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993B1 - Dmb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Dmb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993B1
KR100759993B1 KR1020050086423A KR20050086423A KR100759993B1 KR 100759993 B1 KR100759993 B1 KR 100759993B1 KR 1020050086423 A KR1020050086423 A KR 1020050086423A KR 20050086423 A KR20050086423 A KR 20050086423A KR 100759993 B1 KR100759993 B1 KR 100759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phone
dmb
cradle
signal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698A (ko
Inventor
이순행
Original Assignee
이순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행 filed Critical 이순행
Priority to KR102005008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9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MB폰을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DMB 방송을 영상 시청에 적합한 가로보기로 시청할 수 있는 차량용 DMB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MB폰 거치대는 차량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DMB폰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회전본체 및 상기 회전본체를 고정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DMB폰 거치대를 고정본체와 회전본체를 분리 구성하고 DMB폰이 장착되는 회전본체를 고정본체에 회전되게 결합하여 DMB 방송을 영상시청이 적합한 가로보기로 볼 수 있다.
DMB폰, 가로보기, 회전본체, 거치대, 모터, 리모컨, GPS.

Description

DMB폰 거치대 {Cradle of DMB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거치대의 회전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거치대와 주변기기와의 연결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폰 거치대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거치대 110: 고정본체
120: 회전본체 130: 고정판
140: 회전구 150: 결합수단
160: 모터 200: DMB폰
300: 리모컨
본 발명은 DMB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MB폰을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DMB 방송을 영상 시청에 적합한 가로보기로 시청할 수 있는 차량용 DMB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는 음성/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또는 휴대용/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이다.
상기 DMB를 이용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서 CD음질의 오디오와 끊임없는 동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PDA, 차량장착용 수신기 등의 휴대형 또는 이동형 단말기로 방송을 볼 수 있다.
상기 DMB는 방송망의 구성과 기술방식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지상파 DMB는 지상에 설치된 송신탑에서 전파를 발사해서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식이고, 위성 DMB는 인공위성에서 방송 수신기를 향해 전파를 발사하는 방식이다.
한편, 문명사회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 통화만의 목적이 아닌 갖가지 기능(무선 인터넷, 포토 기능, 호출 및 녹음 기능 등)이 다양화되어 새로운 디자인과 함께 발전하여 보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폴더 형식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디스플레이를 갖추도록 함으로서 발신, 수신, 호출기록내용, 메모 등의 정보를 알 수 있고, 최근에 들어오면서 영화를 시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TV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고정본체와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형태에서 덮개의 내측으로 가로폭보다 세로폭이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세로형의 디스플레이의 개념을 탈피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정본체에 대한 덮개 부분이 90도 회전 가능하여 동영상을 와이드(Wide)한 화면으로 볼 수 있다.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급률이 높고 24시간 휴대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DMB 방송을 볼 수 있는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이다.
상기한 DMB 방송을 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DMB폰’이라 함)도 가로보기가 가능하나 차량 등에 설치되는 DMB폰 거치대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차량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로보기가 불가능하고 영상 시청이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DMB폰 거치대를 고정본체와 회전본체를 분리 구성하고 DMB폰이 장착되는 회전본체를 고정본체 회전되게 결합하여 DMB 방송을 영상시청이 적합한 가로보기로 볼 수 있는 DMB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MB폰 거치대의 회전으로 DMB폰의 가로보기가 가능하여 보다 와이드한 화면으로 DMB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더욱 편리한 시야를 확보하여 와이드 타입의 TV 화면을 통한 시청과 같은 현실감을 낼 수 있는 DMB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폰 거치대는 차량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DMB폰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회전본체 및 상기 회전본체를 고정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고정본체(110), 회전본체(120), 결합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본체(110)와 회전본체(120)는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고정본체(110)는 차량 등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본체(120)의 정면에 DMB폰(2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122)가 형성되고, 결합수단(150)에 의해 상기 고정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회전본체(120)의 정면에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124)과, 원격의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126)와, 거치대의 동작 상황을 광원의 온/오프로 나타내는 LED인 램프(128)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본체(120)를 고정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150)은 고정판(130)과 회전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130)은 고정본체(110)의 정면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고정본체(110)와 함께 중앙에 관통구멍(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30) 외주면의 내측에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요홈(134)이, 그리고 고정판(130)의 소정의 위치에 가이드홈(13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30)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홈(136)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요홈(1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30)의 지름을 기준으로 반분한 경우에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측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구(140)는 상기 회전본체(120)의 배면에 고정되게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130)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전판(142)과, 상기 고정판(130)과 고정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32)을 관통하도록 회전판(142)의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샤프트(144)와, 상기 고정판(130)에 형성된 요홈(134)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판(142)의 외주면 내측에 형성된 반구형의 돌부(146) 및 상기 고정판(130)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회전판(14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8)를 포함한다.
