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62301A1 -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62301A1
WO2013162301A1 PCT/KR2013/003564 KR2013003564W WO2013162301A1 WO 2013162301 A1 WO2013162301 A1 WO 2013162301A1 KR 2013003564 W KR2013003564 W KR 2013003564W WO 2013162301 A1 WO2013162301 A1 WO 20131623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upport
holde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35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세중
Original Assignee
Choi Se Jo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4461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28847A/ko
Application filed by Choi Se Joong filed Critical Choi Se Joong
Publication of WO20131623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623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be fixed to a bed or a table to moun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various sizes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comfortable posture by bending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can be fixed to various places such as a bed, a table, and a bookshelf to moun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various sizes, and can be used in a comfortable postur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70 is mounted;
  •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the intermediate support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lexible;
  • a lower fixing part 30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10, the other being mounted to an installation pl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t includes, the lower fixing portion 30, one side is formed of an opening, the through hole 31c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ide portion and the "c" shaped high formed with a screw hole 31b on the lower side It consists of a government body 31, a flat lower panel (37b), and a cylindrical member (37a)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lower panel (37b), the cylindrical member (37a) and the lower panel
  • a fixing part nut 37 having a threaded hole 37c penetrating into the center of the fixed part 37b, a fixing part bolt 33 inserted into a lower threaded hole 31b of the fixing part body 31, and the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compris
  • the holder portion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0 and the holder body 71 by moving in mutually opposite to the inside of the holder body 71
  • the hanger 75 for fix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lder body 71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lease button 73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hanger (75).
  •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10 is attached to a support 11 of constant length with a bend, a support fixing part 13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11,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11.
  • the holder body is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or (16).
  • the support fixing portion 1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portion (13a),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from the body portion (13a)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3a)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t consists of a support bolt (13b) formed of a screw surfac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3a) and the support bolt (13b)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empty spaces (13c, 13d)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suppor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mposed of a support bar (11a) of the inner side, and a coating member (11b)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11a),
  • the holder body connector 16 is preferably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disk-like structure to form a rotatable coupling with the holder body.
  • intermediate support 10 may further include a wire fixing member 18 to fix the wire at any poin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0.
  •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unit 7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70 is rotated on the upper side
  • the intermediate support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lexible,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0 is coupled to one side, the other side is the lower fixing portion 50 moun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the lower fixing portion 5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nd fixing plate (21).
  • the crad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various places such as a bed, a table, and a bookshelf to moun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of various sizes, and the user can freely move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t can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even when using for a long time.
  • Figure 1a and 1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a is a fixed cradle
  • Figure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nd holder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p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a and 3b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fixing portion of Figure 3a,
  •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fixing part in a fixed h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h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type crad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ixed h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bed,
  •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ixed h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ookcase
  • FIG. 9 is a view showing a use example of the stand-type crad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xed crad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applied to the bed.
  •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to a fixed holder and a stand holder according to a coupling method of a fixing part for mounting and fixing the support holder to a specific place at the installation place.
  • FIG. 1A and 1B ar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xed holder
  • FIG. 1B is an example of a stand holder.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p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A and 3B are views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support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internal structures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fixing portion of FIG. 3A.
  •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xing part of the fixed cradl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cradl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type cradle (100 ') of the crad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and FIG. 6 are figures which shows the state seen from the front surface
  • FIG. 6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seen from the back surface.
  •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100 or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7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70 is directly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Rotatingly coupled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flexibl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10,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10 is coupled to one side,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lower fixing portion 30 or the mounting pl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50).
  •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to a fixed holder 100 and a stand type holder 1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the lower fixing part 30 shown in FIG. 1A is a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fixed holder 100
  • the lower fixing part 50 shown in FIG. 1B is applied to a stand holder 100 ′.
  • the lower fixing pa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body 31 having a “C” shape, a fixing part bolt 33 and a fixing part nut 37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body 31.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ushioning contact member 35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ing part bolt 33.
