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32Y1 - 모바일 게임 패드 - Google Patents

모바일 게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32Y1
KR200488232Y1 KR2020180003567U KR20180003567U KR200488232Y1 KR 200488232 Y1 KR200488232 Y1 KR 200488232Y1 KR 2020180003567 U KR2020180003567 U KR 2020180003567U KR 20180003567 U KR20180003567 U KR 20180003567U KR 200488232 Y1 KR200488232 Y1 KR 200488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ick
holder
moving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선
Original Assignee
정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선 filed Critical 정대선
Priority to KR2020180003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2Setup operations, e.g. calibration, key configuration or button assig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게임 패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불편한 터치식 조작 사용자들과 PC 구동 모바일 에뮬레이터의 게이머급 키보드 조작 유저의 게임성 편차를 해소하고, 기존의 스틱 게임 패드보다 편리하며, 모바일 기기의 크기와 종류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높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제어보드가 탑재된 손잡이 형상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분리된 손잡이 형상의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키 패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간을 연결하는 통신선;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모바일 기기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갖는 제1 홀더;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타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갖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 패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게임 패드{MOBILE GAME PAD}
본 고안의 실시예는 모바일 게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빨라지면서 더불어 다양한 소비자들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모바일 게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모바일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보급되고 있다.
종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함에 있어서는 모바일 기기의 키 패드 중 지정된 키를 이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키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게임은 해당 기기 및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키 패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키 패드의 배열의 한계에 따라 두 손으로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게임을 진행하는데 불편이 뒤따랐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81936호(등록일자: 2012년09월05일) 등록특허공보 제10-1417580호(등록일자: 2014년07월02일)
본 고안은, 기존의 불편한 터치식 조작 사용자들과 PC 구동 모바일 에뮬레이터의 게이머급 키보드 조작 유저의 게임성 편차를 해소하고, 기존의 스틱 게임 패드보다 편리하며, 모바일 기기의 크기와 종류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높인 모바일 게임 패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는, 제어보드가 탑재된 손잡이 형상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분리된 손잡이 형상의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키 패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간을 연결하는 통신선;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모바일 기기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갖는 제1 홀더;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타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갖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통신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키 패드를 수용하는 키 패드 케이스;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키 패드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키 패드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키 패드 케이스와 직교하는 일축을 기준으로 상기 키 패드 케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연결축; 상기 키 패드 케이스가 설치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연결축의 둘레 주변을 따라 개방형 고리 형상을 갖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키 패드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패드 케이스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홈의 양단의 내측벽에 의해 이동이 정지되어 상기 키 패드 케이스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설치된 키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더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지지대와 제3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3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제1 이동 스틱; 및 상기 제1 이동 스틱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대 또는 상기 제3 지지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1 이동 스틱의 고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제4 지지대; 상기 제4 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5 지지대와 제6 지지대; 상기 제5 지지대와 상기 제6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제2 이동 스틱; 및 상기 제2 이동 스틱의 바닥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지지대 또는 상기 제6 지지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2 이동 스틱의 고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커넥터는, 상기 제1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이동 스틱 사이 또는 상기 제3 지지대와 상기 제1 이동 스틱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4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5 지지대와 상기 제2 이동 스틱 사이 또는 상기 제6 지지대와 상기 제2 이동 스틱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 사이에 거치되고, 상기 통신 커넥터와 연결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어 보드와 모바일 기기 간을 무선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불편한 터치식 조작 사용자들과 PC 구동 모바일 에뮬레이터의 게이머급 키보드 조작 유저의 게임성 편차를 해소하고, 기존의 스틱 게임 패드보다 편리하며, 모바일 기기의 크기와 종류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높인 모바일 게임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에 사용자의 손을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에 마우스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에 테블릿 PC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와 테블릿 PC 간의 무선 통신 연결 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에 사용자의 손을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에 마우스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에 테블릿 PC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와 테블릿 PC 간의 무선 통신 연결 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패드(1000)는 제어보드(100), 제1 몸체(200A), 제2 몸체(200B), 제1 키 패드(300), 제2 키 패드(400), 통신선(500), 제1 홀더(600A), 제2 홀더(600B), 제1 통신 커넥터(700A), 제2 통신 커넥터(700B), 통신 포트(800) 및 무선통신모듈(9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보드(100)는 모바일 게임 패드(1000)의 환경설정, 통신, 각종 입력신호 등을 처리 및 전달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장치로, 제1 몸체(200A)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보드(100)는 PCB 형태로 제작되어 제1 