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964B1 -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964B1
KR101628964B1 KR1020150037279A KR20150037279A KR101628964B1 KR 101628964 B1 KR101628964 B1 KR 101628964B1 KR 1020150037279 A KR1020150037279 A KR 1020150037279A KR 20150037279 A KR20150037279 A KR 20150037279A KR 101628964 B1 KR101628964 B1 KR 101628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auxiliary body
headres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03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05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에 결합되며 탑승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하는 메인바디와, 시트백에 결합되어 메인바디의 양측으로 이동되고,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1,2보조바디와,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제1,2보조바디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와, 메인바디와 시트백에 설치되어 이동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탑승자가 장시간 여행시 수면을 취할 때, 헤드레스트의 보조바디를 작동시킨 후에 수면을 취하게 되면 수면 중에 고개가 보조바디에 의해 지지되어 머리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HEADREST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수면을 청할 때, 탑승자가 머리가 옆으로 떨어지는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한 하나의 좌석으로 시트와, 두 명 이상의 탑승자가 동시에 앉을 수 있는 복수의 좌석으로 이루어진 벤치시트로 크게 구별된다.
하나의 좌석으로 된 시트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하여 탑승자의 몸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자동차의 프런트 시트에 주로 채택되어 사용된다.
상기 복수의 좌석으로 이루어진 벤치시트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하나의 좌석으로 된 시트와는 대조적으로 쓰이는 시트를 말하고, 승용차에서는 뒷좌석에 주로 채택되어 사용된다.
한편, 자동차로 오랜시간 동안 여행하다가 지루하거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시트에 부가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팔을 올려서 편안하게 하기 위한 암레스트, 음료나 컵을 넣을 수 있는 컵홀더,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등이 구비된다.
특히, 리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는 오랜 시간 동안 여행하다 보면 리어시트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등을 시트백에 기대고 머리는 헤드레스트에 지지한 상태로 수면을 취한다.
그러나, 탑승자가 수면 중에 차량이 곡선도로를 운행하거나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머리가 기울어져서 탑승자 머리가 헤드레스트에서 벗어나게 되며 옆좌석의 탑승자에게 불편한 주거나 수면 중인 탑승자는 머리가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깊은 잠을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997-0038511(1997.07.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댄 상태에서 머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머리의 측면을 지지하여 탑승자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에 결합되며 탑승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하는 메인바디와, 시트백에 결합되어 메인바디의 양측으로 이동되고,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1,2보조바디와,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제1,2보조바디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과, 메인바디와 시트백에 설치되어 이동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제1,2보조바디는, 메인바디의 양측을 각각 덮어서 메인바디에 구비되는 이동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이동유닛은, 구동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과,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며 메인바디에서 제1,2보조바디에 각각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재는, 메인바디 내측에서 피니언에 기어결합되어 메인바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제1,2보조바디에 연결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탑승자가 시트쿠션이나 시트백에 구비되는 조작부의 조작중일 때만 작동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의 뒤쪽을 지지하는 메인바디의 양측 전방 쪽에 서로 마주보는 제1,2보조바디가 구비됨으로써, 탑승자가 장시간 여행시 수면을 취할 때, 헤드레스트의 보조바디를 작동시킨 후에 수면을 취하게 되면 수면 중에 고개가 보조바디에 의해 지지되어 머리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리어시트에서 헤드레스트의 받침유닛이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리어시트에서 헤드레스트에서 이동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리어시트에서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리어시트에서 헤드레스트에서 이동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100)는, 리어시트(100)에 탑승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130)에 머리를 기대고 취침을 취할 때, 머리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머리가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헤드레스트(130)를 메인바디(131), 제1보조바디(132), 제2보조바디(133), 이동유닛(140), 구동부(150)로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는 차량에 사용되는 시트는 모두 적용 가능하나, 일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리어시트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리어시트(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좌석을 가지는 것으로, 탑승자가 엉덩이를 걸쳐서 착석하기 위한 시트쿠션(110), 시트쿠션(11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져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20), 시트백(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탑승자가 머리를 기대기 위한 헤드레스트(1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레드스트(130)는 머리의 뒤쪽을 지지하는 메인바디(131), 머리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1,2보조바디(132)(133), 제1,2보조바디(132)(13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140), 동력을 발생시켜 이동유닛(140)을 작동시키는 구동부(150)로 구성한다.
메인바디(131)는 시트백(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시트백(120)에 기댄 탑승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한다.
제1보조바디(132)는 시트백(12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바디(131)의 외측 일부를 감싸서 결합되며, 사용시 메인바디(131)의 일측 전방으로 이동된 후에 탑승자의 머리 측면을 지지한다.
제2보조바디(133)는 시트백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바디(131)의 외측일부를 감싸서 결합되며, 사용시 메인바디(131)의 타측 전방으로 이동된 후에 탑승자의 머리 측면을 지지한다. 즉,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는 탑승자의 머리 양측을 각각 지지하게 되며, 메인바디(13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메인바디(131)의 외측을 완전히 감싸게 된다. 사용시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는 메인바디(131)의 양측에서 각각 반대편으로 이동된 후에, 전방으로 이동되어 탑승자의 머리 양측을 지지한다.
이동유닛(140)은 메인바디(131)의 외측에 감싼 상태로 있던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를 각각 메인바디(131)의 양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피니언(141), 랙기어를 갖는 이동부재(142)를 포함한다.
피니언(141)은 메인바디(131)의 내측에서 구비되며, 후술하는 구동부인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이동부재(142)는 메인바디(13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보조바디(132)에 연결되며, 메인바디(131)의 내측에 구비되는 피니언(141)에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가 그 일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부재(142)는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에 각각 연결되도록 2개로 구성되며, 하나는 제1보조바디(132)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보조바디(133)에 연결된다.
구동부(150)는 동력 발생시키는 모터로서, 피니언(141)에 연결되어 피니언(1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구동모터에 연결된 피니언(141)의 전방과 후방에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가 각각 연결되는 이동부재(142)가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141)의 회전에 의해 2개의 이동부재(142)가 모두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피니언(141)의 회전에 의해 2개 이동부재(142)가 메인바디(131)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되거나 메인바디(131)를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피니언(141)과 모터는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를 각각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보조바디(132)와 피니언(141)이 기어 연결되고, 피니언(141)에 모터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제2보조바디(133)와 다른 피니언(141)이 기어 연결되고, 다른 피니언(141)에 다른 모터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는 메인바디(131)의 양측으로 이동된 후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다.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를 메인바디(131)에 지지하여 연결하는 이동부재(142)는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되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이동부재(142)의 제1부재가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에 연결되고, 제2부재는 메인바디(131) 쪽에 연결되어 피니언(141)에 기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부재는 제2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시트백(120)이나 시트쿠션(110)에 구비하여 탑승자가 조작하는 동안에만 모터가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탑승자가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0)를 에어나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로 구성하되, 이동부재(142)를 실린더의 로드로 구성하되, 로드를 제1로드와 제2로드를 힌지 결합하여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에 연결되는 부분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가 각각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리어시트에 탑승자가 탑승하여 수면을 취하지 않을 때에는 헤드레스트(130)는, 메인바디(131)가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 즉, 메인바디(131)가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에, 탑승자는 졸리기 시작하면 시트백이나 쿠션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를 작동시켜 메인바디(131)의 전방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한다.
즉, 탑승자가 조작부를 조작하게 되면, 모터가 작동하게 되고,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피니언(141)가 회전되며, 이때 피니언(41)에 맞물리는 이동부재(142)가 메인바디(131)의 양측으로 이동된다. 탑승자는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가 적당한 위치까지 이동되면 조작부의 조작을 마친다. 그런 다음,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를 메인바디(131) 쪽을 향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보조바디(132)와 제2보조바디(133)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가 장시간 여행시 수면을 취할 때, 헤드레스트(130)의 보조바디(132)(133)를 작동시킨 후에 수면을 취하게 되면 수면 중에 고개가 보조바디(132)(133)에 의해 지지되어 머리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시트
110 : 시트쿠션
120 : 시트백
130 : 헤드레스트 131 : 메인바디
132 : 제1보조바디 133 : 제2보조바디
140 : 이동유닛 141 : 피니언
142 : 이동부재
150 : 구동부

