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824A -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824A
KR20120022824A KR1020117025331A KR20117025331A KR20120022824A KR 20120022824 A KR20120022824 A KR 20120022824A KR 1020117025331 A KR1020117025331 A KR 1020117025331A KR 20117025331 A KR20117025331 A KR 20117025331A KR 20120022824 A KR20120022824 A KR 20120022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raw water
membran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886B1 (ko
Inventor
모토하루 노구치
히데키 코조노
미치코 아오키
Original Assignee
메타워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워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타워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01D65/06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with special wash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8Use of other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상시 다량의 오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막면의 폐색을 방지하면서, 배수로부터 안정되어 재생수를 얻을 수 있는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상 모드시에, 오존 발생기(3)에서 발생시킨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오존 처리 전에 또는 후에,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고 오존 처리 및 응집제의 주입 후, 원수의 분리막(8)에 의한 막 여과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간헐적으로 세정 모드로 하고, 이 세정 모드시에, 통상 모드시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임으로써, 여과막의 세정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Process for producing regenerated water and system for producing regenerated water}
본 발명은, 하수 처리수 이외의 각종 배수를 원수로 하여 재생수를 얻는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 각종 배수를 막 여과하여 재생수를 얻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에는 정수 처리장의 여과못의 세정 배수를 막 여과함으로써, 세정수로서 재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발명의 경우에는 배수의 성질과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지만, 배수가 하수 배수와 같이 다량의 유기물 등의 미세 고형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배수를 막 여과하면 막 면이 배수 중의 유기물 등의 미세 고형물에 의해서 단시간 동안에 폐색해 버려, 운전 불능이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막 면의 폐색을 방지하는 기술로서는, 특허 문헌 3,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 중에 오존을 첨가하여 막 면 폐색의 원인이 되는 유기물을 분해해 버리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기물을 충분히 분해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오존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오존 발생기는, 그 자체가 고가인데다가, 오존 발생에는 다량의 전력을 소비하여, 오존 발생기의 유지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량의 오존을 첨가한 경우, 유기물의 분해가 진행되어, 막 면을 통과해 버리기 때문에, 막 여과 수중의 잔류 유기물 농도가 높아져서, 오히려 재생수의 수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 이유에 의해, 배수를 막 여과하여 재생수를 얻기 위해서 오존을 이용하는 것은 거의 실시되지 않으며, 특허 문헌 3, 4는 모두 정수 처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는, 하수 2차 처리수에 프레오존 처리, 생물 막 여과 처리, 오존 처리, 막 여과 처리를 실시하는 재생수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도 다량의 오존을 필요로 하고, 원수의 성질과 상태 변동 등에 의해서 프레오존 처리의 오존이 잘못되어 생물 막 여과 처리 공정에 유입되면 생물막의 활성이 저하하여 처리 수질이 악화될 우려도 있어, 실용상 운전은 용이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JP 1999-235587 A JP 2001-87764 A JP 2003-285059 A JP 3449248 B JP 2002-136981 A
수질은, 일(日) 변동이나 계절 변동이 있다. 또, 강우 등에 의해 생물처리(전 처리)로의 부하가 변화하여 원수 수질(2차 처리수)이 변동한다. 즉, 통상, 배수 성질과 상태(수질이나 수량)나 수온은 변화하기 때문에, 최적인 오존 투입량은 일정하지 않다.
오존 투입량을 일정하게 할 경우는, 배수 성질과 상태의 변동에 의해 부족하지 않게 오존 투입량을 조금 높게 설정한다. 그러면, 오존 설비의 운전비가 비싸진다. 따라서, 용존 오존 농도 등을 지표로서 배수 성질과 상태에 따라 투입 오존량을 제어함으로써, 오존 설비의 운전비를 삭감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제어 지연이나 제어치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서서히 여과막의 막 면이 더러워져 폐색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시 다량의 오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막면의 폐색을 방지하면서, 배수로부터 안정적으로 재생수를 얻을 수 있는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일시적으로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함으로써, 분리막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1]통상 모드시에,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전 또는 후에, 상기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며, 상기 오존 처리 및 상기 응집제의 주입 후에, 상기 원수의 분리막에 의한 막 여과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간헐적으로 세정 모드로 하고, 이 세정 모드시에, 상기 통상 모드시 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임으로써, 상기 여과막의 세정을 실시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2]상기 분리막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이의 막 차압을 측정하고, 이 막 차압의 상승 속도가 소정의 값을 넘었을 경우에, 상기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상기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이는 상기[1]에 기재된 재생수 제조 방법.
