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940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940A
KR20160089940A KR1020150009416A KR20150009416A KR20160089940A KR 20160089940 A KR20160089940 A KR 20160089940A KR 1020150009416 A KR1020150009416 A KR 1020150009416A KR 20150009416 A KR20150009416 A KR 20150009416A KR 20160089940 A KR20160089940 A KR 20160089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ed
blue
green
pix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603B1 (ko
Inventor
최진우
임재익
최해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03B1/ko
Priority to US14/922,613 priority patent/US9601720B2/en
Publication of KR2016008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01L27/322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층, 상기 스위칭 소자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노출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차광 부재,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를 각각 채우고 있는 복수개의 색필터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 중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도트 개구부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 중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도트 개구부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인 캐소드(cathode)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인 애노드(anode)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해 편광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출광 효율이 낮아지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손상되는 문제가 있어서, 외광 반사를 줄이면서 출광 효율을 높이고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도록 차광 부재와 색필터를 이용하는 폴리스(Polless) 구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폴리스 구조는 차광 부재의 개구부의 폭이 좁을수록 차광 부재에 의한 광 포획 효과(light trapping effect)가 증가하게 되어 외광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차광 부재의 개구부의 폭이 좁아질 경우, 특정 방향에서의 측면 휘도가 저하되므로 시야각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층, 상기 스위칭 소자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노출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차광 부재,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를 각각 채우고 있는 복수개의 색필터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 중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도트 개구부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 중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도트 개구부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색필터는 상기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적색 색필터, 제1 녹색 색필터 및 제1 청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제1 도트 색필터, 상기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적색 색필터, 제2 녹색 색필터 및 제2 청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제2 도트 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차광 부재의 가장자리부를 덮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는 각각 상기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과 직교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와 상기 제2 도트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의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는 상기 중심선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도트 개구부의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는 상기 중심선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와 상기 제2 도트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의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와 상기 제2 도트 개구부의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스위칭 소자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상기 복수개의 화소 전극 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기 발광층,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복수개의 화소 전극의 연결부는 적색 화소 전극의 적색 연결부, 녹색 화소 전극의 녹색 연결부, 청색 화소 전극의 청색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색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적색 개구부 및 제2 적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적색 화소 전극 및 제2 적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녹색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2 녹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녹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청색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청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청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 및 제2 적색 화소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적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녹색 화소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녹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청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청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수평선 또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의 제1 적색 연결부, 상기 제1 녹색 화소 전극의 제1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1 청색 화소 전극의 제1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가상의 수평선은 상기 제2 적색 화소 전극의 제2 적색 연결부, 상기 제2 녹색 화소 전극의 제2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2 청색 화소 전극의 제2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가상의 수직선과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적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녹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청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사선 상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사선은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의 제1 적색 연결부, 상기 제1 녹색 화소 전극의 제1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1 청색 화소 전극의 제1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사선, 상기 제2 적색 화소 전극의 제2 적색 연결부, 상기 제2 녹색 화소 전극의 제2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2 청색 화소 전극의 제2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2 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선과 상기 제2 사선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적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녹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청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도트 전극, 상기 제 제2 적색 화소 전극, 제2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도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트 전극은 상기 제2 도트 전극과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적색 화소 전극, 제2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은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과 상기 편광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산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도트 개구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도트 개구부를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그림자 영역(B)을 고르게 분산시켜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동일한 측면 휘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방향의 시야각 저하를 제거하여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 아래에 산란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직으로 입사된 외광도 최대한 차단하여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고 대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직교하는 제1 도트 개구부와 제2 도트 개구부를 교대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사선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모든 스위칭 소자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를 밀집하여 형성하기 용이하므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가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세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가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세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1개의 커패시터(capacitor)를 구비하는 2 트랜지스터 1 커패시터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개의 트랜지스터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거나 기존의 배선이 생략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신호선(121, 171, 172), 복수개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신호선(121, 171, 172)은 스캔 신호(Sn)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스캔선(121), 스캔선(121)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선(171), 그리고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스캔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과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는 복수개의 신호선(121, 171, 17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1, T2)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T1),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T2)을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캔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선(121)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Sn)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Dm)를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구동 전류(Id)를 흘린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turn 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EL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구동 전류(I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2)는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또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연결 관계는 바뀔 수 있다.
