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130A -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 Google Patents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130A
KR20120012130A KR1020100074088A KR20100074088A KR20120012130A KR 20120012130 A KR20120012130 A KR 20120012130A KR 1020100074088 A KR1020100074088 A KR 1020100074088A KR 20100074088 A KR20100074088 A KR 20100074088A KR 20120012130 A KR20120012130 A KR 20120012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tion
medicine
management service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김성
김수년
이욱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130A/ko
Publication of KR20120012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Abstract

종래에는, 약에 대한 신뢰를 전적으로 의료기관이나 약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약이 어떠한 약인지, 이전에 부작용 사례는 없었는지 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랩톱(laptop)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촬영하고, 그 촬영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의뢰한 비교/분석 결과, 예컨대 해당 의약품에 대한 정보, 복약 가이드(guide)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HARMACY MANAGEMENT SERVICE, CLIENT DEVICE AND SERVER FOR PHARMACY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복약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등과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촬영하고, 그 촬영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해당 의약품의 정확한 정보 및 최적의 복약 가이드(guide)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적합한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료는 의사가 제공하고, 약(조제)은 약사가 제공하는 의약분업 체계의 경우, 환자 및 병원고객은 해당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이에 따른 처방전을 받은 다음, 상기 처방전에 따른 약품(조제)은 약국에서 제공받는다(구입한다).
이와 같은 의약분업에 따른 의료기관의 진료 처방에서부터 약국의 약품 조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처방한 종이 처방전을 들고 약국에 들러 해당 처방전에 따른 약을 조제 받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이 처방전에 의해 의료기관의 처방이 약국에 전달되는 경우, 약을 그때 그때마다 조제 받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환자에 대한 진료이력과 처방이력 및 조제이력 등이 의료기관 및 약국에서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입장에서는 약에 대한 신뢰를 전적으로 의료기관이나 약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약이 어떠한 약인지, 이전에 부작용 사례는 없었는지 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랩톱(laptop)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촬영하고, 그 촬영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의뢰한 비교/분석 결과, 예컨대 해당 의약품에 대한 정보, 복약 가이드(guide)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자체 검색 및 분석하여 해당 의약품에 대한 정보 및 복약 가이드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복약관리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고, 제공된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한 후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 이전 복약이력 등을 검색하며, 검색한 결과로서 정확한 의약품 정보, 복약 가이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약관리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과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에 대한 문자인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의약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영상인식 처리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는, 기 설정된 의약품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이전 복약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복약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 및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의 이미지 정보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의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 및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의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하는 문자 및 영상 인식부와, 상기 문자 및 영상 인식부에 의해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한 결과물에 대해 기 저장된 의약품 정보 테이블과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저장된 의약품 정보 테이블과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에 기반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부와, 광대역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복약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서버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촬영된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의약품 이미지 정보를 영상 인식하는 영상 인식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 및 영상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처방전 인식 결과 및 의약품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되는 상기 의약품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의 과거 복약이력을 근거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서버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관리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처방전 또는 의약품을 촬영하는 과정과, 촬영되는 상기 처방전 또는 의약품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복약가이드 의뢰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복약가이드 의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은, 복약가이드 진단 서비스 요청시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하는 과정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의약품 정보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의약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과거 복약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상기 촬영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상기 촬영정보에서 의약품 이미지 정보를 영상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의 인식 결과에 대해 의약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의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가 존재하면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은,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의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의료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의약품 정보를 추가 및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랩톱(laptop)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촬영하고, 그 촬영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해당 의약품의 정확한 정보 및 최적의 복약 가이드(guide)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정보를 의뢰하여 촬영 정보를 서버 측에서 비교/분석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바, 의약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복약 정보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복약 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예를 들어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복약관리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클라이언트 단말의 복약관리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예를 들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의 복약관리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네트워크(200),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 클라이언트 정보 DB(DataBase)(302), 의약품 정보 DB(3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복약관리를 위한 의약품 정보 서비스, 의약품 복용 가이드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그룹으로서, 예를 들면 영상전화폰, 스마트폰(smart phone), 랩톱(laptop) 컴퓨터, 노트패드(notepad) 등의 다양한 형태의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후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내부에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등을 통해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 등을 사용자가 촬영할 수 있다. 