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80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802A
KR20120023802A KR1020117030191A KR20117030191A KR20120023802A KR 20120023802 A KR20120023802 A KR 20120023802A KR 1020117030191 A KR1020117030191 A KR 1020117030191A KR 20117030191 A KR20117030191 A KR 20117030191A KR 20120023802 A KR20120023802 A KR 2012002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sheet
elastic body
longitudinal direc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417B1 (ko
Inventor
오사무 나카지마
유이치 스즈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51403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with activating means, e.g. for closing apertures upon contact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에서의 누설 방지부(50)는 탄성체(51)와 시트(52)에 의해서 구성된다. 누설 방지부(50)는 중앙 영역(C)과 중앙 영역(C)보다도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영역(S)을 갖는다. 탄성체(51)는 중앙 영역(C)과 단부 영역(S)의 적어도 경계에서 탄성체(51)가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한 상태로 시트(52)에 고정되는 고정부(51A)와 고정부(51A)보다도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여 시트(52)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51B)을 갖는다. 단부 영역(S)은 시트(52)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을 접합하는 접합 처리가 실시되는 접합 처리부(53A)와 접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처리부(53B)를 갖는다. 자유단(51B)은 비접합 처리부(53B)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양측부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누설 방지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표면 시트측 양측부에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한 쌍의 누설 방지부(소위, 입체 개더)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누설 방지부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가늘고 긴 탄성체(예컨대, 고무)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체를 둘러싸는 부직포(시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누설 방지부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보다도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영역을 갖는다. 단부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외측단에서는, 탄성체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부직포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누설 방지부는 착용 시에 있어서 탄성체의 수축으로 인해 흡수성 물품의 양측부로부터 착용자를 향해서 기립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한 쌍의 단부 영역에서의 외측단 사이에서 탄성체가 신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탄성체의 수축으로 인해 장착 시에 단부 영역이 중앙 영역(흡수면)측으로 필요 이상 쓰러져 버리기 쉬워서 장착 시에 흡수성 물품의 형태가 변형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누설 방지부보다도 굽힘 강성이 높은 흡수체에 단부 영역을 일체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의 형태를 안정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될 수 있는 한 광범위하게, 즉 흡수체와 단부 영역을 접합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합 처리가 실시된 단부 영역의 유연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착용 시에 단부 영역이 착용자에게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에 대한 촉감이 악화하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여 버린다.
일본 특허 공개 2003-245306호 공보(제2-3면, 도 8 및 도 10)
제1 특징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을 갖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누설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설 방지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탄성체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탄성체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표면 시트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누설 방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영역(중앙 영역(C))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영역(단부 영역(S))을 갖는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단부 영역의 적어도 경계에서 상기 탄성체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상기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부(고정부(51A))와, 상기 고정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자유단(51B))을 갖는다.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시트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을 접합하는 접합 처리가 실시되는 접합 처리부(접합 처리부(53A))와, 상기 접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처리부(비접합 처리부(53B))를 갖는다. 상기 자유단은 상기 비접합 처리부에 배치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의 일부 단면도(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설 방지부(50)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 처리부(53A)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 처리 장치(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측 롤(510)의 외주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7은 변경예 1에 관한 누설 방지부(50A)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이다(그의 1).
도 8은 변경예 1에 관한 누설 방지부(50A)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이다(그의 2).
도 9는 변경예 2에 관한 누설 방지부(50B)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변경예 3에 관한 누설 방지부(50C)의 일부 단면도이다(그의 1).
도 11은 변경예 3에 관한 누설 방지부(50C)의 일부 단면도이다(그의 2).
도 12는 변경예 3에 관한 누설 방지부(50C)의 일부 단면도이다(그의 3).
도 13은 변경예 3에 관한 누설 방지부(50C)의 일부 단면도이다(그의 4).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 부호를 부기하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적인 것과는 다르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의 구성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의 일부 단면도(도 1의 A-A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생리대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전측(복부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응한 전후 방향(이하,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향하여 세로 길이의 형상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 사이드 시트(30)와 흡수체(40)와 누설 방지부(50)를 구비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에는 날개부(60)와 점착부(70)와 접합부(80)가 형성된다.
