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016A -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016A
KR20120042016A KR1020100103473A KR20100103473A KR20120042016A KR 20120042016 A KR20120042016 A KR 20120042016A KR 1020100103473 A KR1020100103473 A KR 1020100103473A KR 20100103473 A KR20100103473 A KR 20100103473A KR 20120042016 A KR20120042016 A KR 2012004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escription
information
client terminal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년
윤경아
이욱재
김경태
김남규
송상준
우병욱
배수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2016A/ko
Publication of KR2012004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종래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기술은, 전자처방전에 기록된 약에 대한 신뢰를 전적으로 의료기관이나 약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환자 입장에서 해당 약이 어떠한 약인지, 이전에 부작용 사례는 없었는지 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단말,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단말에서 발행된 전자처방전을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되, 환자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에 대한 복약정보 문의에 대응하여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의 복약 가이드(guide) 정보를 환자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에 대한 객관성 및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 PRESCRIPTION SERVICE, CLIENT DEVICE AND APPARATUS FOR ELECTRIC PRESCRIPTION SERVICE}
본 발명은 전자처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러폰, 영상전화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랩탑(laptop)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단말을 통해 전자처방전을 발행하고, 발행된 전자처방전에 대한 의사의 복약 가이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는데 적합한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료는 의사가 제공하고, 약(조제)은 약사가 제공하는 의약분업 체계의 경우, 환자 및 병원고객은 해당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이에 따른 처방전을 받은 다음, 상기 처방전에 따른 약품(조제)은 약국에서 제공받는다(구입한다).
이와 같은 의약분업에 따른 의료기관의 진료 처방에서부터 약국의 약품 조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처방한 종이처방전을 들고 약국에 들러 해당 처방전에 따른 약을 조제 받게 된다.
종이처방전을 약국으로 직접 가져가 제출하는 경우에는 의사가 기록한 처방 의약품의 식별문제, 처방 또는 조제 오류로 인한 문제 발생의 책임소재 등이 불투명하고, 환자 입장에서 보면 병원에 가서 의사에게 진료를 받고 처방전을 받아서 다시 약국에서 약품을 조제해야 하는 등 시간적으로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전자처방전 서비스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전자처방전 서비스 기술은 병원측 단말에서 발행된 처방전을 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약국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약품 조제의 정확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처방전 서비스 기술은, 의료기관의 처방전이 약국에 전달되는 경우, 약을 그때 그때마다 조제 받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환자에 대한 진료이력과 처방이력, 조제이력 등이 의료기관 및 약국에서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입장에서는 약에 대한 신뢰를 전적으로 의료기관이나 약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약이 어떠한 약인지, 이전에 부작용 사례는 없었는지 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단말,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단말에서 발행된 전자처방전을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되, 환자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에 대한 복약정보 문의에 대응하여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의 복약 가이드(guide) 정보를 환자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에 대한 객관성 및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정 시간 내에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을 경우에, 자체 의약품 DB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환자측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의료기관측 단말에서 발행된 전자처방전을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해당 전자처방전에 대한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를 문의하고, 문의 결과에 따른 복약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자측 단말에서 전송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자메일, 메신저 등을 통해 의료기관측 단말로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를 실시간 문의하고, 이에 대응하는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처방전 및 복약 가이드 정보의 생성 및 전송이 가능한 제1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전자처방전의 복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를 생성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상기 질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전자처방전의 생성 또는 표시 또는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확인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처방전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처방전의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자처방전을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질의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전자처방전의 조회를 위한 확인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처방전을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전자처방전에 대한 질의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처방전 및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상기 질의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의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의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또는 전자메일 또는 메신저 중 어느 하나의 전송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 및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에서의 전자처방전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 또는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처방전을 수신한 후 상기 전자처방전을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자처방전에 대한 질의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질의정보에 대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은 의료기관측 단말이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은 환자측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정보 및 의약품 정보 및 전자처방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관리부는,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의약품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의약품 정보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의정보는, 의약정보 또는 복약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처방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생성된 전자처방전을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처방전에 대한 질의정보가 상기 환자측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질의정보를 상기 의료기관측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정보에 