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487A -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487A
KR20140007487A KR1020137032944A KR20137032944A KR20140007487A KR 20140007487 A KR20140007487 A KR 20140007487A KR 1020137032944 A KR1020137032944 A KR 1020137032944A KR 20137032944 A KR20137032944 A KR 20137032944A KR 20140007487 A KR20140007487 A KR 2014000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vehicle
vehicle seat
seats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105B1 (ko
Inventor
안드레 뵘
랄프 렉텐발트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0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3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 앉을 수 있게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또는 다른 사용 위치로 차량 시트(1)가 전달되는 바와 같은 이동될 수 있는, 차량 구조(S)에 연결되는 베이스 구조(3) 및 기구학류에 의해 상기 베이스 구조(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등받이(10)를 갖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 다절 링키지(multi-bar linkage), 특히 4절 기구(V)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존재하고, 상기 링키지는 기구학류들을 제어한다. 판 스프링(30)이 상기 차량 시트에 제공되며, 상기 판 스프링은 그의 이완된 연장 위치에서 다절 링키지의 기어 부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차량 시트는, DE 10 2008 012 714 B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차량 시트의 양 측면들에서, 등받이는 핏팅에 의해서 잠금 될 수 있도록 베이스 구조에 관절식 연결되는(articulated) 등받이 캐리어, 및 잠금 장치에 의해 등받이 캐리어에 잠금 될 수 있으며 차량 시트의 양 측면들 각각에서 관절부에 의해 관련된 등받이 캐리어에 관절식 연결되는 등받이 구조를 갖는다. 차량 시트의 일 측면에서, 공압 스프링 및 공압 스프링을 위한 엔드 스탑을 포함하는 탄성 유닛이 제공된다. 탄성 유닛은, 핏팅으로부터 오프셋 방식으로 베이스 구조에 관절식 연결되고, 관절부로부터 오프셋 방식으로 등받이 구조의 아암에 관절식 연결된다.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은, 등받이 구조를 전방 방향으로 그리고 등받이 캐리어를 후방 방향으로 잠금 해제 및 선회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선회 등받이 구조는, (등받이 캐리어에 대해) 선회 각도를 규정한다. 등받이 구조가 특정 선회 각도 범위에 도달하면, 탄성 유닛은 그의 엔드 스탑에 도달하여, 엔드 스탑, 관절부 및 핏팅에 위치되는(그리고 이에 따라 기어 부재를 형성하는) 탄성 유닛의 관절부 위치들은 일시적으로 4절(bar) 기구를 형성하며, 이 기구는 등받이 구조가 특정의 선회 각도 범위에 위치되는 한, 등받이 캐리어 및 등받이 구조를 포함하는 기구학적 시스템을 제어하는 4절 기구를 일시적으로 규정한다.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의 종료 단계에서, 일시적인 4절 기구는 다시 무효화되고, 기구학적 시스템은 특히 비제어식 2절 기구로서 기능한다.
DE 10 2004 014 605 B3호는 또한,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차량 시트를 개시한다. 이 경우에, 이러한 이동이 예컨대, 판(leaf) 스프링으로서 구성되는 보상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대해서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차량 시트를 개선하고 비용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차량 시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시트에 의해 성취된다. 종속항들은, 유리한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등받이의 기구학적 시스템은,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다절 기구(multi-bar mechanism)에 의해 제어된다. 다절 기구가 존재하는 이러한 단계 중, 단지 하나의 자유도가 제공되며, 즉, 바람직하게는 비사용 위치로의 규정된 이행이 존재한다. 이러한 다절 기구의 기어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의 사용은, 공압력 스프링에 대해서 비용적으로 보다 효율적이다. 기구학적 시스템을 제어하는 다절 기구의 사용은, 비사용 위치 내로의 이행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등받이의 다른 이동, 예컨대, 경사 조절 또는 높이 조절 또는 시트 쿠션 구조의 경사 조절에 의해 제어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용어 "제어"는, 다절 기구가 또한 등받이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을 지탱할(carry) 수 있도록 광의(broad sense)로 해석되게 의도된다.
