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734B1 -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734B1
KR101254734B1 KR1020060091573A KR20060091573A KR101254734B1 KR 101254734 B1 KR101254734 B1 KR 101254734B1 KR 1020060091573 A KR1020060091573 A KR 1020060091573A KR 20060091573 A KR20060091573 A KR 20060091573A KR 101254734 B1 KR101254734 B1 KR 101254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rug
prescription
data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604A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김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우 filed Critical 김용우
Publication of KR2007005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의약품의 주 사용자인 의사/약사로 하여금, 기 사용중인 프로그램상의 기능에 국한되어 이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금기나 사용중단 등의 정보를 의사/약사가 처방 또는 조제하는 시점에 프로그램제작사와 관계없이 해당정보를 팝업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사용자(의사/약사등)가 자신의 업무관리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관리프로그램(의료보험청구프로그램 등)에서 소정의 선택정보(처방관련)를 다양한 형태의 자료전달체계를 통해 넘겨받아 약품정보 및 개인(환자)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와 별도로 네트워크상 하나이상의 서버에서 최신 약물부작용정보, 배합금기정보, 정부의 사용중지결정의약품정보 및 환자의 이전 부작용이력정보 등 환자에게 위해를 일으킬 요인이 있는 제반 정보를 주기적 또는 수시접속하여 수신한 정보와 전기한 방법을 통해 기존프로그램에서 넘겨받은 정보와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를 해당의약품 사용결정시점(처방 또는 조제시점)에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작용/금기/중단정보의 전달상의 불확실성 및 비효율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부적절한 의약품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처방 또는 조제하려는 의사/약사에서 선별적으로 경고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091573
약품, 금지, 남용, 병행, 병용금기

Description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Open type drug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관리 시스템 및 이와 연관된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관리 시스템에서 약품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비교 분석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각 화면 및 각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발명은 약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은 약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병원/약국 등에서 약품을 처방 또는 조제하는 시점에 그 약품을 채택한 의사/약사에게 약품의 사용금기나 부작용 등에 관한 최신의 연구 결과 정부의 사용중지 결정, 또는 주의사항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사용중인 프로그램의 종류나 기능 또는 제작사와 관련없이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사/약사 등이 사용중인 프로그램제작사가 이러한 종류의 정보의 제공을 시도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프로그램제작사의 프로그램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므로써, 결국 해당 프로그램제작사의 정보수집능력이나, 업데이트속도에 의해 좌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에서 사용중지결정을 내린 약물도, 결국 각각의 프로그램제작사가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이는 2004년에 정부가 부작용관련으로 사용중지를 지시하였던 성분(PPA)이 거의 1년이 넘도록 계속 사용되었던 전례에서, 그 어려움이나 심각성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이 부작용정보는 정부가 TV나, 일반적인 대중매체까지 동원해 홍보하였던 것을 감안하면, 정보파악자체보다 효율적 전달이 훨씬 더 어려움을 쉽게 알 수 있다.
더욱이, 사장재고의약품의 교환 등, 물리적으로 가까운 인근지역내 약국/의원간에 만 실행이 가능한 서비스는, 인근 약국간에 사용프로그램이 다를 경우 서비스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환자개인의 체질에 따른 부작용정보도, 해당사마다 별도로 저장된다면, 타 병원/약국방문시에는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관계로 이러한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의약품은 환자의 질병치료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것이나 항시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적정 사용을 위해 적절한 정보를 항시 수집, 분석하고 있으나, 여기서 그치는 것은 의미가 적다. 즉, 해당 내용을 의약품을 선택하는 당사자인 의사/약사에게 전달하고, 이들 전문인이 환자진료 또는 조제시점에 해당정보를 기억하고 반영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약품이 의약품인 것이다. 또한,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던 의약품도 사용과정에서 새로이 부작용이 발견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항시 최신의 정보를 구축하고, 의사/약사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부작용정보는, 임상의사/약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어 의약학잡지를 통해 발표되나, 워낙 이러한 정보의 량이 많고 또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 약물의 선택/투약자인 의사/약사에게 전달이 어렵고, (현재는 주로 전문지나, 매스미디어를 통하기 때문에 해당 정보에 접촉한 일부 의사/약사에게만 전달됨)