대한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처방 서비스 방법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자체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단말,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단말에서 발행된 전자처방전을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되, 환자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에 대한 복약정보 문의에 대응하여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의 복약 가이드(guide) 정보를 환자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에 대한 객관성 및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내에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을 경우에, 기 저장된 의약품 DB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환자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자처방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클라이언트 단말1(100/1),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네트워크(200),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 클라이언트 정보 DB(DataBase)(402), 의약품 정보 DB(404), 전자처방전 DB(4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처방 서비스, 의약정보 제공 서비스, 복약 가이드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단말 그룹(multimedia device group)으로서, 예를 들면 셀룰러폰, 영상전화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랩톱(laptop)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데스크톱(desktop) 컴퓨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기능 및 역할에 따라 의료기관측 단말 또는 환자측 단말 또는 약국측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이나 무선에 특별이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후술하는 네트워크(200)와 광대역 접속으로 인터페이스 하여 가입자에게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2세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를 지원하는 무선 환경과,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선 환경을 모두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후술하는 네트워크(200)와 근거리 접속으로 인터페이스 하여 가입자에게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근거리 통신 서비스는,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 서비스,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유선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와 통신하여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전자처방전의 생성 및 저장, 전자처방전의 표시, 전자처방전의 전송 및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의 질의,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의 전송 및 수신 등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서 의료기관측 단말은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를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환자측 단말은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전자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해당 전자처방전에 대한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를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 질의하고 해당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의 질의에 대응하는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서는 하기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네트워크(200)는 광대역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를 연결시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 예컨대 전자처방 서비스, 의약정보 제공 서비스, 복약 가이드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광대역 통신망은 광대역 무선 통신망과 광대역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의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광대역 무선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일 예의 구성을 갖는 기지국은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 호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 시도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을 제어하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cell)간 소프트 핸드 오버(soft hand-over) 및 하드 핸드 오버(hard hand-over)의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록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망 내의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교환기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광대역 유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으로서,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1(100/1)이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네트워크(200) 내의 근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유선 통신망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유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 간의 근거리 유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컨대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의료기관의 관리 시스템, 예를 들어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등의 관리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으며, 의료기관측 단말(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전자처방전을 환자측 단말(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2(100/2)) 및 약국측 단말(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3(10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약국측 단말로부터 전자처방전 조회가 요청되면, 환자측 단말과의 인증 과정을 통해 전자처방전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유효성 검사가 성공될 경우에 해당 전자처방전을 약국측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관측 단말에서 발행된 전자처방전을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고, 환자측 단말로부터 의약정보 및/또는 복약정보에 대한 문의가 있으면 해당 문의 메시지를 의료기관측 단말로 전송하며,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의약정보 및/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정보를 환자측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일정 시간 내에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응답(복약 가이드 정보)이 없을 경우에 의약품 DB를 검색하여 그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환자측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서비스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정보 DB(402)는 상술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각 클라이언트 인식 정보, 예를 들어 ID, 전화번호, 주소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의약품 정보 DB(404)는 상술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특정 의약품 정보가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요청될 수 있다. 이때, 의약품 정보 DB(404)에 저장되는 의약품 정보들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별도의 지식 DB와 연결되어 제공되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처방전 DB(406)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처방전이 임시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전자처방전이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요청될 수 있다.
