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289A -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289A
KR20220105289A KR1020210007809A KR20210007809A KR20220105289A KR 20220105289 A KR20220105289 A KR 20220105289A KR 1020210007809 A KR1020210007809 A KR 1020210007809A KR 20210007809 A KR20210007809 A KR 20210007809A KR 20220105289 A KR20220105289 A KR 2022010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information
unit
pharmacist
sub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000B1 (ko
Inventor
소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노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노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노랩스
Priority to KR102021000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0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며, 처방전 정보를 약국-약사의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고, 피처방자와 약국-약사와의 온라인 복약 상담이 진행되도록 매개하며, 처방전 정보에 따른 의약에 대한 소분팩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전산처리하는 중개 유닛; 및 중개 유닛으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피처방자의 피처방자 단말 유닛과 네트워킹하여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를 제공하며, 소분팩 정보를 수신하여 소분팩 정보를 컨펌하는 약사 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Mediation system for make individual small packing of medicine by using online medication counseling}
본 발명은 처방약의 소분할 제조를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자세하게는, 처방전 정보를 입수하고 해당 처방전 정보에 대한 약사와 피처방자의 복약 상담을 매개한 후, 복약 상담이 완료된 처방전은 소분할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소분할 제조된 소분팩은 최종 약사의 승인을 거치도록 하는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최근의 한 온라인 매체(의약통신 2020.11.18.)의 보도에 의하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미국 아마존이 약국 사업에 진출하여 최대 5000억달러, 한화 기준 약 553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미국 약국시장이 들썩이고 있다고 한다.
한국 시간 기준으로 2020년 11월 18일, 미국 로이터와 CNBC 등 보도에 따르면 세계 최대의 온라인몰 업체인 아마존은 2년전에 인수한 온라인 약국 필팩(Pill Pack)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아마존 파머시(Amazon Pharmacy)'라는 새로운 온라인 약국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아마존 파머시를 통하여 진행될 새로운 서비스의 경우, 합성 마취제인 오피오이드 같은 규제 약물 등을 제외한 모든 처방약에 대해 온라인 주문을 할 수 있고, 무료 배송도 가능하다고 한다.
아마존의 온라인 약국서비스는 하와이, 일리노이, 미네소타주 등 5개 주를 제외한 45개 주에서 18세 이상의 아마존 고객은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고 프라임 고객들은 무료배송 혜택까지 누릴 수 있다.  또 환자 본인이 아닌 의사도 처방전을 '아마존 파머시'에 직접 보낼 수 있다.
이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 배경은 아마존이 2018년 온라인 약국 ‘필팩’을 7억5300만달러에 인수해 관련 시스템 등을 갖췄기 때문이라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이러한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하여 기술적인 시도는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선행기술들 역시 일부 존재하고 있다.
예컨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약 조제 방법(공개번호 특2000-0037445, 특허문헌1)",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공개번호 10-2005-0018739, 특허문헌2)",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공개번호 10-2012-0012130, 특허문헌3)",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공개번호 10-2012-0042016, 특허문헌4)",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공개번호 10-2012-0084998, 특허문헌5)", "화상 복약 지도 기반 복약관리서버 및 그 방법(등록번호 10-1271333, 특허문헌6)",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공개번호 10-2020-0101244, 특허문헌7)", "스마트 홈용 의약품 보관 및 복약관리를 위한 지능형 정보관리시스템(공개번호 10-2019-0078752, 특허문헌8)",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등록번호 10-1920466, 특허문헌9)",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공개번호 10-2016-0022557, 특허문헌10)",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공개번호 10-2020-0063761, 특허문헌11)"들이 그러하다.
