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706A - 공기차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차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706A
KR20120024706A KR1020117029033A KR20117029033A KR20120024706A KR 20120024706 A KR20120024706 A KR 20120024706A KR 1020117029033 A KR1020117029033 A KR 1020117029033A KR 20117029033 A KR20117029033 A KR 20117029033A KR 20120024706 A KR20120024706 A KR 2012002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user
height adjustment
assembl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964B1 (ko
Inventor
에릭 알. 퀴니
마크 에이. 슈거트
신 티. 웨일런
더글라스 에프. 슈완츠
로버트 티. 웨일런
Original Assignee
알테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0853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247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테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테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2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63B22/00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the exercises for arms and legs being functionally independ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inclination of the main axis of the movement path being adjustable, e.g. the inclination of an endless b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76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5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A63B2208/053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high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6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96Involving pressur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공기차압 시스템의 다양한 구체예들과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 방법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공기차압 시스템은 사용자의 하체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차등적인 공기 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차압 시스템은 압력 챔버를 사용자의 신체에 밀봉하는 사용자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밀봉부의 높이는 다양한 신장을 가진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차압 시스템{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관련 출원의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5월 15일 제출된 미국 가 출원 제61/178,901호, 발명의 명칭 "공기차압 시스템"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것의 전문이 참고자료로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기차압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가해지는 중력을 상쇄하는 방법이 치료 용도뿐 아니라 신체훈련을 위해서 고안되었다. 중력의 효과를 상쇄하는 한 방식은 신체 구속복(harness)을 사용하여 사람을 공중에 매달아 지면에 충돌하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구속복 시스템은 압력점들이 있어 불편할 수 있고, 때로는 심지어 상처가 생길 수도 있다. 중력을 상쇄하는 또 다른 접근법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수계 시스템에 잠기게 해서 부력으로 인해서 물이 중력을 상쇄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계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상향 지지력은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아서 사용자의 신체별로 물 표면에서 잠기는 깊이가 다르게 된다. 더욱이, 물의 점성질이 사용자의 근육 활성화 패턴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공기차압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대한 다양한 구체예들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공기차압 시스템은 사용자의 하체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차등적인 공기 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차압 시스템은 압력 챔버를 사용자의 신체에 밀봉하는 사용자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밀봉부의 높이는 다양한 신장을 가진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을 수용해서 사용자의 신체와 챔버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경계면을 가진 양압 챔버, 및 밀봉 경계면에 인접한 챔버에 부착된 높이 조정 조립체 및 높이 조정 조립체에 부착된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차압 시스템이 제공된다. 양압 챔버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투명 패널 및/또는 미끄럼 방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패널은 밀봉 경계면에 인접해 있을 수 있다. 높이 조정 조립체는 2개의 상응하는 조정 기둥(post) 내에 위치된 이동가능한 2개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가능한 각 단부는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추가 예에서, 제 1 롤러는 제 2 롤러에 대해 직교하여 또는 반대로 배향될 수 있고, 다른 예에서는 3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제 1 롤러는 제 1 표면에 위치되고, 제 2 롤러는 제 1 표면과 반대면에 위치되고, 제 3 롤러는 제 1 표면 또는 반대면과 직교면에 위치된다. 또한, 이동가능한 각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높이 조정 조립체를 기울임으로써 가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높이 조정 조립체는 고정(locking)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수평식, 수직식, 회전식, 당기는 식, 또는 미는 식으로 가동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사용자 밀봉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핀-래치(pin-latch) 고정 메커니즘일 수 있다. 높이 조정 메커니즘은 이동식 조립체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하도록 구성된 평형추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떤 예에서는 이동식 조립체와 양압 챔버의 유효 조합 중량이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형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기둥에 위치된 추(weigh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형추 시스템은 밀봉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챔버에 부착된 플랫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메커니즘은 챔버 내부의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플랫폼에 대한 밀봉상태를 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발포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압력 챔버, 및 제 1의 이동가능한 형태와 제 2의 고정된 형태를 갖는 수직 조정식 캔틸레버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차압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 2의 고정된 형태는 압력 챔버의 팽창에 의해서 가동된다.
또 다른 예에서, 평형추 높이 조정 조립체를 사용하여 제어 패널과 압력 챔버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차압 시스템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높이 조정 조립체의 캔틸레버형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기울여서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맞물리거나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캔틸레버형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기울이는 단계는 압력 챔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기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플랫폼에 밀봉 가능하게 부착된 압력 챔버에 위치된 팔다리에 적용되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팔다리에 적용되는 압력의 증가에 상응하여 압력 챔버와 플랫폼의 밀봉상태를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차압 시스템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구체예들의 다양한 특징들과 이점들은 실례가 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제시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공기차압 시스템의 일례를 도식적으로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a는 공기차압 시스템의 일례의 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시스템의 상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압력 챔버의 일례의 중앙 패널 및 사이드 패널을 각각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도 4a 및 4b는 압력 챔버의 일 구체예를 예시하며, 도 4a는 압력 챔버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챔버의 상면도이다.
도 5는 공기차압 시스템의 기부(base)에 부착된 압력 챔버의 일 구체예의 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각각 펼쳐진 상태의 압력 챔버의 또 다른 구체예의 도식적 전방 및 후방 투시도이고, 도 6c는 접혀진 상태의 압력 챔버의 도식적 전방 투시도이다.
도 7a는 공기차압 시스템의 압력 챔버와 기부 사이의 부착 경계면의 일 구체예의 투시도이고, 도 7b는 압력 챔버가 없을 때 도 7a의 부착 경계면의 상세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공기차압 시스템 기부의 구성요소의 도면이고, 도 7d는 도 7a의 챔버의 하부 엣지의 상세도이다.
도 8a는 공기차압 시스템용 높이 조정 메커니즘의 일 구체예의 투시도이고, 도 8b는 2개의 사이드 기둥이 제거됨으로써 기둥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드러난 상태의 도 8a의 구체예의 투시도이고, 도 8c는 고정된 형태의 도 8a 및 8b의 구체예의 투시도이고, 도 8d 및 8e는 각각 도 8a의 구체예의 직교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9a는 공기차압 시스템용 고정 메커니즘의 일 구체예의 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구체예의 구성요소의 투시도이고, 9c는 이동식 조립체에 수용된 도 9a의 구체예의 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콘솔 프레임의 일부분에 팽창된 챔버를 부착하는 방법의 일 구체예를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도 11a는 공기차압 시스템의 다른 예의 투시도이고, 도 11b는 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도 11a의 시스템의 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조정식 조립체의 높이 표시자의 후방 상승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a의 시스템의 조정식 조립체의 구성요소의 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a의 시스템의 뒤쪽 보유(retaining) 레일, 후방 챔버 패널, 및 플랫폼의 도식적 투시도이다.
도 15는 조정 조립체 작용할 수 있는 힘을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본원에서는 구체예들이 설명되고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구체예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구체예들을 벗어나지 않는 변형, 변화 및 치환이 있을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예시를 위한 구체예들에 대한 다양한 대안들이 이 구체예들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본원에 설명된 구체예들에 관해서 방법들의 단계들이 반드시 실질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공기차압 시스템
공기차압(differential air pressure; DAP) 시스템은 공기 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훈련 및 재활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위한 양압 또는 음압 중량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DAP 시스템의 다양한 예들이 2006년 9월 28일 제출된 국제 특허출원인 PCT/US2006/038591, 발명의 명칭 "개인의 신체 일부분에 공기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2008년 10월 15일 제출된 국제 특허출원인 PCT/US2008/ 011807, 발명의 명칭 "공기차압 장치를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및 2008년 10월 15일 제출된 국제 특허출원인 PCT/US2008/011832, 발명의 명칭 "공기차압 장치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설명되며, 이들 모두 전문이 본원에 참고자료로 포함된다.
도 1은 임의의 운동 시스템(112)을 수용하는 충분히 기밀인 챔버(102)를 포함하는 DAP 시스템(100)의 일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챔버(102)는 사용자(101)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하체(106)와의 충분한 기밀 밀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밀봉부(104)를 포함한다. 압력 조절 시스템(103)을 사용하여 챔버 외부의 주위 압력(P1)에 대하여 챔버(102) 내부의 압력 수준(P2)을 변화시킨다. DAP 시스템에 위치된 사용자가 챔버(102)에 밀봉된 채 챔버 압력(P2)이 변했을 때, 챔버(102) 안에 있는 사용자(101)의 하체(106)와 챔버(102) 밖에 있는 상체 사이의 공기 차압(ΔP=P2-P1)이, 밀봉부(104)를 통해서 작용하면서 사용자의 하체(106)에도 직접 작용하는 수직 힘을 일으킨다. 챔버 압력(P2)이 주위 공기 압력(P1)보다 높은 경우, 상향 수직 힘(Fair)은 공기 압력 차이(ΔP)와 사용자 밀봉부 단면적(110)의 곱에 비례한다. 상향 힘(Fair)은 중력을 상쇄할 수 있어, 공기 압력 차이(ΔP)에 비례하는 부분적 체중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이 중량 지지구조는 관절에 작용하는 지면 충돌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예를 들어 자세, 보행 또는 다른 신경근육 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근육의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챔버(102)는 챔버(102)와 운동기구(112)를 지지하는 플랫폼 또는 기부(108)에 부착될 수 있다. 운동기구(112)는 챔버(1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트레드밀, 스텝퍼 기구, 달리기 운동기구, 밸런스 보드 등의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운동기구들은 실내자전거나 로잉머신 같은 착석형 장비를 포함한다. 착석형 장비에 중량 지지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보행이 어려운 환자들의 물리치료나 운동을 보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의 예로는 좌골 결절부나 천골 영역의 피부에 욕창이 있거나 다른 약해진 피부 상태를 가진 환자들이 포함되지만, 이러한 환자들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트레드밀 같은 운동 시스템 또는 기구(112)는 하나 이상의 조정 메커니즘(예를 들어, 일량, 높이, 경사도 및/또는 속도)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DAP 시스템 콘솔에서 제어 또는 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심박 센서와 같은 다른 특징들도 별도로 관리되거나, 또는 DAP 콘솔에 통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1에 도시된 트레드밀은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원에 개시된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운동기구들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챔버(102)는 가요성 챔버 또는 엔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합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가요성 재료는 충분히 기밀인 직물 또는 공기 누출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재료로 코팅되거나 처리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료는 공기가 어느 정도 흐를 수 있도록 약간 투과성이거나 다공성일 수도 있지만, 챔버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될 수 있을 만큼은 충분히 기밀이어야 한다. 챔버(102)는 단일체 디자인일 수 있거나, 또는 다중-패널 및/또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챔버(102)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부분과 하나 이상의 반-강성 또는 강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부분은 챔버(102)의 구조적 완전성을 보강하고, 및/또는 챔버(102)를 펼치거나 접는 것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강성 부분은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정된 플랫폼 또는 레일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팽창이나 수축시 위치가 변하는 가요성 재료로 둘러싸인 강성 구획, 패널 또는 로드(또는 다른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이나 재료의 예들은 하기 더 상세히 설명된다. 다른 예에서, 챔버(102)는 가요성 엔클로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엔클로저 재료(들)에 통합된, 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엔클로저 또는 강성 부분은 적합한 강성 재료, 예를 들어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챔버(102)의 사용자 밀봉부(104)는 타원형, 원형, 다각형 또는 그외 다른 모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별 사용자(101)의 허리선의 다양한 모양 및/또는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자 밀봉부(104)는 상이한 신체 사이즈 및/또는 모양을 가진 사람들을 수용하도록 조정이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범위의 사이즈나 체형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사용자 밀봉부 디자인의 비제한적 예들은 지퍼, 고무밴드, 고정식 부재(예를 들어, 조여매는 끈이나 조여묶는 끈), 고마찰재, 접합재, 자석, 걸쇠, 단추, VELCRO™, 및/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본원에 참고자료로 포함되는 PCT 출원들인 PCT/US2006/038591, PCT/ US2008/011807 및 PCT/US2008/011832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어떤 예에서, 사용자 밀봉부(104)는 챔버(10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별도의 압력 구조물이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밀봉부는 패널이 달린 허리띠나 벨트 또는 스커트, 또는 한 쌍의 쇼트팬츠 또는 팬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압력 클로저는 상기 열거된 부착 메커니즘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충분한 기밀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밀봉부(104)는 통기성이고, 및/또는 세탁이 가능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밀봉부(104)는 사용자의 가슴 이하를 밀봉할 수 있고, 어떤 변형에서 밀봉부(104)는 사용자의 허리 영역에서 가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 밀봉부(104) 및/또는 챔버(102)는 복수의 개구부(105)(opening)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05)를 사용하여 챔버나 사용자의 몸통 영역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변경할 수 있고, 및/또는 개구부(105)는 사용자(101)의 허리나 몸통 주위의 압력 분포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몸통 앞에 위치된 개구부는 압력 하에서 가요성 허리 밀봉부의 풍선효과로 인해 사용자의 위 주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구부는 비-기밀 직물 영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챔버(102)의 벽에 큰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포함될 수 있다. 개구부는 고정된 형태(예를 들어, 고정된 유효 개구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가변 형태(예를 들어, 조정가능한 유효 개구 크기 또는 흐름)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는 개구부의 개방성 및/또는 완전성을 보강할 수 있는 입구 또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 또는 지지 구조물은 또한 가변 개구부 형태를 제공하기 위한 밸브 또는 셔터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개구부는 수동 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자동 조정될 수도 있다. 어떤 변형에서, 가변적 형태를 가진 개구부들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대로, 압력 조절 시스템(103)을 사용하여 챔버(102) 내부의 압력 수준을 관리할 수 있다. 압력 제어 시스템의 다양한 예들이 본원에 참고자료로 포함되는 PCT 출원인 PCT/US2006/038591, PCT/US2008/011807 및 PCT/US2008/011832에 설명된다. 도 1에 예시된 대로, 압력 조절 시스템(103)은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120), 프로세서(122) 및 압력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원(114)은 펌프, 송풍기, 또는 챔버(102)에 가압 기체를 도입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의 특정 예에서, 압력원(114)은 컴프레서 또는 송풍기 시스템(126)을 포함하고, 이것은 기체(예를 들어,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124), 챔버(102)까지 이어진 출구(128)를 더 포함한다. 컴프레서 또는 송풍기 시스템(126)은 가변적인 펌프 또는 팬 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을 조정하여 챔버(102)로의 기류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압력 조절 시스템은 시스템의 유입구가 챔버의 벽 주위에 위치되도록 챔버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스템의 출구는 챔버 내부에 위치된다.
