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083B1 -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 Google Patents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83B1
KR101499083B1 KR20130108492A KR20130108492A KR101499083B1 KR 101499083 B1 KR101499083 B1 KR 101499083B1 KR 20130108492 A KR20130108492 A KR 20130108492A KR 20130108492 A KR20130108492 A KR 20130108492A KR 101499083 B1 KR101499083 B1 KR 101499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oulder
ball
bracke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to KR2013010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깨 상부에 안착되는 어깨걸이구와; 상기 어깨걸이구에 연결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힌지부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브라켓에 장착되는 기기의 위치를 상하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A multipurpose hanger for shoulder}
본 발명은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부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브라켓에 장착되는 기기의 위치를 상하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요즘 사람들은 대부분 스마트폰, 태블릿PC, PMP 등의 기기를 소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손으로 기기를 들고 영화, 드라마 등의 동영상이나 DMB 등을 시청한다.
이렇게 손으로 기기를 들고 장시간 영화, 드라마 등의 동영상이나 DMB 등을 시청하면 사용자의 손, 팔 등에는 무리가 오게 되어 고통을 호소하는 일이 생기고, 기기를 들고 있는 손은 다른 일을 할 수 없으므로 생활하는데 있어서의 불편함이 유발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148110호에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제1결합부를 기준으로 제1걸이대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제2걸이대에 거치 된 기기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만 조절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제2걸이대에 거치 된 기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기기가 제2걸이대에서 쉽게 이탈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힌지부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브라켓에 장착되는 기기의 위치를 상하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어깨 상부에 안착되는 어깨걸이구와; 상기 어깨걸이구에 연결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힌지부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힌지부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일단 측 내주면에 제1단턱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에 삽입되고, 상면 중앙에서부터 측면 일측까지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하부 측 외주면에 제2단턱이 형성되는 볼케이스와; 상기 볼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볼을 지지하는 승강부와; 상기 볼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개홈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절개홈을 따라 회전 가능한 바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켜 상기 볼이 상기 볼케이스의 상부에 걸리게 하여 상기 볼을 고정시키고, 상기 볼케이스의 제2단턱을 상기 몸체의 제1단턱에 걸리게 하여 상기 볼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상하좌우 측에 네 개가 형성되고, 네 개의 상기 지지부재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은 길이가 조절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면은 마주보는 상기 안착부의 내부면과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잠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어깨걸이구에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걸이구와, 상기 제1힌지부와,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힌지부와, 상기 브라켓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스마트폰, 태블릿PC, PMP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영화, 드라마 등의 동영상이나 DMB 등을 장시간 시청할 때, 손으로 기기를 들고 볼 필요가 없으므로, 손과 팔 등에 무리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어깨 상부에 어깨걸이구를 안착시킨 상태로 제1힌지부, 제1지지대, 제2힌지부, 브라켓을 연결하고, 브라켓에 스마트폰, 태블릿PC, PMP 등의 기기를 장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두 손과 두 팔의 활동에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에 의해 브라켓에 장착되는 기기의 위치를 상하좌우 및 전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브라켓에 장착되는 기기의 위치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안착부의 상하좌우 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안착부에 안착되는 기기의 상하좌우 측면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브라켓에서 기기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브라켓에 장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지지부재와 안착부 내부면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부재가 안착부에 안착되는 기기의 상하좌우 측면을 잡아 주어 기기의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안착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잠금부재가 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므로 외부 충격에도 기기의 이탈이 방지되고, 지지부재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제2지지대의 일단이 제1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고, 제2지지대의 타단이 어깨걸이구에 결합되어 제1지지대 측이 받는 하중을 제2지지대가 나눠 받으므로 제1지지대가 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열째, 본 발명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어깨걸이구에 연결되는 제1힌지부와, 제1힌지부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와, 제1지지대에 연결되는 제2힌지부와, 제2힌지부에 연결되는 브라켓이 착탈 가능하므로 소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분실 또는 파손 시 분실 또는 파손된 부분만 재구입하면 되므로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재, 제3지지부재, 제4지지부재의 장공과 돌출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2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200)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200)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재(530), 제3지지부재(540), 제4지지부재(550)의 장공(555)과 돌출부(51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a, 500b, 500c)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어깨 상부에 안착되는 어깨걸이구(100)와; 어깨걸이구(100)에 연결되는 제1힌지부(200)와; 제1힌지부(200)에 연결되는 브라켓(500);을 포함하되, 제1힌지부(200)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어깨걸이구(100)는 사용자의 어깨 상부에 안착 되어 밴드(미도시) 등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에 고정된다.
