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989B1 - Oled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Oled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989B1
KR102028989B1 KR1020130041403A KR20130041403A KR102028989B1 KR 102028989 B1 KR102028989 B1 KR 102028989B1 KR 1020130041403 A KR1020130041403 A KR 1020130041403A KR 20130041403 A KR20130041403 A KR 20130041403A KR 102028989 B1 KR102028989 B1 KR 10202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green
red
pixels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095A (ko
Inventor
임태영
유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9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LED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구획하는 뱅크를 구비하고; 상기 각 화소가 제1 및 제2 열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열이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1 열의 제1 및 제2 행에 상기 적색 서브 화소 또는 상기 녹색 서브 화소가 교번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열에 상기 청색 서브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적색 서브 화소는 노란색을 발광하는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적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녹색 서브 화소는 상기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녹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청색 서브 화소는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청색 유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의 경계에 구비되어 광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OLED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OLED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에서 각 화소는 애노드와, 캐소드와,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유기 박막층으로 구성된 OLED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R, G, B의 서브 화소를 포함한다.
유기 박막층은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를 이용하여 R, G, B의 서브 화소 단위로 제조된다. 그런데, 파인 메탈 마스크는 무게가 무거워 교체가 어려우며, 유기 박막층의 증착 공정시 마스크의 처짐이 발생하여 대형화 및 고해상도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박막층이 백색을 발광하도록 형성하여 파인 메탈 마스크의 사용을 줄이고, R, G, B의 서브 화소별로 컬러 필터를 구비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백색 OLED 표시 장치가 소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백색 OLED 표시 장치는 유기 박막층이 형성되는 하부 기판과, 컬러 필터가 형성되는 상부 기판 간의 갭으로 인해 시야각에 따른 혼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시야각에 따른 혼색 불량은 표시 패널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시야각이 커질 경우 원하는 색상이 표시되지 않는 불량이며, 유기 박막층으로부터 발광된 백색 광이 이웃한 서브 화소의 컬러 필터를 통과하여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인 메탈 마스크의 사용을 줄여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시야각에 따른 혼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OLED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구획하는 뱅크를 구비하고; 상기 각 화소가 제1 및 제2 열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열이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1 열의 제1 및 제2 행에 상기 적색 서브 화소 또는 상기 녹색 서브 화소가 교번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열에 상기 청색 서브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적색 서브 화소는 노란색을 발광하는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적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녹색 서브 화소는 상기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노란색 유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녹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청색 서브 화소는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청색 유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의 경계에 구비되어 광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박막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별로 배치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 박막층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별로 상기 제1 전극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과, 상기 노란색 또는 청색 유기 발광층과, 전자 주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뱅크는 상기 인접한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사이와, 상기 인접한 청색 서브 화소 사이에서, 광을 차단하는 블랙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는 길이 방향이 열 방향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행 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 방식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마진(margin)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마진으로 인해 각 화소(P)의 가로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각 발광 영역의 개구율을 향상시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컬러 필터(CF_R, CF_G, CF_B)를 이용하여 컬러를 표시하되, 유기 발광층이 노란색 또는 청색을 발광하도록 하여 시야각에 따른 혼색 불량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스트라이프 방식으로 배열된 서브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OLED 표시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P)를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P) 각각은 적색, 녹색, 청색을 표시하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를 포함한다. 각 화소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는 뱅크(16; 도 4 참조)를 통해 구획된다.
각 화소(P)는 제1 및 제2 열으로 분할되고, 제1 열은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된다. 제1 열의 제1 및 제2 행에는 적색 서브 화소(SPr) 또는 녹색 서브 화소(SPg)가 교번되도록 배치된다. 제2 열에는 청색 서브 화소(SPb)가 배치된다.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는 길이 방향이 열 방향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 방식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마진(margin)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마진으로 인해 각 화소(P)의 가로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각 발광 영역의 개구율을 향상시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화소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는 제1 및 제2 전극(6, 8)과, 제1 및 제2 전극(6, 8)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박막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20)과, 하부 기판(20)과 대향하고 컬러 필터(CF_R, CF_G, CF_B)와 블랙 매트릭스(14; 도 4 참조)가 구비된 상부 기판(4)을 포함한다. 한편, 제2 전극(8) 상에는 보호층 역할을 하는 평탄화막(10)이 형성되며, 하부 기판(2)과 상부 기판(4)은 점착층(12)을 통해 서로 합착된다.