몸체(200A)가 아닌 제2 몸체(200B)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보드(100)는 다수의 운영체계와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와 ios 운영체계와 호환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200A)는 손잡이 형상의 구조물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보드(100)가 탑재되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200A)는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 제1 회전 연결축(220a), 제1 가이드 홈(230a), 제1 가이드 돌기(240a) 및 제1 키 버튼(25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는 제1 키 패드(300)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는 제1 키 패드(3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연결축(220a)은, 제1 몸체(200A)와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 사이를 연결하고,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와 직교하는 일축을 기준으로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230a)는,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가 설치된 제1 몸체(200A)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1 회전 연결축(220a)의 둘레 주변을 따라 개방형 고리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홈(230a)은 제1 회전 연결출(220a)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 2개의 'C'자형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240a)는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의 하면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 홈(230a)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돌기(240a)는 제1 가이드 홈(230a)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2개의 제1 가이드 홈(230a)이 형성되는 경우 2개의 제1 가이드 돌기(240a)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240a)는,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의 회전 시 제1 가이드 홈(230a)을 따라 이동하되, 제1 가이드 홈(230a)의 양단의 내측벽에 의해 각각 이동이 정지되어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는 시계 방향 또는/ 및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60도씩의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 제1 키 패드(3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 연결축(220a)의 하부에는 제1 톱니 관절 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가 시계 방향 또는/ 및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0도씩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톱니 관절 부재는 상하로 톱니바퀴가 맞물린 기구적 장치로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가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잡고 있는 역할뿐만 아니라, 회전각도의 기본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 버튼(250a)은 제1 몸체(200A)의 손잡이 부분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몸체(200A)의 손잡이 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 손가락이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제1 키 버튼(250a)의 설치 위치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 부분의 외측 어디로도 그 설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몸체(200B)는 제1 몸체(200A)와 상호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2 몸체(200B)는 제2 키 패드 케이스, 제2 회전 연결축, 제2 가이드 홈, 제2 가이드 돌기 및 제2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제2 톱니 관절 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몸체(200B)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 제1 회전 연결축(220a), 제1 가이드 홈(230a), 제1 가이드 돌기(240a), 제1 키 버튼(250a) 및 제1 톱니 관절 부재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키 패드(300)는 제1 키 패드 케이스(210a)에 설치되고, 제2 키 패드(400)는 제2 키 패드 케이스(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키 패드(300)와 제2 키 패드(400)는 팬타그래프 키보드를 적용함으로써 게임 시 소음과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선(500)는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이러한 통신선(500)에 의해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 간은 기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선(500)는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 간에 분리된 거리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물리적인 선이 아닌, 무선 통신 통해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 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600A)는 제1 몸체(200A)의 측부에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10, 1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홀더(600A)는 제1 지지대(610a), 제2 지지대(620a), 제3 지지대(630a), 제1 이동 스틱(640a) 및 제1 조절 나사(6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610a)의 일측단은 제2 지지대(620a)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3 지지대(630a)와 연결되고, 여기서, 제2 지지대(620a)와 제3 지지대(630a)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마주보게 되며, 제1 지지대(610a)은 제2 지지대(620a) 및 제3 지지대(630a)와 함께 대략 'ㄷ'자형 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스틱(640a)은 제2 지지대(620a)와 제3 지지대(63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지지대(620a) 및 제3 지지대(630a)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 나사(650a)는 제1 이동 스틱(640a)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3 지지대(630a)에 관통 되어 제1 이동 스틱(640a)의 고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 나사(650a)는 제3 지지대(630a)이 아닌 제2 지지대(620a)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스틱(640a)은 제1 조절 나사(650a)에 의해 제2 지지대(620a)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데, 이때 모바일 기기(10, 10')의 일측이 삽입된 후 제1 조절 나사(650a)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이동 스틱(640a)이 제2 지지대(620a) 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들의 간격이 점차 좁혀지게 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 10')의 일측이 제2 지지대(620a)과 제1 이동 스틱(640a) 간의 상하 방향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홀더(600B)는 제2 몸체(200B)의 측부에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10, 10')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홀더(600A)와는 상호 대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홀더(600B)는 제4 지지대(610b), 제5 지지대(620b), 제6 지지대(630b), 제2 이동 스틱(640b) 및 제2 조절 나사(6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지지대(610b)의 일측단은 제5 지지대(620b)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6 지지대(630b)와 연결되고, 여기서, 제5 지지대(620b)와 제6 지지대(630b)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마주보게 되며, 제4 지지대(610b)은 제5 지지대(620b) 및 제6 지지대(630b)와 함께 대략 'ㄷ'자형 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스틱(640b)은 제5 지지대(620b)와 제6 지지대(6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5 지지대(620b) 및 제6 지지대(630b)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 나사(650b)는 제2 이동 스틱(640b)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6 지지대(630b)에 관통 되어 제2 이동 스틱(640b)의 고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절 