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94Y1 -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94Y1
KR200380994Y1 KR20-2005-0002198U KR20050002198U KR200380994Y1 KR 200380994 Y1 KR200380994 Y1 KR 200380994Y1 KR 20050002198 U KR20050002198 U KR 20050002198U KR 200380994 Y1 KR200380994 Y1 KR 200380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source
output
audi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원
이강훈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모토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웨이브 filed Critical (주)모토웨이브
Priority to KR20-2005-0002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원 입력부와; 상기 음원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신호를 주파수 특성에 의해 분배하는 음원 분배기와; 상기 음원 분배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그 디지털 신호를 인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처리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 패드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와 외부의 입력장치인 마이크로부터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혼압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부와 ; 상기 믹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송신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본 고안은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오디오에 실리는 가사와 함께 무선 송출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로 사용되는 기기로는, 예를 들면 MP3 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휴대폰 내장형의 플레이어 등이 있다.
본 고안의 고안자는 이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기기 및 고정식의 오디오 기기, PC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가정이나 차량 등에 구비된 FM 수신 라디오 및 무선 마이크 수신기로 전송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때, 각 지역이나 국가에서 사용되는 FM 수신 무선 마이크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송신 주파수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가 필요한 것을 인식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281453호(등록일자; 2002년 6월 27일)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에 대해 게시되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는, FM 링커 사용자가 송신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해 조작하는 업다운 스위치(11)와; 송신 주파수 및 배터리 상태의 표시를 제어하고, FM 링커의 전원 온/오프, RF 출력제어를 위한 PLL 데이터의 출력, 사용자의 업다운 스위치 조작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2)와; FM 링커의 전원이 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송신 주파수를 표시하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CD부(13)와; 전원 오프시 최종 사용된 송신 주파수를 저장하고 있으며, 전원 온시 저장된 송신 주파수를 자동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메모리부(14)와; 사용자의 업다운 스위치 조작시 온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LCD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부(15)와; 1.5V 배터리 전원을 5V로 승압하여 FM 링커의 각 부분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PLL 데이터를 토대로 88∼108MHz, 78∼90MHz의 주파수를 발진하는 PLL 발진부(17)와; FM링커가 접속된 휴대용 오디오기기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PLL 발진부에서 발진하는 송신 주파수를 합성하여 FM스테레오 신호를 발생시키고, 안테나를 통해 가정 또는 차량에 구비된 FM 수신 라디오로 RF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FM IC부(18)와; 휴대용 오디오기기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송신 주파수를 합성하기 전에 FM 수신기 특성에맞도록 신호를 조정하고, 스테레오 분리를 위한 PILOT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LPF/PILOT 조정부(19)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의 작용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휴대용 또는 고정식의 오디오 기기와는 별도로 무선 에프엠 링커를 구비하고, 이어폰 잭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별도의 장치를 제작하여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오디오 기기 외에 별도의 링커장치를 구비하여야 되므로, 간편화 및 통합화되고 있는 실정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제작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또한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기기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만을 무선으로 송출하여 FM 수신기가 구비되어 있는 가정 또는 차량내에서 스피커를 통해 청취할 수 있는 것만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되는 음원을 선택하거나 별도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선택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장치는 구성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오디오 기기와 무선 송신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종 음원 및 및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원에 포함된 가사를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 할 수 있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는, 음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원 입력부(102)와; 상기 음원 입력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신호를 주파수 특성에 의해 분배하는 음원 분배기(120)와;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그 디지털 신호를 인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처리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 패드(160)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170)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외부의 입력장치인 마이크(186)로부터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혼압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부(180)와 ; 상기 믹서부(18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송신부(19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를 포함함으로써 달성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동기를 실행하는 위상동기루프부와; 상기 변조부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신호와, 위상동기루프부루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일정전압으로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전압제어발진부와;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와; 상기 RF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는, 입력되는 음원을 주파수 대역 범위를 지정하여, 같은 특성을 갖는 음원을 복수개의 밴드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믹서부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음원에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무선 송신부는, 음원으로 제공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단독으로 출력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02는 음원입력부(102)이다. 음원입력부(102)는, 예를 들어 MP3, MD, CD, 라디오, PC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신호 및 곡의 가사를 제공 받는 부분으로, 상기 음원입력부(102)에서는 각각의 입력장치로부터 다양을 음원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음원입력부(102)의 출력신호는 음원 분배기(120)에 제공되어, 상기 음원입력부(102)에서 들어오는 일정한 오디오 신호를 각각 하이레벨(H), 중간 레벨(M), 낮은 레벨(L)의 오디오 신호를 구분하고, 또한 신호선택부(110)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음원을 분리하여 출력 한다.