표면 시트(10)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쪽에 설치된다. 표면 시트(10)는 에어스루 부직포(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등의 액투과성 시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면 시트(20)는 쇼츠에 접하는 쪽에 설치된다. 이면 시트(20)는 방수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 시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사이드 시트(30)는 표면 시트(10)에 대하여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직교하는 폭 방향(W)의 외측에 설치된다. 사이드 시트(30)는 스펀 본드 부직포(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의 액투과성 시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흡수체(4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설치되고, 흡수성 물품(1)과 마찬가지로 세로 길이의 형상을 갖는다. 흡수체(40)는 착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재(40A)와 흡수재(40A)를 피복하는 피복재(40B)에 의해서 형성된다. 흡수재(40A)는 분쇄 펄프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혼합 분체로 이루어진다. 피복재(40B)는 티슈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사이드 시트(30) 및 흡수체(40)는 접착제(예컨대, 핫멜트)나 열 융착 등에 의해서 각각이 접합된다.
누설 방지부(50)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에서의 양측부(3)에 설치된다. 또, 누설 방지부(5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날개부(60)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 외측을 향하여 이면 시트(20)와 사이드 시트(30)가 흡수체(40)보다도 연장함으로써 형성된다. 날개부(60)는 쇼츠의 크로치부(다리 가랑이 하부)에 접어 겹쳐지는 전방 날개부(60A)와 전방 날개부(60A)보다도 착용자의 후측에 설치되어 쇼츠의 형상을 따라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 외측으로 연장하는 후방 날개부(60B)에 의해서 구성된다.
점착부(70)는 쇼츠에 고정되는 점착성을 갖는 부재(예컨대, 핫멜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점착부(70)는 이면 시트(20)에서의 흡수체(40)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부(70)는 장(長)점착부(70A)와, 단(短)점착부(70B)를 갖는다. 장점착부(70A)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된다. 단점착부(70B)는 장점착부(70A)보다도 짧고, 이면 시트(20)의 날개부(60)를 구성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접합부(80)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40)에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으로 압력이 가해져(예컨대,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적어도 표면 시트(10)와 흡수체(40)가 접합됨에 따라 형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설 방지부(50)의 구성에 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설 방지부(50)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 처리부(53A)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 방지부(5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서의 중앙 영역(C)과, 중앙 영역(C)보다도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영역(S)을 갖는다. 또한, 누설 방지부(50)는 탄성체(51)와 시트(52)에 의해서 구성된다.
탄성체(51)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체(51)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설치된다. 탄성체(51)는 고정부(51A)와 자유단(51B)을 갖는다.
고정부(51A)는 중앙 영역(C)과 단부 영역(S)의 적어도 경계에서 탄성체(51)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한 상태로 시트(52)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자유단(51B)은 고정부(51A)보다도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고 시트(52)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위이다. 또, 자유단(51B)은 후술하는 비접합 처리부(53B)에 배치된다.
시트(52)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치된다. 시트(52)는 탄성체(51)를 둘러쌈과 동시에 표면 시트(10)에 적어도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52)는 사이드 시트(30)가 연장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은 누설 방지부(50)는 착용 시에 탄성체(51)의 수축으로 인해 착용자측을 향해서 기립하여 중공 형상을 형성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전술한 단부 영역(S)은 시트(52)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을 접합하는 접합 처리가 실시되는 접합 처리부(53A)와 접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처리부(53B)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 처리부(53A)는 소정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라인(L1) 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됨과 동시에, 소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2 라인(L2) 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된다. 즉,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은 격자형을 하고 있고, 접합 처리부(53A)는 제1 라인(L1)과 제2 라인(L2)의 교점에 설치된다. 또한, 접합 처리부(53A)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을 하고 있다.
