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410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410B1
KR102127410B1 KR1020130120692A KR20130120692A KR102127410B1 KR 102127410 B1 KR102127410 B1 KR 102127410B1 KR 1020130120692 A KR1020130120692 A KR 1020130120692A KR 20130120692 A KR20130120692 A KR 20130120692A KR 102127410 B1 KR102127410 B1 KR 10212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light emitting
pixels
diagonal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009A (ko
Inventor
이상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410B1/ko
Priority to US14/256,190 priority patent/US9406723B2/en
Publication of KR2015004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소 배열 구조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가상의 단위 영역을 기준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화소, 제2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화소, 그리고 제3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영역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대략 평행한 복수의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이고,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제1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1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소 배열 구조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는 자체 발광형으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으므로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 시야각 및 대비비(contrast ratio)도 우수하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화소, 청색 화소, 녹색 화소 및 백색 화소 등의 복수의 화소(pixel)를 포함하며, 이들 화소를 조합하여 풀 컬러(full color)를 표현할 수 있다. 화소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어도 한 기본색의 화소들은 행 또는 열 방향으로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두 개의 전극으로서 애노드와 캐소드 및 그 사이의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과 같은 삼원색 또는 다른 여러 가지 색의 빛을 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은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 등의 섀도 마스크를 사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파인 메탈 마스크는 형성하고자 하는 유기 발광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양 및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유기 발광 물질을 증착함으로써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층을 한 번에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한 기본색의 화소들이 행 또는 열 방향의 스트라이트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 화소 간의 갭이 짧아 파인 메탈 마스크의 개구부가 길고 좁아져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증착 신뢰도 향상을 위해 화소 간의 갭을 멀게 형성할 경우 화소의 개구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표현 능력이 저하되고 표시 패널의 사이즈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소 배열을 최적화하여 화소 간의 충분한 갭을 확보하며 파인 메탈 마스크를 사용한 제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화소의 개구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고해상도화 및 표시 패널 사이즈를 확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가상의 단위 영역을 기준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화소, 제2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화소, 그리고 제3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영역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대략 평행한 복수의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이고,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제1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1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다.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긴 다각형일 수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대각선 중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2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제2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화소는 상기 제2 대각선 방향으로 긴 다각형일 수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제1화소와 동일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3 꼭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긴 다각형일 수 있다.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화소의 기울어진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변을 가지는 정다각형일 수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3화소는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 사이의 거리, 두 개의 상기 제2화소 사이의 거리, 두 개의 상기 제3화소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는 대략 10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단위 영역에 상기 제1화소 및 상기 제2화소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화소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화소는 녹색 화소일 수 있다.
상기 제3화소의 길이는 상기 제1화소 또는 상기 제2화소의 길이의 대략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절연 기판 위에 제1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화소의 화소 전극, 제2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화소의 화소 전극, 그리고 제3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화소의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제1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1 발광층을 증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발광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인 메탈 마스크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에 대응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화소, 상기 제2화소, 그리고 상기 제3화소는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가상의 단위 영역을 기준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단위 영역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대략 평행한 복수의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이고,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제1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1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제2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2 발광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인 메탈 마스크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대각선 중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2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제2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제3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3 발광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파인 메탈 마스크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제3화소에 대응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화소와 동일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3 꼭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소 배열을 최적화함으로써 화소 간의 충분한 갭을 확보하여 파인 메탈 마스크를 사용한 제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화소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고해상도화 및 표시 패널 사이즈를 확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가상의 단위 영역에 대한 화소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층의 적층을 위한 파인 메탈 마스크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화소(PX)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그 영역을 의미하기도 한다. 화소(PX)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과 같은 삼원색 또는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기본색(primary color)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색의 예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들겠으나, 기본색의 종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기본색을 나타내는 화소(PX)는 기본색과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또는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신호선(scanning signal line)(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ata line)(171),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driving voltage line)(172) 등을 포함한다. 주사 신호선(121)은 대략 행 방향(D1)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은 대략 열 방향(D2)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D2)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행 방향(D1) 또는 열 방향(D2)으로 뻗거나 그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Qs),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Qd),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L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control terminal), 입력 단자(input terminal) 및 출력 단자(output terminal)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주사 신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주사 신호선(121)으로부터 받은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L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를 흘린다.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턴 오프(turn-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와 공통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이들 색의 공간적인 합으로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 및 구동 트랜지스터(Qd)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이지만,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s, Qd), 축전기(Cst) 및 유기 발광 소자(L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도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의 한 예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한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는 절연 기판(110) 위에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Qd)가 위치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절연 기판(110) 위에는 복수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및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더 위치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 위에는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보호막(180)이 위치한다. 보호막(180은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를 드러내는 접촉 구멍(185)을 포함한다.