판 스프링은 그의 이완된 연장 위치에서 기능하며, 즉, 인장 하중(tensile loading)을 받게 된다. 예컨대,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연장된 위치를 떠나게 되면, 판 스프링은 구부러지며 일시적으로 4절 기구가 무효화된다. 판 스프링의 구부러진 위치들에서, 판 스프링은 장력(tension)을 형성하며(build up), 그 결과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이용가능한 등받이 보상 스프링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등받이의 중력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압력 스프링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판 스프링의 특정 길이는, 판 스프링의 곡률들이 작은 경우일지라도, 즉 작은 구조적 공간 요구가 존재할지라도, 적절한 장력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비사용 위치에서, 등받이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지지부 상에 형성되며, 이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구조 상에 형성되며 차량 구조 상에 바람직하게 구성된 후방 지지부 상에 놓인다. 추가로, 차량 시트가 비사용 위치에 탑재(loaded)될 때의 개선된 힘의 도입을 위해서, 비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복귀할 때, 따라서, 하부 등받이 에지가 차량 구조 상에서 가이딩 경로(후방 지지부에 인접함)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시 단지 하나의 자유도만이 기구학적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이를 위해서, 그의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묘사식으로 포함된 제 2 실시예로서, DE 10 2008 012 714 B3 및 WO 2007/006440 A2에서 설명된 차량 시트들에 대한 수개의 실시예 특징들의 관점에서 유사하다.
이에 따라,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이동할 때, 잠금 해제된 등받이 구조를 전방으로 선회하고, 등받이 구조에 의해 힘 제어 방식으로 잠금 해제된 등받이 캐리어가 후방으로 선회될 때, 테이블 위치에 대해 하부에 있으며 리클라이닝 위치에 대조적으로 탑재에 적절한 비사용 위치(베이스 위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 쿠션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180°를 약간 초과하여 전방으로 선회하며, 이후, 시트 쿠션 구조의 원래의 하부 측면은 그 뒤에서 비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등받이 구조의 원래의 후방 측면에 다소 동일 높이 및 평면 방식으로 인접한다.
핏팅의 힘 제어식 잠금 해제는, 등받이 구조가 등받이 캐리어의 잠금 해제를 실행할 때까지, 즉, 핏팅 상에 작용할 때까지,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단지 등받이 구조의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하는 것을 실행하도록 의도된 구동을 단순화한다. 등받이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방식으로 구성된 커플링에 의해 핏팅을 잠금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일시적인 이동 시퀀스를 위해서, 커플링이 논 로디드(non-loaded) 경로, 예컨대, 설형부 및 그루브 가이드를 위해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힘 제어식 잠금 해제가 지연될 수 있고, 등받이 구조의 특정 선회 각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차량 시트 측면에, 엄밀하게 하나의 등받이 캐리어, 예컨대 크랭크(crank) 형태가 제공되며, 2 개의 등받이 캐리어들은 횡 방향 연결들에 의해 커플링될 수 있다. 이는, 정상 사용을 위해 그리고 충돌시 등받이를 안정화한다. 사용 위치와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의 이행을 위해 제공된 스프링들 또는 기어 연결들은, 단지 차량 시트의 일 측면에,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차량 시트 측면들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등받이 구조의 이동에 작용하기 위해 제공된 판 스프링은, 이에 따라 경사 조절시 등받이 중량에 대한 보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은 설명된 것과 다른 기구학적 시스템을 갖는 차량 시트들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사용 위치에서의 실시예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 중, 일시적인 4절 기구의 존재 중 제 1 중간 위치에서의 도 1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 중, 일시적인 4절 기구가 무효화된 후, 중간 위치에서의 도 1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비사용 위치에서의 도 1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사용 위치로 복귀할 때 제 1 중간 위치에서의 도 4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사용 위치로 복귀할 때 제 2 중간 위치에서의 도 4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사용 위치에서의 실시예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 중, 일시적인 4절 기구의 존재 중 중간 위치에서의 도 7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판 스프링들의 구역에서 사용 위치에서의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실시예에서, 차량 시트(1)는 자동차의 후방, 특히 3번째, 시트 열을 위해 제공되며, 자동차 내측에서의 차량 시트(1)의 배열 및 방향 표시들을 규정하는 그의 종래의 이동 방향이 하기에 사용된다. 차량 시트(1)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덮어 씌워지는(upholstered) 등받이 구조(4) 및 베이스 구조(3)의 형태로 시트 구성요소들을 지니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 베이스 구조(3)는 자동차의 차량 구조(S)에 고정 연결되지만, 시트 레일들에 의해 길이의 관점에서 차량 구조(S)에 대해 또한 조절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 구조(3)는 그 자체로 관절식 연결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시트 양 측면들 각각에서, 베이스 구조(3) 상에 핏팅(7)이 제공되며, 이 핏팅에 의해, 크랭크로서 구성되는 등받이 캐리어(8)가 베이스 구조(3)에 대해 선회 및 잠금될 수 있도록 끼움 장착된다. 2 개의 등받이 캐리어(8)들은, 덮어 씌워지는 등받이 구조(4)와 함께 차량 시트(1)의 등받이(10)를 규정한다. 앉을 수 있는 차량 시트(1)의 사용 위치가 먼저 설명된다.
