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557A -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557A
KR20160022557A KR1020140108267A KR20140108267A KR20160022557A KR 20160022557 A KR20160022557 A KR 20160022557A KR 1020140108267 A KR1020140108267 A KR 1020140108267A KR 20140108267 A KR20140108267 A KR 20140108267A KR 20160022557 A KR20160022557 A KR 20160022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medication
prescrip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숙
손명숙
Original Assignee
최영숙
손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숙, 손명숙 filed Critical 최영숙
Priority to KR102014010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557A/ko
Publication of KR2016002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약품 처방전에 기반한 해당 약품의 복약방법 및 약품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상기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 정보 및 복약지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 조제정보 서버; 상기 조제정보 서버로부터 처방전 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 의약품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내용을 차트 형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열람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무선의 열람단말기를 통하여 조제정보 서버에 접속 후 환자의 처방 내역 확인 및 처방된 약품을 확인하여 조제하고, 열람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약품의 복약설명을 환자에게 진행하면서 이에 대한 설명 자료를 환자와 공유하도록 하여, 환자 입장에서는 복약 지도에 대한 설명을 잊어버려도 추후 복약 지도에 대한 설명을 다시 확인할 수 있고, 약사 입장에서는 처방 약품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복약설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mart Teaching Medicine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약품 처방전에 기반한 해당 약품의 복약방법 및 약품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 분업 제도가 시행되면서 전문 의약품은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조제되고 있다.
그런데 약사로서는 다양한 처방 약품에 대해 항상 모든 정보를 정확히 알고 있기는 어렵기 때문에, 복약 지도 정보가 부족하거나 부정확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문 의약품뿐만 아니라 일반 의약품의 경우에도, 다수의 제약 회사에서 끊임없이 신약을 개발 시판하고 있는 등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이제까지의 약품과는 차이가 큰 신약이 개발되어 시판될 가능성이 큰 점을 고려해 보면, 약사가 주지하고 있어야 할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는 한층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다양한 약품에 대한 정확한 복약 지도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약사의 지식 또는 기억력에 의존하여 복약 지도를 하는 비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부정확한 인간의 기억력으로 인하여 잘못된 복약 지도를 하거나, 복약 지도해야 할 사항이 일부 누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품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얻지 못한 환자에게 복약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입장에서는 약사가 정확한 복약 지도 정보를 알려주었다고 하더라도, 그 내용을 잊어버릴 수도 있고, 특히 여러 종류의 약품을 조제 받는 경우에는 각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모두 기억하기는 어려우므로 복약시 곤란한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408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의 열람단말기를 통하여 조제정보 서버에 접속 후 환자의 처방 내역 확인 및 처방된 약품을 확인하여 조제하고, 열람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약품의 복약설명을 환자에게 진행하면서 이에 대한 설명 자료를 환자와 공유하도록 하여, 환자 입장에서는 복약 지도에 대한 설명을 잊어버려도 추후 복약 지도에 대한 설명을 다시 확인할 수 있고, 약사 입장에서는 처방 약품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복약설명을 할 수 있는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복약 지도 방법은 (a) 이동형 열람단말기가 환자의 검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조제정보 서버에 저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 의약품정보를 이동형 열람단말기로 제공받아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내용을 차트 형태로 생성하여 이동형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이동형 열람단말기에 구비된 영상촬영수단 또는 음성녹음수단을 통하여 복약지도 내용을 영상촬영 또는 음성녹음 하는 단계; (d)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녹음수단으로 녹음된 음성자료를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자료를 환자와 공유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처방조제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조제목록버튼, 약국에서 제공하는 건강 컨설팅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컨설팅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컨설팅표시부에는 환자의 조제 의약품에 포함된 의약품 복용에 연관되어 건강 회복 속도의 증가를 위한 보조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적 정보에는 조제 의약품에 효능을 증진시키는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정보 또는 건강 회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생활습관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은 환자의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상기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 정보 및 복약지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 조제정보 서버; 상기 조제정보 서버로부터 처방전 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 의약품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내용을 차트 형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형 열람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동형 열람단말기에는 영상촬영수단 또는 음성녹음수단을 구비하여 복약지도 내용을 영상촬영 또는 음성녹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녹음수단으로 녹음된 음성자료는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자료는 환자와 공유되고; 상기 이동형 열람단말기에는 처방조제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조제목록버튼 및 약국에서 제공하는 건강 컨설팅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컨설팅표시부가 구비된다.
