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131U -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131U
KR20120000131U KR2020100006864U KR20100006864U KR20120000131U KR 20120000131 U KR20120000131 U KR 20120000131U KR 2020100006864 U KR2020100006864 U KR 2020100006864U KR 20100006864 U KR20100006864 U KR 20100006864U KR 20120000131 U KR20120000131 U KR 201200001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smartphone
smart phone
holder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845Y1 (ko
Inventor
선거성
강윤정
Original Assignee
선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거성 filed Critical 선거성
Priority to KR2020100006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4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책상, 소파, 침대, 방바닥 및 차량의 뒷좌석 등 장소에 무관하고 앉거나 눕거나 엎드리는 등 사용자의 자세에 무관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사용과 동시에 책읽기 및 문서작성 등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한 받침판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범용케이블을 구비하고 거치대 일측에 조명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중공의 주름관 내부에 자유로이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부재의 환봉이 수용 설치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21)에 결합되고 스마트폰(2)을 착탈가능하게 끼움 또는 파지하여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30)와; 상기 지지봉(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22)가 일측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면에 결합되고 받침본체(11)의 모서리부가 호형으로 마무리된 넓은 판 형상의 받침판(10);으로 구성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Multipurpose Holder for Smart phone}
본 고안은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소파, 침대, 방바닥 및 차량의 뒷좌석 등 장소에 무관하고 앉거나 눕거나 엎드리는 등 사용자의 자세에 무관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사용과 동시에 책읽기 및 문서작성 등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한 받침판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범용케이블을 구비하고 거치대 일측에 조명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휴대기기용 거치대(Holder for Cellular Phone)이라 하면, 주로 운전자를 위하여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나 앞유리창에 흡착판으로 부착하여 핸드폰 또는 PDA를 고정함으로써 이어폰을 이용하여 운전중 통화(핸즈프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대부분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핸드폰과 PDA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진화하여 윈도우즈나 안드로이드와 같은 OS를 사용하여 일정관리, 이메일 수신, 간단한 업무 및 인터넷 검색 등을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등장하여 점차 사용자를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으로 인해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함께 하는 시간이 보다 길어지게 되었다.
즉, 아침에 스마트폰의 알람으로 일어나서 날씨를 확인하고 오늘 일정을 확인하면서 집을 나서고 밤사이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하면서 출근을 하며 거래처와 통화를 하면서 업무서류를 확인하여 처리하고 일과 중에도 손에서 놓지 않을 뿐 아니라 집에 귀가하여서도 책상에 앉아 업무를 처리하면서도 스마트폰의 정보를 사용하고 잠들기 전 침대에 눕거나 업드린 자세에서도 스마트폰으로 영화나 영상통화를 하다가 잠이 드는 사용자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책상에 앉아서 작업할 때 외에는 항상 스마트폰을 한 손에 들고 다른 손으로 화면을 누르거나 서류를 만지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는데, 고정된 자세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양손을 사용할 수 없어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며 편안한 자세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뒷자석이나 침대에 누워서 사용할 때 등 조명이 부족한 곳에서 오래 사용하다 보면 밝은 스마트폰의 조명으로 인해 눈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책상, 소파, 침대, 방바닥 및 차량의 뒷좌석 등 장소에 무관하고 앉거나 눕거나 엎드리는 등 사용자의 자세에 무관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사용과 동시에 책읽기 및 문서작성 등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한 받침판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범용케이블을 구비하고 거치대 일측에 조명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공의 주름관 내부에 자유로이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부재의 환봉이 수용 설치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21)에 결합되고 스마트폰(2)을 착탈가능하게 끼움 또는 파지하여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30)와; 상기 지지봉(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22)가 일측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면에 결합되고 받침본체(11)의 모서리부가 호형으로 마무리된 넓은 판 형상의 받침판(10);으로 구성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에 고정되는 스마트폰(2)을 PC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원어댑터와 연결하여 충전되도록, 상기 지지봉(20)의 제2 체결구(22)는 일측에 USB단자(24)를 구비하고; 상기 USB단자(24)로부터 연결되고 제1 체결구(21) 또는 지지봉(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되는 범용케이블(26)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의 제2 체결구(22)는 일측에 24핀 범용단자(25)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은 경도 높은 합성수지재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는 제1 체결구(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는 일측에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3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구(22)의 