[3]상기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고, 이 탁도가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상기[2]에 기재된 재생수 제조 방법.
[4]상기 통상 모드시의 투입 오존량 또는 오존 소비량을 측정하고, 상기 투입 오존량 또는 오존 소비량이,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상기[2]또는[3]에 기재된 재생수 제조 방법.
[5]오존을 발생하는 오존 발생기를 가지며, 통상 모드시에 상기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간헐적으로 세정 모드로 하고, 이 세정 모드시에 상기 통상 모드시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이는 오존 처리부와, 상기 오존 처리 전 또는 후에, 상기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응집제 주입부와, 상기 오존 처리부 및 상기 응집제 주입부의 하류에, 상기 원수의 분리막에 의한 막 여과를 실시하는 막 여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시스템.
[6]상기 분리막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이의 막 차압을 측정하는 막 차압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막 차압 측정 수단에 의한 막 차압의 상승 속도가 소정의 값을 넘었을 경우에 상기 세정 모드로 하고, 상기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이는 상기[5]에 기재된 재생수 제조 시스템.
[7]상기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탁도 측정 수단에 의한 상기 탁도가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상기[6]에 기재된 재생수 제조 시스템.
[8]상기 통상 모드시의 상기 분리막의 투과 전의 상기 투입 오존량 또는 오존 소비량이,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상기[6]또는[7]에 기재된 재생수 제조 시스템.
통상 모드시에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세정 모드시에 통상 모드시 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임으로써, 분리막을 세정하여 막 차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분리막의 폐색을 방지하고, 약세(藥洗) 간격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간헐적으로 오존의 발생을 많게 하기 위하여, 오존 발생량을 상시 많이 할 필요가 없고, 러닝코스트를 저감하면서, 분리막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은 하수처리수, 반류수, 공장배수, 쓰레기 침출수, 분뇨, 농업폐수, 축산배수, 양식배수나 정수 원수 등의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세정 모드에 있어서의 오존 투입량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경, 수정, 개량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은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 발생기(3)를 갖는 오존 처리부(11)와, 오존 처리 전 또는 후에,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응집제주입부(12)와, 오존 처리부(11) 및 응집제 주입부(12)의 하류에, 원수의 분리막(8)에 의한 막 여과를 실시하는 막 여과부(13)를 구비한다. 오존 처리부(11)는 통상 모드시에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간헐적으로 세정 모드로 하고, 이 세정 모드시에 통상 모드시 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인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다. 하수처리장의 최종 침전못(1)에서부터 배출된 배수는, 오존 접촉탑(2), 응집조(4), 막 여과부(13)의 분리막(8)에 이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수가 되는 배수는 하수처리장의 최종 침전못(1)의 하수처리수이다. 그러나, 배수의 종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류수, 공장배수, 쓰레기 침출수, 분뇨, 농업폐수, 축산배수, 양식배수 등을 처리한 배수나 정수 원수라도 된다.
오존 접촉탑(2)에는,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3)가 구비되어 있으며, 오존 제어부(9)에 의해서 오존의 투입이 제어된다. 따라서, 오존 접촉탑(2), 오존 발생기(3), 오존 제어부(9)는 오존 처리부(11)를 구성한다.