  • the “c” shaped fixing part body 31 has one side formed as an opening portion, and a through hole 31c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ide portion, respectively, and a screw hole 31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 the fixing part bolt 33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31b to move upward or downward.
  • the fixing part bolt 33 is composed of a threaded spiral part 33a and a handle part 33b for facilitating rotation of the fixing part bolt 33 at a lower end of the spiral part 33a.
  • the handle part 33b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as illustrated in FIG. 4.
  • the handle portion 33b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portion (not shown), unlike the flat plate structure illustrated in the figure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by inserting a separate auxiliary mechanism into the ring portion. .
  • the close contact member 35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xing part bolt 33 presses an object inserted into the “c” shaped fixing part body 31 when the fixing part bolt 33 moves upward.
  • the material is formed of, for example, rubber or urethane.
  • the fixing part nut 37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lower panel (37b) and a cylindrical member (37a)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lower panel (37b), the cylindrical member (37a) and the lower A through screw hole 37c is also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nel 37b.
  • the cylindrical member 37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c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body 31 so that the lower panel 37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body 31.
  • a support bolt 13 formed below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10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37c penetrating into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member 37a and the lower panel 37b.
  • the holder par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der body 71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10 and in the holder body 71.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nger 75 for directly fixing the device.
  • the holder body 71 has a rear side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0, and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connecting housing 72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to the rear side of the holder body 71. Is formed, the inner portion of the support connecting housing 72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coupl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holder body connecting portion 16 of the upper support 11,
  • a bearing groove 76 or the like is formed to rotate when the connection member 74 of the central projection is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connecting portion 16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0. do.
  • the holder 75 of the holder part serves to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moving against the inside of the holder body 71 and has a separate shock absorbing member inside the holder 75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75a) is attached to obtain a cushioning effect when in contact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slipping.
  • the release button 7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der body 71 so that the latch 75 is moved inward to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fixed.
  • the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a and 3a and 3b, the support 11 of a certain length bendable, and the suppor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1)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government 13 and a holder body connector 16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1).
  • the holder body connector 16 is formed in a disk-like structure to form a rotatable coupling with the holder body 71, a spring groove (16a) is formed inside the holder body connector (16), the spring groove (16a) It is equipped with a series of constituent members, such as a spring 16b and a bearing 16c.
  • 3b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0,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coupled to the support fixing portion (13).
  • Figure 3b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pport fixture 13
  • Figure 3b (b) is a lower end of the support 1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ixture 13
  • the support fixing portion 13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body portion 13a and the body portion 13a, but has a body portion 13a. It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made of a support bolt (13b) formed of a screw surface. Empty spaces 13c and 13d are formed inside the body 13a and the support bolt 13b, and the inner space 13d of the support bolt 13b is an inner space of the body 13a. It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portion 13c.
  • the suppor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11a is positioned inside and the covering member 11b is coated on the outside, as shown in FIG.
  • the inner support bar (11a)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predetermined metal, for example, aluminum rod
  • the outer cover member (11b) is formed of a coating material having a good contact feeling when gripping by hand.
  • the inner support rod 11a when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coupled to the support fixing portion 13, the inner support rod 11a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olt inner space portion 13d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outer covering member 11b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portion 13c of the body portion.
  • the lower fixed length of the support 11 is the body portion of the support fixing portion ( 13a) Since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pport 11 is more firmly supported from the bottom,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11 can be made more stable.
  • the support 11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refraction is freely made using a synthetic resin as the covering member 11b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support bar 11a.
  • the support 11 may be formed of a metal corrugated pipe that is free to bend.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state of the stationary cradl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a) is a front view
  • Figure 5 (b) is a rear view state One drawing.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stand-type cradle (100 ')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a) is a front view
  • Figure 6 (b) is a rear view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is state.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cradl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bed 200
  • Figure 8 is a fixed cradl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use state applied to 300. As shown in FIG.
