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146A - 휴대용 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146A
KR20120015146A KR1020100077423A KR20100077423A KR20120015146A KR 20120015146 A KR20120015146 A KR 20120015146A KR 1020100077423 A KR1020100077423 A KR 1020100077423A KR 20100077423 A KR20100077423 A KR 20100077423A KR 20120015146 A KR20120015146 A KR 2012001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holder
mounting plate
coupl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925B1 (ko
Inventor
오명준
Original Assignee
오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준 filed Critical 오명준
Priority to KR102010007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9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DMB, PD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간단하게 거치함은 물론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PM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판, 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의 후면이 면접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거치판과,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거치부;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지지대가 서로 일정각도 꺽여질 수 있도록 단부와 이웃하는 단부가 서로 각도조절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지지대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2암과,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타단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2판과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길이 중간을 서로 연결하는 압착수단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 거치대{Hold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DMB, PD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간단하게 거치함은 물론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술의 발달로 간편하게 정보를 습득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폰, PDA, 휴대폰, 노트북, DMB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이 원래의 사용목적에 맞는 기본적인 기능만이 제공되었으나, 현재에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휴대폰은 종래에 통화기능과 문자메시지 전송 등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기본적인 기능만이 수행되었으나 현재의 휴대폰은 다양한 기능들이 속속 출현되고 있다.
즉, 휴대폰으로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을 하거나, 사진을 찍는 등 여러가지 정보를 손쉽게 입,출력하는 소형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대한 양의 정보가 입력된 휴대폰을 통해 사용자가 저장된 정보를 화면으로 보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허리를 굽히거나 손으로 파지하여 눈 가까이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이와 같은 불편한 자세로 인하여 쉽게 피로를 느끼고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통증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기기를 손으로 파지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고정하고 상기 휴대용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휴대용 기기의 화면을 주시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 PM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판, 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의 후면이 면접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거치판과,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거치부;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지지대가 서로 일정각도 꺽여질 수 있도록 단부와 이웃하는 단부가 서로 각도조절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지지대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2암과,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타단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2판과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길이 중간을 서로 연결하는 압착수단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기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용 기기의 후면 또는 상기 휴대용 기기가 보관되는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제1고정수단과 대응되도록 상기 거치판에 부착되는 제2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거치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판은 상기 휴대용 기기의 양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 및/또는 보조고정수단은 벨크로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는 상기 거치판의 일측에 돌출되어 단부가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구형상의 결합부가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피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홀더와 연속배치되는 지지대의 단부에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결합부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결합부가 상기 결합홀더에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홀더는 일측에 고정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더에 삽입된 회전결합부가 상기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수단은 일정길이를 갖는 볼트부재가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길이 중간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에 너트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판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는 마모방지용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를 손으로 파지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고정하고 사용자의 자세에 맞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휴대용 기기의 화면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우 편안한 자세에서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거치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휴대용 기기와 거치판과의 고정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거치 지지대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거치대(100)(이하, '거치대'라함.)