제1 라인(L1)이 연장되는 방향(직선 방향)은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즉,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과 다르다. 제1 라인(L1)은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을 따른 선에 대하여 90°미만(도 3의 각도 α)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라인(L1)은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을 따른 선에 대하여 15°로 경사진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을 따른 접합 처리부(53A)의 폭(W1)은 상호 인접하는 탄성체(51)의 간격(S1)보다도 작다. 또한, 접합 처리부(53A)의 폭(W1)은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에 따른 탄성체(51)의 폭(W2)보다도 크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누설 방지부 형성 라인(S10)과 본체 라인(S20)을 구비한다.
누설 방지부 형성 라인(S10)은 탄성체를 접합하는 공정(S11)과, 시트를 접는 공정(S12)과, 누설 방지부를 형성하는 공정(S13)과, 시트를 임시로 고정시키는 공정(S14)과, 누설 방지부를 접착하는 공정(S15)과, 누설 방지부를 고정하는 공정 (S16)에 의해서 구성된다.
탄성체를 접합하는 공정(S11)에서는, 누설 방지부(50)를 구성하는 시트(52)(사이드 시트(30))가 연속된 한 쌍의 시트 연속체(152)에 누설 방지부(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탄성체(51)를 접합한다.
시트를 접는 공정(S12)에서는, 복수의 탄성체(51)가 접합된 한 쌍의 시트 연속체(152)를 양측 가장자리를 접음으로써 복수의 탄성체(51)를 각각 감싼다.
누설 방지부를 형성하는 공정(S13)에서는, 복수의 탄성체(51)가 감싸진 시트의 연속체(152)를 소정의 형상으로 접음으로써 누설 방지부(50)가 연속된 누설 방지부의 연속체(150)를 형성한다.
시트를 임시로 고정시키는 공정(S14)에서는, 후술하는 접합 처리 장치(500)에 의해서 누설 방지부의 연속체(150)에서의 제조 후의 누설 방지부(50)의 단부 영역(S)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술한 접합 처리부(53A)를 형성한다.
누설 방지부를 접착하는 공정(S15)에서는, 표면 시트(10)가 연속된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에, 접합 처리부(53A)가 형성된 누설 방지부의 연속체(150)를 접착한다.
누설 방지부를 고정하는 공정(S16)에서는,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와 누설 방지부의 연속체(150)를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으로 압력을 가함(예컨대, 엠보스 가공을 한다)으로써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에 누설 방지부의 연속체(150)를 고정한다.
본체 라인(S20)은 흡수재를 적층하는 공정(S21)과 피복재를 접는 공정(S22)과 피복재를 접합하는 공정(S23)과 흡수체를 절단하는 공정(S24)과 흡수체를 적층하는 공정(S25)과 이면 시트를 접착하는 공정(S26)과 접합부를 형성하는 공정(S27)과 물품의 외형을 접합하는 공정(S28)과 물품의 외형을 절단하는 공정(S29)에 의해서 구성된다.
흡수재를 적층하는 공정(S21)에서는, 분쇄 펄프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혼합 분체(도시되지 않음)를 모아 흡수재(40A)를 성형하고 피복재(40B)가 연속된 피복재의 연속체(140) 상에 성형된 흡수재(40A)를 소정 간격으로 적층한다.
피복재를 접는 공정(S22)에서는, 피복재 연속체(140)의 반송 방향(MD)으로 교차하는 교차 방향(CD)의 양측 가장자리를 흡수재(40A) 상으로 접어 겹친다.
피복재를 접합하는 공정(S23)에서는, 일제품의 흡수체(40) 크기에 대응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흡수재(40A)를 피복한 피복재의 연속체(140)를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으로 압력을 가함(예컨대, 엠보스 가공을 한다)으로써 흡수재(40A)와 피복재의 연속체(140)를 접합한다.
흡수체를 절단하는 공정(S24)에서는, 소정 간격으로 흡수재(40A)를 피복한 피복재의 연속체(140)를 일제품의 흡수체(40) 크기에 맞춰 절단하여 흡수체(40)를 형성한다.