공개번호 특2000-0037445 공개번호 10-2005-0018739 공개번호 10-2012-0012130 공개번호 10-2012-0042016 공개번호 10-2012-0084998 등록번호 10-1271333 공개번호 10-2020-0101244 공개번호 10-2019-0078752 등록번호 10-1920466 공개번호 10-2016-0022557 공개번호 10-2020-0063761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처방전에 대한 복약 상담을 불특정 다수의 약사 중 하나를 통해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둘째, 피처방자는 온라인 복약 상담 후, 해당 처방전의 약을 비대면으로 배송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은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처방전 정보를 약국-약사의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고, 피처방자와 상기 약국-약사와의 온라인 복약 상담이 진행되도록 매개하며, 상기 처방전 정보에 따른 의약에 대한 소분팩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전산처리하는 중개 유닛; 및 상기 중개 유닛으로부터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피처방자의 피처방자 단말 유닛과 네트워킹하여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소분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분팩 정보를 컨펌하는 약사 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중개 유닛은, 획득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제한된 정보로 리스팅하여 불특정 약사 단말 유닛으로 제공하여 열람되도록 하는 리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약사 단말 유닛은, 리스팅된 상기 제한된 정보 중, 상기 약국-약사에 의해 특정 처방전 정보를 선택되도록 하며, 상기 약국-약사에 의해 선택된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전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약사 단말 유닛은, 선택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피처방자의 상기 피처방자 단말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를 제공하는 상담 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중개 유닛은, 약국-약사 별로 상기 리스팅된 제한된 정보의 선택할 수 있는 개수를 미리 설정된 설정 값에 의하여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값은, 약사별로 적용되는 균일값, 약국의 매출 규모, 개별 약국 내 약사 수, 약사의 경력 또는 개별 약사에 대한 소비자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상담 개시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의 제공이 완료되면, 상기 중개 유닛은, 상기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소분할 소분팩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외부의 서버 혹은 외부의 단말기로 전산적으로 요청하는 조제 오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소분팩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중개 유닛은, 상기 소분팩의 소분팩 이미지 정보를 상기 약사 단말 유닛으로 전송하는 소분팩 이미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약사 단말 유닛은, 상기 소분팩 이미지 전송부가 전송한 상기 소분팩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약국-약사에 의해 상기 소분팩의 제조가 상기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받는 조제 컨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는, 영상 통화 또는 문자 대화 또는 영상 통화 및 문자 대화를 통하여 상기 피처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피처방자는 약국의 방문 없이도 복약 상담과 약의 수령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약사는 대형 병원 등의 근접성 여부와 상관 없이 복약 관련 지도, 상담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 약사는 처방전에 대한 약 조제에 필요한 신체적 노동력을 제공할 필요 없이, 전문 지식의 판단과 제공인 복약 상담만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복약 상담은 온라인 네트워킹이 되는 곳이기만 하면 어디든지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소분할 약 포장 즉, 소분팩에 대한 검증을 약사에게 최종 컨펌하도록 하여 소분팩 제조 상에서의 오류를 최소화 한다.
다섯째, 약국의 약사 입장에서는 인근 병원에서 처방되는 처방약 위주의 약 재고 관리 문제와 이에 따른 타 병원에서 처방되는 처방약의 재고 부족 문제 그리고 기타 판매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약 재고에 따른 처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피처방자가 약국-약사의 지정 여부를 선택하여, 해당 처방전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병원으로부터 처방전이 약국-약사에 제시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국-약사는 자신의 단말기 상에서 제한된 정보의 형태로 제시된 것 중,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사와 피처방자 사이에 온라인 복약 상담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온라인 복약 상담이 이루어진 후, 처방전의 내용대로 의약이 소분팩으로 포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의약이 소분팩으로 포장된 후, 약사가 해당 소분팩의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사의 소분팩 확인 후, 해당 소분팩이 피처방자에게 배송되도록 처리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중개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사 단말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의 중개 서버가 미리 설정된 구획 라인에 따라 처방전 정보를 구획하여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피처방자가 약국-약사의 지정 여부를 선택하여, 해당 처방전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병원으로부터 처방전이 약국-약사에 제시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국-약사는 자신의 단말기 상에서 제한된 정보의 형태로 제시된 것 중,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사와 피처방자 사이에 온라인 복약 상담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온라인 복약 상담이 이루어진 후, 처방전의 내용대로 의약이 소분팩으로 포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의약이 소분팩으로 포장된 후, 약사가 해당 소분팩의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사의 소분팩 확인 후, 해당 소분팩이 피처방자에게 배송되도록 처리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중개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중 약사 단말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의 중개 서버가 미리 설정된 구획 라인에 따라 처방전 정보를 구획하여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h)에서 의료진이 처방한 처방전(10)을 중개 유닛(200)을 획득하고, 중개 유닛(200)은 해당 처방전(10)에 해당 피처방자(1)와 약사(2) 사이의 복약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매개함은 물론, 복약 상담이 이루어진 처방전(10)에 대해서는 소분팩(21)의 제조가 진행되도록 하고, 제조된 약 즉 소분팩(21)의 약사 검증이 이루어진 후에 피처방자(1)에게 해당 소분팩(21)이 배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유닛(200) 및 약사 단말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들 구성요소에서 언급하는 유닛(unit)의 의미는 특정한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의 단위체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유닛을 형용하는 기술적 사상이 구현되는 기술적 사상의 개념적 단위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유닛은 특정한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 그 자체가 아니라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 상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기능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피처방자(1)란 처방전을 처방받은 주체를 의미하는데, 보통 환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하겠다.
