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193A -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193A
KR20120018193A KR1020117029850A KR20117029850A KR20120018193A KR 20120018193 A KR20120018193 A KR 20120018193A KR 1020117029850 A KR1020117029850 A KR 1020117029850A KR 20117029850 A KR20117029850 A KR 20117029850A KR 20120018193 A KR20120018193 A KR 20120018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eat
backrest
vehicle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313B1 (ko
Inventor
제임스 아브라함
베른트 엥엘스
요한 슈라이어
페터 체게니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1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5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3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부품 및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 부품에 제공된 등받이를 포함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부품 및 등받이는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 부품 및 시트 부품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등받이를 구비한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고, 시트 부품 및 등받이는 이지-엔트리 위치(easy-entry position)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차량 시트는 종래 기술로부터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지-엔트리 위치에 부가하여, 차량 시트는 또한 실질적으로 수평적으로 등받이가 배열되는 "폴드-플랫(fold-flat) 위치"로서 지칭되는 위치로 빈번하게 이동될 수 있다. 차량 시트, 특히 차량 시트 부품이 이지-엔트리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만 폴드-플랫 위치가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시트 부품이 시트 부품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피봇된 경우 또는 인접한 시트의 시트 부품이 상기 시트 부품으로 피봇된 경우에만 등받이가 수평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별 기능들을 차단하거나 또는 가능하게 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차량 시트는 다양한 상이한 드라이브 또는 기계적 구성요소를 필요로 했으며, 따라서 상기 차량 시트는 비교적 복잡한 구성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차량 시트보다 더 간단한 구성을 가진 차량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시트 부품 및 시트 부품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등받이를 구비한 차량 시트에 의해 달성되며, 이 경우 시트 부품 및 등받이는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차량 시트는 액츄에이팅 요소를 가지며, 그 액츄에이팅 요소에는 이지-엔트리 위치로 시트 부품의 이동을 방지하는 블록킹 요소를 비활성화시키는 수단이 장착되며 이지-엔트리 위치에서 등받이의 기울어짐을 제한하는 수단이 배열된다.
본 발명은 시트 부품 및 등받이를 가진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등받이는 편안함 조정 목적을 위해 또한 이지-엔트리 위치 및/또는 폴드-플랫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시트 부품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차량 시트는 차량에 위치한 어떠한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차량 시트는 운전자의 시트 또는 앞좌석 승객 시트 뒤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시트는 다수의 개인들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벤치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부품 및 등받이는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 뒤에 위치한 차량 시트를 차지하는 것을 더욱 쉽게 한다. 이지-엔트리 위치에서, 차량 시트는 이동 방향으로 전방으로 차량 시트의 원래 위치로부터 변위되고, 등받이는 차량 시트의 방향으로 수직 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만큼 기울어진다. 개인이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시트 뒤의 시트 상에 앉은 이후, 차량 시트는 차량 시트의 이지-엔트리 위치로부터 원래의 이용 위치로 다시 되돌아가도록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일반적으로 수단, 특히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가지며, 상기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따라서 상기 차량 시트가 개별 차량 점유자에 대한 시트 위치의 조정을 위해 그리고 이지-엔트리 위치로의 차량 시트의 이동을 위해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부 레일은 차량 바디워크 상에서 하부 레일 및 차량 시트 상에 일반적으로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가 차량 시트의 이지-엔트리 위치에 있는 하부 레일의 영역은 안전을 이유로 차량 시트가 일반적인 작동 동안 이지-엔트리 위치를 채택할 수 없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킹 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시트 상에 배열되고, 바디 워크 및/또는 하부 레일 상에서, 예를 들면 상기 차량 시트가 점유되어 있고 특히 차량 시트의 등받이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블록킹 요소는 차량 시트가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블록킹 요소는 이지-엔트리 위치로 등받이의 이동 동안 또는 그 이후에 비활성화되고, 이용 위치로 등받이의 복귀 동안 또는 그 이후에 활성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시트는 이제 액츄에이팅 요소를 갖고, 이러한 액츄에이팅 요소 상에 이지-엔트리 위치로 시트 부품의 이동을 방지하는 블록킹 요소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배열되며 또한 이지-엔트리 위치에서 등받이의 기울어짐을 제한하는 수단이 배열된다. 