어떤 변형에서, DAP 시스템(100)은 챔버 환기(venting) 시스템(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116)은 챔버(102)로부터 기체 또는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유입구(130), 하나 이상의 압력 조절 밸브(132) 및 출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 밸브(132)와 그것의 출구(134)는 챔버(102)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유입구(130)는 챔버(102)(또는 기부)의 벽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압력 조절 밸브와 유입구는 챔버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출구는 챔버 또는 기부의 벽에 위치된다. 밸브(132)는 압력 조절 시스템(103)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으며, 압력원(114)의 조절과 조합해서(예를 들어, 송풍기(126)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것) 및/또는 압력원(114)의 조절을 대신해서(예를 들어, 압력원이 조절이 불가능한 압력원인 경우), 챔버(102)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132)는, 예를 들어 긴급상황이나 시스템이 불능인 동안에 챔버(102)를 환기시키거나 감압할 수 있는 안전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별도의 안전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압력 조절 밸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별도의 안전 밸브는 압력 조절 밸브보다 큰 개구부나 높은 유속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프로세서(122)는 압력원(114), 챔버 압력 센서(120), 운동 시스템(112)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예를 들어, 사용자 제어 패널)(118)을 제어하고 및/또는 이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3)의 프로세서(122)와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들 각각의 통신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압력원(114)과 양방향으로 여러 신호들 중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의 예들은 압력원(114)의 온/오프 상태 및 온도, 유입구(124) 및/또는 출구(128)에서의 기체 속도/온도 등이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챔버(102) 내부의 바람직한 압력, 개체 체중의 상쇄되어야 할 바람직한 퍼센트, 사용자의 체중을 상쇄하기 위한 추의 양 및/또는 통증 수준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어 패널(118)로부터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챔버(102) 내부의 압력 수준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압력 센서(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소스들 중 하나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22)는 압력원(114)(또는 압력 조절 밸브(115))으로 구동 신호를 보내서 챔버(102)로의 기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챔버(102) 내부의 압력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바람직한 압력 수준은 미리 설정될 값일 수 있고, 다른 변형에서는 제어 패널(118)로부터 수신된 값, 또는 예를 들어 제어 패널(118), 또는 중량 센서, 보속(stride frequency) 센서, 심박 센서, 분석 소프트웨어 내장 카메라 등에 의한 보행 분석 피드백, 또는 지면 반응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른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유도된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압력 센서(120)로부터 판독된 챔버(102)의 압력 및/또는 제어 패널(118)로부터의 사용자 지시에 기초하여 운동 시스템(112)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변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널(118)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보정(calibration) 과정을 개시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보정 과정의 다양한 예들이 2006년 9월 28일 제출된 국제 특허출원인 PCT/US2006/038591, 발명의 명칭 "개체의 신체 일부분에 공기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2008년 10월 15일 제출된 국제 특허출원인 PCT/US2008/011807, 발명의 명칭 "공기차압 장치를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및 2008년 10월 15일 제출된 국제 특허출원인 PCT/US2008/ 011832에 설명되며, 이들 모두 전문이 본원에 참고자료로 포함된다. 간단히 말해서, 압력 조절 시스템(103)은 사용자의 상응하는 중량이나 지면 반응력을 측정하면서 DAP 시스템(100)에 밀봉된 사용자에게 일련의 또는 일정 범위의 압력(또는 기류 속도)을 적용할 수 있다. 짝지어진 값에 기초하여, 압력 조절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대 중량과 압력 사이의 보정된 상호관계를 정상 체중 또는 중력 대비 퍼센트로서 표시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일련의 또는 일정 범위의 압력은 고정된 또는 정해진 연속값 또는 범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중은 X mmHg에서 Y mmHg까지 Z mmHg씩 증가하는 각 챔버 압력에서 측정된다. X는 약 0 내지 약 100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며, 때로 약 0 내지 약 50일 수 있고, 다른 경우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Y는 약 40 내지 약 150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며, 때로 약 50 내지 약 100일 수 있고, 다른 경우 약 60 내지 약 80일 수 있다. Z는 약 1 내지 약 30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며, 때로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고, 다른 경우 약 10 내지 약 15일 수 있다. 고정된 또는 정해진 연속값이나 범위는 사용자의 체중이나 질량, 및/또는 사용자의 신장 또는 해발 고도와 같은 다른 요인들에 독립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에 좌우될 수 있다. 한 특정 예에서, 사용자의 기준 체중이 대기압 하에서 측정되고, 측정된 체중에 기초하여 X, Y 및/또는 Z가 결정된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의 정지 상태의 지면 반응력이 하나 이상의 비-대기압 하에서 1회 이상 측정되고, 보정 과정에서 결정된 Y 값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어떤 예에서, 압력 조절 시스템은 또한 검증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챔버 압력이 예상된 상대 체중에 맞춰 변경되면서 동시에 실제 체중이 측정되거나 표시된다. 어떤 추가의 예에서, 보정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측정된 압력 또는 지면 반응력 값이 안전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난다면, 특정 측정이 어떤 회수만큼 자동 반복될 수 있고, 및/또는 시스템 오류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오류 신호는 보정 과정을 중단시킬 수 있고, 제어 패널(118)을 통해 과정을 계속하기 전에 안전 검사를 수행하라는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차압(DAP) 시스템의 다른 예가 도 2a 내지 2c에 예시된다. 이 DAP 시스템(300)은 사용자 밀봉부(350)를 가진 압력 챔버(310), 챔버(310) 내의 운동기구(도시하지 않음), 프레임(320) 및 콘솔(330)을 포함한다. DAP 시스템(300)은 또한 사용자 밀봉부(350)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정 메커니즘(3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 조정 메커니즘(334)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 메커니즘(333)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DAP 시스템(300)의 특징들 및 변형들이 하기 더 상세히 논의된다.
압력 챔버
도 2a 및 2b는 압력 챔버(310)가 펼쳐진 상태의 DAP 시스템(300)을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챔버(310)는 표면이 일반적으로 평면인 형태로서 도시되지만, 사용중에는 팽창되거나 가압되었을 때 표면 전체는 아니지만 적어도 일부가 바깥쪽으로 부풀 수 있다. 챔버(310)는 가압되었을 때 및/또는 감압되거나 또는 다른 식으로 접혔을 때 특정 모양 또는 윤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모양 또는 윤곽은 챔버(310) 내부의 동작 및/또는 챔버(310) 외부의 동작을 포함하여 특정 움직임이나 동작을 수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모양 또는 윤곽은 직물이 느슨해져 발이 걸릴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최소화되도록 접힌 상태의 엔클로저의 모양을 조절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도 2a에서, 예를 들어, 챔버(310)는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길다. 챔버의 길이와 너비의 비는 약 1.5:1 내지 약 5:1 또는 이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며, 어떤 예에서는 약 2:1 내지 약 4:1의 범위이고, 다른 예에서는 약 2.5:1 내지 약 3.5:1의 범위일 수 있다. 기다란 길이는 트레드밀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고, 및/또는 어떤 훈련법과 관련된 신체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 길이가 길면 달리기 및 다른 형태의 보행과 관련해서 앞으로 다리를 뻗고 및/또는 뒤로 다리를 차기 위한 넓어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챔버는 길이보다 너비가 넓을 수 있고, 길이 대 너비의 비는 상기 설명된 범위의 정반대일 수 있거나, 또는 제한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눈물방울 또는 다각형의 발자국을 포함하는 직사각형과는 다른 모양이나 발자국을 가질 수 있다. 도 5와 관련해서, 챔버(310)는 또한 가변적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챔버(310)의 하나 이상의 구획이 챔버(310)의 다른 구획과는 다른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310)는 챔버(310)의 상부 앞 너비(362) 및/또는 상부 뒤 너비에 비해서 감소된 상부 중심 너비(3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앞 너비와 상부 뒤 너비는 유사할 수 있으며, 상부 중심 너비에 대한 이들의 비는 약 5:3이다. 다른 예에서는, 이 비가 약 1:2 내지 약 4:1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며, 어떤 예에서는 약 1:1 내지 약 3:1이고, 다른 예에서는 약 5:4 내지 약 2:1일 수 있다. 또한, 앞, 중심 및/또는 뒤 영역에서 상부 너비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영역의 하부 너비(366, 368, 370)보다 작거나 넓을 수 있다. 상부 너비 대 하부 너비의 비는 약 1:4 내지 약 4:1의 범위일 수 있으며, 때로 약 1:2 내지 약 1:2이고, 다른 경우에는 약 2:3 내지 약 1:1일 수 있다. 백(bag)은 사용하지 않는 공간에 추가 구성요소들을 놓아둘 때에 효율적인 용적을 허용하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예시된 대로, 챔버(1118)의 정면 구획(1116)은 아래위로 움직일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정면 구획(1116) 위에 송풍기(1110), 밸브(1112) 및 전자장치(1114)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챔버의 윤곽 및/또는 봉합부는 직물의 응력을 줄이기 위해 코너에서 충분한 반경들을 이용하여 라운드형으로 되거나 곡선형으로 될 수 있으며, 또는 응력이 높은 경우에는 보강 패치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a 내지 2c의 DAP 시스템(300)과 관련해서, 앞 및 뒤 영역에서 상부 너비 대 하부 너비의 비는 약 2:3일 수 있고, 중심 영역에서 이 비는 약 2:5일 수 있다. 챔버(310)의 하나 이상의 구획은 제한은 아니지만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단면 모양을 포함해서 여러 가지 축 단면 모양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모양은 제한은 아니지만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원형 및 반원형 모양(또는 원이나 다른 모양의 다른 일부분) 등을 포함한다. 동일한 방향의 축을 따른 챔버의 둘 이상의 구획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단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중심의 너비(또는 사용자 밀봉부(350)에 인접한 다른 영역)가 감소된 챔버(310)는 챔버(310)의 위나 바깥에 넓어진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보행 동안 팔의 흔들림을 수용하고, 안전 핸드레일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게 되고, 및/또는 보행 보조기구(예를 들어, 보행기 또는 지팡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에서, 챔버의 상부 중심 너비나, 또는 챔버의 다른 구획이 상기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구획에 비해 넓어질 수 있으며, 어떤 특정 예에서는 챔버가 챔버 위에 팔이나 손을 얹기 쉽게 구성되거나, 또는 심지어 하나 이상의 핸들로 챔버를 직접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DAP 시스템의 챔버는 그것의 길이 및/또는 너비를 따라 고정된 또는 가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그것의 상부 표면을 따라 가변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챔버의 수직 높이는 최대 높이나 특정 구조, 예를 들어 사용자 밀봉부에 대한 높이의 퍼센트로서 표시될 수 있다. 챔버의 최대 높이는 앞 영역에서 뒤 영역까지 그리고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어디든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둘 이상의 최대 높이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최대 높이보다는 짧은 약간 낮은 최대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약간 낮은 최대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표면은 일반적으로 수평인 배향을 가진 하나 이상의 구획 및/또는 앞에서 뒤까지, 왼쪽에서 오른쪽까지(또는 반대로도 가능) 위나 아래로 경사진 각진 배향을 가진 하나 이상의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형태는 챔버의 상부를 두 구획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된 구획(또는 상향 급경사 또는 하향 급경사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c에 묘사된 대로, 챔버(310)는 사용자 밀봉부(350)의 높이의 약 50% 이하의 높이의 앞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떤 변형에서 이 높이는 최대 높이의 약 1% 내지 약 100%의 범위에서 어디에든 있을 수 있으며, 때로 약 5% 내지 약 80%, 다른 경우에는 약 20% 내지 약 5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높이가 감소된 영역은 챔버 내부에 트레드밀과 같은 내부 구조물을 위한 추가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높이가 감소된 영역 위에는 외부 구조물을 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구조물은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다.
압력 챔버는 엔클로저를 성형 및 가열 경화하거나, 또는 특정 형태로 복수의 패널을 부착하는 것 등의 다양한 제작 과정 중 하나에 의해서 조립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 예시된 챔버(310)는 2개의 사이드 패널(312)과 중앙 패널(313)을 포함하지만, 다른 변형에서는 더 적은 수나 많은 수의 패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챔버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패널은 중앙 패널이나 나머지 사이드 패널의 하나 이상의 부분과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3b에 도식적으로 예시된 대로, 이들 패널(312 및 313)은 시트형 재료로부터 절단되거나 또는 제작된 다음에, 비-평면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챔버(310)의 중앙 패널(313)은 앞 엣지(371), 뒤 엣지(373) 및 2개의 비-선형의 중앙에 있는 좁은 외측 엣지(375)를 가진 기다란 시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중앙 패널(313)은 중심에서보다 앞과 뒤의 너비가 더 넓다. 사이드 패널(312)은 불규칙적인 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선형인 수평 하부 엣지(372), 일반적으로 선형인 수직 앞 엣지(374) 및 일반적으로 선형인 수직 뒤 엣지(376)를 포함하며, 상부 엣지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 1 상부 엣지(378), 일반적으로 수직인 제 2 상부 엣지(380), 일반적으로 상향 경사형인 제 3 상부 엣지(382),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 4 상부 엣지(384) 및 일반적으로 하향 경사형인 제 5 상부 엣지(386)를 포함한다. 한 엣지에서 인접 엣지까지 이어지는 부분은 단절되거나 또는 점진적일 수 있으며, 각진 형태이거나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사이드 패널(312)과 중앙 패널(313)의 외측 엣지(375)는 일반적으로 대칭이거나 거울상일 수 있으며, 다른 변형에서는 사이드 패널 및/또는 중앙 패널의 외측 엣지는 비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엣지 모양을 일반적인 직교 배향으로 특정할 필요는 없고(예를 들어, 앞/뒤/상부/하부), 사용된 기준점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에서, 제 2 상부 엣지(380)는 또한 앞 엣지로서 특정될 수 있고, 엣지(378)는 앞 엣지 또는 상부 엣지로서 특정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패널의 엣지들 중 하나 이상은 일반적으로 곡선형이거나 또는 비-선형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향 경사, 하향 경사, 수직, 또는 수평일 수 있고, 다수의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도 6a 및 6b에 도시된 대로 외부 구획은 더 강성이고 내부 구획은 더 가요성인 것처럼 접는 것을 촉진하는 모양일 가질 수 있는데, 이 모양은 나비 모양이나 모래시계 모양과 유사하지만, 중심부의 치수가 감소된 여러 가지 다른 적합한 모양들 중 하나를 가질 수도 있다.
