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417A -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417A
KR20120017417A KR1020117026054A KR20117026054A KR20120017417A KR 20120017417 A KR20120017417 A KR 20120017417A KR 1020117026054 A KR1020117026054 A KR 1020117026054A KR 20117026054 A KR20117026054 A KR 20117026054A KR 20120017417 A KR20120017417 A KR 20120017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display
electrode
display devi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004B1 (ko
Inventor
시게노부 히라노
도루 야시로
다케시 시부야
히로시 곤도
유키 나카무라
유키코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12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770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2001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organic liquid solutions, e.g. viologen solu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2F1/15165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2001/16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the electrolyte is made of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 표시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 기판; 대향 기판 위에 배치된 대향 전극;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표시 기판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 전극; 대응하는 표시 전극 위에 배치된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층; 및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하나의 표시 전극과 다른 표시 전극 사이의 전기 저항은 하나 또는 다른 표시 전극의 전기 저항보다 크다. 표시 기판에 가장 근접한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1 이상의 표시 전극은 전해질에 대하여 침투성이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ELECTROCHROMIC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eletrochromic display apparatus), 및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조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다색 표시가 가능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및 이러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조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매체로서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전자 페이퍼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페이퍼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전자 페이퍼는 일반적으로 종이의 특징을 모방하는 표시 유닛을 지칭한다. 이러한 이유로, 음극선관(CRT) 및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 요구되었던 것과는 다른 특성이 전자 페이퍼에 요구된다. 전자 페이퍼의 요구 조건 중 일부는 (발광형이 아닌) 광반사형 표시 원리의 사용; 높은 백 반사율(white reflectivity); 높은 콘트라스트 비; 높은 표시 해상도; 메모리(화상 유지) 효과; 저전압 구동능; 작은 크기 및 경량; 및 저비용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특성 중에서, 종이와 동등인 백 반사율 및 콘트라스트 비와 같은 표시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특히 높은 수준이 요구된다.
다양한 전자 페이퍼의 작동 방식이 개발되어 왔다. 예로는 반사 액정형, 전기 영동형 및 토너 이동형이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된 기술 중 어느 것을 이용해서도 높은 백 반사율 및 높은 콘트라스트 비를 유지하면서 다색 표시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다색 표시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지만, 컬러 필터 그 자체가 빛을 흡수하여 반사율이 저하된다. 또한, 컬러 컬터는 개별 화소를 레드(R), 그린(G) 및 블루(B)로 분리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반사율이 감소하여, 그 결과 콘트라스트 비도 감소한다. 백 반사율 및/또는 콘트라스트 비의 감소는 시인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쳐서, 실제적인 전자 페이퍼로서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다른 전자 페이퍼 기술은 상기 언급한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반사형 표시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일렉트로크로미즘(electrochromism)의 원리를 이용한다. 전압을 인가하여 발생한 가역적 산화 환원 반응을 기초로 하여 가역적으로 화합물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현상을 일렉트로크로미즘이라고 한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일렉트로크로미즘 현상을 나타내는 화합물("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에 대한 발색 및 소색을 이용한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반사형이고, 메모리 효과가 있으며, 저전압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용한 전자 페이퍼를 실현하기 위한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재료 개발 및 장치 설계를 비롯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일렉트로크로믹 기술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기술은 산화 환원 반응을 기초로 하는 발색 및 소색의 원리로 인해, 발색 및 소색의 속도("발색/소색 응답 속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1-510590호(특허 문헌 1)는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전극 근방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한 발색/소색 응답 속도의 개선을 논의한다. 특허 문헌 1은 발색/소색에 필요한 시간을 무색에서 청색으로의 발색 또는 청색에서 무색으로의 소색의 경우, 수십 초 정도에서 약 1 초로 개선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은 불충분하며, 유용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개발은 발색/소색 응답 속도의 추가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여전히, 사용되는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색을 발색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기술이 유용한 다색 표시 장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기술을 이용하는 몇 가지 다색 표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3-121883호(특허 문헌 2)는 복수 종의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의 미립자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을 이용하는 다색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2는 발색하는 전압이 상이한 복수의 작용기를 갖는 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층의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이용하는 다색 표시 장치를 논의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6-106669호(특허 문헌 3)는 전극 상에 상이한 전압 또는 전류 값에서 발색하는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켜 다색을 발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3은 임계 전압 또는 발색에 필요한 전하량이 상이한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적층 또는 혼합하여 형성된 표시층을 갖는 다색 표시 장치를 논의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3-270671호(특허 문헌 4)는 일렉트로크로믹층과 전해질이 배치된 사이에 한 쌍의 투명한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 층의 구조 단위를 갖는 다색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4-151265호(특허 문헌 5)는 RGB 3색에 대응하는 다색 표시 장치를 개시하는데, 여기서는 패시브 매트릭스 패널 및 액티브 매트릭스 패널을 특허 문헌 4에 따른 구조 단위를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기술을 이용하는 이러한 공지된 다색 표시 장치는 하기 단점이 있다. 특허 문헌 2에 따른 기술에서는, 적층된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이 상이한 전압에서 상이한 색을 발색하기 때문에, 인가된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어느 한 색을 발색시킬 수는 있지만, 다색을 동시에 발색시킬 수는 없다.
특허 문헌 3에 따른 기술에서는, 상이한 색을 발색할 수 있는 복수 종의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의 존재로 인해 복수의 색을 동시에 발색시킬 수는 있지만, 소정 색을 선택적으로 발색시키기 위해서는 복잡한 전압 및 전류 제어가 필요하다.
특허 문헌 4 및 5에 따른 기술은 하나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이 발색시키기 위해 한 쌍의 투명 전극의 층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수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이 적층되는 경우 다수의 전극층이 필요하여, 반사율 또는 콘트라스트가 감소한다.
발명의 개요
종래 기술의 단점은 일측면에서 표시 기판; 표시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 기판; 대향 기판 위에 배치된 대향 전극; 서로 격리되어 표시 기판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 전극; 대응하는 표시 전극 위에 배치된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층; 및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인 본 발명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하나의 표시 전극과 다른 표시 전극 사이의 전기 저항은 하나 또는 다른 표시 전극의 전기 저항보다 크다. 표시 기판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1 이상의 표시 전극은 전해질에 대하여 침투성이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그리고 추가의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제1 구체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표시 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 구체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구체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 구체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a는 제1 구체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제4 변형예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대향 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제1 구체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를 도시하며;
도 11a는 실시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A-A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a의 B-B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13은 실시예 4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전극에 대한 펄스 전압 인가 회수와 백 반사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2 표시 전극에 대한 펄스 전압 인가 회수와 백 반사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15는 실시예 4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로부터의 청색 발색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도 16은 실시예 4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로부터의 녹색 발생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도 17은 실시예 4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로부터의 흑색 발색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18a는 실시예 5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8b는 도 18a의 A-A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8c는 도 18a의 B-B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9a 내지 19c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가 다양한 색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 5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 전압한 인가하는 다양한 방식을 도시하며;
도 20은 실시예 6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로부터의 마젠타 발색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도 21은 실시예 6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로부터의 황색 발색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를 하기에 설명하는데, 여기서 동일한 부호는 몇 개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또는 상응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구체예 1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단면도이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는 표시 기판(11), 표시 기판(11)에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 기판(12), 대향 기판(12) 위에 배치된 대향 전극(15) 및 셀(15)을 포함한다. 셀(19)은 표시 기판(11) 및 대향 기판(12)을 스페이서(18)를 통해 연결하여 형성시킨다. 도 2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사시도이다. 우선, 본 구체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는 표시 기판(11) 위에 형성된 제1 표시 전극(13a); 제1 표시 전극(13a) 위에 배치된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위에 배치된 절연층(22); 절연층(22) 위에 배치된 제2 표시 전극(13b); 및 제2 표시 전극(13b) 위에 배치된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을 포함한다. 따라서, 표시 기판(11)은 다양한 층의 적층물을 지지한다.
제1 표시 전극(13a)은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과 대향 전극(15) 사이의 전위를 제어하여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발색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은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을 지지하는 금속 산화물(17)을 포함한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은 산화 환원 반응에 기초하여 발색한다. 금속 산화물(17)은 발색/소색을 고속화할 뿐 아니라,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이 금속 산화물(17)에 흡착된 단일 분자를 도시하지만, 이는 이상적인 상태의 예시일 뿐이다. 실제로는,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이 고정되고,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의 산화 및 환원으로 인한 전자의 교환이 방해되지 않도록 전기적인 연결이 있는 한,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금속 산화물(17)은 단일 층으로 혼합될 수 있다.