어깨걸이구(100)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어깨걸이구(100)에는 제1힌지부(200)가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부(200)는 몸체(210)와, 볼케이스(220)와, 볼(230)과, 승강부(240)와, 바(250)와, 고정레버(280)와, 제1체결부(260)와, 결합부(270)로 이루어진다.
몸체(210)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 측 내주면 전둘레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할 결합부(27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몸체(210)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원형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몸체(210)에 형성된 중공의 일단 측 내주면에는 제1단턱(211)이 형성된다.
제1단턱(211)은 몸체에 형성된 중공의 상단 측에 형성되고, 중공의 내주면 전둘레에 걸쳐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1단턱(211)으로 인해 몸체(210) 상단 측 개방면은 몸체(210) 하단 측 개방면보다 좁게 형성되며, 이것은 몸체(210) 상단 측 개방면이 몸체(210) 하단 측 개방면보다 지름이 작은 원형으로 형성된다는 말이다.
몸체(210)의 외주면 중앙에는 후술할 고정레버(280)가 삽입되는 삽입공(212)이 형성된다.
삽입공(212)은 원형의 구멍으로 삽입공(2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몸체(210)에는 전체적으로 볼 때 원통 형상과 유사한 볼케이스(220)가 삽입된다.
볼케이스(220)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볼케이스(220)는 상면 전둘레에 걸쳐 라운드 지게 형성된다.
볼케이스(220)는 상면 중앙에서부터 측면 일측까지는 절개홈(221)이 형성된다.
절개홈(221)은 상면 중앙 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의 부분은 상면 중앙 부분의 지름보다 작은 폭을 가지게 형성된다.
절개홈(221)은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절개홈(221)은 후술할 바(250)의 이동을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절개홈(221)의 볼케이스(220) 측면 측 부분은 필요에 따라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바(250)의 상하 회전 각도를 늘리기 위함이다.
측면 측에 형성된 절개홈(221)의 하부에는 제2단턱(2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단턱(222)은 볼케이스(2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단턱(222)은 볼케이스(220)의 외주면 전둘레에 걸쳐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볼케이스(220)는 몸체(210)의 두 개방면 중에서 넓은 개방면, 즉, 하단 측 개방면으로 삽입되어, 상단 측 개방면으로 돌출되어 나온다.
이때, 볼케이스(220)는 제2단턱(222)의 상면이 몸체(210)의 제1단턱(211)의 하면에 걸려 몸체(210)의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볼케이스(220)는 몸체(210)의 내부에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다.
볼케이스(220)의 내부에는 볼(230)이 삽입된다.
볼(230)은 구 형상으로, 볼케이스(220)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볼(230)은 볼케이스(220)의 절개홈(221)으로 일부분이 노출된다.
몸체(210)에는 승강부(240)가 삽입된다.
승강부(240)는 베이스(241)와, 베이스(241)의 상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242)와, 경사부(242)의 상단 전둘레에 형성되는 측벽부(243)와, 경사부(242)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지지부(244)로 이루어진다.
베이스(241)는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형성된다.
경사부(242)는 베이스(241)의 중앙 부근에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외주면이 경사져 있다.
베이스(241)와 경사부(242)의 둘레 측 사이는 일부분이 이격되어 있어서 단면이 'V'자 형상인 공간이 있는데, 이는 후술할 고정레버(280)의 볼트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측벽부(243)는 경사부(242)의 상단 전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볼지지부(244)는 원통 형상으로, 경사면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볼지지부(244)의 상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가 져 있다.
이는 볼(230)의 일부분이 볼지지부(244)의 오목한 부분으로 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볼지지부(244)의 외주면과 측벽부(243)의 내주면은 이격되어 있다.
승강부(240)는 볼(230)의 하부를 지지한다.
승강부(240)와 몸체(210)의 사이에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 측으로 후술할 고정레버(280)의 볼트가 삽입되어, 승강부(240)가 몸체(210)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해준다.
