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35Y1 -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35Y1
KR200369635Y1 KR20-2004-0024883U KR20040024883U KR200369635Y1 KR 200369635 Y1 KR200369635 Y1 KR 200369635Y1 KR 20040024883 U KR20040024883 U KR 20040024883U KR 200369635 Y1 KR200369635 Y1 KR 200369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main body
connector
frequency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호
박연훈
Original Assignee
박윤호
박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호, 박연훈 filed Critical 박윤호
Priority to KR20-2004-0024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04B1/0346Hand-held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MP3 휴대폰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FM 송신기를 이용하여 특정의 FM 주파수대로 전송하고, 동일 주파수대에 맞추어진 라디오 또는 FM 수신기가 구비된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음원을 출력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회전홈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회전홈에 결착하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회전홈을 따라 회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가,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이어폰 잭,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휴대폰의 I/O 커넥터에 연결되어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I/O 커넥터 잭,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FM 주파수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 오디오 데이터를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FM 주파수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모듈 및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AUDIO DATA USING FM FREQUENCY BAND}
본 고안은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MP3 휴대폰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FM 송신기를 이용하여 특정의 FM 주파수대로 전송하고, 동일 주파수대에 맞추어진 라디오 또는 FM 수신기가 구비된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음원을 출력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이 특성에 따라 다변화되면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기기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MP3로 대표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사용의 편리성과 뛰어난 음질로 인하여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MP3 플레이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폰(이하 'MP3 휴대폰'이라 한다.)이 출시 및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MP3 플레이어 또는 MP3 휴대폰 등은 휴대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인해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등의 음원을 사용자가 청취하기 위하여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를 오디오 기기에 유선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선의 제한적인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오디오 기기와 출력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같이 휴대하여야 하며, 연결선의 길이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스피커 등을 통하여 음원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기기의 휴대시와 음원의 청취시마다 오디오 기기와 스피커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를 반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MP3 플레이어가 내장된 카스테레오가 제공되고 있으나, MP3 플레이어가 내장되지 않은 종래의 카스테레오를 가진 사용자의 경우 카스테레오와 MP3 플레이어를 연결할 수 없어 운전 중에도 이어폰을 통해서만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음원을 청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록 MP3 플레이어와 차량용 카스테레오를 연결하기 위한 카세트 테이프 형태의 잭 또한 제공되고 있으나, 이 경우 음질이 현저하게 떨어져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MP3 휴대폰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기 뿐만 아니라 카세트 또는 CD 플레이어와 같은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특정의 FM 주파수대로 무선 전송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또는 FM 수신기가 구비된 이어폰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기기와 출력장치 간의 유선 연결로 인한 제약을 해결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내부 구성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수신기가 구비된 출력장치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사용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FM 송신기 11 : 케이스
12 : 본체부 13 : 이어폰 잭
14 : I/O 커넥터 잭 15 : 채널 선택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는, 이어폰 잭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FM 주파수를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로서,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회전홈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회전홈에 결착하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회전홈을 따라 회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가,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이어폰 잭,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휴대폰의 I/O 커넥터에 연결되어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I/O 커넥터 잭,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FM 주파수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 오디오 데이터를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FM 주파수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모듈 및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채널 선택부가 회전축의 상면에 다이얼 형태로 구비되고, 케이스가, 상면 중 회전홈의 주변부에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주파수가 표시된 주파수 영역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케이스의 저면과 본체부의 저면이 소정의 회전축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아울러,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가,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와 동일한 극 수를 갖는 삽입단 및 이어폰 잭과 동일한 극 수를 갖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이어폰 커넥터와 이어폰 잭 간을 연결하는 보조 잭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10, 이하 'FM 송신기'라 한다.)의 구성은, 오디오 기기로부터 음원을 입력받는 이어폰 잭(13),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I/O 커넥터 잭(14) 및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FM 송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15)를 포함하는 본체부(12)와 본체부의 외주를 감싸며 보호하는 케이스(11)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2)는 부가적으로 FM 송신기(1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7), 오디오 데이터를 FM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모듈 및 변환된 FM 신호를 송신하기 안테나를 구비한다. 또한, 채널 선택부(15)와 인접한 케이스(11)의 영역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주파수가 표시되는 주파수 영역(16)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잭(13)은, MP3 플레이어, MP3 휴대폰 또는 기타 오디오 기기에 구비되는 이어폰 커넥터에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통상적으로 이어폰 커넥터와 이어폰 잭(13)은 3극 또는 4극을 사용하게 되는데,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와 이어폰 잭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상호 간에 호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별도의 보조 잭을 사용하여 이어폰 잭을 연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어폰 잭(13)이 3극으로 이루어지고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는 4극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되는 삽입단이 4극으로 이루어지고 이어폰 잭이 삽입되는 삽입홈은 3극으로 이루어져 4극-3극간 변환을 수행하는 보조 잭을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이어폰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10극 이어폰 커넥터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보조 잭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어폰 커넥터와 이어폰 잭 간의 연결을 위하여 별도의 보조 잭을 사용하지 않고 이어폰 커넥터에 맞는 이어폰 잭을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폰 잭(13)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FM 송신기(10) 내부의 FM 변환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FM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된다.