절연층(22)은 제1 표시 전극(13a)을 제2 표시 전극(13b)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표시 전극(13a)과 제2 표시 전극(13b) 사이의 충분한 저항을 확보할 수 있다면, 절연층(22)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의 막 두께를 증가시켜 제1 표시 전극(13a)과 제2 표시 전극(13b) 사이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표시 전극(13b)은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과 대향 전극(15) 사이의 전위를 제어하여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을 발색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1 표시 전극(13a)과 유사하다.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은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b),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b)을 지지하는 금속 산화물(17)을 포함한다.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b)은 산화 환원 반응에 대응하여 발색하도록 구성된다. 금속 산화물(17)은 발색/소색 속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b)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b) 및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은 상이한 색을 발색하도록 구성된다.
제1 표시 전극(13a)과 제2 표시 전극(13b) 사이의 저항("전극간 저항")은 대향 전극(15)과의 이들의 전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간 저항은 적어도 제1 표시 전극(13a) 또는 제2 표시 전극(13b)의 시트 저항보다 클 필요가 있다. 전극간 저항이 제1 표시 전극(13a) 또는 제2 표시 전극(13b)의 시트 저항 미만일 경우, 전압을 제1 표시 전극(13a) 또는 제2 표시 전극(13b)에 인가할 경우, 대략 동일한 전압이 다른 표시 전극에 인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표시 전극(13a) 및 제2 표시 전극(13b)의 상응하는 일렉트로크로믹층(14a, 14b)을 독립적으로 발색 또는 소색시킬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극간 저항은 각각의 표시 전극의 시트 저항의 500 배 이상이다.
적절한 절연성을 얻기 위해,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의 두께를 변경하여 전극간 저항을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위에 배치된 절연층(22)의 두께를 변경하여 전극간 저항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표시 전극(13a)과 제2 표시 전극(13b)의 전극간 저항은 복수의 표시 전극 중 하나와 복수의 표시 전극 중 다른 것 사이의 전기 저항에 해당할 수 있다.
대향 기판(12) 위에 배치된 대향 전극(15)은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과 대향 전극(15) 사이의 전위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을 발색시키도록 구성된다. 셀(19)을 전해질(20)로 채운다. 전해질(20)은 이온(전하)이 제1 또는 제2 표시 전극(13a 또는 13b)과 대향 전극(15)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제1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또는 14b)을 발색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해질(20)은 중합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중합체를 패터닝하여 발색/소색 영역(즉, 픽셀)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셀(19)은 또한 백색 반사층(21)을 포함할 수 있다. 백색 반사층(21)은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반사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백색 반사층(21)은 셀(19)에 백색 염료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전해질(20)을 주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백색 반사층(21)은 백색 염료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수지로 대향 전극(15)을 코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백색 반사층(21)을 도 1의 일렉트로크로믹층(14b)과 같이 대향 기판(12)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다양한 층[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 및 절연층(22)] 중 하나와 대향 전극(15)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색 반사층(21)은 대향 전극(15)이 형성된 측에 대향한 대향 기판(12) 측 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 재료의 보호층을 표시 기판(11)을 향하는 측 위의 제1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또는 14b)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1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또는 14b)과 이의 각각의 근접층 사이의 개선된 밀착성, 및 또한 용매에 대한 제1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또는 14b)의 내성을 개선시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과 전해질(20) 사이에 무기 보호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전해질(20)에 대한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의 개선된 내용해성 및 내부식성을 얻을 수 있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다색 표시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구조로 용이하게 다색 표시가 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이 절연층(22)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대향 전극(15)에 대한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의 전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표시 전극(13a) 위에 배치된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제2 표시 전극(13b) 위에 배치된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독립적으로 발색 또는 소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이 표시 기판(11) 위에 적층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의 발색/소색 패턴에 따라 다색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즉, 하기의 3가지 상이한 발색/소색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1)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으로부터만 발색; 2)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으로부터만 발색; 및 3)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 양쪽으로부터 발색. 예컨대,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은 다색 표시를 달성하기 위해 적색, 녹색 및 청색에서 선택되는 2개의 상이한 색을 발색하도록 구성된다.
본 구체예에서, 셀(19)에 배치된 백색 반사층(21)은 향상된 백 반사율을 제공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의 층상 구조로 인한 반사율의 감소를 보충할 수 있어 시인성이 개선된 다색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16b)은 각각의 금속 산화물(17)에 의해 지지된다. 이 구조는 발색/소색 응답 속도가 증가된 다색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전자(또는 정공) 이동도가 낮은 유기 화합물 재료를 제1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또는 16b)에 사용할 경우, 이 구조는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본 구체예에 따르면, 전자(또는 정공)이 제1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또는 16b)이 아니라 제1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또는 16b)보다 전자(또는 정공) 이동도가 큰 금속 산화물(17)을 통해 제1 또는 제2 표시 전극(13a 또는 13b)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속으로 발색/소색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이 발색/소색 응답 속도가 증가된 다색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본 구체예에 따르면, 전해질(20)이 발색/소색 반응을 위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에 침투하면서, 각각의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에 전하가 주입된다. 이는 인가 전압 및 응답 속도가 전해질(20)의 침투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전해질 침투도에 따라서는 발색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해질을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 절연층(22),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 및 백색 반사층(21) 모두에 적절히 침투시켜야 한다.
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방법은 소자 제작 동안 전해액을 표시 전극(13a 및 13b), 절연층(22) 및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에 침투시키면서 이들을 적층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전해질 함유 중합체를 층 사이에 도포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서, 전해질을 함유한 중합체 막 등을 절연층(22)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에서, 전해질 함유 수지를 백색 반사층 내 백색 입자에 대한 결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백색 반사층은 전해질 함유 수지 중 백색 입자의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시 기판(11)에 가장 근접한 다른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15)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표시 전극, 즉 본 구체예의 제2 표시 전극(13b)을 전해질(20)에 대해 침투성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절연층(22)도 전해질(20)에 대해 침투성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해질 층을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 및 절연층(22) 중 어느 2개 층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체예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을 적층하는데, 여기서 개별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은 서로 절연된다. 따라서, 각각의 표시 전극의 대응하는 일렉트로크로믹층, 즉 대향 전극과 특정 표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일렉트로크로믹층만을 발색 또는 소색시킬 수 있다. 이것이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발색 또는 소색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고전압을 하나의 표시 전극[예컨대 제2 표시 전극(13b)]에 인가하는 경우, 전하는 대향 전극(15)을 향하는 대응하는 일렉트로크로믹층[예컨대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 뿐 아니라 표시 전극의 대향 측[예컨대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향해 확산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전극의 표시 기판(11)을 향하는 대향 측 위의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예컨대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에서 발색/소색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발색 또는 소색을 위한 최고 임계 전압을 갖는, 표시 기판(11)에 가장 근접한 일렉트로크로믹층 중 하나, 예컨대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대향 전극(15)을 향하지 않는 표시 전극[예컨대 제1 표시 전극(13a)]의 대향 층 위에는 일렉트로크로믹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2 표시 전극(13b)에 대한 고전압의 인가가 상기한 바람직하지 않은 발색/소색 반응을 유도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구체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에 사용되는 재료를 설명한다. 우선, 표시 기판(11), 및 표시 기판(11) 위에 형성된 다양한 층의 재료를 설명한다. 표시 기판(11)의 재료는 투명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는 유리 및 플라스틱 필름이 있다.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의 재료는 전기 전도성이고 광 투명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특성은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에 의해 발색된 색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투명한 전도성 재료의 예는 무기 재료, 예컨대 주석으로 도핑된 산화인듐("ITO"); 불소로 도핑된 산화주석("FTO"); 및 안티몬으로 도핑된 산화주석("ATO")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는 진공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화아연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일렉트로크로믹 막이다. 