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739A -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739A
KR20050018739A KR1020040042337A KR20040042337A KR20050018739A KR 20050018739 A KR20050018739 A KR 20050018739A KR 1020040042337 A KR1020040042337 A KR 1020040042337A KR 20040042337 A KR20040042337 A KR 20040042337A KR 20050018739 A KR20050018739 A KR 2005001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tion
patient
medicine
pharmac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환
이상복
Original Assignee
김선환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이상복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102004004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739A/ko
Publication of KR2005001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7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처방전정보 및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약사 단말기에서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하여 조제의약품정보 및 환자에 대한 고유의 비밀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비밀번호 정보 및 복약지도 안내를 위한 웹사이트의 유알엘(URL)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조제의약품정보, 처방전정보 및 해당 환자에 대한 고유의 비밀번호정보를 상기 웹사이트를 보유한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에서 상기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f) 상기 비밀번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접속되는 환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에 응답하여 해당 환자에 대한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패치하며, 상기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에 기반하여 조제의약품에 대한 약품정보 및 각 의약품에 대한 복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약품정보 및 복약정보를 상기 웹사이트의 소정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약지도 관리서버로부터 인증된 환자 단말기로 처방전에 기초한 의약품 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복약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질 높은 약국서비스가 가능하며, 복약지도에 의한 환자의 질병치료 효율이 증대되고, 또한 반복적인 의료기관 방문으로 인한 의료비용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웹상에서의 커뮤니티를 제공하도록 함에 따라, 복약지도정보를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환자들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며,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약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약사와 환자간 신뢰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NETWORK SYSTEM FOR TEACHING OF TAKING MEDIC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약분업에 따른 의약품 복약지도를 온라인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약 처방전에 기반한 해당 의약품의 복약방법 및 의약품 정보 등을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에 대한 의약품 조제 및 판매는 해당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약품의 복약지도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복약지도는 의약품의 명칭, 용량/용법, 효능/효과, 저장방법, 부작용, 상호작용 등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부작용 발생시 조치요령, 약물부작용, 복약시 주의사항, 약물의 복약방법 등의 부가정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약사가 이 모든 정보를 약국으로 방문하는 환자 개개인에게 일일이 제공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다.
의약분업이 실시된 지 4년이 되는 현재, 의약분업 제도는 어느 정도 정착단계에 접어들고 있지만, 아직은 국민들에게 만족할 만한 양질의 의료서비스와 건강과 약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런 의약 분업 하에서 약사의 전문성을 살리며, 국민이 요구하는 질 높은 약국서비스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약사의 복약지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만약 약국에서 효과적인 복약지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환자가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음으로, 질병치료에 대한 실패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치료 실패로 인해서 반복적인 의료기관 방문으로 의료낭비를 불러 일으키므로, 사회 경제적으로도 의료비용의 낭비가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각 약국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의료보험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있으며, 각 약사들은 이러한 의료보험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복약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보험관리 소프트웨어는 의료보험 수가적용을 위한 메인 기능을 보유하며, 이 때 환자별 조제 데이터베이스를 기동시킨다. 여기서, 이러한 환자별 조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해당 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가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는 의약품에 대한 효능/효과, 복약방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약사는 이러한 의약품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지도를 환자에게 직접 인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상태로 저장되는 복약지도는 환자에게 많은 정보 또는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복약지도의 활성화에 장애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사와 환자가 시간과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들에게 복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손쉽게 전달할 수 있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국별 조제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복약지도 및 약국마케팅을 위하여 환자별 맞춤복약지도 알리미 기능 및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여 약사들의 전문성을 한층 드높이고, 약사와 환자간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은, 온라인 복약지도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합운용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 처방전정보를 접수하며,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의약품정보 