보호막(180) 위에는 접촉 구멍(185)을 통해 각 화소(R, G, B)의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복수의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 및 보호막(180) 위에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격벽이라고도 함)(36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는 화소 정의막(360)의 개구부는 각 화소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60)은 생략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360) 및 화소 전극(191) 위에는 발광 부재가 위치한다. 발광 부재는 차례대로 적층된 하부 유기 공통층(371), 복수의 발광층(373R, 373G, 373B), 그리고 상부 유기 공통층(37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유기 공통층(371)은 예를 들어 차례대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유기 공통층(371)은 화소(PX)가 위치하는 표시 영역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각 화소(PX)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층(373R, 373G, 373B)은 각각 대응하는 화소(PX)의 화소 전극(191)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373R, 373G, 373B)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기본색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 유기 공통층(375)은 예를 들어 차례대로 적층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기 공통층(375)은 화소(PX)가 배치되어 있는 표시 영역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각 화소(PX)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및 상부 유기 공통층(371, 375)은 발광층(373R, 373G, 373B)의 발광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및 상부 유기 공통층(371, 375)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발광 부재 위에는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 중 어느 하나는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반투과성 또는 반사성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X)의 화소 전극(191), 발광 부재 및 공통 전극(270)은 유기 발광 소자(LD)를 이루며,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 중 하나가 캐소드(cathode)가 되고 나머지 하나가 애노드가 된다.
공통 전극(270) 위에는 발광 부재 및 공통 전극(270)을 밀봉(encapsulation)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봉층(encapsulation layer)(도시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PX) 배열 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가상의 단위 영역에 대한 화소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PX)가 나타내는 기본색은 서로 다른 제1색, 제2색 및 제3색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색, 제2색 및 제3색의 예로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적색(R)을 나타내는 화소는 적색 화소(R), 녹색(G)을 나타내는 화소는 녹색 화소(G), 청색(B)을 나타내는 화소는 청색 화소(B)라 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은 가상의 복수의 단위 영역(UA)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 영역(UA)은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각 단위 영역(UA)은 행 방향(D1) 및 열 방향(D2)으로 뻗는 변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단위 영역(UA)이 대략 정사각형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각 단위 영역(UA)의 대각선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대각선 방향(D3)과 제2 대각선 방향(D4)을 포함한다. 정사각형의 단위 영역(UA)의 경우 제1 및 제2 대각선 방향(D3, D4)는 서로 직교하며, 제1 및 제2 대각선 방향(D3, D4)은 행 방향(D1) 및 열 방향(D2)과 대략 45도 또는 135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R, G, B)들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한 쪽 방향으로 더 긴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 화소(R, G, B)의 길이 방향의 변, 즉 장변은 제1 대각선 방향(D3) 또는 제2 대각선 방향(D4)에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의 모양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적색 화소(R)는 제1 대각선 방향(D3)에 대략 평행하며, 각 적색 화소(R)의 장변 방향의 중심선은 단위 영역(UA)의 대각선에 대략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청색 화소(B)는 제2 대각선 방향(D4)에 대략 평행하며, 각 청색 화소(B)의 장변 방향의 중심선은 단위 영역(UA)의 대각선에 대략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사각형의 단위 영역(UA)의 경우 적색 화소(R)의 장변과 청색 화소(B)의 장변은 서로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적색 화소(R)와 청색 화소(B)의 중심점은 각각 정렬되어 있는 단위 영역(UA)의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어느 한 꼭지점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나아가 적색 화소(R)와 청색 화소(B)는 이와 가까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에 가능한 가깝게 배치하여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단변 또는 장변과 단위 영역(UA)의 꼭지점과 연결된 변은 서로 근접하거나 만날 수 있다.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장변의 길이는 단위 영역(UA)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각 적색 화소(R)의 면적은 각 청색 화소(B)의 면적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녹색 화소(G)는 같은 단위 영역(UA) 안에서 인접한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길이 방향에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녹색 화소(G)의 장변은 동일한 단위 영역(UA)에 위치하는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장변과 평행할 수 있다.