그러면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도 3 및 도 4를 도 1과 함께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기판(110) 위에는 복수개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복수개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122)를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층(120)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122)를 덮어 절연하는 복수층의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층(120) 위에는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는 각각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122)와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는 스위칭 소자층(12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131), 복수개의 화소 전극(131) 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기 발광층(132), 복수개의 유기 발광층(132)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133)을 포함한다. 전면 발광 구조이므로 화소 전극(131)은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따위의 반사도가 높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공통 전극(133)은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따위의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층(132)은 실제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층 이외에 정공 또는 전자의 캐리어를 발광층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기층들(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유기층들은 화소 전극(131)과 유기 발광층(132)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 공통 전극(133)과 유기 발광층(132)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화소 전극(131)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도트 전극(311)과 제2 도트 전극(312)을 포함한다. 제1 도트 전극(311)은 제1 적색 화소(R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적색 화소 전극(311R), 제1 녹색 화소(G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녹색 화소 전극(311G), 그리고 제1 청색 화소(B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청색 화소 전극(311B)을 포함하고, 제2 도트 전극(312)은 제2 적색 화소(R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적색 화소 전극(312R), 제2 녹색 화소(G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녹색 화소 전극(312G), 그리고 제2 청색 화소(B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청색 화소 전극(312B)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적색 화소 전극(311R), 제1 녹색 화소 전극(311G)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311B)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적색 화소 전극(312R), 제2 녹색 화소 전극(312G)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312B)은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122)는 제1 적색 화소 전극(311R) 및 제2 적색 화소 전극(312R)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적색 스위칭 소자(211R)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212R), 제1 녹색 화소 전극(311G) 및 제2 녹색 화소 전극(312G)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녹색 스위칭 소자(211G)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212G), 제1 청색 화소 전극(311B)및 제2 청색 화소 전극(312B)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청색 스위칭 소자(211B)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212B)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화소 전극(131)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122)와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31R, 31G, 31B, 32R, 32G, 32B)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소 전극(131)의 연결부(31R, 31G, 31B, 32R, 32G, 32B)는 스위칭 소자층(120)에 형성된 접촉 구멍(120a)을 통해 스위칭 소자(122)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31R, 31G, 31B, 32R, 32G, 32B)는 적색 화소 전극(311R, 312R)의 적색 연결부(31R, 32R), 녹색 화소 전극(311G, 312G)의 녹색 연결부(31G, 32G), 청색 화소 전극(311B, 312B)의 청색 연결부(31B, 32B)를 포함한다. 적색 연결부(31R, 32R), 녹색 연결부(31G, 32G) 및 청색 연결부(31B, 32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수평선(L1) 또는 수직선(L2)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적색 화소 전극(311R)의 제1 적색 연결부(31R), 제1 녹색 화소 전극(311G)의 제1 녹색 연결부(31G)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311B)의 제1 청색 연결부(31B)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L1) 상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적색 화소 전극(312R)의 제2 적색 연결부(32R), 제2 녹색 화소 전극(312G)의 제2 녹색 연결부(32G)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312B)의 제2 청색 연결부(32B)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L2)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가상의 수평선(L1)과 가상의 수직선(L2)은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고 있다.