바(250)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볼(23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바(250)의 상부 측 일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제1체결부(260)와 바(25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바(250)는 볼케이스(220)의 절개홈(221)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볼(230)의 회전에 의해 절개홈(221)을 따라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다.
바(250)는 볼케이스(2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절개홈(221)을 따라 볼케이스(220)의 측면 측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바(250)의 회전 각도는 둔각이 된다.
바(250)의 상부에는 제1체결부(260)가 결합된다.
제1체결부(260)는 후술할 제1지지대(300)와의 연결을 위한 부분이다.
제1체결부(260)는 원통 형상으로,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제1체결부(260)의 하단면에는 바(25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261)이 형성된다.
체결홈(26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바(25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1체결부(260)의 측면 상부에는 전후 대칭되는 위치에 체결공(262)이 각각 형성된다.
체결공(262)은 원형의 구멍이다.
체결공(262)은 후술할 제2체결부(340) 또는 제4체결부(410) 또는 제6체결부(590)의 돌기(610)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다.
제1체결부(260)의 내주면에는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가이드홈(263)이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홈(263)은 제1체결부(260)의 내주면 하단에서 상단까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이 'ㄷ'자 형상이다.
가이드홈(263)은 후술할 제2체결부(340) 또는 제4체결부(410) 또는 제6체결부(590)의 가이드바(62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공(262)과 가이드홈(263)은 두 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10)의 하부 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결합부(270)가 체결된다.
결합부(270)는 어깨걸이구(100)와 제1힌지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결합부(27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결합부(271)와, 제1결합부(271)의 지름에서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각 판 형상의 제2결합부(272)로 이루어진다.
제1결합부(271)는 몸체(210)의 하부 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된다.
제2결합부(272)에는 원형의 결합공(273)이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부(272)는 어깨걸이구(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되고, 결합공(273)에 볼트가 삽입되어 어깨걸이구(100)와 체결된다.
몸체(21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212)에는 고정레버(280)가 설치된다.
고정레버(280)에는 볼트가 결합 되어 있고, 고정레버(280)에 결합 된 볼트는 삽입공(212)으로 삽입된다.
고정레버(280)는 승강부(240)를 승강시켜 볼(230)이 볼케이스(220)의 상부에 걸리게 하여 볼(230)을 고정시키고, 볼케이스(220)의 제2단턱(222)을 몸체(210)의 제1단턱(211)에 걸리게 하여 볼케이스(220)를 고정시킨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250) 및 볼케이스(2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고정레버(280)를 회전시켜 고정레버(280)에 결합 된 볼트를 몸체(210) 내부 측으로 이동시키면 볼트의 끝단이 승강부(240)의 경사부(242)를 밀게 된다.
경사부(242)는 고정레버(280)에 결합 된 볼트의 끝단에 경사진 면이 밀려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볼지지부(244)의 상부에 위치하는 볼(230)에도 상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여 볼(23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볼(230)은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볼케이스(220)의 상부 내면에 접촉하게 되고, 볼(230)에 가해지는 힘이 볼케이스(220)에 전달되어 볼케이스(22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볼케이스(220)는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몸체(210)의 제1단턱(211)에 볼케이스(220)의 제2단턱(222)이 걸리게 되어 이동을 멈춘다.
이로 인해 볼(230)과 볼케이스(220)는 고정되고, 볼(230)에서 연장되는 바(250)의 위치 역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고정레버(280)를 회전시켜 고정레버(280)에 결합 된 볼트를 몸체(210) 외부 측으로 이동시키면 볼(230)과 볼케이스(220)와 바(250)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제1힌지부(200)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는 제1힌지부(200)의 볼케이스(2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바(250)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는 말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300)는 제1힌지부(200)와 연결된다.
제1지지대(300)는 후술할 브라켓(500)에 장착되는 기기(1000)의 하중을 지지하고, 사용자와 기기(10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1지지대(3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외관(310)과, 내관(320)과, 고정부(330)와, 제1연결부(335)와, 제2체결부(340)와, 제3체결부(380)로 이루어진다.
외관(310)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형 관이다.
외관(310)의 내부에는 내관(320)이 삽입된다.
내관(320)은 외관(310)보다 지름이 작은 원형 관이다.