처방전(10)이란 의료진이 환자의 의료 행위의 일환으로 진행한 진찰을 통해 진단을 내리고 해당 진단에 대한 전문 혹은 기타 의약의 제조 혹은 조합을 위한 처방이 이루어진 공식 문서를 의미한다.
처방전(10)은 종이, 필름,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나, 처방전(10)은 발행, 발급되는 수단의 형태에 국한할 것은 아니며, 관계 법령이 허락하는 한 PDF 혹은 이미지 형태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처방전(10)은 병원(h)에서 의료진이 중개 유닛(200)으로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피처방자(1)가 자신의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을 통해 촬영하여 처방전(10)을 중개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 둘을 병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은 도 1에서는 모바일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에 도면부호 100을 가리키도록 하였으나,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은 이들 피처방자(1)가 소지하는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랩톱 PC, 데스크톱 PC, 태블릿PC 등의 형태에서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이 형용하는 기술적 기능과 그 하위 구성요소가 발현 시키는 기술적 기능이 구현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즉,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은 피처방자(1)가 자신의 모바일 스마트폰에 설친된 앱(application) 혹은 PC에 설치된 프로그램 혹은 이들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접속하는 웹 페이지 상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기능의 개념적 단위로 접근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방자(1)는 병원(h)에서 처방전(10)을 수령하게 되며, 이후 피처방자(1)는 이를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으로 처방전 정보(10' 참조)을 획득시키게 되며, 처방전 정보(10'참조)를 중개 유닛(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방자(1)는 처방전(10)에 대한 약국-약사(p, 2)의 지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h)의 의료진은 처방전(10)을 발급하게 되는데, 의료진은 해당 피처방자(1)의 해당 처방전(10)은 중개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h)의 의료진은 처방전(10)에 대한 약국-약사(p, 2)의 지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유닛(200)은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으로부터 처방전 정보(10' 참조)를 수신하며 처방전 정보(10' 참조)를 약국-약사(p, 2)의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고, 향후, 처방전 정보(10'참조)에 따른 의약에 대한 소분팩(21)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전산 처리한다.
미리 설정된 단말기는 결국 약사 단말 유닛(300)이 구현되는 장치가 될 수 있는데, 이 역시, 약사(2)가 온라인으로 복약 상담과 소분팩(21)의 육안 확인을 위한 단말기(데스크톱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다만, 약사 단말 유닛(300)은 위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사상의 개념적 단위인바, 프로그램 상 혹은 웹 페이지 상, 혹은 스마트폰 상에서 약사 단말 유닛(300)이 정의하는 개념과 그 하위 개념이 수행될 수 있다.
약사 단말 유닛(300)은 중개 유닛(200)으로부터 처방전 정보(10' 참조)를 수신하여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과 네트워킹 하여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를 제공(도 5 참조)하게 된다.
아울러, 약사 단말 유닛(300)은 소푼팩 정보(21' 참조)를 수신하여 소분팩 정보(21'참조)를 컨펌하게 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소분팩(21)은 처방전(10)에서 언급된 의약(20)들이 하나의 소포장 단위 내에 1회 복용 분량의 약들이 하나의 세트로 되어 포장된 단위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소분할된 팩의 약어로서 소분팩이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을 통해 피처방자(1)는 처방전 이미지(10')를 업로드 하면서 약국-약사(p, 2)의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은 처방전 정보 획득부(110) 및 약국 지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처방전 정보 획득부(110)는 피처방자(1)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처방전(10)을 촬영하여 처방전 이미지(10')를 획득하고 처방전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이다.