Claims (5)

  1. 시트백에 결합되며 탑승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하는 메인바디;
    시트백에 결합되어 메인바디의 양측으로 이동되고,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1,2보조바디;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제1,2보조바디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
    메인바디와 시트백에 설치되어 이동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제1,2보조바디는, 메인바디의 양측을 각각 덮어서 메인바디에 구비되는 이동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유닛은,
    구동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며 메인바디에서 제1,2보조바디에 각각 연결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메인바디 내측에서 피니언에 기어결합되어 메인바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제1,2보조바디에 연결되는 제2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는,
    탑승자가 시트쿠션이나 시트백에 구비되는 조작부의 조작중일 때만 작동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20150037279A 2015-03-18 2015-03-18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162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79A KR101628964B1 (ko) 2015-03-18 2015-03-18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79A KR101628964B1 (ko) 2015-03-18 2015-03-18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964B1 true KR101628964B1 (ko) 2016-06-09

Family

ID=5613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279A KR101628964B1 (ko) 2015-03-18 2015-03-18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34A (ko) * 2016-10-18 2018-04-26 (주)아이토디자인 대시보드의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375A (ja) * 1994-01-28 1995-08-15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車輌用シート
JPH07213374A (ja) * 1994-01-28 1995-08-15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車輌用シート
KR970038511A (ko)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리어시트 구조
JP3147261B2 (ja) * 1993-01-13 2001-03-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咬合力診断シート
JP2012526691A (ja) * 2009-05-13 2012-11-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261B2 (ja) * 1993-01-13 2001-03-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咬合力診断シート
JPH07213375A (ja) * 1994-01-28 1995-08-15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車輌用シート
JPH07213374A (ja) * 1994-01-28 1995-08-15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車輌用シート
KR970038511A (ko)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리어시트 구조
JP2012526691A (ja) * 2009-05-13 2012-11-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34A (ko) * 2016-10-18 2018-04-26 (주)아이토디자인 대시보드의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KR101865759B1 (ko) * 2016-10-18 2018-06-11 주식회사 서연이화 대시보드의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140B1 (ko) 특성 맵 제어가 행해지는 시트 조절기 및 시트 조절 방법
US20180105067A1 (en) Vehicle seat placement structure and vehicle
JPH03139442A (ja) 自動車
JP2010502498A (ja) 車両座席
CN108928281B (zh) 具有显示装置的车辆座椅
JP4223216B2 (ja) シート
GB2512136A (en) Seat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628964B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CN104228638A (zh) 一种汽车座椅及采用该座椅的汽车
JP6769316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JP2016203692A (ja) 車室内構造
JP2017165263A (ja) 車両後部座席乗員用頭部支持装置
JP4722609B2 (ja) 自動車に用いるエア・シート
JPH11240365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JP2005112237A (ja) 車両用シート
CN109969054B (zh) 用于车辆内部的座椅系统
KR10056899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이동장치
JPH05228038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180044480A (ko)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KR10041073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JP200706129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