내관(320)은 외관(310) 내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제1지지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외관(310)의 우측 끝단에는 고정부(330)가 형성된다.
고정부(330)는 내관(320)을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330)에는 손잡이(331)가 형성되어, 손잡이(331)를 들어올리면 내관(320)을 슬라이딩시켜 길이 조절이 가능해지고, 손잡이(331)를 고정부(330) 측으로 밀착시키면 내관의(320) 슬라이딩이 제한되어 내관(320)이 고정된다.
외관(310)의 좌측 끝단에는 제1연결부(335)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335)는 원통 형상으로 외관(310)과 제2체결부(340) 사이를 연결해 준다.
제1연결부(335)의 좌측 끝단에는 제2체결부(340)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340)는 제1연결부(335)보다 작은 원통 형상이다.
제2체결부(340)의 외주면에는 제1체결부(260)의 가이드홈(263)과 대응하는 위치에 두 개의 가이드바(620)가 형성되어 있고, 제1체결부(260)의 체결공(262)과 대응하는 위치에 두 개의 돌기(61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바(620)는 사각 막대 형상이다.
가이드바(620)는 가이드홈(263)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제1체결부(260)와 제2체결부(340)는 가이드바(620)가 가이드홈(263)에 삽입되어야만 서로 체결이 가능하다.
돌기(610)는 원형으로 제2체결부(340)가 제1체결부(260)에 삽입될 시 체결공(262)에 삽입된다.
돌기(610)는 제2체결부(340)의 내부 측 또는 외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돌기(610)는 제1연결부(335)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630)을 누르면 제2체결부(340)의 내부 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연결부(335)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630)을 누르고 돌기(610)를 체결공(262)에서 이탈시켜 제1체결부(260)와 제2체결부(340)를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가이드바(620)와 돌기(610)는 가이드홈(263)과 체결공(262)의 개수와 동일하게 두 개씩 형성된다.
내관(320)의 우측 끝단 측에는 제3체결부(380)가 형성된다.
제3체결부(380)는 제1체결부(260)와 체결홈(261)의 형상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제1체결부(260)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지지대(300)의 측면에는 제2지지대(350)가 결합된다.
제2지지대(350)는 제1지지대(300)와 함께 후술할 브라켓(500)에 장착되는 기기(10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슬라이딩부(370)와, 제2슬라이딩부(360)로 구성된다.
제1슬라이딩부(37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2슬라이딩부(360)와 연결되어 있다.
제2슬라이딩부(360)는 제1슬라이딩부(370)보다 작은 사각 기둥 형상이다.
제2슬라이딩부(360)는 제1슬라이딩부(370)에 삽입되어 제1슬라이딩부(370) 내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2슬라이딩부(360)는 우측 끝단이 제1지지대(300)의 고정부(330) 측면에 형성된 회동부(361)에 결합 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슬라이딩부(370)의 좌측 끝단에는 고리(371)가 형성되어 어깨걸이구(100)에 형성된 장착부(120)에 결합 된다.
이로 인해 제2지지대(350)는 제1지지대(300)가 지지하는 후술할 브라켓(500)에 장착되는 기기(1000)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게 된다.
제1지지대(300)는 제2힌지부(400)에 연결된다.
제1지지대(300)의 제3체결부(380)에는 제2힌지부(400)의 제4체결부(410)가 체결되는데, 이는 제1체결부(260)와 제2체결부(340)가 체결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힌지부(400)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제2힌지부(400)에는 제1힌지부(200)의 결합부(270) 대신 제4체결부(410)가 형성되어 있고, 제1힌지부(200)에 없는 버튼(630)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제2힌지부(400)와 제1힌지부(200)는 동작 및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힌지부(400)의 제5체결부(420)는 제1힌지부(200)의 제1체결부(2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고, 제2힌지부(400)의 제4체결부(410)는 제1지지대(300)의 제2체결부(3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제2힌지부(400)에 형성된 버튼(630)은 제1지지대(300)의 제1연결부(335)에 형성된 버튼(6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힌지부(400)는 브라켓(500)에 연결된다.