등받이가 이지-엔트리 위치에 이미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이지-엔트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지 않다면,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수단은 차량 시트가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량 시트는 차량 시트의 방향으로 이지-엔트리 위치를 넘어서 하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차량 시트 상에서 물체가 부서지고 및/또는 개인들이 여전히 해를 입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시트 쿠션의 방향으로 미리 응력을 받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쿠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등받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매우 특별하게는 액츄에이팅 요소는 등받이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는, 등받이가 이지-엔트리 위치로 전방으로 접혔을 때 하부 레일의 이지-엔트리 위치의 봉쇄물(blockade)이 동시에 필수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등받이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있자마자 블록킹 요소가 다시 활성화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그 시트 부품 영역에서 시트 쿠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시트 쿠션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언급된 수단을 구동시킨다. 즉, 특히 개인이 시트 쿠션 위에 앉을 수 있는 이용 위치에 상기 시트 쿠션이 있을 때 아래로 상기 수단을 프레스한다. 따라서, 시트 쿠션이 이용 위치에 있을 때 액츄에이팅 요소가 블록킹 요소와 체결되는 것이 보장된다.
블록킹 요소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블록킹 요소 상에 제공된 액츄에이팅 핀과 같은 액츄에이팅 수단과 형상 끼워 맞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액츄에이팅 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 이용 위치로부터 이지-엔트리 위치로 등받이의 이동 동안, 액츄에이팅 수단은 바디 워크에 대해 개별 위치에서 예를 들어 하부 레일에 대해 상부 레일과 같은 차량 시트를 잠그는 록킹 수단을 해제하는 액츄에이팅 레버를 구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록킹 수단은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한 위치에서 하부 레일에 대해 상부 레일을 차량 점유자에 의해 잠그는 수단이다. 차량 시트를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록킹 수단은 해제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언급된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시트가 이지-엔트리 위치로부터 원래 위치로 다시 이동되자마자,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두 레일을 고정하는 것이 다시 효과를 나타낸다.
정지부는 록킹 수단이 초과 응력을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액츄에이팅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등받이는 폴드-플랫 위치로 추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등받이는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 시트 쿠션은 시트 부품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도록, 특히 멀리 피봇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시트 부품의 전방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주위에서 차량 시트 쿠션이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회전식 메커니즘을 가진다. 상기 수직 위치에서, 시트 쿠션은 이후 전방에 위치한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 추가적인 차량 시트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옆에 배열된다. 상기 추가적인 차량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보다 더 좁은 디자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60% 세그먼트의 20/40 분할이 포함된다.
추가적인 특히 좁은 차량 시트의 적어도 시트 쿠션은 특히 그 측면 부품 사이에서 시트 부품 프레임의 영역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시트 부품 프레임 상에, 특히 추가적인 시트 부품을 향한 측면 부품 상에 힌지가 배열되며, 상기 힌지 주위에서 추가적인 차량 시트의 시트 부품이 시트 부품 프레임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180°를 통해 피봇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액츄에이팅 요소는 블록킹 외형을 가지며, 이러한 블록킹 외형은 시트 쿠션이 시트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지 않고 및/또는 인접한 시트 쿠션이 시트 프레임 내에 배열되지 않는 경우에 등받이가 폴드-플랫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센서를 가지며, 이러한 센서에 이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시트 부품 및/또는 인접한 시트의 시트 부품이 있는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9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상기 설명은 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시트 벤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시트 벤치의 시트 부품을 도시한다.
도 3은 시트 프레임의 영역에 인접한 시트 부품의 삽입(stowing)을 도시한다.
도 4는 이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다.
도 5는 이지-엔트리 위치로의 이동 중인 도 4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다.
도 6은 시트 쿠션 부품을 멀리 피봇한 이후 도 4 및 5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다.