흡수체를 적층하는 공정(S25)에서는, 누설 방지부의 연속체(150)가 접착된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에 접착제(예컨대, 핫멜트)를 도포하여, 해당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에 소정 간격으로 흡수체(40)를 적층한다.
이면 시트를 접착하는 공정(S26)에서는, 흡수체(40)가 적층된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에, 접착제(예컨대, 핫멜트)가 도포되는 이면 시트(20)가 연속한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접착한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와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 사이에 흡수체(40)가 설치된다.
접합부를 형성하는 공정(S27)에서는, 적어도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와 흡수체(40)를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으로 압력을 가함(예컨대, 엠보스 가공을 한다)으로써 적어도 표면 시트(10)와 흡수체(40)가 접합되는 접합부(80)를 형성한다.
물품의 외형을 접합하는 공정(S28)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외형에 대응하 도록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와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으로 압력을 가함(예컨대, 엠보스 가공을 한다)으로써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 및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를 접합한다.
물품의 외형을 절단하는 공정(S29)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도록 표면 시트의 연속체(110)나 이면 시트의 연속체(120), 누설 방지부(50) 등을 절단하여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 처리 장치(500)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 처리 장치(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측 롤(510)의 외주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 처리 장치(500)는 전술한 시트를 임시로 고정시키는 공정(S14)에서, 복수의 탄성체(51)를 둘러싼 시트의 연속체(152)에 있어서 누설 방지부(50)의 단부 영역(S)에 대응하는 위치에 격자형의 접합 처리부(53A)를 형성한다. 접합 처리 장치(500)는 상측 롤(510)과 하측 롤(520)을 구비한다.
상측 롤(510)의 외주에는 복수의 돌기부(511)가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부(51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돌기부(511)는 접합 처리부(53A)의 제1 라인(L1)에 대응하도록 소정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라인(L11) 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상측 롤(510)의 외주에 복수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511)는 접합 처리부(53A)의 제2 라인(L2)에 대응하도록, 소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2 라인(L12) 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상측 롤(510)의 외주에 복수 설치된다. 즉, 제1 라인(L11) 및 제2 라인(L12)은 격자형을 하고 있고, 복수의 돌기부(511)는 제1 라인(L11)과 제2 라인(L12)의 교점에 설치된다.
제1 라인(L11)이 연장되는 방향은 롤 회전 방향(R)(즉, 시트 연속체(152)의 반송 방향 MD)과 다르다. 제1 라인(L11)은 롤 회전 방향(R)을 따른 선에 대하여 90°미만(도 6의 각도 β)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롤(520)은 시트의 연속체(152)를 사이에 두고 상측 롤(510)과 대향한다. 하측 롤(520)의 외주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하측 롤(520)의 외주에는 복수의 돌기부(511)와 대향하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성체(51)의 고정부(51A)는 중앙 영역(C)과 단부 영역(S)의 적어도 경계에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탄성체(51)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외측단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경계 부분을 상호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수축한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외측단에서 탄성체(51)가 시트(52)에 고정되는 종래의 흡수성 물품과 비교해서 장착 시에 단부 영역(S)(즉,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외측단)이 중앙 영역(C)(흡수면)측으로 필요 이상 쓰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시에 흡수성 물품(1)의 형태가 안정되기 때문에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을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연속한 상태로 형성된다(소위, 세로 흘림 방법).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51)의 고정부(51A)는 중앙 영역(C)과 단부 영역(S)의 적어도 경계에 설치된다. 이 탄성체(51)의 고정부(51A)는 시트 연속체(152)의 반송 방향(MD)으로 신장된 상태로 시트의 연속체(152)에 접합된다. 이 때문에, 물품의 외형을 절단하는 공정(S29)에 있어서 누설 방지부(50)가 절단되면, 탄성체(51)는 고정부(51A) 사이는 신장된 상태가 되어 있고, 고정부(51A)보다도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외측(즉, 단부 영역(S))은 자유단(51B)으로 되어 있다. 