제2힌지부(400)의 제5체결부(420)에는 브라켓(500)의 제6체결부(590)가 체결되는데, 이는 제1체결부(260)와 제2체결부(340)가 체결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브라켓(500)은 제6체결부(590)와, 제2연결부(505)와, 안착부(510)와, 지지부재(520, 530, 540, 550)와, 잠금부재(560)로 이루어진다.
제6체결부(590)는 제2체결부(340) 및 제4체결부(410)와 형상 및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연결부(505)는 제1연결부(335)와 형상 및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안착부(510)는 기기(1000)가 안착 되는 부분으로써 제2연결부(505)에 의해 제6체결부(590)와 연결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510)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착부(510)는 기기(1000)가 안착되는 앞판(512)과, 앞판(512)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뒤판(513)과, 앞판(512)과 뒤판(513) 사이를 연결하는 제1측판(514), 제2측판(515), 제3측판(516), 제4측판(517)으로 이루어진다.
앞판(512)은 브라켓(500)에 기기(1000)를 장착할 때, 기기(1000)가 안착 되는 판이다.
앞판(512)의 후방에는 중앙 부근에는 사각구멍(518)이 형성되어 있는 뒤판(513)이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앞판(512)과 뒤판(513)은 이격되어 있으며, 크기가 동일하다.
제1측판(514)은 앞판(512)의 하단과 뒤판(513)의 하단을 연결하고, 제2측판(515)은 앞판(512)의 상단과 뒤판(513)의 상단을 연결하고, 제3측판(516)은 앞판(512)의 좌측 끝단과 뒤판(513)의 우측 끝단을 연결하고, 제4측판(517)은 앞판(512)의 우측 끝단과 뒤판(513)의 우측 끝단을 연결한다.
제1측판(514)과 제2측판(515)은 안착부(510)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3측판(516)과 제4측판(517)은 안착부(5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제1측판(514)과 제2측판(515)이 제3측판(516)과 제4측판(517)의 길이보다 짧다는 것이다.
앞판(512)은 안착부(510)의 전면, 뒤판(513)은 안착부(510)의 후면, 제1측판(514)은 안착부(510)의 하측면, 제2측판(515)은 안착부(510)의 상측면, 제3측판(516)은 안착부(510)의 좌측면, 제4측판(517)은 안착부(510)의 우측면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안착부(51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앞판(512)의 이면 중앙에는 돌출부(511)가 형성된다.
돌출부(511)는 앞판(512)의 이면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뒤판(513)에 형성된 사각구멍(518)을 통과한다.
돌출부(511)는 후술할 제2지지부재(530), 제3지지부재(540), 제4지지부재(55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고, 제2지지부재(530), 제3지지부재(540), 제4지지부재(550)가 후술할 안착부(510)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부(510)의 측면에는 지지부재(520, 530, 540, 550)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20, 530, 540, 550)는 안착부(510)의 상하좌우 측에 네 개가 형성되고, 네 개의 지지부재(520, 530, 540, 550)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은 길이가 조절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부재(530, 540, 550)의 일단은 안착부(5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안착부(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530, 540, 550)의 일단면은 마주보는 안착부(510)의 내부면과 스프링(580)으로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지부재(520, 530, 540, 550)는 안착부(510)의 제1측판(514)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재(520)와, 안착부(510)의 제2측판(515)에 형성되고, 일부가 안착부(5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2지지부재(530)와, 안착부(510)의 제3측판(516)에 형성되고, 일부가 안착부(5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3지지부재(540)와, 안착부(510)의 제4측판(517)에 형성되고, 일부가 안착부(5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4지지부재(550)를 포함한다.
각 지지부재(520, 530, 540, 550)는 안착부(510)에 안착 된 기기(1000)의 측면을 지지하여 안착부(510)에서 기기(1000)가 이탈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지지부재(520)는 안착부(510)의 앞판(512) 하단에 형성된다.
제1지지부재(520)는 안착부(510)의 앞판(512) 하단에서 전방으로 튀어나온 고정부재(521)와, 고정부재(521)의 전방 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재(522)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재(520)는 대략 'ㄱ'자의 단면을 가진다.
제2지지부재(530)는 안착부(510)의 제2측판(515)에 형성된다.
제2지지부재(530)는 안착부(510)의 제2측판(515) 내부 측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이동부재(531)와, 제2이동부재(531)의 외측 끝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재(532)와, 제2절곡부재(532)의 전방 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5절곡부재(533)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부재(530)는 대략 'ㄷ'자 단면을 가진다.