핏팅(7)은, 이 경우에, DE 20 2009 016 989 U1(그의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설명식으로 포함됨)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치 핏팅으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에, 2 개의 핏팅 부재들 중 하나의 핏팅 부재는, 그의 후방 단부에서 베이스 구조(3)에 고정 연결되며, 다른 핏팅 부재는 그의 하부 단부에서 등받이 캐리어(8)에 고정 연결된다. 그러나, 또한, DE 100 48 127 A1(그의 내용은 또한 인용에 의해 본원에 설명식으로 포함됨)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회 릴리즈 기능을 갖는 기어 핏팅을 핏팅(7)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잠금되는 핏팅(7)은, 제 1 구동 요소(11)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롯식 금속 시트의 형태인 제 1 구동 요소(11)가 샤프트(13)를 회전한다. 각각의 핏팅(7)을 위해서 샤프트(13) 또는 양자의 핏팅(7)들을 위해서 공통 샤프트(13)가 제공될 수 있으며, 공통 샤프트는 2 개의 핏팅(7)들을 연결하고 단일의 제 1 구동 요소(11)에 의해 동기적인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제 1 구동 요소(11)는, 이 경우에, 차량 내장(vehicle interior)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며 차량 시트(1)의 내부 측면으로 간단히 언급되는 차량 시트 측면에 배열된다. 샤프트(13)는, 핏팅(7)들의 회전축, 즉, 베이스 구조(3)에 대한 등받이 캐리어(8)의 선회축에 정렬된다.
등받이(10)의 경사 조절을 위해서, 핏팅(7)(캐치 핏팅과 같은 구조)은, 이 경우에 레버 핸들의 형태인 제 2 구동 요소(15)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제 2 구동 요소(15)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제 1 구동 요소(11)에 연결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샤프트(13) 상에 직접 작용하며, 여기서, 회전 방향으로 지탱(carrying) 또는 디커플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 2 구동 요소(15)는, 이 경우에, 차량 외장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며 차량 시트(1)의 외부 측면으로서 간단하게 언급되는 차량 시트 측면에 배열된다. 수정된 실시예에서, 별개의(separate) 제 2 구동 요소(15)가 제공되지 않으며, 등받이(10)의 경사 조절을 위해서, 대신에, 예컨대 핏팅(7)은 제 1 구동 요소(11)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에, 공압 스프링으로서 구성되며, 예컨대 차량 시트(1)의 내부 측면에 배열되는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은, 베이스 구조(3)와 등받이 캐리어(8) 사이에 작용한다. 잠금 해제되는 핏팅(7)들의 경우에,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은 전체 등받이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를 위해 보상한다. 이로써,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은, 등받이의 전방 선회 방향으로 작용한다.
등받이 구조(4)는, 로터리 베어링(rotary bearing)의 형태인 관절부(18)에 의해 차량 시트 양 측면들에서 등받이 캐리어(8)에 관절식 연결된다. 관절부(18)는 등받이 캐리어(8)의 상단부와 그의 하단부에서 등받이 구조(4) 사이에 제공된다. 관절부(18)들에 의해 규정된 회전축들은 서로 정렬되고, 등받이 캐리어(8)들에 대해 등받이 구조(4)의 선회축을 규정한다. 등받이 구조(4)의 후방 측면은, 실질적으로 사용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에 대해 약간 경사지는 방식으로 마주한다. 관절부(18)는, 각각의 경우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등받이 구조(4)에 연결되는 중앙 관절 핀이 제공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아암(20)이 각각 외부 측면에서 관련된 등받이 캐리어(8)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이러한 관절부 핀에 끼움 장착된다. 그 결과로서, 2 개의 아암(20)들이 회전 고정 방식으로 등받이 구조(4)에 연결된다.