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는,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집적회로인 디지털신호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140)에 입력된다.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는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의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또 그 신호를 출력 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icro Controller Unit; 이하 MCU 라 함)(15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시 그 디지털화 한 신호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동작 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동작은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 감독 하며,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다른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오디오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후술하는 마이크(186)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효과음(또는 자연음)의 음성데이터(VOICE DATA)를 입력 받아, 음원과 가사 및 음성신호등의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 하여 오디오를 출력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로부터 출력된 곡에 대한 가사 정보 데이터는 LCD(170) 창을 통해 표시 되며, 입력장치인 키 패드(160)의 작동을 통해 상술한 각각의 기능을 제어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에서는 입력되는 음원에 따라 신호를 구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입력 음원으로 특정주파수를 갖는 악기의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입력 음원에 포함된 신호중에 피아노(A), 첼로(B), 바이올린(C) 및 비올라(D) 등의 악기 출력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처리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각 음원 신호 및 음성신호등은 믹서부(180)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신호만을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연습 또는 청감 훈련의 목적으로 입력 음원에 포함된 신호중에 피아노(A), 첼로(B), 바이올린(C) 및 비올라(D) 신호중의 일부를 선택하여 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신호선택부(110)를 조작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MP3 등의 장치로부터 음원파일(신호)가 제공되어 음악을 청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임의 선택한 곡(오디오 및 비디오 포함가능)이 음원으로 제공될 때, 사용자는 음원 중에서 곡의 멜로디와 가사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인 마이크(186)를 통해 가사에 맞는 곡을 직접 부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노래 연습기 등으로 사용하는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부(180)의 출력신호는 내장된 무선 송신부(190)를 통해 안테나를 거쳐 수신장치(미도시)로 송신된다. 상기 믹서부(18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PLL DATA를 전송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선택 하고, 스테레오 송신을 위한 38KHz및 19KHz를 구형파 발진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90)로 출력 한다.
여기에서, 상기 믹서부(18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출력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마이크(186)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신호와 함께,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믹서한 후, 그 출력을 스피커(188)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오른쪽(R)과 왼쪽(L)의 신호로 분리 하여 출력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그 신호를 상술한 무선 송신부(190)에 입력 하여 스테레오 신호로 송신 할 수도 있다.
상기 LCD(170)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각종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전원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상태 표시,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동작표시,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동작 및 출력 표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메모리 상태표시, 상기 키 패드(160)의 상태 표시, 마이크(186)의 동작 표시, 스피커(188) 동작 표시, 믹서부(180) 동작 표시, 무선 송신부(190)의 동작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 출력상태 표시, 음원 입력 상태표시, 신호선택부(110)의 동작 표시, 음원에 포함된 곡의 가사 동작표시, 및 LCD(170)를 통해 어두운 곳에서도 LCD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를 표시 한다.
도시한 전원부(130)의 동작은 외부의 DC 입력을 통하여 5V로 정전압 정전류를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그 전압과 전류를 각각의 구성부에 입력 한다. 이때, 내장된 배터리는 2.8VDC의 전압으로 전원을 승압 할 수 있는 DC/DC 회로로 구성되어 DC5V의 전압을 각각의 부분에 공급 한다.
상기 키 패드(160)는, 상술한 각 구성부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며, 음원의 종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동작을 위한 선택 스위치,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선택 동작을 위한 스위치, 믹서부(180)에서의 종류를 선택 하기 위한 스위치, 송신되는 오디오 종류를 정하는 스위치, 주파수를 입력 하기 위한 스위치, 스피커(188)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마이크(186)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그리고 장치 전체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제어 할수 있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 되며 모든 스위치는 스캔 제어방식으로 입력 포트를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상술한 스피커(188)는 통상의 MP3 등의 기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오디오 출력시 자체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 하기 위한 스피커와, 외부의 오디오 기기나 이어폰으로 출력 할 수 있는 외부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 송신부(190)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에 있어서의 송신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적용되는 무선 송신부(190)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변조하는 변조부(191)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동기를 실행하는 위상동기루프부(Phase-Locked Loop; PLL)(192)와; 상기 변조부(191)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186) 입력신호와, 위상동기루프부(192)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일정전압으로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전압제어발진부(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193)와;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RF AMP)(194) 및 ; 상기 RF 증폭부(194)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Low Pass Filter)(19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변조부(191)는 음원 오디오에 포함된 38KHZ의 입력신호와, 오른쪽(R) 입력신호 및 왼쪽(L) 입력신호를 제공받는다.
또,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92)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는 상기 변조부(191)와,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92)와, 사용자의 마이크(186)의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일정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상기 RF 증폭부(194)를 통해 증폭되어, 상기 필터링부(195)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필터링부(195)는 로우패스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선 송신부(19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변조부(192)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로부터 출력되는 PLL 데이터를 전송 받아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믹서부(180)의 오디오 출력을 오른쪽(R)과 왼쪽(L) 신호 및 사용자의 마이크(186)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받아 변조한다.