제1지지부재(520)의 고정부재(521)와 제2지지부재(530)의 제2절곡부재(532)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제3지지부재(540)는 안착부(510)의 제3측판(516)에 형성된다.
제3지지부재(540)는 안착부(510)의 제3측판(516) 내부 측에 일부가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3이동부재(541)와, 제3이동부재(541)의 외측 끝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재(542)로 이루어진다.
제3지지부재(540)는 대략 'ㄱ'자 단면을 가진다.
제4지지부재(550)는 안착부(510)의 제4측판(517)에 형성된다.
제4지지부재(550)는 안착부(510)의 제4측판(517) 내부 측에 일부가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4이동부재(551)와, 제4이동부재(551)의 외측 끝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4절곡부재(552)로 이루어진다.
제4지지부재(550)는 대략 'ㄱ'자 단면을 가진다.
제3지지부재(540)의 제3절곡부재(542)와 제4지지부재(550)의 제4절곡부재(552)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고정부재(521)와 제2절곡부재(532)와 제3절곡부재(542)와 제4절곡부재(552)는 브라켓(500)에 기기(1000)를 장착할 경우, 기기(10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절곡부재(522)와 제5절곡부재(533)는 브라켓(500)에 기기(1000)를 장착할 경우, 기기(10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이동부재(531)와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의 중앙 부근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555)이 형성되어 있다.
제2이동부재(531)와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는 장공(555)에 의해 안착부(510) 내부에서 돌출부(511)에 끼워진다.
이때, 안착부(510) 내부의 가장 후방 측에는 제2이동부재(531)가 위치하고, 제2이동부재(531)의 전방에 제3이동부재(541), 제3이동부재(541)의 전방에 제4이동부재(551)가 위치한다.
이는 제2이동부재(531)가 뒤판(513)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제4이동부재(551)가 앞판(512)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는 말이다.
제2이동부재(531)는 뒤판(513)의 사각구멍(518)으로 일부분이 노출된다.
이는 제2지지부재(530), 제3지지부재(540), 제4지지부재(550)를 고정하기 위해 잠금부재(560)와 제2이동부재(531)를 접촉시키기 위함이다.
제2이동부재(531)는 장공(555)의 길이만큼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는 장공(555)의 길이만큼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2지지부재(530), 제3지지부재(540), 제4지지부재(5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브라켓(500)에 장착되는 기기(1000)의 크기에 따라 제2지지부재(530), 제3지지부재(540), 제4지지부재(550)를 안착부(510)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기기(1000)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제2이동부재(531)와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는 돌출부(511)에 의해 안착부(510)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지 않으며, 슬라이딩 간격도 제한된다.
안착부(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530, 540, 550)의 일단면, 즉, 제2이동부재(531)와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의 일단면은 마주보는 안착부(510)의 내부면과 스프링(580)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측판(514)의 이면과 이를 마주보는 제2이동부재(531)의 내측 끝단이 스프링(580)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4측판(517)의 이면과 이를 마주보는 제3이동부재(541)의 내측 끝단이 스프링(580)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측판(516)의 이면과 이를 마주보는 제4이동부재(551)의 내측 끝단이 스프링(580)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스프링(580)을 연결하는 이유는 제2이동부재(531)와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를 각각 안착부(5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그 사이에 기기(1000)를 두고 제2이동부재(531)와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를 다시 기기(1000)의 측면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스프링(58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이동부재(531)와 제3이동부재(541)와 제4이동부재(551)가 기기(1000)의 측면 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기기(10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돌출부(511)의 후측에는 잠금부재(560)가 설치된다.
잠금부재(560)는 양측 사이에 돌출부(511)를 두고 회전축(570)에 의해 돌출부(511)와 결합 된다.
잠금부재(560)는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다.