오존 발생기(3)는 무성 방전법, 자외선법, 화학 생성법, 전해법 등에 의해 오존을 발생하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대량의 오존을 얻으려면, 무성 방전법이 바람직하다. 오존 발생기(3)는, 전원 투입에 의해 소정 농도의 오존을 발생하고, 원수는 오존 접촉탑(2)에 대해 오존 발생기(3)로부터 투입된 오존과 접촉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수와 오존과의 접촉의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향류식이나 하향류식이어도 되며, 산기판 또는 산기통으로부터 오존을 분출시키는 방법이나, 인젝터(injector)를 이용하여 미세 기포(나노 버블, 마이크로 버블)로서 오존을 불어오는 방법이어도 된다. 오존에 의한 원수중의 고형분의 응집 개선 효과는 극히 단시간에 실시된다.
오존 처리부(11)는, 오존 제어부(9)의 제어에 의해서 통상 모드 또는 세정 모가 된다. 통상 모드에서는, 소정 양의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한다. 세정 모드에서는, 통상 모드시 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인다. 즉, 오존 발생기(3)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올리는(전압 또는 전류치를 올린다) 것에 따라, 가스 오존 농도를 증가시킨다. 용존 오존 농도의 측정은, 오존 접촉탑(2)에서부터 막 여과부(13) 앞 어느 하나의 장소에서 실시한다.
응집조(4)에는, 응집제 주입 펌프(6)를 통해 응집제 저장조(7)가 구비되어 있으며, 응집제 주입 펌프(6)에 의해서 응집제 저장조(7)에서부터 응집제가 주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응집조(4), 응집제 주입 펌프(6), 응집제 저장조(7)는 응집제 주입부(12)를 구성한다. 응집제의 종류로서는, PAC, 염화 제2철, 황산 밴드, 고분자 응집제, PSI(폴리 실리카철 응집제) 등을 사용하면 좋다. 배수는, 응집조(4)에 대해 급속 교반이나 완속교반에 의해 응집제와 혼합되어 응집 플록(flock)이 형성된다. 또한, 응집 수단으로서 라인 믹서를 사용해도 된다.
막 여과부(13)에는, 분리막(8)이 구비되어 있으며, 분리막(8)으로서는, MF막 또는 UF막을 이용할 수 있다. 전단계에서 양호한 플록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막 면이 폐색되기 어렵고, 또 오존 처리부(11)가 세정 모드시에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이기 때문에, 높여진 용존 오존에 의해서 분리막(8)이 세정된다. 막의 재질은, 고분자막이나 세라믹막이어도 되며, 형상은 모노리스(monolith)형 외에, 튜뷸러(tubular)막, 하니콤(honeycomb)막, 중공사막, 평막 등 임의이다. 또, 막은 내압식이나 외압식이어도 된다. 또한 막 여과 방식은, 전량 여과 방식이나 크로스 플로우 방식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재생수 제조 방법은, 통상 모드시에, 오존 발생기(3)에서 발생시킨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오존 처리 전에 또는 후에,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고, 오존 처리 및 응집제의 주입 후, 원수의 분리막(8)에 의한 막 여과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간헐적으로 세정 모드로 하고, 이 세정 모드시에, 통상 모드시 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임으로써 여과막의 세정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먼저, 하수처리장의 최종 침전못(1)에서부터 배출된 배수를 오존 접촉탑(2)에 도입한다. 또한, 최종 침전못(1)과 오존 접촉탑(2) 사이에, 생물 막 여과나 담체법 등의 생물처리나, 모래 여과나 섬유 여과 등의 간이 여과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오존 접촉탑(2)에서 배수중에 첨가된 오존은, 배수중에 포함되는 미세 고형물과 접촉함으로써 미세 고형물의 표면 성질과 상태를 역응집성으로 개질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에서, 오존 처리부(11)의 오존 제어부(9)가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임으로써분리막(8)을 세정하여 분리막(8)의 폐색을 방지한다. 도 2중의 막 차압이란, 분리막(8)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이이다. 오존 투입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분리막(8)을 세정하여 막 차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오존 접촉탑(2)에 있어서의 간헐적인 세정용 오존의 투입은, 유입 수질의 변동이 비교적 적은 물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마다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수 유입수는 수질의 변동이 비교적 적지만, 1일간이라도 유량 변동이나 농도 변동이 있으며, 그 패턴은 거의 일정하다.하수 유입 오탁물 농도는, 일반적으로 낮부터 밤이 높고, 한밤중부터 아침이 낮다.처리장에서의 물 체류 시간은 반나절 정도이므로, 하수 2차 처리 수질은, 한밤중에서부터 아침은 높고, 낮부터 밤까지는 낮아진다. 이 패턴을 살려서 낮부터 밤의 수질이 비교적 양호한 시간은 오존 발생기(3)의 능력에 여유가 있으므로, 이 시간대에 용존 오존 농도를 높여서 막 면 세정을 실시한다.
