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397A - 그라비아 인쇄판 - Google Patents

그라비아 인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397A
KR20120025397A KR1020110080446A KR20110080446A KR20120025397A KR 20120025397 A KR20120025397 A KR 20120025397A KR 1020110080446 A KR1020110080446 A KR 1020110080446A KR 20110080446 A KR20110080446 A KR 20110080446A KR 20120025397 A KR20120025397 A KR 20120025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gravure printing
printing
printing plate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944B1 (ko
Inventor
나오야 기쿠치
가즈히사 히라오
고지 이나오카
신타로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가부시키가이샤 씽크. 라보라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가부시키가이샤 씽크. 라보라토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2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과제
전사 불균일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인쇄막 표면의 평활성을 높일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인쇄 방향의 전방측에, 셀 (28) 각각에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보다 낮고 또한 심부 (32) 보다 높은 중간 단부 (34) 가 구비되므로, 제방 (24, 26) 근방에 있어서의 깊이 치수의 변화가 완화된다. 그 때문에, 압력 저하가 완화되므로, 전사 불균일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인쇄막 표면의 평활성이 높아진다.

Description

그라비아 인쇄판 {GRAVURE PRINTING PLATE }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에 사용되는 그라비아 인쇄판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박층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진공 증착이나 CVD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분위기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비용이다. 이에 대하여, 최근 전자 부품 제조에 있어서 그라비아 인쇄 (오목판 인쇄) 를 사용하여 막두께 1 (㎛) 안팎의 박층 형성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도체층과 절연체층을 교대로 적층시키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쇄에 의한 박층 형성은, 대기 중에서 실시되므로 분위기 제어가 필요 없기 때문에, 저비용이고 간편한 이점이 있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는, 예를 들어, 직교하는 다수 개의 제방에 의해 구획 형성된 다수의 셀이 화상부 (즉 패턴부) 에 구비되는 그라비아 인쇄판을 사용하고, 그들 다수의 셀에 페이스트를 흘려 넣고 잉여의 페이스트를 독터 블레이드로 긁어낸 후, 피인쇄물에 인쇄용판을 갖다대고 전사하는 수법이다. 상기 제방은, 이와 같이 페이스트를 충전시킬 때에 독터 블레이드에 의해 과잉으로 긁어내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 그라비아 인쇄판을 그라비아 롤이라고 하는 원통의 외주면에 형성함으로써 연속 인쇄를 실시하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방은 화상부 내에 있어서의 페이스트의 유동을 저해하고, 나아가서는 인쇄막의 표면 평활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것을 개선하는 것이 종래부터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셀을 미세한 홈으로 서로 연통시켜 부분적으로 결합시킨 셀의 집합체를 이룸으로써, 일부의 셀에서 페이스트 전사량의 과부족이 발생해도, 미세한 홈을 경유하며 페이스트가 유동되어 전체적으로 매끄럽고 불균일이 없는 전사가 얻어지도록 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또, 제방을 인쇄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 개의 인쇄 방향 제방과 이것과 직교하는 복수 개의 저지 방향 제방으로 구성함과 함께, 저지 방향 제방에는 인쇄 방향에 이웃하는 셀 사이를 연통시키는 노치를 셀보다 얕은 깊이 치수로 형성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를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노치의 깊이 치수를 얕게 함으로써 페이스트의 과도한 유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으로 노치의 폭 치수를 작게 하는 경우에 전사시의 페이스트의 연속성이 저해되는 것이나 노치 형성시의 사이드 에칭의 문제가 완화된다.
또, 동일하게 인쇄 방향 제방과 저지 방향 제방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저지 방향 제방의 높이 치수를 인쇄 방향 제방보다 낮게 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을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페이스트의 실 끌림이 인쇄 방향으로만 발생하므로, 수직 방향으로도 실 끌림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실 끌림의 중복 나아가서는 인쇄막의 표면 평활성의 저하가 바람직하게 억제된다.