잠금부재(560)와 회전축(570)은 편심축의 형태로 설치되어 잠금부재(560)를 하측으로 완전히 회전시키면 잠금부재(560)의 전방 측 끝 부분이 제2이동부재(531)의 후면을 밀게 되고, 제2이동부재(531)는 제3이동부재(541)를, 제3이동부재(541)는 제4이동부재(551)를, 제4이동부재(551)는 앞판(512)의 이면을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제2지지부재(530)와 제3지지부재(540)와 제4지지부재(550)는 안착부(510)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게 고정되고, 지지부재(520, 530, 540, 550)가 지지하는 안착부(510) 상의 기기(1000)는 외부로 이탈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부(510) 상에 위치한다.
반대로 잠금부재(56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잠금부재(560)와 제2이동부재(531)는 서로 이격되어 자유롭게 제2지지부재(530)와 제3지지부재(540)와 제4지지부재(55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는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1힌지부(200) 및 제2힌지부(400)에 의해 제1지지대(300), 브라켓(500), 브라켓(500)에 장착되는 기기(1000)의 위치를 상하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어깨걸이구(100)에는 제1힌지부(200)가 연결되고, 제1힌지부(200)에는 제1지지대(300)가 연결되고, 제1지지대(300)에는 제2힌지부(400)가 연결되고, 제2힌지부(400)에는 브라켓(50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연결 순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260)와 제3체결부(380)와 제5체결부(420)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체결부(340)와 제4체결부(410)와 제6체결부(590)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체결부(260)와 제3체결부(380)와 제5체결부(420)는 서로 호환 가능하고, 제2체결부(340)와 제4체결부(410)와 제6체결부(590)는 서로 호환이 가능하다.
이는 제1힌지부(200)에 직접 제1지지대(300)를 연결할 수도 있고, 제2힌지부(400)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브라켓(500)을 연결할 수도 있다는 말이고, 필요에 따라 순서를 각 구성의 순서를 바꾸어서 연결을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어깨걸이구(100), 제1힌지부(200), 제1지지대(300), 제2힌지부(400), 브라켓(500)은 서로 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분실 또는 파손 시에 분실 또는 파손이 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기에 경제적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깨걸이구(100)에 제1힌지부(200)를 연결하고, 제1힌지부(200)에 제1지지대(300)를 연결하고, 제1지지대(300)에 제2힌지부(400)를 연결하고, 제2힌지부(400)에 브라켓(500)을 연결한다.
이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연결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둘째, 어깨걸이구(100)를 사용자의 어깨에 안착시키고 밴드(미도시)로 고정시켜 어깨에서 어깨걸이구(100)가 이탈되지 않게 한다.
셋째, 브라켓(500)의 위치를 조절하여 기기(1000)를 장착하거나, 기기(1000)를 브라켓(500)에 장착한 뒤 브라켓(5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넷째, 제2지지대(350)를 어깨걸이구(100)의 장착부(120)에 결합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순서로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순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a, 500b, 500c)은 3가지 종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a)은 사각 판 형상의 수평부(591)의 중앙에 나사부(592)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소형 카메라의 하면을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500a)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b)은 사각 판 형상의 수평부(591)의 상면에 원형밴드(593)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원형밴드(593)의 내부에 후레쉬를 끼워서 쓸 수 있는 브라켓(500b)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c)은 사각 판 형상의 수평부(591)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수직부(594)가 있고, 각 수직부(594)의 양측면 중앙과 중앙 사이를 관통하는 고정볼트(595)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방송용 소형 카메라 케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500c)으로 방송용 소형 카메라 케이스의 하부를 3개의 수직부(594) 사이 이격된 공간에 삽입시켜 고정볼트(595)로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어깨걸이구 110 : 삽입부
120 : 장착부 200 : 제1힌지부
210 : 몸체 211 : 제1단턱
212 : 삽입공 220 : 볼케이스
221 : 절개홈 222 : 제2단턱
230 : 볼 240 : 승강부
241 : 베이스 242 : 베이스
243 : 측벽부 244 : 볼지지부
250 : 바 260 : 제1체결부
261 : 체결홈 262 : 체결공
263 : 가이드홈 270 : 결합부
271 : 제1결합부 272 : 제2결합부
273 : 결합공 280 : 고정레버
300 : 제1지지대 310 : 외관
320 : 내관 330 : 고정부
331 : 손잡이 335 : 제1연결부
340 : 제2체결부 350 : 제2지지대
360 : 제2슬라이딩부 361 : 회동부
370 : 제1슬라이딩부 371 : 고리
380 : 제3체결부 400 : 제2힌지부
410 : 제4체결부 420 : 제5체결부
500, 500a, 500b, 500c : 브라켓 505 : 제2연결부
510 : 안착부 511 : 돌출부
512 : 앞판 513 : 뒤판
514 : 제1측판 515 : 제2측판
516 : 제3측판 517 : 제4측판
518 : 사각구멍 520 : 제1지지부재
521 : 고정부재 522 : 제1절곡부재