이러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화아연 재료는 스퍼터링에 의해 용이하게 막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들은 또한 적당한 투명성 및 전기 전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InSnO, GaZnO, SnO, In2O3, ZnO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 중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16b)의 재료는 산화 환원 반응을 기준으로 하여 색 변화를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중합체형, 염료형, 금속 착체형 및 금속 산화물형의 공지된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형 및 염료형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의 예는 저분자량 유기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 예컨대 아조벤젠, 안트라퀴논, 디아릴에텐, 디히드로피렌, 스티린, 스티릴, 스피로피란, 스피로옥사진, 스피로티오피란, 티오인디고, 테트라티아풀발렌, 테레프탈산, 트리페닐메탄, 트리페닐아민, 나프토피란, 바이올로겐, 피라졸린, 페나진, 페닐렌디아민, 페녹사진, 페노티아진, 프탈로시아닌, 플루오란, 풀가이드(fulgide), 벤조피란 및 메탈로센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는 또한 폴리아닐린 및 폴리티오펜과 같은 전기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것들 중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테레프탈산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이러한 재료는 발색/소색 전위가 낮기 때문에, 복수의 표시 전극을 갖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서 적당한 컬러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16b)은 복소환 화합물 유도체 구조가 2개의 피리딘 고리 알킬 양이온 구조 사이에 위치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메모리 특성이 높아서 화상 잔류 시간을 증가시키고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Figure pct00003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16b)은 바이올로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테레프탈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복소환 화합물 유도체 구조가 2개의 피리딘 고리 알킬 양이온 구조 사이에 위치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분자 구조를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유사한 발색/소색 전위를 갖는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이 제공될 수 있어서, 동일한 전해질을 사용하는 이들의 발색/소색의 용이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금속 착체형 및 금속 산화물형의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의 예는 무기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 예컨대 산화티탄, 산화바나듐, 산화텅스텐, 산화인듐, 산화이리듐, 산화니켈 및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17)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는 주성분으로서 하기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산화세륨, 산화규소("실리카"), 산화이트륨, 산화붕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스트론튬, 티탄산칼륨, 티탄산바륨, 티탄산칼슘, 산화칼슘, 페라이트, 산화하프늄, 산화텅스텐,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니켈, 산화코발트, 산화바륨, 산화스트론튬, 산화바나듐, 규산알루미늄, 인산칼슘 및 알루미나실리케이트. 이들 금속 산화물을 개별적으로, 또는 상기한 성분 중 2 이상과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및 광학 특성과 같은 전기적 및 물리적 특성의 관점에서,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주석, 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산화인듐 및 산화텅스텐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발색/소색 응답 속도가 높은 다색 표시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발색/소색 응답 속도가 높은 다색 표시를 달성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17)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17)의 형상은 단위 부피당 이의 표면적("비표면적")이 커서 금속 산화물(17)이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16b)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다. 예컨대, 나노 입자의 응집체로부터 금속 산화물(17)을 형성시킴으로써, 큰 비표면적을 달성할 수 있어, 금속 산화물(17)이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발색/소색 표시 콘트라스트 비가 개선된 다색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입자 직경을 갖는 복수 종의 입자를 혼합할 수 있다. 상이한 입자 직경을 갖는 입자의 존재는 일렉트로크로믹층에 공극을 제공하여, 개선된 전해질 침투성을 얻을 수 있다. 상이한 입자 직경을 갖는 이러한 입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층은 또한 코팅 등 시에 발생하는 층의 변형에 대해 개선된 강도를 가질 수 있어, 소자 제작 동안 수율을 향상시킨다.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16b)은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또는 16b) 및 금속 산화물(17)의 층의 혼합물을 통해 금속 산화물(17)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다색 표시에서의 발색/소색 표시 콘트라스트 비를 개선시키기 위해, 흡착성 기를 통해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또는 16b)이 금속 산화물(17)에 흡착되도록 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22)의 재료는 이것이 다공성이고 적절한 절연 특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재료는 내구성이 크고 성막 특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재료는 ZnS를 포함할 수 있다. ZnS는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손상시키지 않고 스퍼터링에 의해 빠르게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상에서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주성분으로서 ZnS를 포함하는 재료의 예는 ZnO-SiO2, ZnS-SiC, ZnS-Si 및 ZnS-Ge를 포함하며, 여기서 ZnS의 함량은, 절연층(22)의 형성시 적절한 결정 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90 몰%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예는 ZnS-SiO2(8/2), ZnS-SiO2(7/3), ZnS 및 ZnS-ZnO-In2O3-Ga2O3(60/23/10/7)이다.
절연층(22)에 상기 언급한 바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적당한 절연 효과를 박막으로부터 얻을 수 있어, 절연층(22)의 박리를 초래할 수 있는 다층의 적층으로 인한 절연층(22)의 강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입자 막으로서 절연층(22)을 형성시킴으로써 절연층(22)의 다공성 막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ZnS를 스퍼터링하는 경우, 사전에 언더코트층으로서 입자 막을 형성시켜 ZnS의 다공성 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입자 막으로서 금속 산화물(17)을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절연층(22)의 일부로서 예컨대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를 비롯한 다공성 입자 막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공성 막으로서 절연층(22)을 형성시킴으로써, 절연층(22)을 통한 전해질(20)의 투과가 가능해져서, 산화 환원 반응에 반응하는 전해질(20) 내 이온(전하)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발색/소색 응답 속도가 개선된 다색 표시가 가능해진다.
절연층(22)의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 범위일 수 있다. 막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소정 절연성을 얻을 수 없다. 막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착색으로 인해 시인성이 감소할 수 있다.
그 다음, 대향 기판(12) 및 대향 기판(12) 위에 형성되는 대향 전극(15)의 재료를 설명한다. 대향 기판(12)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향 전극(15)의 재료는 이것이 전기 전도성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향 기판(12)이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대향 전극(15)의 재료의 예는 ITO, FTO 또는 산화아연의 투명한 전도성 막; 아연 또는 백금의 전도성 금속 막; 및 탄소를 포함한다. 대향 전극(15)의 이러한 투명한 전도성 막 또는 전도성 막을 대향 기판(12)에 코팅할 수 있다. 아연 등의 금속 판을 대향 기판(12)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대향 기판(12)은 또한 대향 전극(15)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대향 전극(15)의 재료가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에 의해 나타난 산화 환원 반응과 역의 반응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경우, 안정한 발색/소색을 달성할 수 있다. 특정하게는,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이 산화에 의해 발색하는 경우, 대향 전극(15)의 재료는 환원 반응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이 환원에 의해 발색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대향 전극(15)의 재료는 산화 반응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의 발색/소색 반응을 더욱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그 다음, 전해질(20) 및 백색 반사층(21)의 재료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해질(20)의 재료는 용매에 용해된 지지 염을 포함한다. 지지 염의 예는 무기 이온 염, 예컨대 알칼리 금속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4급 암모늄 염; 산; 및 알칼리를 포함한다. 특정 예는 LiClO4, LiBF4, LiAsF6, LiPF6, LiCF3SO3, LiCF3COO, KCl, NaClO3, NaCl, NaBF4, NaSCN, KBF4, Mg(ClO4)2 및 Mg(BF4)2를 포함한다. 용매의 예는 탄산프로필렌, 아세토니트릴, γ-부티로락톤, 탄산에틸렌, 설폴란, 디옥솔란,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설폭시드, 1,2-디메톡시에탄, 1,2-에톡시메톡시에탄, 프로필렌글리콜 및 알콜을 포함한다. 전해질(20)의 재료는 용매에 용해된 지지 염을 포함하는 액상 전해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전해질(20)은 겔 형태의 전해질 또는 중합체 전해질과 같은 고체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백색 반사층(21)에 포함되는 백색 안료 입자의 재료의 예는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실리카, 산화세슘 및 산화이트륨을 포함한다. 안료 입자에 축광성(light-storing property)을 갖는 입자를 혼합함으로써, 외광 에너지에 의해 반사층(21)의 휘도를 개선시킬 수 있어, 보다 밝은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백색 반사층(21)은 바람직하게는 축광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백색 반사층(21)은 반사 콘트라스트 및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1 구체예의 제4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합체 전해질에 백색 안료 입자를 혼합함으로써 백색 반사층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체예에 따르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 내 제1 및 제2 표시 전극의 전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이 독립적으로 발색/소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제어 공정에 의해 소정 색을 발색시킬 수 있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 위에 형성된 상기 언급한 보호층의 유기 중합체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층(14)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통상적인 수지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예는 폴리비닐 알콜, 폴리-N-비닐 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변형예 1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예 1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변형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a)는 3개의 표시 전극층 및 3개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구체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와는 상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는 표시 기판(11a); 표시 기판(11a) 위에 형성된 제1 표시 전극(13a); 제1 표시 전극(13a) 위에 배치된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위에 배치된 제1 절연층(22a); 제1 절연층(22a) 위에 배치된 제2 표시 전극(13b); 제2 표시 전극(13b) 위에 배치된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 위에 배치된 제2 절연층(22b); 제2 절연층(22b) 위에 배치된 제3 표시 전극(13c); 및 제3 표시 전극(13c) 위에 배치된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c)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a)의 구조는 다색 표시를 용이하게 가능하게 한다. 제1, 제2 및 제3 표시 전극(13a, 13b 및 13c)이 제1 및 제2 절연층(22a 및 22b)에 의해 서로로부터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제2 및 제3 표시 전극(13a, 13b 및 13c)과 대향 전극(15) 사이의 전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각각 제1, 제2 및 제3 표시 전극(13a, 13b 및 13c) 위에 배치된 제1, 제2 및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a, 14b 및 14c)이 독립적으로 발색/소색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a, 14b 및 14c)이 표시 기판(11a) 상에 적층되기 때문에, 다양한 발색/소색 패턴을 실현할 수 있어 다색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1) 제1, 제2 또는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a, 14b 또는 14c)을 발색시킬 수 있고; 2)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을 발색시킬 수 있으며; 3) 제1 및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c)을 발색시킬 수 있고; 4) 제2 및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b 및 14c)을 발색시킬 수 있으며; 5) 제1, 제2 및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a, 14b 및 14c) 모두를 발색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및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a, 14b 및 14c)을 각각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을 발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는 제1, 제2 및 제3 표시 전극(13a, 13b 및 13c)의 전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풀컬러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예 1의 본 변형예에 따르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a)는 간단한 제어 조작에 의해 다양한 색을 발색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4를 참조로 하여, 구체예 1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변형예 2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표시 기판(11b)의 개략 사시도이다. 변형예 2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제2 표시 전극(13b)이 평면도에서 메쉬 격자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변형예 1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와는 상이하다. 제2 표시 전극(13b)이 표시 기판(11)의 전체 표면에 형성되는 구체예 1과는 구조가 대비된다.