2개의 사이드 패널(312)의 엣지 또는 엣지 영역은 중앙 패널(313)의 외측 엣지(375)(또는 외측 엣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이드 패널(312)의 앞 엣지(374)가 중앙 패널(313)의 제 1 엣지(374')에 부착되는 등이다. 중앙 패널(313)의 여러 엣지들은 (앞에서 뒤까지, 또는 다른 기준점까지) 평행 엣지(378' 및 384'), 테이퍼형 엣지(374', 380' 및 382') 또는 플레어형 엣지(388')로서 특정될 수 있다. 엣지 또는 엣지 영역은 제한은 아니지만 바느질, 아교 접착, 열 융합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메커니즘 중 하나에 의해서 부착 및/또는 봉합될 수 있다. 또한, 챔버는 접힐 수 있는 단일 패널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챔버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거나 자체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엣지-엣지, 엣지-표면 또는 표면-표면). 도 4a 및 4b는 각각 조립된 상태와 펼쳐진 상태의 챔버(310)의 직교정면도 및 상부도로서, 챔버(310)의 윤곽을 도식적으로 묘사한다. 도 4a는 챔버(310)의 넓은 기부와 좁은 상부면을 도식적으로 예시하는데, 이것은 도 4b에 묘사된 대로 챔버(310)의 사이드 패널(312) 사이에 오프셋(offset) 또는 갭(401)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위쪽으로 테이퍼형인 챔버는 사용된 직물이나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고, 및/또는 챔버가 가압될 때 부푸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챔버 또는 챔버의 패널들은 정해진 접는선 또는 접는 영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정해진 모양에 따라 챔버를 접거나 수축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는 아코디언이나 풀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로써 챔버를 안팎으로 교대로 접어 정해진 형태로 접으면 챔버가 한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정해진 접는선은 제한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챔버의 가요성 영역과 강성 영역 사이의 경계면, 패널을 따라 있는 접은 자국, 또는 인접 패널의 일반적으로 각진 엣지 사이의 패널 영역을 포함한다. 어떤 변형에서, 접는선은 열 경화 또는 기계적 압착에 의해 제공된 접은 자국이나 주름일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접는선은 금을 새기거나, 또는 라인이나 두께가 감소된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접는선은 두꺼운 영역, 강성 영역, 릿지 또는 다른 타입의 돌출부를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챔버에 동일한 또는 상이한 패널 재료의 스트립을 꿰매거나 부착함으로써 다른 접는선이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변형에서는 경화성 재료나 경화형 재료(예를 들어, 접착제)를 꿰매거나 또는 적용하는 것만으로 접는 것을 제어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접는선은 챔버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기다란 부재(예를 들어, 레일 또는 트레드, NITINOL™ 제조)를 부착하거나 매립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기다란 부재는 여러 특징들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선형 또는 비-선형, 단련가능성, 탄성, 강성, 반-강성 또는 가요성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챔버 또는 패널은 기다란 부재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보조하기 위한 미리 형성된 홈 또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어떤 변형에서는 상이한 타입의 용도나 사용자에 맞춰 챔버를 재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접는선은 챔버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챔버 포켓에 삽입된 2개의 패널 사이에 하나 이상의 기계적 힌지 메커니즘(예를 들어, 리빙 힌지)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의 접는선은 각각 동일한 또는 상이한 타입의 접는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정해진 방식으로 챔버를 접는 것은 챔버에 부착된 탄성 장력 요소나 밴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4a 및 4b에 예시된 대로, 챔버(310)의 중앙 패널(313)은 하나 이상의 접는선(391, 393 및 395)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정해진 모양이나 형태로 챔버를 수축시키거나 접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정해진 모양은 사용자의 발에 걸리거나 사용자를 방해할 수 있는 돌출된 접힘부나 표면 불규칙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스템 진입 및/또는 사용자와 시스템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접는선(393)은 중앙 패널(313)의 인접한 외부 표면들이 서로 마주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이드 패널 모양으로 인하여 약 180도를 넘는 내부 각도로). 이 형태는 차례로 최근접 접는선(391 및 395)이 이들의 인접한 내부 표면들이 서로 마주 접히도록 접히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챔버의 앞 영역에 있는 정해진 접는선(391, 393 및 395)은 뒤 챔버의 상응하는 평탄부를 만들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대로, 중앙 패널(313)의 정면 및 후면 엣지(373 및 375)와 사이드 패널의 하부 엣지(372)는 가요성 패널이나 재료보다는 오히려 시스템 플랫폼 또는 기부(321)에 부착되며, 다른 변형에서는 하부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312)은 챔버(310)의 중앙 패널(313)과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어떤 변형에서는 사이드 패널이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변형에서, 신축성 또는 가요성 특성(또는 어떤 다른 재료 특성)은 이방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310)의 중앙 패널(313)은 가로 방향(즉, 도 5에서 X 축을 따른 방향)으로 챔버가 펼쳐지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신축성이 적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312)은 신축성이 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것은 챔버(310)의 신축성이 적은 부분에 작용하는 장력을 재분포시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사이드 패널(312)은 비교적 가요성이 큰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수축되거나 접힐 때 중앙 패널(313)이 정해진 패턴대로 접히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챔버(310)는 적합한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직물(직조 직물 또는 부직물), 중합체 시트(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염화폴리비닐, Nylon?, Mylar? 등), 가죽(천연 또는 합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재료는 불투명, 반투명, 또는 투명 재료일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중앙 패널(313)의 외부 표면은 미끄럼 방지 재료 또는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으며, 및/또는 사용자가 수축된 챔버(310) 위를 걸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릿지나 다른 표면 텍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가진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압력 챔버(610)의 일례를 묘사한다. 여기서, 사이드 패널(612)과 중앙 패널(613)은 일반적으로 기밀인 투명창(630, 632, 634, 636 및 638)을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밀봉부(650)는 하나 이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투명 재료는 건강관리 제공자나 다른 관찰자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펼쳐진 상태 및/또는 접힌 상태에서 챔버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창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하체를 볼 수 있도록 해서 보행 안정성 및/또는 균형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612)의 사이드 창(630)은 비-선형의 오목한 엣지(640 및 642)를 앞과 뒤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오목한 엣지(640 및 642)는 접는선(647)을 따라 사이드 패널(612)이 접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대로, 미리 접힌/가압된 상태에서 사이드 창(630)을 부풀림으로써 사이드 창(630)은 또한 안쪽으로 접히는 것보다는 오히려 바깥쪽으로 접히는 것이 쉽게 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접힌 형태에서 사이드 창(630)이 바깥쪽으로 접히도록 촉진함으로써 시스템에 들어갈 때 발에 걸리거나 밟힐 수 있는 챔버 재료가 사용자 밀봉부(650)에 적게 인접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상부 뒤 구획(644)이 더 평탄한 배향으로 놓여서 중앙 패널(613)의 뒤 엣지(677)부터 사용자 밀봉부(650)까지에 이르는 영역에 걸쳐 있게 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접는선(649)을 따라 접히도록 보조하기 위해서 로드 또는 다른 기다란 요소(648)(도 6b에 도시된)가 뒤쪽 창(636 및 638)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될 수 있다. 기다란 요소(648)는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및/또는 패널 재료 자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매립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로드 또는 기다란 요소는 챔버의 감압시 로드의 중량 및 챔버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있는 그것의 위치가 챔버가 안쪽으로 접히는 것을 보조할 수 있을 정도의 유의한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의 비-미끄러짐 층(646)이 상부 뒤 구획(644)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챔버(610)에 안전하게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촉진한다. 또한, 비-미끄러짐 층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료로 제조되거나 보강될 수 있으며, 이것은 챔버의 윤곽을 잡는 것을 보조하여 접는 것을 돕는 한편 수축될 때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발이 걸릴 위험을 줄인다. 다른 예에서, 오목한 또는 안쪽으로 각진 엣지가 더 하부에 또는 더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창(또는 패널)의 다른 엣지를 따라서도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다수의 부위가 하나의 엣지를 따라서 발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하나 이상의 엣지가 볼록한 또는 바깥쪽으로 각진 엣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반대 방향으로 접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DAP 시스템은 챔버 내부의 가압상태를 유지할 만큼 충분히 기밀인 방식으로 압력 챔버를 시스템의 기부에 결합 및/또는 밀봉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메커니즘의 한 예가 도 7a 내지 7d에 예시된다. 사이드 패널(768)의 하부 엣지와 중앙 패널(770)의 뒤 하부 엣지는 기부(700)를 따라 있는 상응하는 오목부 또는 홈을 따라 맞물려 밀봉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 구조물은 가로 치수가 오목부 또는 홈(760)을 따라 있는 개구부 또는 슬롯(762)보다 큰 다양한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의 예는 제한은 아니지만 반전형 T-구조물, 플랜지 등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챔버는 또한 용접, 접착제, 후크-루프 고정장치,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적합한 부착 방법을 이용하여 기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d에 묘사된 대로, 밀봉 구조물은 패널(770)을 뒤로 마주해서 접은 다음 접착하거나 부착함으로써 형성된 관형 구조물(78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관형 구조물은 제한은 아니지만 압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과정들 중 하나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패널(770)은 안쪽으로(도 7d에 묘사된 대로) 또는 바깥쪽으로(다른 구체예인 도 14에 묘사된 대로) 접힐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방향들로 접을 수 있는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 구조물은 패널(770)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재료(또는 만일 있다면 보강 구조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관형 구조물(780)은 홈(760)에 놓일 수 있으며, 이때 관형 구조물(780)의 가로 너비에 의해 홈(76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어떤 예에서, 로드 또는 다른 기다란 부재와 같은 보강 부재가 이탈을 더 방지하기 위해서 관형 구조물(780)에 삽입될 수 있지만, 다른 변형에서는 관형 형태의 패널 재료의 강성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패널 재료의 하부 엣지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랜지 또는 다른 구조물에 부착되거나 그것과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패널의 엣지를 따라 있는 특별한 밀봉 구조물은 필요하지 않고, 대신에 기부가 패널을 유지하여 밀봉하기 위한 마찰 경계면을 제공할 수 있는 협지(clamping)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c의 특정 구체예에서, 시스템의 기부(700)는 챔버 패널(768 및 770)의 밀봉 구조물과 부착되도록 구성된 내부 보유 프레임(730)과 외부 보유 프레임(750)을 가진 데크(7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보유 프레임과 외부 보유 프레임(730 및 750)은 함께 슬롯(762)이 있는 기다란 오목부 또는 홈(760)을 형성한다. 내부 및/또는 외부 보유 프레임(730 및 750)은 각각 플랜지 또는 가로 돌기(731 및 7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어떤 예에서, 한쪽 또는 양쪽 플랜지(731 및 751)는 프레임(730 및 750)의 밀봉 특징을 보강하기 위한 개스킷(732)을 포함한다. 개스킷(732)은 여러 가지 적합한 재료(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폴리머 등)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홈(760) 안에 관형 구조물(780)(또는 챔버 패널의 다른 밀봉 구조물)을 배치하기 위해서, 외부 보유 프레임(75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내부 보유 프레임(73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적어도 분리될 수 있고, 이로써 관형 구조물(780)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외부 보유 프레임(750)이 내부 프레임(730)에 재부착되거나 단단히 조여질 수 있다. 다양한 클램프 또는 고정장치(예를 들어, 볼트 또는 스크류) 중 하나를 사용하여 프레임(730 및 750)을 부착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내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은 일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관형 구조물(780)이 안착될 때까지 홈(760)의 한쪽 단부에 관형 구조물(780)의 한쪽 단부를 통과시키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프레임에 관형 구조물(780)이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밀봉 구조물은 테이퍼형 단면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슬롯에 직접 삽입될 수 있고,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홈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외부 보유 프레임(750)은 접근 용이성을 위해서 위치를 바꾸거나 따로 놓아둘 수 있는 힌지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는 편향되지 않은 어떤 특정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닫힌 위치나 열린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으며, 닫힌 위치에 힌지를 유지해서 밀봉 구조물을 보유할 수 있는 고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크(710)는 별도의 데크 지지물(720)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변형에서 내부 보유 프레임은 데크(710)를 지지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보유 프레임(730 및 750)을 포함하는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730 및 750)의 진동 또는 비틀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레임 보강 막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묘사된 예에서, 보강 막대(740)는 내부 보유 프레임(730)과 외부 보유 프레임(750) 사이에 위치되지만, 다른 변형에서는 내부 프레임 안쪽에 및/또는 외부 프레임 바깥쪽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보강 막대는 다양한 고정장치나 부착 구조물 중 하나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보강 구조물로서, 예를 들어 압출에 의해서 일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 및/또는 외부 보유 프레임과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데크(710)는 직사각형 형태나 삼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어떤 다른 형태를 포함하며, 데크 지지물, 내부 보유 프레임, 보강 막대 및 외부 보유 프레임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도 14는 챔버 패널(1120)이 압출 단일체 보유 프레임 부재(1122)에 부착된 DAP 시스템(1100)의 또 다른 예를 도식적으로 묘사한다. 단일체 보유 프레임 부재(1122)는 패널(1120)의 관형 접힘부(1128)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슬롯(1126)을 갖도록 구성된 홈(1124)을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1122)와 패널의 부착 및/또는 밀봉을 더 보강하기 위해서 관형 접힘부(1128) 내에 하나 이상의 로드(1130)(또는 다른 기다란 구조물)가 배치되며, 이로써 홈(1124) 및 슬롯(1126)과의 기계적 간섭에 의해서 패널(1120)의 이탈이 방지된다. 발포체 부재(1132)가 또한 홈(1124)에 위치될 수 있다. 발포체 부재(1132)는 오픈 셀형이거나 클로즈드 셀형일 수 있고, 미리 절단된 모양을 가지거나, 또는 홈(1124)에 유동가능한 형태로 주입될 수 있다. 발포체 부재(1132)는 관형 접힘부(1128) 및/또는 홈(1124)의 표면에 접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발포체가 접착성인 변형에서, 발포체 막은 접착 특성을 가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발포체, 홈 및/또는 접힘부가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다. 발포체는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어떤 변형에서는 관형 접힘부(1128) 및/또는 로드(1130)를 슬롯(1126)에 닿도록 밀 수 있는 압착가능한 탄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패널(1120)과 프레임 부재(1122)의 밀봉을 더 보강할 수 있다. 발포체는 제조 시점에서, 또는 사용시에 조립 과정에서 홈(1124)에 삽입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홈(1124)에 발포체 부재(1132)와 관형 접힘부(1128)가 위치된 후 로드(1130)가 삽입된다. 발포체 부재(1132)는 로드가 삽입됨에 따라 압착되고, 이로써 기부에 대한 챔버의 능동적인 밀봉이 증진된다.