530 : 제2지지부재 531 : 제2이동부재
532 : 제2절곡부재 533 : 제5절곡부재
540 : 제3지지부재 541 : 제3이동부재
542 : 제3절곡부재 550 : 제4지지부재
551 : 제4이동부재 552 : 제4절곡부재
555 : 장공 560 : 잠금부재
570 : 회전축 580 : 스프링
590 : 제6체결부 591 : 수평부
592 : 나사부 593 : 원형밴드
594 : 수직부 595 : 고정볼트
610 : 돌기 620 : 가이드바
630 : 버튼 1000 : 기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어깨 상부에 안착되는 어깨걸이구;
    상기 어깨걸이구에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일단 측 내주면에 제1단턱이 형성되는 몸체;
    몸체에 삽입되고, 상면 중앙에서부터 측면 일측까지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하부 측 외주면에 제2단턱이 형성되는 볼케이스;
    상기 볼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볼을 지지하는 승강부;
    상기 볼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개홈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절개홈을 따라 회전 가능한 바;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켜 상기 볼이 상기 볼케이스의 상부에 걸리게 하여 상기 볼을 고정시키고, 상기 볼케이스의 제2단턱을 상기 몸체의 제1단턱에 걸리게 하여 상기 볼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상하좌우 측에 네 개가 형성되고,
    네 개의 상기 지지부재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은 길이가 조절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면은 마주보는 상기 안착부의 내부면과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잠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대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어깨걸이구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깨걸이구와,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브라켓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KR20130108492A 2013-09-10 2013-09-10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KR10149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492A KR101499083B1 (ko) 2013-09-10 2013-09-10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492A KR101499083B1 (ko) 2013-09-10 2013-09-10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083B1 true KR101499083B1 (ko) 2015-03-06

Family

ID=5302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492A KR101499083B1 (ko) 2013-09-10 2013-09-10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0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713A (ko) * 2006-10-20 2008-04-24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차량용 거치대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KR101148110B1 (ko) * 2011-10-07 2012-05-22 주식회사 모비유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KR101146925B1 (ko) * 2010-08-11 2012-05-24 오명준 휴대용 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713A (ko) * 2006-10-20 2008-04-24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차량용 거치대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KR101146925B1 (ko) * 2010-08-11 2012-05-24 오명준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1148110B1 (ko) * 2011-10-07 2012-05-22 주식회사 모비유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72B1 (ko) 카메라 거치대
JP2018116278A (ja) 表示画面の取り付け具の改良
JP2004226959A (ja) カメラあるいはビデオカメラを固定するための取り付け装置
US9657897B2 (en) Connecting device and a gimbal apparatus
US8500076B2 (en) Cup holder fastening structure
US10724671B2 (en) Quick release connection structures, support structures, and remote controllers
JP3155340U (ja) 移動式ディスプレイ取付装置
US7621491B2 (en) Portable supporting apparatus
US20100314508A1 (en) Apparatus with flexible tripod and electronic device
US7490797B1 (en) Portable supporting apparatus
KR101633502B1 (ko) 카메라 짐벌
TWI708990B (zh) 腳支持構件的關節固定機構
WO2018192082A1 (zh) 云台支架
KR101415812B1 (ko) 낚싯대 이탈방지용 거치대
WO2015132565A1 (en) Mobile device stand
JP2006090389A (ja) 一脚用筒体の補助三脚構造
KR101499083B1 (ko)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CN104747806B (zh) 用于输油管道高度可调的托管
KR101946819B1 (ko)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KR100979671B1 (ko) 삼각대용 카메라 연결보조장치
KR101616922B1 (ko) 차량용 거치대
CN211083401U (zh) 稳定器用拓展装置及稳定器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101170964B1 (ko) 카메라 지지장치
US8544127B2 (en) Foot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