도 7은 폴드-플랫 위치에 있는 도 6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다.
도 8은 시트 부품 프레임의 영역에 인접한 시트 쿠션 부품을 배열하기 이전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다.
도 9는 시트 부품 프레임 내측으로 인접한 시트 부품의 이동 이후 도 8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우에 3개의 시트로 이루어진 후방 벤치의 부품으로서 차량 시트(1' 내지 1"')를 도시한다. 각각의 차량 시트는 시트 부품(2' 내지 2"') 및 등받이(3' 내지 3"')을 갖는다. 각각의 차량 시트의 시트 부품은 시트 쿠션(2.1' 내지 2.1"')을 갖는다.
특히 도 2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도 1에 따른 시트 벤치는 60/40 비율로 나뉜 후방 벤치이고, 여기서 부분(A)은 60%이고, 부분(B)은 40%이다. 부분(A)는 시트 쿠션(2.1"')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1"') 및 시트 쿠션(2.1")을 가진 인접한 차량 시트(1")로 이루어진다. 시트 쿠션(2.1")은 힌지(16)에 의해 시트(1"')의 시트 부품 프레임(2.2"') 상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도시된 이용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로 피봇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트 쿠션(2.1")은 시트 부품 프레임(2.2"')의 측면 부품들 사이에 위치한다. 피봇 이동은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 진다. 힌지의 대향 측면 상에서, 시트(1')의 시트 부품 프레임(2.2')은 레스트(rest; 15)를 갖고, 레스트 상에서 시트 쿠션(2.1")은 그 사용 위치에 지지된다.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시트 쿠션(2.1"')은 시트 부품 프레임(2.2"')의 전방 영역에 위치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수평 사용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의 삽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시트 쿠션(2.1"')의 영역에서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한 시트 부품 프레임(2.2"')의 영역을 위로 개방하고, 따라서 인접한 시트 쿠션(2.1") 및 선택적으로 또한 등받이(3")가 상기 영역 안으로 힌지(16)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1)를 도시하고, 이 경우 등받이(3)의 오직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시트 쿠션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도 1-3에서 1"'에 의해 나타내어진 차량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트 부품(2) 및 리클라이너(recliner; 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 부품(2) 상에 배열된 등받이(3)로 이루어진다. 등받이는 편안함 설정 목적을 위해 그리고 이지-엔트리 위치 또는 폴드-플랫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리클라이너(5)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시트 부품(2)의 시트 부품 프레임(2.2)은 하부 레일(4.2)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 상부 레일(4.1)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시트 부품 프레임(2.2)은 하부 레일(4.2)을 따라 변위되고, 이에 의해 원하는 시트 위치를 설정하며 또한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한다. 차량 시트의 원하는 위치로 차량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클로(claw)와 같은 록킹 수단(6)이 상부 레일(4.1)에 배열되고, 이러한 클로는 하부 레일 내의 리세스와 상호 작용하며 하부 레일(4.2)에 상부 레일(4.1)을 고정시킨다. 원하는 시트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액츄에이팅 레버(7)를 갖고, 이러한 레버는 회전식 조인트(8)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미리 응력을 받는다. 이러한 레버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록킹 수단(6)은 해제되고 차량 시트는 원하는 시트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레일(4.1)이 하부 레일(4.2)의 이지-엔트리 위치(4.2.1)에 위치할 정도로 시트가 좌측으로 변위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정지 피스(stop piece; 12.1)를 갖고, 이러한 정지 피스는 정지부(10)와 상호작용하고 그 결과적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가 좌측으로 너무 멀리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정지 피스(12.1)는 블록킹 요소(12), 여기서 블록킹 플레이트의 일 부분이고, 이러한 블록킹 요소는 회전 베어링(8)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 부품 프레임(2.2) 상에 유사하게 장착되며 정지부(4.1.2)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미리 응력을 받는다. 블록킹 플레이트 및 액츄에이팅 레버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여기서는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킹 요소(12)는 액츄에이팅 핀(12.2)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액츄에이팅 요소(11)이다.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1)는 커플링 포인트(11.1)에 의해 피팅(fitting; 3.1) 상의 그 상부 우측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피팅(3.1)은 공동 회전을 위해 등받이(3)에 연결된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시트 쿠션 부품의 방향으로 미리 응력을 받고, 즉 본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또한 시트 쿠션이 시트 부품 프레임의 영역, 즉 이용 위치에 있다면 시트 쿠션(미도시)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프레스된다. 이러한 위치는 도 4에 도시된다. 또한, 액츄에이팅 요소(11)는 액츄에이팅 외형(contour; 11.2) 및 블록킹 핀(11.3)을 갖는다. 액츄에이팅 외형(11.2)은 등받이가 수직 위치로부터 이지-엔트리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액츄에이팅 핀(12.2)과 체결된다.