나사(650b)는 제6 지지대(630b)이 아닌 제5 지지대(620b)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동 스틱(640b)은 제2 조절 나사(650b)에 의해 제5 지지대(620b)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데, 이때 모바일 기기(10, 10')의 타측이 삽입된 후 제2 조절 나사(650b)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이동 스틱(640b)이 제5 지지대(620b) 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들의 간격이 점차 좁혀지게 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 10')의 타측이 제2 지지대(620a)과 제2 이동 스틱(640b) 간의 상하 방향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홀더(600A)와 제2 홀더(600B)는 모바일 기기(10, 10')의 양측부를 견고히 잡아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 사이에 모바일 기기(10, 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 간이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으며, 제1 이동 스틱(640a)과 제2 이동 스틱(640b)을 이용하여 제1 홀더(600A)의 고정 간격과 제2 홀더(600B)의 고정 간격을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10, 10')의 종류와 두께에 제약 없이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커넥터(700A)는 제1 홀더(600A)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10, 1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커넥터(700A)는 제1 지지대(610a)에 설치되어, 제2 지지대(620a)와 제1 이동 스틱(64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1 조절 나사(650a)가 제2 지지대(620a)에 설치되는 경우, 제1 통신 커넥터(700A)는 제3 지지대(630a)와 제1 이동 스틱(640a)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통신 커넥터(700B)는 제2 홀더(600B)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10, 1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커넥터(700B)는 제4 지지대(610b)에 설치되어, 제2 지지대(620a)와 제2 이동 스틱(64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2 조절 나사(650b)가 제5 지지대(620b)에 설치되는 경우, 제2 통신 커넥터(700B)는 제6 지지대(630b)와 제2 이동 스틱(640b)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통신 커넥터(700A, 700B)는 서로 상이한 타입으로 A타입과 B타입, A타입과 C타입, B타입과 C타입 등 서로 다른 조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0, 10')의 단자 타입에 따라 원하는 커넥터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포트(800)는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마우스(20)와 같은 주변기기와의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통신모듈(900)은 제1 및 제2 홀더(600A, 600B)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제1 또는 제2 통신 커넥터(700A, 700B)와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10, 10')와 제어보드(100) 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900)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900)은 모바일 기기(10, 10')를 모바일 게임 패드(1000)에 결합시키는 형태가 아닌 외부에 거치시킨 상태로 모바일 게임 패드(1000)를 하나의 무선 컨트롤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무선통신뿐만 아니라, 통신 포트(800)를 통해 외부의 모바일 기기(10, 10')와 유선으로도 연결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게임 패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모바일 게임 패드
100: 제어보드
200A: 제1 몸체
210a: 제1 키 패드 케이스
220a: 제1 회전 연결축
230a: 제1 가이드 홈
240a: 제1 가이드 돌기
250a: 제1 키 버튼
200B: 제2 몸체
300: 제1 키 패드
400: 제2 키 패드
500: 통신선
600A: 제1 홀더
610a: 제1 지지대
620a: 제2 지지대
630a: 제3 지지대
640a: 제1 이동 스틱
650a: 제1 조절 나사
600B: 제2 홀더
610b: 제4 지지대
620b: 제5 지지대
630b: 제6 지지대
640b: 제2 이동 스틱
650b: 제2 조절 나사
700A: 제1 통신 커넥터
700B: 제2 통신 커넥터
800: 통신 포트
900: 무선통신모듈
10, 10': 모바일 기기
20: 마우스

Claims (7)

  1. 제어보드가 탑재된 손잡이 형상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분리된 손잡이 형상의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키 패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간을 연결하는 통신선;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모바일 기기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갖는 제1 홀더;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타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된 홈 형상을 갖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지지대와 제3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3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제1 이동 스틱; 및
    상기 제1 이동 스틱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대 또는 상기 제3 지지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1 이동 스틱의 고정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이동 스틱과 상기 제2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모바일 기기의 일측이 상기 제1 이동 스틱과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서 물린 상태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제1 조절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제4 지지대;
    상기 제4 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5 지지대와 제6 지지대;
    상기 제5 지지대와 상기 제6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제2 이동 스틱; 및
    상기 제2 이동 스틱의 바닥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지지대 또는 상기 제6 지지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2 이동 스틱의 고정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이동 스틱과 상기 제5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모바일 기기의 타측이 상기 제2 이동 스틱과 상기 제5 지지대 사이에서 물린 상태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제2 조절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커넥터는,
    상기 제1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이동 스틱 사이 또는 상기 제3 지지대와 상기 제1 이동 스틱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4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5 지지대와 상기 제2 이동 스틱 사이 또는 상기 제6 지지대와 상기 제2 이동 스틱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서로 다른 단자 타입을 갖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각 외측에 설치된 키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 손가락이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패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키 패드를 수용하는 키 패드 케이스;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키 패드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키 패드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키 패드 케이스와 직교하는 일축을 기준으로 상기 키 패드 케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연결축;
    상기 키 패드 케이스가 설치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연결축의 둘레 주변을 따라 개방형 고리 형상을 갖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키 패드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패드 케이스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홈의 양단의 내측벽에 의해 이동이 정지되어 상기 키 패드 케이스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패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패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 사이에 거치되고, 상기 통신 커넥터와 연결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어 보드와 모바일 기기 간을 무선 연결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모바일 게임 패드.