  •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ed 200 or the bookshelf 300 by using the lower fixing part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ixed holder 100.
  • the crad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s a stand cradle (100 ').
  • the lower fixing part 50 may be configured as a stand holder 100 ′ using the stand fixing plate 51.
  • the stand fixing plate 5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one side of the stand fixing plate 51 is formed with a connecting member 53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0 is connected.
  • the stand fixing plate 51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to stand in a stand type, and also allows the mobile device holder to stand by inserting the stand fixing plate 51 into the bottom of a bed mattress. .
  •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nd-type cradle (100 ')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pplied to the bed.
  • the stand fixing plate 51 when the stand fixing plate 51 is mounted on the floor, it is possible to use it in a standing state beside the bed. Alternatively, by inserting the stand fixing plate 51 under the mattress 400 of the bed You will be able to stand next to your bed.
  • Figure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ixed to the holder unit 70 in the state fix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ixed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tual use.
  • support fixing part 13a support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는 침대나 탁자 등에 고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이동통신기기를 거치할 수 있고, 장시간 편한 자세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는, 이동통신기기가 거치되는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와; 상기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굴곡성이 있는 중간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단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통신기기의 설치장소에 거치되는 하부 고정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부(30)는, 일측이 개구부로 형성되고 상측부와 측면부상에 관통홀(31c)이 형성되고 하부측에 나사공(31b)이 형성된 "ㄷ"자 모양의 고정부 몸체(31)와, 평판형의 하부패널(37b)과, 상기 하부패널(37b)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원통형부재(37a)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부재(37a)와 상기 하부패널(37b)의 가운데로 관통하는 나사공(37c)이 형성된 고정부너트(37)와, 상기 고정부 몸체(31)의 하부측 나사공(31b)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볼트(33), 및 상기 고정부 볼트(33)의 단부에 부착되는 밀착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나 탁자 등에 고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이동통신기기를 거치하여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알맞게 굴절 및 회전시켜 편한 자세로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하루에도 수많은 정보가 발생 되고, 그에 따라 정보를 효과적으로 주고받기 위한 통신수단을 필요로 한다. 그 대표적인 통신수단으로 휴대폰이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통신기기가 있으며, 이동중에 통화와 정보검색이 가능해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기기의 기능 향상과 더불어 이동통신기기를 거치하는 다양한 거치대가 제안되고 있으나 정작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침대 등 잠자리에서 사용가능한 거치대가 없어 침대에서 영화나 DMB 방송의 시청 그리고 인터넷의 이용시 장시간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상당수의 이동통신기기 이용자가 취침시, 침대에 이동통신기기를 두는바, 취침중 고가의 기기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침대나 탁자 그리고 책장 등 다양한 장소에 고정시켜 다양한 크기의 이동통신기기를 거치할 수 있고, 장시간 이용시에도 편한 자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이동통신기기가 거치되는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와; 상기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굴곡성이 있는 중간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단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통신기기의 설치장소에 거치되는 하부 고정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부(30)는, 일측이 개구부로 형성되고 상측부와 측면부상에 관통홀(31c)이 형성되고 하부측에 나사공(31b)이 형성된 "ㄷ"자 모양의 고정부 몸체(31)와, 평판형의 하부패널(37b)과, 상기 하부패널(37b)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원통형부재(37a)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부재(37a)와 상기 하부패널(37b)의 가운데로 관통하는 나사공(37c)이 형성된 고정부너트(37)와, 상기 고정부 몸체(31)의 하부측 나사공(31b)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볼트(33), 및 상기 고정부 볼트(33)의 단부에 부착되는 밀착부재(35)를 포함하는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70)는, 배면측이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71)와, 상기 홀더몸체(71)의 내부로 상호 대향하여 이동함에 의해 이동통신기기를 고정하는 걸림대(75)와, 상기 홀더몸체(7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대(75)의 이동통신기기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버튼(73)을 포함하는 구성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부(10)는, 절곡성이 있는 일정길이의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하측단에 부착되는 지지대 고정부(13)와, 상기 지지대(11)의 상측단에 부착되는 홀더몸체 연결구(16)를 포함하는 구성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대 고정부(13)는, 상부의 몸체부(13a)와, 상기 몸체부(13a)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나오되 몸체부(13a)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된 지지대 볼트(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3a)와 지지대 볼트(13b)의 내측에는 빈 공간부(13c,13d)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대(11)는 내측의 지지봉(11a)과, 상기 지지봉(11a)의 외측에 입혀지는 피복부재(11b)로 구성되게 하며,