녹색 화소(G)는 같은 단위 영역(UA) 안에 위치하는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가 정렬된 대각선에 수직인 대각선이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위치한다. 나아가 녹색 화소(G)는 가깝게 위치하는 꼭지점에 가능한 가깝게 위치하여 그 단면 또는 장변은 단위 영역(UA)의 꼭지점과 연결된 변과 근접하거나 만날 수 있다.
녹색 화소(G)는 단위 영역(UA)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화소(R)와 동일한 단위 영역(UA)에 위치하는 녹색 화소(G)의 장변은 제1 대각선 방향(D3)에 나란할 수 있고, 청색 화소(B)와 동일한 단위 영역(UA)에 위치하는 녹색 화소(G)의 장변은 제2 대각선 방향(D4)에 나란할 수 있다.
한 녹색 화소(G)의 면적은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고, 녹색 화소(G)의 장변의 길이는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녹색 화소(G)의 면적 또는 장변의 길이는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면적 또는 장변의 길이의 대략 1/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적색 화소(R)와 청색 화소(B)의 배열 방향은 앞에서 설명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와 반대일 수 있다. 즉, 적색 화소(R)는 제2 대각선 방향(D4)에 대략 평행하며, 각 적색 화소(R)의 장변 방향의 중심선은 단위 영역(UA)의 대각선에 대략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청색 화소(B)는 제1 대각선 방향(D3)에 대략 평행하며, 각 청색 화소(B)의 장변 방향의 중심선은 단위 영역(UA)의 대각선에 대략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적색 화소(R)의 장변과 청색 화소(B)의 장변은 서로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다.
녹색 화소(G)는 같은 단위 영역(UA) 안에서 인접한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길이 방향에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녹색 화소(G)의 장변은 동일한 단위 영역(UA)에 위치하는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장변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녹색 화소(G)는 같은 단위 영역(UA) 안에 위치하는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가 정렬된 대각선에 수직인 대각선이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위치한다. 나아가 녹색 화소(G)는 가깝게 위치하는 꼭지점에 가능한 가깝게 위치하여 그 단면 또는 장변은 단위 영역(UA)의 꼭지점과 연결된 변과 근접하거나 만날 수 있다.
녹색 화소(G)는 단위 영역(UA)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화소(R)와 동일한 단위 영역(UA)에 위치하는 녹색 화소(G)의 장변은 제2 대각선 방향(D4)에 나란할 수 있고, 청색 화소(B)와 동일한 단위 영역(UA)에 위치하는 녹색 화소(G)의 장변은 제1 대각선 방향(D3)에 나란할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은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가상의 복수의 단위 영역(UA)을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단위 영역(UA)은 행 방향(D1) 및 열 방향(D2)으로 뻗는 변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 11은 단위 영역(UA)이 대략 정사각형인 예를 도시한다. 각 단위 영역(UA)의 대각선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대각선 방향(D3)과 제2 대각선 방향(D4)을 포함하며, 정사각형의 단위 영역(UA)의 경우 제1 및 제2 대각선 방향(D3, D4)은 행 방향(D1) 및 열 방향(D2)과 대략 45도 또는 135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단위 영역(UA)이 행 방향(D1)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단위 영역(UA)이 행 방향(D1)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단위 영역(UA)이 열 방향(D2)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단위 영역(UA)이 열 방향(D2)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두 단위 영역(UA)이 제1 대각선 방향(D3)으로 이웃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두 단위 영역(UA)이 제2 대각선 방향(D4)으로 이웃한다.
적색 화소(R)들은 모두 그 장변이 제1 대각선 방향(D3)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청색 화소(B)들은 모두 그 장변이 제2 대각선 방향(D4)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UA)의 적색 화소(R)는 두 단위 영역(UA)이 만나는 꼭지점에 가깝게 위치하여 서로 인접하고 동일한 대각선 상에 정렬될 수 있다.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두 적색 화소(R)와 그 사이의 꼭지점 사이의 거리는 대략 동일할 수 있으며 꼭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UA)의 청색 화소(B)는 두 단위 영역(UA)이 만나는 꼭지점에 가깝게 위치하여 서로 인접하고 동일한 대각선 상에 정렬될 수 있다.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두 청색 화소(B)와 그 사이의 꼭지점 사이의 거리는 대략 동일할 수 있으며 꼭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행 방향(D1) 또는 열 방향(D2)으로 이웃한 두 적색 화소(R) 사이의 센터 사이의 거리는 대략 100u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한 두 단위 영역(UA)의 녹색 화소(G)는 두 단위 영역(UA)이 만나는 꼭지점에 가깝게 위치하여 서로 인접하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두 녹색 화소(G)와 그 사이의 꼭지점 사이의 거리는 대략 동일할 수 있으며 꼭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녹색 화소(G)는 이웃한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와 가능한 멀리 떨어질 수 있다.