다만, 처방전의 경우에는 의료기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또는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기 때문에, 처방전의 사진 촬영은 택일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후술하는 네트워크(200)와 광대역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 하여 가입자에게 광대역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네트워크(200)에 접속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은 다수, 또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후술하는 네트워크(200)와 근거리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 하여 가입자에게 근거리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근거리 무선통신 서비스는,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통신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여 복약관리를 위한 의약품 정보 서비스, 의약품 복용 가이드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처방전 사진정보(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사진정보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과, 처방전 사진정보 및 의약품 사진정보를 자체 인식 및 검색하여 복약관리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관측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서는 하기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네트워크(200)는 광대역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를 연결시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예컨대 의약품 정보 서비스, 의약품 복용 가이드 서비스 등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의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일 예의 구성을 갖는 기지국은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 호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 시도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을 제어하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cell)간 소프트 핸드 오버(soft hand-over) 및 하드 핸드 오버(hard hand-over)의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록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망 내의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교환기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 간의 근거리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컨대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제공되는 처방전 사진정보 및 의약품 사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처방전 사진정보에 대한 문자 인식 처리 및 의약품 사진정보에 대한 영상 인식 처리를 각각 수행하며, 문자 인식 처리 결과 및 영상 인식 처리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 결과에 따라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서비스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 및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정보 DB(302)는 상술한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관리되는 수단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각 클라이언트 인식 정보, 예를 들어 ID, 전화번호, 주소 등의 정보들과, 클라이언트의 과거 복약이력 정보, 현재의 처방전 및 의약품과 과거 복약이력 정보 간의 상관관계 등에 기반한 복약 가이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의약품 정보 DB(304)는 상술한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관리되는 수단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의약품 사진정보에 기반한 의약품 정보, 기 축적된 지식기반이 의약품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의약품 정보가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요청될 수 있다. 이때, 의약품 정보들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 명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제2의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 또는 인터넷 망에 연결된 제2의 건강지식 DB로부터 다양한 건강지식 정보들이 취합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이들 DB들(302)(304)은,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내의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입력부(102), 제어부(104), 촬영부(106), 근거리 통신부(108), 광대역 통신부(110), 표시부(112), 저장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02)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사용자 키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04)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06)의 구동을 위한 촬영 명령 신호, 촬영정보의 전송을 위한 전송 명령 신호 등이 제어부(104)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멀티미디어 동작을 위한 구동 제어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라 처방전 및 의약품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제어, 촬영된 사진정보를 광대역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광대역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촬영부(1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대상물, 예컨대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 등을 촬영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08)는, 예컨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와 접속되어 사용자에게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108)를 통해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이 네트워크(200),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광대역 통신부(110)는, 예컨대 이동통신 모듈, 와이브로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와 접속되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대역 통신부(110)를 통해 촬영부(106)에서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이 네트워크(200), 구체적으로 광대역 네트워크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정보, 예컨대 촬영부(106)를 통해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장부(114)는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정보들, 예를 들어 촬영부(106)를 통해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및 의약품 사진정보와, 근거리 통신부(108) 또는 광대역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필요에 따라 제어부(104)에 의해 상술한 정보들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내의 의료기관측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입력부(116), 제어부(118), 촬영부(120), 문자 및 영상 인식부(122), 근거리 통신부(124), 광대역 통신부(126), 표시부(128), 의약품 정보 테이블(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3의 실시예는 처방전이나 의약품을 촬영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촬영된 사진정보를 자체적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대해 자체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는 점이 차이점이며,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 추가적인 의약품 정보를 검색 의뢰할 수도 있으며, 자체적으로 테이블화된 의약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의료기관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지칭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16)는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사용자 키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18)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20)의 구동을 위한 촬영 명령 신호, 촬영정보의 전송을 위한 전송 명령 신호 등이 제어부(118)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8)는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멀티미디어 동작을 위한 구동 제어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라 처방전 및 의약품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제어, 촬영된 사진정보를 광대역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제어,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광대역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촬영부(120)는, 예를 들어 CCD 또는 CMO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8)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대상물, 예컨대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 등을 촬영할 수 있다.
