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253A -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253A
KR20140119253A KR1020130033068A KR20130033068A KR20140119253A KR 20140119253 A KR20140119253 A KR 20140119253A KR 1020130033068 A KR1020130033068 A KR 1020130033068A KR 20130033068 A KR20130033068 A KR 20130033068A KR 20140119253 A KR20140119253 A KR 2014011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reen
sub
blu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527B1 (ko
Inventor
고호영
강창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화소별로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각각이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행이 제1 및 제2 열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행의 제1 및 제2 열에 상기 적색 서브 화소 또는 상기 녹색 서브 화소가 교번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행에 상기 청색 서브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는 길이 방향이 행 방향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에서 다수의 화소들 각각은 애노드와, 캐소드와,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유기 박막 패턴으로 구성된 OLED를 포함한다. OLED에서 애노드와 캐소드를 제외한 유기 박막 패턴은 통상적으로 진공열증착방법을 이용해 형성한다. 여기서, 진공열증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유기 물질은 배출구를 갖는 증착원에 놓여지고, 증착원은 진공이 유지되는 챔버에서 가열되어 배출구를 통해 유기 물질을 증발시킨다. 그리고 배출구를 통해 방출된 유기 물질은 기판 상에 증착된다.
만약, 원하는 패턴을 갖는 유기 박막 패턴이 다수일 경우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쉐도우 마스크를 기판과 근접하여 위치시킨 후, 유기 물질을 쉐도우 마스크 통해 기판에 증착시킴으로써 다수의 패턴을 갖는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유기 박막 패턴의 유기 발광층은 적(R), 녹(G), 청(B)의 색을 발광하게 되는데, 서로 다른 색를 발광하는 각 유기 발광층의 형성시 일정간격 이격거리를 유지해야만 유기 발광층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쉐도잉 현상(shadowing effect)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색를 발하는 유기 발광층 간의 이격 영역은 발광되지 않는 영역으로 데드존(dead zone)이라 한다.
그런데,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데드존을 줄여야 하나, 데드존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발광부인 유기 발광층의 면적을 줄이고 있으나, 이 방법은 전체적인 개구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를 구현함과 동시에 개구율이 향상된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별로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각각이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행이 제1 및 제2 열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행의 제1 및 제2 열에 상기 적색 서브 화소 또는 상기 녹색 서브 화소가 교번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행에 상기 청색 서브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는 길이 방향이 행 방향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는 제1 폭과 제1 높이를 갖고, 상기 제1 폭이 상기 제1 높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색 서브 화소는 제2 폭과 제2 높이를 갖고, 상기 제2 폭이 상기 제2 높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색 서브 화소의 제2 폭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의 제1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서브 화소와 상기 녹색 서브 화소 간의 제1 간격은 상기 청색 서브 화소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간의 제2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박막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유기 박막 패턴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별로 상기 제1 전극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과, 공통 정공 수송층과, 적색 또는 녹색 또는 청색의 유기 발광층과, 전자 주입층을 구비하고,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는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 상에 서로 두께가 다른 적색 정공 수송층과, 녹색 정공 수송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청색의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적색 및 녹색의 유기 발광층 상의 전면에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색 서브 화소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간을 구획하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정의된 다수의 화소 영역 각각을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행을 제1 및 제2 열로 분할하여, 상기 제1 행의 제1 및 제2 열에 적색 서브 화소 영역 또는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을 교번되도록 정의하고, 상기 제2 행에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별로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은 길이 방향이 행 방향으로 동일하게 정의되고;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의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개구부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는 슬롯(slot) 방식의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서브 화소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간을 구획하는 뱅크 상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별로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전극을 포함한 상기 기판 전면에 정공 주입층과, 공통 정공 수송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의 공통 정공 수송층 상에 높이가 서로 다른 적색 정공 수송층 및 녹색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적색 정공 수송층 상에 적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녹색 정공 수송층 상에 녹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 상기 기판 전면에 청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유기 발광층 상에 전자 주입층과 제2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 방식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마진(margin)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1 간격(d1; 도 2 참조)을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2 간격(d2; 도 2 참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각 화소(P)의 가로 길이(H)를 줄일 수 있으며,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2 간격(d2)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1개의 화소(P)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스트라이프 방식으로 배열된 서브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쉐도우 마스크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유기 박막 패턴의 증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1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1개의 화소(P)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OLED 표시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P)를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P) 각각은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를 포함한다.
각 화소(P)는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되고, 제1 행은 제1 및 제2 열로 분할된다. 그리고 제1 행의 제1 및 제2 열에는 적색 서브 화소(SPr) 또는 녹색 서브 화소(SPg)가 교번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행에는 청색 서브 화소(SPb)가 배치된다. 이러한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는 길이 방향이 행 방향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는 제1 폭(w1)과 제1 높이(h1)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1 폭(w1)이 제1 높이(h1)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청색 서브 화소(SPb)는 제2 폭(w2)과 제2 높이(h2)를 갖는 사격형 형상을 가지며, 제2 폭(w2)이 제2 높이(h2)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청색 서브 화소(SPb)의 제2 폭(w2)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의 제1 폭(w1)보다 길게 설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 방식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마진(margin)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마진으로 인해 각 화소(P)의 가로 길이(H)를 줄일 수 있으며, 각 발광 영역의 개구율을 향상시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화소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는 제1 및 제2 전극과,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박막 패턴을 포함한다.