도 14에 더 묘사된 대로, 프레임 부재(1122)는 또한 DAP 시스템(1100)의 데크(1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부재(1122)는 데크(1134)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렛지(ledge) 구조물(1136)을 포함한다. 또한, 도 14에 묘사된 대로, 프레임 부재(1122)는 하나 이상의 압출된 공동(1138 및 1140)을 가진 중공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프레임 부재의 중량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일체 프레임 부재는 고형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대로, 어떤 변형에서, 로드 또는 다른 보유 구조물은 관형 구조물(780) 안으로 밀어 넣어지거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보유 구조물은 다양한 축 단면 모양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예에서, 보유 구조물은 눈물방울 모양이거나, 또는 보유 프레임(730 및 750)의 홈(760)과 개구부(762)에 상보하는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경화성 재료가 관형 구조물에 주입되어 경화될 수 있으며, 또한 이것은 챔버와 기부를 더 밀봉할 수 있다. 보유 구조물은 또한 내부 보유 프레임 둘레에 매어지거나 단단히 조여질 수 있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가 수축될 때는 챔버 패널 및/또는 높이 조정 메커니즘의 중력 및/또는 중량으로 인하여 관형 구조물이 슬롯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챔버의 공기 누출을 가속할 수 있다.
높이 조정 시스템
다시 도 2a와 관련해서, 챔버(310)와 사용자 사이의 밀봉을 개선하고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 밀봉부(350)가 밀봉 프레임(3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밀봉 프레임(341)은 사용자 밀봉부(350) 주위에서 챔버(310)에(또는 직접 사용자 밀봉부(35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공기 누출을 가져올 수 있는 뒤틀림 및/또는 변형이 방지된다. 도 2a에 묘사된 예에서, 밀봉 프레임(341)은 상부에서 사용자 밀봉부(350)에 부착되는 루프 또는 폐쇄된 구조물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밀봉 프레임은 개방된 형태, 또는 착탈가능한 조각이 붙은 폐쇄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프레임(341)은 수평면(또는 적어도 밀봉 프레임(341)의 외측(347) 및 뒤(349) 구획)에 눕혀져 배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밀봉 프레임은 각진 평면으로 배향될 수 있거나, 또는 비-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밀봉 프레임(341)은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것은 키가 작은 환자가 시스템을 사용할 때를 포함해서, 특정 신체 높이나 신체 영역에서 사용자 밀봉부(350)를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챔버의 수직 위치변경을 방지하기 위한 제한 또는 정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밀봉 프레임의 높이 조정 메커니즘의 다양한 예들이 본원에 참고자료로 포함되는 국제 특허출원인 PCT/US2008/011832에 설명된다. 도 2a에서 밀봉 프레임(341)이 높이 조정 막대(352)에 부착되고, 이것은 차례로 2개의 조정 사이드 기둥(35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 변형에서, 밀봉 프레임이 조정 기둥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정 막대는 사용되지 않는다. 높이 조정 막대(352) 및/또는 조정 기둥(354)에 대응하여 밀봉 프레임의 형태와 배향은 변할 수 있다. 도 2a에 묘사된 특정 예에서, 높이 조정 막대(352)와 높이 조정 기둥(354)은 밀봉 프레임 앞에 있다. 또한, 앞 밀봉 프레임 지주(356)(strut)는 외측 밀봉 프레임 지주(358)에 대해서 중앙을 향해 배향된다. 밀봉 프레임(341)과 높이 조정 막대(352) 사이의 중앙 및 앞 부분 부착은 달리기나 다른 활동을 하는 동안 손을 휘두르는 것으로 인한 상해 또는 보행 변화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밀봉 프레임(341)은 또한 높이 조정 막대(352)에 대해 하부에 있는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이때 앞 밀봉 프레임 지주(356)는 앞 방향에서 뒤 방향까지 하향 경사 배향을 가진다. 이런 하향 경사 배향은 사용자 밀봉부(350)의 앞과 상부에서 챔버(310)에 어떤 추가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높은 스텝을 밟는 보행(예를 들어, 스프린트 또는 특정한 높은 스텝의 보행 비정상성)을 수반하는 것들을 포함해서 어떤 활동을 하는 동안 방해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변형에서, 밀봉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높이 조정 막대에 대해 동일한 수직 위치를 가지거나 더 높이 있을 수 있고, 더 외측에서 높이 조정 막대에 부착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외측 밀봉 프레임 지주와 동일 평면에서 부착될 수 있다. 도 13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단일 평면에 놓인 밀봉 프레임(1154)에 부착된 높이 조정 막대(1152)를 포함하는 높이 조정 조립체(1150)의 변형을 묘사한다. 막대(1152)의 하부 부분을 따라 밀봉 프레임(1154)이 높이 조정 막대(1152)에 부착되며, 이것은 높이 조정 막대(1152)를 사용하여 앞쪽에서 사용자 밀봉부(도시하지 않음)의 부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밀봉 프레임(1154)은 U-자형 형태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서 밀봉 프레임은 Q-자형 또는 어떤 다른 모양일 수 있다. 이 특정 변형에서 콘솔 프레임(1156)은 조정 막대(1152)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밀봉 프레임(1154)에 부착되지만, 다른 변형에서는 콘솔 프레임(1156)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밀봉 프레임(1154)이나 콘솔 프레임(1156)을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물(1158)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158)은 밀봉 프레임(1154)과 콘솔 프레임(1156) 사이에 어떤 각도로 위치되어 힘을 재분포시키며, 조정 조립체(1150)를 잡는 것과 그것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단부분(1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a와 관련해서, 콘솔 프레임(331)과 같은 밀봉 프레임(341) 이외의 다른 구조물들이 또한 높이 조정 막대(352)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1회의 높이 조정으로 콘솔 디스플레이와 제어에 대한 접근 용이성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2a에 묘사된 대로, 높이 조정 막대(352)와 밀봉 프레임(341)을 포함하는 조정 조립체(330)는 콘솔 프레임(33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여 시스템(300)의 컨트롤과 시각 디스플레이를 부착할 수 있다. 이 특정 예는 밀봉 프레임(341)과 콘솔 프레임(331)의 구성요소들의 동시 조정이 가능하며, 이들은 둘 다 사용자의 신장에 기초해서 조정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e는 도 2a의 DAP 시스템의 높이 조정 메커니즘의 구조를 더 예시한다. 높이 조정 메커니즘(800)은 한 쌍의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수직 배향된 사이드 기둥(810), 2개의 롤러 조립체(830)가 달린 이동식 조립체(870)를 포함하고, 각 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드 기둥(810)에 수용된다. 이동식 조립체(870)는 프레임(880) 및 롤러 조립체(830)에 부착된 프레임 지지 막대(835)를 더 포함하고, 롤러 조립체는 2개의 사이드 기둥(810)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8a에 예시된 대로, 프레임(880)은 콘솔 부분(881), 밀봉 프레임 부분(882) 및 각진 중앙 부분(883)을 더 포함한다. 콘솔 부분(881)과 밀봉 프레임 부분(882) 사이의 각도는 약 45도 내지 약 180도의 범위일 수 있으며, 때로 약 90도 내지 약 135도, 다른 경우에는 약 110도 내지 약 135도일 수 있다. 프레임(880)의 콘솔 부분(881)은 콘솔 트레이(871)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여 제어 패널/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를 부착 및/또는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880)의 각진 중앙 부분(883)은 콘솔 부분(881)과 밀봉 프레임 부분(882)을 접속한다. 프레임(880)은 그것의 일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또는 조작하면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어떤 구체예에서 프레임(880)의 중앙 부분(883)은 이동식 조립체(870)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핸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각진 중앙 부분(883)은 하나 이상의 플랜지 또는 릿지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그립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고무 또는 폴리스티렌 및 폴리부타디엔 영역을 가진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고 견인 재료로, 예를 들어 Kraton Polymers, LLC(텍사스 휴스턴)의 KRATON? 폴리머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880)의 중앙 부분(883)은 이동식 조립체(870)의 조정 막대(835)에 부착될 수 있고, 이동식 조립체(870)는 양쪽 단부에서 2개의 롤러 조립체(830)에 부착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프레임(880)의 중앙 부분(883)은 추가의 막대(885)에 의해 보강될 수 있으며, 이것은 프레임(880)과 프레임 지지 막대(835) 사이의 접촉면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프레임(880)의 구조적 완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높이 조정 메커니즘은 조정 조립체의 하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하기 위한 리프트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프레임의 콘솔 부분이 감소된 중량 효과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리프트 메커니즘은 이동식 조립체의 하중보다 큰 상쇄 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이동식 조립체(870)를 더 높은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리프트 메커니즘은 조립체에 수직 상향 힘을 적용하는 스프링 또는 유압식 충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승시키는 힘은 조립체에 직접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도르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변형에서, 시스템은 평형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동식 조립체의 부주의한 해제로 인한 갑작스런 하강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동식 추는 시스템의 사이드 기둥에 제공되고, 도르래가 달린 케이블이나 벨트를 이용해서 이동식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각 평형추는 이동식 조립체의 중량의 약 절반의 중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관성 및/또는 마찰 저항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동식 조립체를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전체 평형추는 이동식 조립체보다 약간 적은 중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되지 않은 이동식 조립체는 그것이 고정될 때까지 또는 DAP 시스템의 기부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 편향될 것이다. 어떤 변형에서, 이동식 조립체의 편향된 하강 동작은 롤러 조립체나 이동식 조립체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된 다른 타입의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 저항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이 디자인에서 이동식 조립체를 상승시키려면 사용자가 이동식 조립체에 힘을 가해서 이동식 조립체와 평형추의 질량 차이를 극복해야 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평형추는 이동식 조립체보다 약간 더 무거운 중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되지 않은 이동식 조립체는 그것이 고정될 때까지 또는 이동식 조립체의 상승 동작이 이 특정 구체예에서는 롤러 조립체에 의해서 제한될 때까지 상승 편향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이동식 조립체의 위치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동식 조립체에 추가의 힘을 가해야 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복잡한 도르래 조립체가 이동식 조립체보다 가벼운 평형추에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이동식 조립체의 중량을 완전히 상쇄할 수 있다.
도 8d에 예시된 대로, 각 사이드 기둥(810)은 평형추 격실(812) 및 롤러 격실(8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816)가 축 상에 있는 핀(891) 주위에서 평형추 격실(81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르래 벨트 또는 케이블(892)이 도르래(816) 위에서 이어지고, 한쪽 단부가 평형추 격실(812)에 위치된 평형추(890)에 연결된다. 평형추(980)는 기둥(810)의 평형추 격실(812) 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또는 기둥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892)의 다른 쪽 단부는 롤러 조립체(830)의 상부에 위치된 평형추 케이블 장착부(843)에 장착된다.
도 8a 내지 8d에 묘사된 대로, 롤러 조립체(830)는 기부 플레이트(831), 앞 롤러(834), 뒤 롤러(832) 및 2개의 사이드 롤러(836 및 838)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정 메커니즘의 수직 움직임을 보조하는 것에 더하여, 사이드 롤러(836 및 838)는 조정 메커니즘이 회전하는 정도를 줄이거나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앞 롤러 및 뒤 롤러(832 및 834)는 피치 및/또는 편주를 줄여서 잼 현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롤러는 프레임 지지 막대(835)에 직접 장착될 수 있고, 기부 플레이트(831)는 사용되지 않는다. 앞 롤러(834)는 기부 보드(831)의 뒤 엣지(833) 근처에서 기부 플레이트(831)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앞 롤러(834)는 기부 플레이트(831)의 앞 엣지(835) 근처에서 기부 플레이트(831)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다. 상부 사이드 롤러(836)와 하부 사이드 롤러(838)는 기부 플레이트(831)의 상부 원위 코너부와 하부 근위 코너부에 장착된다. 또한, 기부 보드(831)의 상부 원위 코너버와 하부 근위 코너부에 2개의 패드 구조물(840 및 841)이 장착되며, 이들은 롤러 격실(814) 내에서 롤러 조립체(830)의 움직임을 더 정렬할 수 있다.