이들 DB들(402)(404)(406)은,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내의 의료기관측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입력부(102), 제어부(104), 통신부(106), 저장부(108), 표시부(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02)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사용자 키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04)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 생성 및 표시를 위한 확인 신호,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 저장 및 전송을 위한 확인 신호 등이 제어부(104)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이 환자측 단말인 경우에는, 의약정보 및/또는 복약정보의 조회 및 문의를 위한 요청 신호가 제어부(104)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의 멀티미디어 동작을 위한 구동 제어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라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의 생성을 위한 제어, 생성된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의 전송을 위한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6)는, 예컨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UWB(Ultra Wide Band)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LAN 통신 모듈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과, WCDMA 통신 모듈, 와이브로 통신 모듈,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광대역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와 접속되어 사용자에게 근거리 통신 서비스 및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를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복약정보(또는 의약정보)에 대한 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장부(108)는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정보들, 예를 들어 생성된 전자처방전(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을 저장하거나,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되는 복약정보(또는 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필요에 따라 제어부(104)에 의해 상술한 정보들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정보, 예컨대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정보 또는 의약정보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 예컨대 전자처방전 전송 서비스, 복약정보 및 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 전송 서비스, 복약 가이드 정보 및 의약정보 전송 서비스 등을 위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로서, 통신부(302), 서버 관리부(304), DB 관리부(3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302)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부터의 전자처방전 또는 의약정보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 등을 수신하여 서버 관리부(304)로 제공하거나, 서버 관리부(304)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정보(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 등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관리부(304)는 통신부(302)를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약국측 단말의 전자처방전 조회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환자측 단말과의 인증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 관리부(304)는 통신부(302)를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단말의 전자처방전 또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를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02)를 제어하며, 환자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복약정보(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를 의료기관측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02)를 제어할 수 있다.
DB 관리부(306)는 상술한 클라이언트 DB(402), 의약품 DB(404), 전자처방전 DB(406)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 서비스 방법을 첨부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의료기관측 단말을 클라이언트 단말1(100/1), 환자측 단말을 클라이언트 단말2(100/2), 약국측 단말을 클라이언트 단말3(100/3)으로 각각 예시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 의해 전자처방전이 생성되면, 생성된 전자처방전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S200).
전자처방전을 수신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해당 전자처방전을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 전송할 수 있다(S202). 이에 따라, 환자측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2(100/2)는 수신한 전자처방전을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사용자가 약국을 방문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100/2)에 저장된 전자처방전을 약국측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3(100/3)을 통해 확인시킬 수 있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2(100/2)의 전자처방전을 확인한 클라이언트 단말3(100/3)은 해당 전자처방전이 유효한지를 검사하기 위해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 전자처방전을 조회할 수 있다(S204).
클라이언트 단말3(100/3)으로부터 전자처방전 조회를 요청받은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클라이언트 단말2(100/2)과의 인증 과정을 통해 해당 전자처방전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S206).
유효성 검사가 성공될 경우에,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클라이언트 단말1(100/2)로부터 전송된 전자처방전을 클라이언트 단말3(100/3)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S208), 클라이언트 단말3(100/3)에서는 해당 전자처방전을 수신 및 저장하고, 수신 및 저장되는 전자처방전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3(100/3)의 사용자(예컨대, 약사)는 해당 전자처방전을 참조하여 약을 조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술한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어 의약정보 또는 복약정보에 대해 환자가 의사에게 추가적으로 확인을 받고 싶거나, 향후 복약에 따른 증상 등을 의사에게 세부적으로 문의하고자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환자 개인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을 통해 해당 의약품과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정보로 인한 피해, 예를 들면 약물 오남용에 의한 의료사고 등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자가 의사에게 직접 복약정보(의약정보)에 대해 질의하고, 그 결과로서 의사의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를 환자에게 실시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 입장에서 전자처방전에 대한 객관성 및 정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단계(S210)에서와 같이, 복약정보(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가 환자측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부터 수신될 경우에,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해당 질의정보를 의료기관측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전달할 수 있다(S212).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복약정보(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가 전달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서는 해당 복약정보(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이렇게 생성된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는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S214).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를 수신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는 해당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환자측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 전송할 수 있다(S216).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처방전, 복약정보(의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 복약 가이드 정보(의약정보) 등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서의 전송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자메일, 메신저, 쪽지 등을 이용하여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와 통신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단계(S212)에서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가 복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를 의료기관측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 전송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응답(복약 가이드 정보의 수신)이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의사측 단말 또는 의료기관측 단말에서 환자측 질의 내용에 대해 즉시 응답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네트워크(200)의 장애 등으로 인해 환자측 단말의 질의 정보, 또는 의사측 단말의 복약 가이드 정보가 송수신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가 의약품 DB(404)를 통해 해당 의약정보에 대한 의약품 정보, 복약 가이드 정보 등을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 등을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300) 측에서 