제2 표시 전극(13b)의 메쉬 격자 구조는 산화 환원 반응에 반응하여 전해질(20) 내 이온(전하)의 이동을 촉진하여, 다색 표시의 발색/소색 응답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예 1의 변형예 2에 따르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간단한 제어 조작을 기초로 하여 고속으로 다색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변형예 3
다음으로, 도 5를 참조로 하여 구체예 1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변형예 3에 다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c)의 개략 단면도이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c)는 절연막(22)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체예 1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와는 상이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변형예 3에 따르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c)에 있어서, 제1 표시 전극(13a) 위에 배치된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은 그들 사이에 절연층을 배치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표시 전극(13b)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의 저항을 제어함으로써, 제1 표시 전극(13a)과 제2 표시 전극(13b) 사이의 전극간 저항을 양쪽 표시 전극의 시트 저항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22)을 제공하지 않고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의 전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a 및 14b)이 독립적으로 발색/소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c)는 간단한 제어 조작에 의해 다양한 색을 발색할 수 있다.
변형예 4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하여, 구체예 1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d)를 설명한다. 도 6a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d)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b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d)의 대향 기판(12a)의 개략 사시도이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d)는, 전해질(20a)이 매트릭스 형태로 패터닝된다는 점에서 구체예 1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와는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백색 반사층(21)도 유사하게 패터닝할 수 있다. 이 경우, 백색 반사층(21)은 패터닝된 전해질(20a) 위에 적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색 반사층(21)을 전해질(20a)과 혼합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전해질(20a)을 패터닝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전해질(20a)을 용매 및 투명 잉크 또는 백색 잉크와 혼합한 후, 잉크젯 방법 또는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소정 패턴에 따라 혼합물을 도포하여 전해질(20a)을 패터닝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는 종래의 UV 경화성 잉크 또는 열 경화성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20a) 또는 용매를 유지하기 위해, 가교 비가 낮은 저밀도 구조를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20a)은 중합체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층(22)은 중합체 전해질을 비롯한 전해질(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것은 제조 비용을 과도하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제조 비용의 증가를 본 구체예에 따른 전해질(20a)의 간단한 도포법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중합체 전해질을 소정 매트릭스 패턴으로 도포한다.
전해질(20a)을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패터닝할 경우, 전해질(20a)과 각각의 표시 전극 사이의 전압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대향 전극(15a)도 패터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해질(20a)을 화소 전극에 대응시켜 패터닝할 수 있어, 구체예 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표시 전극 또는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패터닝하지 않고 액티브 매트릭스에 의해 개별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구체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을 도 7의 흐름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제1 표시 전극의 형성
단계 S11에서, 예컨대 증착, 스퍼터링 또는 이온 플레이팅과 같은 진공 성막 기술에 의해 제1 표시 전극(13a)을 표시 기판(11) 위에 형성시킨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의 형성
단계 S12에서,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금속 산화물 입자(17)를 포함하는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예컨대 스핀 코팅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해 제1 표시 전극(13a) 위에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산화물 입자(17) 및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을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액체 코팅 잉크를 제조할 수 있고, 그 다음 코팅 잉크를 스핀 코팅에 의해 제1 표시 전극(13a)에 도포하여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형성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팅 잉크를 스크린 인쇄에 의해 표시 기판(11)에 도포하여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형성시킬 수 있다.
코팅 잉크를 조정하기 위한 잉크는 다양한 공지된 용매(예컨대 물, 알콜, 셀로솔브, 할로겐화 탄소, 케톤 및 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 및 금속 산화물 입자(17)의 코팅 잉크 혼합물을 도포하여 한꺼번에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코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금속 산화물 입자(17)의 분산액을 도포한 후, 금속 산화물 입자(17)의 층에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16a)을 도포하여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을 코팅할 수 있다.
제1 절연층의 형성
도 7의 단계 S13에서, 증착, 스퍼터링 및 이온 플레이팅과 같은 진공 성막 방법에 의해 제1 절연층(22)을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위에 형성시킨다.
제2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의 형성
단계 S14 및 S15에서, 제2 표시 전극(13b) 및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b)을 형성시킨다. 단계 S14 및 S15는 단계 S11 및 S12와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대향 전극의 형성
단계 S16에서, 증착, 스퍼터링 및 이온 플레이팅과 같은 진공 성막 방법에 의해 대향 전극(15)을 대향 기판(12) 위에 형성시킨다.
기판의 고정
단계 S17에서, 대향 전극(15)이 형성되는 대향 기판(12)을, 백색 반사층(21)에 대한 입자를 포함하는 전해질(20)을 통해 제1 절연층(22)까지 다양한 층이 형성된 표시 기판(11)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기판(11) 및 대향 기판(12)을 셀(19)을 형성시키는 스페이서(18)를 통해 서로 고정시킨다. 그 다음, 셀(19)에 셀(19) 내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백색 반사층(21)에 대한 입자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20)을 진공 주입한다. 그 다음, 개구부를 밀폐 밀봉한다. 백색 반사층(21)은 대향 전극(15)에 백색 안료 입자의 수지 분산액을 도포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합체 전해질 및 UV 경화성 잉크를 혼합할 수 있으며, 혼합물을 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에 의해 소정 패턴에 따라 표시 기판(11) 또는 대향 기판(12)에 도포할 수 있다. 그 다음, 표시 기판(11) 및 대향 기판(12)을 이들의 전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고정시킨다. 그 다음, 기판 사이의 공간을 전해질 용액으로 채운 후, UV 경화성 잉크를 UV 광으로 조사하여, UV 경화성 잉크를 경화시키고, 표시 기판 및 대향 기판을 서로 고정시킨다.
구체예 2
도 8 내지 10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30)를 설명한다. 화상 표시 장치(30)는 구체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30)는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를 포함하고, 이를 개별 화소를 표시하기 위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로서 사용한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는 장시간 동안 발색 상태 또는 소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30)가 장기간 동안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미표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한다.
화상 표시 장치(30)는 전자 페이퍼와 같은 반사형 표시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화상 표시 장치(30)의 개략 단면도이다. 화상 표시 장치(30)는 표시 기판(11) 및 대향 기판(12)을 포함한다. 도 9는 표시 기판(11)의 개략 사시도이다. 대향 기판(12) 상에, 복수의 대향 전극(15)이 각각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에 대해 제공된다. 표시 기판(11) 상에, 각각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에 대해 제1 표시 전극(13a),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절연막(22), 제2 표시 전극(13b)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이 배치된다. 각각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는 한 세트의 제1 표시 전극(13a),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 절연막(22), 제2 표시 전극(13b)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을 포함한다.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가 매트릭스 형태의 표시 기판(11)의 평면에 배치된다.
화상 표시 장치(30)는 셀(19) 내 백색 반사층(21)을 포함한다. 백색 반사층(21)은 셀(19)에 분산된 백색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전해질(20)을 주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백색 안료 입자의 수지 분산액을 대향 전극(15)에 도포하여 백색 반사층(21)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전해질을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전극 형상에 따라 패턴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마지막 방법은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이하, 화상 표시 장치(30)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화상 표시 장치(30)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에 전기장을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유닛 또는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에 따라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를 구동하기 위해 공지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전기 회로를 채용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전기 회로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소자로서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전극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에 연결된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 회로는 고속으로 개별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를 구동할 수 있어, 화상 표시 장치(30)가 고속으로 미세 해상도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30)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30)는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 각각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의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33a 및 33b);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박막 트랜지스터(33a 및 33b)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도선(34a 및 34b); 및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박막 트랜지스터(33a 및 33b)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 도선(35a 및 35b)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33a)의 드레인 전극은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의 제1 표시 전극(13a)에 연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33b)의 드레인 전극은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의 제2 표시 전극(13b)에 연결된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의 대향 전극(15)은 접지 전위와 같은 일정한 전위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30)에서, 전압을 수평 방향으로 도선(34a)의 하나에,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도선(35a)의 하나에 인가할 때, 전압은 선택된 도선(34a 및 35a)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33a)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33a)가 켜지고,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저항이 감소한다. 그 결과, 박막 트랜지스터(33a)에 연결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의 제1 표시 전극(13a)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에 포함된 제1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이 소정 색을 발색하게 한다.