및 환자별 처방전정보를 생성하고,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안내 및 복약지도안내를 위한 웹사이트 조회용 비밀번호정보를 단문메시지(SMS)로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약사 단말기; 상기 비밀번호정보, 환자별 조제의약품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비밀번호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에 대한 회원인증을 수행하며, 인증회원을 토대로 환자별 조제의약품 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조제의약품 정보 및 처방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정보를 온라인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복약지도 관리서버;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조제의약품별 복약지도 및 환자별 조제정보, 의약품정보, 회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약사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비밀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해당 회원별 복약지도 및 조제의약품에 대한 약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환자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는 회원간 커뮤니티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브라우져를 운영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온라인 복약지도의 운용방법은, 온라인 복약지도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a) 처방전정보 및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약사 단말기에서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하여 조제의약품정보 및 환자에 대한 고유의 비밀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비밀번호 정보 및 복약지도 안내를 위한 웹사이트의 유알엘(URL)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조제의약품정보, 처방전정보 및 해당 환자에 대한 고유의 비밀번호정보를 상기 웹사이트를 보유한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에서 상기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f) 상기 비밀번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접속되는 환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에 응답하여 해당 환자에 대한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패치하며, 상기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에 기반하여 조제의약품에 대한 약품정보 및 각 의약품에 대한 복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약품정보 및 복약정보를 상기 웹사이트의 소정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웹페이지는 환자가 약물에 대하여 상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도록 복약주의사항정보, 약품상세정보, 질병정보 등을 포함하며, 가독성을 위한 화면 확대, 축소, 복원기능 및 의료비 공제신청용 계산서, 영수증 출력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h) 회원간 커뮤니티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메시지전달 및 알리미 기능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브라우져를 운영관리하는 커뮤니티 운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지도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합운용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101), 상기 처방전정보(113)를 유무선 통신망(101)을 통해 접수하여 조제정보(117)를 생성하며,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안내 및 복약지도 안내를 위한 조회용 비밀번호정보(115)를 단문메시지(SMS)로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101)을 통해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약사 단말기(105), 상기 약사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되는 조제정보(117)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조제 약품별 복약지도정보를 온라인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복약지도 관리서버(103),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와 연동되며 상기 조제의약품별 복약지도 및 환자별 조제정보, 의약품정보, 회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1), 상기 약사단말기(105)로부터 제공되는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비밀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해당 회원별 복약지도 및 조제의약품에 대한 약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환자 단말기(109)로 구성된다.
상기 처방전정보(113)는 의사의 의료진단정보로서, 의료기관내에 구비되는 의료서버(107)로부터 제공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약사 단말기(105)에 의해 입력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자체의 관리자 사이트를 의약관련협회로 할당하여 약사의 공지사항, 알리미 기능, 실시간투표, 설문조사, 회원약사와 협회기간 담당자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송수신기능, 일대일 화상채팅, 화상/음성/문자를 이용한 원격강좌 시스템 기능을 보유한다. 또한,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환자의 의약조제 영수 편의를 위해 약제비 영수증 및 연말정산용 영수증을 출력하는 부가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의 관리자 사이트로 접속하는 의약관련회사의 기간 담당자는 소정의 의약관련 광고를 탑재하여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를 통한 의약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사 단말기(105) 및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의 주요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별 구성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사 단말기(105)는 처방전정보를 입력하거나 의료서버(107)로부터 처방전정보(113)를 접수하기 위한 처방전정보 수신모듈(207), 상기 처방전정보(113)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환자로 복약지도 안내를 위한 조회용 비밀번호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전송모듈(201),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한 조제정보와 해당 처방전정보를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로 자동전송하기 위한 처방전 자동전송모듈(203), 상기 조제정보의 관리 및 자료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제정보 관리모듈(20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기 등록된 약사회원 및 상기 비밀번호에 기반하는 환자회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회원인증모듈(213), 상기 약사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되는 처방전정보 및 조제정보를 약사회원별 또는 환자회원별로 저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모듈(211), 상기 조제정보에 기반하여 조제된 의약품정보를 추출하고 약품별 코드를 생성하는 의약품 추출모듈(215), 상기 의약품 추출모듈(215)로부터 제공되는 약품별 코드에 기초하여 해당 약품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1)에서 패치하고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반하여 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약품별 복약지도 생성모듈(217), 회원약사와 협회기간 담당자간 양방향 커뮤니티를 운영관리하기 위한 커뮤니티 관리모듈(209)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S301 단계에서, 상기 처방전정보 수신모듈(207)을 이용하여 다수의 경로 예컨대, 의료서버(107)로부터 제공되거나 임의의 처방전정보 입력으로부터 처방전정보를 접수한다. 