2) 전문인에게 일단 통보가 되었을지라도 바로 이를 모두 기억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환자의 진료/투약시점까지 그 내용을 기억하고 활용하기에는 불확실성이 많아, 착오 또는 손실이 있을 수 있으며
3) 이미, 기억하고 있는 내용일지라도 1시간대기, 2분진료 등이 일반적인 현실을 감안하면 진료 또는 조제시점에 해당 정보를 충분히 기억해내고, 의사결정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해당 전문인이 사용하는 일부 의료보험 관리프로그램 등에서 해당 정보의 제공을 시도한다하여도, 실효성이 적을 수 밖에 없으며, 의약품 처방/조제정보와의 연계성(연동작동)이 불확실하여,
1) 공공기관(복지부 등)의 사용중단결정 등 가장 신뢰성이 높은 정보마저도 관리프로그램내부의 해당의약품 처방 또는 조제정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조회되거나, 제공되지 못하고, 2) 개개의 프로그램제작자가 부작용정보를 수집, 가공, 배포하는 관계로 부분적인 정보에 그치기 쉽고, 정보전달에 있어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이에 더하여 수집에서 가공까지 상당한 시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3) 프로그램 제작사별로 의약학 정보수집 가공능력에 차이가 있어 최종적으로 정보사용자(의사/약사 등)까지 충분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4) 또, 인근 약국간에 각기 다른 제작자의 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어, 일정 지역내 정보를 필요로하는 사장재고의약품(타 기관과 재고교환 필요의약품목록으로, 3개월 이상 처방중단 의약품 또는 3개월이상 조제내역이 없는 제품)의 교환 등의 부가서비스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TV,잡지 또는 전문지 등을 통해 해당 정보의 전달을 시도한다하여도,
A) TV , 잡지가 대중적인 매체라 하더라도 전문인의 상당수가 해당 시점 또는 해당 잡지의 정보 전달시점에 노출/접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B) 정보에 노출/접촉된 전문인일지라도 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으며, C) 전기한 바와 같이 처방, 조제 시점에 이러한 정보를 기억/회상해내어 실제 행위에 반영하는 데는 불확실성과, 전달상의 손실 또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전기한 4)항에 관련해서는 인근 약국간에 사장재고의약품을 교환하려는 경우에도 그 특성상 대중매체를 활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개별 약국별로 사장재고 또는 잔여재고의약품이 있을 경우 해당 의약품을 약사 스스로가 인터넷게시판에 올려 의약품의 교환을 시도하고 있으나, 재고처분을 원하는 약국만이 있고, 해당제품을 구입하려는 약국은 자신이 다량 소모하는 제품을 굳이 소량씩 사기 위해 먼 곳에 있는 약국과 불안한 거래를 하고자 하지 않기 때문에 교환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의약품은, 개봉이 되지 않은 경우 대개 반품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봉된 상태의 소량씩의 재고의약품만이 약국간 교환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약국간 교환은 다른 무엇보다도 인접지역간 교환이 현실적이기 때문에 지역내 다수의 약국이 참여하는 시스템이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관계없는 시스템에서만 교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부작용관련정보의 제공에 있어서도, 처방/조제시점에 현 시점에서 업데이트(update)된 정보를 시차없이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나아가, 각각의 정보가 일반언론이나, 전문지 등을 활용해 매체별로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즉,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바와 같이, 정보원과 관계없이 누구나가 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가 통합되어 관리프로그램상의 의약품 사용정보와 연결되므로써 개개인의 학습과 기억에 의존할 때의 불확실성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개방형 정보제공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정보는 다양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취급하고자하는 정보는 의약품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
의약품은, 제품의 발매 이전 연구과정에서 효과 판정과 동시에 부작용, 금기, 배합상 피해야 할 점 등에 관해 연구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연구과정에서 행하는 실험은 대상 환자수나, 질환별로 소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할 수 밖에 없는 관계로, 시판후 중대한 부작용이나, 문제가 발생하는 예가 많다.
이에 대한 최근의 예로서는 비아그라 등의 부작용으로 최근 인정된 “실명(失明)”등의 예를 들 수 있다. 비아그라의 허가과정에서 행한 실험을 보면, “실 명”의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는 예가 발견되지 않았고, 이는 해당 제약사가 실험상의 오류를 범했다기보다는, 실험 케이스(case)수가 충분치 않은 것에 따른 부작용발견의 한계라고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전세계의 모든 정부가 시판후 일정기간, 일정 case 이상의 추적조사와, 부작용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타 약품과 같이 병용하는 경우 있을 수 있는 병용금기는 부작용발견보다 더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이는 기존에 사용중인 의약품이 워낙 다양한 관계로 이들과의 병용에 따른 부작용도 개발과정에서 발견되는 예보다, 시판후 발견되는 예가 더 많은 것이 당연한 귀결이라하겠다. 이렇게 사후 발견된 부작용이나, 병용금기는, 해당의약품을 사용중인 의사/약사에게 최단 시간내 확실히 전달되어야하나, 적절한 정보 전달 수단의 부재로 사용중단이 결정된 의약품도 전기한 PPA사례에서 같이 거의 1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시중재고가 소진될 때까지 수년째 계속 사용되는 예가 빈번하다. 더욱이 일부 환자나 질환에 있어 문제점이 발견되었다하더라도, 다른 질환에 있어서는 특별한 대체약물이 없어, 제품 자체를 중단시키지 못하고 질환별로 사용중단을 권고한 경우에는 제품이 지속적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사용중단질환에 수년이상 처방이 지속되는 예도 많다.