상기 홀더몸체 연결구(16)는 상측부가 홀더몸체와 회전가능한 결합을 이루도록 원판형 구조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중간 지지부(10)는 중간 지지부(10)의 임의 지점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전선 고정부재(1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는, 이동통신기기가 거치되는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와, 상기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굴곡성이 있는 중간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단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통신기기의 설치장소에 거치되는 하부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부(50)는 스탠드고정판(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에 따르면, 거치대를 침대나 탁자 그리고 책장 등 다양한 장소에 고정해 다양한 크기의 이동통신기기를 거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자유로이 이동 조작이 가능하여 이동통신기기의 장시간 이용시에도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기 전선을 거치대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전선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충전시 충전기전선이 지지대로부터 이격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침대나 탁자 그리고 책장 등 다양한 장소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취침시 문자 수신 확인시 누운 자리에서 그대로 확인 가능하고 기기가 침대에서 떨어져 파손될 위험이 없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고정식 거치대, 도 1b는 스탠드식 거치대의 예를 각각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의 홀더부의 배면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이동통신기기의 중간 지지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b는 도 3a의 지지대와 지지대 고정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에 있어서의 고정부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스탠드식 거치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가 침대에 적용된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가 책장에 적용된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스탠드식 거치대가 침대에 적용된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가 침대에 실제 적용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는 설치되는 장소에서 거치대 지지대부를 특정 장소에 거치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의 결합방식에 따라 고정식 거치대와 스탠드식 거치대로 분류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고정식 거치대의 예를, 도 1b는 스탠드식 거치대의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의 홀더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이동통신기기의 중간 지지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b는 도 3a의 지지대와 지지대 고정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100)에 있어서의 고정부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10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스탠드식 거치대(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와 도 6에서의 각 도면 (a)는 전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b)는 배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100 또는 100´)는, 이동통신기기가 직접 거치되는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와, 상기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며 굴곡성이 있는 중간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단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통신기기의 설치장소에 거치되는 하부 고정부(30 또는 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는 이동통신기기를 거치하는 방식에 따라 고정식 거치대(100)와 스탠드식 거치대(100´)로 구분된다. 상기 도 1a에 도시된 하부 고정부(30)는 고정식 거치대(100)에 적용되는 구성이며, 도 1b에 도시된 하부 고정부(50)는 스탠드식 거치대(100´)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먼저, 고정식 거치대(100)에 적용되는 상기 하부 고정부(30)의 구성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 고정부(30)는 "ㄷ"자 모양의 고정부 몸체(31)와, 상기 고정부 몸체(31)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 볼트(33)와 고정부 너트(37) 및 상기 고정부 볼트(33)의 단부에 결합되는 완충용 밀착부재(3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ㄷ"자 모양의 고정부 몸체(31)는 일측이 개구부로 형성되고, 상측부와 측면부상에는 관통홀(31c)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측에 나사공(31b)이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나사공(31b)에는 고정부 볼트(33)가 나사 결합하여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부 볼트(33)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부(33a)와, 상기 나선부(33a)의 하측 단부에 고정부 볼트(3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3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33b)는 도 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3b)는 상기 예시된 평판형 구조와 달리, 원형 고리부 형태(미도시)로 형성하여 별도의 보조기구를 상기 고리부 안으로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 볼트(33)의 단부에 부착되는 밀착부재(35)는 상기 고정부 볼트(33)의 상측 이동시 "ㄷ"자 모양의 고정부 몸체(31) 안으로 삽입된 물체를 압박하게 되는데, 압박시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예컨대 고무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 너트(37)는 평판형의 하부패널(37b)과 상기 하부패널(37b)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원통형부재(37a)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부재(37a)와 상기 하부패널(37b)의 가운데로는 관통하는 나사공(37c)이 또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부재(37a)는 상기 고정부 몸체(31)의 상측부상에 형성된 관통홀(31c)로 삽입되어 하부패널(37b)이 고정부 몸체(31) 상측에 밀착된다.