상기 돌부(146)는 다수의 요홈(134)과 일 대 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회전구(140)가 회전하는 경우에 하나의 돌부(146)가 다수의 요홈(134)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면 된다.
상기 샤프트(144)의 선단부 근처에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145)이 형성되고, 회전구(140)가 고정판(130)을 포함한 고정본체(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홈(145)에 고정핀(149)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회전구(140)나 회전본체(120)에는 소정의 위치에 마그네트(125)가 고정되게 부착되어, DMB폰(200)의 배면에 마그네트(미도시)가 부착된 DMB폰(200)을 회전본체(120)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자력에 의해 DMB폰(200)이 흔들리지 않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고정판(130)이 고정본체(110)의 정면에 부착되고, 회전구(140)가 회전본체(120)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샤프트(144)가 관통구멍(132)을 관통하여 샤프트(144)의 고정홈(145)에 고정핀(149)이 끼워짐으로써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한다.
상기한 결합에 의해 고정본체(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본체(120)가 회전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거치대의 회전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고정본체(110)에 회전본체(120)가 결합한 상태에서 수동이나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구(140)를 회전시키면 샤프트(144)를 중심축으로 회전구(140)가 회전하고 DMB폰(200)이 장착되는 회전본체(120)도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 돌기(148)는 가이드홈(136)에 안내되어 가이드홈(136) 끝까지 회전하고, 가이드홈(136) 끝까지 회전하면 가이드 돌기(148)가 걸려 더 이상 회전하게 않게 된다.
또한, 반구형의 돌부(146)는 다수의 요홈(134)을 경유하고 돌부(146)가 어느 하나의 요홈(134)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면 돌부(146)의 일부가 요홈(134)에 걸려 회전본체(12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본체(120)의 회전각도는 80~100°도가 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거치대와 주변기기와의 연결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와 DMB폰(200) 및 리모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모컨(200)은 키입력부(302), 펄스발생부(304), 변조부(306), 발광다이오드(308)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키입력부(302)에 구비된 임의의 키를 누르면 1과 O으로 구성된 일정한 펄스가 펄스발생부(304)로부터 발생한다.
상기 변조부(306)는 펄스발생부(304)에서 발생한 펄스를 입력받아 변조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변조부는 입력펄스가 1인 경우에만 일정한 주파수가 곱해지고, 0인 경우에 주파수가 곱해지지 않는 변조방식 즉, ASK(Amplitud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만든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08)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적외선을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거치대(100)에서 수신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100)는 포토다이오드(126), 수신처리부(190), 마이컴(170), 모터(160) 및 전원공급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포토다이오드(126)는 방사된 적외선이 수신되면 역방향 전류를 흐른다.
상기 수신처리부(190)는 앞단에서 발생하는 전압이나 전원공급부(180)에 공급하는 전압을 이용하여 원래의 펄스로 복원하고 복원된 펄스를 마이컴(170)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수신처리부(190)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 노이즈 제거, 주파수 필터링, 파형검출 등의 과정을 거쳐 원래의 펄스로 복원한다.
상기 마이컴(170)에서는 상기 복원된 신호로 모터(160)를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인지, DMB폰(200)을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인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모터(160)를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170)에서는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160)로 출력하며,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모터제어신호에 의하여 모터(160)는 정역 회전을 하거나 정역 회전을 멈추어 회전본체가 회전하거나, 회전을 중지한다.