상기 컨설팅표시부에는 환자의 조제 의약품에 포함된 의약품 복용에 연관되어 건강 회복 속도의 증가를 위한 보조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보조적 정보에는 조제 의약품에 효능을 증진시키는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정보 또는 건강 회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생활습관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열람단말기는 차트의 로고가 표시된 로고표시부, 차트의 제목이 표시된 타이틀표시부, 미처리 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미처리표시부, 검색 수행을 위한 검색버튼부, 약품 검색을 위한 약품검색버튼, 약국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팜스토어버튼, 약국에서 최다 판매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히트상품버튼,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더보기버튼, 약국과 시스템운영자가 공지하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공지표시부, 시스템운영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광고표시부 및 상세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내용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무선의 열람단말기를 통하여 조제정보 서버에 접속 후 환자의 처방 내역 확인 및 처방된 약품을 확인하여 조제하고, 열람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약품의 복약설명을 환자에게 진행하면서 이에 대한 설명 자료를 환자와 공유하도록 하여, 환자 입장에서는 복약 지도에 대한 설명을 잊어버려도 추후 복약 지도에 대한 설명을 다시 확인할 수 있고, 약사 입장에서는 처방 약품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복약설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람단말기로 제공되는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수단말기(100), 조제정보 서버(200), 열람단말기(300), 복약정보 서버(700) 및 클라우딩 서버(9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수단말기(100)는 약국에 구비된 PC 등의 단말기로써, 환자가 처방받아온 처방전 내용을 스캔하거나 또는 바코드 인식 등의 방법으로 조제정보 서버(200)에 등록시킨다.
상기 처방전에는 개인 의료 보험 내용, 조제할 의약품 내역, 추천 약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제정보 서버(200)는 약국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접수단말기(100)를 통하여 환자의 처방전 내용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처방전에 기재된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 정보, 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 정보를 인터넷(500)을 통하여 복약정보 서버(7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상기 조제정보 서버(200)에는 과거의 환자별 조제 정보가 저장되어 보관되며, 상기 복약정보 서버(700)로부터 신규 약품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상기 복약정보 서버(700)는 상기 조제정보 서버(200)로부터 처방전에 기재된 약품의 종류가 입력되면, 처방 약품 종류에 해당하는 복약 지도 정보를 선택하고, 인터넷(500)을 통해 조제정보 서버(200)로 상기 선택된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복약정보 서버(700)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약학정보원 등 신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부터 발표된 복약 지도 정보 또는 신약에 대한 새로운 복약 지도 정보를 끊임없이 갱신하여 구축된다.
즉, 약품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부작용 등이 발생하지 않게 하거나, 약품을 복용했을 때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복약 지도는 환자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약사 등 사용자가 최신 복약 지도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인터넷(500) 등의 통신망을 통해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복약 지도 정보가 갱신되자마자 그 갱신 내용에 따른 복약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별다른 조치 없이도 최신 복약 지도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약정보 서버(700)에서는 PC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조제정보 서버(200)로 복약지도 정보를 제공한다.
복약지도 정보에는 기간검색, 고객명 검색 등의 검색 항목이 구비되고, 현재 처방내역, 과거 처방 내역, 환자 정보, 처방전 발행기관, 처방전 발행의사, 약품명, 처방 약품의 실제 크기의 그림 또는 사진, 처방 약품의 복용시 효과, 처방 약품의 제조 회사, 처방 약품의 복용 방법, 처방 약품의 복용 전 전문 의사와 상담할 사항, 처방 약품과 다른 약품 간의 상호 부작용 정보, 처방 약품 사용시의 부작용, 처방 약품의 보관 방법, 의료 보험 공제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그 외에, 환자의 전화번호, 주소, 현재의 처방전 의약품과 과거 복약 이력 정보 간의 상관관계 등에 기반한 복약 가이드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람단말기(30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패드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제정보 서버(200)에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처방전 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 의약품 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내용을 차트 형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열람단말기(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복약지도 정보는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람단말기(300)는 조제정보 서버(200)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이루어지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람단말기(300)에서 복약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복약정보 서버(700)에서 제공되는 복약지도 정보 중 환자에 필요한 일부 정보를 조제정보(200) 서버를 통하여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고표시부(301), 타이틀표시부(303), 미처리표시부(305), 검색버튼부(307), 조제목록버튼(309), 약품검색버튼(322), 팜스토어버튼(313), 히트상품버튼(315), 더보기버튼(317), 공지표시부(319), 광고표시부(321), 내용표시부(323) 및 컨설팅표시부(325)가 구비된다.
상기 로고표시부(301)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로고(Logo)가 표시되고, 타이틀표시부(303)에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표시되고, 미처리표시부(305)에는 신규처방에 대한 미처리 건의 정보가 표시되며, 검색버튼부(307)는 특정 검색을 수행한다.