처방전 정보 획득부(110)는 단순히 처방전 이미지(10')를 획득할 수도 있으나, 처방전 이미지(10')의 획득과 더불어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능을 병행하여 처방전 이미지(10') 상의 문자적 정보도 함께 획득할 수도 있다.
약국 지정부(120)의 경우, 처방전 정보(10' 참조)에 기초하여 피처방자(1)로 하여금 약국-약사(p, 2)를 지정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약국 지정부(120)를 통하여, 피처방자(1)는 자신의 스마트폰 상에서 실행된 앱을 통해-혹은 웹 페이지 상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통해- 약국 지정 여부에서 "약국(혹은 약사) 지정"을 선택하고 이후, 항목 선택(미도시)에서 제시 혹은 검색된 약국-약사(p, 2)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약국-약사(p, 2)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중개 유닛(200)으로 전송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유닛(200)은 처방전 정보 전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처방자(1)가 약국-약사(p, 2)를 지정하는 경우, 중개 유닛(200)은 처방전 리스트를 불특정 다수의 약국-약사(p, 2)에게 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지정된 약국-약사(p, 2)에게 바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는 처방전 정보 전달부(220)가 수행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사 단말 유닛(300)은 처방전 정보 수신부(310), 및 상담 개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처방전 정보 수신부(310)의 경우, 지정된 약국-약사(p, 2)의 단말기(미도시)에 구비되어 처방전 정보(10'참조)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방전 정보는 처방전 이미지(10')만 의미할 수도 있고, 처방전 이미지(10')와 처방전(10) 내의 문자 정보들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 개시부(320)는 처방전 정보 수신부(310)가 처방전 정보(10' 참조)를 수신하면, 피처방자(1)의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을 통하여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2' 참조)를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약사(2)는 자신의 단말기 상에서 처방전(10)의 상대방 즉, 피처방자(1)에게 문자 대화 및/혹은 영상 통화(도 5 참조)를 통해 해당 처방전(10)에 대한 복약 상담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약사(2)가 영상 통화를 통해 혹은 문자 대화를 통해 전달하는 복약 상담 지도의 내용을 의미하게 된다.
만약, 피처방자(1) 혹은 병원(h)의 의료진이 약국-약사(p, 2)에 대한 임의 지정을 하지 않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유닛(200)은 복수의 불특정 다수의 약국-약사(p, 2)에게 처방전(10)의 리스트를 제공하게 된다.
중개 유닛(200)은 리스팅부(2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처방전 정보(10'참조)를 제한된 정보 예컨대, 처방전 약와 관련된 질병 혹은 주요한 약 이름 등만 타이틀로 하여 리스트(list, 미도시)화 하여 이를 복수의 불특정 다수의 약국-약사(p, 2)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시하도록 한다.
불특정 다수의 약국-약사(p, 2)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제한된 정보의 리스트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약사 단말 유닛(300)의 경우, 처방전 정보 수신부(310) 및 상담 개시부(320)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포함하는데, 처방전 정보 수신부(310)는 특정 처방전 정보를 특정 약국-약사(p, 2)가 지정하여 선택(도 4 참조)하면 선택된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상담 개시부(3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방전 정보(10' 참조)를 수신하면 피처방자(1)의 피처방자(1)의 피처방 단말 유닛(100)을 통하여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 예컨대, 영상 통화를 이용한 복약 상담이나 문자 대화를 통한 복약 상담을 전달한다.
약국-약사(p, 2)는 리스팅된 제한된 정보 즉, 처방전(10)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개수가 시간별, 일별, 혹은 월별 미리 설정된 설정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설정 값은, 시간별, 일별, 혹은 월별로 약사(2) 별로 혹은 약국(p) 별로 지정할 수 있는데, 약국(p) 별 약사(2)의 머리수로 카운트 할 수도 있으며, 약사(2) 별로는 개별 약사(2)의 계약 내용에 따라 달리 지정 가능하되, 약사(2)의 개별 복약 지도의 퀄리티나 고객(피처방자)들의 평가 점수 혹은, 약사 경력, 소분팩 컨펌 오류 확률 등에 따라 달리 지정가능하다.
상담 개시부(320)에 의해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의 제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방자 단말 유닛(100)의 상담 수신부(130)를 통하여 피처방자(1)는 위 복약 상담을 접하게 된다.