일측에 전원버튼(23)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체결구(22)의 내측에 충전지(2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책상, 소파, 침대, 방바닥 및 차량의 뒷좌석 등 장소에 무관하고 앉거나 눕거나 엎드리는 등 사용자의 자세에 무관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사용과 동시에 책읽기 및 문서작성 등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한 받침판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범용케이블을 구비하고 거치대 일측에 조명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의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를 책상에서 사용하는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을 적용한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를 누워서 사용하는 상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고안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우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1)는 기본적으로 지지봉(20)과 스마트폰 고정부(30)와 받침판(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20)은 중공의 주름관 내부에 자유로이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부재의 환봉이 수용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원하는 각도와 높이 및 방향으로 휘어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는 제1 체결구(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스마트폰(2)을 가로방향 세로방향을 자유롭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는 상기 지지봉(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21)에 결합되고 스마트폰(2)을 착탈가능하게 끼움 또는 파지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의 끼움 또는 파지하는 구조는 종래에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종래기술을 차용하여 사용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10)은 상기 지지봉(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22)가 일측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면에 결합되고 받침본체(11)의 모서리부가 호형으로 마무리된 넓은 판 형상(Plate shape)으로 형성되고, 경도 높은 합성수지재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조되는 것이 제조단가나 유용성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체결구(22)와 받침판(10)의 결합 부위는 도 1에서 보면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중앙에 위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측 모서리 등 어디에 설치되는 것도 전혀 무관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받침판(10)은 목재판이나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조되거나 부드러운 소재의 쿠션이 내설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정도의 변형은 본 고안에 속한다.
상기 기본적인 구조에 부가하여,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에 고정되는 스마트폰(2)을 PC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원어댑터와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한다.
먼저, 상기 지지봉(20)의 제2 체결구(22)는 일측에 USB단자(24)를 구비하고; 상기 USB단자(24)로부터 연결되고 제1 체결구(21) 또는 지지봉(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되는 범용케이블(26)을 구비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상기 USB단자(24)와 24핀 범용단자(25)를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충전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지지봉(20)의 제2 체결구(22)는 일측에 24핀 범용단자(25)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는 일측에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32)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뒷좌석, 야외 등 특별히 조명이 없는 장소에서 보조조명 또는 비상조명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1)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1)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판 형상의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10)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체결구(22)로부터 신장되어 주름관 내측에 플렉시블 부재의 환봉이 수용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2)을 슬라이드 되는 고정구(32)를 이용하여 끼움 또는 파지함으로써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의 고정방식은 다양한 종래의 기술을 차용하여 이용한다.
상기 받침판(10)은 받침본체(11)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은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재질은 문서업무가 가능할 정도의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재, 금속재, 목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 중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조되는 것이 제조단가를 낮추면서도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고 받침판(10)의 중앙부분에만 칼질 및 뽀족한 필기구를 이용한 충격에도 손상이 가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필기보강부(12)를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20)의 제2 체결구(22)는 일측에 USB단자(24)와 24핀 범용단자(25)를 구비하고, 상기 USB단자(24)로부터 연결되어 제1 체결구(21) 또는 지지봉(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신장되는 범용케이블(26)을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에 고정되는 스마트폰(2)을 PC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전원어댑터와 연결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조명이 없는 장소나 조도가 부족한 곳에서 보조조명 또는 비상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의 일측에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3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구(22)의 일측에 전원버튼(23)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체결구(22)의 