이지-엔트리 위치로의 등받이의 이러한 이동은 도 5에서 도시된다. 등받이는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우측으로 액츄에이팅 요소(11)를 이동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액츄에이팅 외형(11.2)은 액츄에이팅 핀(12.2)과 체결되고 스프링 힘에 대해 역으로 그리고 회전식 베어링(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블록킹 요소(12)를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블록킹 요소(12)는 더 이상 정지부(4.1.2)에 대해 지지되지 않는다. 액츄에이팅 핀이 액츄에이팅 레버(7)를 터치할 정도로 액츄에이팅 핀(12.2)이 액츄에이팅 요소(11)에 의해 이동되었다면, 액츄에이팅 핀(12.2)은 회전식 베어링(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액츄에이팅 레버(7)를 피봇시키고, 그 결과 액츄에이팅 레버(7)는 록킹 수단(6)을 해제한다. 블록킹 요소(12)의 이러한 회전과 동시에, 정지 피스(12.1)는 유사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따라서 정지부(10) 위에 위치하며 따라서 블록킹 방식으로 더 이상 함께 상호작용할 수 없다. 도 5에서 도시된 위치로의 정지 피스(12.1)의 이동 및 록킹 수단(6)의 해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상부 레일(4.1)은 하부 레일의 이지-엔트리 위치(4.2.1)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동안 정지 피스(12.1)가 정지부(10) 상에 포획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정지부(10)는 그 우측 상부 영역에 램프(10.1)를 갖는다. 등받이(3)가 다시 이용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액츄에이팅 요소(11)는 블록킹 핀(11.3)을 갖는다. 블록킹 핀(11.3)이 블록킹 요소(12)의 액츄에이팅 외형(12.3)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팅 요소(11)의 좌측으로, 즉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은 결과적으로 방지된다. 시트 부품이 이용 위치로 다시 푸쉬되어 돌아오자마자, 블록킹 요소(12)는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등받이는 다시 직립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전체 이동은 차량 시트가 원래 위치로 다시 변위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반대로 진행된다(도 4).
액츄에이팅 요소(11)는 등받이의 편안한 조정 동안 구동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4 및 5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시트 쿠션(미도시)은 수평 위치로부터 베어링(18) 주위의 수직 위치로 이동되었다. 그 결과, 액츄에이팅 요소(11) 상에 위치되는 시트 쿠션 센서(11.5)는 시트 쿠션과 더 이상 체결되지 않고, 시계 방향으로 미리 응력을 받은 액츄에이팅 요소(11)는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가 정지부(13)와 상호작용할 때까지 커플링 포인트(11.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 동안 회전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11)는 이에 의해 블록킹 요소(12)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미리 응력을 받은 블록킹 요소(12)가 정지부(4.1.2)에 대해 지지되고 따라서 차량 시트가 좌측으로 시프트되었을 때 정지부(10)와 체결되는 방식으로 정지 피스(12.1)가 위치되게 된다. 이는 차량 시트가 이지-엔트리 위치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을 방해하고, 이 경우 시트 쿠션은 수직으로 피봇된다. 액츄에이팅 요소(11)가 블록킹 요소(12)와 더 이상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에, 폴드-플랫 위치로 이지-엔트리 위치를 넘어선 등받이의 회전 이동이 또한 원칙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이러한 이동은 중앙 쿠션 센서(14)에 의해 여전히 차단되는데, 중앙 쿠션 센서의 상단부는 액츄에이팅 요소(11) 상에서 유사하게 제공되는 블록킹 외형(11.4)을 방해한다. 인접한 시트 쿠션(2.1")(도 1 내지 3 참고)이 여기서 도시된 시트 부품의 시트 부품 프레임(2.2)의 영역에 위치하기 이전에, 중앙 쿠션 센서(14)는 등받이(3)가 폴드-플랫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트 부품(2.1")(미도시)이 이 위치에 있자마자, 시트 쿠션 센서는 (종이의 평면으로부터)블록킹 외형(11.4)의 영향 영역 외부로 피봇되고, 등받이(3)가 도 7에서 도시된 폴드-플랫 위치로 다시 올려질 때까지 도 7에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우측으로 변위될 수 있다.