롤러 조립체의 롤러들은 롤러 격실의 평면인 표면과 접속될 수 있지만, 도 8a 내지 8d에 묘사된 구체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트랙 구조물이 롤러 격실 내에 제공되어 롤러 조립체의 정렬을 강화할 수 있다. 트랙 구조물은 롤러 격실 표면과 일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내지 8d와 관련해서, 사이드 기둥(810)의 롤러 격실(814)은 앞 트랙 구조물(817)과 뒤 트랙 구조물(818)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앞 롤러(834)와 뒤 롤러(832)는 각각 이동이 가능하다. 이들 또는 다른 트랙 구조물은 롤러 조립체(830)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롤러 중 하나 이상은 증가된 마찰 회전 저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은 이동식 조립체의 갑작스런 하강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트랙 격실(814)은 롤러 조립체(830)의 사이드 롤러(836 및 838)를 수용하기 위한 트랙이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트랙 격실(814)과 도르래 격실(812)의 내부 표면은 하나 이상의 윤활제나 저-마찰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에서는 롤러가 제공되지 않고, 높이 조정 메커니즘의 움직임은 저-마찰 재료 및/또는 저-마모 재료로 코팅되거나 덮인 활주형 패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에서, 롤러 및 트랙 구조물은 래크 및 피니언 형태로 치환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DAP 시스템의 이동식 조립체는 주로 사이드 기둥에 대해서 수직 동작을 나타내지만, 다른 예에서 이동식 조립체는 각진 위치에 따라서 이동식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구조물과 맞물리는데 및/또는 분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어떤 각도가 있는 움직임 또는 선회 움직임을 제공하는 캔틸레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예를 들어, 이동식 조립체가 밀봉 프레임의 루프 안에 위치한 사용자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질 경우, 이동식 조립체가 앞쪽으로 기울어져 롤러 구조물의 자유 회전이 가능해져서 이동식 조립체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동식 조립체가 아래쪽으로 밀리거나 또는 그것의 기본 형태로 있을 경우, 이동식 조립체는 상대적으로 뒤로 기울어져 하나 이상의 롤러 위의 하나 이상의 저항 패드나 브레이크 패드와 맞물릴 수 있으며, 이로써 하강 속도가 늦춰지거나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저항 패드는 롤러 격실의 표면과 맞물려 이동식 조립체의 하향/상향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8d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831)의 상부 앞 영역 및 하부 뒤 영역에서 사이드 롤러(836 및 838)의 샤프트 주위에 장착된 패드(840 및 841)를 묘사한다. 패드(840 및 841)는 기둥(810)의 인접 벽(860)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동식 조립체(870)의 움직임이 방지되거나 서행된다. 이 특정 예에서, 패드(840 및 841)는 사이드 롤러(836 및 838)의 샤프트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지만, 다른 예에서 패드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패드(840 및 841)의 맞물림은 이동식 조립체(870)가 고정 핀(852)(이것은 하기 더 상세히 설명된다)으로 제자리에 고정되었을 때와 이동식 조립체가 앞으로 기울어질 때(도 8d에서 반시계 방향) 일어난다. 앞으로 기울어짐으로써 패드(840 및 841)가 롤러 트랙(814)의 내부 표면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써 이동식 조립체(870)의 갑작스런 하강이 지연되거나 또는 방지된다. 어떤 변형에서, 패드는 중력, 스프링 메커니즘 또는 다른 힘 부재를 이용하여 맞물린 위치 또는 분리된 위치에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드(840 및 842)는 금속,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어떤 적합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캔틸레버 메커니즘은 높이 조정 조립체에 부착된 챔버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서 가동될 수 있다. 도 11a의 DAP 시스템(1100)의 높이 조정 조립체(1150)의 높이 조정 메커니즘을 도식적으로 묘사하는 도 15와 관련해서, 챔버(1170)의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평형추 시스템(1172)은 높이 조정 조립체(1150)의 중량과 높이 조정 조립체(1150)에 작용하는 챔버(1170)의 유효 중량(이것은 챔버(1170)의 실제 중량보다 적을 수 있다)의 균형을 맞추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부착된 챔버(1170)와 함께 높이 조정 조립체(1150)의 용이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높이 조정 조립체(1150)의 질량 중심(Cm)이 평형추 시스템(1172)의 부착부(1174) 뒤에 있기 때문에, 평형 힘 Fc는 높이 조정 조립체(1150)가 시계 방향 방식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며, 이로써 힘(Fw)을 가진 조정 기둥(1182)의 벽(1178, 1180)에 대해 높이 조정 조립체(1150)의 바퀴(1176)의 힘(Fw)이 발휘된다. 따라서, 높이 조정 조립체(1150)는 중력의 힘을 극복할 필요 없이 조정될 수 있고, 기둥(1182)의 벽(1178, 1180)과 맞물린 바퀴로부터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챔버(1170)가 팽창된 경우, 높이 조정 조립체(1152)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그것의 고정 핀(1184)이 다음번 고정 개구부(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릴 때까지 상승되기 시작한다. 일단 고정되면, 팽창된 챔버는 밀봉 프레임(1154)을 계속 밀어서 그것을 고정 핀(1184) 주위에서 위쪽으로 회전시킨다(또는 도 15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런 움직임은 조정 기둥(1182)의 벽(1178, 1180)으로부터 높이 조정 조립체(1152)의 바퀴(1176)를 움직이게 하고, 동시에 패드 힘(Fp)으로 벽까지 로딩 패드(1186)가 맞물리게 된다. 패드 힘(Fp)은 고정 핀(1184)이 부주의하게 분리될 경우 브레이크 힘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로써 높이 조정 조립체(1152)의 갑작스런 상향 움직임이 방지된다. 시스템 사용이 완료되고 챔버(1170)가 감압되면, 패드(1186)가 분리되고, 바퀴(1176)가 기둥(1182)의 벽(1178 및 1180)과 다시 맞물려 높이 조정 조립체(1152)의 하향 이동이 용이해지고, 이로써 사용자가 시스템(1100)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에서, 패드는 브레이크 효과보다는 오히려 이동식 조립체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저-마찰 및/또는 저-마모 재료로 코팅되거나 덮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패드는 사이드 롤러 샤프트와는 별도의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회전이나 선회보다는 활주 또는 왕복 운동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정 조립체의 움직임 및 고정 메커니즘의 가동 및 해제는 하기 설명된 대로 동력화될 수 있다. 동력화된 움직임의 제어는 제어 패널을 통해서, 또는 예를 들어 조정 막대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컨트롤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
DAP 시스템은 또한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높이 조정 메커니즘의 위치를 조정 및/또는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제어 인터페이스는 가동장치(예를 들어, 버튼, 레버, 노브 또는 스위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는 제어 패널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의 다른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챔버 내부의 압력 수준, 운동기구의 파라미터 등)을 제어하고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a와 관련해서, 고정 메커니즘(333)의 인터페이스는 이동식 조립체(330)의 조정 막대(352)에 위치된 슬롯(344)으로부터 돌출된 이동식 레버(345)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45)는 이동식 조립체(330)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고정된 위치와 움직임이 가능한 비고정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333)은 또한 다른 이동식 조립체(330) 구조물을 잡은 채로 조작할 필요 없이 레버(345)를 사용해서도 이동식 조립체(330)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식으로 보강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스프링이나 다른 힘 메커니즘이 래치 핸들(345)을 고정된 위치까지 편향시킬 수 있고, 이로써 이동식 조립체(330)의 고정이 부주의하게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레버(345)의 움직임은 도 2a에 묘사된 구체예에서는 수평으로 일어나도록 구성되지만, 다른 예에서는 수평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어떤 다른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이 일어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다른 타입의 고정 가동장치, 예를 들어 노브, 슬라이드 또는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수평 움직임은 고정이 부주의하게 풀릴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트레드밀 활동과 같은 특정 활동과 관련된 동작은 전형적으로 고정 메커니즘(333)에 부주의하게 부딪혀서 고정이 풀리게 될 수 있는 수평 움직임을 수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고정 메커니즘을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및 당기기, 또는 밀기 및 당기기)을 이용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고정이 부주의하게 풀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것은 크랭크 연동장치 메커니즘의 기하구조를 그것의 각도가 있는 움직임과 선형 왕복 운동에 대해서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챔버는 이 영역으로 부풀 수 있는 모양일 수 있으며, 압력을 받을 때 레버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핀이 완전히 분리되기 전에 레버의 고정이 풀린 것을 감지하기 위한 고정 센서가 추가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전극 접촉 메커니즘, 푸시-버튼 메커니즘 또는 자석 메커니즘을 가진 것들을 포함해서 여러 적합한 형태 중 어느 것을 가질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고정 메커니즘의 일례는 핀-래치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이 경우 제어 래치의 회전 동작이 2개의 고정 핀의 선형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이동식 조립체의 현 위치가 고정되거나 고정이 풀리게 된다. 도 8b에 예시된 대로, 롤러 조립체(830)의 기부 플레이트(831)는 핀-래치 고정 메커니즘(850)의 단부 핀(852)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37)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핀(852)은 개구부(837)를 통해 연장되어 사이드 기둥(810) 상의 사이드 오목부 또는 개구부(813) 중 하나와 맞물림으로써 롤러 조립체(830)와 이동식 조립체(870)가 기둥(810)에 고정된다. 어떤 예에서, 사이드 개구부(813)는 고정 핀(852)이 부주의하게 밀려나와 분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커버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핀(852)은 개구부(813)와 기계적 인터핏을 형성하는 노치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부주의한 분리가 더 방지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관형 핀 캐리어(839)가 개구부(837) 주위에 장착되어 단부 핀(852)을 안내하고 단부 핀(852)을 지지하여 핀의 변형이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 캐리어(839)는 어떤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고무 또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고정 핀(852)의 원단부는 테이퍼형으로서 고정 개구부(837)에 정렬되는 고정 핀(852)의 정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9a, 9b에 예시된 대로, 핀-래치 고정 메커니즘(900)은 구동 크랭크(902)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위에 레버 핸들(904)과 2개의 핀-래치 로드(906 및 908)가 부착되며, 2개의 고정 핀(910 및 912)이 각각 각 핀-래치 로드(906 및 908)의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크랭크(902)와 로드(906 및 908)는 하부 장착 고정부(916)에 장착된 플레이트(914)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914)에는 2개의 대칭 배치된 슬롯(1개의 슬롯(918)만 도 9b에 도시된다)이 있고, 이들은 로드의 선형 동작을 위한 이동 공간을 제공한다. 이 특정 구체예에서, 구동 크랭크(90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구동 크랭크(902)가 움직이는 범위는 도 9c에 예시된 대로 이동식 조립체(905)의 정면 트레이(903)에 있는 정면 슬롯(901)에 의해 제한된다), 2개의 핀-래치 로드(906 및 908)가 구동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이들은 차례로 2개의 고정 핀을 바깥쪽으로 밀어서 사이드 기둥 상의 사이드 개구부(예를 들어, 도 8a의 813)와 맞물리고, 이로써 이동식 조립체(905)의 현 위치가 고정된다. 구동 크랭크(90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그것의 고정이 풀린 위치로 이동된 경우, 크랭크(902)의 회전 동작은 핀-래치 로드(906 및 908)를 안쪽으로 후퇴시키고, 이로써 사이드 개구부로부터 고정 핀(910 및 912)이 분리되어 이동식 조립체(905)의 고정이 풀리게 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보유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을 사용해서 구동 크랭크(902)를 그것의 고정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스프링의 한쪽 단부에 각각 부착된 스프링 앵커와 스프링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스프링 조립체를 사용하여 구동 크랭크(902)를 편향시킬 수 있다. 도 9a는 이러한 스프링 조립체의 한 구체예를 예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대로, 스프링 보유 핀(922)은 구동 크랭크(902)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8a에 묘사된 이동식 조립체(870)의 프레임 지지 막대(835)와 스프링 앵커 핀(924)이 맞물릴 수 있고, 이로써 고정된 위치에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한쪽 단부가 고정된다. 앵커 핀(924)과 보유 핀(922) 사이의 거리는 볼(904)이 고정이 풀린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핀 사이의 거리보다 레버(904)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더 멀 수 있고, 스프링은 레버(904)가 정면 슬롯(901)의 우측 단부, 즉 그것의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잠재적 에너지로 충전된다. 충전된 스프링은 구동 크랭크(902)에 대해 반시계 방향의 유지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동 크랭크(902)가 그것의 고정 위치로 편향되게 된다. 이러한 환경 중 일부에서, 이동식 조립체(905)의 고정을 풀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구동 크랭크(902)에 바깥쪽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적용해서 충전된 스프링으로부터의 편향 힘을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조립체의 고정이 부주의하게 풀리는 것이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다. 스프링(또는 다른 편향 부재)에 의해서 제공되는 편향 힘은 앵커 핀(92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도 9c에 예시된 대로, 이동식 조립체(905)의 정면 트레이(903)는 2개 이상의 앵커 핀 홀더(907 및 90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 핀(924)이 멀리 있는 좌측 핀 홀더(909)에 위치된 경우, 유지 스프링은 앵커 핀(924)이 개구부(917)에 위치된 경우에 비해서 더 높은 정도로 충전될 것이고, 이로써 구동 크랭크(902)에 더 높은 유지 힘이 발휘될 것이다. 스프링 앵커 핀을 콘솔 정면 트레이(903)에 고정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주지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스프링 앵커 핀은 또 다른 구조물, 예를 들어 롤러 조립체의 보드(831)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앵커 핀(924)과 스프링 보유 핀(922)의 상대적 위치는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앵커 핀(924)은 이 특정 구체예에서 보유 핀(922)의 좌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이한 기하 형태를 가진 크랭크가 사용된 경우, 고정 메커니즘은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현 구체예의 것들과는 반대되는 고정 위치와 고정이 풀린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크랭크(90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고정을 풀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프링 앵커 핀(924)은 스프링 보유 핀(922)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이로써 스프링이 제어 크랭크(902)를 그것의 고정 위치에 편향시킬 수 있다. 당업자는 은행금고 및 배의 포트 도어에 사용되는 고정 휠 메커니즘과 같은 다양한 연동장치 메커니즘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레버의 움직임 방향은 선형 및 비-선형, 그리고 수직 및 수평 등 다양한 방향 및 움직임 중 하나에 맞춰서 구성될 수 있다.