조제목록버튼(309)은 처방해야 할 처방조제목록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약품검색버튼(322)은 약품 검색을 수행하고, 팜스토어버튼(313)은 약국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디스플레이한다.
팜스토어버튼(313)을 선택하면 약국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사진과 상품의 간단한 설명이 내용표시부(323)에 디스플레이된다.
히트상품버튼(315)은 약국에서 최다 판매 상품을 내용표시부(323)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더보기버튼(317)은 기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더보기버튼(317)을 선택하면 새로운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내용 또는 환경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공지표시부(319)에는 약국 또는 시스템운영자가 공지하는 내용이 윗줄과 아랫줄의 2단으로 디스플레이되는데, 공지내용이 없는 경우 공지표시부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광고표시부(321)에는 시스템운영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데, 광고가 없는 경우 광고표시부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상기 검색버튼부(307)를 통하여 수행되는 검색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기간 범위을 검색하는 기간검색과, 환자의 이름을 검색하는 고객명 검색으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특정 기간 또는 특정 환자의 이름을 검색 후 상기 조제목록버튼(309)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기간 또는 해당 환자의 처방조제목록이 상기 내용표시부(323)에 디스플레이된다.
내용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처방조제목록에는 순서번호, 보험 또는 비보험을 나타내는 구분, 조제일자, 교부번호, 환자명,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발생기관, 일수, 약제비, 급여 및 비급여, 입금액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조제목록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제목록에 대한 상세 처방 내역이 디스플레이된다.
상세 처방 내역에는 현재 처방 내역, 특이사항, 고객메모장, 과거 처방 내역 및 과거 처방 조제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현재 처방 내역에는 순서번호, 약품코드, 약품명, 투약량, 횟수, 일수, 단가, 위치, 발행기관, 약제비, 청구액, 입금액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과거 처방 내역에는 순서번호, 약품명, 투약량, 횟수, 일수, 약제비, 청구액, 입금액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과거 처방 조제목록에는 조제일, 발행기관, 처방의사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처방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약품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약품에 대한 처방약 복약안내가 디스플레이된다.
처방약 복약안내에는 선택한 약품의 이미지, 약품의 성분명, 용법, 용량, 효능 효과, 주의사항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약사는 종이로 된 처방전 없이 조제실에 들어가 열람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조제 약을 사진을 보면서 정확한 조제를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약품을 조제하는 등의 약품 조제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약사는 모든 약품에 대해 복약지도 정보를 전부 암기할 필요 없이, 처방 약품 조제시 필요할 때마다 신속하게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복약지도를 빠짐없이 할 수 있다.
환자 입장에서는 열람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처방 약품의 실제 그림 또는 사진을 보면서 처방 약품의 복용시 효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약품을 복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약사가 알려주는 모든 약품을 복용했을 때의 효과 외에도, 각 약품에 대한 복용시 효과를 알 수 있으므로, 복용하는 약품에 대한 환자의 알 권리 또는 알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컨설팅표시부(325)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조제 의약품에 연관되어 의약품 복용에 추가하여 건강 회복 속도의 증가를 위한 보조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보조적 정보에는 조제 의약품에 효능을 증진시키는 비타민, 보조약품 등의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정보 또는 건강 회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생활습관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 약품에 따른 금기 음식 정보, 환자의 질병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식 정보, 특정 질병의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장려될 수 있는 일정 기간 동안의 건강식 식단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적 정보에는 복약지도 정보 외에 약사가 환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열람단말기(300)에는 영상촬영수단(미도시) 또는 음성녹음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약사가 환자에게 복약지도를 할 때 영상 또는 음성으로 복약지도 내용을 저장시킬 수가 있으며, 저장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자료는 구글드라이브, 드롭박스 등의 별도의 클라우딩 서버(9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상기 클라우딩 서버(900)에 저장된 영상자료 및 음성자료는 문자메시지 또는 전자메일 등으로 환자에게 전달하여 공유되며, 별도의 단말기를 소지한 환자는 문자메시지 또는 전자메일로 전달된 클라우딩 서버(900) 연결 정보를 선택하여 클라우딩 서버(900)에 접속함으로써 저장된 복약지도에 대한 영상자료 및 음성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약국에서 약사의 복약지도를 받은 후에, 복약지도 내용을 잊어버리거나, 복약지도 자료를 분실하더라도 클라우딩 서버(900)에 접속하여 복약 지도의 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약사 입장에서는 복약지도 영상 및 음성을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복약지도 관련 분쟁시에 증거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접수단말기 200: 조제정보 서버
300: 열람단말기 700: 복약정보 서버
900: 클라우딩 서버

Claims (6)

  1. (a) 이동형 열람단말기가 환자의 검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조제정보 서버에 저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 의약품정보를 이동형 열람단말기로 제공받아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내용을 차트 형태로 생성하여 이동형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이동형 열람단말기에 구비된 영상촬영수단 또는 음성녹음수단을 통하여 복약지도 내용을 영상촬영 또는 음성녹음 하는 단계;
    (d)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녹음수단으로 녹음된 음성자료를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자료를 환자와 공유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 복약 지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처방조제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조제목록버튼, 약국에서 제공하는 건강 컨설팅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컨설팅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 복약 지도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표시부에는 환자의 조제 의약품에 포함된 의약품 복용에 연관되어 건강 회복 속도의 증가를 위한 보조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적 정보에는 조제 의약품에 효능을 증진시키는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정보 또는 건강 회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생활습관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 복약 지도 방법.