본 발명은 유기 박막 패턴에 구비된 유기 발광층이 광을 발생하고,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상부 기판(4)에 구비된 컬러 필터(CF_R, CF_G, CF_B)을 통과하면서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를 표시한다. 종래의 OLED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CF_R, CF_G, CF_B)를 이용하여 컬러를 표시할 경우 백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은 유기 발광층이 노란색 또는 청색을 발광하도록 하여 시야각에 따른 혼색 불량을 방지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 박막 패턴은 제1 전극(6)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HIL)과, 정공 수송층(HTL)과, 유기 발광층(Y, B)과, 전자 주입층(ETL)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Y, B)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별로 형성되며, 노란색 유기 발광층(Y)과, 청색 유기 발광층(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노란색 유기 발광층(Y)은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에 형성된다. 그리고 청색 유기 발광층(B)을 청색 서브 화소(SPb)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을 결부하여 살펴보면, 각 화소의 제1 열에는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가 배열되고,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에는 노란색 유기 발광층(Y)이 형성된다. 또한, 각 화소의 제2 열에는 청색 서브 화소(SPb)가 배열되고, 청색 서브 화소(SPb)에는 청색 유기 발광층(B)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각 화소의 제1 열에 노란색 유기 발광층(Y)을 동시에 형성하고, 각 화소의 제2 열에 청색 유기 발광층(B)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한 유기 발광층(Y, B)의 증착 공정을 2회로 줄일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여 대형화 및 고해상도 구현이 용이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색 서브 화소(SPr)는 제1 전극(6)과, 제1 전극(6) 상에 형성되고 노란색 유기 발광층(Y)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과, 노란색 유기 발광층(Y)과 대향하는 적색 컬러 필터(CF_R)를 구비한다. 그리고 청색 서브 화소(SPb)는 제1 전극(6) 상에 형성되고 청색 유기 발광층(B)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과, 청색 유기 발광층(B)과 대향하는 청색 컬러 필터(CF_B)를 구비한다.
적색 및 청색 서브 화소(SPr, SPb)의 경계에는 뱅크(16)가 구비된다. 뱅크(16)는 이웃한 서브 화소 간의 광학적, 전기적인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뱅크(16) 상에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노란색 유기 발광층(Y)으로부터 발생된 노란색 광은 적색 광과 녹색 광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적색 컬러 필터(CF_R)는 입사된 광 중에서 적색 광만을 투과시키고, 청색 컬러 필터(CF_G)는 입사된 광 중에서 청색 광만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노란색 유기 발광층(Y)에서 발생된 노란색 광은 적색 컬러 필터(CF_R)를 통과하면서 적색 광으로 바뀌나, 청색 컬러 필터(CF_G)는 통과하지 못한다. 그리고 청색 유기 발광층(B)에서 발생된 청색 광은 청색 컬러 필터(CF_B)를 통과하면서 청색 광을 유지하나, 적색 컬러 필터(CF_R)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색 및 청색 서브 화소(SPr, SPb) 각각에서 발생된 노란색 광과, 청색 광이 인접한 적색 및 청색 서브 화소(SPr, SPb)의 컬러 필터(CF_R, CF_B)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좌우 방향(도 1의 x 방향; 행 방향)의 시야각에서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녹색 서브 화소(SPr)는 제1 전극(6)과, 제1 전극(6) 상에 형성되고 노란색 유기 발광층(Y)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과, 노란색 유기 발광층(Y)과 대향하는 녹색 컬러 필터(CF_G)를 구비한다. 그리고 청색 서브 화소(SPb)는 전술한 바와 같다.
참고로, 녹색 컬러 필터(CF_G)는 입사된 광 중에서 녹색 광만을 투과시키고, 청색 컬러 필터(CF_G)는 입사된 광 중에서 청색 광만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노란색 유기 발광층(Y)에서 발생된 노란색 광은 녹색 컬러 필터(CF_G)를 통과하면서 녹색 광으로 바뀌나, 청색 컬러 필터(CF_G)는 통과하지 못한다. 그리고 청색 유기 발광층(B)에서 발생된 청색 광은 청색 컬러 필터(CF_B)를 통과하면서 청색 광을 유지하나, 녹색 컬러 필터(CF_G)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SPg, SPb) 각각에서 발생된 노란색 광과, 청색 광이 인접한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SPg, SPb)의 컬러 필터(CF_G, CF_B)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좌우 방향(도 1의 x 방향; 행 방향)의 시야각에서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는 상하 방향(도 1의 y 방향; 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다. 그런데,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는 노란색 유기 발광층(Y)을 모두 포함하므로,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의 노란색 유기 발광층(Y)으로부터 발생된 노란색 광은 인접한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의 컬러 필터(CF_R, CF_G)를 통과하면서 각각 적색 및 녹색 광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OLED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은 좌우 방향의 시야각 혼색은 방지되나, 상하 방향(도 1의 y 방향; 열 방향)의 시야각에서는 혼색이 발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좌우 방향의 시야각 혼색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의 시야각 혼색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 스페이서(18)를 더 구비한다.