또, 상기 각 기술과는 목적이 상이하지만, 화상부 내의 외주부의 셀의 개구 면적을 내주부의 그것보다 작게 하고, 그 외주부의 셀의 개구 면적의 균일화를 도모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를 참조). 내외주의 셀의 개구 면적을 동일하게 하는 종래 구조에서는, 화상부의 크기와 셀 치수나 셀 피치와의 관계를 특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들의 치수 관계에 따라, 화상부의 한 구석에서부터 인쇄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셀을 늘어놓으면, 종단 1 열의 셀이 다른 셀에 비해 개구 면적이 작아지고, 나아가서는 인쇄막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주부의 셀의 개구 면적이 균일화되므로, 인쇄막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균일해지고, MLCC 의 내부 전극 형성에 적용한 경우 등에도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이 얻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0126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108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109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076459호
엔야 츠토무 편집 및 대표 집필 「인쇄 잉크 공학」인쇄 학회 출판부, 1969년 4월, P89-91 및 P176-185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라비아 인쇄판에 있어서,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높이거나 혹은 전사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실시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막두께가 1 (㎛) 이하인 박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각 기술을 적용해도, 간과하기 어려운 전사 불균일이 발생하여, 핀 홀이 보이거나 인쇄막 표면의 평활성이 얻어지지 않고, 심한 경우에는 인쇄막이 섬 형상으로 되어 연속막이 얻어지지 않거나, 혹은 패턴의 일부가 결손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전사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전사시의 급격한 압력 변화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하여, 그라비아 인쇄에 있어서, 인쇄시에 그라비아 롤러와 압동 사이에서 인쇄 페이스트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변화 거동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져 잘 알려진 바이다. 일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그라비아 롤러 및 압동 사이의 간극 (즉 닙) 에 들어간 인쇄 페이스트가 받는 압력은 바로 급상승하지만, 그 후 완만하게 저하되어, 닙 출구에서는 부압으로 바뀐다 (예를 들어 상기 비특허문헌 1 을 참조). 이와 같이 닙 출구에서 부압으로 바뀔 때에 인쇄 페이스트에 공동 (空洞) 이 발생하고, 그 공동을 기점으로 하여 인쇄 페이스트가 실 끌림 상태로 되므로, 전사 불균일이 발생하여 인쇄막의 표면 평활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사 불균일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인쇄막 표면의 평활성을 높일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소정의 제 1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 개의 제 1 제방과 이것과 직교하고 또한 그 제 1 제방과 동일 높이 치수를 갖는 복수 개의 제 2 제방에 의해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셀을 화상부에 구비하고,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피인쇄물 상에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라비아 인쇄판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셀 각각은 상기 제 1 제방 및 상기 제 2 제방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벽 중 적어도 인쇄 방향의 전방측의 일부가 계단식 형상을 이룸으로써 형성된 중간 단부를 구비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쇄 방향의 전방측에는, 복수 개의 셀 각각에 제 1 제방 및 제 2 제방보다 낮고 또한 셀 저면보다 높은 중간 단부가 구비되므로, 제방 근방에 있어서의 깊이 치수의 변화가 완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페이스트가 받는 압력이 닙 출구에 있어서 부압으로 바뀌는 것은, 그라비아 인쇄판이 압동으로부터 떨어질 때, 그때까지 압축되어 있던 인쇄 페이스트가 팽창되기 때문인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간 단부가 구비됨으로써 깊이 치수 변화가 완화되면, 압력 저하가 완화되기 때문에, 전사 불균일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인쇄막 표면의 평활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인쇄 페이스트가 전사된 피인쇄물은 그 인쇄 페이스트 중의 용제를 흡수하므로 그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계단식 형상에서는 점도가 높아진 조점층 (造粘層) 의 두께 치수가 제방 부근보다 중앙부에서 얇아진다. 그 때문에, 레벨링에 의한 막두께 저하량이 제방 부근과 중앙부에서 동등해지므로 인쇄 막두께의 일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판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방 및 상기 제 2 제방은 인쇄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스 각도만큼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것이고, 상기 중간 단부는 상기 제 1 제방 및 상기 제 2 제방 중 인쇄 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쇄 방향에 대하여 중간 단부 및 제방이 경사져 있으므로, 인쇄시에는 각 셀에 있어서 중간 단부 및 제방에 도달한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압력이 변화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체적으로 압력 변화가 더욱 완만해지므로, 전사 불균일이 더욱 억제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판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부는, 그 깊이 치수의 1 ? 