KR2020180003567U 2018-08-01 2018-08-01 모바일 게임 패드 KR200488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567U KR200488232Y1 (ko) 2018-08-01 2018-08-01 모바일 게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567U KR200488232Y1 (ko) 2018-08-01 2018-08-01 모바일 게임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32Y1 true KR200488232Y1 (ko) 2018-12-31

Family

ID=6495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567U KR200488232Y1 (ko) 2018-08-01 2018-08-01 모바일 게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091A1 (ko) * 2019-08-29 2021-03-04 이선웅 IoT연동 수납형 케이스 겸용 모바일 게임패드
DE102020118996A1 (de) 2020-03-25 2021-09-30 Dexin Corporation Spielecontroller
CN113509718A (zh) * 2021-07-19 2021-10-19 上海光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手游用辅助键盘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98A (ko) * 2005-09-15 2007-03-20 이순행 Dmb폰 거치대
KR101181936B1 (ko) 2010-08-17 2012-09-12 (주)에이치투인터렉티브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
KR101417580B1 (ko) 2013-01-14 2014-09-23 이정민 이동통신 단말기 연결용 게임기
US20170095733A1 (en) * 2013-07-11 2017-04-06 Incipio,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r accessory
KR20170102366A (ko) * 2015-02-02 2017-09-08 위키패드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서블 브리지 섹션을 갖는 조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게임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98A (ko) * 2005-09-15 2007-03-20 이순행 Dmb폰 거치대
KR101181936B1 (ko) 2010-08-17 2012-09-12 (주)에이치투인터렉티브 모바일기기용 조이패드
KR101417580B1 (ko) 2013-01-14 2014-09-23 이정민 이동통신 단말기 연결용 게임기
US20170095733A1 (en) * 2013-07-11 2017-04-06 Incipio,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r accessory
KR20170102366A (ko) * 2015-02-02 2017-09-08 위키패드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서블 브리지 섹션을 갖는 조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게임 컨트롤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091A1 (ko) * 2019-08-29 2021-03-04 이선웅 IoT연동 수납형 케이스 겸용 모바일 게임패드
DE102020118996A1 (de) 2020-03-25 2021-09-30 Dexin Corporation Spielecontroller
CN113509718A (zh) * 2021-07-19 2021-10-19 上海光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手游用辅助键盘及其控制方法
CN113509718B (zh) * 2021-07-19 2024-04-02 上海光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手游用辅助键盘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232Y1 (ko) 모바일 게임 패드
US992161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er
US9099264B2 (en) Anti-rotational buttons
US8922488B2 (en) Pen mouse
US7140074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device
US9455759B2 (en)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rotatably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201428454A (zh) 攜帶式電子裝置
US20150120980A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apparatus
CN109171193B (zh) 会议桌
EP3808422A1 (e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9153073A (ja) 角度可変機構および卓上機器
WO2021004217A1 (zh) 终端设备夹持装置
TWI548328B (zh) 支撐結構
US20230105244A1 (en) Game controller
CN112424897A (zh) 一种输入设备
US11137836B2 (en) Electronic device
CN109668036B (zh) 显示设备
WO2020258144A1 (zh) 手持云台
JP2011146025A (ja) 携帯式電子装置
US20240123334A1 (en) Video gaming system
TWI820698B (zh) 被操作裝置及操作用裝置
EP3674855B1 (en) Pen-shaped folding mouse
JP3960062B2 (ja) 電子機器の角度調整構造
CN208862918U (zh) 一种带陀螺的手机指环支架
US20240165502A1 (en) Gam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