유사하게, 전압을 수평 방향으로 도선(34b)의 하나에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도선(35b)의 하나에 인가할 때, 전압은 선택된 제2 표시 전극(13b) 및 선택된 대향 전극(15)을 가로질러 인가된다. 이는 상당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에 포함된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이 소정 색을 발색하게 한다. 이들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시 전극과 선택된 대향 전극 사이에 위치한 화소가 제1 일렉트로크로믹 단독으로 인한 색,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 단독으로 인한 색, 또는 제1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 양쪽으로 인한 색을 발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또는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과 대향 전극(15) 사이에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30)는 소정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연장된 지속 기간 동안 발색된 색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된 표시 전극과 다른 표시 전극 또는 대향 전극 사이에 저저항 부분이 없어야 한다. 즉, 선택된 표시 전극은 다른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기 절연으로 전극 또는 저저항 부분을 통한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로부터의 전하의 방전, 또는 저저항 부분 또는 전극을 통한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로부터 방전된 전하의 주입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색 유지 시간을 개선시킬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전극을 발색시킬 때, 소색 전압을 우선 각각의 표시 전극에 인가할 수 있고, 그 다음 일렉트로크로믹층을 상기 설명한 발색 구동 방법에 의해 한 번에 한 층씩 발색시킬 수 있다. 표시 전극에 대한 소색 전압의 이러한 인가는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의 하전 상태(산화 환원 반응 상태)를 개시시킬 수 있다. 그 후, 한 층씩 발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개별 일렉트로크로믹층의 발색/소색 조작을 고재현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각각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의 산화 환원 반응 상태를 모든 일렉트로크로믹 입자가 완전히 산화되는 산화 상태와 모든 일렉트로크로믹 입자가 완전히 환원되는 환원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상태는 일렉트로크로믹층이 발색 상태와 소색 상태 사이의 중간 색을 발색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일렉트로크로믹층에 상당하는 표시 전극에 인가된 전압과 시간의 곱을 제어하여(즉, 주입 또는 방출된 전하의 양을 제어하여) 일렉트로크로믹층을 중간 상태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가된 전압 및 시간을 계속적으로 변경하여 중간 색을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정 최대 전압치 및 소정 펄스 폭을 갖는 전압 펄스의 인가 회수를 변경하여 중간 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 2에 따르면,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의 적층된 층을 화상 표시 장치(30)의 기판의 평면 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여, 화상 표시 장치(30)가 다양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33a 및 33b)가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소자(31)에 의해 발색된 색의 시인성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표시 기판(11) 상에서 각각 제1 표시 전극(13a) 및 제2 표시 전극(13b)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33a 및 33b)를 대향 기판(12) 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30)가 표시 전극 위에 배치된 2개의 표시 전극 및 2개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표시 전극의 층 및/또는 일렉트로크로믹층의 수는 3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 1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의 형성
30 ㎜×30 ㎜로 측정되는 유리 기판을 제조한 후, ITO 막을 약 100 ㎚ 두께로 스퍼터링에 의해 유리 기판의 상부 표면에 16 ㎜×23 ㎜ 영역에 형성시켜, 제1 표시 전극을 형성시켰다. 제1 표시 전극의 전극 말단간 시트 저항은 약 200 Ω였다.
제1 표시 전극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을 스핀 코팅에 의해 산화티탄 나노 입자 분산액으로서의 SP210(Showa Titanium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으로 코팅한 후,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막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하기 화학식 (4)에 따른 바이올로겐 화합물의 5 중량%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 및 상기한 SP210을 2.4/4의 비로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4
코팅액을 스핀 코팅에 의해 유리 기판에 도포한 후, 10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및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폴리-N-비닐 아미드의 0.1 중량% 에탄올 용액 및 폴리비닐 알콜의 0.5 중량% 수용액을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시켰다. 이 다음, 스퍼터링에 의해 조성 비가 8/2인 ZnS-SiO2의 막을 형성시켜 무기 절연층을 25 내지 150 ㎚ 범위의 막 두께로 형성시켰다. 또한, 유리 기판의 표면 상의 무기 절연층의 10 ㎜×20 ㎜ 영역에, ZnS-SiO2의 ITO 막을 약 100 ㎚의 두께로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시켜 제2 표시 전극을 형성시켰다. 제2 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은 저항은 약 200 Ω였다.
제2 표시 전극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팅에 의해 이산화티탄 나노 입자 분산액으로서의 SP210(Showa Titanium Co., Ltd.)을 추가로 도포한 후,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막을 형성시켰다.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의 1 중량%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 및 SP210을 2.4/4의 비로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5
코팅액을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한 후, 10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및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켜 표시 기판을 완성시켰다.
대향 전극의 형성
상기 유리 기판과는 별도로, 30 ㎜×30 ㎜로 측정되는 유리 기판을 제조하고, 산화주석의 투명한 전도성 박막을 유리 기판의 전체 상부 표면에 형성시켰다. 열경화성 전도성 카본 잉크로서의 CH10(Jujo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에 25 중량%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스핀 코팅에 의해 그 위에 산화주석의 투명한 전도성 박막을 형성시키면서 용액을 유리 기판의 상부 표면에 도포하였다. 이 다음,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를 하여 대향 기판을 완성시켰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조립
표시 기판 및 대향 기판을 길이 75 ㎛의 스페이서를 통해 서로 고정시켜 셀을 형성시켰다. 1차 입자 직경이 300 ㎚인 35 중량%의 이산화티탄 입자(Ishihara Sangyo Kaisha, Ltd. 제조)를 0.1 M의 퍼클로레이트 클로라이드(perchlorate chloride)가 용해된 탄산프로필렌 용액에 분산시켜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전해질 용액을 밀폐 밀봉 방식으로 셀에 넣어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e)를 얻었다.
도 11a, 11b 및 11c는 실시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e)를 도시한다. 도 11a, 11b 및 11c는 각각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e)의 평면도, 도 11a의 A-A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도 11a의 B-B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b 및 11c를 참조하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e)는 제1 표시 전극(13a)(ITO1),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EC1), 절연층(22a), 제2 표시 전극(13b)(IT02) 및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EC2)을 포함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e)는 ITO1, EC1, ITO2 및 EC2 모두가 적층된 중심 영역(선영 있음)을 갖는다. 이 선영이 있는 중심 영역을 이하 하기 설명하게 될 발색/소색 시험에 사용되는 발색/소색 평가 영역으로 지칭한다.
전극간 저항의 측정
실시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e)의 제1 표시 전극(13a)과 제2 표시 전극(13b) 사이의 전극간 저항을 측정하였다. 도 12는 측정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12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를 50 ㎚ 이상으로 하여 100 kΩ 이상의 양호한 절연성(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보다 약 500 배 많음)을 얻었다.
발색/소색 시험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를 변경하면서 실시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e)에 전압을 인가하여 소색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압은 2 초 동안 인가된 1.7 V였다. 표시 전극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을 양극에 연결하였다.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가 50 ㎚ 이상이고 전극간 저항이 100 kΩ 이상일 경우, 제1 또는 제2 표시 전극에 대한 전압의 인가와는 독립적으로 제1 표시 전극으로부터 청색이 발색되거나 또는 제2 표시 전극으로부터 녹색이 발색되었다. 또한, 발색된 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가 50 ㎚ 미만이고 전극간 저항이 100 kΩ 미만일 경우, 전압을 제1 표시 전극에 인가시, 제1 표시 전극은 발색의 초기 기간 동안 독립적으로 발색하였지만, 제2 표시 전극은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발색하기 시작하여, 일단 독립적으로 발색된 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 하게 하였다.
실시예 2
이산화티탄 입자 막의 형성을 생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미도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을 측정하였다. 도 12는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를 75 ㎚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100 kΩ 이상의 양호한 절연성(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의 약 500 배)을 얻었다.