4 배 범위 내의 폭 치수를 갖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단부는 깊이 치수 변화를 완화시킴으로써 급격한 압력 저하를 완화시키는 것이므로, 충분한 완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폭 치수가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도하게 커지면 압력 변화가 없는 영역이 발생하고 그 영역은 압력 저하의 완하에 조금도 기여하지 않는 반면, 인쇄 페이스트의 충전량을 감소시키므로, 폭 치수는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단부의 깊이 치수가 커질수록 압력 변화가 커지므로, 그 폭 치수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하한 모두 깊이 치수와의 관련에 의해 결정되며, 압력 저하를 충분히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폭 치수는 깊이 치수의 1 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압력 변화가 없는 영역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폭 치수는 깊이 치수의 4 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판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부는, 상기 셀의 깊이 치수의 1/3 ? 2/3 의 깊이 치수를 갖는 것이다. 중간 단부를 갖는 셀 형상에 있어서는, 인쇄 과정에 있어서 셀 깊이 치수의 변화에 수반되는 압력 변화를 2 번에 걸쳐 받게 된다. 어느 쪽에 있어서나 셀 깊이 치수의 급격한 변화에 수반되는 급격한 압력 저하는, 셀 깊이 치수의 변화가 작을수록 작아지므로, 중간 단부의 깊이 치수는, 그것들의 2 번의 압력 변화가 모두 충분히 작아지도록, 상기 범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관점에서, 중간 단부의 깊이 치수는 셀 깊이 치수의 1/2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제방 및 상기 제 2 제방은, 인접하는 셀을 연결시키는 노치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일부의 셀에서 페이스트 전사량의 과부족이 발생해도, 셀을 둘러싸는 둘레벽에 형성된 노치부를 경유하며 인쇄 페이스트가 유동되어 그 과부족이 완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치부의 깊이 치수는 상기 중간 단부의 깊이 치수와 동일하다. 인쇄 페이스트의 과잉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노치부의 폭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경우, 전사시의 인쇄 페이스트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치부의 깊이 치수가 얕은 쪽이 바람직하다. 노치부의 깊이 치수를 중간 단부의 깊이 치수와 동일한 정도로 하면 이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또, 그것들의 깊이 치수를 동일하게 하면, 중간 단부 및 셀 저면의 어느 쪽도 상이한 깊이 치수로 노치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부 내의 단수가 줄어드므로, 그라비아 인쇄판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이점도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라비아 인쇄판은, 상기 화상부 내에 100 (㎛) × 100 (㎛) 이상의 크기를 갖는 패턴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비교적 큰 패턴을 갖는 그라비아 인쇄판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그라비아 인쇄판이 적용되는 그라비아 인쇄기의 주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그라비아 인쇄기에 구비된 그라비아 인쇄판의 인쇄면의 일부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의 A-A 에서 봤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단면을 사용하여 피인쇄물에 대한 인쇄 페이스트 전사의 제 1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전사 직후의 인쇄막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4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레벨링 후의 인쇄막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4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인쇄 방향의 후방측보다 전방측에서 계단식부를 크게 한 구성예이다.
도 8 은 도 2 의 그라비아 인쇄판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쇄막의 일부를 확대시킨 현미경 사진이다.
도 9 는 종래의 그라비아 인쇄판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쇄막의 일부를 확대시킨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 은 종래의 다른 그라비아 인쇄판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쇄막의 일부를 확대시킨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변형되어 있고, 각 부의 치수비 및 형상 등은 반드시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그라비아 인쇄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판동 (版胴) (10) 은 예를 들어 수평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회전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저류조 (12) 중의 인쇄 페이스트 (14) 에 일부가 침지된 상태에 있다. 이 판동 (10) 의 외주면에는 오목판인 그라비아 인쇄판 (16) 이 고착되어 있고, 저류조 (12) 의 상방에는 독터 (18) 가 선단부를 그 그라비아 인쇄판 (16) 에 가압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 판동 (10) 의 상방에는, 압동 (20) 이 그 판동 (10) 과 평행한 회전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압동 (20) 은, 그들 사이를 통과한 세라믹 그린 시트 등의 피인쇄물 (22) 을 개재하여 판동 (10) 에 가압된 상태에 있다.