블랙 스페이서(18)는 인접한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사이의 뱅크(16) 내에 구비된다. 그리고 블랙 스페이서(18)는 인접한 청색 서브 화소(SPb) 사이의 뱅크(16) 내에 구비된다. 이러한 블랙 스페이서(18)는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인접한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 사이에 구비되어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SPr, SPg)의 노란색 유기 발광층(Y)으로부터 발생된 노란색 광이 인접한 서브 화소로 투과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좌우 방향의 시야각 혼색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시야각 혼색도 방지할 수 있어 화질이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2 분할되어 정의되므로, 행 방향을 따라 3 분할되어 정의되는 종래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r, SPg, SPb) 방식에 비하여 폭과 높이에서 마진(margin)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마진으로 인해 각 화소(P)의 가로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각 발광 영역의 개구율을 향상시켜 고색재현율 및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 필터(CF_R, CF_G, CF_B)를 이용하여 컬러를 표시하되, 유기 발광층이 노란색 또는 청색을 발광하도록 하여 시야각에 따른 혼색 불량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 하부 기판 4: 상부 기판
6: 제1 전극 8: 제2 전극
10: 평탄화층 12: 점착층
14: 블랙 매트릭스 18: 블랙 스페이서

Claims (7)

  1.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를 갖고, 각 화소가 제1 및 제2 열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열이 제1 및 제2 행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1 열의 제1 및 제2 행에 각각 상기 적색 서브 화소 및 상기 녹색 서브 화소가 교번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열에 걸쳐 상기 청색 서브 화소가 배치된 하부 기판;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를 구획하는 뱅크;
    상기 제 1열의 제 1 및 제 2 행에 구비된 노란색을 발광하는 노란색 유기 발광층;
    상기 제 2 열에 구비된 청색 유기 발광층;
    상기 하부기판과 대향된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 상에, 상기 제 1 열의 제 1 및 제 2행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된 적색 컬러 필터 및 녹색 컬러 필터;
    상기 상부 기판 상에 상기 청색 유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청색 컬러 필터;
    상기 상부 기판 상에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의 경계에 구비되어 광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상기 제 1 열의 제 1행과 제 2 행 사이와 상기 각 화소의 제 1 열마다 상기 뱅크 내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의 시야각 혼색을 방지하는 제 1 블랙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 각각, 상기 하부기판 상에, 상기 노란색 발광층과 청색 발광층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 상에,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별로 배치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는 각각 상기 제1 전극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과, 상기 노란색 또는 청색 유기 발광층과, 전자 주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상기 제 2 열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뱅크 내에 제 2 블랙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는 길이 방향이 열 방향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블랙 스페이서는 상기 뱅크 내에서 행 방향으로만 배치되는 OLED 표시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블랙 스페이서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된 OLED 표시 장치.
KR1020130041403A 2013-04-16 2013-04-16 Oled 표시 장치 KR102028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03A KR102028989B1 (ko) 2013-04-16 2013-04-16 Oled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03A KR102028989B1 (ko) 2013-04-16 2013-04-16 Oled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95A KR20140124095A (ko) 2014-10-24
KR102028989B1 true KR102028989B1 (ko) 2019-10-07

Family

ID=5199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403A KR102028989B1 (ko) 2013-04-16 2013-04-16 Oled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6875B (zh) 2015-03-30 2019-12-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共用蓝光发光层的像素排布方式及有机电致发光装置
KR102466686B1 (ko) * 2015-04-15 2022-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KR102648412B1 (ko) * 2016-06-17 2024-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531775A (zh) 2016-12-30 2017-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基板及其显示装置与制备方法
KR102378090B1 (ko) 2017-05-29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429102B (zh) * 2018-09-20 2021-11-12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结构与显示器件
CN111261790A (zh) * 2018-12-03 2020-06-09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53B1 (ko) * 2008-06-03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257734B1 (ko) * 2010-09-08 2013-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746676B1 (ko) * 2010-10-2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87978B1 (ko) * 2011-04-29 2017-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95A (ko)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1192B (zh) 像素結構、oled顯示幕以及蒸鍍掩膜板
KR102028989B1 (ko) Oled 표시 장치
WO2021258886A1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US10692940B2 (en) Pixel structure and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9735207B2 (en) Display substrat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CN106486513B (zh) 像素结构以及oled显示面板
CN114994973B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101307556B1 (ko) 표시장치와 그의 서브 픽셀 배열 구조
WO2017045534A1 (zh) 像素结构以及oled显示面板
KR10118902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배열구조
JP2021513664A (ja) 画素配列構造、表示基板、表示装置及びマスクプレート群
KR102345247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CN103559849A (zh) 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WO2017059681A1 (en) Pixel structure, fabrication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JP7005657B2 (ja) 画素構造及びoled表示パネル
WO2016050012A1 (zh) 阵列基板、掩膜板和显示装置
US10777616B2 (en) Pixel arrangement structure, pixel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WO2017016169A1 (zh) 像素阵列、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WO2016127560A1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565282B (zh) 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EP3203522A1 (en) Oled display substrate, oled display device and mask plate
WO2017016201A1 (zh) 掩膜板组及制造电致发光层的方法、显示面板及驱动方法
TW201507130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面板
US20210359034A1 (en) Pixel structure and display panel
US20190028695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