발매후 발견된 부작용으로서 정부차원에서, 허가를 취소하거나 사용상의 주의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이를 언론을 통해 발표도 하고, 해당 제약사 및 의사, 약사협회를 통해 고지 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현실적으로 해당 의약품의 재고 보유약국 및 실제 처방 또는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의사/약사)에 대한 정보 부재와, 전달과정상의 어려움으로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또한, 해당 약 물(성분)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할지라도, 생산과정에서의 오류가, 판매후 발견된 의약품에 대해서도 전기한 바와 같이 유통의 복잡성 및 많은 장소에서 소량씩 사용되는 의약품의 특성상 실질적인 추적 및 회수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의사 또는 약사가 처방 또는 조제과정에 특정의약품의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가 자연적으로 형성된다는 점과, 금기, 부작용 등에 대한 정보가 복지부 등 주요정부기관 및 의약품정보 관련회사에 분산/축적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해당 정보(의약품사용정보 및 부작용정보)를 사용자프로그램에 상관없이 결합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기 언급된 제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동일한 자료구조를 갖는 한 개 이상의 서버에서 수신저장/업데이트된 정보와, 기존에 의사/약사가 사용중인 관리프로그램에서 넘겨받은 의약품 사용정보를 비교/검색/판단하므로써,
1) 의약품의 시판후 발견된 부작용관련정보를 병원 또는 약국 등에 전달하는 과정상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2) 이를 사용자프로그램의 종류와 관련없이 제공하는 시스템과,
3) 이에서 파생되는 부가정보를 이용해 타 병의원/약국과의 사장재고의약품의 의약품 교환 서비스 등을 창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현재까지 파악된 사용중단 및 부작용여부를
1) 의사/약사가 해당 의약품을 처방 또는 조제하고자 시도하는 시점에,
2) 사용중인 관리프로그램의 종류와 상관없이, 부작용정보를 정확히 알려주거나, 경고하여
3) 환자에게 해당의약품이 처방 또는 조제되지 않거나, 대안을 찾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개방형 약품관리시스템”이라 함은, 본 시스템이 의사/약사가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의 제작사에 국한되는 폐쇄성에서 벗어나, 부가정보제공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의약품의 통계처리 및 그 과정에서 파악된 정보를 근간으로 하여 인근약국과의 부진의약품교환, 재고부족의약품에 대해 재고보유인근약국 파악 등의 약품관리상의 부가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은, 각 의사/약사용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의 자료전달모듈을 통해 처방자료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상기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저장된 처방자료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구조를 통일된 규격으로 재구성하는 수신자료 처리부;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처방정보 통계 데이터베이스; 의약정보, 개인정보 및 의약품 사용 통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데이터베이스; 상기 처방정보 통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처방자료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의약정보 및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금기된 약품이 사용되었는지 판단하고, 금기된 약품이 사용된 경우 상기 처방정보 통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처방자료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의약정보 및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금기된 약품이 사용되었는지 판단하고, 금기된 약품이 사용된 경우 경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는 처방자료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자료 중앙처리부는,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와 주요 관공서에서 공적으로 사용 중지결정된 의약품정보와 비교분석하는 공식중단의약품제어부;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와 주요 학술지에서 발표된 부작용, 금기, 주의사항을 포함하는 일반 부작용 정보를 비교분석하는 일반 부작용 경고제어부; 상기 처방정보와 처방/조제로 입력되어 전달받은 약물 종류, 배합 또는 병용이 금기시된 병용금기정보를 비교분석하는 병용금기경고제어부; 상기 처방정보와 환자 자신의 알레르기 기왕력(history) 정보를 비교분석하는 개인기왕력경고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와 연결되어 의약정보, 개인정보 및 의약품 사용 통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방자료 중앙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투약과정에서 새로이 발견한 환자의 부작용기왕력/알레르기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추가 입력받는 자료추가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료추가부에서 추가된 환자 개인정보와, 신규 처방/조제된 의약품의 의약 정보와, 사장재고의약품의 의약품 사용통계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웹서버의 제2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업데이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 처리부는, 동일한 자료구조 및 프로토콜하에 자료를 구성한 하나 이상의 웹서버를 순차적으로 접속해 필요시마다 조회, 분석, 분석한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구조는 DLL, XML, Active-X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통일된 규격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방법은, 각 의사/약사용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이,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의 자료전달모듈을 통해 처방자료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상기 의약품프로그램에 저장된 처방자료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구조를 통일된 규격으로 재구성하는 수신자료 처리 단계;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에 금기약품성분의 포함 여부와, 사용중단약품의 포함 여부와, 병용금기약품의 포함 여부와, 알레르기, 과민 반응 등의 환자 기왕력 정보에 해당하는 약품의 포함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에 해당 약품을 포함하는 경우 경고하고 누적된 경고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경고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투약과정에서 새로이 발견한 환자의 부작용기왕력/알레르기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추가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추가 입력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업데이트 처리하는 업무마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약품 관리시스템 및 이와 연결된 주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인 의사, 약사가 현재 사용중인 관리 프로그램 즉, 의사/약사의 의료보험청구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스템(200, 201, 202, 203)과 연계된다. 여기서 명기된 개별프로그램의 명칭은 다양성을 표기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며, 이들 프로그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적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컴퓨터 부팅시, 또는 프로그램 첫 실행시 또는 일정 주기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웹서버상의 자료를 자동 또는 수동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에서 관리 프로그램 시스템(200, 201, 202, 203)은 의료보험청구프로그램이 설치된 병원 또는 약국내의 컴퓨터이며, 다른 형태의 단말기도 가능하다.
전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기 사용중인 프로그램의 제작사와 관계없이 작동함을 표시하기 위해, “Pharm2000약국관리프로그램", "UBCare약국관리프로그램”,“Bit의원관리프로그램”,“Bit병원관리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예시하였으며, 이는 단지 이렇게 언급된 프로그램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전달 프로토콜을 포함하게 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다(이하에서 "의사/약사용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이라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자료전달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하더라도, 각각의 프로그램에서 저장된 처방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읽어 들임으로써 자료전달프로토콜을 대신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의사 또는 약사는 의사/약사용 의약품관리프로그램상의 처방/조제기능을 이용하여 병원 및 약국의 관리업무를 시행하고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의사/약사용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이 내장된 관리 프로그램 시스템(200~203)에 환자의 개인신상정보와, 질환의 종류 및 이에 해당하는 처방내역을 입력하고 해당 프로그램상의 입력완료 또는 이에 상응하는 행위를 하는 순간, 도 6에 해당하는 정보(처방정보)가 본 시스템상의 자료전달모듈(300)상에 정보 또는 인수로 준비되고, 이것이 자료전달모듈(300) 및 수신자료 처리부(400) 및 임시 저장부(410)를 통해 전달이 시작된다.
여기서는 프로그램간의 자료(data)전달에 있어 가장 안정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진 DLL(Dynamic Link Library) 또는 Active-X, DDE, 소켓을 이용한 통신(TCP/IP통신) 등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메모리상의 특정 주소(Address), 임시 파일의 생성/저장 및 이를 다시 판독하는 형태, 실행화일의 일부로서, 또는 프로그램간의 전달변수, 자료를 저장하고 다시 읽어들이는 형태 및 DCom, SAP등의 Port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 등을 이용한 서버통신 등 다양한 형태로 이 과정을 기타 각각의 프로그램에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서술의 편의상 "DLL 및 Active-X 등“의 형태로 명기하기로 한다.