(실시 형태 2, 3)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을, 도 4에 실시 형태 3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을 나타낸다.
도 3의 실시 형태 2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은 분리막(8)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이의 막 차압을 측정하는 막 차압 측정 수단(15)을 구비한다. 막 차압 측정 수단(15)에 의한 막 차압의 상승 속도가 소정의 값을 넘었을 경우에 세정 모드로 하고, 세정용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인다.막 차압의 값은, 수온 보정이나 높이 보정(압력계의 설치 높이의 차이를 보정)을 실시한 값도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 형태 3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은,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측정 수단(16)을 구비한다. 탁도 측정 수단(16)에 의해서 측정된 탁도는, 오존 제어부(9)에 입력되어 탁도 측정 수단(16)에 의한 탁도가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세정 모드로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분리막(8)의 투과전의 용존 오존 농도를 측정하는 용존 오존 농도 측정 수단(5)을 구비한다. 통상 모드시의 투입 오존량 또는 오존 소비량이,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세정 모드로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존 제어부(9)가, 탁도 측정 수단(16)에 의해서 측정된 탁도에 근거하여 투입 오존량을 변동하도록 구성하고, 투입 오존량이 소정의 값 이하의 경우에, 세정 모드로 하도록 구성한다. 또는, 오존 소비량을 검출하여, 오존 소비량이 소정의 값 이하의 경우에, 세정 모드로 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하천수와 같이, 통상은 원수 수질이 안정되어 있지만, 강우 등에 의해 급격하게 원수 수질이 악화되어 막 차압 상승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에, 원수 수질이 양호하게 된 후에, 용존 오존 농도를 상승시켜 막 차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탁도 측정 수단(16) 및 용존 오존 농도 측정 수단(5)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투입 오존량이나 오존 소비량은, 투입 오존 농도/배(排)오존 농도/오존 가스 유량/처리 대상액 유량으로부터 구해지지만, 오존 가스 유량/처리 대상액 유량이 거의 일정하다면 계산상 이들을 생략하고, 투입 오존 농도나 투입 오존 농도로부터 배오존 농도를 공제한 값을 지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수 용존 오존 농도를 계측하는 용존 오존 농도 측정 수단(5)에 의한 용존 오존 농도의 측정치에 의해서 응집제 주입 펌프(6)을 제어하여, 응집제의 주입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실시 형태 2, 3의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의 운전 방법을 설명한다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하수처리장의 최종 침전못(1)에서부터 배출된 배수를 오존 접촉탑(2)에 도입한다. 막 세정 간격(세정용 오존의 투입 간격)은, 막 차압 상승 속도와 펄스로 변화시키는 용존 오존 농도로 결정하면 된다. 막 세정 간격은, 1?10일에 1회가 좋고, 예를 들면, 하기 표 1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막 차압 상승 속도는 이하와 같다. 막 여과부(13)에서는 막 차압(원수측과 처리수측의 압력차이)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막 분리는 정기적으로 역세(逆洗)를 실시하고, 이러한 반대로 씻은 역세 직후의 막 차압(초기 막 차압)을 경과시간에서 플롯하고, 그 구배로부터 막 차압 상승 속도를 구한다. 예를 들면 막 차압 상승 속도가 1 kPa/일은 1일에 초기 막 차압이 1 kPa씩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1
예를 들면, 막 차압 상승 속도가, 0.2kPa/일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용존 오존 농도가 1㎎/ℓ가 되도록 세정용 오존을 첨가하는 경우, 5일에 1회 1시간 첨가하고, 용존 오존 농도가 2㎎/ℓ가 되도록 세정용 오존을 첨가하는 경우, 5일에 1회 0.5시간 첨가하면, 막 차압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간 안정된 막 여과 운전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3과 같이, 용존 오존 농도 측정 수단(5)과 탁도 측정 수단(16)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서, 유입 수질이 나쁘고, 정기적으로 용존 오존 농도를 높일 수 없었던 경우는, 2?3회분을 정리하여 실시하면 된다. 또한, 용존 오존 농도를 높이고 있는 시간을 연장시키면 된다.
