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199U - 낚시대 뒷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대 뒷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199U
KR20000021199U KR2019990008840U KR19990008840U KR20000021199U KR 20000021199 U KR20000021199 U KR 20000021199U KR 2019990008840 U KR2019990008840 U KR 2019990008840U KR 19990008840 U KR19990008840 U KR 19990008840U KR 20000021199 U KR20000021199 U KR 200000211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od
bolt
support
clamp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성
Original Assignee
최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치성 filed Critical 최치성
Priority to KR2019990008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199U/ko
Publication of KR20000021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199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대 지지봉을 접등과 신축(伸縮)이 가능하게 자바라식으로 형성하고 지지봉 상단에 낚시대 지지대가 회전식으로 착설되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며 낚시대 지지봉 하단이 집게형 협지구에 착탈자재하게 나착되어 조립,보관이 편리하며 협지편을 조절하는 결합 보울트의 머리에 조임쇠가 2중으로 착설되어 낚시대 뒷받침대가 앞받침대에 견고하게 착설되어서 낚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접등과 신축이 가능한 자바라식 봉체(1)의 상단에 통상의 "V"자형 낚시대 받침구(2)를 회동자재하게 착설하고, 하단에 스테인레스재 나사 볼트(3)를 고정하여 낚시대 지지봉 본체(A)를 형성하고 집게형 협착구(B)의 한쪽 협지편(4)의 중단에 다른쪽 협지편(4')을 추착하고 양 협지편(4)(4')에 천설된 구멍(5)(5')을 통하여 볼트머리(6')에 조임쇠(7)가 구비된 결합 보울트(6)를 스프링(8)을 개재하여 나비너트(9)로 장착하고 협지편(4) 상단에 암나사가 중앙홀(10')에 형성된 사각상 홀더(10)를 고정구(11)을 개재하여 체결 보울트(13)와 너트(14)로 구멍(17)을 통하여 결착하여 사각상 홀더(10)의 중앙홀(10')에 낚시대 지지봉 본체(A)의 하단에 착설된 나사보울트(3)를 착탈자재하게 나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뒷받침대이다.