는 휴대폰, PMP, DMB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104)들을 사용자가 파지할 필요없이 상기 휴대용 기기(104)들을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와 각도에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거치대(100)는 상기 휴대용 기기(104)가 고정되는 거치부(110)와, 침대나 책상 등과 같은 고정물(102)에 상기 거치대(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40) 및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와 각도에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10)는 크기가 작은 상기 휴대용 기기(104)를 사용자가 파지할 필요가 없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104)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거치판(116), 고정수단(112) 및 회전부(115)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판(116)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기기(104)의 후면과 면접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기기(104)의 후면이 상기 거치판(116)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배치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112)에 의해 상기 휴대용 기기(104)를 상기 거치판(116)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104)의 화면을 보기 위해 크기가 작은 휴대용 기기(104)를 손으로 파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거치판(116)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휴대용 기기(104)의 후면이 면접되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기기(10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더러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휴대용 기기(104)가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휴대용 기기(104)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112a)과 상기 거치판(116)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112b)으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1,2고정수단(112a,112b)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휴대용 기기(104)와 거치판(116)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기기(104)가 거치판(116)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2고정수단(112a,112b)은 일측면이 양면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접착수단을 매개로 상기 휴대용 기기(104) 및 거치판(116)에 각각 부착고정되고 타측면이 서로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암,수로 형성된 벨크로 형태로 각각 구비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기기(104)를 거치판(116)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별도로 마련된 상기 제1,2고정수단(112a,112b)을 각각 휴대용 기기(104)의 후면 및 거치판(116)의 전면에 각각 부착시킨 후, 상기 제1,2고정수단(112a,112b)을 매개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용 기기(104)에 부착되는 제1고정수단(112a)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4)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케이스(106)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2고정수단(112a,112b)이 접착수단을 매개로 부착되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상기 휴대용 기기(104)가 보호케이스(106)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경우 휴대용 기기(104)를 상기 보호케이스(106)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단순하게 상기 보호케이스(106)의 후면에 상기 제1고정수단(112a)을 부착시키는 한편, 상기 거치판(116)의 전면에 상기 제2고정수단(112b)을 부착시킴으로써 휴대용 기기가 포함된 보호케이스(106)를 거치판(116)에 부착시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판(116)에는 별도의 보조고정수단(117)이 구비되어 상기 거치판(116)에 고정수단(112)을 매개로 안착된 휴대용 기기(104)의 양측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보조고정수단(11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판(116)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암,수로 구비되는 한 쌍의 벨크로 타입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 거치대(100)는 상기 고정수단(112) 및 보조고정수단(117)이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판(116)에 안착되는 휴대용 기기(104)의 크기에 상관없이 한 쌍의 벨크로를 사용하여 휴대용 기기(104)의 양측을 간단하게 상기 거치판(116)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벨크로 타입을 사용하여 휴대용 기기(104)의 전면 양 측 및 후면을 단순하게 거치판(116)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휴대용 기기(104)의 외부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게 되어 휴대용 기기(104)의 전면에 형성된 화면이 더러워지거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기기(104)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판(116)의 하부 일측에는 단부가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113)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는 피결합부(114)와 연결되도록 한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3)가 구형상으로 구비되어 홀더 역할을 하는 피결합부(114)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113)가 상기 피결합부(114) 내에서 회전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부(113)의 회전에 의해 거치판(116) 역시 일정 각도로 회전되거나 꺽여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휴대용 기기(104)가 고정되는 거치부(110)와 침대나 책상 등과 같은 고정물(102)에 고정되는 고정부(14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지지대(122a,122b,122c)가 각도조절부(13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길이 중간이 일정각도 꺽여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는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지지대(122a,122b,122c)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그 단부와 단부가 상기 각도조절부(1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부(130)를 통해 꺽여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각도조절부(130)는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122a,122b,122c) 중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122a,122b,122c)의 상부측에는 결합홀더(132)가 구비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대(122a,122b,122c)의 하부측에는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결합부(124)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결합부(124)가 상기 결합홀더(132)에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홀더(132)는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결합부(124)가 삽입되어 회전운동이 될 수 있도록 내부가 구형상으로 형성된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간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개구부(134)가 구비됨으로써 상부에 배치된 지지대(122a,122b,122c)가 상기 개구부(134)를 통해 이동되어 꺽여짐과 동시에 꺽여지는 방향이 구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지지부(120)는 상기 각도조절부(130)를 통해 길이 중간이 각각 일정각도 꺽여지게 되어 사용자는 현재 취하고 있는 자세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를 꺽어서 휴대용 기기(10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기기(104)를 사용자의 자세에 맞는 최적의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122a,122b,122c)의 일단에 연결되는 결합홀더(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끼움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홀더(132)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대가 배치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홀더(132)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되어 배치되는 고정나사(136)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결합부(124)를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자세와 위치 및 높이에 맞게 회전결합부(124)를 회전시켜 지지부(120)를 일정각도 꺽은 후 상기 결합홀더(132)에 구비된 고정나사(136)를 회전하여 내부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나사(136)의 끝단이 상기 회전결합부(124)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기 위함이다.