한편, DMB폰(200)을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170)에서는 DMB폰을 동작시키는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면, DMB폰의 전원 ON/OFF, 채널선택, 볼륨조절 및 선곡 기능에 해당되는 DMB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MB폰(200)으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된 DMB폰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DMB폰(200)의 전원 ON/OFF, 채널선택, 볼륨조절 및 선곡 등 사용자가 상기 리모컨(200)에 구비된 키입력부(302)의 기능선택에 해당되는 상기의 DMB폰에 구비된 기능이 상기 마이컴(17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차량 내부의 전방에 거치대(100)의 고정본체(110)를 설치하고 거치대(100)의 회전본체(120)에는 배면에 자석이 부착된 DMB폰(200)을 장착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와 근접한 위치에 리모컨(300)을 구비한다.
리모컨(300)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DMB폰(200)에 구비된 키를 눌러 원하는 DMB 방송을 선택하고, 이때 회전본체(12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모터(160)를 이용하여 회전본체(120)를 회전시켜 회전본체(120)가 가로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가로보기를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본체(120)가 가로로 위치된 상태에서 거치대(100)에 부착된 마그네 트(125)가 DMB폰(200)을 움직이지 않게 하고, 반구형의 돌부(146)가 다수의 요홈 중 어느 하나의 요홈(34)에 걸려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폰 거치대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에 GPS수신처리부(172)가 내장되어 있어 GPS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DMB폰 연결부(174)로 전송하며, 사용자가 오디오 선택부(176)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를 RF송출부(178)와 오디오 송출부(184)중에서 어느 것으로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송출부(184)는 오디오 수신부(180)를 통해서 DMB폰(200)의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수신하고 음량조절부(186)는 상기 오디오 송출부의 음량을 조절한다.
상기 RF송출부(178)의 송출 주파수는 채널 선택부(24)에서 선택한다.
상기 GPS수신처리부(172)는 GPS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GPS처리회로부를 구비하여, GPS신호를 수신하고 GPS데이터를 추출하여 위치계산을 수행한 뒤 이 위치신호를 DMB폰 연결부(174)를 통해 DMB폰(200)으로 전송한다.
상기 DMB폰 연결부(174)는 거치대(100)상에서 외부로 제공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I/O 잭으로서, DMB폰(200)의 I/O잭과 접속하게 되면 별도의 케이블 연결없이 바로 GPS수신처리부(172)와 DMB폰(2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GPS수신처리부(172)에서 상기 DMB폰 연결부(174)를 통해 DMB폰(200)으로 전송된 GPS 위치신호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특히,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로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선택부(176)에서는 거치대(100)에 구비된 오디오 송출부(184)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받을 것인지, RF 송출부(178)를 통해서 차량 오디오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받을 것인지 선택한다.
상기 오디오 송출부(184)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 오디오 수신부(180)를 통해서 DMB폰(200)의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스피커 등의 오디오 송출부(22)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차량 오디오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 거치대(100)는 DMB폰(200)의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를 DMB폰 연결부(174)를 통해 수신한 뒤, RF송출부(178)를 통해서 차량 라디오로 무선 송출하며 사용자는 차량 라디오에서 지정된 채널을 맞춤으로써 차량 오디오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RF 송출부(178)는 DMB폰(200)으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를 공용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이때 사용자는 채널 선택부(182)를 통해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를 송신할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는 음량 조절부(186)를 통해 음량의 크기를 조절한다.
전원 공급부(162)는 거치대(100)에 전원 연결단자로서, 전원은 소형 배터리 또는 차량의 배터리일 수 있으며, 차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시거잭과 상기 전 원 공급부(162)를 연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의 구성으로 DMB폰(200)과 DMB폰 거치대(100)에 구비된 GPS수신기 사이의 접속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RF송출부(178)를 통해서 차량용 오디오의 고급 음질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MB폰 거치대를 고정본체와 회전본체를 분리 구성하고 DMB폰이 장착되는 회전본체를 고정본체에 회전되게 결합하여 DMB 방송을 영상시청이 적합한 가로보기로 볼 수 있다.
또한, DMB폰 거치대의 회전으로 DMB폰의 가로보기가 가능함으로써 보다 와이드한 화면으로 DMB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보다 편리한 시야의 확보로 와이드 타입의 TV화면을 통한 시청과 같은 현실감을 낼 수 있다.