이 때, 제1 적색 스위칭 소자(211R), 제1 녹색 스위칭 소자(211G) 및 제1 청색 스위칭 소자(211B)는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제2 적색 스위칭 소자(212R), 제2 녹색 스위칭 소자(212G)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212B)는 제2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적색 스위칭 소자(211R)와 제2 적색 스위칭 소자(212R)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며, 제1 녹색 스위칭 소자(211G)와 제2 녹색 스위칭 소자(212G)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며, 제1 청색 스위칭 소자(211B)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212B)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게 된다.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 위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를 외부의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밀봉층(210)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층(210)은 유리 또는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박막 봉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층(210) 위에는 입사한 외광을 산란시키는 산란층(220)이 형성되어 있고, 산란층(220) 위에는 외광 반사를 제거하기 위한 편광층(230)이 형성되어 있다. 산란층(220)은 렌즈 형상을 가지거나 산란 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편광층(230)은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를 각각 노출하는 복수개의 개구부(241)를 가지는 차광 부재(240), 복수개의 개구부를 각각 채우고 있는 복수개의 색필터(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편광층(230)은 외광(1)이 색필터(250)에서 반사되는 경우 색필터(250) 자체의 색상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은 반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에서 발광한 색상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은 색필터(250)를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공진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진 구조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와 색필터(250) 사이의 공진 간격(h)을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진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기재된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진 박막 등을 형성하여 구현하는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산란층(220)은 외부에서 색필터(250)로 입사한 외광(2)을 굴절시켜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에서 반사시키므로 외광은 차광 부재(240)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외광은 차광 부재(240)에 의해 차단되므로 외부로 반사되지 않는다. 산란층(220)은 수직으로 색필터(250)에 입사하는 외광도 차광 부재(240)에서 차단되도록 굴절시키므로 외광 반사율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대조비(Contrast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다.
차광 부재(24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개구부(241)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를 포함한다. 제1 도트 개구부(411)는 제1 방향(y)으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를 포함하고,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제2 도트 개구부(412)는 제1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를 포함하고,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에 각각 대응하여 아래에 제1 적색 화소 전극(311R), 제1 녹색 화소 전극(311G)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311B)이 배치되어 있고,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에 각각 대응하여 아래에 제2 적색 화소 전극(312R), 제2 녹색 화소 전극(312G)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312B)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는 각각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와 직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1 도트 개구부(411)의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는 각각 중심선(CL)과 평행하고, 제2 도트 개구부(412)의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는 중심선(CL)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색필터(250)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도트 색필터(510)와 제2 도트 색필터(520)를 포함한다. 제1 도트 색필터(510)는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는 제1 적색 색필터(510R), 제1 녹색 색필터(520G) 및 제1 청색 색필터(520B)를 포함한다. 제2 도트 색필터(520)는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는 제2 적색 색필터(520R), 제2 녹색 색필터(520G) 및 제2 청색 색필터(520B)를 포함한다.
색필터(250)는 차광 부재(240)의 개구부(241)에 인접한 가장자리부(240a)를 덮고 있으므로, 차광 부재(240)의 가장자리부(240a)는 색필터(250)와 중첩하고 있다. 따라서, 개구부(241)의 폭(d)이 좁은 경우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에서 발광한 빛이 일부 차단되는 그림자 영역(B)이 차광 부재(240)의 가장자리부(240a)에 발생하므로 그림자 영역(B)이 발생한 방향의 측면 휘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그림자 영역(B)이 발생한 방향의 시야각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1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된 제2 도트 개구부(412)를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그림자 영역(B)을 고르게 분산시켜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측면 휘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방향의 시야각 저하를 제거하여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가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세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가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세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가 모두 제1 방향(y)인 세로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가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는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나, 세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는 시야각이 증가하여도 측면 휘도비의 감소폭이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세로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를 가지는 차광 부재(240)는 세로 방향(y)으로 길게 그림자 영역(B)이 형성되므로 시야각이 증가할 수록 측면 휘도가 크게 감소하나, 차광 부재(240)에 제2 방향(y)인 가로 방향(x)으로 그림자 영역(B)은 짧게 형성되므로 시야각이 증가하여도 측면 휘도는 많이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가 각각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그림자 영역(B)을 고르게 분산시켜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동일한 측면 휘도를 가지게 하므로, 가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와 세로 방향 시야각에 따른 측면 휘도비 모두 시야각이 증가하여 측면 휘도비의 감소폭이 작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도트 개구부와 제2 도트 개구부는 중심선과 평행하거나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으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도트 개구부와 제2 도트 개구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도트 개구부와 제2 도트 개구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는 각각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와 직교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1 도트 