하기하는 도 6은, 도 1에 표시된 사용자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사/약사)가 일상적인 진료/투약과정에서 프로그램에 입력하게 되는 처방전의 한 형태로서, 자 료전달모듈(300)을 통해 DLL, Active-X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본 시스템상의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로 전달되는 자료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였다.
자료전달부분은 도 1에서 자료전달모듈(300), 자료 수신자료 처리부(400, 자료전달용DLL 또는 Active-X 등), 처방자료임시저장부(410)로 구성되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하나 또는 두개의 구성요소로 변형가능하다.
도 2에, 도 1에서 언급된 부분중 기존의 사용자프로그램에서 정보가 준비되어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에 전달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별도로 보다 상세히 명기하였다.
즉, 사용자가 처방전정보를 입력(S211, S212)하고, 그 정보를 자료전달모듈(300)에 변수 또는 다른 형태로 포함시켜, 자료전달모듈(300), 수신자료 처리부(400), 임시저장부(410)를 통해,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로 처방전상의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의 한 예를, 약식화면구성과, 실제 이루어지는 행위기준으로 상세히 예시하였다.
사용자의 의료보험관리프로그램등에서, 입력(S212)되어, 입력완료 버튼 또는 마우스가 클릭되면(S213), 자료전달모듈(300)이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우선 처방으로부터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로 전달되어야하는 정보자료(data)를 요소별로 인수화 또는 모듈화한다(S214, S215).
예) 환자정보 : setpatient("800212-","김외수“,"800212",,,),
처방의약품정보:setpcode("A13453","아스피린“,”2“,”3“,”3“) 등)
이렇게 각각의 정보가 모두 인수로 준비되어지면, 수신자료 처리부(400)가 이를 DLL(또는 XML등)로 변환하여 임시 저장부(410)로 자료를 송부한다(S216). 그리고 임시 저장부(410)는 이렇게 전달받은 자료를 DLL 내부 또는 외부에 임시보관(도 1의 XML 등의 경우에는 각각의 기술에 상응하는 형태)하여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은 전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Active-X 등 다른 자료전달기술로 대체될수 있다.
이후,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는 본 시스템의 일부로서 관리 프로그램 시스템(200, 201, 202, 203)등에 설치된 사용자의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입력되고, DLL, Active-X 등을 통한 일련의 자료 전달과정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실질적으로 사용자 관리 프로그램 시스템(200, 201, 202, 203) 내부에 설치되는 부분인 처방자료 중앙처리부(500)는 프로그램모듈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약품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사/약사)의 기존 사용프로그램입력부(211), 처방자료전달을 위한 DLL(처방자료임시저장부포함) 또는 Active-X 등의 자료전달 모듈(300),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 웹서버(100)에서 수신된 자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21), 처리된 결과를 모니터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표시부(541, 이에는 화면 뿐만 아니라, 소리, 점멸, 진동 등의 제반 표시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처리결과를 사용자 및 관공서, 기타에게 표시, 보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쇄부(540), 웹서버(100)와의 정보교류를 위한 통신부(600)를 포함한다.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는 DLL/Active-X 등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통계처리하여 저장하는 처방자료관리부(510), 처방약품 비교분석부(530), 정보처리 전/후에 추가로 환자로부터 확보된 부작용정보, 알레르기정보 등을 추가로 입력받아, 업데이트부를 통해 관리하는 자료추가부(550), 웹서버(100)상의 자료를 수신받아 사용자 컴퓨터상의 내부 DB(521)를 업데이트하고, 또 자료 추가부(550)를 통해 환자에게서 새로 파악된 정보를 통신부(600)를 통해 웹서버(100)로 송신하는 업데이트처리부(52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사용자프로그램에서, 입력된 자료를 본 시스템으로 넘겨주는 작업을 하는 자료전달 모듈(300)은 기존 사용자프로그램의 자료입력후 처리단계를 전달모듈화한다.
전기한 바와 같이, 이 부분은 기존프로그램에 저장된 자료를 읽어 들이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이렇게 전달이 시작된 자료는 도 3의 수신자료처리부(DLL, XML등, 400), 처방 자료 임시저장부(410) 등을 거쳐 처방자료중앙처리부(500)로 전달된다.
도 3의 처방자료관리부(510)는 사용자의 기존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서 DLL, Active-X 등 자료전달과정을 거쳐 처방정보를 전달/입력받은 첫 부분으로서, 본 시스템상 자료의 실질적 처리부분의 시작이다.
도 3의 처방정보통계DB(511)는 처방자료관리부(510)를 통해서 전달받은 자료를 그대로, 혹은 집계처리하여 제반 의약품관련통계를 집계하고, 장기처방 고객목록작성, 주요처방의사 및 의사별 사용현황, 다빈도/저빈도사용의약품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다빈도사용 의약품은 1개월내 처방/조제 의약품을 말하며, 저빈도 사용의약품은 3개월 이상 처방/조제중단의약품을 말한다.
업데이트처리부(520)는 주기적으로 한 개이상의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최신 정보를 전달받아 내부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 및 업데이트를 한다. 이 부분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등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 메모리상에서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임시 보관하였다가, 이후 처방/약품비교분석부(530)에서 처방정보와 대조후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변형하거나, 병행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추가로 입력한 정보를 웹서버(100)로 업데이트하는 역할도 겸한다.
도 3의 데이타베이스(521)는 업데이트처리부(520)에 연관되어, 웹서버(100)로부터 업데이트된 정보를 각각의 데이타베이스(521)에 저장, 또는 메모리, 변수 등에 잠시 보관하는 부분이다.