등받이 구조(4)의 하단부의 구역에서, 잠금 장치(22)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시트 측면에, 이 경우에는 양 측면들에 제공된다. 잠금 장치(22)는 이 경우에, 예컨대, DE 203 02 007 U1(그의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설명식으로 포함됨)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크(lock)로서 구성된다. 등받이 구조(4) 상에 이러한 잠금 장치(22)를 사용하면, 등받이 구조(4)는 관련된 등받이 캐리어(8)에, 보다 상세하게는 관련된 등받이 캐리어(8) 상의 대향 요소(counter-element)에 릴리즈가능하게 잠금되며, 이 경우에 등받이 캐리어(8)의 만곡형 잠금 부재, 잠금 장치(22) 및 대향 요소는 그들의 위치들과 관련하여 위치를 바꿀 수(transposed)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해, 등받이(10)는 사용 위치에서 기구학적 유닛(kinematic unit)을 형성한다. 핏팅(7)들을 사용하면, 이러한 기구학적 유닛의 복수 개의 사용 위치들이 조절될 수 있고, 즉, 등받이(10), 특히 등받이 구조(4)가 경사의 관점에서 조절될 수 있다. 관절부(18) 및 잠금 장치(22)를 포함하는 조합 대신에, 또한 핏팅(7)의 방식인 핏팅이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시트의 일 측면에서, 이 경우에,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을 갖는 차량 시트 측면에서, 즉, 차량 시트(1)의 내부 측면에서, 커플링(26)이 차량 시트의 양단부들 중 일단부에 의해 아암(20)에 관절식 연결된다. 차량 시트의 타단부에서, 커플링(26)은, 설형부 및 그루브 가이드(28)에 의해 제 1 구동 요소(11)에 관절식 연결되며, 이 경우에 커플링(26)은 설형부를 가지며, 제 1 구동 요소(11)는 그루브를 갖는다. 위치가 바뀌는 관계가 또한 가능하다. 게다가, 차량 시트의 일 측면에서, 이 경우에,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에 반대로 위치된 차량 시트 측면, 즉 차량 시트(1)의 외부 측면에서, 판 스프링(30)이 제공된다. 판 스프링(30)은, 한편으로는, 핏팅(7)에 대해 오프셋되고, 그 결과 등받이 캐리어(8)의 선회 축에 대해서 오프셋된 상태에서, 베이스 구조(3)에 끼움 장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차량 시트 측면에 제공된, 즉, 관절부(18)에 대해서 오프셋되고 그 결과 등받이 구조(4)의 선회축에 대해서 오프셋된 아암(20) 상에 끼움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그의 단부 부분과 함께 끼움 장착된다. 판 스프링(30)은, 그의 연장된 위치에서 이완되며(relaxed) 압력 스프링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부러지는 동안 장력(tension)을 형성한다. 등받이 보상 스프링(17), 커플링(26) 및 판 스프링(30)은, 이 경우에, 엄밀하게 차량 시트의 일 측면에 제공되지만, 또한 차량 시트 양 측면들에 제공될 수 있다.
크랭크(33)는 일 단부에 의해 2 개의 차량 시트 측면들의 각각에 관절식 연결된다. 각각의 크랭크(33)의 타단부는 시트 쿠션 구조(35)에 관절식 연결되며, 이 구조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덮어 씌워진다. 차량 시트 양 측면들에서 상호 대응하는 관절부들이 서로 정렬된다. 크랭크(33)들 및 그의 2 개의 선회축들에 의한 관절부 대신에, 수정된 실시예에서, 시트 쿠션 구조(35)는 베이스 구조(3)에 직접 즉, 2 개의 상호 정렬된 관절부들에 의해 규정되는 단일 선회 샤프트에 의해서, 관절식 연결될 수 있다. 시트 쿠션 구조(35)는 그의 덮개류(upholstery)와 함께, 차량 시트(1)의 시트 쿠션을 형성한다. 스프링들은 유효할 수 있으며, 베이스 구조(3)와 크랭크(33)들 사이 및/또는 크랭크(33)들과 시트 쿠션 구조(35) 사이에서 예비신장(pretensioning) 작용을 형성할 수 있다. 시트 쿠션 구조(35)의 하부 측면은, 수직에 대해 약간 경사진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사용 위치에 배향된다. 차량 시트(1)의 사용 위치에서, 시트 쿠션 구조(35) 및 등받이 구조(4)(또는 등받이 캐리어(8)들 또는 베이스 구조(3))는, 예컨대, 정지부들 등에 의해 포지티브 록킹 방식으로 작용하거나 서로 잠금된다.