내측에 충전지(27)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지(27)는 USB단자(24) 연결시 또는 24핀 범용단자(25)에 충전어댑터 연결시 충전하게 되거나, 받침판(10)의 전면 일측에 태양전지를 별도로 형성하여 태양에너지로 충전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책상(3)에 놓고 받침판(10)에서 문서작업을 함과 동시에 스마트폰(2)은 스마트폰 고정부(30)에 고정하여 스마트폰(2)의 내용을 보면서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취침전까지 스마트폰(2)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일어날 수 없는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경우, 누워서 받침판(10) 위에 베개(51)를 놓고 그 위에 누워서 이불(53)을 덮고 스마트폰(2)을 바라보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2)으로 작업을 하다가 잠이 들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인 52는 사용자의 머리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책상, 소파, 침대, 방바닥 및 차량의 뒷좌석 등 장소에 무관하고 앉거나 눕거나 엎드리는 등 사용자의 자세에 무관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사용과 동시에 책읽기 및 문서작성 등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한 받침판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범용케이블을 구비하고 거치대 일측에 조명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거치대 2: 스마트폰 3: 책상
10: 받침판 11: 받침본체 12: 필기보강부
20: 지지봉 21: 제1 체결구 22: 제2 체결구
23: 전원버튼 24: USB단자 25: 24핀 범용단자
26: 범용케이블 27: 충전지
30: 스마트폰 고정부 31: 고정구 32: LED 보조조명
51: 베개 52: 사용자 머리 53: 이불

Claims (6)

  1. 중공의 주름관 내부에 자유로이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부재의 환봉이 수용 설치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21)에 결합되고 스마트폰(2)을 착탈가능하게 끼움 또는 파지하여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30)와;
    상기 지지봉(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22)가 일측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면에 결합되고 받침본체(11)의 모서리부가 호형으로 마무리된 넓은 판 형상의 받침판(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에 고정되는 스마트폰(2)을 PC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원어댑터와 연결하여 충전되도록,
    상기 지지봉(20)의 제2 체결구(22)는 일측에 USB단자(24)를 구비하고;
    상기 USB단자(24)로부터 연결되고 제1 체결구(21) 또는 지지봉(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되는 범용케이블(26)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의 제2 체결구(22)는 일측에 24핀 범용단자(25)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은 경도 높은 합성수지재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는 제1 체결구(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30)는 일측에 LED를 이용한 보조 조명(3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구(22)의 일측에 전원버튼(23)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체결구(22)의 내측에 충전지(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KR2020100006864U 2010-06-29 2010-06-29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9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64U KR200459845Y1 (ko) 2010-06-29 2010-06-29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64U KR200459845Y1 (ko) 2010-06-29 2010-06-29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31U true KR20120000131U (ko) 2012-01-04
KR200459845Y1 KR200459845Y1 (ko) 2012-04-19

Family

ID=4584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864U KR200459845Y1 (ko) 2010-06-29 2010-06-29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301A1 (ko) * 2012-04-27 2013-10-31 Choi Se Joong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101357382B1 (ko) * 2012-12-17 2014-02-03 김형도 스마트폰 거치장치
KR101413442B1 (ko) * 2012-01-19 2014-07-24 박성우 다용도 자유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07Y1 (ko) 2014-03-13 2015-12-23 이문준 거치대가 구성된 마우스패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732Y1 (ko) * 2001-04-09 2001-10-11 박상수 핸즈 프리 거치대
KR100759993B1 (ko) * 2005-09-15 2007-09-19 이순행 Dmb폰 거치대
KR200411439Y1 (ko) * 2005-11-29 2006-03-14 이경호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442B1 (ko) * 2012-01-19 2014-07-24 박성우 다용도 자유 거치대
WO2013162301A1 (ko) * 2012-04-27 2013-10-31 Choi Se Joong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101357382B1 (ko) * 2012-12-17 2014-02-03 김형도 스마트폰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845Y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845Y1 (ko)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CN201252921Y (zh) 多功能笔记本电脑包
CN204263751U (zh) 一种多功能的笔
CN207543176U (zh) 手机支架及具有该手机支架的遥控器
CN110630874A (zh) 一种锁定装置
CN213619587U (zh) 新型车载手机支架
CN209218161U (zh) 一种多功能手机支架
CN205040795U (zh) 具有u盘手机座功能的钥匙扣
CN213056912U (zh) 一种车载无线充电支架
KR101470124B1 (ko) 휴대폰 거치대
CN205377363U (zh) 一种有线无线双用带托架充电座
CN202931424U (zh) 一种方便调整支架长度的手机座
CN204706687U (zh) 一种伸缩式插座
CN211981924U (zh) 一种可拆卸的手机支架
CN211481318U (zh) 一种指环支架
CN218528253U (zh) 一种多功能午睡抱枕
CN214147150U (zh) 一种便携式支架
CN213342330U (zh) 手机支架
CN217178424U (zh) 一种发泡光扩散板结构
CN201296097Y (zh) 一种座机的支撑机构
CN210101428U (zh) 一种头枕
CN220108038U (zh) 一种弹夹手机支架
CN210831727U (zh) 一种床用阅读灯
CN209962173U (zh) 一种带无线充的拓展坞
KR200456093Y1 (ko) 다용도 휴대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