한 열 또는 한 행에서 제1 대각선 방향(D3)으로 기울어진 녹색 화소(G)와 제2 대각선 방향(D4)으로 기울어진 녹색 화소(G)는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행 방향(D1) 또는 열 방향(D2)으로 이웃한 두 녹색 화소(G) 사이의 거리는 대략 100u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는 펜타일(pentile) 화소 배열 구조로서 최소한의 화소(PX)를 가지고 최대한의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에 따르면 각 화소(R, G, B)의 장변 방향을 단위 영역(UA)의 대각선 방향으로 돌려 배치하므로 단위 영역(UA)에서 길이가 가장 긴 대각선 방향을 이용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R, G, B) 간에 충분한 갭을 확보할 수 있어 화소(R, G, B)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는 여유가 생기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고해상도화가 용이해질 수 있다. 나아가 화소(R, G, B)의 개구율이 높아지면 발광층(373R, 373G, 373B)의 수명이 높아질 수 있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인접한 동일 색상의 화소(R, G, B)끼리 최대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가깝게 인접한 동일 색상의 화소(R, G, B)들은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을 이용한 증착 시 동일한 개구부를 통해서 한번에 증착할 수 있어 각 화소(R, G, B)의 개구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화소(R, G, B)마다 개구부가 형성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에 따른 파인 메탈 마스크의 제작이 더 용이하다.
종래 기술과 같이 어느 한 색상의 화소가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된 경우 발광층 증착을 위한 파인 메탈 마스크의 개구부가 열 방향 또는 행 방향으로 길고 좁아져 증착 신뢰도가 떨어지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층(373R, 373G, 373B)의 증착에 사용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는 도트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므로 증착 신뢰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패널 사이즈 확대가 용이해진다.
다음,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나, 적색 화소(R)와 청색 화소(B)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는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얻어진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적색 화소(R)들은 모두 그 장변이 제2 대각선 방향(D4)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청색 화소(B)들은 모두 그 장변이 제1 대각선 방향(D3)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다음,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나, 녹색 화소(G)의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녹색 화소(G)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각형 대신 정다각형일 수 있다. 도 13은 녹색 화소(G)가 정사각형인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두 녹색 화소(G)의 변은 단위 영역(UA)의 변과 만나거나 교차할 수도 있고 만나지 않을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녹색 화소(G)의 면적과 본 실시예에 따른 녹색 화소(G)의 면적은 대략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녹색 화소(G)의 변은 동일 단위 영역(UA)에 위치하는 적색 화소(R) 또는 청색 화소(B)의 장변에 대략 나란하거나 대략 수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한 두 단위 영역(UA)의 녹색 화소(G) 사이의 거리는 대략 100um 이하일 수 있다.
다음,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나, 적색 화소(R)와 청색 화소(B)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는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얻어진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금까지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서 녹색 화소(G)와 적색 화소(R)가 서로 바뀌거나 녹색 화소(G)와 청색 화소(B)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제,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층의 적층을 위한 파인 메탈 마스크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앞에서 설명한 도 2를 참조하면, 절연 기판(110) 위에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Qd)를 형성하고 그 위에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복수의 접촉 구멍(185)을 갖는 보호막(180)을 형성한다.
다음, 각 화소(R, G, B)의 보호막(180) 위에 도전성 물질을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각 화소(R, G, B)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전극(191)을 형성한다.
다음, 화소 전극(191) 및 보호막(180) 위에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 또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 등을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복수의 화소 전극(191)을 각각 드러내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360)을 형성한다.