자유단(51B)은 절단 시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수축할 때 접합 처리부(53A)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자유단(51B)이 꾸불거리거나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미관성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고정부(51A) 사이, 즉 중앙 영역(C) 내에서는, 착용 시에 탄성체(51)의 수축으로 인해서 누설 방지부(50)가 착용자를 향해서 기립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배설물이 흡수성 물품(1)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누설 방지부(50)보다도 강도가 있는 흡수체(40)에 단부 영역(S)을 일체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1)의 형태를 안정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체(40)와 단부 영역(S)을 접합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합 처리가 실시된 단부 영역(S)의 유연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처리부(53A)와 비접합 처리부(53B)가 설치되기 때문에, 흡수체(40)에 단부 영역(S)을 일체로 접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단부 영역(S)에서 시트(52)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을 접합하는 면적(즉, 접합 처리부(53A)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부 영역(S)이 단단해지기 어렵고, 해당 단부 영역(S)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시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렵게 하여 착용자에 대한 촉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처리부(53A)는 제1 라인(L1) 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됨과 동시에, 제2 라인(L2) 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접합 처리부(53A)가 제1 라인(L1)이나 제2 라인(L2)을 따라서 형성될 경우와 비교해서, 단부 영역(S)에서 시트(52)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을 접합하는 면적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S)이 더욱 단단해지기 어렵고, 해당 단부 영역(S)의 유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51)의 자유단(51B)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접합 처리부(53A) 사이에서 수축한다. 이 때문에, 단부 영역(S) 내에서 자유단(51B)은 접합 처리부(53A)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른 상태로 수축한다. 따라서, 자유단(51B)이 꾸불거리거나 주름이 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미관성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에 따른 접합 처리부(53A)의 폭(W1)은 상호 인접한 탄성체(51)의 간격(S1)보다도 작다. 이에 따르면, 접합 처리부(53A)의 폭(W1)이 탄성체(51)의 간격(S1)보다도 큰 경우와 비교해서, 단부 영역 (S)에서 시트(52)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을 접합하는 면적(즉, 접합 처리부(53A)의 면적)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라인(L1)이 연장되는 방향은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즉,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과 다르다. 예컨대, 제1 라인(L1)이 연장되는 방향이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과 동일한 경우, 접합 처리부(53A)와 탄성체(51)가 중첩되어 버리면, 해당 중첩된 부분이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버린다. 이 경우, 단부 영역(S)에서 시트(52)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이 접합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즉, 접합 처리부(53A)에서 탄성체(51)를 규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자유단(51B)이 수축할 때에 꾸불거리거나 주름이 지는 경우가 있어, 흡수성 물품(1)의 미관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제1 라인(L1)이 연장되는 방향이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과 다른 경우, 접합 처리부(53A)와 탄성체(51)가 중첩된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합 처리부(53A)에서 탄성체(51)를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고, 자유단(51B)이 꾸불거리거나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미관성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라인(L1)은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을 따른 선에 대하여 90°미만(실시형태에서는 15°)으로 경사진다. 또, 제1 라인(L1)이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을 따라서 경사지지 않으면, 접합 처리부(53A)와 탄성체(51)가 중첩된 경우, 즉 제1 라인(L1)이 자유단(51B)을 따라 중첩된 경우, 자유단(51B)이 시트(52)에 고정되어 버리고, 단부 영역(S)에서 시트(52)에 고정된 탄성체(51)의 수축으로 인해 단부 영역(S)이 중앙 영역(C)(흡수면)측으로 쓰러져 버리기 쉬워서, 장착 시에 흡수성 물품의 형태가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변경예)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한 누설 방지부(50)의 접합 처리부(53A)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한 누설 방지부(50)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1)
우선, 변경예 1에 관한 누설 방지부(50A)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변경예 1에 관한 누설 방지부(50A)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누설 방지부(50)의 접합 처리부(53A)에서의 제1 라인(L1)이 연장되는 방향은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즉,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과 다르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 방지부(50A)의 접합 처리부(53A)에서의 제1 라인(L1)이 연장되는 방향은 탄성체(51)가 신축하는 방향(즉,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과 동일하다.