원통형부재(37a)와 하부패널(37b)의 가운데로 관통하는 나사공(37c)에는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대볼트(13)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지지부(10)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몸체(71)와, 상기 홀더몸체(71)의 내부에서 상호 대향 이동하여 이동통신기기를 직접 고정하는 걸림대(7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홀더몸체(71)는 배면측이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홀더몸체(71)의 배면측에 원형으로 돌출되어 나온 지지대 연결 하우징(7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연결 하우징(72)의 내측부에는 지지대(11) 상측의 홀더몸체 연결부(16)와 결합되기 위한 일련의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예컨대, 가운데의 원형 돌기형의 연결부재(74)와, 중간 지지부(10)의 홀더몸체 연결부(16)와의 결합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 홈(76) 등이 형성된다.
홀더부의 걸림대(75)는 홀더몸체(71)의 내부에서 상호 대향하여 이동함에 의해 이동통신기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통신기기와 직접 접촉하는 걸림대대(75)의 내측에는 별도의 완충부재(75a)를 부착하여 이동통신기기와의 접촉시 완충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더몸체(71)의 일측에는 해제버튼(7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대(75)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통신기기를 고정시킨 상태를 일시에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간 지지부(10)는 도 1a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성이 있는 일정길이의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하측단에 부착되는 지지대 고정부(13)와, 상기 지지대(11)의 상측단에 부착되는 홀더몸체 연결구(1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몸체 연결구(16)는 홀더몸체(71)와 회전가능한 결합을 이루도록 원판형 구조로 형성되며, 홀더몸체 연결구(16)의 내측에는 스프링 홈(16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홈(16a)에는 스프링(16b)과 베어링(16c) 등의 일련의 구성 부재들이 장착된다.
도 3b는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부 부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지지대(11)의 하단부가 지지대 고정부(13)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b의 (a)는 지지대 고정부(13)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의 (b)는 상기 지지대 고정부(13)의 내부로 지지대(11)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지지대 고정부(13)는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몸체부(13a)와, 상기 몸체부(13a)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나오되 몸체부(13a)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된 지지대 볼트(1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3a)와 지지대 볼트(13b)의 내측에는 빈 공간부(13c,13d)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 볼트(13b)의 내측 공간부(13d)는 몸체부(13a)의 내측 공간부(13c)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대(11)는 도 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지지봉(11a)이 위치하고 그 외측으로 피복부재(11b)가 입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지지봉(11a)은 소정의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봉과 같이 굴곡이 자유로운 재질로 형성되며, 그 외측의 피복부재(11b)는 손으로 파지할 시 접촉감이 좋은 피복재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대(11)에 있어서, 그 하부가 지지대 고정부(13)에 결합될 시에는, 내측의 지지봉(11a)이 지지대 볼트 내측 공간부(13d)로 삽입되고, 일정 두께를 갖는 지지대의 외측 피복부재(11b)는 몸체부의 내측 공간부(13c)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내측 지지봉(11a)이 지지대 볼트 내측 공간부(13d)로 삽입하여 고정할 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지지봉(11a)이 지지대 고정부(13)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대 고정부(13)의 구조에 있어서, 상측의 몸체부(13a)는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오도록 할 경우, 지지대(11)의 하부 일정길이가 지지대 고정부의 몸체부(13a)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 되므로 지지대(11)를 하부에서 보다 견고히 지지해주게 되므로 지지대(11)의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지지대(11)상의 임의 지점에 배터리 충전을 위해 이동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고정부재(도 3a의 18)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11)는 내측 지지봉(11a)의 외측에 입혀지는 피복부재(11b)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굴절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대(11)는 절곡이 자유로운 금속 주름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100)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5의 (a)는 전면에 본 상태를, 도 5의 (b)는 후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스탠드식 거치대(100´)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6의 (a)는 전면에 본 상태를, 도 6의 (b)는 후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100)가 침대(200)에 적용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고정식 거치대(100)가 책장(300)에 적용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기기를 이동통신기기 고정식 거치대(100)의 하부 고정부(30)를 이용하여 침대(200)나 책장(300)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탠드식 거치대(100´)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b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부(50)를 스탠드고정판(51)을 이용한 스탠드 거치대(100´)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탠드고정판(51)은 일정두께의 평판 형태로 구성되며, 스탠드고정판(51)의 일측에는 중간 지지부(10)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재(53)가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고정판(51)은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를 스탠드식으로 세워둘 수 있게 하는 구성부재이고, 또한 상기 스탠드고정판(51)을 침대 매트리스의 저부 등에 끼워 넣음으로써 이동통신기기 거치대를 세워둘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중 스탠드식 거치대(100´)가 침대에 적용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탠드고정판(51)을 바닥에 거치할 경우, 침대 옆에 세워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달리 스탠드고정판(51)을 침대의 매트리스(400)의 아래에 삽입시켜 침대 옆에 세워둘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 고정식 거치대(100)를 침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통신기기를 홀더부(70)에 고정시켜 실제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의 하부 고정부(30)를 이용하여 침대의 지지턱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동통신기기 고정식 거치대(100)를 침대에 고정시킨 후에는, 지지대(11)를 적절히 절곡시켜 사용자의 위치에 맞게끔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를 절곡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에는, 홀더부(70)를 회전시킴에 의해 고정된 이동통신기기 위치를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선 고정부재(18)를 이용하여 충전시 사용되는 이동통신기기의 전선을 거치대상에 밀착시켜 둠으로써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부호의 설명*
10 : 중간 지지부 11 : 지지대
11a : 지지봉 11b : 피복부재
13 : 지지대 고정부 13a : 지지대 볼트
13b : 지지대 볼트 13c, 13d : 내부 공간부
16 : 홀더몸체 연결구 18 : 전선 고정부재
30, 50 : 하부 고정부 31 : 고정부 몸체
33 : 고정부 볼트 35 : 밀착부재
37 : 고정부 너트 51 : 스탠드고정판
53 : 연결부재 70 : 홀더부
71 : 홀더몸체 72 : 지지대 연결 하우징
73 : 해제버튼 75 : 걸림대
100,100´: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200 : 침대
300 : 책장 400 : 매트리스

Claims (8)

  1. 이동통신기기가 거치되는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와;
    상기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굴곡성이 있는 중간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단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통신기기의 설치장소에 거치되는 하부 고정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부(30)는,
    일측이 개구부로 형성되고 상측부와 측면부상에 관통홀(31c)이 형성되고 하부측에 나사공(31b)이 형성된 "ㄷ"자 모양의 고정부 몸체(31)와,
    평판형의 하부패널(37b)과, 상기 하부패널(37b)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원통형부재(37a)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부재(37a)와 상기 하부패널(37b)의 가운데로 관통하는 나사공(37c)이 형성된 고정부너트(37)와,
    상기 고정부 몸체(31)의 하부측 나사공(31b)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볼트(33), 및
    상기 고정부 볼트(33)의 단부에 부착되는 밀착부재(35)를 포함하는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70)는,
    배면측이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71)와,
    상기 홀더몸체(71)의 내부로 상호 대향하여 이동함에 의해 이동통신기기를 고정하는 걸림대(75)와,
    상기 홀더몸체(7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대(75)의 이동통신기기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버튼(73)을 포함하는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10)는,
    절곡성이 있는 일정길이의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하측단에 부착되는 지지대 고정부(13)와, 상기 지지대(11)의 상측단에 부착되는 홀더몸체 연결구(16)를 포함하는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고정부(13)는,
    상부의 몸체부(13a)와, 상기 몸체부(13a)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나오되 몸체부(13a)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된 지지대 볼트(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3a)와 지지대 볼트(13b)의 내측에는 빈 공간부(13c,13d)가 각각 형성된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는 내측의 지지봉(11a)과, 상기 지지봉(11a)의 외측에 입혀지는 피복부재(11b)로 구성된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 연결구(16)는 상측부가 홀더몸체와 회전가능한 결합을 이루도록 원판형 구조로 형성된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10)는 중간 지지부(10)의 임의 지점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전선 고정부재(18)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8. 이동통신기기가 거치되는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와,