다음, 화소 정의막(360) 및 화소 전극(191) 위에 유기 물질을 증착하여 하부 유기 공통층(371)을 형성한다. 이어서, 각 화소(R, G, B)의 화소 전극(191)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기 발광 물질을 증착하여 복수의 발광층(373R, 373G, 373B)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색 발광층(373R)은 도 15에 도시한 파인 메탈 마스크(500R)를 사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파인 메탈 마스크(500R)는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두 적색 화소(R)에 대응하는 개구부(50R)를 포함한다. 개구부(50R)의 크기는 두 적색 화소(R)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개구부(50R)의 가장자리 변은 대응하는 두 적색 화소(R)의 가장자리 변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유기 공통층(371)이 형성된 절연 기판(110) 위에 파인 메탈 마스크(500R)를 배치하고 개구부(50R)를 통하여 적색 발광 물질을 증착하여 적색 발광층(373R)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한 쌍의 적색 화소(R)를 파인 메탈 마스크(500R)의 동일한 개구부를 통해 한 번에 증착할 수 있으므로 적색 화소(R)의 개구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R, G, B)마다 개구부가 형성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에 따른 파인 메탈 마스크의 제작이 더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발광층(373R)의 증착에 사용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500R)는 도트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므로 증착 신뢰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패널 사이즈 확대가 용이해진다.
도 12 또는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 등의 다른 여러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발광층(373R)도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두 적색 화소(R)에 대응하는 개구부(50R)를 포함하는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색 발광층(373B)은 도 16에 도시한 파인 메탈 마스크(500B)를 사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파인 메탈 마스크(500B)는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두 청색 화소(B)에 대응하는 개구부(50B)를 포함한다. 개구부(50B)의 크기는 두 청색 화소(B)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개구부(50B)의 가장자리 변은 대응하는 두 청색 화소(B)의 가장자리 변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유기 공통층(371)이 형성된 절연 기판(110) 위에 파인 메탈 마스크(500B)를 배치하고 개구부(50B)를 통하여 청색 발광 물질을 증착하여 청색 발광층(373B)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한 쌍의 청색 화소(B)를 파인 메탈 마스크(500B)의 동일한 개구부를 통해 한 번에 증착할 수 있으므로 청색 화소(B)의 개구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R, G, B)마다 개구부가 형성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에 따른 파인 메탈 마스크의 제작이 더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청색 발광층(373B)의 증착에 사용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500B)는 도트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므로 증착 신뢰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패널 사이즈 확대가 용이해진다.
도 12 또는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 등의 다른 여러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청색 발광층(373B)도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두 청색 화소(B)에 대응하는 개구부(50B)를 포함하는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녹색 발광층(373G)은 도 17에 도시한 파인 메탈 마스크(500G)를 사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파인 메탈 마스크(500G)는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두 녹색 화소(G)에 대응하는 개구부(50G)를 포함한다. 개구부(50G)의 크기는 두 녹색 화소(G)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개구부(50G)의 가장자리 변은 대응하는 두 녹색 화소(G)의 가장자리 변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유기 공통층(371)이 형성된 절연 기판(110) 위에 파인 메탈 마스크(500G)를 배치하고 개구부(50G)를 통하여 녹색 발광 물질을 증착하여 녹색 발광층(373G)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한 쌍의 녹색 화소(G)를 파인 메탈 마스크(500G)의 동일한 개구부를 통해 한 번에 증착할 수 있으므로 녹색 화소(G)의 개구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R, G, B)마다 개구부가 형성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구조에 따른 파인 메탈 마스크의 제작이 더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녹색 발광층(373G)의 증착에 사용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500G)는 도트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므로 증착 신뢰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패널 사이즈 확대가 용이해진다.
도 12 또는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 등의 다른 여러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녹색 발광층(373G)도 단위 영역(UA)의 꼭지점을 사이에 두고 바로 인접한 두 녹색 화소(G)에 대응하는 개구부(50G)를 포함하는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증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절연 기판
121: 주사 신호선
171: 데이터선
172: 구동 전압선
180: 보호막
185: 접촉 구멍
191: 화소 전극
270: 공통 전극
360: 화소 정의막
371, 375: 유기 공통층
373R, 373G, 373B: 발광층
500R, 500G, 500B: 파인 메탈 마스크

Claims (20)

  1.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가상의 단위 영역을 기준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화소, 제2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화소, 그리고 제3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영역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대략 평행한 복수의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이고,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제1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1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고,
    상기 단위 영역에 상기 제1화소 및 상기 제2화소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화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긴 다각형이고,
    상기 제1화소와 동일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3 꼭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화소의 기울어진 방향은 서로 다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대각선 중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2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제2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화소는 상기 제2 대각선 방향으로 긴 다각형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긴 다각형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서,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변을 가지는 정다각형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항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3화소는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 사이의 거리, 두 개의 상기 제2화소 사이의 거리, 두 개의 상기 제3화소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는 대략 100um 이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제3화소는 녹색 화소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3화소의 길이는 상기 제1화소 또는 상기 제2화소의 길이의 대략 1/2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절연 기판 위에 제1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화소의 화소 전극, 제2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화소의 화소 전극, 그리고 제3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화소의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제1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1 발광층을 증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발광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인 메탈 마스크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에 대응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화소, 상기 제2화소, 그리고 상기 제3화소는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가상의 단위 영역을 기준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단위 영역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대략 평행한 복수의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이고,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제1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1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고,