도 2 는 상기의 그라비아 인쇄판 (16) 의 화상부 일부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 은 그 A-A 에서 봤을 때의 단면도이다. 그라비아 인쇄판 (16) 의 화상부에는, 일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다수의 제 1 제방 (24) 과, 이것과 직교하는 타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다수의 제 2 제방 (26) 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에 의해 화상부가 구획됨으로써 인쇄 화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다수의 셀 (28)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은, 각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교점에서 교대로 노치됨으로써, 모두 길이 방향으로 단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의 단속되는 개개 부분의 길이 치수는, 모두 셀 (28) 의 대략 2 개분이다. 이들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은, 각각 예를 들어 90 (㎛) 정도의 중심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폭 치수는 각각 예를 들어 10 (㎛) 정도이다. 그 때문에, 셀 (28) 각각의 안치수 즉 셀 (28) 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30) 의 안치수는 예를 들어 80 (㎛) 사방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 (30) 의 중앙부에는, 예를 들어 60 (㎛) 사방 정도의 크기로 깊이 치수가 부분적으로 깊게 된 심부 (32) 가 구비되어 있다. 심부 (32) 의 깊이 치수는,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의 상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20 (㎛) 정도이며, 그들 사이 즉 심부 (32) 의 주위에는, 제방 (24, 26) 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벽의 일부가 계단식 형상으로 됨으로써 깊이 치수가 10 (㎛) 정도인 중간 단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단부 (34) 의 폭 치수는 심부 (32) 와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중 어느 것과의 사이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10 (㎛) 정도의 일정한 크기로 되어 있다. 즉, 중간 단부 (34) 는 폭 치수/깊이 치수 = 1 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을 각각 단속시키는 노치부 (36, 38) 는 모든 지점에 있어서 10 (㎛) 정도의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노치부 (36, 38) 의 깊이 치수는 중간 단부 (34) 와 동일하다. 또한, 이상의 제 1 제방 (24), 제 2 제방 (26), 심부 (32), 중간 단부 (34) 등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판 (16) 을 구성하기 위한 금속 원통 혹은 원기둥을 준비하고, 잘 알려진 포토에칭의 수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즉, 예를 들어 철 혹은 알루미늄제 원기둥의 표면에 Cu 등으로 도금을 실시하여 균일한 층을 형성한 후, 에칭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후, Cr 도금 등에 의해 표면을 덮음으로써 그라비아 인쇄판 (16) 이 얻어진다. 오목부 (30) 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므로, 중간 단부 (34) 및 심부 (32)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에칭 처리에서 기인되는 R10 ? 15 (㎛) 정도의 곡면이 존재한다.
또, 상기 도 2 에 인쇄 방향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은, 그 인쇄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어 22.5˚ 정도의 일정한 바이어스 각도만큼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 방향은 판동 (10) 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므로,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은 그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각도는, 판동 (10) 이 회전하며 압동 (20) 과의 사이에서 피인쇄물 (22) 을 가압하여 인쇄가 이루어질 때, 회전에 수반되는 피인쇄물 (22) 과의 접촉 면적의 변화를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인쇄 페이스트 (14) 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그라비아 인쇄판 (16) 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를 실시할 때에는, 판동 (10) 과 압동 (20) 사이에 피인쇄물 (22) 을 통과시켜 도 1 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판동 (10) 을 회전시키면, 인쇄 페이스트 (14) 가 그라비아 인쇄판 (16) 의 표면에 공급되고, 이어서, 독터 (18) 가 잉여분을 긁어 떨어뜨림으로써, 그 화상부에 형성된 오목부 (30) 에 인쇄 페이스트 (14) 가 충전된다. 그 후, 다시 판동 (10) 이 회전하면, 압동 (20) 에 의해 판동 (10) 의 판면 즉 그라비아 인쇄판 (16) 에 가압되는 피인쇄물 (22) 의 표면에 인쇄 페이스트 (14) 가 전사되어 인쇄가 실시된다.
도 4 ? 도 6 은 상기와 같이 인쇄가 실시될 때에 인쇄 페이스트 (14) 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그라비아 인쇄판 (16) 이 피인쇄물 (22) 에 가압되고, 그 오목부 (30) 내에 충전된 인쇄 페이스트 (14) 가 그 피인쇄물 (22) 의 표면에 전사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그라비아 인쇄판 (16) 이 피인쇄물 (22) 로부터 벗겨진 전사 직후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사 직후에서는 페이스트막 (40)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가 내주부와 비교하여 두꺼워져 있다.