처방전정보는 의약품에 대한 조제정보와 더불어 환자의 개인정보 예컨대, 환자성명,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단말기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약사 단말기(105)로 구비되는 처방전정보 수신모듈(207)은 의사로부터 발송된 처방전정보 및 환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이 후, S303 단계로 진입하여 약사 단말기(105)는 환자의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단문메시지 전송모듈(201)을 기동한다. 단문메시지(SMS)는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조제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복약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안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문메시지(SMS)는 웹사이트 접속을 위한 웹사이트 안내정보 및 회원인증번호 즉, 소정의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도 4는 약사 단말기(105)에서 생성되는 단문메시지 전송 브라우져는 도시하고 있으며, 약사는 단문메시지 설정화면을 이용하여 소정 범위내에서 문자메시지를 설정한다. 단문메시지는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할 수 있는 단문화된 메시지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PDA의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단문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웹사이트 안내정보 및 비밀번호 정보 이외에 조제의약품에 대한 수령정보 또는 수령약국에 대한 안내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305 단계에서, 약사 단말기(105)는 처방전자동 전송모듈(203)을 기동하여,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모듈(201)을 통해 제공된 환자별 비밀번호 정보 및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처방전정보 수신모듈(207)을 통해 수신된 처방전정보와, 처방전정보에 기반하는 조제의약품정보를 해당 약국 단말기(105)의 인증정보와 더불어 상기복약지도 관리서버(103)로 전송한다. 상기 처방전자동 전송모듈(203)은 약사 단말기(105)의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와의 온라인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화된 알고리즘은 현재 약국마다 사용하는 의료보험관리 프로그램에서 생성되는 환자별 조제데이터를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로 자동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 시스템은 설정된 시간별로 조제정보를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로 자동전송하기 때문에 약사나 전산요원의 개입이 전혀 필요치 않다.
S307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유무선 통신망(101)을 통해 제공되는 약사인증정보, 처방전정보, 조제의약품정보, 환자의 개인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약사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111)에 기 저장된 약사의 등록정보를 패치하여 약사인증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회원인증모듈(213)을 통해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로 회원가입된 약사의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며, 약사인증은 약사의 등록번호, 상호명, 약사명, 주소, 전화번호, ID 등의 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약사 단말기(105)로부터 환자의 개인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접수하여 추후 접속되는 환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회원인증모듈(213)의 인증결과를 수신하며, 수신결과 등록회원일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모듈(211)을 기동시킨다. 데이터 관리모듈(211)은 S309 단계를 통해 환자별, 약국별 처방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1)로 저장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화는 복약지도를 위한 조제정보 자동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서버로 옮겨진 환자별 조제정보를 관리하는 약국별 관리센터 웹페이지를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에서 생성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처방전정보에 대한 약국별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나타내며, 환자별 비밀번호정보를 토대로 추출된 환자명정보, 환자별 처방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또한 약사별 온라인접속정보(데이터 전송시간정보), 약국별 처방전정보, 약사별 조제의약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 후, 환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안내되는 복약지도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단문메시지(SMS)로부터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방문한다.
S311 단계에서, 사용자는 환자 단말기(109)를 통해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며, 소정의 웹페이지로 이동하여 환자인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환자인증은 상기 약사 단말기(105)로부터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된 비밀번호 정보를 입력한 후,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의 인증절차에 따라 회원인증이 이루어진다. 즉,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1)로 저장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약사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되어 기 저장된 환자 비밀번호 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회원인증을 수행한다. 물론, 해당 환자가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등록회원일 경우, 상기한 환자의 비밀번호 정보는 불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S31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회원의 등록정보를 패치한다. 등록정보는 환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약사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환자의 처방전정보 및 처방전정보에서 추출된 조제의약품정보를 제공받는다. 