차량 시트(1)는 사용 위치로부터 평탄한 플로어 위치 또는 비사용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 장치(22)들이 잠금 해제되고, 시트 쿠션 구조(35)에 의한 잠금이 또한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등받이 구조(4)는 관절부(18)들을 중심으로 등받이 캐리어(8)들에 대해 전방으로 선회된다. 예비 신장된 판 스프링(30)은 이 경우에, 연장하며, 그리고 이에 따라 등받이 구조(4)의 이러한 이동을 위해서 지지 방식으로 (이완 압력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설형부 및 그루브 가이드(28)는 그의 논 로디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시트 쿠션 구조(35)가 잠금 해제되거나 등받이 구조(4)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중간 위치에서 등받이 구조로부터 릴리즈될 때, 시트 쿠션 구조(35)는, 전방으로, 이 경우에, 180°를 약간 초과하여 선회하여, 시트 쿠션 구조(35)의 원래의 하부 측면이 수평으로 배향되며 상방으로 대면한다. 이러한 이동은, 이 경우에, 크랭크(33)들 상에 스프링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예비신장 작용에 의해 지지되며, 즉, 자동으로 실행된다.
등받이 구조(4)의 특정의 중간 위치에서, 즉, 특정 선회각에서 또는 적어도 등받이 구조(4)의 이러한 특정 선회각 둘레 구역에서, 설형부 및 그루브 가이드(28)의 논 로디드 경로는 완벽하게 이동된다. 이제, 커플링(26)은 제 1 구동 요소(11)에 동조하며(entrain), 이에 의해 핏팅(7)들이 힘 제어 방식으로 잠금 해제된다(도 8). 양자의 핏팅(7)들이 잠금 해제되고 등받이 구조(4)(및 등받이 캐리어(8))가 특정 선회각 범위에 도달하기 때문에, 판 스프링(30)은 그의 연장된 위치에 도달한다(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음). 잠금 해제된 핏팅(7)들의 결과로서, 등받이 캐리어(8)들이 수평면 내로 후방으로 선회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등받이 구조(4)가 수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의 선회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기구학적 시스템은 복수의 자유도들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4절 기구(V)는, 관절부들로서 작용하는 이러한 차량 시트 측면에서 연장된 위치에 위치되고 장력의 관점에서 부하를 받는 판 스프링(30), 관절부(18) 및 핏팅(7)의 관절 위치들,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볼 때, 기어 부재들로서 작용하는 판 스프링(30), 아암(20), 등받이 캐리어(8) 및 핏팅(7)과 판 스프링(30)의 인접한 관절부 위치 사이의 변위의 결과로서 규정된다. 4절 기구(V)는 일시적으로, 즉,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 중, 특정 선회각도 범위에 걸쳐, 즉, 등받이 구조(4)가 이러한 특정 선회각도 범위에 위치되는 한, 존재한다. 일시적인 4절 기구(V)는, 등받이(10)의 기구학적 시스템(등받이 캐리어(8)들 및 등받이 구조(4)를 포함)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4절 기구의 기구학적 제어 시스템은, 운동의 자유도들을 단일의 자유도로, 즉, 등받이 구조(4) 및 등받이 캐리어(8)들의 운동들이 결합된다. 판 스프링(30)은 인장 커플링(tensile coupling)으로서 작용한다. 상부 등받이 에지(10a)(등받이 구조(4) 상에 제공됨)를 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등받이(10)가 하방 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구조(S)와의 접촉은 없다.