발색/소색 시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를 변경하면서 실시예 2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색/소색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가된 전압은 1.7 V였고 지속 기간은 2 초였다. 표시 전극을 양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을 음극에 연결하였다.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가 75 ㎚ 이상이고 전극간 저항이 100 kΩ 이상일 경우, 제1 또는 제2 표시 전극에 대한 전압의 인가와는 독립적으로 제1 표시 전극으로부터 청색이 발색되거나 또는 제02 표시 전극으로부터 녹색이 발색되었다. 독립적으로 발색된 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가 75 ㎚ 미만이고 전극간 저항이 100 kΩ 미만일 경우, 전압을 제1 표시 전극에 인가시, 제1 표시 전극은 발색의 초기 기간 동안 독립적으로 발색하였지만, 제2 표시 전극은 시간 경과에 따라 이의 고유 색을 점차 발색하기 시작하여, 일단 독립적으로 발색된 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 하게 하였다.
실시예 3
하나의 장치의 무기 절연층의 재료가 ZnS를 포함하고 다른 장치의 무기 절연층의 재료가 ZnO-ZnO-In2O3-Ga2O3(60/23/10/7)을 포함하며 무기 절연층의 막 두께가 140 ㎚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3에 따른 2개의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미도시)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양쪽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서 약 10 MΩ의 양호한 절연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4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하기 절차에 의해 제조한 것 이외에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미도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조
30 ㎜×30 ㎜로 측정되는 유리 기판을 제조하였다. ITO 막을 약 100 ㎚ 두께로 스퍼터링에 의해 유리 기판의 상부 표면에 16 ㎜×23 ㎜ 영역에 형성시켜, 제1 표시 전극을 형성시켰다. 제1 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은 약 200 Ω였다.
제1 표시 전극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을 스핀 코팅에 의해 산화티탄 나노 입자 분산액으로서의 SP210(Showa Titanium Co., Ltd.)으로 코팅한 후,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막을 형성시켰다. 유리 기판을 스핀 코팅에 의해 코팅액으로 추가로 코팅하였다. 코팅액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의 1 중량%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을 포함하였다. 그 다음, 10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를 수행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및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켰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스퍼터링에 의해 ZnS-SiO2(조성 비 8/2)의 막을 140 ㎚의 막 두께로 형성시켜 무기 절연층을 형성시켰다. 또한, 스퍼터링에 의해 유리 기판의 표면에 10 ㎜×20 ㎜ 영역에 약 100 ㎚ 두께로 ITO 막을 형성시켜 제2 표시 전극을 형성시켰다. 제2 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은 약 200 Ω였다.
제2 표시 전극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 위에, 스핀 코팅에 의해 이산화티탄 나노 입자 분산액으로서의 SP210(Showa Titanium Co., Ltd.)을 추가로 도포한 후,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를 수행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막을 형성시켰다. 유리 기판을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의 1 중량%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을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스핀 코팅에 의해 추가로 코팅하였다. 그 다음, 10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를 수행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및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키고 표시 기판을 완성시켰다. 그 다음, 실시예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단계를 수행하여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를 얻었다.
전극간 저항의 측정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은 약 10 MΩ였고, 이는 양호한 절연성을 시사하였다.
발색/소색 시험
실시예 4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 대해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색/소색 평가를 실시하였다. 발색/소색 평가는 Otsuka Electronics Co., Ltd. 제조의 LCD-5000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는 확산 광으로의 조사를 수반하였다. 전압 인가를 위해, FG-02 function generator(Toho Giken)를 이용하였다. 인가된 전압은 2.55 V였고, 인가 지속 기간은 100 ms였으며, 다중 펄스를 인가시 펄스 간격은 10 ms였다.
실시예 4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전압의 인가 없이 백색을 발색하였고, 약 50%의 백 반사율을 나타냈다. 제1 표시 전극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을 양극에 연결할 경우,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펄스 전압의 인가시 녹색을 발색하였다. 제2 표시 전극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을 양극에 연결할 경우,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펄스 전압의 인가시 청색을 발색하였다. 또한, 제1 및 제2 표시 전극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을 양극에 연결할 경우,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i)는 펄스 전압의 인가시 흑색을 발색하였다.
도 13은 제1 표시 전극에 대한 펄스 전압 인가 회수와 백 반사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제2 표시 전극에 대한 펄스 전압 인가 회수와 백 반사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청색의 발색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녹색의 발색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흑색의 발색 동안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3 및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펄스 전압을 제1 표시 전극에 인가시 및 펄스 전압을 제2 표시 전극에 인가시 펄스 인가 회수가 증가하면서 백 반사율이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즉, 펄스 인가 회수가 증가하면서 색은 계속적으로 어두어지며, 이는 중간 색이 표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제1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펄스 전압의 인가의 경우, 도 15는 약 440 ㎚의 파장에서의 반사율의 증가를 나타내며, 이는 청색의 발색을 시사한다. 제2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펄스 전압 인가의 경우, 도 16은 약 490 ㎚의 파장에서의 반사율의 증가를 나타내며, 이는 녹색의 발색을 시사한다. 제1 및 제2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펄스 전압 인가의 경우, 도 17은 도 15 및 16에 비한 일반적인 반사율의 감소를 나타내며, 이는 흑색의 발색을 시사한다.
따라서, 전압 인가에 대해 제1 표시 전극 또는 제2 표시 전극을 선택함으로써, 다색 표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압 펄스 인가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중간 색을 표시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3개의 표시 전극 층 및 3개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포함시킨 것 이외에는, 도 18a 내지 18c에 도시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j)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의 형성
30 ㎜×30 ㎜로 측정되는 유리 기판을 제조하였고, ITO 막을 약 100 ㎚ 두께로 스퍼터링에 의해 유리 기판의 상부 표면에 16 ㎜×23 ㎜ 영역에 형성시켜, 제1 표시 전극을 형성시켰다. 제1 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은 약 200 Ω였다.
제1 표시 전극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팅에 의해 산화티탄 나노 입자 분산액으로서의 SP210(Showa Titanium Co., Ltd.)을 코팅한 후,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막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유리 기판을 스핀 코팅에 의해 코팅액으로 추가로 코팅하였는데, 코팅액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의 1 중량%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을 포함하였다. 그 다음, 10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를 수행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및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켰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폴리-N-비닐 아미드의 0.1 중량% 에탄올 용액 및 폴리비닐 알콜의 0.5 중량% 수용액을 스핀 코팅에 의해 추가로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스퍼터링에 의해 조성 비가 8/2인 ZnS-SiO2의 막을 140 ㎚의 막 두께로 형성시켜 무기 절연층을 형성시켰다. 또한, ZnS-SiO2의 무기 절연층이 그 위에 형성된 10 ㎜×20 ㎜ 영역에, 유리 기판의 표면 상의 ITO 막을 약 100 ㎚의 두께로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시켜 제2 표시 전극을 형성시켰다. 제2 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은 저항은 약 200 Ω였다.
제2 표시 전극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을 스핀 코팅에 의해 이산화티탄 나노 입자 분산액으로서의 SP210(Showa Titanium Co., Ltd. 제조)으로 추가로 코팅한 후,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막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유리 기판을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의 1 중량%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 및 SP210의 혼합물을 2.4/4의 혼합 비로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스핀 코팅에 의해 코팅하였다. 이 다음, 10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 및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켰다.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을 폴리-N-비닐 아미드의 0.1 중량% 에탄올 용액 및 폴리비닐 알콜의 0.5 중량% 수용액으로 스핀 코팅에 의해 코팅하여 보호층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스퍼터링에 의해 조성 비가 8/2인 ZnS-SiO2의 막을 140 ㎚의 막 두께로 형성시켜 무기 절연층을 형성시켰다. 또한, ZnS-SiO2의 무기 절연층이 그 위에 형성된 10 ㎜×20 ㎜ 영역에, 유리 기판의 표면 상의 ITO 막을 약 100 ㎚의 두께로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시켜 제3 표시 전극을 형성시켰다. 제3 표시 전극의 말단간 시트 저항은 저항은 약 200 Ω였다.
제3 표시 전극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을 스핀 코팅에 의해 이산화티탄 나노 입자 분산액으로서의 SP210(Showa Titanium Co., Ltd. 제조)으로 추가로 코팅한 후,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하여 이산화티탄 입자를 포함하는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켰다.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을 스핀 코팅에 의해 폴리-N-비닐 아미드의 0.1 중량% 에탄올 용액 및 폴리비닐 알콜의 0.5 중량% 수용액으로 추가로 코팅하여 보호층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 조성 비가 8/2인 ZnS-SiO2의 막을 35 ㎚의 막 두께로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시켜 무기 절연층을 형성시켰다.