중앙 시트 쿠션 센서(14)의 피봇팅은 특히 도 8 및 9에서 볼 수 있다. 도 8에서 중앙 시트 쿠션은 시트 부품 프레임의 영역에 있지 아니하고, 따라서 중앙 시트 쿠션 센서(14)는 액츄에이팅 요소(11)와 체결한다. 그러나, 중앙 시트 쿠션이 이 영역에 배열되자마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 쿠션 센서(14)는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고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11)의 영향의 영역에 더 이상 있지 않는다.
*도면 부호 리스트
1 차량 시트 2 시트 부품
2' 제 1 시트 부품 세그먼트 2" 제 2 시트 부품 세그먼트, 중앙 세그먼트
2"' 제 3 시트 부품 세그먼트 2.1 시트 쿠션
2.1' 제 1 시트 쿠션 2.1" 제 2 시트 쿠션, 중앙 시트 쿠션
2.1"' 제 3 시트 쿠션 2.2 시트 부품 프레임
3 등받이 3' 제 1 등받이 세그먼트
3" 제 2 등받이 세그먼트 3"' 제 3 등받이 세그먼트
3.1 피팅 4 레일
4.1 상부 레일 4.1.1 정지부
4.1.2 정지부 4.2 하부 레일
4.2.1 하부 레일의 이지-엔트리 위치 5 리클라이너
6 록킹 수단 7 액츄에이팅 레버
7.1 램프
8 블록킹 요소(12)의 그리고 액츄에이팅 수단(7)의 회전식 베어링
9 스프링 수단, 비틀림 스프링
10 정지부 10.1 램프
11 액츄에이팅 요소 11.1 커플링 포인트
11.2 액츄에이팅 외형 11.3 블록킹 핀
11.4 블록킹 외형 11.5 시트 쿠션 센서
12 블록킹 요소 12.1 정지 피스
12.2 액츄에이팅 핀 12.3 액츄에이팅 외형
12.4 블록킹 외형 13 제한 수단
14 중앙 시트 쿠션 센서 15 지지부
16 힌지 17 바디워크
18 회전식 조인트

Claims (12)

  1. 시트 부품(2) 및 상기 시트 부품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등받이(3)를 구비한 차량 시트(1)로서, 상기 시트 부품(2) 및 상기 등받이(3)가 이지-엔트리 위치(easy-entry position)로 이동될 수 있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는 액츄에이팅 요소(11)를 가지며,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1) 상에는,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로 상기 시트 부품(2)의 이동을 방지하는 블록킹 요소(12)를 비활성시키기 위한 수단(11.2), 및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3)의 기울어짐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11.3)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3)는 상기 수단(11)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1)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동시키는 시트 쿠션(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1.2)은 상기 블록킹 요소(12) 상에 제공된 액츄에이팅 수단(12.2)과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in a form-fitting manner) 상호작용하는 액츄에이팅 외형(contou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이용 위치로부터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로 상기 등받이의 이동 동안, 상기 액츄에이팅 수단(12.2)은, 바디워크(bodywork)에 대한 각각의 위치에 상기 차량 시트를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6)을 해제하는 액츄에이팅 레버(7)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정지부(4.4.1)는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3)는 폴드-플랫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2.1)은 상기 시트 부품 프레임(2.2)으로부터 멀리 이동, 특히 멀리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차량 시트(2")가 옆에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2.1")은 상기 시트 부품 프레임(2.2)의 영역으로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1)은, 상기 시트 쿠션(2.1)이 상기 시트 프레임(2.2)으로부터 멀리 이동되지 않고 및/또는 상기 인접한 시트 쿠션(2.1")이 상기 시트 프레임(2.2) 내에 배열되지 않는다면 상기 등받이(3)가 상기 폴드-플랫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킹 외형(1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쿠션 센서(11.5, 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117029850A 2009-05-13 2010-05-06 차량 시트 KR101367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1211.6 2009-05-13
DE102009021211A DE102009021211B4 (de) 2009-05-13 2009-05-13 Fahrzeugsitz
PCT/EP2010/002779 WO2010130369A2 (de) 2009-05-13 2010-05-06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193A true KR20120018193A (ko) 2012-02-29
KR101367313B1 KR101367313B1 (ko) 2014-02-27

Family

ID=4297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850A KR101367313B1 (ko) 2009-05-13 2010-05-06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02170B2 (ko)
EP (1) EP2440429B1 (ko)
JP (1) JP5568632B2 (ko)
KR (1) KR101367313B1 (ko)
CN (1) CN102803013B (ko)
DE (1) DE102009021211B4 (ko)