이 후, S315 단계에서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환자별 조제의약품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111)에 기 설정된 의약품정보를 토대로 조제의약품에 대한 의약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약정보에 대한 의약 복약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의약정보는 환자에게 지급된 의약품에 대한 상세정보로서, 약품명, 약품의 형상, 약품의 효능, 부작용 등을 기재하며, 상기 복약정보는 해당 의약품을 의사처방에 따라 복용하기 위한 복약방법 예컨대, 복용시기, 복용용량, 복용시의 식사량, 식단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S317 단계에서, 상기 의약정보 및 복약정보를 텍스트화된 정보 또는 그래픽화된 정보로 복약지도 웹페이지를 할당하여 환자 단말기(109)로 제공한다. 환자는 복약지도 웹페이지로 제공되는 의약 및 복약정보를 토대로 수령의약에 대한 기본상식과 복약방법 등을 상세히 제공받는다. 도 6은 이와 같은 복약지도 웹페이지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의 상측면으로 의약품정보를 게재하고 웹페이지의 하측면을 할애하여 복약지도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환자가 조제의약품별로 복약주의를 조회할 수 있도록 만든 웹페이지로써, 환자가 약물에 대하여 상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도록 복약주의사항 뿐 아니라, 약품상세정보, 질병정보등을 연계할 수 있으며, 가독성을 위한 화면 확대, 축소, 복원기능, 출력기능 및 의료비 공제신청용 계산서, 영수증 출력기능을 부가하여 정보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환자진료에 따른 의사의 처방전정보를 토대로 환자에게 지급되는 의약에 대한 복약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환자 또는 약사에게 다수의 의약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복약지도 관리서버(103)는 데이터베이스(111)로 다수 종류의 의약품 관련 광고정보를 보유하여 약사 단말기(105) 또는 환자 단말기(109)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관련 홍보 마케팅이 절실한 제약회사 혹은 도, 소매업자들이 복약지도를 위한 의약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복약지도를 위한 조제정보 자동전송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각 약국의 약사 단말기마다 작동하고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제약회사 혹은 도소매 업자의 상품정보를 연동시켜 약사가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품정보에 해당하는 의약광고 팝업창은 공지정보에 대한 알림상태를 나타내는 공지창 아이콘(703)과, 의약품의 조제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기 위한 조제정보자동전송 아이콘(705)과, 약사 단말기를 통해 조제정보복약지도를 직접출력하기 위한 조제정보 복약지도 출력아이콘(707)과, 제약회사 또는 도소매 업자가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사이트를 통해 의약광고를 수행하는 배너광고창(709)과, 회원간 온라인 쪽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쪽지 아이콘(711) 및 다수 종류의 소식지를 제공하는 뉴스 티커바(713)로 이루어져, 복약지도 중에 실시간으로 회원간 커뮤니티 및 온라인 광고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약품에 관한 판매정보를 얻기 위한 실시간 설문 조사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모아진 자료를 마케팅 분석 자료로 가공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및 웹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에 부가기능으로 있는 양방향 커뮤니티 모듈을 이용하여, 약사의 공지사항, 알리미 기능, 실시간 투표, 설문조사, 협회와 회원간 또는 제약회사와 회원간 또는 회원간 커뮤니케이션 등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광고약품의 상세한 정보전달과 상담 및 질의 응답을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도 7의 (나)는 이러한 커뮤니티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일대일 화상채팅과 복약지도 및 약사들의 보수교육이 가능하도록 화상/음성/문자를 이용한 원격강좌 시스템기능을 더 하여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약사 단말기(105)로부터 생성되는 환자별 조제정보 즉, 환자별 처방전정보, 조제의약품정보 등을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에서 백업하도록 하여 정보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는 약국별 각 약사 단말기에 구축되어있는 환자별조제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백업시스템으로써, 약사 단말기의 물리적손상 혹은 바이러스 공격으로부터 파일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의 (가)는 웹스토리지 솔루션을 이용한 백업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브라우져이며, 바이러스 혹은 해킹으로 부터 안전하게 처방전 자료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약사 단말기(105)는 복약지도 관리서버(103)의 데이터베이스(111)에 보관된 조제자료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도 8의 (나)는 사용 부주의나 바이러스로부터 손상된 자료를 복구하기 위한 브라우져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복구프로그램은 가상링크를 이용한 다운로드를 수행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파일서버에 구축된 자료를 무단으로 내려받을 수 없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원등록된 약사 단말기로 수신된 조제의약품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전정보와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복약지도 안내를 위한 비밀번호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복약지도 안내를 수행하기 위한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환자의 비밀번호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조제의약품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복약지도 관리서버로부터 인증된 환자 단말기로 처방전에 기초한 의약품 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복약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질 높은 약국서비스가 가능하며, 복약지도에 의한 환자의 질병치료 효율이 증대되고, 또한 반복적인 의료기관 방문으로 인한 의료비용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웹상에서의 커뮤니티를 제공하도록 함에 따라, 복약지도정보를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환자들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며,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약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약사와 환자간 신뢰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사 단말기 및 복약지도 관리서버의 운영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브라우져 또는 단말기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유무선 통신망 103 : 복약지도 관리서버
105 : 약사 단말기 107 : 의료 서버
109 : 환자 단말기 111 : 데이터베이스
201 : 단문메시지 전송모듈 203 : 처방전자동 전송모듈
205 : 조제정보 관리모듈 207 : 처방전정보 수신모듈
209 : 커뮤니티 관리모듈 211 : 약품별 복약지도 생성모듈
213 : 회원인증모듈 215 : 의약품정보 추출모듈

Claims (16)

  1. 온라인 복약지도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합운용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