또한, 상기 도 4, 도 5 를 대비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쇄 페이스트 (14) 는 오목부 (30) 내에 충전된 전체량이 전사되지 않고, 전사되는 것은 피인쇄물 (22) 에 접하고 있는 부분 근방의 일부의 양에 그친다. 도 4 에서 오목부 (30) 내에 도시되어 있는 파선은, 피인쇄물 (22) 에 전사되는 전사부 (42) 와, 오목부 (30) 내에 잔류하는 잔류부 (44) 의 경계선이다.
도 6 은 전사 후에 추가로 레벨링이 실시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페이스트막 (40) 은 전사된 직후에는 여전히 충분한 유동성을 갖고 있어, 레벨링이 실시됨으로써 거의 일정한 두께 치수로 핀 홀 등의 결함이 적은 (혹은 없는) 페이스트막 (40) 이 얻어진다.
이하, 상기 그라비아 인쇄판 (16) 을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내부 전극 형성에 사용한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금속 분말과, 세라믹 분말과,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킨 비히클을 혼합하고, 롤 밀로 혼련하여 인쇄 페이스트 (14) 를 제조하였다. 금속 분말은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1 (㎛) 이하인 Ni 분말이다. 또, 세라믹 분말은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1 (㎛) 이하인 BaTiO3 이다. 또, 수지는 에틸셀룰로오스, 용제는 터피네올계이다. 또, 각 성분의 혼합비는 분말 : 수지 : 용제를 35 ? 64 : 3 ? 10 : 35 ? 60 정도로 하였다. 또, 인쇄 페이스트 (14) 의 점도는 0.3 ? 6.5 (㎩?s) 로 조절하였다.
한편, 시험용 그라비아 인쇄판 (16) 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셀 (28) 로 구성된 0.5 × 2.0 (㎜) 정도 크기의 직사각형 패턴을 구비한 것을 준비하였다. 오목부 (30) 의 치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고, 비교예로서 중간 단부 (34) 를 갖고 있지 않은 깊이 치수가 20 (㎛) 및 10 (㎛) 인 2 종의 그라비아 인쇄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압동 (20) 의 가압압을 300 (㎏f), 피인쇄물 (22) 의 이송 속도를 50 (㎜/s) 으로 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하고, 120 (℃) 의 오븐에서 10 분간 건조시킨 후, 얻어진 인쇄막의 외관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단부 (34) 를 구비한 그라비아 인쇄판 (16) 을 사용하여 형성한 인쇄막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거의 일정한 두께 치수로 형성됨과 함께 핀 홀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그 반면, 중간 단부 (34) 가 형성되지 않은 것 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한 것 즉 깊이 치수가 20 (㎛) 인 그라비아 인쇄판을 사용한 비교예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직사각형 패턴의 둘레 가장자리부만이 전사되었다. 또, 깊이 치수가 10 (㎛) 으로 된 비교예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전사되었지만 다수의 핀 홀이 발생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들 도 8 ? 도 10 은 피인쇄물 (22) 에 형성된 인쇄막의 일부를 확대시켜 나타낸 것으로, 사진 중에 나타나 있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은 예를 들어 1005 사이즈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2 개분의 도체층에 대응하고, 각각 0.5 (㎜) × 2 (㎜) 의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3 종의 그라비아 인쇄판을 사용하고, 인쇄 페이스트의 조합 (調合) 사양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동일하게 인쇄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페이스트 중의 금속 분말 함유량을 40 ? 55 (wt%), 수지의 종류를 에틸셀룰로오스 외에 부티랄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수지량을 금속 성분에 대하여 1.1 ? 6.5 (wt%), 용제는 상기 터피네올계를 2 종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 외에 디하이드로터피닐아세테이트나 C10H14 등의 방향족을 사용, 점도는 100 rpm 으로 0.6 ? 0.8 (㎩?s) 로 조정하였다. 이들 다양한 조합 사양을 변경한 인쇄 페이스트에 있어서도, 인쇄 페이스트의 사양에 따라 상이는 인정되지만, 대체로 상기 도 8 ? 도 10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인쇄 결과가 되었다. 즉, 중간 단부 (34) 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그라비아 인쇄판 (16) 을 사용한 경우에는 핀 홀이 매우 적은 균일성이 높은 인쇄막이 얻어졌지만, 중간 단부 (34) 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그라비아 인쇄판에서는, 깊이 20 (㎛) 에서는 오로지 둘레 가장자리부에만 인쇄되는 결과가 되어, 깊이 10 (㎛) 에서는 다수의 핀 홀이 발생하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심부 (32) 가 셀 (28) 의 중앙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보다 인쇄 방향의 후방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중간 단부 (34) 가 인쇄 방향의 전방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단부 (34) 의 폭 치수는, 후방측에서 5 (㎛) 정도, 전방측에서 15 (㎛) 정도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평가 결과에 의하면, 인쇄 방향의 전방측에 중간 단부 (34) 가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후방측에는 중간 단부 (34)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아무런 지장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오목부 (30) 의 조건을 변경하여 실험한 결과를 설명한다. 이하의 조건 1 ? 3 에, 전술한 오목부 (30) 의 각 부 치수와 상이한 부분만을 기재한다.