또, 예를 들면 하천수와 같이, 통상은 원수 수질이 안정되어 있지만, 강우 등에 의해 급격하게 원수 수질이 악화되어 막 차압 상승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원수 수질이 양호하게 된 후에, 용존 오존 농도를 상승시켜 막 차압을 저하시킨다. 원수 수질이 양호하게 된지 아닌지는, 원수 탁도나 오존 투입량(용존 오존 농도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을 보면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오존 접촉탑(2)에서 오존과 접촉함으로써 원수 중의 고형분의 응집성을 높일 수 있었던 원수는, 응집조(4)에 보내지지만, 응집 전의 원수 중의 용존 오존 농도가 용존 오존 농도계(5)에 의해서 측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존에 의해서 응집성이 개선된 원수에 응집제가 주입되면, 원수의 고형분은 신속하게 응집해 플록을 형성한다. 또, 원수의 성질과 상태가 나쁘고 오존의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응집 전의 원수 중의 용존 오존 농도가 저하한 경우에는, 보다 많은 응집제가 주입되도록 하면, 역시 양호한 플록이 형성된다. 그 후, 분리막(8)에 의해 막 여과를 하여 막 여과수가 재생수로서 꺼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존 처리부(11)의 하류에, 응집제 주입부(12)가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응집제 주입부(12)의 하류에, 오존 처리부(11)가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응집조(4)에 있어서의 응집제의 주입에서 플록을 형성하지 않았던 고형분만 오존 처리를 실시하면 되기 때문에, 오존의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 1)
오존 접촉탑(2), 응집조(4), 막 여과부(13)의 순서로 원수를 유통시켜 처리하는 재생수 제조 시스템(10)에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존 오존 농도를 1시간 변화시켜 막차압의 개선율을 조사하였다.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용존 오존 농도가 0.75㎎O3/ℓ의 경우, 막 차압은 개선되지 않았다. 한편, 용존 오존 농도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1.0㎎O3/ℓ의 경우는, 막 차압 개선율은, 1.5kPa/hr, 실시예 2와 같이 2.0㎎O3/ℓ의 경우는, 막차압 개선율은, 2.5kPa/hr이었다.
Figure pct00002
(시험 2)
표 3의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용존 오존 농도를 0.75㎎O3/ℓ로 일정하게 하면, 분리막(8)은 90일마다 약세(藥洗)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실시예 3과 같이, 용존 오존 농도를 1일에 1시간 1.0㎎O3/ℓ로 증가하면, 약세간격을 120일로 할 수 있었다. 또, 실시예 4와 같이, 용존 오존 농도를 2일에 1시간 2.0㎎O3/ℓ로 증가하면, 약세간격을 120일로 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03
PACl: 3㎎-AL/ℓ
(PACl 중에 포함되는 알루미늄 기준의 PACl 투입량)
이상으로부터, 오존 발생기(3)의 능력이 남아 있을 때, 용존 오존 농도를 높여 운전하면 막 차압이 저하하는 것을 알았다. 이것에 의해, 상시 고농도 오존을 투입하지 않고도 장기간 안정된 운전이 가능해진다.
1:최종 침전못, 2:오존 접촉탑,
3:오존 발생기, 4:응집조,
5:용존 오존 농도 측정 수단, 6:응집제 주입 펌프,
7: 응집제 저장조, 8:분리막,
9:오존 제어부, 10: 재생수 제조 시스템,
11: 오존 처리부, 12:응집제 주입부,
13: 막 여과부, 15: 막 차압 측정 수단,
16: 탁도 측정 수단.