핀-래치 고정 메커니즘은 한 쌍의 사이드 개구부에 고정 핀이 맞물리는 것을 보조하는 다수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핀-래치 로드(906 및 908)에 2개의 선회 이동식 단부 고정 핀(910 및 912)을 제공함으로써 핀-래치 시스템의 토크 효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시스템의 유연성 및 조종성이 높아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단부 핀(910 및 912)은 핀-래치 로드(906 및 908)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선회형 단부 핀(910 및 912)은 로드(906 및 908)보다 더 탄성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들의 조종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단부 핀이 사이드 기둥에 있는 사이드 개구부와 더 쉽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핀 커버, 예를 들어 도 7b의 관형 구조물(839)을 사용하여 단부 핀의 선형 동작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단부 핀(910 및 912)과 사이드 개구부의 맞물림을 더 보조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2개의 로드(906 및 908)의 단부 부분(903 및 905)은 고정 메커니즘의 토크 효과를 더 감소시키기 위한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 사용자는 고정 핀(910 및 912)이 한 쌍의 사이드 개구부와 맞물리지 못했을 때 이동식 조립체를 고정하려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러한 작업은 핀-래치 로드(906 및 908)에 스트레스 및/또는 얼룩을 생기게 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단부 부분(903 및 905)은 단부 핀(910 및 912)이 맞물리지 못했을 때 뒤로 후퇴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스트레스나 얼룩의 감소에 도움이 되는 곡선 형태(예를 들어, "S"-자형)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높이에 이동식 조립체의 설치 및 고정을 보조하기 위해서 DAP 시스템은 시스템 상에 사용자의 신장에 기초한 위치를 안내하거나 제시하는 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서, 예를 들어, DAP 시스템(1100)의 높이 조정 조립체(1150)는 사이드 기둥(1182) 위에 놓인 이동식 표시자 포인터 또는 개구부(1190)를 포함한다. 사이드 기둥(1182)은 이동식 조립체(1150)의 조정을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표지(1192)(예를 들어, 피트/인치 또는 센티미터 단위의 높이)를 포함한다. 표지(1192)는 사이드 기둥(1182) 위에 인쇄되거나, 또는 기둥(1182)을 따라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는 사생활을 위해서 사용자의 신장이 제어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될 수 있고, 한 줄의 라이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라이트가 사용자의 신장 입력값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동식 조립체(1150)의 제안된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서, 제어 패널 및/또는 이동식 조립체는 예를 들어 정확히 위치되었음을 알려주거나, 또는 조립체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라는 지시를 알려주는 청각, 시각 또는 촉각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동식 조립체에 챔버의 부착
상기 주지된 대로, 사용자 밀봉부와 이동식 조립체의 높이는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이 특징을 실시하기 위한 한 방식은 DAP 시스템의 챔버의 일부분을 이동식 조립체의 일부분에 부착하여 사용자 밀봉부의 높이가 이동식 조립체의 수직 움직임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사용자가 단일 단계로 제어 패널과 사용자 밀봉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서 높이 조정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챔버와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아 사용자 밀봉부가 안정화될 수 있으며, 이것은 차례로 사용자와 챔버 사이의 밀봉이 유지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프레임(880)은 다양한 방식으로 챔버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프레임(880)의 근위 부분(882)이 하나 이상의 직물 고리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VELCRO™ 타입의 고정장치, 및/또는 지퍼에 의해 사용자 밀봉부 둘레에서 챔버 재료에 더 부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위쪽 챔버 구획은 프레임(880)이 금속으로 제작된 경우 프레임(880)을 유인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팽창가능한 챔버(1006)를 프레임(1004)의 근위 고리(1002)에 부착하기 위한 또 다른 부착 메커니즘이 도식적으로 예시된다. 도 10b에 예시된 대로, 팽창가능한 챔버(1006)의 일부분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장력 고리(1008)가 기다란 레일(1010) 주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레일은 고리(1002)의 일부분의 아래에 고정 장착된 슬롯이 있는 기다란 보유 채널(1012)에 함유된다. 로드(1010)는 세로형 슬롯의 너비보다 넓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로드는 보유 채널(1012) 안에서 이동할 수 있지만, 챔버(1006)에 장력이 적용된 경우에도 슬롯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된다. 슬롯이 있는 보유 채널(1012)은 레일(1010)과 동일한 길이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변형에서, 복수의 장력 고리를 사용해서 챔버를 콘솔 프레임(1004)에 부착할 수 있다. 장력 고리는 팽창가능한 챔버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장력 고리는 접착제, VELCRO™ 타입의 고정장치, 고정 버클, 버튼 또는 다른 타입의 적합한 부착 방법에 의해서 챔버에 부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챔버를 사용자 프레임에 부착함으로써 이동식 조립체와 함께 챔버를 상승 및/또는 하강시키는 것이 용이해지며, 또한 사용자 밀봉부의 영역에서 챔버의 기하구조를 유지할 수도 있어서, 밀봉부로부터의 공기 누출 빈도 및/또는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어떤 변형에서, 밀봉 프레임과 챔버는 밀봉 프레임이 사용자 밀봉부의 하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팔을 휘두르는 동작이나 다른 타입의 상체 동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사용자 밀봉부는 콘솔 프레임의 근위 고리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하체(예를 들어, 다리나 둔부)는 사용자가 달릴 때나 사용자의 하체가 다른 식으로 움직일 때 콘솔 프레임과 충돌하지 않게 될 것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콘솔 프레임 고리 위에서 사용자 밀봉부에 의해 형성된 돌출 구조물은 원통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구조물은 사용자 밀봉부가 신축성 플랩에 의해 형성된 경우 절두-원뿔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조립체의 근위 고리의 치수는 챔버의 사용자 밀봉부보다 클 수 있지만(예를 들어, 도 2b 참조), 다른 구체예에서는 근위 고리가 더 작을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근위 루프의 내부 표면과 사용자 밀봉부의 외부 엣지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0cm 내지 약 20cm 이상, 때로 약 2cm 내지 약 10cm, 다른 경우에는 약 1cm 내지 약 5cm의 범위일 수 있다.
프레임 조립체
프레임 조립체는 DAP 시스템의 다른 구조물들을 지지하고 및/또는 안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조립체는 팽창 챔버를 부착하기 위한 플랫폼이나 기부, 뿐만 아니라 팽창 챔버의 모양을 제한하는 바, 버팀대 또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를 사용하여 높이 조정 메커니즘을 안정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해서 사용 도중에 DAP 시스템이나 사용자에 의해 생기거나 그에 작용하는 진동을 완화하거나 다른 스트레스들을 안정화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 묘사된 예에서, DAP 시스템(300)은 기부(321), 사이드 핸드레일(322), 정면 수평 막대(323) 및 정면 수직 막대(324)를 가진 프레임 조립체(320)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330)의 일부분은 챔버를 정해진 모양으로 유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310)가 팽창될 때, 시스템(300)의 정면 단부에서 챔버(310)가 펼쳐지는 동작이 사이드 막대(325), L-자형 막대(326) 및 정면 버팀대(324)의 정면 막대(327)에 의해서 제한된다. 챔버(310)가 가로로 펼쳐지는 것은 뒤쪽 핸드레일(322)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뒤쪽 핸드레일(322)은 사용자가 신체 균형을 일시적으로 잃을 수 있는 경우로서 챔버(310) 내부에서 운동하는 동안 및/또는 압력이 변화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압력원은 2개의 L-자형 막대(326)에 위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압력원은 송풍기일 수 있다. 압력원은 다른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원은 압력원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는 진동을 줄이기 위해서 DAPS 옆의 지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 조립체(320)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합한 방법에 의해서 함께 조립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들은 브래킷, 볼트, 스크류 또는 리벳을 포함한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대신, 프레임 조립체(320)는 다른 구성요소들이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시스템(300)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추가의 막대 또는 버팀대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특정 타입의 운동이나 훈련을 보조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구조물이 프레임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메커니즘은 보행기 또는 지팡이 메커니즘을 더 포함함으로써 보행기나 지팡이 사용과 관련된 상체를 들어올리는 동작과 앉는 동작을 자극하거나, 보조하거나 또는 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보행기 또는 지팡이 메커니즘은 DAP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트레드밀이나 다른 운동기구와 동기화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챔버의 하나 이상의 패널은 들어가 있는 신체 부분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밀봉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예에서, 챔버 및/또는 프레임 조립체는 비-유압식 신체 지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속복 또는 안전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지된 대로, 도 2a 내지 2c에 묘사된 구체예에서 챔버(310)의 펼쳐짐은 DAP 시스템(300)의 프레임 조립체(320)의 몇 개의 막대, 레일 및/또는 버팀대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이 특정 구체예에서, 또한 2개의 평행한 높이 조정 메커니즘(334)이 챔버의 가로 펼쳐짐을 제한함으로써 팽창된 챔버가 모양을 잡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도 2a에 예시된 대로, 사용자 밀봉부(350) 주위에서 팽창된 챔버(310)가 수직으로 펼쳐지는 동작은 이동식 조립체(330)의 콘솔 프레임(331)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시스템(300)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팽창된 챔버(310)에 위치된 경우, 이동식 조립체(300)의 밀봉 프레임은 바로 사용자의 허리선이나 허리선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에 가장 잘 예시된 대로, 이동식 조립체(300)의 밀봉 프레임(341)은 챔버(310)의 상부 구획(313)과 대략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 밀봉부(350)보다 약간 더 넓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챔버(310)가 팽창되었을 때, 이런 콘솔 프레임의 배치에 의해 사용자 밀봉부(350)는 상승하고 밀봉부(350) 주위에서 챔버 재료가 부푸는 것은 억제될 수 있다. 이 디자인은 사용자 밀봉부(350) 주위에서 부풀어 있는 챔버 재료가 사용자의 상체 동작을 방해할 위험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팔을 자유롭고 편안하게 휘두를 수 있게 한다. 하기 더 상세히 논의된 대로, 챔버(310)의 상부 구획(313)은 콘솔 프레임(331)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동식 조립체(330)의 높이에 따라 사용자 밀봉부(35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 설명된 구조물들에 더하여, 챔버(310)의 펼쳐짐을 제한하기 위한 추가 구조물들을 사용하여 챔버의 윤곽이 특정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자형 크로스바가 높이 조정 메커니즘(334)과 뒤쪽 핸드레일(322) 사이에 추가되어 기부의 양측에서 부풀어 있는 챔버 재료를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챔버(310)는 하나 이상의 릿지 부분 또는 다른 타입의 일체화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팽창된 챔버가 특정 형태나 모양으로 유지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대로, DAP 시스템은 프레임 조립체 또는 시스템의 다른 구조물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패널이나 단부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DAP 시스템(1100)은 사이드 기둥 패널(1102)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사이드 기둥(1104)에 부착됨으로써 고정 메커니즘의 고정 개구부(예를 들어, 도 8a에서 기둥(810)의 개구부(813)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분리되거나, 또는 고정 메커니즘이 맞물려 있을 때 노출된 고정 개구부와 노출된 고정 핀 사이에 의복이나 다른 물체가 부주의하게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 패널(1106)과 앞 패널(1108)은 프레임(11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들 패널(1106 및 1108)은 시스템(1100)의 기계적 및 전기적 구성요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의 사용
사용자가 별다른 노력 없이 사용자 친화적 방식으로 사용자 밀봉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 조정 메커니즘이 구비된 DAP 시스템의 다양한 구체예들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또한, DAP 시스템은 또한 역시 손쉬운 방식으로 높이 조정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사용자는 조정 단계와 고정 단계를 한 손으로 완료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사용자가 도 3a에 예시된 DAP 시스템을 사용한 과정을 마친 후, 사용자는 먼저 운동기구를 멈춘 다음, 압력 챔버 내부를 가압하거나 압력 챔버 내부의 상승된 압력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프로세서에 내릴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을 통해서 행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사용자 밀봉부를 해제한 다음, 래치 볼을 고정이 풀리는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식 조립체의 고정을 풀 수 있다(예를 들어, 이 특정 구체예에서는 반시계 방향). 이 구체예에서는 평형추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식 조립체의 하강에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해서 래치 볼을 작동시켜 콘솔 프레임을 누르면 이동식 조립체가 하강될 수 있다. 이동식 조립체가 하강함에 따라 상부 챔버 구획이 눌려져 챔버가 수축된다. 상기 상세히 논의된 대로, 다수의 접는선을 가진 챔버는 정해진 방식으로 수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챔버에서 나오는 것을 쉽게 한다. 챔버가 완전히 수축되면 사용자는 챔버에서 나올 수 있다. 중력에 의해 편향된 이동식 조립체는 접혀진 챔버의 상부에 있을 수 있다.
DAP 시스템의 다음번 사용자는 먼저 콘솔 프레임과 챔버의 상부 구획에 있는 사용자 밀봉부의 개구부로 들어간 다음, 사용자의 허리선 주위에 사용자 밀봉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통해서 DAP 시스템 프로세서와 통신하여 챔버의 팽창을 가동시킬 수 있다. 팽창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밀봉부의 높이가 적절하다고 느끼는 위치까지 이동식 조립체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대로, 이 구체예에서는 평형추 디자인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동식 조립체를 들어올리는데 사용자는 적은 힘만 가하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콘솔 조립체의 상승 및 고정을 한 손으로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식 조립체의 위치를 고정한 후에 사용자는 운동기구의 사용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구체예들은 특정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추가의 구체예들 및 설명된 예들에 대한 변형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의 어느 부분도 이후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설명된 모든 구체예들에 대해서 방법의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1)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수용해서 사용자의 신체와 챔버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경계면을 가진 양압 챔버; 밀봉 경계면에 인접해서 챔버에 부착된 높이 조정 조립체; 및 높이 조정 조립체에 부착된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차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 챔버는 복수의 투명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 챔버는 미끄럼 방지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널은 밀봉 경계면에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높이 조정 조립체는 수평 방향으로 가동되는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 조립체는 2개의 상응하는 조정 기둥 내에 위치된 2개의 이동가능한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각 이동가능한 단부는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롤러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배향된 제 1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각 이동가능한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브레이크 패드는 높이 조정 조립체를 기울임으로써 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 메커니즘은 상기 이동식 조립체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하도록 구성된 평형추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기둥에 위치된 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챔버에 부착된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밀봉 메커니즘은 챔버 내부의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플랫폼에 대한 밀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밀봉가능한 메커니즘은 발포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밀봉부를 현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핀-래치 고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압력 챔버; 및 제 1의 이동가능한 형태 및 제 2의 고정된 형태를 가진 수직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캔틸레버형 프레임을 포함하며, 압력 챔버에 의해 제 2의 고정된 형태가 가동되는 공기차압 시스템.