생성된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환자측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2(100/2)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단말, 예를 들어 의료기관측 단말에서 발행된 전자처방전을 약국측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환자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에 대한 복약정보 문의에 대응하여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의 복약 가이드 정보를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였으며, 일정 시간 내에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을 경우에, 기 저장된 의약품 DB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에 대한 복약정보 문의에 대응하여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의 복약 가이드 정보를 환자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에 대한 객관성 및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내에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을 경우에도 기 저장된 의약품 DB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환자측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자처방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바, 보다 신뢰성 있는 의료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모바일 전자처방 서비스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
200: 네트워크
300: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
302: 통신부
304: 서버 관리부
306: DB 관리부
402: 클라이언트 DB
404: 의약품 DB
406: 전자처방전 DB

Claims (12)

  1. 전자처방전 및 복약 가이드 정보의 생성 및 전송이 가능한 제1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전자처방전의 복약정보에 대한 질의정보를 생성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상기 질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2.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전자처방전의 생성 또는 표시 또는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확인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처방전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처방전의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자처방전을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질의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3.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전자처방전의 조회를 위한 확인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처방전을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전자처방전에 대한 질의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전자처방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의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처방전 및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상기 질의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는, 의약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정보 및 복약 가이드 정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또는 전자메일 또는 메신저 중 어느 하나의 전송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 및 전송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6.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에서의 전자처방전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 또는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처방전을 수신한 후 상기 전자처방전을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자처방전에 대한 질의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질의정보에 대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관리부를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은 의료기관측 단말이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은 환자측 단말인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정보 및 의약품 정보 및 전자처방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관리부는,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의약품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의약품 정보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정보는, 의약정보 또는 복약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장치.
  11.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생성된 전자처방전을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처방전에 대한 질의정보가 상기 환자측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질의정보를 상기 의료기관측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정보에 대한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상기 환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방 서비스 방법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의료기관측 단말로부터 상기 복약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자체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복약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처방 서비스 방법.
KR1020100103473A 2010-10-22 2010-10-22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20120042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73A KR20120042016A (ko) 2010-10-22 2010-10-22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73A KR20120042016A (ko) 2010-10-22 2010-10-22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016A true KR20120042016A (ko) 2012-05-03

Family

ID=4626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473A KR20120042016A (ko) 2010-10-22 2010-10-22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20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20230030746A (ko)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컨설팅을 이용한 섭취 제품의 선택적 결제 펜딩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20230030746A (ko)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컨설팅을 이용한 섭취 제품의 선택적 결제 펜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635A (ko)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
Akter et al. mHealth-an ultimate platform to serve the unserved
US8516122B2 (en) Emergency information services
US10049368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compliant messaging services
CN110795433B (zh) 一种处方信息存储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20120012130A (ko) 복약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복약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Rao et al. Dhatri-A Pervasive Cloud initiative for primary healthcare services
US11166135B2 (en) Registering and associating multiple user identifiers for a service on a device
US201301663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KR20130136891A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방법
KR20120075629A (ko)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치 및 스마트카드,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EP4140160A1 (en) Maintaining access to services via sim card
US20220255740A1 (en) Device-relationship based communication
Wiweko et al. Overview the development of tele health and mobile health application in Indonesia
KR20120042016A (ko)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Smailovic et al. Bfriend: Context-aware ad-hoc social networking for mobile users
US202000197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Medical Communication
KR101282773B1 (ko)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120084998A (ko)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20120084935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상담 시스템, 원격 상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746163B1 (ko) 전자처방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방법,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전자처방 서비스 인증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Hameed et al. Medical emergency and healthcare model: Enhancemet with SMS and MMS facilities
Adigun et al.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mobile telenursing system for developing countries
KR20220096784A (ko)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Kshetri IT in the Chinese healthcare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13

Effective date: 201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