WO (1) WO20101303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9360B1 (en) * 2006-08-03 2018-07-0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Recliner mechanism
DE102010039361A1 (de) * 2010-08-16 2012-02-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mehreren Beschlägen
US8678463B2 (en) * 2012-06-21 2014-03-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seat assembly
US9333880B2 (en) 2013-03-15 2016-05-10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movement
US10214119B2 (en) 2013-09-20 2019-02-26 Lear Corporation Track adjuster
US9776532B2 (en) 2013-09-20 2017-10-03 Lear Corporation Easy entry seat track adjuster
DE102014217754B4 (de) 2013-09-20 2019-05-09 Lear Corporation Easy-Entry Sitzeinstellvorrichtung und Schienenanordnung
CN105793099B (zh) * 2013-11-29 2018-10-02 约翰逊控股公司 用于车辆的座椅系统
WO2015094968A1 (en) 2013-12-16 2015-06-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 seat arrangement
JP6351362B2 (ja) * 2014-05-12 2018-07-04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628964B1 (ko) * 2015-03-18 2016-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CN107264348B (zh) * 2016-04-07 2020-03-31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手动儿童安全座椅
DE102017204111A1 (de) * 2017-03-13 2018-09-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tz für ein Fahrzeug
US10926667B2 (en) 2018-05-04 2021-02-2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040639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882420B2 (en) 2019-03-08 2021-01-05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906431B2 (en) 2018-05-04 2021-02-0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358497B2 (en) 2018-05-04 2022-06-14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having a rolling member
US10889208B2 (en) 2018-05-04 2021-01-1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040638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225201B2 (en) 2018-12-10 2022-01-18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440482B2 (en) 2018-12-10 2022-09-1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613220B2 (en) 2018-12-17 2023-03-2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117538B2 (en) 2018-12-17 2021-09-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0855037B2 (en) 2018-12-17 2020-12-01 Lear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with a support member and a track assembly
US10950977B2 (en) 2018-12-18 2021-03-16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for a vehicle component
US11975665B2 (en) 2019-02-20 2024-05-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040653B2 (en) 2019-02-25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299075B2 (en) 2019-03-06 2022-04-1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807142B2 (en) 2019-03-06 2023-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rack assembly
US11634101B2 (en) 2019-10-04 2023-04-25 Lear Corporation Removable component system
US11323114B2 (en) 2019-10-04 2022-05-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S11463083B2 (en) 2019-10-04 2022-10-0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S11835119B2 (en) 2020-02-21 2023-12-05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with a support member
US11505141B2 (en) 2020-10-23 2022-11-2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with track assembly and suppor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0530B2 (ja) 1981-10-23 1985-11-08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衝撃液圧成形装置
JPS5870929U (ja) * 1981-11-09 1983-05-13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ウオ−クイン機構を備えた座席の背もたれ前傾拘束装置