Claims (17)

  1. 차량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DMB폰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회전본체; 및
    상기 회전본체를 고정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DMB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고정본체의 정면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고정본체와 함께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회전본체의 배면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회전판에 돌출되게 형성된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회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다수의 요홈이 외주면을 따라 내측에 형성되고, 가이드홈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요홈과 대응되는 돌부가 형성되고,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나 회전구의 어느 하나에는 마그네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 근처에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고정핀이 끼워져, 회전구가 고정판을 포함한 고정본체에 결합한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과, 원격의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와, 거치대의 동작 상황을 광원의 온/오프로 나타내는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이나 DMB폰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다수의 키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 1과 O으로 구성된 일정한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와, 상기 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펄스를 입력받아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입력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방사된 적외선이 수신되는 경우에 역방향 전류를 흐르는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역방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적외선을 원래의 펄스로 복원하는 수신처리부와, 상기 복원된 신호로 모터를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인지 DMB폰을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인지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모터나 DMB폰으로 출력하는 마이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의 회전각도는 8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2. 제 1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PS신호를 수신하고 GPS데이터를 추출, 위치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DM폰으로 해당 위치신호를 전송하는 GPS수신처리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MB폰의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수신부에서 수신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오디오 송출부(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송출부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청취할 때 음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MB폰의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를 공용 주파수로 차량의 오디오에 송출하는 RF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출부가 송출할 네비게이션 음성안내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음성안내를 오디오 송출부와 RF 송출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할 것인지 선택하는 오디오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폰 거치대.
KR1020050086423A 2005-09-15 2005-09-15 Dmb폰 거치대 KR10075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423A KR100759993B1 (ko) 2005-09-15 2005-09-15 Dmb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423A KR100759993B1 (ko) 2005-09-15 2005-09-15 Dmb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98A KR20070031698A (ko) 2007-03-20
KR100759993B1 true KR100759993B1 (ko) 2007-09-19

Family

ID=4162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423A KR100759993B1 (ko) 2005-09-15 2005-09-15 Dmb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137Y1 (ko) * 2009-09-15 2011-10-13 임명옥 결합장치
KR101464113B1 (ko) 2014-09-04 2014-11-21 김기학 포탑 선회 구동기의 정비작업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25B1 (ko) * 2007-07-27 2007-11-20 (주)모바일컴피아 개인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0860393B1 (ko) * 2008-01-08 2008-09-26 뉴미디어라이프(주) 휴대용 착탈식 iptv단말기 및 크래들
KR200459667Y1 (ko) * 2010-06-03 2012-04-06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59845Y1 (ko) * 2010-06-29 2012-04-19 선거성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63894B1 (ko) * 2014-01-22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KR200488232Y1 (ko) * 2018-08-01 2018-12-31 정대선 모바일 게임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137Y1 (ko) * 2009-09-15 2011-10-13 임명옥 결합장치
KR101464113B1 (ko) 2014-09-04 2014-11-21 김기학 포탑 선회 구동기의 정비작업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98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993B1 (ko) Dmb폰 거치대
US8000820B2 (en)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104341A (en) Satellite receiving system featuring antenna reception level signal generation in response to signal reception level and/or bit error rate
US6778935B2 (en) Monitor device, base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EP21082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ting tv speakers when headphones in use
CN101304292B (zh) 无线音频传送系统、无线麦克风及音频发射装置
KR100576527B1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정보 전송 방법
US20080139255A1 (en) Blue tooth hand free transmission assembly
WO2005117423A1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893266B2 (ja) 携帯用無線機
US20080051155A1 (en) Attachable speaker apparatus and audio reproducing system having the same
JP2007110503A (ja) 受信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JP4595422B2 (ja) 表示装置
KR20010102273A (ko) 텔레비전 오디오가 구비된 텔레비전 수신기 리모트 컨트롤시스템
JP3786321B2 (ja) コードレススピーカシステム、音声信号送信装置、音声信号受信装置、およびスピーカボックス
JP2002169630A (ja) 情報端末装置
CH691944A5 (fr) Station relais pour système d&#39;aide auditive.
US20040204154A1 (en)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set for mobile phone
JP2004072771A (ja) 携帯式送信及び/又は受信装置
US20080123879A1 (en) Digital wireless stereophonic music transmission device
KR20040000943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노래방 시스템
KR200290112Y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노래방 시스템
KR100301470B1 (ko) 무선헤드폰겸용리모콘
KR200369635Y1 (ko)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KR100689459B1 (ko) 외부 음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fm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