처방약품비교분석부(530)는 처방자료관리부(510)를 통해 전달받은 처방 정보 및 환자개인정보와, 업데이트처리부(520)를 통해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521)의 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처방내역중 사용중단의약품의 포함여부, 금기 및 부작용정보, 처방의약품간의 병용금기여부, 환자 자신의 알레르기 기왕력(history)과 비교하여 해당 환자에 대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의약품의 포함여부 등의 정보를 비교/분석/추출한다.
또한, 처방약품비교분석부(530)에서는 처방자료관리부(510)를 통해 사장 재고 의약품 등의 통계정보를 전달/처리하여 처방정보통계 DB(511)에 저장하고, 상기 통계정보를 통신부(600)를 웹서버(100)에 송신하여, 상기 웹서버(100)를 통해 인근병원/약국간 의약품 사용정보를 비교/분석하거나, 개인 대 개인방식(P2P)으로 인근병원/약국간 의약품 사용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사장 재고 의약품 등의 교환을 위한 교환대상약국/병원 등을 추출하는 역할도 겸한다.
표시부(541) 및 인쇄부(540)는, 처방자료관리부(510), 처방/약품비교분석부(530) 에서 검색, 비교, 분석, 처리된 결과 또는 수신한 최종 결과를 사용자가 판독할 수 있도록 표시 또는 인쇄 등의 형태로 출력하는 역할을 실행한다.
자료추가부(550) 및 입력부(551)는 사용자(의사/약사)가 진료/투약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진 또는 환자에 대한 제반 상담과정중, 또는 환자의 호소에 의해 발견하게 된 환자의 특정약물에 대한 부작용 발현유무 및 알레르기정보 등을 입력부(551)를 통해 추가로 입력하여, 이를 업데이트처리부(520)를 경유하여 웹서버(100)상의 개인정보DB(112)에 추가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통신부(600)는 웹서버(100), 본 시스템 및 사용자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을 의미하며, 인터넷, 유선 또는 무선 및 기타 자료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상의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한다.
웹서버(100)는 정부 또는 일반 의약품정보 제공업체에서 형성된 관련의약품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장소로서, 개개의 컴퓨터에 설치된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프로그램과 접속하여 새로이 자료를 송신하거나, 이전 자료를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웹서버(100)는 단일서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자료구 조와 프로토콜하에 운용되는 다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웹서버(100)에는 의약정보DB(111), 개인(환자)정보DB(112), 사용자(의사/약사)의 통계정보DB(113)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의사/약사에게 환자를 대상으로 최적의 의약품을 선택/투약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용법용량/주의사항 및 기타의 의약품정보, 대체투약정보, 위해정보 및 해당 질병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추천 식품 및 식단구성, 피해야 하는 식품 및 치료보조기구 등의 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의약정보 DB(111)에는 보건복지부,식약청 등의 사용중단 및 사용 제한 결정을 기준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로서 해당 발표시점 및 배경 등의 정보로 구성된 공식중단의약품데이타베이스, 처방/조제의약품이 유발할 수 있는 관련부작용을 환자에게 사전 주지시킴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혼선을 사전 예방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부작용데이타베이스, 서로 병용 또는 배합해서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의 구성 및 그 사유 등의 병용금기 의약품데이타베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약제 투약기간중 또는 투약전후의 상당기간 동안 피해야하는 식품 및 습관 등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DB(112)에는 환자 개인의 처방정보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사람을 대상으로 투약시에는 별다른 부작용의 우려가 없으나, 환자의 체질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개인별 알레르기, 부작용, 기왕력 정보 등이 포함되며,
사용자통계정보DB(113)에는, 사용자인 의사/약사별로 처방 또는 조제된 의약품의 종류, 사용량, 다빈도/저빈도 사용의약품, 사장재고의약품 등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장재고의약품은 당업계에서 타 기관과 재고교환 필요의약품목록으로, 3개월 이상 처방중단 의약품 또는 3개월이상 조제내역이 없는 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약국 또는 병원내의 개방형 약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는 각각 사용자가 약국 또는 병원내 업무목적상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처방 또는 조제 관리프로그램이나 일반적인 의료보험청구프로그램 등 또는 기타 동일 목적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삭제
이러한 관리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의 제작사 또는 업무목적(처방 또는 조제)에 따라 기능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어느 경우에도 환자에게 인적사항과, 투여하여야할 의약품의 수량 및 투여횟수, 기간 등을 포함하여 처방을 발행하거나, 입력한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해, 본 시스템으로의 전달을 필요로 하는 처방전화면(내용)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도 6의 형태로 포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동일하다.