도 18a, 18b 및 18c는 실시예 5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j)를 도시한다. 도 18a, 18b 및 18c는 각각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j)의 평면도, 도 18a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b 및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j)는 제1 표시 전극(13a)(ITO1),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14a)(EC1), 제1 절연층(22a), 제2 표시 전극(13b)(ITO2),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14b)(EC2), 제2 절연층(22b), 제3 표시 전극(13c)(ITO3) 및 제3 일렉트로크로믹층(14c)(EC3)을 포함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j)는 ITO1, EC1, ITO2, EC2, ITO3 및 EC3 모두가 적층된 중심 영역(선영 있음)을 갖는다. 이 선영이 있는 중심 영역을 이하 하기 설명하게 될 발색/소색 시험이 수행되는 발색/소색 평가 영역으로 지칭한다.
전극간 저항의 측정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j)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은 약 10 MΩ인 반면, 제2 표시 전극과 제3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은 약 0.5 MΩ였다.
발색/소색 시험
실시예 5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j)에 대해 도 19a 내지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위 차이가 나타나도록 2 초 동안 전압 인가를 수반하는 발색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19a의 경우, ITO1/EC1이 0 V의 전위를 갖는 반면 대향 전극이 1.5 V의 전위를 가지며, ITO2/EC2 및 ITO3/EC3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전압을 인가하였다. 도 19b의 경우, ITO2/EC2가 0 V의 전위를 갖는 반면 대향 전극이 1.5 V의 전위를 갖고, ITO1/EC1 및 ITO3/EC3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전압을 인가하였다. 도 19c의 경우, ITO3/EC3이 0 V의 전위를 갖는 반면 대향 전극이 1.5 V의 전위를 갖고, ITO1/EC1 및 ITO2/EC2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전압을 인가하였다.
그 결과, 도 19에서는, ITO1/EC1의 영역만이 발색하였다. 도 19b의 경우, ITO2/EC2의 영역만이 발색하였다. 도 19c의 경우, ITO3/EC3의 영역만이 발색하였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표시 전극은 독립적으로 발색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6
4 중량%의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테레프탈산 화합물 및 20 중량%의 AMT1OO 산화티탄 입자(Tayca Corporation)를 포함하는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을 사용하여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미도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의 다른 차이점은, 4 중량%의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테레프탈산 화합물 및 20 중량%의 AMT100을 포함하는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을 사용하여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을 형성시켰다는 것이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k)는, 1차 입자 직경이 300 ㎚인 35 중량%의 산화티탄 입자(Ishihara Sangyo Kaisha, Ltd. 제조)를 0.1 M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퍼클로레이트가 용해된 디메틸설폭시드의 전해질 용액에 분산시켰다는 점이 실시예 1과 추가로 상이하였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k)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은 약 10 MΩ였고, 이는 양호한 절연성을 시사한다.
발색/소색 시험
실시예 6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 대해 발색/소색 평가를 실시하였다. 발색/소색 평가는 LCD-5000 분광 광도계(Otsuka Electronics Co., Ltd.)를 이용하는 확산 광으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10k)를 조사하는 것을 수반하였다. 전압 인가를 위해, FG-02 function generator(Toho Giken)를 이용하여 100 ms 동안 4.5 V의 펄스를 제공하였고, 다중 펄스를 인가시 펄스 간격은 10 ms였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전압 인가 없이는 백색을 발색하였고, 이는 약 45%의 백 반사율을 시사한다. 제1 표시 전극(13a)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12)을 양극에 연결할 경우, 펄스 전극의 인가시 마젠타가 발색되었다. 제2 표시 전극(13b)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12)을 양극에 연결할 경우, 펄스 전압의 인가시 황색이 발색되었다. 제1 및 제2 표시 전극(13a 및 13b)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12)을 양극에 연결할 경우, 펄스 전압의 인가시 적색이 발색되었다.
도 20은 마젠타 발색시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황색 발색시의 반사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0의 경우, 펄스 전압을 제1 표시 전극(13a)과 대향 전극(12) 사이에 인가할 경우, 약 420 ㎚ 및 600 ㎚ 이상의 파장에서 반사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마젠타의 발색을 시사한다. 도 21의 경우, 제2 표시 전극(13b)과 대향 전극(12) 사이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약 500 내지 600 ㎚의 파장에서 반사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황색의 발색을 시사한다.
따라서, 전압 인가에 대해 제1 표시 전극(13a) 또는 제2 표시 전극(13b)을 선택함으로써, 다색 표시가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전압 펄스 인가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중간 색을 표시시킬 수 있다.
실시예 7
대향 전극의 제조 및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조립에 대한 조건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미도시)를 제조하였다.
대향 전극의 형성
표시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과는 별도로, 30 ㎜×30 ㎜로 측정되는 유리 기판을 제조하고, 산화주석의 투명한 전도성 박막을 유리 기판의 전체 상부 표면에 형성시켰다. 투명한 전도성 박막이 그 위에 형성된 유리 기판의 상부 표면을 스핀 코팅에 의해 약 2 ㎛의 두께로 20 중량%의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분산액[1차 입자 직경이 30 ㎚인 용해된 산화주석 입자(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를 포함함]으로 추가로 코팅하였다. 그 다음, 15 분 동안 120℃에서 어닐링 처리를 수행하여 대향 전극을 형성시켰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조
PTC10 UV 경화성 잉크(Jujo Chemical Co., Ltd.), 퍼클로레이트 클로라이드, 탄산프로필렌, 및 1차 입자 직경이 300 ㎚인 산화티탄 입자(Ishihara Sangyo Kaisha, Ltd.)를 10/1/2/2의 중량 비로 혼합하여 전해질 백색 잉크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직경 1 ㎜ 및 두께 약 5 ㎛의 점이 2.5 ㎜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된 대향 전극에 전해질 백색 잉크를 도포하였다.
그 다음, 표시 기판의 표시 전극 및 일렉트로크로믹층이 대향 기판 상의 전해질 백색 잉크의 코팅에 대향하도록, 표시 기판을 대향 기판 위에 놓았다. 10 분 동안 방치한 후, UV 조사를 수행하여 전해질 백색 잉크를 경화시켜 대향 기판 상에 표시 기판을 고정시켰다.
표시 전극간 저항의 측정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항은 약 10 MΩ였고, 이는 양호한 절연성을 시사한다.
발색/소색 시험
실시예 7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색 평가를 수행하였다. 인가한 전압은 2.5 V였고, 인가 지속 시간은 2 초였다. 표시 전극은 음극에 연결한 반면, 대향 전극은 양극에 연결하였다.
그 결과, 제1 표시 전극 및 제2 표시 전극은 각각 독립적으로 청색 및 녹색을 발색할 수 있었다. 또한 패터닝된 전해질 백색 잉크 부분만을 발색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8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을, 복소환 화합물인 푸란 구조가 피리딘 고리 알킬 양이온 구조 사이에 도입된,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8
다른 예외점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을 복소환 화합물인 티오펜 구조가 피리딘 고리 알킬 양이온 구조 사이에 도입된,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로 대체하였다는 것이다.
Figure pct00009
전압을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표시 전극에 인가할 경우, 제1 및 제2 표시 전극은 각각 독립적으로 마젠타 및 황색을 발색할 수 있었다. 또한, 일단 독립적으로 발색된 색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었다.
비교예 1
절연층을 형성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전극과 제2 표시 전극 사이의 전극간 저항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약 200 Ω의 저항을 나타냈고, 이는 불량한 절연성을 시사한다.
비교예 1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에 대해 또한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색/소색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2 표시 전극을 음극에 연결하고 대향 전극을 양극에 연결할 경우,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는 펄스 인가 전압시 흑색을 발색하였는데, 이는 독립적으로 제1 일렉트로크로믹층으로 인해 청색을, 그리고 제2 일렉트로크로믹층으로 인해 녹색을 발색하는 데에 실패하였음을 시사한다.
특정 구체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변형예 및 변경예가 하기 청구 범위에 설명되고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존재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2009년 5월 1일 출원된 일본 우선권 출원 제2009-112006호에 기초한다.