문자 및 영상 인식부(122)는 촬영부(120)를 통해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를 문자 인식하거나, 촬영부(120)를 통해 촬영된 의약품 사진정보를 영상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제어부(118)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및 영상 인식부(122)의 구체적인 구성 및 인식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근거리 통신부(124)는, 예컨대 와이파이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와 접속되어 사용자에게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124)를 통해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이 네트워크(200),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광대역 통신부(126)는, 예컨대 이동통신 모듈, 와이브로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와 접속되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대역 통신부(126)를 통해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이 네트워크(200), 구체적으로 광대역 네트워크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128)는, 예를 들어 LCD 또는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8)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정보, 예컨대 촬영부(120)를 통해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 정보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의약품 정보 테이블(130)에는 기 설정된 의약품 정보 또는 촬영부(120)를 통해 촬영된 의약품 사진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어부(118)에 의해 상술한 정보들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의약품 정보는, 근거리 통신부(124) 또는 광대역 통신부(126)를 통해 미리 다운로드 된 사용자 설정 정보이거나,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검색되어 저장되는 실시간 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로서, 통신부(302), 서버 관리부(304), DB 관리부(306), 문자 인식부(308), 영상 인식부(3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302)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의 사진정보들, 예를 들어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을 수신하여 서버 관리부(304)로 제공하거나, 서버 관리부(304)로부터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복약 가이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 관리부(304)는 통신부(302)를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에 대해 문자 인식 또는 영상 인식 처리되도록 문자 인식부(308)와 영상 인식부(31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문자 인식부(308) 및 영상 인식부(310)를 통해 제공되는 문자 인식 결과 및 영상 인식 결과를 토대로 DB 관리부(306)에서 의약품 정보를 검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버 관리부(304)는, 이러한 DB 관리부(306)를 검색한 결과에 따라 처방전 및 의약품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 해당 의약품 정보 및 사용자의 이전 복약이력을 근거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통신부(30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DB 관리부(306)에는 기 저장된 의약품 정보들, 클라이언트 그룹(100)으로부터 제공된 의약품 사진정보들, 사용자의 복약이력을 근거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들은 서버 관리부(304)에 의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문자 인식부(308)는 통신부(302)를 통해 제공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처방전 사진정보를 분석하여 문자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인식된 문자를 서버 관리부(304)로 피드백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310)는 통신부(302)를 통해 제공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의약품 사진정보를 분석하여 영상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인식된 영상을 서버 관리부(304)로 피드백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을 첨부한 도 5 내지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예를 들어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복약관리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이 활성화되면(S500),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제어부(104)는 입력부(102)를 통해 복약관리 서비스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복약관리 서비스가 입력부(102)를 통해 선택되면, 제어부(104)는 복약관리 서비스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S504). 이때의 복약관리 서비스 모드는, 의료기관에서 발생된 처방전 및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을 환자측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정보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복약관리 서비스를 의뢰하거나,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처방전 및 의약품을 직접 인식하여 복약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4)에서 복약관리 서비스 모드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04)는 촬영부(106)를 통해 임의의 영상이 촬영되는지, 예컨대 처방전 또는 의약품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6).
처방전 또는 의약품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면, 제어부(104)는 입력부(102)를 통해 복약관리를 위한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8). 즉, 촬영부(106)를 통한 촬영 작업이 완료되고 난 후, 환자측으로부터 촬영된 사진정보에 대한 의약품 정보, 복약 가이드 정보 등을 제공받기 위한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면, 제어부(104)는 촬영부(106)를 통해 촬영된 촬영 정보, 즉 처방전 사진정보 및 의약품 사진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 통신부(108) 또는 광대역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510). 예컨대, 환자측에서 와이파이 등을 통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부(108)를 통해 해당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와이브로, WCDMA 등을 통한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는 광대역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200)는 근거리 통신부(108) 또는 광대역 통신부(110)를 통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S512), 여기서 의약품 정보는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가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정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정보를 의미하며, 복약 가이드 정보는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가 해당 처방전을 토대로 환자측의 이전 복약이력을 검토한 후 생성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04)는 해당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도록 표시부(112) 및 저장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S514).
이에 따라 표시부(112)에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저장부(114)에는 해당 정보가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14)에 저장된 정보는 추후 환자측에서 요청시 또는 의료기관에서 요청시에 복약이력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으로서, 도 5의 단계(S508)에서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복약관리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자체적으로 처방전/의약품 사진정보를 인식 및 검색할 수 있는 경우로서, 필요에 따라 환자측 클라이언트 단말도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료기관측 클라이언트 단말로 예시하기로 한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약관리 진단 서비스가 진행되면(S600), 클라이언트 단말2(100/2) 내의 제어부(118)는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에서 문자정보를 인식하고, 촬영된 의약품 사진정보에서 영상정보를 인식하도록 문자 및 영상 인식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S602)(S604).