도 4는 비교 분석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식중단의약품제어부(531)는 상기 처방정보와 주요 관공서에서 공적으로 사용 중지결정된 의약품정보 데이타베이스와 비교분석하고, 일반 부작용 경고제어부(532)는 상기 처방정보와 주요 학술지에서 발표된 부작용, 금기, 주의사항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비교분석한다. 병용금기경고제어부(533)는 상기 처방정보와 처방/조제로 입력되어 전달받은 약물 종류, 배합 또는 병용이 금기시된 병용금기정보를 비교분석하고, 개인기왕력경고제어부(534)는 상기 처방정보와 환자 자신의 알레르기 기왕력(history) 정보를 비교분석하는데, 이러한 상세 구성은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실행시점에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처리부(520)는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새로운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고, 신규자료를 수신하여 내부의 DB(521)를 업데이트한다.(S310) 이때, 의약 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는 공식 중단 의약품 정보, 일반부작용 정보 및 병용금기 정보 등이 도 7 내지 도 9와 같은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523)에는 개인의 처방정보가 도 6과 같이, 개인기왕력 정보가 도 10과 같은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사용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524)에는 의약품 사용 통계에 관한 정보가 도 11과 같은 형태로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물론, 웹서버(100) 관리자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웹서버(100)상의 데이터베이스(110, 의약정보DB, 개인정보DB, 사용통계정보DB)를 관리하고, 수시로 정부의 사용중단결정, 언론 발표 또는 의약학잡지에 발표된 정보를 취합하여 각각의 DB(110) 정보를 갱신하거나, 각각의 사용자 PC에서 송신해온 자료를 사전에 업데이트하여야 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정보는 사용중단정보, 부작용정보, 금기약품정보, 각 개인의 부작용정보, 알레르기 정보 등 뿐만 아니라, 기타 처방의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 해 필요한 기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체적인 개인정보량를 개개의 컴퓨터에 송신하는 것이 용량 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보호상의 문제로 구현이 어려울 때에는 특정 개인의 정보를 먼저 서버에 송신하여, 해당 개인의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비교/분석/추출한후 관련정보를 별도 보관하지 않고, 폐기하는 형태로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예에 있어, 웹서버운영자는 비용을 받고 업데이트를 시켜줄 수도 있다(S310). 여기서, 웹서버(100)상의 여러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에 업데이트하는 것은 필요에 따라, 사전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프로그램 종료시점 등 다양한 시점에 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웹서버 접속 및 업데이트단계(S310)를 실행하고 나면, 개방형약품정보 관리프로그램은 대기 상태에 있게 되며, 이후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는 기존의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통상적인 진료 또는 조제행위를 수행하면서 대상 환자의 개인정보 및 처방정보를 입력하고(S321), 입력완료버튼을 클릭하거나 이에 준하는 행위를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던 자료전달모듈(300)이 작동하여 개인정보 및 처방정보가 자료전달용 DLL 또는 Active-X등을 통해 대기하고 있던 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프로그램에 전달되게 된다.(S322)
자료전달모듈(300)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의 사용자인 경우에는, 설정에 따라 본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프로그램이 의사/약사 또는 기타 관리자의 모든 입력절차가 끝나, 사용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베이스를 직접 읽어 들이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이 다음 단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시스템으로 전달받은 정보를 처방정보 통계DB(511)에 저장한 후(S323), 전기한 과정(S310)을 거쳐 업데이트된 데이터베이스(521)와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내용의 유무를 파악하게 된다.
가장 먼저, 처방/약품 비교 분석부(530)가 처방된 약품목록에 금기약품의 포함여부를 파악하여(S331), 만일 해당제품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경고내용에 저장한다(S332).
현재 의료보험청구절차 또는 바코드 등 시행령에 따라, 모든 의약품에는 고유의 의료보험 청구코드 또는 바코드등의 형태로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처방정보와, 데이터베이스(521)상에 저장된 금기약품 등의 정보 비교는 별다른 무리없이 신속한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처방된 약품목록에 사용중단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가를 비교하여(S333) 그 결과를 앞서 파악된 경고내용에 추가한다(S334).
다음으로는 처방된 목록에 서로 같이 사용해서는 안 될 병용금기제품이 동시에 처방되어 있는가를 비교하고(S335) 이 결과 역시 경고내용에 추가한다(S336).
다음으로는 처방목록과, 환자가 과거 경험했던 알레르기, 과민반응 등의 자료가 축적되어 있는 환자 기왕력데이타베이스를 비교하여(S337) 해당 약물이 포함되어 있는 가를 추가로 비교한다.
이 결과 역시 경고내용에 추가시킨 후(S338), 이상의 단계에서 종합 축적된 경고내용이 있으면, 사용자(의사/약사)에게 화면 팝업창, 또는 음향 및 기타 형식 을 통해 표시/전달하게 된다. (S340) 이 단계에서 표시된 정보는 필요시 인쇄 또는 기타매체를 통해 저장되는 등의 형태로 보관되거나, 환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S340)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도 12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별도로 출력물이 필요할 경우에는 이를 인쇄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처방내용을 포함하여 처리결과를 발행하거나 지적된 문제점을 반영하여 처방전을 수정 또는 주의사항을 처방의사나, 환자에게 별도로 통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이나 음성을 출력하거나, 이메일 등을 통해 환자자신이 자신의 정보를 축적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송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처리결과는 본 프로그램 자체내에서 상기 언급한 방법에 따라, 처리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사용중인 프로그램으로 동 내용을 전달한 뒤, 해당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요령으로 표시, 출력, 인쇄 등의 처리를 하게 할 수도 있다.
표현형태도 금기 약품 또는 병행 금기일 경우 강하게 붉은색 등으로 금기 약품임을 알려주고, 주의 정도나 주의사항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란 글씨 또는 기타 색의 글씨나 그림 등으로 경고와 함께 내용을 알려줄 수도 있다. 즉, 금기된 약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금기의 레벨을 정하여 금기 레벨에 따라 경고를 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사용자(의사/약사)가 진찰/투약과정에서 추가로 파악된 부작용정보가 있다면(S351) 이를 확인하여, 입력절차를 거쳐(S352) 서버업데이트정보에 추가한다(S352). 추가 입력절차에서 입력화면은 도 13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서버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환자기왕력정보는 매 처방처리시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웹서버(100)에 송신되어, 다른 병의원/약국에서 진찰/투약하는 과정에서의 비교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의사/약사가 환자에게 알레르기 또는 체질에 따른 부작용 등을 추가 입력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여, 별도의 홈페이지 운영을 통해, 환자 자신이 자신의 정보를 입력관리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환자와의 진찰/투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화사고를 사전에 검색/비교 및 서버업데이트 단계를 마치면, 처방자료 중앙처리부(500)는 하루 업무의 종료여부상태를 파악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다음환자의 개인정보/처방정보의 입력대기 상태로 가거나, 업무마감단계로 이동하게 된다.(S354)
필요에 따라 상기 단계(S351~S354)를 수정하여, 비교/검색된 경고 내용이 없는 경우, 바로 다음 환자의 대기상태로 이동하고, 새로 발견된 사항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별도의 입력단계를 두는 것으로 변형 운용할 수도 있다.