  19. 평형추 높이 조정 조립체를 사용하여 제어 패널과 압력 챔버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차압 시스템의 조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높이 조정 조립체의 캔틸레버형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기울임으로써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21. 플랫폼에 밀봉 가능하게 부착된 압력 챔버에 위치된 팔다리에 적용되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팔다리에 적용되는 압력 증가에 상응하여 압력 챔버와 플랫폼의 밀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차압 시스템의 사용 방법.



KR1020117029033A 2009-05-15 2010-05-12 공기차압 시스템 KR101722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890109P 2009-05-15 2009-05-15
US61/178,901 2009-05-15
PCT/US2010/034518 WO2010132550A1 (en) 2009-05-15 2010-05-12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706A true KR20120024706A (ko) 2012-03-14
KR101722964B1 KR101722964B1 (ko) 2017-04-04

Family

ID=4308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033A KR101722964B1 (ko) 2009-05-15 2010-05-12 공기차압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5) US8464716B2 (ko)
EP (2) EP2429476B1 (ko)
JP (2) JP5745506B2 (ko)
KR (1) KR101722964B1 (ko)
CN (1) CN102481225B (ko)
AU (1) AU2010249092A1 (ko)
CA (1) CA2761425A1 (ko)
ES (1) ES2709512T3 (ko)
WO (1) WO2010132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795B2 (en) * 2005-09-28 2009-09-22 Alterg,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ir pressure on a portion of the body of an individual
WO2014152862A1 (en) *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and scheduling of differential air pressure and other unweighted or assisted treatment systems
US20150379239A1 (en) * 2007-10-15 2015-12-31 Alter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and scheduling of differential air pressure and other unweighted or assisted treatment systems
CA2702449A1 (en) * 2007-10-15 2009-04-23 Alterg,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devices
WO2014153201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Method of gait evaluation and training with differential pressure system
US10342461B2 (en) 2007-10-15 2019-07-09 Alterg, Inc. Method of gait evaluation and training with differential pressure system
US20120238921A1 (en) 2011-03-18 2012-09-20 Eric Richard Kuehne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nd calibrating such systems for mobility impaired users
US9649243B2 (en) * 2008-01-07 2017-05-16 Lite Run, Inc. Body lift-assist walker device
US20090255531A1 (en) * 2008-01-07 2009-10-15 Johnson Douglas E Portable system for assisting body movement
WO2010132550A1 (en) 2009-05-15 2010-11-18 Alterg, Inc.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US8968163B1 (en) 2011-02-03 2015-03-03 David J. Vidmar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GB2491615B (en) 2011-06-08 2017-08-30 Mary Egan Fiona An exercise device
GB2491614A (en) * 2011-06-08 2012-12-12 Fiona Mary Egan An exercise device with a vacuum chamber made of modular components
JP5888900B2 (ja) * 2011-08-11 2016-03-22 昭和電機株式会社 運動装置
US9339691B2 (en) 2012-01-05 2016-05-17 Icon Health & Fitn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ercise device
US11540744B1 (en) * 2013-01-19 2023-01-03 Bertec Corporation Force measurement system
US11857331B1 (en) * 2013-01-19 2024-01-02 Bertec Corporation Force measurement system
WO2014138281A1 (en) 2013-03-05 2014-09-12 Alterg, Inc. Monocolumn unweighting systems
WO2014138504A2 (en) * 2013-03-06 2014-09-12 Udaya Sankar Devanaboyina Systems and methods for exerting force on bodies
WO2014153016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Cantilevered unweighting systems
WO2014153088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Support frame and related unweighting system
EP2969058B1 (en) 2013-03-14 2020-05-13 Icon Health & Fitness, Inc.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flywheel and related methods
WO2015034967A2 (en) 2013-09-04 2015-03-12 Microbaric Oxygen Systems, Llc Hyperoxic therap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WO2015100429A1 (en) 2013-12-26 2015-07-02 Icon Health & Fitness, Inc. Magnetic resistance mechanism in a cable machine
US9624947B2 (en) * 2014-01-28 2017-04-18 Tescom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ler with integral vent valve
US10433612B2 (en) 2014-03-10 2019-10-08 Icon Health & Fitness, Inc. Pressure sensor to quantify work
US10426989B2 (en) 2014-06-09 2019-10-01 Icon Health & Fitness, Inc.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US20170128769A1 (en) * 2014-06-18 2017-05-11 Alterg, Inc. Pressure chamber and lift for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 with medical data collection capabilities
WO2015195965A1 (en) 2014-06-20 2015-12-23 Icon Health & Fitness, Inc. Post workout massage device
AU2015302015B2 (en) * 2014-08-11 2021-02-25 Stratosphere Atc Llc Exercise apparatus simulating mild to high altitude environments
US9687404B2 (en) 2014-08-26 2017-06-27 Elwha Llc Gar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muscle or joint activity sensor and at least one actuator responsive to the sensor and related methods
US10232165B2 (en) * 2015-01-29 2019-03-19 Elwha Llc Gar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and at least one actuator responsive to the sensor and related methods
US11638676B2 (en) 2014-08-26 2023-05-02 Ventrk, Llc Gar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and at least one actuator responsive to the sensor and related methods
US10456604B2 (en) 2014-08-26 2019-10-29 Elwha Llc Gar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therapeutic stimulation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0668305B2 (en) 2014-08-26 2020-06-02 Elwha Llc Gar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therapeutic stimulation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0391361B2 (en) 2015-02-27 2019-08-27 Icon Health & Fitness, Inc. Simulating real-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WO2017066751A1 (en) * 2015-10-15 2017-04-20 Lite Run, Inc. Body lift-assist walker device
US10350450B2 (en) * 2016-01-13 2019-07-16 John Stelmach Lateral tilting treadmill systems
US10272317B2 (en) 2016-03-18 2019-04-30 Icon Health & Fitness, Inc. Lighted pace feature in a treadmill
US10493349B2 (en) 2016-03-18 2019-12-03 Icon Health & Fitness, Inc. Display on exercise device
US10625137B2 (en) 2016-03-18 2020-04-21 Icon Health & Fitness, Inc. Coordinated displays in an exercise device
US10671705B2 (en) 2016-09-28 2020-06-02 Icon Health & Fitness, Inc. Customizing recipe recommendations
IT201600113463A1 (it) * 2016-11-10 2018-05-10 Tecnobody S R L Dispositivo per la riduzione del peso corporeo durante la deambulazione o la corsa
JP6657133B2 (ja) * 2017-03-10 2020-03-04 医療法人才全会西新クリニック 運動装置
WO2018232371A1 (en) * 2017-06-15 2018-12-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intracranial pressure
USD1010028S1 (en) 2017-06-22 2024-01-02 Boost Treadmills, LLC Unweighting exercise treadmill
WO2019079655A1 (en) 2017-10-18 2019-04-25 Alterg, Inc.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APPROPRIATE DATA AND METHODS OF OPERATING DRIVING SYSTEMS WITH RELIEF
US11654327B2 (en) 2017-10-31 2023-05-23 Alterg, Inc. System for unweighting a user and related methods of exercise
WO2019106003A1 (en) 2017-11-28 2019-06-06 Transform Health Limited Physical activity apparatus
CA3214533A1 (en) 2018-02-19 2019-08-22 Woodway Usa, Inc. Differential air pressure exercise and therapeutic device
IT201800005639A1 (it) * 2018-05-23 2019-11-23 Macchina per ginnastica e relativo programma di allenamento, particolarmente per ginnastica fisioterapica, rieducativa, estetica o sportiva
CN108888812B (zh) * 2018-08-16 2024-04-26 常永红 肠道体外导引器
USD915529S1 (en) * 2018-11-28 2021-04-06 Transform Health Limited Physical exercise assembly
US11872433B2 (en) * 2020-12-01 2024-01-16 Boost Treadmills, LLC Unweighting enclosure, system and method for an exercise device
USD976343S1 (en) 2021-09-09 2023-01-24 Boost Treadmills, LLC Portion of an enclosure of a DAP unweighting system
USD976342S1 (en) 2021-09-09 2023-01-24 Boost Treadmills, LLC Portions of an enclosure of a DAP unweighting system
USD976340S1 (en) 2021-09-09 2023-01-24 Boost Treadmills, LLC Ovate enclosure of a DAP unweighting system
USD976344S1 (en) 2021-09-09 2023-01-24 Boost Treadmills, LLC Enclosure of a DAP unweighting system
USD977117S1 (en) 2021-09-09 2023-01-31 Boost Treadmills, LLC Ovoidal platform of a DAP unweighting system
USD976341S1 (en) 2021-09-09 2023-01-24 Boost Treadmills, LLC Handlebar portions of a DAP unweighting system
US20230115873A1 (en) * 2021-10-12 2023-04-13 Boost Treadmills, LLC DAP Platform, Integrated Lifts, System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EP4309750A1 (en) 2022-07-20 2024-01-24 Fu An Wellness Technology, Inc. Device with anti-gravity and suspen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339A (en) * 1991-04-15 1992-07-28 Whalen Robert T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WO2009051765A1 (en) * 2007-10-15 2009-04-23 Alterg,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l air pressur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30A (en) * 1866-05-08 Improvement in medical apparatus for treating diseases by vacuum
US100867A (en) * 1870-03-15 William curran
US72631A (en) * 1867-12-24 Improvement in medical vacuum-apparatus
US44198A (en) * 1864-09-13 Improvement in vacuum apparatus for treating diseases
US60883A (en) * 1867-01-01 George hadfield
US44196A (en) 1864-09-13 Improved ventilator
US871074A (en) * 1906-10-15 1907-11-12 Thomas P Stockton Bath apparatus.
US1336774A (en) 1919-03-08 1920-04-13 John J Cooper Cabinet for an exercising apparatus
US1504166A (en) * 1923-07-28 1924-08-05 Narragansett Machine Company Basket-ball back stop
US2785004A (en) 1954-10-14 1957-03-12 Cooper Leon Collapsible window for flexible panels
US3332176A (en) * 1962-03-05 1967-07-25 Robert E Breidenthal Inflatable structure
US3165314A (en) 1962-07-09 1965-01-12 Jerome P Clearman Invalid walker and ambulatory aid
US3335529A (en) * 1966-04-29 1967-08-15 Leigh M Gedney Inflatable building
US3428015A (en) * 1966-12-29 1969-02-18 Samuel E Cloud Spherical vehicle
US3353309A (en) * 1967-02-13 1967-11-21 John P Kwake Inflatable structure
US3768467A (en) * 1970-06-18 1973-10-30 Community Gin Co Life preserver bubble
DE2303970C3 (de) * 1972-07-27 1980-11-27 Lachar Royalty Management Corp. N.V., Willemstad, Curacao (Niederlaendische Antillen) Gymnastikgerät
US3911913A (en) * 1973-10-05 1975-10-14 Ethel L June Survival apparatus
US4149712A (en) * 1977-09-15 1979-04-17 Murphy Richard J Physical exercise apparatus
US4257407A (en) * 1977-10-21 1981-03-24 Macchi Pier G Negative pressure respirator shells
US4343302A (en) * 1978-10-30 1982-08-10 Dillon Richard S Promoting circulation of blood
US4411422A (en) * 1979-09-28 1983-10-25 Solloway Daniel S Aquatic exercise assembly
JPS592993A (ja) 1982-06-28 1984-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加圧潜水槽の圧力制御装置
US4509513A (en) * 1982-09-29 1985-04-09 Lasley Robert A Portable and collapsible hyperbaric chamber assembly
DE3239502C2 (de) * 1982-10-26 1984-10-04 Weyel Kg Visuelle Einrichtungen, 6342 Haiger Wandtafel mit einem ortsfesten, an einer Wand befestigbaren Tafelgestell
US4576376A (en) * 1984-11-23 1986-03-18 Miller Paul H Exercising apparatus
US4621621A (en) * 1985-02-19 1986-11-11 Marsalis John P Vacuum valve system
US4805601A (en) * 1985-03-15 1989-02-21 Eischen Sr Clement G Device for lower limb extremity having weight-response pressure chambers
US5398678A (en) * 1985-06-10 1995-03-21 Portable Hyperbarics, Inc. Hyperbaric chamber and exercise environment
US4974829A (en) * 1985-06-10 1990-12-04 Portable Hyperbarics, Inc. Hyperbaric chamber
US4934694A (en) * 1985-12-06 1990-06-19 Mcintosh James L Computer controlled exercise system
US4776581A (en) * 1986-07-24 1988-10-11 Shepherdson Donalda G Exercise apparatus
US4712788A (en) * 1986-10-08 1987-12-15 Gaudreau Charles H Jun Aquatic exercise apparatus
JPS63109878A (ja) 1986-10-27 1988-05-14 株式会社 セキネ 基礎体力向上トレ−ニング装置
JPS6422334A (en) 1987-07-17 1989-01-25 Matsushita Electronics Corp Mixer
US4887317A (en) 1987-08-31 1989-12-19 Burlington Industries, Inc. Cold weather system
CN2034152U (zh) 1988-01-29 1989-03-15 全相范 多气囊开襟背心
JPH0524333Y2 (ko) * 1988-06-15 1993-06-21
US5029579A (en) * 1989-01-13 1991-07-09 Ballard Medical Products Hyperbaric oxygen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4959047A (en) * 1989-04-10 1990-09-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Flexible lower body negative pressure trousers for -Gz acceleration protection
IT1235634B (it) 1989-07-18 1992-09-12 Stefano Weisz Dispositivo per la riabilitazione in ortostatismo a carico segmentario controllato.