  4. 환자의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상기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 정보 및 복약지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 조제정보 서버;
    상기 조제정보 서버로부터 처방전 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 의약품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내용을 차트 형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형 열람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동형 열람단말기에는 영상촬영수단 또는 음성녹음수단을 구비하여 복약지도 내용을 영상촬영 또는 음성녹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녹음수단으로 녹음된 음성자료는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클라우딩 서버에 저장된 영상자료 또는 음성자료는 환자와 공유되고;
    상기 이동형 열람단말기에는 처방조제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조제목록버튼 및 약국에서 제공하는 건강 컨설팅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컨설팅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표시부에는 환자의 조제 의약품에 포함된 의약품 복용에 연관되어 건강 회복 속도의 증가를 위한 보조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보조적 정보에는 조제 의약품에 효능을 증진시키는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정보 또는 건강 회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생활습관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열람단말기는 차트의 로고가 표시된 로고표시부, 차트의 제목이 표시된 타이틀표시부, 미처리 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미처리표시부, 검색 수행을 위한 검색버튼부, 약품 검색을 위한 약품검색버튼, 약국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팜스토어버튼, 약국에서 최다 판매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히트상품버튼,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더보기버튼, 약국과 시스템운영자가 공지하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공지표시부, 시스템운영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광고표시부 및 상세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내용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KR1020140108267A 2014-08-20 2014-08-20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2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267A KR20160022557A (ko) 2014-08-20 2014-08-20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267A KR20160022557A (ko) 2014-08-20 2014-08-20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57A true KR20160022557A (ko) 2016-03-02

Family

ID=5558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267A KR20160022557A (ko) 2014-08-20 2014-08-20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55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55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3042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왓비타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102432897B1 (ko) * 2021-06-03 2022-08-18 주식회사 이팜헬스케어 통신 시스템에서 약사와 환자 사이 비대면의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처방 약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33699B1 (ko) * 2023-01-27 2023-05-18 지킴컴퍼니 주식회사 약국 관리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842A (ko) 2002-11-08 2004-05-13 주식회사 유비케어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842A (ko) 2002-11-08 2004-05-13 주식회사 유비케어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55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3042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왓비타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102432897B1 (ko) * 2021-06-03 2022-08-18 주식회사 이팜헬스케어 통신 시스템에서 약사와 환자 사이 비대면의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처방 약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33699B1 (ko) * 2023-01-27 2023-05-18 지킴컴퍼니 주식회사 약국 관리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964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60022557A (ko)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94880B2 (en) Interactive patient medication list
Bloom et al. Internet availability of prescription pharmaceuticals to the public
KR20200063761A (ko)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102297333B1 (ko)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674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573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18247B2 (ja) 医薬品処方支援方法、医薬品処方支援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医薬品処方支援装置
JP2012203466A (ja) 代替薬品検索装置、代替薬品検索装置の代替薬品検索方法および代替薬品検索プログラム
US115018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prescription and medical documents
TW201438700A (zh) 自動取藥機與自動取藥之系統與方法
JP2009125386A (ja) 服薬アラームシステム
JP2018073066A (ja) 調剤薬局案内システム、調剤薬局案内装置、調査薬局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調剤薬局案内方法
JP6338957B2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507502A (ja) 目標とする人々のコミュニティに情報を選択的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6545446B2 (ja) 処方箋情報送信システム、患者情報管理サーバ、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2054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16161999A (ja) 情報抽出装置、情報表示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抽出方法、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18614B1 (ko)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KR102537000B1 (ko)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102536999B1 (ko)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KR102489067B1 (ko)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22829B2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医療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618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ug pric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