여기서, 접합 처리부(53A)는 반드시 직선형(격자형)으로 설치될 필요는 없고, 예컨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형의 라인(L3) 상에 설치되더라도 좋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상의 라인(L4) 상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접합 처리부(53A)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51)와 시트(52)가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모두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접합 처리부(53A)는 탄성체(51)와 시트(52)가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모두에 접합 처리가 실시되는 것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또한, 단부 영역(S)의 거의 전면에 접합 처리가 실시되는 것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변경예 2)
다음에 변경예 2에 관한 누설 방지부(50B)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변경예 2에 관한 누설 방지부(50B)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누설 방지부(50)의 탄성체(51)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설치된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2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 방지부(50B)의 탄성체(51)는 1개 설치된다.
이 경우,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에 따른 접합 처리부(53A)의 폭(W1)은 탄성체(51)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에서의 누설 방지부(50) 가장자리부(50E)까지의 거리(L1)보다도 작다.
(변경예 3)
다음에 변경예 3에 관한 누설 방지부(50C)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변경예 3에 관한 누설 방지부(50C)의 일부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누설 방지부(50)의 시트(52)는 사이드 시트(30)가 연장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3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 방지부(50C)의 시트(52)는 표면 시트(10)나 사이드 시트(30)와 별도의 시트에 의해서 구성된다. 누설 방지부(50C)는 착용 시에 탄성체(51)의 수축으로 인해 착용자측을 향해서 기립하여 중공 형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누설 방지부(50C)는 반드시 중공 형상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양측부(3)에 있어서 복수 접어 겹쳐져 있어도 좋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양측부(3)에 있어서 한 번 접어 겹쳐져 있어도 좋다. 즉, 누설 방지부(50C)의 구성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착용 시에 누설 방지부(50C)가 착용자에게 밀착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서술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하리라 생각된다.
예컨대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1)은 생리대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설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 등이라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의 구성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부(51A)는 중앙 영역(C)과 단부 영역(S)의 적어도 경계에서 탄성체(51)가 시트(5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 영역(C) 전역에서 탄성체(51)가 시트(52)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접합 처리부(53A)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에서 보아서 직사각형을 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원형 또는 다각형(삼각형이나 오각형 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는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여러 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기술적 특징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19572호(2009년 5월 18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를 위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누설 방지부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형태를 안정시키면서 착용자에 대한 촉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액투과성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을 갖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누설 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누설 방지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탄성체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탄성체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표면 시트에 일부 또는 전부가 고정되는 시트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누설 방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영역을 가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단부 영역의 적어도 경계에서 상기 탄성체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상기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시트가 상호 대면하는 부분을 접합하는 접합 처리가 실시되는 접합 처리부와,
    상기 접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처리부를 가지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비접합 처리부에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처리부는 소정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라인 상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소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2 라인 상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상기 접합 처리부의 폭은 상호 인접하는 상기 탄성체의 간격보다도 작은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탄성체가 신축하는 방향과 다른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탄성체가 신축하는 방향을 따른 선에 대하여 90°미만으로 경사지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17030191A 2009-05-18 2010-05-17 흡수성 물품 KR101753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9572A JP5475323B2 (ja) 2009-05-18 2009-05-18 吸収性物品
JPJP-P-2009-119572 2009-05-18
PCT/JP2010/058260 WO2010134480A1 (ja) 2009-05-18 2010-05-1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802A true KR20120023802A (ko) 2012-03-13
KR101753417B1 KR101753417B1 (ko) 2017-07-03

Family

ID=4312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191A KR101753417B1 (ko) 2009-05-18 2010-05-1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072631B2 (ko)
EP (1) EP2433598A4 (ko)
JP (1) JP5475323B2 (ko)
KR (1) KR101753417B1 (ko)
CN (1) CN102427788A (ko)
AU (1) AU2010250483A1 (ko)
BR (1) BRPI1007118A2 (ko)
CA (1) CA2762666C (ko)
EA (1) EA201101642A1 (ko)
MX (1) MX2011012322A (ko)
UA (1) UA100341C2 (ko)
WO (1) WO2010134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45937T3 (es) * 2010-06-29 2021-07-28 Procter & Gamble Artículo absorbente con un dobladillo de pierna mejorado
JP6037660B2 (ja) * 2012-05-28 2016-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72945B2 (ja) 2014-09-30 2016-08-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12899B2 (ja) * 2016-06-06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4510B1 (ja) * 2016-06-20 2017-1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MX2019003700A (es) * 2016-09-30 2019-07-01 Aurizon Ultrasonics Llc Aparato para fabricar un material elastico no tejido.