Claims (8)

  1. 통상 모드시에,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전 또는 후에, 상기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며,
    상기 오존 처리 및 상기 응집제의 주입 후에, 상기 원수의 분리막에 의한 막 여과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간헐적으로 세정 모드로 하고, 이 세정 모드시에, 상기 통상 모드시 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임으로써, 상기 여과막의 세정을 실시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이의 막 차압을 측정하고, 이 막차압의 상승 속도가 소정의 값을 넘었을 경우에, 상기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상기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고, 이 탁도가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통상 모드시의 투입 오존량 또는 오존 소비량을 측정하고, 상기 투입 오존량 또는 오존 소비량이,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5.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 발생기를 가지며, 통상 모드시에 상기 오존을 원수에 투입하여 원수를 오존 처리하고, 간헐적으로 세정 모드로 하고, 이 세정 모드시에 상기 통상 모드시보다 많은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이는 오존 처리부와,
    상기 오존 처리 전 또는 후에, 상기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응집제 주입부와,
    상기 오존 처리부 및 상기 응집제 주입부의 하류에, 상기 원수의 분리막에 의한 막 여과를 실시하는 막 여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이의 막 차압을 측정하는 막 차압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막 차압 측정 수단에 의한 막 차압의 상승 속도가 소정의 값을 넘었을 경우에 상기 세정 모드로 하고, 상기 세정용 오존을 상기 원수에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를 간헐적으로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탁도 측정 수단에 의한 상기 탁도가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통상 모드시의 투입 오존량 또는 오존 소비량이,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 모드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시스템.
KR1020117025331A 2009-03-27 2010-03-10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 KR101431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0498 2009-03-27
JP2009080498 2009-03-27
PCT/JP2010/053988 WO2010110065A1 (ja) 2009-03-27 2010-03-10 再生水製造方法、及び再生水製造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824A true KR20120022824A (ko) 2012-03-12
KR101431886B1 KR101431886B1 (ko) 2014-09-22

Family

ID=4278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331A KR101431886B1 (ko) 2009-03-27 2010-03-10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28695B2 (ko)
EP (1) EP2412679B1 (ko)
JP (2) JP5795529B2 (ko)
KR (1) KR101431886B1 (ko)
CN (1) CN102365240B (ko)
AU (1) AU2010228488B2 (ko)
HK (1) HK1164263A1 (ko)
SG (1) SG174579A1 (ko)
WO (1) WO2010110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8714B2 (ja) * 2009-09-14 2013-08-07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CA3085086C (en) 2011-12-06 2023-08-08 Delta Faucet Company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US11458214B2 (en) 2015-12-21 2022-10-04 Delta Faucet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CN108697989B (zh) * 2016-03-04 2019-09-27 三菱电机株式会社 膜过滤装置、过滤膜清洗方法以及过滤膜的制造方法
JP6931270B2 (ja) * 2016-05-31 2021-09-01 三菱ケミ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マイクロナノバブル発生装置を備えた気液反応装置及びこの気液反応装置を用いた気液反応方法
CN106007060A (zh) * 2016-06-22 2016-10-12 江苏新纪元环保有限公司 原生态水处理工艺及其处理系统
JP2019098321A (ja) * 2017-11-30 2019-06-24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複合凝集剤及びこれを用いた排水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4576A (en) * 1990-02-15 1992-05-19 Trineos Prevention of contaminants buildup in captured and recirculated water systems
JPH07232197A (ja) * 1994-02-23 1995-09-05 Kubota Corp 高度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887252B1 (ja) 1998-02-24 1999-04-26 日本碍子株式会社 急速ろ過池洗浄排水の処理方法