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은, 중력으로 인해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늘어지는 것(sagging)을 방지한다.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은 결코 그의 엔드 스톱(end stop)에 위치되지 않는다.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의 종료 단계에서, 즉, 등받이 구조(4)(및 등받이 캐리어(8))가 특정 선회각 범위를 벗어날 때, 판 스프링(30)은 다시 구부러지고, 즉, 일시적인 4절 기구(V)가 다시 무효화되고, 기구학적 시스템은 비제어식(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어됨)의 2절 기구로서 작용한다. 양자의 스프링들, 즉, 등받이 보상 스프링(17) 및 판 스프링(30)(텐셔닝 압력 스프링으로서 작용함)은 중력을 상쇄시킨다. 관절부(18)들 앞쪽에 있는 등받이 구조(4)의 중력의 중심 위치의 결과로서, 등받이 구조(4)는 그의 전방 지지부(3a) 상으로 전방으로 경사지며, 전방 지지부는 예컨대, 베이스 구조(3) 상에 형성된다. 이제, 상부에 위치된 등받이 구조(4)의 후방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하부 등받이 에지(10b)(등받이 구조(4) 상에 제공됨)가 예컨대, 차량 구조(S) 상에 형성된 후방 지지부(Sb) 상에 놓일 수 있다. 비사용 위치에 도달된다.
시트 쿠션 구조(35), 등받이 캐리어(8) 및 등받이 구조(4)는, 수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도달한다. 시트 쿠션 구조(35)의 원래의 하부 측면은, 그 뒤에 위치되는 등받이 구조(4)의 원래의 후방 측면과 다소 동일한 높이로 그리고 평면 방식으로(flush and planar manner) 종료한다. 비사용 위치의 고정은, 등받이 보상 스프링(17) 및 판 스프링(30)의 힘보다 더 클 때, 고유 중량(inherent weight)에 의해, 또는 대응하는 대향 요소들 상의 핏팅(7)들 및/또는 잠금 장치(22)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 스프링(30)의 부착 위치들의 연결 라인은, 수직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23°를 통해 바람직한 사용 위치로 경사지며, 일시적인 4절 기구(V)가 형성될 때까지 5°를 통해 선회하고, 일시적인 4절 기구가 존재할 때까지 51°를 통해 선회하며, 일시적인 4절 기구(V)가 무효화된 후에, 추가로 18°를 통해 선회한다.
복귀를 위해서, 즉, 비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의 이행을 위해서, 상부 등받이 에지(10a)는, 선택적으로 잠금 해제된 후에, 후방으로 잡아당겨진다. 하부 등받이 에지(10b)는 차량 구조(S)에 고정된 베이스 구조(3)와 후방 지지부(Sb) 사이에서 차량 구조(S) 상에 형성된 가이딩 경로(B)를 따라 슬라이드하며, 이에 의해 등받이 구조(4)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등받이 보상 스프링(17)은 상방 이동을 지지한다. 판 스프링(30)은, 일시적인 4절 기구(V)를 규정하지 않지만, 그 대신에 또한, 상방 이동을 지지하도록 여전히 구부러진다. 등받이 구조(4) 및 등받이 캐리어(8)는 리프팅 작용의 마지막 단계에서 자유의 2절 기구 기구학적 시스템으로서 이동한다. 2 개의 스프링들, 즉, 등받이 보상 스프링(17) 및 판 스프링(30)은, 이들의 복원력(righting force)이 이제 중력보다 상당히 더 큰 그러한 방식으로 기하학적으로 배열된다. 먼저, 핏팅(7)들이 다시 잠금되고, 이후 잠금 장치(22)들이 잠금된다. 다시 사용 위치에 도달된다.
다른 사용 위치로의 변화시, 즉, 등받이의 경사 조절시, 핏팅(7)들의 잠금 해제 후 등받이(10)의 기구학적 시스템은 1절 기구이다. 전방 방향으로의 그의 이동은, 2 개의 스프링(17, 30)들에 의해 지지되며, 즉, 판 스프링(30)은 또한 등받이(10)의 중량의 일부를 보상한다.