중개 유닛(200)은 복약 상담이 끝나면, 조제 오더부(230) 및 소분팩 이미지 전송부(240)의 구성을 통하여 후속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제 오더부(230)는 외부의 서버(미도시) 혹은 외부의 단말기(미도시)로 처방전 정보(10' 참조)에 기초하여 소분할된 소분팩(21)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전산적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중개 유닛(200)은 외부 기관 예컨대, 의약 제조 공장이나 의약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약국, 혹은 의약 제조가 법률적으로 허용된 곳의 서버나 단말기에 처방전(10)에 기초한 소분팩(21)이 만들어지도록 전산적으로 네트워킹 요청하게 된다.
소분팩 이미지 전송부(240)는 소분팩(21)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분팩(21')의 소분팩 이미지 정보(21')를 약사 단말 유닛(3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약사는 위 소분팩 이미지 정보(21')를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접하게 되면, 앞서 검토한 처방전(10)의 내용대로 소분팩(21)이 제조되었는지 육안 확인한다.
이후, 약사 단말 유닛(300)은 조제 컨펌부(330)를 포함하게 되는데, 조제 컨펌부(330)를 통하여 약사(2)는 소분팩(21)에 대한 컨펌을 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중개 유닛(200)은 배송 요청부(250)를 통하여 해당 소분팩(21)이 피처방자(1)의 주소로 배송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서버(200)의 처방전 정보 전달부(220)는 획득한 처방전 정보(10'참조)의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전 정보(10' 참조)는 미리 설정된 구획 라인에 따라 랜덤하게 분할하게 되는데, 이렇게 미리 설정된 구획 라인이 가지는 규칙은 중개 서버(200)만이 가지고 있게 된다.
약사(2) 중, 리스팅된 제한된 정보를 열람하고자 하는 약사(2)는 해당 리스팅된 처방전 정보(10' 참조)에서 선택하면 자신의 약사법에 의거한 약사 코드 혹은 약사 면허증 번호를 입력하여, 선택한 처방전 정보(10' 참조)를 약사법에 의거한 비밀 준수 의무와 책무에 기반하여 열람하게 된다.
약사(2)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선택한 처방전 정보(10' 참조)를 열람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구획 라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분할된 처방전 정보(10' 참조)의 재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약사(2)는 온전한 처방전 정보(2)를 획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h: 병원 p: 약국
1: 피처방자 2: 약사
2': 복약 상담 10: 처방전
10': 처방전 이미지 20: 의약
21: 소분팩 21': 소분팩 이미지
100: 피처방자 단말 유닛
200: 중개 유닛(intermediation unit) 210: 리스팅부
220: 처방전 정보 전달부 230: 조제 오더부
240: 소분팩 이미지 전송부 250: 배송 요청부
300: 약사 단말 유닛 310: 처방전 정보 수신부
320: 상담 개시부 330: 조제 컨펌부

Claims (10)

  1.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처방전 정보를 약국-약사의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고, 피처방자와 상기 약국-약사와의 온라인 복약 상담이 진행되도록 매개하며, 상기 처방전 정보에 따른 의약에 대한 소분팩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전산처리하는 중개 유닛; 및
    상기 중개 유닛으로부터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피처방자의 피처방자 단말 유닛과 네트워킹하여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소분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분팩 정보를 컨펌하는 약사 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유닛은,
    획득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제한된 정보로 리스팅하여 불특정 약사 단말 유닛으로 제공하여 열람되도록 하는 리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사 단말 유닛은,
    리스팅된 상기 제한된 정보 중, 상기 약국-약사에 의해 특정 처방전 정보를 선택되도록 하며, 상기 약국-약사에 의해 선택된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전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사 단말 유닛은,
    선택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피처방자의 상기 피처방자 단말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를 제공하는 상담 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유닛은,
    약국-약사 별로 상기 리스팅된 제한된 정보의 선택할 수 있는 개수를 미리 설정된 설정 값에 의하여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값은,
    약사별로 적용되는 균일값, 약국의 매출 규모, 개별 약국 내 약사 수, 약사의 경력 또는 개별 약사에 대한 소비자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개시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의 제공이 완료되면,
    상기 중개 유닛은,
    상기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소분할 소분팩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외부의 서버 혹은 외부의 단말기로 전산적으로 요청하는 조제 오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분팩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중개 유닛은,
    상기 소분팩의 소분팩 이미지 정보를 상기 약사 단말 유닛으로 전송하는 소분팩 이미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사 단말 유닛은,
    상기 소분팩 이미지 전송부가 전송한 상기 소분팩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약국-약사에 의해 상기 소분팩의 제조가 상기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받는 조제 컨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복약 상담 정보는,
    영상 통화 또는 문자 대화 또는 영상 통화 및 문자 대화를 통하여 상기 피처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1020210007809A 2021-01-20 2021-01-20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10253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09A KR102537000B1 (ko) 2021-01-20 2021-01-20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09A KR102537000B1 (ko) 2021-01-20 2021-01-20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89A true KR20220105289A (ko) 2022-07-27