JP3449248B2 (ja) 1998-10-05 2003-09-22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00027510A1 (en) * 1998-11-10 2000-05-18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filtration with membrane
JP3697938B2 (ja) * 1999-04-27 2005-09-21 栗田工業株式会社 用排水処理装置
JP3859402B2 (ja) 1999-09-22 2006-12-20 株式会社クボタ ろ過池洗浄排水の処理方法
JP2002035552A (ja) * 2000-07-24 2002-02-05 Nkk Corp 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712110B2 (ja) 2000-11-06 2005-11-02 東京都 下水2次処理水の浄化方法
JP2002166265A (ja) * 2000-11-30 2002-06-11 Toshiba Corp 蛍光分析計を用いた水処理制御システム
JP2003251376A (ja) * 2002-03-06 2003-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水処理装置
JP2003285059A (ja) 2002-03-27 2003-10-07 Jfe Engineering Kk オゾン酸化及び膜ろ過を利用した水処理におけるオゾンの供給制御方法
US7632410B2 (en) * 2003-08-21 2009-12-15 Christopher Heiss Universal water purification system
JP2005230730A (ja) * 2004-02-20 2005-09-02 Kurita Water Ind Ltd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2005319375A (ja) * 2004-05-07 2005-11-17 Suido Kiko Kaisha Ltd 膜処理方法および膜処理装置
JP4653535B2 (ja) * 2005-03-25 2011-03-16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浄水製造方法
FR2891540B1 (fr) * 2005-09-30 2007-12-28 Otv Sa Procede de traitement d'eaux comprenant une etape de decantation rapide suivie d'une etape de filtration directement sur membranes de micro ou d'ultra-filtration, et dispositif correspondant.
ES2554925T3 (es) * 2006-08-01 2015-12-28 Metawater Co., Ltd. Método de reutilización de agua residual
WO2008124425A1 (en) * 2007-04-04 2008-10-16 The Boc Group, Inc. Process for treating waste water
US7459083B1 (en) * 2007-05-07 2008-12-02 I. Kruger Inc. Method for controlling fouling of a membrane filter
WO2009116514A1 (ja) * 2008-03-21 2009-09-24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再生水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64263A1 (en) 2012-09-21
JP2015024409A (ja) 2015-02-05
JP5837971B2 (ja) 2015-12-24
SG174579A1 (en) 2011-10-28
US20120031838A1 (en) 2012-02-09
WO2010110065A1 (ja) 2010-09-30
JPWO2010110065A1 (ja) 2012-09-27
AU2010228488A1 (en) 2011-11-03
AU2010228488B2 (en) 2015-01-22
EP2412679A1 (en) 2012-02-01
CN102365240A (zh) 2012-02-29
KR101431886B1 (ko) 2014-09-22
CN102365240B (zh) 2014-07-23
EP2412679B1 (en) 2016-12-28
JP5795529B2 (ja) 2015-10-14
US9028695B2 (en) 2015-05-12
EP2412679A4 (en)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7971B2 (ja) 再生水製造方法、及び再生水製造システム
CN103058467B (zh) 一种废纸造纸废水高效处理与综合回收利用方法及其装置
KR20080043614A (ko) 슬러지 감량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5147765B2 (ja) 再生水の製造方法
CN101269903B (zh) 炼油污水的进一步深度处理工艺及装置
KR101343930B1 (ko) 배수 재이용 방법
CN109607965A (zh) 一种污水处理厂尾水深度脱氮除磷的系统及方法
JP4861349B2 (ja) 再生水製造方法
KR101300466B1 (ko) 하·폐수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 제거방법
CN203200124U (zh) 一种废纸造纸废水高效处理与综合回收利用装置
JPWO2011136043A1 (ja) 廃水処理装置および廃水処理方法
EP0990622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Abwasser
JP2010069397A (ja) 排水処理装置
JP3456022B2 (ja) 汚水処理設備
CN205328795U (zh) 湿纺腈纶生产聚合废水处理系统
JP2001047089A (ja) 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202808534U (zh) 一种电子电镀废水处理回用系统
KR102027900B1 (ko)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KR10205998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CN105461163A (zh) 湿纺腈纶生产聚合废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RU2644904C1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азотно-фосфорных и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CN100391876C (zh) 一种采用曝气生物滤池处理对苯二甲酸废水的方法
CN211813865U (zh) 生活垃圾渗滤液膜前处理系统
KR100435621B1 (ko) 오수정화 고도처리시스템
CN104785012A (zh) 一种畜禽养殖场沼液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