1 : 차량 시트
3 : 베이스 구조
3a : 전방 지지부
4 : 등받이 구조
7 : 핏팅
8 : 등받이 캐리어
10 : 등받이
10a : 상부 등받이 에지
10b : 하부 등받이 에지
11 : 제 1 구동 요소
13 : 샤프트
15 : 제 2 구동 요소
17 : 등받이 보상 스프링
18 : 관절부(articulation)
20 : 아암
22 : 잠금 장치
26 : 커플링
28 : 설형부(tongue) 및 그루브 가이드
30 : 판 스프링(leaf spring)
33 : 크랭크
35 : 시트 쿠션 구조
B : 가이딩 경로
S : 차량 구조
Sb : 후방 지지부
V : 일시적인 4절 기구

Claims (9)

  1. 차량 구조(S)에 연결되는 베이스 구조(3) 및 기구학적 시스템에 의해 상기 베이스 구조(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등받이(10)를 갖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로서,
    차량 시트(1)는, 앉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또는 다른 사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다절 기구(multi-bar mechanism), 특히 4절 기구(V)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존재하고, 기구학적 시스템을 제어하며,
    판 스프링(30)이 제공되며, 상기 판 스프링은 그의 이완된 연장 위치에서, 다절 기구의 기어 부재를 형성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0)은, 상기 핏팅(7)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베이스 구조(3)에, 그리고 관절부(18)에 대해서 오프셋 방식으로 등받이 구조(4)의 아암(20)에 끼움 장착(fitted), 특히 관절식 연결(articulat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핏팅(7)에 의해 잠금될 수 있도록 베이스 구조(3)에 관절식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등받이 캐리어(8), 및
    상기 관절부(18)에 의해 등받이 캐리어(8)에 관절식 연결되며 잠금 장치(22)에 의해 등받이 캐리어(8)에 잠금될 수 있는 등받이 구조(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위치에 위치된 판 스프링(30), 관절부(18) 및 핏팅(7)의 관절부 위치들은, 등받이 구조(4)가 특정 선회 각도 범위 내에 위치되는 한, 등받이 캐리어(8) 및 등받이 구조(4)를 포함하는 기구학적 시스템을 제어하는 일시적인 4절 기구(V)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0)은 일시적인 4절 기구(V)의 존재 중 장력의 관점에서 부하를 받는(load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0)은 연장 위치 외부 측면 압력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사용 위치로의 이행의 종료 단계에서, 일시적인 4절 기구(V)는 다시 무효화되고, 기구학적 시스템은 특히 비제어식 2절 기구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구조(4)의 선회의 결과로서, 등받이 캐리어(8)가 힘 제어 방식으로, 특히 논 로디드(non loaded) 경로를 갖는 커플링(26)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 먼저, 단지 잠금 장치(22)가 잠금 해제되고, 특정 선회 각도 범위에서 중간 위치에서 힘 제어 방식으로 핏팅(7)을 잠금 해제하는 등받이 구조(4)를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에서, 등받이 캐리어(8)에 잠금되는 등받이 구조(4)는 핏팅(7)에 의해 경사의 관점에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1020137032944A 2011-05-12 2012-04-18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10154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01879.8 2011-05-12
DE102011101879A DE102011101879B4 (de) 2011-05-12 2011-05-12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PCT/EP2012/057078 WO2012152553A1 (de) 2011-05-12 2012-04-18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487A true KR20140007487A (ko) 2014-01-17
KR101547105B1 KR101547105B1 (ko) 2015-08-25

Family

ID=4600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944A KR101547105B1 (ko) 2011-05-12 2012-04-18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45071B2 (ko)
EP (1) EP2707250B1 (ko)
JP (1) JP5690970B2 (ko)
KR (1) KR101547105B1 (ko)
CN (1) CN103517824B (ko)
DE (1) DE102011101879B4 (ko)
WO (1) WO2012152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3789B4 (de) * 2011-08-29 2014-04-24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FR3037010B1 (fr) * 2015-06-02 2018-06-29 Renault S.A.S. Siege escamotable muni de moyens d’entrainement disposes entre l’assise et le dossier et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siege
US10589642B2 (en) * 2017-11-15 2020-03-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Easy-entry vehicle seat
US10442322B2 (en) 2017-11-17 2019-10-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Easy-entry vehicle seat
DE102018112926B4 (de) * 2018-05-30 2022-04-14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Fahrzeugsitz
EP3902703A2 (en) 2019-03-22 2021-11-03 Magna Seating Inc. Stow to floor seat assembly
DE102019131536B3 (de) 2019-11-21 2021-03-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spannvorrichtung zum Vorspannen einer Rückenlehne sowie Fahrzeug
US11548416B2 (en) 2021-03-31 2023-01-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inear recliner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70973D1 (en) * 1984-10-23 1989-07-20 Protoned Bv Chair