(조건 1)
중간 단부 (34) 의 깊이 치수 5 (㎛)
중간 단부 (34) 의 폭/깊이 = 2
심부 (32) 의 깊이 치수 10 (㎛)
(조건 2)
중간 단부 (34) 의 깊이 치수 5 (㎛)
동 폭 치수 20 (㎛)
중간 단부 (34) 의 폭/깊이 = 4
심부 (32) 의 깊이 치수 10 (㎛)
(조건 3)
중간 단부 (34) 의 깊이 치수 5 (㎛)
중간 단부 (34) 의 폭/깊이 = 2
심부 (32) 의 깊이 치수 10 (㎛)
바이어스 각도 45˚
상기 각 부의 치수를 변경한 것 외에는 전술한 조건으로 도체막을 형성한 결과, 상기 어느 쪽의 경우에도 두께 치수가 일정하고 결함이 없는 도체막이 얻어졌다. 또, 형성된 도체막의 표면 거침도 Ra 를 측정한 결과, 상기 독터 (18) 의 블레이드 각도가 55˚ 인 경우에는, 조건 1 에서 0.33 (㎛), 조건 2 에서 0.29 (㎛), 조건 3 에서 0.24 (㎛) 로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 블레이드 각도를 변경하여 다시 평가를 실시한 결과, 65˚ 에서는, 조건 1 에서 0.30 (㎛), 조건 2 에서 0.27 (㎛), 조건 3 에서 0.20 (㎛) 의 결과가 얻어지고, 75˚ 에서는, 조건 1 에서 0.26 (㎛), 조건 2 에서 0.25 (㎛), 조건 3 에서 0.20 (㎛) 의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각도는, 판동 (10) 의 독터 (18) 접촉부의 접선과 그 독터 (18) 가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평가 결과에 의하면, 중간 단부 (34) 및 심부 (32) 의 깊이 치수를 변경해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블레이드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형성되는 막의 표면 거침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방향의 전방측에, 셀 (28) 각각에 제 1 제방 (24) 및 제 2 제방 (26) 보다 낮고 또한 심부 (32) 보다 높은 중간 단부 (34) 가 구비되므로, 제방 (24, 26) 근방에 있어서의 깊이 치수의 변화가 완화된다. 그 때문에, 압력 저하가 완화되므로, 전사 불균일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인쇄막 표면의 평활성이 높아진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추가로 다른 양태로도 실시할 수 있으며,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판동, 12 : 저류조, 14 : 인쇄 페이스트, 16 : 그라비아 인쇄판, 18 : 독터, 20 : 압동, 22 : 피인쇄물, 24 : 제 1 제방, 26 : 제 2 제방, 28 : 셀, 30 : 오목부, 32 : 심부, 34 : 중간 단부, 36, 38 : 노치부, 40 : 페이스트막, 42 : 전사부, 44 : 잔류부

Claims (3)

  1. 소정의 제 1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 개의 제 1 제방과 이것과 직교하고 또한 그 제 1 제방과 동일 높이 치수를 갖는 복수 개의 제 2 제방에 의해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셀을 화상부에 구비하고,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피인쇄물 상에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라비아 인쇄판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셀 각각은 상기 제 1 제방 및 상기 제 2 제방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벽 중 적어도 인쇄 방향의 전방측의 일부가 계단식 형상을 이룸으로써 형성된 중간 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방 및 상기 제 2 제방은 인쇄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스 각도만큼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것이고, 상기 중간 단부는 상기 제 1 제방 및 상기 제 2 제방 중 인쇄 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그라비아 인쇄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부는, 그 깊이 치수의 1 ? 4 배 범위 내의 폭 치수를 갖는 것인 그라비아 인쇄판.