    상기 이동통신기기 홀더부(70)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굴곡성이 있는 중간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10)의 하단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통신기기의 설치장소에 거치되는 하부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부(50)는 스탠드고정판(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PCT/KR2013/003564 2012-04-27 2013-04-25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WO201316230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619 2012-04-27
KR1020120044619A KR20130028847A (ko) 2011-09-10 2012-04-27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301A1 true WO2013162301A1 (ko) 2013-10-31

Family

ID=4948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3564 WO2013162301A1 (ko) 2012-04-27 2013-04-25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1623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935A1 (fr) * 2015-10-23 2017-04-28 Joel Herigault Support reversible et reglable de maintien et de presentation d'un appareil tel qu'un telephone portable permettant a une personne pouvant etre alitee ou handicapee de l'utiliser d'une seule ma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987Y1 (ko) *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KR20090001634U (ko) * 2007-08-16 2009-02-19 주식회사 대성지이-쓰리 모니터 스탠드
KR20110009837U (ko) * 2010-04-12 2011-10-19 곽수만 디스플레이 스탠드용 케이블 클램프
KR20120000131U (ko) * 2010-06-29 2012-01-04 선거성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15146A (ko) * 2010-08-11 2012-02-21 오명준 휴대용 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987Y1 (ko) *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KR20090001634U (ko) * 2007-08-16 2009-02-19 주식회사 대성지이-쓰리 모니터 스탠드
KR20110009837U (ko) * 2010-04-12 2011-10-19 곽수만 디스플레이 스탠드용 케이블 클램프
KR20120000131U (ko) * 2010-06-29 2012-01-04 선거성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15146A (ko) * 2010-08-11 2012-02-21 오명준 휴대용 기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935A1 (fr) * 2015-10-23 2017-04-28 Joel Herigault Support reversible et reglable de maintien et de presentation d'un appareil tel qu'un telephone portable permettant a une personne pouvant etre alitee ou handicapee de l'utiliser d'une seule m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19103321A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WO2019059473A1 (ko)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3009041A2 (ko) 볼힌지 구조
WO2021172814A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WO2019103338A1 (ko) 휴대기기용 홀더
WO2018139716A1 (ko)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3133461A1 (ko) 휴대용기기의 다단 다관절 지지대
WO2019128584A1 (zh) 一种带红外对射的智能控制无线充支架
WO2013162301A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WO2022270776A1 (ko) 스마트폰 다용도 거치대
WO2017160038A1 (ko) Tv 일체형 전선 정리장치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7116030A1 (ko) 차량용 거치대
WO2022075561A1 (ko) 다기능 거치대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16035913A1 (ko) 스마트 기기 부착장치
WO2017119603A1 (ko)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WO2016129776A1 (ko) 조립식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테이블 패키지
KR200448308Y1 (ko) 핸드폰 거치대
WO2017213414A1 (ko) 영상 출력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WO2013151324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20091548A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WO2019164255A1 (ko)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81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81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