본 고안에 따른 I/O 커넥터 잭(14)은 휴대폰의 I/O 커넥터에 연결되어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부이다. I/O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측면에 구비되어 휴대폰의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커넥터를 의미한다. I/O 커넥터 잭(14)을 통해 공급된 전원은 FM 송신기(10)의 각 구성부로 공급된다.
본 고안에 따른 채널 선택부(15)는 케이스(12)의 상면에 관통 형성된 회전홈(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전송 채널을 케이스(11)의 주파수 영역(16)에 표시된 주파수로 설정하게 된다. 채널 선택부(15)는 주파수 영역(16)에 표시된 복수의 주파수 중에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의 주파수로 미세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FM 송신기(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2(a)는 I/O 커넥터 잭을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I/O 커넥터 잭을 케이스 내부에 안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10)는 케이스(11)의 내부로 본체부(12)를 회전시킴으로써 I/O 커넥터 잭(14)을 노출 또는 안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2)는 채널 선택부(15) 하단의 외주부가 케이스(11)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는 회전홈(11a)에 결착되어 회전홈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채널 선택부 하단의 외주부가 일종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상기 외주부로는 회전홈(11a)의 테두리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부(12)를 케이스(11)에 고정하고 본체부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저면과 케이스의 저면으로는 별도의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FM 송신기(10)의 사용시에는 본체부(12)를 회전시켜 I/O 커넥터 잭(14)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FM 송신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본체부를 회전시켜 I/O 커넥터 잭을 케이스 내부로 안착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I/O 커넥터 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I/O 커넥터 잭(14)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FM 송신기(10)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케이스(11)가 본체부(12)에 고정되므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내부 구성부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어폰 잭(13)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FM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모듈을 도시한 도이다. 도 3 을 참조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변환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이어폰 잭(13)으로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변환기로 입력되고, D/A 변환기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조한 후 Line out R 신호 및 Line out L 신호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가 D/A 변환기로 입력되기 이전에 본래의 파형 포맷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더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Line out R/L 신호는 변조시 신호대잡음비(S/N)를 높이기 위하여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다.
한편, 발진부는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38KHz(스테레오의 경우)의 클럭 주파수를 발생하는데, 각 스위칭부에 대하여 위상이 서로 다른 클럭 주파수를 발생한다. 각 스위칭부는 상이한 38KHz의 클럭 주파수를 입력받아 클럭(high/low)에 따라 접속/차단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각 변조신호 R/L은 38KHz로 서로 어긋나게 접속/차단 동작을 반복하여 하나의 변조신호로 통합된다.
분주부는 발진부로부터 입력된 38KHz의 클럭 주파수를 분주하여 19KHz의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다. 각 스위칭부를 거치면서 생성된 하나의 변조신호와 파일럿 신호는 믹서를 통해 혼합된 후 변조부로 입력된다.
한편, 주발진부는 기본 반송파를 발생시켜 변조부에 입력하고, 변조부는 믹서로부터 입력된 변조신호와 기본 반송파를 토대로 주파수 변조방식에 의해 기본 피변조파를 발생한다.