Claims (14)

  1. 표시 기판;
    표시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 기판;
    대향 기판 위에 배치된 대향 전극;
    서로 격리되어 표시 기판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 전극;
    대응하는 표시 전극 위에 배치된 복수의 일렉트로크로믹층(eletrochromic layer); 및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
    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로서,
    하나의 표시 전극과 다른 표시 전극 사이의 전기 저항은 하나 또는 다른 표시 전극의 전기 저항보다 크며,
    표시 기판에 가장 근접한 표시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된 1 이상의 표시 전극은 전해질에 대하여 침투성이 있도록 구성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층은 일렉트로크로믹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대향 기판에 가장 근접한 일렉트로크로믹층과 대향 전극 사이에, 또는 대향 전극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 측 위에 배치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해질은 매트릭스의 형태로 패터닝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전극 사이에 표시 전극을 상호 절연하기 위한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발색하기 위한 최고의 임계 전압을 갖는 일렉트로크로믹층 중 하나가 표시 기판에 가장 근접한 표시 전극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소색하기 위한 최고의 임계 전압을 갖는 일렉트로크로믹층 중 하나가 표시 기판에 가장 근접한 표시 전극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표시 전극 위에 배치된 일렉트로크로믹층은 상이한 색을 발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층 중 1 이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Figure pct00010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는 탄소수 1, 2, 3 또는 4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1 및 R2 중 하나는 COOH, PO(OH)2 및 Si(OCkH2k+1)3에서 선택되며; X는 1가 음이온이고; n은 0, 1 또는 2이며; m은 0, 1, 2, 3 또는 4이고; k는 0, 1 또는 2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층 중 1 이상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테레프탈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Figure pct00011

    상기 화학식에서, R4, R5 및 R6은 탄소수 1, 2, 3 또는 4의 알킬기, 탄소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이고, R4 및 R5 중 하나는 COOH, PO(OH)2 및 Si(OCkH2k+1)3에서 선택되며; q는 1 또는 2이며; p는 0, 1, 2, 3 또는 4이고; k는 0, 1 또는 2이다.
  11. 제1항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층 중 1 이상은 2개의 피리딘 고리 알킬 양이온 구조 사이에 복소환 화합물 유도체 구조가 위치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Figure pct00012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는 탄소수 1, 2, 3 또는 4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1 및 R2 중 하나는 COOH, PO(OH)2 및 Si(OCkH2k+1)3에서 선택되며; X는 1가 음이온이고; n은 0, 1 또는 2이며; m은 0, 1 또는 2이고; k는 0, 1 또는 2이며; A는 복소환 화합물 유도체이다.
  12. 제9항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층 모두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올로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Figure pct00013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는 탄소수 1, 2, 3 또는 4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1 및 R2 중 하나는 COOH, PO(OH)2 및 Si(OCkH2k+1)3에서 선택되며; X는 1가 음이온이고; n은 0, 1 또는 2이며; m은 0, 1, 2, 3 또는 4이고; k는 0, 1 또는 2이다.
  13. 제10항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층 모두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테레프탈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Figure pct00014

    상기 화학식에서, R4, R5 및 R6은 탄소수 1, 2, 3 또는 4의 알킬기, 탄소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이고, R4 및 R5 중 하나는 COOH, PO(OH)2 및 Si(OCkH2k+1)3에서 선택되며; q는 1 또는 2이며; p는 0, 1, 2, 3 또는 4이고; k는 0, 1 또는 2이다.
  14. 제11항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층 모두가 2개의 피리딘 고리 알킬 양이온 구조 사이에 복소환 화합물 유도체 구조가 위치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Figure pct00015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는 탄소수 1, 2, 3 또는 4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1 및 R2 중 하나는 COOH, PO(OH)2 및 Si(OCkH2k+1)3에서 선택되며; X는 1가 음이온이고; n은 0, 1 또는 2이며; m은 0, 1 또는 2이고; k는 0, 1 또는 2이며; A는 복소환 화합물 유도체이다.
KR1020117026054A 2009-05-01 2010-04-22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KR101348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2006 2009-05-01
JP2009112006A JP5487709B2 (ja) 2008-07-03 2009-05-01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駆動方法
PCT/JP2010/057645 WO2010126121A1 (en) 2009-05-01 2010-04-22 Electrochromic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17A true KR20120017417A (ko) 2012-02-28
KR101348004B1 KR101348004B1 (ko) 2014-01-07

Family

ID=4303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054A KR101348004B1 (ko) 2009-05-01 2010-04-22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25297A1 (ko)
KR (1) KR101348004B1 (ko)
CN (1) CN102414610A (ko)
TW (1) TWI402597B (ko)
WO (1) WO201012612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066A (ko) * 2014-03-14 2016-11-16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활성 광학 디바이스
KR20170089925A (ko) * 2015-01-05 2017-08-04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 광학 디스플레이들 및 그 구동 방법들
KR20190116477A (ko) * 2017-02-23 2019-10-1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1751B2 (en) 2010-04-30 2016-02-16 View, Inc. Electrochromic devices
US10852613B2 (en) 2009-03-31 2020-12-01 View, Inc. Counter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chromic devices
US10156762B2 (en) 2009-03-31 2018-12-18 View, Inc. Counter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s
US10591795B2 (en) 2009-03-31 2020-03-17 View, Inc. Counter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s
US11187954B2 (en) 2009-03-31 2021-11-30 View, Inc. Electrochromic cathode materials
US8582193B2 (en) 2010-04-30 2013-11-12 View, Inc. Electrochromic devices
US10261381B2 (en) 2009-03-31 2019-04-16 View, Inc. Fabrication of low defectivity electrochromic devices
US9664974B2 (en) 2009-03-31 2017-05-30 View, Inc. Fabrication of low defectivity electrochromic devices
US9759975B2 (en) 2010-04-30 2017-09-12 View, Inc. Electrochromic devices
JP5790403B2 (ja) * 2010-12-07 2015-10-07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JP5991639B2 (ja) 2010-12-07 2016-09-14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KR101898744B1 (ko) * 2010-12-28 2018-09-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공성 전극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TWI419097B (zh) * 2011-01-11 2013-12-11 E Ink Holdings Inc 顯示器
JP5998519B2 (ja) * 2011-05-31 2016-09-28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6011399B2 (ja) * 2013-03-14 2016-10-19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US11891327B2 (en) 2014-05-02 2024-02-06 View, Inc. Fabrication of low defectivity electrochromic devices
EP3137942B1 (en) * 2014-05-02 2023-06-28 View, Inc. Fabrication of low defectivity electrochromic devices
EP3677962B1 (en) 2014-09-05 2021-11-10 View, Inc. Integrated de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ng an electrochromic stack
EP4220291A3 (en) 2014-11-26 2023-10-04 View, Inc. Counter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s
US10197883B2 (en) 2015-01-05 2019-02-05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s, and methods for driving same
WO2017137396A1 (en) * 2016-02-11 2017-08-17 Basf Se Electrochromic devices
CN110105336B (zh) * 2019-05-30 2020-09-22 华南理工大学 紫精衍生物电致变色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859469A (zh) * 2021-01-07 2021-05-28 深圳市华科创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玻璃阳极电致变色层镀膜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9708B2 (en) * 2001-04-24 2003-10-28 Schott North America, Inc Electrochromic safety glazing
CN100540627C (zh) * 2001-11-21 2009-09-16 佛罗里达州立大学 电致变色聚合物和聚合物电致变色装置
JP2003270671A (ja) * 2002-03-15 2003-09-25 Fuji Photo Film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AU2003285707A1 (en) * 2002-08-15 2004-03-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ull-color electrochromic display with stacked in cell monochromic electrochromes
JP4854217B2 (ja) * 2004-05-14 2012-01-18 株式会社リコー 多色表示素子
JP4838503B2 (ja) * 2004-08-31 2011-12-14 国立大学法人 千葉大学 カラーリライタブル表示装置
US7525716B2 (en) * 2005-03-04 2009-04-28 Ricoh Company,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JP5010135B2 (ja) * 2005-11-08 2012-08-29 株式会社リコー 多色表示素子
JP5584957B2 (ja) * 2008-01-07 2014-09-10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5487709B2 (ja) * 2008-07-03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駆動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066A (ko) * 2014-03-14 2016-11-16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활성 광학 디바이스
KR20170089925A (ko) * 2015-01-05 2017-08-04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 광학 디스플레이들 및 그 구동 방법들
KR20190116477A (ko) * 2017-02-23 2019-10-1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US11269229B2 (en) 2017-02-23 2022-03-08 Ricoh Company, Ltd.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5297A4 (en) 2012-03-07
KR101348004B1 (ko) 2014-01-07
WO2010126121A1 (en) 2010-11-04
CN102414610A (zh) 2012-04-11
TWI402597B (zh) 2013-07-21
EP2425297A1 (en) 2012-03-07
TW201042347A (en)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004B1 (ko)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JP5487709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駆動方法
KR102031943B1 (ko) 전기변색 소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626748B2 (en) Gel polymers containing ionic liquids
JP5998519B2 (ja) 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5782860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駆動方法
JP6610023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US20090242113A1 (en) Gel polymer electrolytes
JP5584957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5550094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化合物、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組成物、及び表示素子
JP2012155017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5900813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化合物、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組成物、及び表示素子
JP5630248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
WO2006094052A2 (en) Gel polymer electrolytes
JP5610144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2128218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JP5381428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5189299A (ja) 電気化学表示装置
JP2011227248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およ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497099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JP2016218363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の駆動方法
JP2016218364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の駆動方法
CA3170900A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5132753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