이러한 문자정보 인식 및 영상정보 인식 결과는 제어부(118)로 피드백될 수 있으며, 제어부(118)에서는 문자 및 영상 인식부(122)의 인식 결과를 의약품 정보 테이블(130) 내에서 검색을 수행하여 해당 처방전 및 의약품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6).
처방전 및 의약품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18)는 자체 복약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부(128)를 통해 디스플레이 처리할 수 있다.
반면, 처방전 및 의약품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의약품 정보 테이블(130)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118)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로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는 상술한 도 5에서 이미 기술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예를 들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의 복약관리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S700),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촬영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02). 이때의 촬영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 의해 촬영된 처방전 사진정보, 의약품 사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통신부(302)를 경유하여 서버 관리부(304)로 제공될 수 있다.
촬영정보가 수신되면,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300)의 서버 관리부(304)는 처방전 사진정보에서 문자 인식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의약품 사진정보에서 영상 인식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문자 인식부(308) 및 영상 인식부(31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S704)(S706).
문자 인식부(308) 및 영상 인식부(310)를 통한 문자 인식 프로세스, 영상 인식 프로세스 진행이 완료되면, 서버 관리부(304)는 문자 인식 결과 및 영상 인식 결과를 문자 인식부(308) 및 영상 인식부(310)로부터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관리부(304)는, 문자 인식 결과 및 영상 인식 결과를 DB 관리부(306) 내에서 검색할 수 있다(S708).
이후, 서버 관리부(304)는 문자 인식 결과 및 영상 인식 결과, 즉 처방전 및 의약품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정보가 DB 관리부(306)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710),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면 서버 관리부(304)는 해당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12). 이때의 의약품 정보는 문자 인식 결과 및 영상 인식 결과에 따른 처방전 및 의약품 인식 결과에 대한 정확한 의약품 정보이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처방전 및 의약품 인식 결과와 클라이언트(환자)의 이전 복약이력을 토대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가 생성되면, 서버 관리부(304)는 해당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전송할 수 있다(S714).
반면, 처방전 및 의약품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서버 관리부(304)는 제2의 의료기관 서버(도시 생략됨)와 네트워크 연계를 요청할 수 있으며(S716), 제2의 의료기관 서버와 네트워크 연계될 경우에 서버 관리부(304)는 새로운 의약품 정보를 DB 관리부(306)에 추가 및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S71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폰, 노트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촬영하고, 그 촬영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해당 의약품의 정확한 정보 및 최적의 복약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정보를 의뢰하여 촬영 정보를 서버 측에서 비교/분석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등과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처방전 및 의약품 사진을 촬영하고, 그 촬영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해당 의약품의 정확한 정보 및 최적의 복약 가이드(guide)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바, 조제의 정확성,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 및 유의사항 정보, 혼합복용에 따른 문제점, 이전 복용약과의 상관관계 등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의료 서비스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병원 방문 시에도 다양한 복약 이력을 의료인에게 제시함으로써 환자별 맞춤형 의약품을 선별하여 조제할 수 있는 바, 개인별 의약품 정보의 공유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
200: 네트워크
300: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
110: 생체정보 측정부
112: 키 입력부
114: 제어부
116: 표시부
118: 햅틱 처리부
120: 저장부
122: 광대역 처리부
124: 근거리 통신부

Claims (15)

  1.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과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에 대한 문자인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의약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영상인식 처리를 각각 수행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는,
    기 설정된 의약품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이전 복약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복약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5.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 및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의 이미지 정보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6.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처방전 및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처방전 및 의약품의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하는 문자 및 영상 인식부와,
    상기 문자 및 영상 인식부에 의해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한 결과물에 대해 기 저장된 의약품 정보 테이블과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저장된 의약품 정보 테이블과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에 기반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부와,
    광대역 통신부를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복약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9.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촬영된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의약품 이미지 정보를 영상 인식하는 영상 인식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 및 영상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처방전 인식 결과 및 의약품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되는 상기 의약품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의 과거 복약이력을 근거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서버 관리부를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관리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서버.