    의료진단 결과에 따른 처방전정보를 접수하여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조제의약품정보 및 환자별 처방전정보를 생성하며,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안내 및 복약지도안내를 위한 웹사이트 조회용 비밀번호정보를 단문메시지(SMS)로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약사 단말기;
    상기 비밀번호정보, 환자별 조제의약품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비밀번호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에 대한 회원인증을 수행하며, 인증회원을 토대로 환자별 조제의약품 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조제의약품 정보 및 처방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정보를 온라인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복약지도 관리서버;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조제의약품별 복약지도 및 환자별 조제정보, 의약품정보, 회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약사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비밀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해당 회원별 복약지도 및 조제의약품에 대한 약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환자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정보는 의료기관내에 구비되는 의료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약사 단말기에 의해 입력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사 단말기는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처방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처방전정보 수신모듈과, 상기 처방전정보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환자로 복약지도 안내를 위한 조회용 비밀번호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전송모듈과,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한 조제정보와 해당 처방전정보를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자동전송하기 위한 처방전 자동전송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사 단말기는 환자별 조제의약품 정보를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백업관리를 요청하기 위한 조제정보의 백업관리 및 백업자료에 대한 자료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제정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는 기 등록된 약사회원 및 상기 비밀번호에 기반하는 환자회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회원인증모듈과, 상기 약사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처방전정보 및 조제정보를 약사회원별 또는 환자회원별로 저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모듈과, 상기 조제정보에 기반하여 조제된 의약품정보를 추출하고 약품별 코드를 생성하는 의약품 추출모듈과, 상기 의약품 추출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약품별 코드에 기초하여 해당 약품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패치하고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반하여 의약품에 대한 복약지도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약품별 복약지도 생성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는 회원약사와 협회기간 담당자간 양방향 커뮤니티를 운영관리하기 위한 커뮤니티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는 자체 관리자 사이트를 의약관련협회로 할당하여 약사의 공지사항, 알리미 기능, 실시간투표, 설문조사, 회원약사와 협회기간 담당자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송수신기능, 일대일 화상채팅, 화상/음성/문자를 이용한 원격강좌 시스템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폰, 피씨에스, 위성단말기 및 피디에이(PDA)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약품에 관련한 광고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정보는 상기 약사 단말기, 의사 단말기 및 환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10. 온라인 복약지도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a) 처방전정보 및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약사 단말기에서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처방전정보에 기초하여 조제의약품정보 및 환자에 대한 고유의 비밀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비밀번호 정보 및 복약지도 안내를 위한 웹사이트의 유알엘(URL)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조제의약품정보, 처방전정보 및 해당 환자에 대한 고유의 비밀번호정보를 상기 웹사이트를 보유한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에서 상기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f) 상기 비밀번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지도 관리서버로 접속되는 환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에 응답하여 해당 환자에 대한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패치하며, 상기 처방전정보 및 조제의약품정보에 기반하여 조제의약품에 대한 약품정보 및 각 의약품에 대한 복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약품정보 및 복약정보를 상기 웹사이트의 소정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정보는 의료기관내에 구비되는 의료서버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약사 단말기에 의해 입력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의 운용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는 환자가 약물에 대하여 상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도록 복약주의사항정보, 약품상세정보, 질병정보 등을 포함하며, 가독성을 위한 화면 확대, 축소, 복원기능, 출력기능 및 의료비 공제신청용 계산서, 영수증 출력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의 운용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h) 회원약사와 협회기간 담당자간, 회원약사와 환자회원간, 회원약사 혹은 환자회원과 제약회사간 양방향커뮤니티를 운영관리하기 위한 커뮤니티 운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의 운용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는 자체 관리자 사이트를 의약관련협회로 할당하여 약사의 공지사항, 알리미 기능, 실시간투표, 설문조사, 회원약사와 협회기간 담당자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송수신기능, 일대일 화상채팅, 화상/음성/문자를 이용한 원격강좌 시스템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의 운용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는 자체 관리자 사이트를 제약회사 혹은 의약품판매 관련회사에 할당하여 의약품에 관련한 광고정보를 발송하고 주문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의 운용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폰, 피씨에스, 위성단말기 및 피디에이(PDA)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40042337A 2004-06-09 2004-06-09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50018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337A KR20050018739A (ko) 2004-06-09 2004-06-09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337A KR20050018739A (ko) 2004-06-09 2004-06-09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739A true KR20050018739A (ko) 2005-02-28