KR102537000B1 KR102537000B1 (ko) 2023-05-26

Family

ID=8270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809A KR102537000B1 (ko) 2021-01-20 2021-01-20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000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45A (ko) 2000-04-25 2000-07-05 이상연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약 조제 방법
KR20050018739A (ko) 2004-06-09 2005-02-28 김선환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20012130A (ko) 2010-07-30 2012-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120042016A (ko) 2010-10-22 2012-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20120084998A (ko) 2011-01-21 2012-07-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101271333B1 (ko) 2011-11-25 2013-06-04 박진환 화상 복약 지도 기반 복약관리서버 및 그 방법
KR20150046844A (ko) * 2013-10-23 2015-05-04 한병삼 자동 약 포장 장치
KR20160022557A (ko) 2014-08-20 2016-03-02 최영숙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0466B1 (ko) 2017-08-18 2018-11-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KR20190078752A (ko) 2017-12-27 2019-07-05 김종모 스마트 홈용 의약품 보관 및 복약관리를 위한 지능형 정보관리시스템
KR20200010725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00101244A (ko) 2019-02-19 2020-08-27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45A (ko) 2000-04-25 2000-07-05 이상연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약 조제 방법
KR20050018739A (ko) 2004-06-09 2005-02-28 김선환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20012130A (ko) 2010-07-30 2012-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120042016A (ko) 2010-10-22 2012-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20120084998A (ko) 2011-01-21 2012-07-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101271333B1 (ko) 2011-11-25 2013-06-04 박진환 화상 복약 지도 기반 복약관리서버 및 그 방법
KR20150046844A (ko) * 2013-10-23 2015-05-04 한병삼 자동 약 포장 장치
KR20160022557A (ko) 2014-08-20 2016-03-02 최영숙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0466B1 (ko) 2017-08-18 2018-11-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KR20190078752A (ko) 2017-12-27 2019-07-05 김종모 스마트 홈용 의약품 보관 및 복약관리를 위한 지능형 정보관리시스템
KR20200010725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00101244A (ko) 2019-02-19 2020-08-27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000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8410B2 (en) Integrated electronic patient health care data coordination system
US20140156064A1 (en) Techniques to deliver multiple medications in a synchronized manner
US20200082327A1 (en) Healthcare system for recording and monitoring transactions of system participants
US11948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dispensing medication
US20130238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d utilizing family medical history
KR101920466B1 (ko)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KR102323436B1 (ko) 맞춤형 건강 기능식의 제조 및 유통 이력 추적 시스템
KR20160022557A (ko)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411546A (zh) 藥歷資訊管理方法及系統
US11676692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confirmation and verification requests based on electronic prescriptions
JP6338957B2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851260A (zh) 向目标人群选择性提供信息的方法和系统
KR102537000B1 (ko)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US20210082557A1 (en) Pharmacy/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care provider, order and service management system
Sanna et al. e-Health
KR102536999B1 (ko)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JP2002215808A (ja) オンライン薬剤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10313031A1 (en)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verification of pharmacy prescription preparation
JP2014059922A (ja) 薬剤の処方を確実に適切に行う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A2836162A1 (en) Modularization for prescription fulfillment and adherence
JP6954966B2 (ja) 薬局連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91069B1 (ko) 온라인 컨설팅을 이용한 섭취 제품의 선택적 결제 펜딩 시스템
JP7361559B2 (ja) お薬情報閲覧システム、中継サーバおよび医療機関端末
KR102518614B1 (ko)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JP7481053B1 (ja) 薬剤支援システム、薬剤支援方法、及び薬剤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