  11. 처방전 또는 의약품을 촬영하는 과정과,
    촬영되는 상기 처방전 또는 의약품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복약가이드 의뢰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복약가이드 의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은,
    복약가이드 진단 서비스 요청시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인식 및 영상 인식하는 과정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의약품 정보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의약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과거 복약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14.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복약관리 의뢰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상기 촬영정보에서 처방전 이미지 정보를 문자 인식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상기 촬영정보에서 의약품 이미지 정보를 영상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의 인식 결과에 대해 의약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의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가 존재하면 의약품 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은,
    상기 처방전 이미지 정보 및 의약품 이미지 정보의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의약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의료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의약품 정보를 추가 및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복약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100074088A 2010-07-30 2010-07-30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120012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88A KR20120012130A (ko) 2010-07-30 2010-07-30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88A KR20120012130A (ko) 2010-07-30 2010-07-30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30A true KR20120012130A (ko) 2012-02-09

Family

ID=4583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088A KR20120012130A (ko) 2010-07-30 2010-07-30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130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717A1 (ko) * 2012-06-14 2013-12-19 (주)피시피아 안전성 및 정확성이 향상된 시약 관리 방법
KR101526494B1 (ko) * 2013-06-28 2015-06-05 주식회사 인포피아 중앙 조제 관리 시스템
WO2016093622A1 (ko) * 2014-12-09 2016-06-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60070029A (ko) * 2014-12-09 2016-06-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16126992A1 (en) * 2015-02-04 2016-08-11 1-800 Contacts, Inc. Purchasing interface
JP2019076787A (ja) * 2014-03-31 2019-05-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撮影装置
KR20200022036A (ko) * 2017-07-20 2020-03-02 프로테우스 디지털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섭취 가능한 전자 의료 기기
KR20200145931A (ko) * 2019-06-20 2020-12-31 주식회사 올리브헬스케어 임상시험참여자를 위한 의약품 이미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9929A (ko) * 2020-06-02 2021-12-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및 복약관리시스템
KR102412874B1 (ko) * 2021-07-27 2022-06-24 주식회사 제이엔제이테크 조제검수장치의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102518614B1 (ko) * 2021-11-16 2023-04-06 강재민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717A1 (ko) * 2012-06-14 2013-12-19 (주)피시피아 안전성 및 정확성이 향상된 시약 관리 방법
KR101526494B1 (ko) * 2013-06-28 2015-06-05 주식회사 인포피아 중앙 조제 관리 시스템
JP2019076787A (ja) * 2014-03-31 2019-05-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撮影装置
US10969218B2 (en) 2014-03-31 2021-04-06 Yuyama Mfg. Co., Ltd. Medicine photographing device
WO2016093622A1 (ko) * 2014-12-09 2016-06-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60070029A (ko) * 2014-12-09 2016-06-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07004242A (zh) * 2014-12-09 2017-08-01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以移动通信终端为基础的生活指导方法、移动通信终端及记录该方法的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WO2016126992A1 (en) * 2015-02-04 2016-08-11 1-800 Contacts, Inc. Purchasing interface
US11819337B2 (en) 2017-07-20 2023-11-21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Ingestible electronic medical device
KR20200022036A (ko) * 2017-07-20 2020-03-02 프로테우스 디지털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섭취 가능한 전자 의료 기기
KR20200145931A (ko) * 2019-06-20 2020-12-31 주식회사 올리브헬스케어 임상시험참여자를 위한 의약품 이미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9929A (ko) * 2020-06-02 2021-12-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및 복약관리시스템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102412874B1 (ko) * 2021-07-27 2022-06-24 주식회사 제이엔제이테크 조제검수장치의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518614B1 (ko) * 2021-11-16 2023-04-06 강재민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2130A (ko)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US10789555B2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160180045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used to track medical information at a hospital
KR20120076635A (ko)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
TWI546765B (zh) 用於針對大量人群提供協助服務的方法及裝置
KR102440361B1 (ko) 의약품의 정보를 식별하고 전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약품의 재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136891A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방법
CA3144086A1 (en) Context-based user interface to medical database
US11621062B2 (en) Secure medical alert and medical referral delivery using a cloud computing server in an online/offline mode
KR20140088464A (ko)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2016A (ko)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101746163B1 (ko) 전자처방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방법,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전자처방 서비스 인증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20120084998A (ko)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101374805B1 (ko) 병원 도우미 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304786B1 (ko) 민영 보험에 따른 보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TWI631528B (zh) 時程式處方箋領藥系統及其方法
US20210120116A1 (en)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electronic device
KR101282773B1 (ko)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220096784A (ko)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WO2019208976A1 (ko)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7810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태아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40282953A1 (en) Access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ccessing a protected communication service
KR102367099B1 (ko)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08396A1 (en) System to provide timely prescription information
WO2022203069A1 (ja) 投薬対象者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管理制御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