변조부로부터 출력된 기본 주파수의 피변조파는 주파수 채배부로 입력되고, 주파수 채배부는 사용자가 채널 선택부(15)를 통해 선택한 주파수로 증폭된다.
필터는 증폭된 피변조파에서 선택된 주파수만을 필터링하여 전송할 피변조파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변조파는 송신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수신기가 구비된 출력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4(a)는 라디오가 구비된 스피커를 FM 수신기로 사용한 실시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라디오가 구비된 이어폰을 FM 수신기로 사용한 실시례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오가 구비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FM 송신기(10)로부터 무선 송신된 음원을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다.
먼저, 라디오가 구비된 스피커(20)를 이용하여 음원을 출력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오부(22)의 주파수 검색버튼(23)을 이용하여 FM 송신기(10)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맞추게 되면, FM 송신기로부터 무선 송신된 음원이 라디오부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된 음원이 스피커(21)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때, 라디오부(22)에는 선택된 주파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4)와 음원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버튼(25)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라디오가 구비된 이어폰(30)을 이용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오부(32)를 통해 수신된 음원이 이어폰(31)을 통해 출력된다. 이 경우 역시 라디오부(32)에는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주파수 검색버튼(33), 선택된 주파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 및 불륨 조절 버튼(35)이 구비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5a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를 MP3 휴대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를 MP3 플레이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5c 는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가 별도의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10)는 MP3 휴대폰(50) 또는 MP3 플레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오디오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MP3 휴대폰(50)에 FM 송신기(10)를 연결하는 경우(도 5a), MP3 휴대폰의 I/O 커넥터에 FM 송신기의 I/O 커넥터 잭(14)를 연결한 후 이어폰 커넥터에 이어폰 잭(13)을 연결한다. 따라서, MP3 휴대폰(50)에서 재생되는 음원은 이어폰 잭을 통해 FM 송신기(10)로 입력되어 FM 신호로 변환된 후 무선 송신되게 되며, FM 송신기의 전원은 I/O 커넥터 잭(14)을 통해 MP3 휴대폰으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또한, MP3 플레이어(60) 또는 CD 플레이어 등의 기타 오디오 기기에 FM 송신기(10)를 연결하는 경우, FM 송신기(10)의 전원은 휴대전화(50)로부터 공급받거나(도 5b) 또는 별도의 배터리 팩(70)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도 5c). 즉, FM 송신기(10)의 이어폰 잭(13)은 MP3 플레이어(60) 등의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연결하고, I/O 커넥터 잭(14)은 휴대폰(50)의 I/O 커넥터에 연결하거나, 배터리(71)가 장착된 배터리 팩(70)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배터리 팩(70) 또한 휴대폰의 I/O 커넥터와 동일한 커넥터를 구비하도록 한다.
한편, 도 5b 에서는 MP3 플레이어(60)의 이어폰 커넥터와 FM 송신기(10)의 이어폰 잭(13)이 서로 맞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이어폰 커넥터는 4극이고 이어폰 잭은 3극인 경우, 상호간 호환을 위한 보조 잭(13a)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로서, 10극 이어폰 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43)을 구비하는 FM 송신기(4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7(a)는 이어폰 잭을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이어폰 잭을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40)는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는 이어폰 잭(43), FM 송신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45) 및 FM 송신기(4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47)를 구비한다.
10극 이어폰 잭(43)의 경우 이어폰 커넥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을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을 함께 받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40)는 별도의 I/O 커넥터 잭을 구비하지 않고 이어폰 잭(43)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입력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어폰 잭(43)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41)의 회전축(41a)에 결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어폰 잭(4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폰 잭을 반대편으로 돌릴 수 있으므로 이어폰 커넥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어폰 잭을 연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휴대시 이어폰 잭(43)을 케이스(41) 내부에 안착시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40)의 다른 구성부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FM 송신기(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를 MP3 휴대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의 또 다른 실시례(40)는 MP3 휴대폰(50)의 10극 이어폰 커넥터에 이어폰 잭(43)을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 잭(43)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입력 및 전원 공급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이어폰 잭만의 연결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연결과정이 단순 편리해지게 된다.