    상기 단위 영역에 상기 제1화소 및 상기 제2화소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화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긴 다각형이고,
    상기 제1화소와 동일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3 꼭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화소의 기울어진 방향은 서로 다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서,
    제2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제2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2 발광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인 메탈 마스크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서,
    한 단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화소는 상기 단위 영역의 대각선 중 상기 제1 대각선과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2 대각선과 만나는 두 꼭지점 중 제2 꼭지점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며 한 꼭지점을 공유하는 두 단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제2 대각선 상에 정렬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서,
    제3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제3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3 발광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파인 메탈 마스크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제3화소에 대응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삭제
KR1020130120692A 2013-10-10 2013-10-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92A KR102127410B1 (ko) 2013-10-10 2013-10-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256,190 US9406723B2 (en) 2013-10-10 2014-04-1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92A KR102127410B1 (ko) 2013-10-10 2013-10-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09A KR20150042009A (ko) 2015-04-20
KR102127410B1 true KR102127410B1 (ko) 2020-06-29

Family

ID=5280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692A KR102127410B1 (ko) 2013-10-10 2013-10-1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6723B2 (ko)
KR (1) KR102127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20B1 (ko) 2015-03-13 2021-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8421B1 (ko) 2015-03-31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용 마스크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N105185248B (zh) * 2015-10-13 2017-12-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像素结构
JP2017146463A (ja) * 2016-02-17 2017-08-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3990912A (zh) 2018-02-09 2022-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排列结构、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KR20200106589A (ko) 2019-03-04 2020-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JP7462619B2 (ja) * 2019-05-10 2024-04-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1557635B2 (en) * 2019-12-10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11500433B2 (en) * 2020-01-14 2022-11-15 Au Optronics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20220064479A (ko) * 2020-11-11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E112021001234T5 (de) * 2021-01-04 2022-12-2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nzeigesubstrat und zugehörige vorrichtung
WO2023069664A1 (en) * 2021-10-21 2023-04-27 H2Vr Holdco, Inc. Light emitting arrays providing off-axis color correction for video wall display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8818A1 (en) 2002-12-10 2004-06-10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having repeated patterns of colored light emitting elements
US20090195144A1 (en) 2008-02-05 2009-08-06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10291549A1 (en) 2010-05-31 2011-12-01 Gun-Shik Kim Pixel arrange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480A (ko) * 1991-09-11 1993-04-21 원본미기재 콘트라스트가 개선된 액정 표시판넬
JP2005100724A (ja) * 2003-09-24 2005-04-14 Sanyo Electric Co Ltd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el表示装置
KR100579048B1 (ko) 2005-09-27 2006-05-12 주식회사 한국싸인 전광판의 픽셀 형성 방법
JP5189276B2 (ja) 2006-11-29 2013-04-2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画像表示装置
KR101394922B1 (ko) 2007-03-30 201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24142B1 (ko) 2008-04-01 2009-10-2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이의 에이징 방법 및 점등 테스트 방법
US9041625B2 (en) * 2010-04-21 2015-05-26 Lg Display Co., Ltd.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417842B (zh) * 2010-12-06 2013-12-01 Au Optronics Corp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顯示面板的驅動方法
KR101615332B1 (ko) * 2012-03-06 2016-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8818A1 (en) 2002-12-10 2004-06-10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having repeated patterns of colored light emitting elements
US20090195144A1 (en) 2008-02-05 2009-08-06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10291549A1 (en) 2010-05-31 2011-12-01 Gun-Shik Kim Pixel arrange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09A (ko) 2015-04-20
US9406723B2 (en) 2016-08-02
US20150102297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41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84030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0981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68562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7665905B (zh) 显示装置
US917189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623201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574211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044661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193256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50009104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102045036B1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19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high aperture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752482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20140062258A (ko) 투명 유기발광소자
KR2016008994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20223669A1 (en) Display device
KR2011002399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20013695A (ja) 表示装置
KR102202797B1 (ko) 휘도 시야각 및 색 시야각을 개선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240087515A1 (en) Display device
US20220037452A1 (en) Display device
CN116210367A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