Description

낚시대 뒷받침대{Fishing rod holder}
본 고안은 낚시대 지지봉을 접등과 신축(伸縮)이 가능하게 자바라식으로 형성하고 지지봉 상단에 낚시대 지지대가 회전식으로 착설되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며 낚시대 지지봉 하단이 집게형 협지구에 착탈자재하게 나착되어 조립,보관이 편리하며 협지편을 조절하는 결합 보울트의 머리에 조임쇠가 2중으로 착설되어 낚시대 뒷받침대가 앞받침대에 견고하게 착설되어서 낚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에도 낚시대 뒷받침대로서는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64229호와 같이 고저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된 수직식 안테나의 상단에 V자형 받침구와하단에 결합부가 각각 보울트와 너트로 결합된 낚시대 지지봉에 집게형 협지구가 장착된 낚시대 뒷받침대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낚시대 지지봉의 높이와 각도 및 방향 조절을 하기 위하여 결합부의 보울트와 너트의 체결을 일일이 조작해야 되는 불편이 있었고 또한 낚시봉 본체의 하단을 잡아 주는 결착구도 뒷받침대에 안전하게 결착되지 못한 결점을 면치 못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낚시대 뒷받침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낚시봉을 접었다 펴기가 용이하게 자바라식으로 형성하여, 낚시봉 봉체의 구조가 간단하고 낚시봉의 길이와 각도 및 방향조절이 용이하며 낚시봉과 계착구를 착탈자재하게 분리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보관과 관리를 편리하게 하며 계착구의 협지편을 조절하는 보울트 머리에 조임쇠를 이중으로 착설하여 낚시대 받침대가 뒷받침대에 견고하게 착설되게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착수단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낚시대 지지봉 본체 B:집게형 협착구
1:자바라식 봉체 2:V형 받침구 2':마찰판
3:나사볼트 4,4':협지편 5,5':구멍
6:결합 보울트 6':보울트 머리 7:조임쇠
8:스프링 9:나비 너트 10:사각상 홀더
10':중앙홀 11:고정구 12:"0"링
13:체결 보울트 14:나비 너트 15:낚시대 앞받침대
16:낚시대 17:구멍 18:와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접등과 신축(伸縮)이 가능한 자바라식 봉체(1)의 상단에 통상의 "V"자형 낚시대 받침구(2)를 회동되게 착설하고, 하단에 스테인레스제 나사보울트(3)를 고정하여 낚시대 지지봉 본체(A)를 형성한 다음 집게형 협착구(B)의 한쪽 협지편(4)의 중단에 다른쪽 협지편(4')을 추착하고 양 협지편(4)(4')에 천설된 구멍(5)(5')을 통하여 보울트머리(6')에 조임쇠(7)가 구비된 결합 보울트(6)를 스프링(8)을 개재하여 나비너트(9)로 장착하고 협지편(4) 상단에 암나사가 중앙홀(10')에 형성된 사각상 홀더(10)를 고정구(11)를 개재하여 체결 보울트(13)와 너트(14)로 구멍(17)을 통하여 결착하고 사각상 홀더(10)의 중앙홀(10')에 낚시대 지지봉 본체(A)의 하단에 착설된 나사보울트(3)를 착탈자재하게 고정하여 구성된 낚시대 뒷받침대이다. 미설명 부호 12는 '0'링, 18은 와셔이다.
상기 낚시대 지지봉 봉체(1)를 주름을 잡아서 위아래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고 늘리고 줄일 수 있게 자바라식으로 형성한 것은 물고기의 입질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높이, 방향 및 각도조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조임쇠(7)가 구비된 결합 보울트(6)를 스프링(8)을 개재하여 나비너트(9)로 장착하므로서 협지편(4)(4')을 조이고 푸는 기능에 조임쇠(7)의 압착기능을 부가함으로서 협착구(B)결착력을 강화하여 낚시대의 위치변동과 유실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낚시대 앞받침대(15)를 지면에 꽂고 조임쇠(11)를 올려서 협지편(4)(4')을 벌리고 나비너트(9)를 재차 돌려서 협지편(4)(4')이 벌어지게 한 다음 앞받침대의 하단을 결착하고 다시 나비너트(9)를 조이고 조임쇠(11)를 내려서 낚시대 앞받침대(15)를 고정한 후에 낚시대(16)를 V형 받침구(2)에 올려 놓으면 마찰판(2')에 의하여 고정되어 낚시대(16)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신축성 있는 자바라식 봉체(1)를 움직여서 원하는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며 상기 V형 받침구(2)는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바라식 봉체(1)는 물고기가 입질을 하게 되면 신축성이 있어 예민하게 반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바와 같이 낚시대 지지봉 본체(1)가 자바라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대의 각도, 방향 및 높이를 간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낚시대 본체가 집게형 협착구에 착탈자재하게 나착되어 있기때문에 보관 관리가 편리하며 특히 물고기가 입질을 하게되면 예민하게 반응을 하며 조임쇠에 의한 이중조임기능으로 협지편이 뒷받침대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낚시대가 낚시대 뒷받침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낚시대 받침대의 지지봉 상단에 "V"자형 낚시대 받침구가 착설되고 지지봉 하단이 결착구에 고정된 낚시대용 뒷받침대에 있어서, 접등과 신축이 가능한 자바라식 봉체(1)의 상단에 통상의 "V"자형 낚시대 받침구(2)를 회동자재하게 착설하고, 하단에 스테인레스재 나사 볼트(3)를 고정하여 낚시대 지지봉 본체(A)를 형성하고 집게형 협착구(B)의 한쪽 협지편(4)의 중단에 다른쪽 협지편(4')을 추착하고 양 협지편(4)(4')에 천설된 구멍(5)(5')을 통하여 볼트머리(6')에 조임쇠(7)가 구비된 결합 보울트(6)를 스프링(8)을 개재하여 나비너트(9)로 장착하고 협지편(4) 상단에 암나사가 중앙홀(10')에 형성된 사각상 홀더(10)를 고정구(11)을 개재하여 체결 보울트(13)와 너트(14)로 구멍(17)을 통하여 결착하여 사각상 홀더(10)의 중앙홀(10')에 낚시대 지지봉 본체(A)의 하단에 착설된 나사보울트(3)를 착탁자재하게 나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뒷받침대
KR2019990008840U 1999-05-21 1999-05-21 낚시대 뒷받침대 KR200000211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40U KR20000021199U (ko) 1999-05-21 1999-05-21 낚시대 뒷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40U KR20000021199U (ko) 1999-05-21 1999-05-21 낚시대 뒷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99U true KR20000021199U (ko) 2000-12-26

Family

ID=5476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840U KR20000021199U (ko) 1999-05-21 1999-05-21 낚시대 뒷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1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925B1 (ko) * 2010-08-11 2012-05-24 오명준 휴대용 기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925B1 (ko) * 2010-08-11 2012-05-24 오명준 휴대용 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1439A (en) Appliance holder
JPH0874822A (ja) 家具止め金
CA2077094A1 (en) Articulated stand for supporting object
US5739447A (en)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 weight to a boom cymbal stand
EP1221880A1 (en) Releasable fastening device
KR20000021199U (ko) 낚시대 뒷받침대
US2926591A (en) Camera support or mount
JP2000023721A (ja) パラソルスタンド
KR200379339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리접지대가 설치된 이젤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JP3002664U (ja) へら竿用支持台
CN213369491U (zh) 一种撑杆
US2294835A (en) Pipe fitting for awning arms and the like
JPH0310876Y2 (ko)
CN209980212U (zh) 一种计算机用鼠标管理装置
JP3596712B2 (ja) 壁間への部材の突っ張り固定構造
JPH0747115Y2 (ja) 物干竿の支持装置
JPH0448782Y2 (ko)
KR790001997Y1 (ko) 낚시대의 받침대
US4022360A (en) Adjustable locking device for pants hangers and skirt hangers
JPS5811247Y2 (ja) 花瓶の固定具
KR0113985Y1 (ko) 낚시대 받침지주의 받침대
KR200212241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낚싯대용 받침구
KR200180355Y1 (ko) 낚시대 받침대용 홀더 각도조절구조
JPH03562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