업무마감단계에서 처방자료 중앙처리부(500)는 최근 누계사용량과 제품별 포장단위 등을 비교하여(S361), 소모에 전혀 문제가 없는 다량소모제품(다빈도 사용의약품)과, 일정기간내 소모될 가능성이 적은 제품목록(저빈도 사용의약품)을 추출하여 해당 목록을 표시부(541) 화면에 표시해주고(S362), 사용통계정보DB(524)에 저장하고, 웹서버상의 사용통계정보DB(의약품교환목록)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타 병의원/약국에서 송수신된 의약품교환목록을 상호 비교하여 가급적 인근 병의원/약국과 상호교환이 가능하도록 웹서버(100)를 통해 각 사용자에게 교환을 문의하는 내용을 통보한다(S363). 이때, 통보되는 내용은 도 14와 같이, 해당 약국 또는 병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처방내용을 업데이트 처리부(520)가 사용통계정보DB(524)에 추가하여, 필요시 사장재고의약품의 교환정보 등의 처리에 사용하고, 환자와의 문진 또는 상담과정에서 추가로 확인된 개인적인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과민체질 등의 서버업데이트정보와 함께 웹서버(100)에 송신한다.(S364)
업무마감단계(S361~S364)는 사용자 관리프로그램의 실행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관리프로그램종료시 자동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통상적인 작업에 부가하여, 정부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사용중단된 약물이 어느 정도 사용되었는 지 등에 대한 통계작업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경고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개인의 병에 관한 이력에 따라 각 개인에 맞는 처방 또는 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약국이나 병원 등에서 약품을 처방 또는 조제시 해당 약품에 포함된 성분이 공식중단, 부작용우려, 또는 금기된 성분, 해당 환자에게 부적합한지를 검토함에 있어, 대중매체를 통해, 또는 전문매체 등을 통해 전문인 및 일반인에게 전달했을 때의 불확실성, 비효율성, 망각 또는 간과, 실수 등의 우려를 최소화시키고, 의사가 처방을 하는 시점(시작시점) 및 약사가 조제행위를 시작하는 시점(처방전 입력시점, 최종 검토가능시점)에 사용중인 프로그램의 종류에 상관없이 해당 전문인에게 알려주거나 경고하여 해당 금기 약품이 환자에게 처방 또는 조제되지 않도록 하는 약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의 장점인 사용프로그램의 종류와 상관없이 통계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인접약국간에만 서비스가 가능한 사장재고 교환서비스, 특정약품 보유약국 검색서비스 등의 부가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약국이나, 병원 등에서 약품을 처방 또는 조제시점에 해당 처방에 포함된 의약품 또는 의약품병용상의 부적합 여부를 의약품 선택 또는 조제행위에 들어가는 행위의 첫 시점(처방)과, 마지막 시점(조제)에 위험성을 경고하고, 재검토 를 요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프로그램의 제작회사와 관련없이, 여러 서버상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를 통합 제공할 수 있는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관리프로그램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가공하므로써, 해당 관리프로그램 사용자간에 국한된 정보교류에서 벗어나, 프로그램 제작자가 서로 다르더라도 의약품사용현황정보를 기반으로한 부가서비스-약국간의 의약품교환사용 등-를 창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정보에서 약품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약품에 금기 성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추출된 약품에 금기 성분이 있으면, 이를 경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약국이나 병원 등에서 약품을 처방 또는 조제에 해당 약품에 포함된 성분이 금기된 성분인지를 미를 알려주거나 경고하여 해당 금기 약품이 환자에게 처방 또는 조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9)

  1. 각 의사/약사용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의 자료전달모듈을 통해 처방자료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상기 의약품프로그램에 저장된 처방자료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구조를 통일된 규격으로 재구성하는 수신자료 처리부;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처방정보 통계 데이터베이스;
    의약정보, 개인정보 및 의약품 사용 통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데이터베이스;
    상기 처방정보 통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처방자료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의약정보 및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금기된 약품이 사용되었는지 판단하고, 금기된 약품이 사용된 경우 경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는 처방자료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자료 중앙처리부는,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와 주요 관공서에서 공적으로 사용 중지결정된 의약품정보와 비교분석하는 공식중단의약품제어부;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와 주요 학술지에서 발표된 부작용, 금기, 주의사항을 포함하는 일반 부작용 정보를 비교분석하는 일반 부작용 경고제어부;
    상기 처방정보와 처방/조제로 입력되어 전달받은 약물 종류, 배합 또는 병용이 금기시된 병용금기정보를 비교분석하는 병용금기경고제어부;
    상기 처방정보와 환자 자신의 알레르기 기왕력(history) 정보를 비교분석하는 개인기왕력경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웹서버와 연결되어 의약정보, 개인정보 및 의약품 사용 통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방자료 중앙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투약과정에서 새로이 발견한 환자의 부작용기왕력/알레르기정보 등의 개인정보가 추가 입력받는 자료추가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추가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신규 처방/조제된 의약품의 의약 정보와, 사장재고의약품의 의약품 사용통계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웹서버의 제2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업데이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처리부는, 동일한 자료구조 및 프로토콜하에 자료를 구성한 하나 이상의 웹서버를 순차적으로 접속해 필요시마다 조회, 분석, 분석한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구조는 DLL, XML, Active-X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통일된 규격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6. 각 의사/약사용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이,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의 자료전달모듈을 통해 처방자료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상기 의약품프로그램에 저장된 처방자료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구조를 통일된 규격으로 재구성하는 수신자료 처리 단계;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에 금기약품성분의 포함 여부와, 사용중단약품의 포함 여부와, 병용금기약품의 포함 여부와, 알레르기, 과민 반응 등의 환자 기왕력 정보에 해당하는 약품의 포함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처방자료 데이터에 해당 약품을 포함하는 경우 경고하고 누적된 경고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경고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투약과정에서 새로이 발견한 환자의 부작용기왕력/알레르기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추가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추가 입력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업데이트 처리하는 업무마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마감 단계에서,
    다량 소모약품과 기준이하 소모제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이하 소모제품을 표시하는 단계;
    각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기준이하 소모제품의 교환을 문의하는 내용을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료 처리단계에서,
    각 의약품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구조는 DLL, XML, Active-X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통일된 규격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방법.