Family

ID=3722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337A KR20050018739A (ko) 2004-06-09 2004-06-09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73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9251A2 (en) * 2007-06-06 2008-12-11 Catalina Marketing Corporation Pos printing triggered by pharmacy prescription orders
WO2009129168A2 (en) * 2008-04-16 2009-10-22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Dynamic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specific dose and dose interval information
KR101254734B1 (ko) * 2005-11-21 2013-04-1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70990B1 (ko) * 2010-12-09 2013-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WO2014025215A2 (ko) * 2012-08-08 2014-02-13 주식회사 래디쉬 처방전 자동 복약지도 시스템
KR20190006755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10065443A (ko) * 2019-11-27 2021-06-04 서울대학교병원 마약류 오남용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34B1 (ko) * 2005-11-21 2013-04-1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08149251A2 (en) * 2007-06-06 2008-12-11 Catalina Marketing Corporation Pos printing triggered by pharmacy prescription orders
WO2008149251A3 (en) * 2007-06-06 2009-02-05 Catalina Marketing Corp Pos printing triggered by pharmacy prescription orders
WO2009129168A2 (en) * 2008-04-16 2009-10-22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Dynamic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specific dose and dose interval information
WO2009129168A3 (en) * 2008-04-16 2010-01-21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Dynamic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specific dose and dose interval information
KR101270990B1 (ko) * 2010-12-09 2013-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WO2014025215A2 (ko) * 2012-08-08 2014-02-13 주식회사 래디쉬 처방전 자동 복약지도 시스템
WO2014025215A3 (ko) * 2012-08-08 2014-04-03 주식회사 래디쉬 처방전 자동 복약지도 시스템
KR20190006755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10065443A (ko) * 2019-11-27 2021-06-04 서울대학교병원 마약류 오남용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22010528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20220105288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모노랩스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 et al. Telepharmacy: a new paradigm for our profession
Chitungo et al. Utility of telemedicine in sub‐Saharan Afric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rapid review
Kim et al. How the rapid shift to telehealth leaves many community health centers behi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10719839B2 (en) Discou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7756726B2 (en) Secured medical sign-in
CN110795433B (zh) 一种处方信息存储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Auchus et al. Transitioning to tele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atient perspectives and attendance at an HIV clinic in San Francisco
US20170147783A1 (en) Prescription Verification System
CN102299946A (zh) 基于网络的综合视频诊疗监管系统
US20100088108A1 (en) Pharmaceutical relational database
KR20200063761A (ko)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Mitchell et al. The use of technology in participant tracking and study retention: lessons learned from a clinical trials network study
Nahm et al. Online research in older adults: Lessons learned from conducting an onli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scher-Pines et al. The doctor will call me maybe: the uncertain future of audio-only visits and why we need them to address disparities
KR20050018739A (ko)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40020480A (ko) 처방전 자동 복약지도 시스템
Babatunde et al. Leveraging mobile health technology towards achieving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Nigeria
Al-Zaidan et al. Qatar's primary health care medication home delivery service: A response toward COVID-19
Bright et al. Preconception care and contraception services: Opportunities for community pharmacists
JP2016024663A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521209A (zh) 用于提供定制网络的方法和系统
WO2012078987A2 (en) Prescription verification system
JP201617763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広告代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musa et al. Perception of Nigerians o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anaging Counterfeit Drugs I: Prevention of Counterfeiting
Rothbauer et al. Integration of Pharmacy Student Interns into a Naloxone Telephone Outreach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