KR1020110080446A 2010-09-07 2011-08-12 그라비아 인쇄판 KR101765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0215A JP5629409B2 (ja) 2010-09-07 2010-09-07 グラビア印刷版
JPJP-P-2010-200215 2010-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97A true KR20120025397A (ko) 2012-03-15
KR101765944B1 KR101765944B1 (ko) 2017-08-07

Family

ID=4597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446A KR101765944B1 (ko) 2010-09-07 2011-08-12 그라비아 인쇄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29409B2 (ko)
KR (1) KR101765944B1 (ko)
CN (1) CN102431279B (ko)
TW (1) TWI5514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5137B2 (ja) * 2012-12-19 2016-1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配向膜印刷版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133372A (ja) * 2013-01-11 2014-07-24 Fujikura Ltd 印刷装置、印刷方法、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910605B2 (ja) 2013-10-22 2016-04-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印刷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グラビア印刷機、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910606B2 (ja) * 2013-10-22 2016-04-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印刷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グラビア印刷機、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5088640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シート及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608471B (zh) * 2013-11-01 2017-09-12 上海英内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凹印版辊及其制造方法
JP6418148B2 (ja) * 2015-12-21 2018-11-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印刷版、該印刷版を備えた印刷装置、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GB2546748A (en) * 2016-01-26 2017-08-02 Sandon Global Engraving Tech Ltd Liquid-bearing articles for transferring and applying liquids
CN106515212A (zh) * 2016-09-30 2017-03-22 中山松德印刷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无溶剂凹版印刷工艺及用于该工艺的印刷机
CN106515192A (zh) * 2016-09-30 2017-03-22 中山松德印刷机械有限公司 一种无溶剂凹版印刷制版
JP6988603B2 (ja) * 2018-03-15 2022-01-05 日本製鉄株式会社 グラビアロール
JP6683232B2 (ja) * 2018-10-09 2020-04-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印刷版、該印刷版を備えた印刷装置、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7265164B2 (ja) * 2019-09-12 2023-04-26 日本製鉄株式会社 グラビアロ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塗工物の製造方法
KR20210071495A (ko) * 2019-12-06 2021-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그라비아 인쇄판 및 이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 장치
JP7465656B2 (ja) * 2019-12-25 2024-04-11 株式会社Uacj製箔 グラビア印刷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514A (en) * 1965-10-07 1987-10-06 Gravure Association Of Americ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k in gravure printing
JPH0829616A (ja) * 1994-07-19 1996-02-02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1035129A (ja) * 1996-07-25 1998-02-10 Sumitomo Rubber Ind Ltd 印刷用凹版とその製造方法
JP3533600B2 (ja) * 1999-09-08 2004-05-31 リコー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凹版並びに凹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347763A (ja) * 2000-04-06 2001-12-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グラビア版胴およびグラビア印刷装置
US20040209197A1 (en) * 2003-04-17 2004-10-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hotogravure pr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ceramic electronic component
JP4007335B2 (ja) * 2003-04-17 2007-11-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5512A (en) 2012-04-16
TWI551463B (zh) 2016-10-01
JP5629409B2 (ja) 2014-11-19
CN102431279A (zh) 2012-05-02
JP2012056143A (ja) 2012-03-22
CN102431279B (zh) 2016-08-10
KR101765944B1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5397A (ko) 그라비아 인쇄판
TWI332437B (en) Photogravure printing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photogravure printing machine and gravure roll
JP4007335B2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8270829A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1328319B1 (ko) 적층형 전자부품 제조를 위한 그라비아 인쇄장치 및 그라비아 인쇄장치를 사용한 적층형 전자부품
JP2009172949A (ja) グラビア印刷版および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432106B2 (ja) グラビア印刷用インク、及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1204562B1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제조 방법
JP4225265B2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012990B2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217226970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CN217455294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CN217455297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JP3916492B2 (ja) グラビア印刷用版及び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225260B2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7296861A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2668051B1 (ko)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JP5261890B2 (ja) スクリーン印刷版
JP2006110825A (ja) 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6418148B2 (ja) 印刷版、該印刷版を備えた印刷装置、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6051651A (ja) 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9006126A (ja) 印刷版、該印刷版を備えた印刷装置、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9006126A5 (ko)
KR20110015763A (ko) 2줄 인쇄용 음각홈을 갖는 제판 및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