JP6537658B1 (ja) * 2018-03-28 2019-07-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49742B2 (ja) 2018-07-30 2023-03-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BR112021001569A2 (pt) * 2018-07-31 2021-04-20 Daio Paper Corporation artigo para uso descartável
JP7164370B2 (ja) 2018-09-18 2022-11-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36289B2 (ja) * 2019-02-27 2023-03-0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27109B2 (ja) * 2019-09-18 2023-02-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3016093A (ja) * 2021-07-21 2023-02-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937B2 (ja) * 1988-02-19 1995-10-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H06254119A (ja) * 1993-02-24 1994-09-13 Procter & Gamble Far East Inc 改良された脚まわり漏れ防止構造を備える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2909877B2 (ja) * 1995-02-02 1999-06-2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US5810800A (en) 1996-06-27 1998-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US6248097B1 (en) * 1998-08-06 2001-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more conformable elastics
US6652693B2 (en) * 1998-08-06 2003-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applying adhesive in an article having a strand material
JP3830676B2 (ja) * 1998-10-30 2006-10-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638094B2 (ja) 1999-06-07 2005-04-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防漏カフ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100745397B1 (ko) 1999-11-30 2007-08-02 도요 에이자이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3748813B2 (ja) * 2001-01-29 2006-02-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19638B2 (ja) 2001-12-20 2007-05-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794441B2 (en) * 2004-04-14 2010-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cuff for a unitar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being spaced away from backsheet
JP4757182B2 (ja) * 2006-12-11 2011-08-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29521B2 (ja) 2007-06-29 2013-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52693B2 (ja) 2007-11-16 2013-02-27 日立ツール株式会社 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6344A1 (en) 2012-05-10
UA100341C2 (uk) 2012-12-10
CA2762666C (en) 2014-11-25
EA201101642A1 (ru) 2012-05-30
CA2762666A1 (en) 2010-11-25
CN102427788A (zh) 2012-04-25
JP5475323B2 (ja) 2014-04-16
BRPI1007118A2 (pt) 2018-12-26
KR101753417B1 (ko) 2017-07-03
MX2011012322A (es) 2011-12-16
EP2433598A1 (en) 2012-03-28
JP2010264161A (ja) 2010-11-25
EP2433598A4 (en) 2013-06-19
US9072631B2 (en) 2015-07-07
AU2010250483A1 (en) 2012-01-12
WO2010134480A1 (ja)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3802A (ko) 흡수성 물품
JP5404379B2 (ja) 吸収性物品
AU2015304525B2 (en) Disposable diaper and cushion sheet
AU2008259018A1 (en) Absorptive article
RU2647603C2 (ru) Подгузник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6047323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96215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2079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6314822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クッションシート
JP4197835B2 (ja) 吸収性物品
JP6308121B2 (ja) ボクサー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597581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08060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14198195A (ja) 吸収性物品
JP6365745B2 (ja) 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76989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6209987B2 (ja) 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62018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308646B2 (ja) 吸収性物品
JP7343993B2 (ja) 吸収性物品
JP5806846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051789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6265101B2 (ja) 吸収性物品
KR100831245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18196747A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