US4634180A (en) * 1984-08-06 1987-01-06 Keiper Recaro Incorporated Vehicle easy entry seat latching mechanism
JP3924814B2 (ja) * 1995-09-26 2007-06-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US5806932A (en) * 1996-07-25 1998-09-15 P. L. Porter Co. Seat adjustment and dumping mechanism with memory of adjustment
ATE201358T1 (de) * 1996-12-09 2001-06-15 Magna Interior Sys Inc Kippbarer und verschiebbarer kraftfahrzeugsitz mit erst in gebrauchslage einschnappender verriegelung
JP2001130304A (ja) * 1999-08-23 2001-05-15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の補助シート構造
US6454355B2 (en) * 2000-03-08 2002-09-24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nada Limited Latching mechanism for seat assembly
JP3712916B2 (ja) * 2000-04-28 2005-11-02 日産車体株式会社 三人掛けシート
JP3833936B2 (ja) * 2001-12-25 2006-10-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装置
CA2438638C (en) 2002-08-29 2007-04-10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nada Limited Fold flat vehicle seat coincident with rearward travel
JP3798356B2 (ja) * 2002-10-09 2006-07-1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135523B2 (ja) * 2003-02-19 2008-08-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DE602004024997D1 (de) * 2003-07-21 2010-02-25 Intier Automotive Inc Verstellbare seitenpolster
DE102005017248A1 (de) * 2005-04-14 2006-10-19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Manuell längsverschiebbarer Kraftfahrzeugsitz
DE202005021469U1 (de) * 2005-04-14 2008-03-20 Faurecia Autositze Gmbh Manuell längsverschiebbarer Kraftfahrzeugsitz
DE102005044555B3 (de) * 2005-09-17 2007-0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Kg Fahrzeugsitz
DE102007053958B4 (de) * 2007-02-26 2016-04-28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JP2009029272A (ja) * 2007-07-27 2009-02-12 Hino Motors Ltd ウォークインシートスラ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0369A3 (de) 2011-09-22
CN102803013A (zh) 2012-11-28
EP2440429A2 (de) 2012-04-18
JP2012526691A (ja) 2012-11-01
JP5568632B2 (ja) 2014-08-06
US8702170B2 (en) 2014-04-22
WO2010130369A2 (de) 2010-11-18
EP2440429B1 (de) 2019-02-27
US20120119548A1 (en) 2012-05-17
DE102009021211A1 (de) 2010-11-18
DE102009021211B4 (de) 2013-08-08
CN102803013B (zh) 2014-12-31
KR101367313B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313B1 (ko) 차량 시트
US6805410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KR101658788B1 (ko) 조절가능식 차량 시트
KR100778590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너 조절구조
KR20160106688A (ko) 차량 시트
US8128162B2 (en) Armrest assembly for a seat
EP2117872A1 (en) Stand up and kneel seat
US8702172B2 (en)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CA2786292C (en) Seat assembly with easy-entry mechanism and fold flat feature
WO2017110438A1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1598722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폴딩 장치
US10589642B2 (en) Easy-entry vehicle seat
KR20140007487A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JP4663322B2 (ja) 自動車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装置
US8113589B2 (en) Vehicle seat with a rotatable and essentially displaceable backrest
JP4712036B2 (ja) 自動車用座席
JP5889936B2 (ja) 中間復帰スライドウォークインを備えた車両シート装置
JP5946246B2 (ja) 乗り物用シート
US20230028374A1 (en) Vehicle seat
US10675995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latching device and an additional control device
JP7151436B2 (ja) 車両用シート
US20230398909A1 (en) Vehicle seat with a locking element
CN116829406A (zh) 带有锁定操纵杆的车辆座椅
JP2520792Y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2010149824A (ja) 車両用シート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