  9. 삭제
KR1020060091573A 2005-11-21 2006-09-21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54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144 2005-11-21
KR1020050111144 2005-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604A KR20070053604A (ko) 2007-05-25
KR101254734B1 true KR101254734B1 (ko) 2013-04-15

Family

ID=382758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340A KR20070053601A (ko) 2005-11-21 2006-07-12 약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0091573A KR101254734B1 (ko) 2005-11-21 2006-09-21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340A KR20070053601A (ko) 2005-11-21 2006-07-12 약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700536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37A (ko) 2020-05-08 2021-11-1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20220074050A (ko) 2020-11-27 2022-06-03 유병순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080405A (ko) 2020-12-07 2022-06-14 서정욱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3069A1 (en) * 2007-09-29 2010-09-02 Dong Sun Kim Method for monitoring error in prescription data employing barcode system
KR101020211B1 (ko) * 2008-11-27 2011-03-08 한국과학기술원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WO2012020860A1 (ko) * 2010-08-11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물 모니터링 단말기
KR101247867B1 (ko) * 2011-09-19 2013-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버전정보를 이용한 약품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102042606B1 (ko) 2018-08-01 2019-11-08 김기영 마우스 패드를 이용한 약국 맞춤정보 제공 시스템
CN113889215A (zh) * 2021-10-13 2022-01-04 芸豆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配伍禁忌预警提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56208B1 (ko) * 2022-06-08 2022-10-19 주식회사 원스글로벌 의약품 부작용 예측을 기반으로 한 의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609482B1 (ko) * 2022-09-27 2023-12-05 강민규 개인화 부작용 데이터를 이용한 부작용 약물 탐지 및 최적화된 약물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6959693B (zh) * 2023-09-21 2023-12-29 广州源康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互联网医院数据管理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8131A (ja) * 1994-10-28 1998-08-04 アドバンスド・ヘルス・メド・イー・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処方箋管理システム
KR20010000537A (ko) * 2000-10-05 2001-01-05 안주호 인터넷상에서 상품의 재고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방법및 이 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50008022A (ko) * 2003-07-14 2005-01-21 이지케어텍(주)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KR20050018739A (ko) * 2004-06-09 2005-02-28 김선환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8131A (ja) * 1994-10-28 1998-08-04 アドバンスド・ヘルス・メド・イー・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処方箋管理システム
KR20010000537A (ko) * 2000-10-05 2001-01-05 안주호 인터넷상에서 상품의 재고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방법및 이 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50008022A (ko) * 2003-07-14 2005-01-21 이지케어텍(주)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KR20050018739A (ko) * 2004-06-09 2005-02-28 김선환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37A (ko) 2020-05-08 2021-11-1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20220074050A (ko) 2020-11-27 2022-06-03 유병순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080405A (ko) 2020-12-07 2022-06-14 서정욱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604A (ko) 2007-05-25
KR20070053601A (ko)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734B1 (ko)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030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pharmacological tracking and representation of health attributes using digital twin
Irving et al. Haloperidol versus placebo for schizophrenia
Ryan et al. Consumer‐oriented interventions for evidence‐based prescribing and medicines use: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US7653639B2 (en) Computer algorithms and methods for product safety
DE102006035653A1 (de) System und Benutzerschnittstelle zur Überwachung von Patientenbehandlungsverordnungen
US20030036683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net-enabled, patient monitoring system
US20030144884A1 (en) Computerized prescription system for gather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relating to pharmaceuticals
JP6181787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EP1244985A1 (en) System for creating and managing proprietary product data
KR20170118560A (ko)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맞춤형 식품의약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869642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of health care modules
Floor-Schreudering et al. Missed drug therapy alerts as a consequence of incomplete electronic patient records in Dutch community pharmacies
Brian et al. Community pharmacists an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the 21st century; maximizing the expanded roles for universal health coverage and population health optimization
JP5868538B1 (ja) 医療情報管理及び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による医療情報管理方法
CN115148321B (zh) 处方平台及其处方监管方法
WO2006126556A1 (ja) 薬歴情報管理装置
JP6954966B2 (ja) 薬局連携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517764B (zh) 用于提供冠心病延续性护理的远程医疗系统及方法
CN114596945A (zh) 一种处方开药方法、医院信息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Long et al. A novel clinical decision support algorithm for constructing complete medication histories
Al Harweel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smart pharmacy
Crawford et al. Prescription drug monitoring program: access in the first year
Asadi et al. Pharmacy information systems in Tehran university hospital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harmaceutical companies
JP4685985B2 (ja) 薬歴情報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