US5075902A (en) 1990-10-09 1991-12-31 Mcreynolds Billy J Shorts with detachable elastic belts at the cuffs having detachable weight compartments
JPH0549596A (ja) 1991-08-21 1993-03-0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の吸引制御装置
WO1993006779A1 (en) 1991-10-10 1993-04-15 Neurocom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gait
US5242339A (en) * 1991-10-15 1993-09-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s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ubject work rate on an exercise device
US5221241A (en) 1992-01-13 1993-06-22 Bare Ii Frank L Gymnastic training device
US5830162A (en) 1992-01-23 1998-11-03 Giovannetti; Giovanni Battista Apparatus for the antigravity modification of the myotensions adapting the human posture in all of the planes of space
US5368532A (en) * 1993-02-03 1994-11-29 Diversified Products Corporation Treadmill having an automatic speed control system
US5356361A (en) * 1993-05-13 1994-10-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elf-generating oscillating pressure exercise device
US5389055A (en) 1993-10-20 1995-02-14 Gangloff; Robert B. Portable exercise bar device
FI98559C (fi) * 1993-11-09 1997-07-10 Aga Ab Menetelmä ja laite säätää olennaisesti suljetun eläinsuojan tai vastaavan tilan ilmakehää
US6033344A (en) * 1994-02-04 2000-03-07 True Fitness Technology, Inc. Fitness apparatus with heart r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A2123065C (en) 1994-02-16 1998-09-15 Curt J. Waedekin Lifting apparatus including overload sensing device
FI940823A0 (fi) 1994-02-22 1994-02-22 Orion Yhtymae Oy Analysatorkyvett foer turbidimetriska och nefelometriska bestaemningar av helblodsprov
CN2208414Y (zh) 1994-05-25 1995-09-27 韦毅权 负压恒温保健仪
US5799652A (en) * 1995-05-22 1998-09-01 Hypoxico Inc. Hypoxic room system and equipment for Hypoxic training and therapy at standard atmospheric pressure
US5702323A (en) * 1995-07-26 1997-12-30 Poulton; Craig K. Electronic exercise enhancer
US5688225A (en) * 1995-07-31 1997-11-18 Walker; John W. Therapeutic footwear
US5704881A (en) 1995-10-23 1998-01-06 Liftaire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rehabilitating patients
US5571062A (en) * 1995-11-02 1996-11-05 Kb Electronics, Inc. Treadmill safety module
US6027464A (en) * 1996-03-28 2000-02-22 Dahlquist; Daryl Leroy Sleeping and therapy system with a person hydraulically supported by immersion in water
US20010018564A1 (en) 1996-06-07 2001-08-30 Medical Dynamics (Israel) 1998 Ltd. Medical apparatus for facilitating blood circulation in the lower limbs
JP3269390B2 (ja) 1996-07-03 2002-03-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5738612A (en) * 1996-12-04 1998-04-14 Colin Corporation Exercise apparatus having exercise-load changing function
FR2761707B1 (fr) * 1997-04-02 1999-06-04 Scebep Spironef Voute gonflable, deployable et escamotable
US5901813A (en) * 1997-05-12 1999-05-11 Orgal; Daniel Physiotherapeutic device
US5921892A (en) * 1997-06-30 1999-07-13 Essi-Ferno Underwater treadmill device
CA2211815A1 (en) * 1997-07-29 1999-01-29 Craig Luk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vehicle brake effectiveness
US6042537A (en) * 1997-08-13 2000-03-28 Kaiser; Daniel Method and apparatus for tissue enlargement
US7141007B2 (en) * 1997-10-02 2006-11-28 Norbert Egger 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of persons
JPH11113988A (ja) 1997-10-14 1999-04-27 Etou Seisakusho:Kk 歩行補助具
US6482128B1 (en) * 1998-11-06 2002-11-19 Acinonyx Company Run specific training method
US6539946B2 (en) * 1998-11-13 2003-04-01 Rudolf Weyergans Alternating pressure method for cellulite reduction
US7153241B2 (en) * 1999-02-10 2006-12-26 Leao Wang Electric treadmill
JP2000342713A (ja) 1999-06-02 2000-12-12 Atr Media Integration & Communications Res Lab 体感競技中継装置
US7537546B2 (en) 1999-07-08 2009-05-26 Icon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exercise devices and providing motivational programming
US6918858B2 (en) 1999-07-08 2005-07-19 Icon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proved exercise device with access to motivational programming over telephone communication connection lines
US7166064B2 (en) 1999-07-08 2007-01-23 Icon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one or more exercise devices and computer devices and for enabling users of the one or more exercise devices to competitively exercise
WO2001014018A1 (en) * 1999-08-20 2001-03-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on of body weight support training (bwst) of biped locomotion over a treadmill using a programmable stepper device (psd) operating like an exoskeleton drive system from a fixed base
US6783482B2 (en) * 2000-08-30 2004-08-31 Brunswick Corporation Treadmill control system
JP3521345B2 (ja) 1999-10-15 2004-04-19 グンゼ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
DE10001845C2 (de) * 2000-01-18 2002-03-07 Norbert Egger Fitnessgerät in Form eines Bekleidungsstückes
US6645126B1 (en) 2000-04-10 2003-11-11 Biodex Medical Systems, Inc. Patient rehabilitation aid that varies treadmill belt speed to match a user's own step cycle based on leg length or step length
WO2001085497A1 (en) 2000-05-10 2001-11-15 Wallace Michael W Vehicle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6436011B1 (en) 2000-06-12 2002-08-20 Gerry Cook Exercise harness for use with unweighting apparatus
US6757558B2 (en) 2000-07-06 2004-06-29 Algodyne, Ltd. Objective pai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JP4504525B2 (ja) 2000-07-18 2010-07-14 加礼 城間 歩行補助機
US6666798B2 (en) 2000-07-21 2003-12-23 John T. Borsheim Therapeutic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6273844B1 (en) 2000-08-25 2001-08-14 Paradigm Health Systems International, Inc. Unloading system for therapy, exercise and training
EP1318866A4 (en) * 2000-09-06 2006-06-28 Colorado Altitude Training Llc METHOD AND SYSTEM FOR ALTITUDE SIMULATION
US6554747B1 (en) 2001-03-30 2003-04-29 Douglas F. Remp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2360644A (ja) 2001-04-02 2002-12-17 Gunze Ltd 運動補助装置
US6730002B2 (en) 2001-09-28 2004-05-04 Icon Ip, Inc. Inclining tread apparatus
US6921351B1 (en) 2001-10-19 2005-07-26 Cybergy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interactive exercise and health equipment
US6527678B1 (en) * 2001-11-20 2003-03-04 Leao Wang Electric treadmill to whose console the weight of the operator is automatically sent
USD495384S1 (en) * 2002-04-18 2004-08-31 Bernhard Rolfes Exercise apparatus
US7125388B1 (en) 2002-05-20 2006-10-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obotic gait rehabilitation by optimal motion of the hip
US20040238285A1 (en) * 2003-05-29 2004-12-02 Van Stokes Fall prevention assembly for parking lifts
WO2004009011A1 (en) 2002-07-23 2004-01-29 Healthsouth Corporation Improved powered gait orthosis and method of utilizing same
US7070542B2 (en) * 2002-07-26 2006-07-04 Unisen, Inc. Exercise machine including weight measurement system
JP2004073445A (ja) 2002-08-16 2004-03-11 Akira Sugimoto 吊下げ用歩行補助具
AU2002952811A0 (en) * 2002-11-22 2002-12-05 Oxygen Therapy International Pty Ltd Hyperbaric therapy capsule
US20050075680A1 (en) * 2003-04-18 2005-04-07 Lowry David Warr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racranial neurostimulation and/or sensing
DE10316009A1 (de) 2003-04-07 2004-11-25 Erich Scholz Trainingsgerät
DE20305670U1 (de) 2003-04-07 2003-08-14 Scholz Erich Trainingsgerät
US6905459B2 (en) * 2003-04-09 2005-06-14 Arthur L. Humphries, Jr. Device f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JP4471588B2 (ja) 2003-05-22 2010-06-02 有限会社ジーエムアンドエム 平衡感覚機能診断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装置
JP2005102798A (ja) * 2003-09-29 2005-04-21 Kazunori Tanaka 運動器具
US7792583B2 (en) 2004-03-16 2010-09-07 Medtronic, Inc. Collecting posture information to evaluate therapy
DE602004012959T2 (de) * 2004-04-16 2008-10-23 Hocoma Ag Gerät, um die Höhe eines Gewichts sowie eine auf dieses Gewicht wirkende Entlastungskraft zu regulieren
US7494450B2 (en) 2004-05-14 2009-02-24 Solomon Richard D Variable unweighting and resistance training and stretching apparatus for use with a cardiovascular or other exercise device
ATE360408T1 (de) 2004-11-10 2007-05-15 Ibfk Gmbh Internat Biotechnolo Trainingsgerät
US20080132383A1 (en) 2004-12-07 2008-06-05 Tylerton International Inc. Device And Method For Training, Rehabilitation And/Or Support
US7231671B2 (en) 2005-02-18 2007-06-19 Bradley Allen Adjustable leg width trousers
US7580752B2 (en) * 2005-02-23 2009-08-25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providing adaptive neurostimulation therapy for incontinence
US7294098B2 (en) * 2005-03-01 2007-11-13 Balanced Body, Inc. Carriage for a collapsible reformer exercise apparatus
US7850629B2 (en) * 2005-05-02 2010-12-14 Sundaram Ravikumar Compression apparatus for applying localized pressure to an extremity
WO2007015619A1 (en) 2005-08-01 2007-02-08 Tobeone Company Limited Automatic speed control apparatus for treadmi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762930B2 (en) * 2005-09-08 2010-07-27 Norbert Egger Adjustable fitness apparatus having a pressure chamber and an exercise device with a seat
US7591795B2 (en) * 2005-09-28 2009-09-22 Alterg,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ir pressure on a portion of the body of an individual
EP1772134A1 (en) 2005-10-05 2007-04-11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Device and method for an automatic treadmill therapy
JP2007151676A (ja) * 2005-12-01 2007-06-21 Air Press:Kk 高圧空気供給装置及び収容ボックス
DE102006010887A1 (de) 2006-03-09 2007-09-13 Seybold, Rolf, Prof. Dr.-Ing. Gerät zur Erzeugung von Unterdruck im unteren Körperbereich des Menschen
AU2007236395A1 (en) 2006-04-10 2007-10-18 Dietmar Basta Portable diagnostic system for a balancing function
US7780587B2 (en) 2006-05-04 2010-08-24 Crawl-To-Walk, Llc Unweighting assembly and support harness for unweighting a patient during rehabilitation
JP2008097298A (ja) 2006-10-11 2008-04-24 Sony Corp 電子機器、電子機器の接続機器識別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EP2124729A1 (en) 2006-11-17 2009-12-02 Balance International Innovations Gmb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ody sway feedback to a body of a subject
US7782358B2 (en) 2007-06-08 2010-08-24 Nokia Corporation Measuring human movements—method and apparatus
US7914420B2 (en) 2007-07-18 2011-03-29 Brunswick Corporation Sensing applications for exercise machines
US20150379239A1 (en) 2007-10-15 2015-12-31 Alter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and scheduling of differential air pressure and other unweighted or assisted treatment systems
US20120238921A1 (en) 2011-03-18 2012-09-20 Eric Richard Kuehne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nd calibrating such systems for mobility impaired users
US10342461B2 (en) 2007-10-15 2019-07-09 Alterg, Inc. Method of gait evaluation and training with differential pressure system
US20090255531A1 (en) * 2008-01-07 2009-10-15 Johnson Douglas E Portable system for assisting body movement
US8047966B2 (en) 2008-02-29 2011-11-01 Apple Inc. Interfacing portable media devices and sports equipment
WO2010132550A1 (en) 2009-05-15 2010-11-18 Alterg, Inc.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US7955219B2 (en) 2009-10-02 2011-06-07 Precor Incorporated Exercise community system
US8083643B2 (en) 2009-10-26 2011-12-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personalized fitness services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000155A1 (en) 2013-03-05 2016-01-07 Alterg, Inc. Unweighting garments
WO2014138281A1 (en) 2013-03-05 2014-09-12 Alterg, Inc. Monocolumn unweighting systems
WO2014138228A1 (en) 2013-03-05 2014-09-12 Alterg, Inc. Curved resilient member unweighting systems
WO2014153016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Cantilevered unweighting systems
WO2014153088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Support frame and related unweighting system
US20170128769A1 (en) 2014-06-18 2017-05-11 Alterg, Inc. Pressure chamber and lift for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 with medical data collection capabilities
US20160073704A1 (en) 2014-09-11 2016-03-17 Steven L. BASTA Unweighting garments for simultaneous use with unweighting and fall safety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339A (en) * 1991-04-15 1992-07-28 Whalen Robert T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WO2009051765A1 (en) * 2007-10-15 2009-04-23 Alterg,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l air pressur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5165A1 (en) 2021-07-08
EP3473305A1 (en) 2019-04-24
US8464716B2 (en) 2013-06-18
CN102481225B (zh) 2015-10-07
US20110120567A1 (en) 2011-05-26
ES2709512T3 (es) 2019-04-16
US20230240928A1 (en) 2023-08-03
EP2429476A4 (en) 2016-04-13
JP5745506B2 (ja) 2015-07-08
CN102481225A (zh) 2012-05-30
KR101722964B1 (ko) 2017-04-04
JP2012526629A (ja) 2012-11-01
JP2015144907A (ja) 2015-08-13
US20170367916A1 (en) 2017-12-28
US20130324893A1 (en) 2013-12-05
WO2010132550A1 (en) 2010-11-18
US9642764B2 (en) 2017-05-09
EP2429476A1 (en) 2012-03-21
CA2761425A1 (en) 2010-11-18
EP2429476B1 (en) 2018-10-24
AU2010249092A1 (en)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0928A1 (en)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US11752058B2 (en)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nd calibrating such systems for mobility impaired users
US20210251841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l air pressure devices
US11559720B2 (en) Differential air pressure exercise and therapeutic device
CA2831211C (en) Core stabilizing running exercise system and apparatus
US20240130917A1 (en) Differential air pressur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nd calibrating such systems for mobility impaired users
EP3723691A1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