US5211445A (en) * 1991-08-30 1993-05-18 Hoover Universal, Inc. Hinge mechanism for vehicle seat assembly with a leaf retaining spring
DK172786B1 (da) * 1995-05-02 1999-07-19 Haag As Møbel med to op til hinanden liggende drejelige støttedele
DE10048127B4 (de) * 2000-09-28 2008-05-29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S6464297B2 (en) * 2000-12-01 2002-10-15 Dura Global Technologies Load floor seat assembly
CN100393551C (zh) * 2001-01-31 2008-06-11 因蒂尔汽车公司 具有凸轮驱动自定位头部限制器的车座组件
FR2825955B1 (fr) * 2001-06-15 2005-10-14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 Mecanisme d'articulation de siege de vehicule ameliore
DE10146711A1 (de) * 2001-09-21 2003-04-24 Intier Automotive Seating Germ Kraftfahrzeugrücksitz
DE20302007U1 (de) * 2003-02-08 2003-04-24 Keiper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311735A1 (de) * 2003-03-18 2004-10-07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mit Tischstellung
DE10317238A1 (de) * 2003-04-10 2004-10-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sitz
DE10328176B3 (de) * 2003-06-18 2005-03-17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US7017995B2 (en) * 2003-12-31 2006-03-28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a backrest locking assembly
US7097253B2 (en) * 2004-03-11 2006-08-29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ound recliner assembly with rear folding latch
DE102004014605B3 (de) * 2004-03-23 2005-10-20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mit Bodenstellung
FR2877283B1 (fr) * 2004-10-29 2007-01-26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escamotable dans le plancher
JP2006198112A (ja) * 2005-01-19 2006-08-03 Nidec Sankyo Corp 肘掛け装置および洋式トイレユニット
DE102005032382B4 (de) * 2005-07-08 2010-09-16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6002823B4 (de) * 2006-01-19 2014-09-11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Höhenverstellbereich und Absenkposition
CN201102490Y (zh) * 2007-09-21 2008-08-20 上海市奉贤区青少年活动中心 可移动式汽车坐椅靠垫
DE102008012714B3 (de) * 2008-03-03 2009-10-15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9041492A1 (de) 2009-09-10 2011-03-2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7824B (zh) 2017-04-19
DE102011101879B4 (de) 2013-12-24
DE102011101879A1 (de) 2012-11-15
JP2014513008A (ja) 2014-05-29
WO2012152553A1 (de) 2012-11-15
US9145071B2 (en) 2015-09-29
US20140312670A1 (en) 2014-10-23
EP2707250B1 (de) 2016-05-18
CN103517824A (zh) 2014-01-15
EP2707250A1 (de) 2014-03-19
JP5690970B2 (ja) 2015-03-25
KR101547105B1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487A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US20170080831A1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JP5998883B2 (ja) 乗物用シート
JP4675625B2 (ja) 自動車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装置
CN109689425B (zh) 车辆座椅
US7497517B2 (en) Vehicle seat with lowered position
EP2061674B1 (en) Fold flat seat assembly with drive link
US8585147B2 (en) Stowable rear seat with fore and aft adjustment
KR101277143B1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US9168848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US8414055B2 (en) Vehicle seat
US10106057B2 (en) Seat for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eat
KR100790535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7390062B2 (en) Seat having cushion height and recline adjustment mechanisms
US9592749B2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US8702172B2 (en)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JP2009500224A5 (ko)
JP4663322B2 (ja) 自動車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装置
US20080211282A1 (en) Second Row Seat Assembly Having Fold Flat Mechanism with Forward Cushion Movement
CN113056389A (zh) 车辆座椅
JP7449756B2 (ja) 座席装置
JP202215842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CN117227604A (zh) 用于车辆座椅的小腿支撑装置以及车辆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