유기 박막 패턴은 제1 전극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HIL)과, 공통 정공 수송층(HTL)과, 유기 발광층(Red, Green, Blue)과, 전자 주입층(ETL)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Red, Green, Blue)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별로 형성되며, 적색 유기 발광층(Red)과, 녹색 유기 발광층(Green)과, 청색 유기 발광층(Blue)을 포함한다. 특히, 청색 서브 화소(SPb)의 청색 유기 발광층(Blue)은 기판 전면에 공통으로 적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의 유기 발광층(Red, Green)을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청색 서브 화소(SPb)의 유기 발광층(Blue)은 쉐도우 마스크 없이 공통층으로 형성한다.
쉐도우 마스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또는 녹색 서브 화소 영역(SPr, SPg)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수의 개구부(2a)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는 슬롯(slot) 방식의 마스크를 이용한다. 마스크에서 개구부(2a)를 제외한 영역은 차단부(2b)라고 정의되며, 차단부(2b)에는 립(rib)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슬롯 방식의 마스크는 슬릿(slit) 방식에 비해 립(rib)의 꼬임 불량이 적고, 립(rib)의 하단부를 좁게 형성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공정이 가능하다.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적색 및 녹색 유기 발광층의 증착 방법은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기 발광층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에서, 공통 정공 수송층(HTL) 상에 서로 두께가 다른 적색 정공 수송층(R’HTL)과, 녹색 정공 수송층(G’HTL)을 더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별로 두께를 달리 형성하는 것은 각 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특성에 따라 발광 효율이 차이가 있으므로, 광학거리를 조절하여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효과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도 6은 유기 박막 패턴의 증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결부하여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별로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 상에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뱅크를 형성한다.
이어서, 제1 전극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정공 주입층(HIL)과, 공통 정공 수송층(HTL)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롯 방식의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의 공통 정공 수송층(HTL) 상에 높이가 서로 다른 적색 및 녹색 정공 수송층(R’HTL, G’HTL)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적색 정공 수송층(R’HTL) 상에 적색 유기 발광층(Red)을 형성하고, 녹색 정공 수송층(G’HTL) 상에 녹색 유기 발광층(Green)을 형성한다.
이어서, 적색 및 녹색 유기 발광층(Red, Green)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청색 유기 발광층(Blue)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2 전극을 형성한다. 참고로, 청색 유기 발광층(Blue)은 기판 전면에 도포됨으로써 영상이 푸르스름(bluish)해질 수 있으나, 영상이 푸르스름해지는 현상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색 좌표 보정과 감마 보정 등을 수행함으로써 방지된다. 또한, 청색 유기 발광층(Blue)에 포함된 발광 호스트는 전자 수송층(ETL)의 호스트와 동일 물질로 형성되므로, 청색 유기 발광층(Blue)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에서 전자 수송층(ETL)의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쉐도우 현상은 쉐도우 마스크의 립(rib)의 테이퍼 각도(taper angle; θ)와, 증착원(4)으로부터 유기 물질이 방출되는 증착 각도(β)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증착 각도(θ)가 작아지면, 쉐도우 마스크의 립(rib)에 의해 마스킹되는 쉐도우 영역은 넓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착원(4)에 각도 제한판(6)을 형성하여 증착 각도(θ)를 립(rib)의 테이퍼 각도(θ)보다 크도록 한다. 각도 제한판(6)은 길이 방향이 유기 박막 패턴의 형성시 기판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평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증착원(4)의 증착 각도를 크게한다. 여기서, 기판이 이동하는 방향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의 길이 방향이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1 간격(d1; 도 2 참조)을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2 간격(d2; 도 2 참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각 화소(P)의 가로 길이(H)를 더욱 줄일 수 있으며, 각 발광 영역의 개구율을 향상시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10)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스페이서(10)를 더 구비하여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2 간격(d2; 도 2 참조)을 보다 작게 형성하고, 각 화소(P)의 세로 길이를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기판(12) 상에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를 구획하는 뱅크(14)를 형성한 다음,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을 구획하는 뱅크(14) 상에 스페이서(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스페이서(10)는 뱅크(14)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SPr, SPg, SPb)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쉐도우를 차단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2 간격(d2)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 방식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마진(margin)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1 간격(d1; 도 2 참조)을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2 간격(d2; 도 2 참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각 화소(P)의 가로 길이(H)를 줄일 수 있으며,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청색 서브 화소(SPb)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간의 제2 간격(d2)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를 행 방향을 따라 3 분할하는 종래의 스트라이프(stripe) 방식의 경우, 구현 가능한 최대 PPI(pixel per inch)가 300 PPI 미만인 반면, 본 발명은 구현 가능한 최대 PPI가 400 PPI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적용시 동일 PPI에서 개구율이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w1: 제1 폭 h1: 제1 높이
w2: 제2 폭 h2: 제2 높이
d1: 제1 간격 d2: 제2 간격

Claims (10)

  1. 다수의 화소별로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각각이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행이 제1 및 제2 열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행의 제1 및 제2 열에 상기 적색 서브 화소 또는 상기 녹색 서브 화소가 교번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행에 상기 청색 서브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는 길이 방향이 행 방향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는 제1 폭과 제1 높이를 갖고, 상기 제1 폭이 상기 제1 높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청색 서브 화소는 제2 폭과 제2 높이를 갖고, 상기 제2 폭이 상기 제2 높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청색 서브 화소의 제2 폭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의 제1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 서브 화소와 상기 녹색 서브 화소 간의 제1 간격은 상기 청색 서브 화소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간의 제2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박막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유기 박막 패턴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별로 상기 제1 전극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과, 공통 정공 수송층과, 적색 또는 녹색 또는 청색의 유기 발광층과, 전자 주입층을 구비하고,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는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 상에 서로 두께가 다른 적색 정공 수송층과, 녹색 정공 수송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청색의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적색 및 녹색의 유기 발광층 상의 전면에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색 서브 화소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간을 구획하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8. 