개구부(411)의 제1 적색 개구부(411R), 제1 녹색 개구부(411G) 및 제1 청색 개구부(411B)는 중신선(CL)과 제1 경사각(θ1)을 가지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제2 도트 개구부(412)의 제2 적색 개구부(412R), 제2 녹색 개구부(412G) 및 제2 청색 개구부(412B)는 중심선과 제2 경사각(θ2)을 가지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2)은 중심선(CL)으로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를 서로 마주보며 경사지게 배치하는 경우에도 차광 부재(240)의 가장자리부(240a)에 발생하는 그림자 영역(B)을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측면 휘도를 가지게 할 수 있어 특정 방향의 시야각 저하를 제거하여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수평선 또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으나,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사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사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연결부(31R, 32R), 녹색 연결부(31G, 32G) 및 청색 연결부(31B, 32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사선(L3, L4)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가상의 사선(L3, L4)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가상의 제1 사선(L3)과 가상의 제2 사선(L4)을 포함한다. 가상의 제1 사선(L3)은 제1 적색 화소 전극(311R)의 제1 적색 연결부(31R), 제1 녹색 화소 전극(311G)의 제1 녹색 연결부(31G)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311B)의 제1 청색 연결부(31B)를 서로 연결하며, 가상의 제2 사선(L4)은 제2 적색 화소 전극(312R)의 제2 적색 연결부(32R), 제2 녹색 화소 전극(312G)의 제2 녹색 연결부(32G)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312B)의 제2 청색 연결부(32B)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 때, 제1 적색 스위칭 소자(211R)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212R)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녹색 스위칭 소자(211G)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212G)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청색 스위칭 소자(211B)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212B)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제1 도트 개구부(411)와 제2 도트 개구부(412)를 교대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적색 연결부(31R, 32R), 녹색 연결부(31G, 32G) 및 청색 연결부(31B, 32B)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사선(L3, L4)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모든 스위칭 소자(211R, 211G, 211B, 212R, 212G, 212B)를 동일한 제1 방향(y)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를 밀집하여 형성하기 용이하므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기판 120: 스위칭 소자층
121: 스위칭 소자 130: 유기 발광 다이오드
131: 화소 전극 210: 밀봉층
220: 산란층 230: 편광층
240: 차광 부재 241: 개구부
250: 색필터 311: 제1 도트 전극
312: 제2 도트 전극 411: 제1 도트 개구부
412: 제2 도트 개구부 510: 제1 도트 색필터
520: 제2 도트 색필터

Claims (16)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층,
    상기 스위칭 소자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노출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차광 부재,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를 각각 채우고 있는 복수개의 색필터를 포함하는 편광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 중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도트 개구부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 중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도트 개구부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색필터는 상기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적색 색필터, 제1 녹색 색필터 및 제1 청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제1 도트 색필터, 상기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적색 색필터, 제2 녹색 색필터 및 제2 청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제2 도트 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차광 부재의 가장자리부를 덮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는 각각 상기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과 직교하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와 상기 제2 도트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의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는 상기 중심선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도트 개구부의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는 상기 중심선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와 상기 제2 도트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도트 개구부의 제1 적색 개구부,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1 청색 개구부와 상기 제2 도트 개구부의 제2 적색 개구부, 제2 녹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스위칭 소자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상기 복수개의 화소 전극 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기 발광층,
    상기 복수개의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복수개의 화소 전극의 연결부는 적색 화소 전극의 적색 연결부, 녹색 화소 전극의 녹색 연결부, 청색 화소 전극의 청색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적색 개구부 및 제2 적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적색 화소 전극 및 제2 적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녹색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녹색 개구부 및 제2 녹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녹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청색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청색 개구부 및 제2 청색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청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 및 제2 적색 화소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적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녹색 화소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녹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청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청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수평선 또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의 제1 적색 연결부, 상기 제1 녹색 화소 전극의 제1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1 청색 화소 전극의 제1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가상의 수평선은 상기 제2 적색 화소 전극의 제2 적색 연결부, 상기 제2 녹색 화소 전극의 제2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2 청색 화소 전극의 제2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가상의 수직선과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녹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청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연결부, 녹색 연결부 및 청색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사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사선은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의 제1 적색 연결부, 상기 제1 녹색 화소 전극의 제1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1 청색 화소 전극의 제1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사선,
