 2013-03-27 2020-01-28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118010A (ko) * 2013-03-27 2014-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19253A (ko) * 2013-03-27 2014-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818921B2 (en) 2013-03-27 2023-11-1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74969B2 (en) 2013-03-27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23545B2 (en) 2013-03-27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124095A (ko) * 2013-04-16 2014-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KR20150055264A (ko) * 2013-11-13 2015-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10082145A (ko) * 2013-11-13 2021-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60296A (ko) * 2013-11-26 2015-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79252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
KR20160038912A (ko) * 2014-09-30 2016-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KR20230008684A (ko) * 2014-09-30 202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CN113471255A (zh) * 2014-11-26 2021-10-01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电气光学装置、电气设备、金属掩膜以及像素阵列
CN113471255B (zh) * 2014-11-26 2023-07-11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电气光学装置、电气设备、金属掩膜以及像素阵列
KR20160093776A (ko) * 2015-01-29 2016-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139351B2 (en) 2015-01-29 2021-10-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tilizing a spacer over a pixel defining layer
KR20200076191A (ko) * 2018-12-19 202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03334A (zh) 2012-04-04
GB2483764A8 (en) 2014-10-22
US8593057B2 (en) 2013-11-26
CN102403334B (zh) 2015-04-01
US20120056531A1 (en) 2012-03-08
US20140042418A1 (en) 2014-02-13
GB2483764A (en) 2012-03-21
GB201115490D0 (en) 2011-10-26
DE102011053276B4 (de) 2018-01-25
DE102011053276A1 (de) 2012-03-08
US8786182B2 (en) 2014-07-22
KR101257734B1 (ko) 2013-04-24
GB2483764B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73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686018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005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42491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KR10130684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40008322A (ko)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4933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7240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474001B1 (ko)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41510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쉐도우 마스크
KR20160129688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12673476A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05006479A (zh) 显示基板及应用其的显示装置
KR10166374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10098243A (zh)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10467841U (zh) 一种阵列基板及显示器
KR10121270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69171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9179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14053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060077898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0534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00386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3177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50104100A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