한편, 서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최상측에 배치되는 지지대(122c)는 그 상부에 상기 피결합부(114)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판(116)에 구비되는 결합부(113)와 상호 연결되어 회전부(115)를 구성하게 되며, 최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대(122a)는 그 하부단에 상기 고정부(14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126)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거치부(110)와 고정부(14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140)는 본 발명의 거치대(100)가 침대나 책상 등과 같은 고정물(102)에 하부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제1,2암(142a,142b)과 한 쌍의 제1,2판(146a,146b) 및 압착수단(1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1,2암(142a,142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연결브라켓(126)에 동시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126)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타단은 상기 제1,2판(146a,146b)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2암(142a,142b)의 일단이 상기 브라켓(126)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26)을 중심으로 회동운동함으로써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2판(146a,146b)은 상기 제1,2암(142a,142b)의 회동 운동에 의해 서로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암(142a,142b)은 길이 중간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44)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144)에 볼트부재(145a)가 삽입되어 상기 제1암(142a)과 제2암(142b)이 서로 볼트부재(145a)에 의해 연결된 후 상기 볼트부재(145a)의 단부에 너트부재(145b)가 나사결합되는 압착수단(145)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암(142a) 및 제2암(142b)은 상기 볼트부재(145a)에 의해 회동되는 폭이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착수단(145)에 의해 상기 제1암(142a) 및 제2암(142b)의 회동되는 폭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제1암(142a) 및 제2암(142b)과 연결된 제1판(146a) 및 제2판(146b)의 간격 역시 조절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판(146a)과 제2판(146b)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이 책상이나 침대의 모서리 양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상기 압착수단(145)의 너트부재(145b)를 회전시켜 제1암(142a) 및 제2암(142b)이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압착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1판(146a) 및 제2판(146b)이 상기 모서리의 양측에 각각 면접하여 마찰력 및 압착력이 발생됨으로써 지지력이 부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수단(145)에 의해 상기 제1판(146a) 및 제2판(146b)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침대나 책상 등 여러가지 고정물(102)에 용이하게 상기 고정부(14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146a) 및 제2판(146b)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는 침대나 책상 등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마모방지용 패드(14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를 침대나 책상 등의 일측에 고정시킨 후 휴대용 기기를 손으로 파지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거치부에 고정하고 사용자의 자세에 맞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휴대용 기기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우 편안한 자세에서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휴대용 기기 거치대 102 : 고정물
104 : 휴대용 기기 106 : 보호케이스
110 : 거치부 112 : 고정수단
113 : 결합부 114 : 피결합부
115 : 회전부 116 : 거치판
117 : 보조고정수단 120 : 지지부
122a,122b,122c : 지지대 124 : 회전결합부
126 : 브라켓 130 : 각도조절부
132 : 개구부 134 : 고정나사
140 : 고정부 142a,142b : 제1,2암
144 : 결합공 145 : 압착수단
145a : 볼트부재 145b : 너트부재
146a, 146b : 제1,2판 147 : 마모방지용 패드

Claims (9)

  1. 휴대폰, PM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판, 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의 후면이 면접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거치판과,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거치부;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지지대가 서로 일정각도 꺽여질 수 있도록 단부와 이웃하는 단부가 서로 각도조절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지지대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2암과,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타단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2판과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길이 중간을 서로 연결하는 압착수단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용 기기의 후면 또는 상기 휴대용 기기가 보관되는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제1고정수단과 대응되도록 상기 거치판에 부착되는 제2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거치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은 상기 휴대용 기기의 양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및/또는 보조고정수단은 벨크로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거치판의 일측에 돌출되어 단부가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구형상의 결합부가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피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홀더와 연속배치되는 지지대의 단부에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결합부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결합부가 상기 결합홀더에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더는 일측에 고정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더에 삽입된 회전결합부가 상기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일정길이를 갖는 볼트부재가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길이 중간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에 너트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2암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는 마모방지용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20100077423A 2010-08-11 2010-08-11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114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23A KR101146925B1 (ko) 2010-08-11 2010-08-11 휴대용 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23A KR101146925B1 (ko) 2010-08-11 2010-08-11 휴대용 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146A true KR20120015146A (ko) 2012-02-21
KR101146925B1 KR101146925B1 (ko) 2012-05-24

Family

ID=4583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423A KR101146925B1 (ko) 2010-08-11 2010-08-11 휴대용 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301A1 (ko) * 2012-04-27 2013-10-31 Choi Se Joong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102147267B1 (ko) * 2019-03-19 2020-08-24 김태윤 어시스트 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83B1 (ko) * 2013-09-10 2015-03-06 주식회사 모비유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99U (ko) * 1999-05-21 2000-12-26 최치성 낚시대 뒷받침대
KR200326987Y1 (ko)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KR20060038661A (ko) * 2004-11-01 2006-05-04 브이케이 주식회사 화상채팅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301A1 (ko) * 2012-04-27 2013-10-31 Choi Se Joong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102147267B1 (ko) * 2019-03-19 2020-08-24 김태윤 어시스트 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925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102202478B (zh) 便携式电子设备
US9241422B2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20130079066A1 (en) Mobile Device Suppor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100506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14388B1 (ko) 단말기 거치대
US20130181903A1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20120325987A1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KR101146925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US7567829B2 (e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stop member
CN107450664B (zh) 盖体组件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CN103871322B (zh) 显示器
KR20120082247A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20110007333U (ko) 노트북 거치대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CN217402188U (zh) 支架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CN103162075B (zh) 具有支撑功能的保护套
JP2008505584A (ja) 移動通信端末機用支持装置
CN210860476U (zh) 一种电子设备支架
KR200463901Y1 (ko)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