    상기 제2 적색 화소 전극의 제2 적색 연결부, 상기 제2 녹색 화소 전극의 제2 녹색 연결부 및 상기 제2 청색 화소 전극의 제2 청색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2 사선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선과 상기 제2 사선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적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녹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녹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청색 스위칭 소자 및 제2 청색 스위칭 소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도트 전극, 상기 제 제2 적색 화소 전극, 제2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도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트 전극은 상기 제2 도트 전극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화소 전극, 제1 녹색 화소 전극 및 제1 청색 화소 전극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적색 화소 전극, 제2 녹색 화소 전극 및 제2 청색 화소 전극은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과 상기 편광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산란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009416A 2015-01-20 2015-0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6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416A KR102263603B1 (ko) 2015-01-20 2015-0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922,613 US9601720B2 (en) 2015-01-20 2015-10-26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416A KR102263603B1 (ko) 2015-01-20 2015-0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40A true KR20160089940A (ko) 2016-07-29
KR102263603B1 KR102263603B1 (ko) 2021-06-10

Family

ID=5640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416A KR102263603B1 (ko) 2015-01-20 2015-0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1720B2 (ko)
KR (1) KR102263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0961B2 (en) 2020-04-16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flat plate-shaped pixel electrode for improving contra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0162B2 (en) 2013-12-26 2017-04-04 Valtech Cardio, Ltd. Implantation of flexible implant
KR102365036B1 (ko) * 2015-02-16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62896B1 (ko) * 2016-03-18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038149B2 (en) 2018-11-13 2021-06-15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having light-absorbing photoresist layer
CN109638036B (zh) * 2018-11-13 2021-04-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移动设备
CN110120188A (zh) * 2019-03-31 2019-08-13 深圳市亮彩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适应任意角度显示的led显示屏像素排列方式
KR20220034987A (ko) 2020-09-11 2022-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9225A1 (en) * 2008-01-04 2009-09-03 Nanolumens Acquisition, Inc. Flexible display
US20120056531A1 (en) * 2010-09-08 2012-03-08 Park Jong-Hyu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30097510A (ko) * 2012-02-24 2013-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119253A (ko) * 2013-03-27 2014-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0689B2 (ja) 2007-08-30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787978B1 (ko) 2011-04-29 2017-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2012237882A (ja) 2011-05-12 2012-12-06 Japan Display East Co Ltd 表示装置
WO2013008835A1 (ja) * 2011-07-12 2013-0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発光層形成用材料、有機発光素子形成用塗液、有機発光素子及び光源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982074B1 (ko) 2012-10-08 2019-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04888B2 (en) * 2014-01-08 2017-07-11 Apple Inc. Display circuitry with reduced metal routing resistance
JP6223210B2 (ja) * 2014-01-30 2017-11-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9225A1 (en) * 2008-01-04 2009-09-03 Nanolumens Acquisition, Inc. Flexible display
US20120056531A1 (en) * 2010-09-08 2012-03-08 Park Jong-Hyu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30097510A (ko) * 2012-02-24 2013-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119253A (ko) * 2013-03-27 2014-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0961B2 (en) 2020-04-16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flat plate-shaped pixel electrode for improving contra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1487A1 (en) 2016-07-21
US9601720B2 (en) 2017-03-21
KR102263603B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60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216413B (zh) Oled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967326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ith an upper electrode in contact with a lower electrode
US20210335939A1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display panel
US11864425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large size and high definition
KR101994816B1 (ko) 투명 유기발광소자
US107491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KR10205399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2741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4332B1 (ko) 유기발광소자
KR10208013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4217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4436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4575A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111488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74684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0009A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24303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06807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5128310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639662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60013443A (ko) 칼라 필터를 구비한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209883A1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70544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20384547A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