기판 상에 정의된 다수의 화소 영역 각각을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행을 제1 및 제2 열로 분할하여, 상기 제1 행의 제1 및 제2 열에 적색 서브 화소 영역 또는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을 교번되도록 정의하고, 상기 제2 행에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별로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은 길이 방향이 행 방향으로 동일하게 정의되고;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의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개구부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는 슬롯(slot) 방식의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서브 화소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간을 구획하는 뱅크 상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영역별로 유기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전극을 포함한 상기 기판 전면에 정공 주입층과, 공통 정공 수송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의 공통 정공 수송층 상에 높이가 서로 다른 적색 정공 수송층 및 녹색 정공 수송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적색 정공 수송층 상에 적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녹색 정공 수송층 상에 녹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색 및 녹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 상기 기판 전면에 청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유기 발광층 상에 전자 주입층과 제2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033068A 2013-03-27 2013-03-27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4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068A KR102042527B1 (ko) 2013-03-27 2013-03-27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068A KR102042527B1 (ko) 2013-03-27 2013-03-27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253A true KR20140119253A (ko) 2014-10-10
KR102042527B1 KR102042527B1 (ko) 2019-11-11

Family

ID=5199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068A KR102042527B1 (ko) 2013-03-27 2013-03-27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79A1 (ko) * 2014-12-10 2016-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60089940A (ko) * 2015-01-20 2016-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671754A (zh) * 2018-12-14 2019-04-2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US10879324B2 (en) 2018-05-31 2020-12-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ixel electrodes and organic layers having different thickness on the pixel electrod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038A (ko) 2020-02-12 2021-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81A (ko) * 2008-08-14 2010-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25885A (ko) * 2010-09-08 2012-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30007307A (ko) * 2011-06-30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81A (ko) * 2008-08-14 2010-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25885A (ko) * 2010-09-08 2012-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30007307A (ko) * 2011-06-30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79A1 (ko) * 2014-12-10 2016-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290683B2 (en) 2014-12-10 2019-05-1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60089940A (ko) * 2015-01-20 2016-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879324B2 (en) 2018-05-31 2020-12-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ixel electrodes and organic layers having different thickness on the pixel electrodes
US11515374B2 (en) 2018-05-31 2022-1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each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yer and having an island shape
US11910656B2 (en) 2018-05-31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each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yer
CN109671754A (zh) * 2018-12-14 2019-04-2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27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4973B2 (en) OL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10790339B2 (en) OLED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239282B2 (en) Pixe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US1038141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193186B1 (ko)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10934B (zh) 像素结构及其形成方法、oled显示面板以及蒸镀掩膜版
US7934968B2 (en) Method of fabricating pixel structure
KR101065314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925566B2 (ja) シャドーマスク
WO2017185769A1 (zh) 像素阵列及其制造方法和有机发光二极管阵列基板
JP2018110118A (ja) 電界発光表示装置
WO2015192479A1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掩膜板
WO2017118003A1 (zh) Oled像素阵列、制备oled像素阵列的方法、oled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201920723A (zh) 掩膜板及蒸鍍裝置
KR102042527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77718A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WO2016127560A1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0177203B2 (en) Pix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WO2017016201A1 (zh) 掩膜板组及制造电致发光层的方法、显示面板及驱动方法
US20160254326A1 (en) Oled display substrate, oled display device, and mask
KR102028989B1 (ko) Oled 표시 장치
US926975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101097305B1 (ko) 더미 슬릿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고정세 증착 마스크, 상기 고정세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발광 소자
WO2019062278A1 (zh) 像素排列结构、像素结构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和显示面板
WO2020140781A1 (zh) 像素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