응용례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기(1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MP3 휴대폰이나 MP3 플레이어 또는 기타 오디오 기기에 FM 송신 모듈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이 경우, MP3 휴대폰 등에 FM 송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모듈 및 오디오 데이터를 FM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MP3 휴대폰 등의 오디오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라디오가 구비된 스피커 및 이어폰 또는 다른 오디오 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는, MP3 휴대폰 및 MP3 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기기와 이어폰 및 스피커 등 출력장치 간의 유선 연결로 인한 불편함과 제약을 해소할 수 있으며, 차량에 설치된 카스테레오를 통해 음원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는,
첫째로, I/O 커넥터 잭을 통해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건전지 등의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 이외에도 I/O 커넥터가 구비된 별도의 배터리 팩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둘째로, 케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평상시 I/O 커넥터 잭을 케이스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I/O 커넥터 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셋째로, 라디오 등의 무선 신호를 수신 가능한 기기만 있으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높고,
넷째로, 사용자가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 간의 무선 신호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로, 10극 이어폰 잭을 이용하여 10극 이어폰 커넥터를 구비하는 휴대폰과 연결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입력과 함께 전원 공급을 동시에 받을 수 있고,
마지막으로,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와 이어폰 잭 간에 서로 맞지 않는 경우 별도의 보조 잭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높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이어폰 잭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FM 주파수를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로서,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회전홈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회전홈에 결착하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홈을 따라 회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이어폰 잭;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휴대폰의 I/O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I/O 커넥터 잭;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FM 주파수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FM 주파수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모듈; 및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가 상기 회전축의 상면에 다이얼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가,
    상면 중 회전홈의 주변부에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주파수가 표시된 주파수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과 상기 본체부의 저면이 소정의 회전축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가,
    상기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커넥터와 동일한 극 수를 갖는 삽입단 및 상기 이어폰 잭과 동일한 극 수를 갖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커넥터와 상기 이어폰 잭 간을 연결하는 보조 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KR20-2004-0024883U 2004-08-31 2004-08-31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KR200369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83U KR200369635Y1 (ko) 2004-08-31 2004-08-31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83U KR200369635Y1 (ko) 2004-08-31 2004-08-31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35Y1 true KR200369635Y1 (ko) 2004-12-09

Family

ID=4944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883U KR200369635Y1 (ko) 2004-08-31 2004-08-31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5729B2 (en) Wireless transmitter for use in a vehicle
US7574180B2 (en) Transmitter
US7835772B2 (en) FM output portable music player with RDS capability
KR20020010350A (ko) 엠피3 플레이어의 재생음 무선송출장치
KR200170731Y1 (ko) 주파수 변조 신호 송출기능을 갖는 엠피3 음악재생기
KR200369635Y1 (ko) 에프엠 주파수대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장치
KR200215372Y1 (ko) 무선송신기를 갖춘 차량용 cd플레이어
KR100380046B1 (ko) 자동차의 디지탈 오디오 시스템
KR200412452Y1 (ko)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
KR100385933B1 (ko) 핸즈프리 겸용 휴대용 주파수 변조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97838A (ko) Fm 방송 주파수대를 이용한 mp3 플레이어 및 pc사운드카드용 무선 송수신 장치
KR200415707Y1 (ko) 에프엠(fm)무선송출장치
KR200374673Y1 (ko) 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77976B1 (ko)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
KR100665033B1 (ko)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KR200398905Y1 (ko) 이어폰형 무선음향 송출기
JP2001069205A (ja) 携帯無線電話端末を利用した音響装置
KR200281453Y1 (ko)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
KR200296232Y1 (ko) 무선송신부가 내장된 휴대용 오디오화일 재생장치
KR20030066578A (ko) 메모리칩과 시가플러그가 내장된 mp3 플레이어 겸용 트랜스미터 인터페이스
KR200236980Y1 (ko) 카스테레오를 이용한 오디오신호 출력 및오디오재생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
KR20010008949A (ko) 휴대용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196564Y1 (ko) Fm 방송 주파수대를 이용한 mp3 플레이어 및 pc사운드카드용 무선 송수신 장치
KR200380994Y1 (ko)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KR20050081811A (ko) 무선 음향출력 송출기가 내장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