이때 적용되는 변조 방식은 F3E의 방식등을 이용할 수 있고, 스테레오 오디오 변조와 마이크 변조를 할 수 있는 변조기를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38KHz와19KHz의 신호를 동시에 변조 하여 스테레오 송신이 가능 하다. 또, FM 주파수 대역과 무선 송신부(190)의 주파수를 선택 할 수 있는 전압제어발진부(193)를 통해 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의 출력신호는 RF 증폭하기 위한 RF 증폭부(194)와,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96)의 피드백 신호로 제공된다. 상기 RF 증폭부(194)에서 증폭된 신호는 상기 필터링부(195)를 통해 안테나를 거쳐 송신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MP3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원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음악의 멜로디와 가사만을 출력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면서 노래연습을 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한 마이크(186)는 외부의 사람 목소리 혹은 외부의 효과음(자연음)을 입력 받아 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에 내장된 자동이득제어회로(Aotomatic Gain Control)를 통하여 일정한 진폭의 오디오 신호를 상술한 믹서부(180)에 제공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9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FM 송신 주파수는, 88∼108MHz 또는 78∼90MHz 또는 무선 마이크 대역 등 다양한 스펙트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됨이 없이 무선 송신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개요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오디오 기기와 무선 송신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각종 음원 및 및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원에 포함된 가사를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 할 수 있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에 있어서의 송신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요도
도 3은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음원 입력부 110 : 신호선택부
120 : 음원 분배기 130 : 전원부
140 : 디지털신호프로세서 150 :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160 : 키 입력부 170 : LCD부
180 : 믹서부 186: 마이크
188: 스피커 190 : 무선 송신부
191: 변조부 192 : 위상동기루프(PLL)
193 : 전압제어발진부(VCO) 194: RF 증폭부
195 : 필터링부

Claims (5)

  1. 음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원 입력부(102)와;
    상기 음원 입력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신호를 주파수 특성에 의해 분배하는 음원 분배기(120)와;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그 디지털 신호를 인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처리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 패드(160)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170)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외부의 입력장치인 마이크(186)로부터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혼압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부(180)와 ;
    상기 믹서부(18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송신부(19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동기를 실행하는 위상동기루프부와; 상기 변조부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신호와, 위상동기루프부루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일정전압으로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전압제어발진부와;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와; 상기 RF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는, 입력되는 음원을 주파수 대역 범위를 지정하여, 같은 특성을 갖는 음원을 복수개의 밴드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부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음원에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음원으로 제공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단독으로 출력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KR20-2005-0002198U 2005-01-25 2005-01-25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KR200380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98U KR200380994Y1 (ko) 2005-01-25 2005-01-25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98U KR200380994Y1 (ko) 2005-01-25 2005-01-25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138A Division KR100665033B1 (ko) 2005-01-24 2005-01-24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94Y1 true KR200380994Y1 (ko) 2005-04-08

Family

ID=4368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98U KR200380994Y1 (ko) 2005-01-25 2005-01-25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048B1 (en) Portable karaoke device
US5317622A (en) Ringing circuit for use in a telephone set for detecting a mobile mode or a portable mode of the telephone set
EP1068767A1 (en) Microphone and receiver for automatic accompaniment
US7835772B2 (en) FM output portable music player with RDS capability
US20090011729A1 (en) Fm transmitter
KR100665033B1 (ko)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KR200380994Y1 (ko)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HUT73903A (en) Portable music performance device
KR100342061B1 (ko) 에프엠 송신기를 이용한 음성 데이터 입출력 장치
US20050249484A1 (en) Wireless digital music playing and transmitting device for portable DVD/CD player
KR200305751Y1 (ko) 무선 핸드 가라오케
KR100843722B1 (ko) 차량용 노래방기능을 위한 다기능 마이크로폰 장치
KR200281453Y1 (ko)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
KR20040028433A (ko) 무선 핸드 가라오케
KR200415707Y1 (ko) 에프엠(fm)무선송출장치
KR200317602Y1 (ko) 에프엠 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오디오화일 재생 장치
KR20030066578A (ko) 메모리칩과 시가플러그가 내장된 mp3 플레이어 겸용 트랜스미터 인터페이스
WO2007008041A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equipment of microphone
JP3568491B2 (ja) 携帯式カラオケ装置
KR100696953B1 (ko) 마이크 보관 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
KR19990041218A (ko) 휴대용 무선 가요 반주방법 및 그 장치
KR200332362Y1 (ko) 메모리칩과 시가플러그가 내장된 mp3 플레이어 겸용 트랜스미터 인터페이스
CN2283949Y (zh) 具有收音机功能的呼叫器
KR200253083Y1 (ko) Fm 무선 송신기가 내장된 컴퓨터 입력장치
KR100782379B1 (ko) 휴대기기용 에프엠 트랜스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