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211B1 -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211B1
KR101020211B1 KR1020080118856A KR20080118856A KR101020211B1 KR 101020211 B1 KR101020211 B1 KR 101020211B1 KR 1020080118856 A KR1020080118856 A KR 1020080118856A KR 20080118856 A KR20080118856 A KR 20080118856A KR 101020211 B1 KR101020211 B1 KR 10102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produ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306A (ko
Inventor
조광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18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211B1/ko
Priority to PCT/KR2009/000277 priority patent/WO2010062006A1/ko
Publication of KR2010006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7Optical sens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such as interrogation of RFIDs with an additional optical interfa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에 장착된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미용품 등의 성분 또는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성분 또는 함량 가운데 사용자 개인의 알레르기 반응성분 또는 사용자 체질에 따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상품 정보 입력부와,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의료 정보, RFID, 바코드, 상품 정보, 의료 정보

Description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Medical Information Terminal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말기에 장착된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미용품 등의 성분 또는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성분 또는 함량 가운데 사용자 개인의 알레르기 반응성분 또는 사용자의 체질에 따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알려주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은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미용품 등의 구매를 위해 상점들을 찾아 나선다. 그러나 개개인의 체질에 따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 또는 알레르기 반응성분이 포함된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미용품의 구분은 쉽 지 않다. 또한 이를 개개인이 일일이 기억하고 구분하여 선택하기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반면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결과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서 이를 손쉽게 선별하여 예방할 수 있는 도구와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만약,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려는 상품에 함유된 성분 및 함량와 사용자 개인의 체질 사이의 상관관계, 사용자 개인의 알레르기 반응 또는 부작용 여부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나, 현재까지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된 사례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말기에 장착된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미용품 등의 성분 또는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성분 또는 함량 가운데 사용자 개인의 알레르기 반응성분 또는 사용자의 체질에 따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알려주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상품 정보 입력부와,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CR)일 수 있다.
상기 광학식 문자판독기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을 표시한 문자를 스캐닝하고, 상기 마이컴에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문자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는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카메라 및 레이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출력부 또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상품 정보 입력부와,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와, 외부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CR)일 수 있다.
상기 광학식 문자판독기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을 표시한 문자를 스캐닝하고, 상기 마이컴에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문자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는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카메라 및 레이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의 의료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의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의 성분과 관련된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는 의학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사용자의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의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에 관한 최신 뉴스, 상기 상품의 성분에 관한 주의 사항 및 다른 상품과의 비교 정보 중 하나 이상 전송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로부터 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 및 상기 의학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학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출력부 또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카드 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에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사용자 의료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제 1단계와,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2단계와,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2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CR)를 이용하여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는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카메라 및 레이져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을 표시한 문자를 스캐닝하고, 상기 제 4단계에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문자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의 성분과 관련된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전송하는 의학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사용자의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의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에 관한 최신 뉴스, 상기 상품의 성분에 관한 주의 사항 및 다른 상품과의 비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제 2단계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데이터,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 및 제 3단계를 통해 의학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5단계는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를 이용하는 영상 출력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는 음성 출력을 통하여 상기 제 4단계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에 장착된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미용품 등의 성분 또는 함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미용품 등의 성분 또는 함량와의 알레르기 반응 여부, 부작용 여부를 손쉽게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체질에 맞지 않는 식료품, 의약품, 화장품 등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먼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참조로하며, 또는 최신의 의학 정보,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관련성에 관한 검출결과를 제공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상품 정보 입력부(110),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 마이컴(130), 통신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상품 정보 입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 외부에 설치된 광학식 문자 판독기(미도시), 바코드 센서(미도시) 및 RFID 센서(미도시), 카메라(미도시) 및 레이져(미도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미도시), 바코드 센서(미도시), RFID 센서(미도시), 카메라(미도시) 및 레이져(미도시) 모두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입력의 예시를 도시한 도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외부에 설치된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정보를 판독한 예(A)를 도시하였다.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은 인쇄되거나 또는 손으로 쓴 글씨들을 인식하는 장치이다.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은 먼저 텍스트를 스캐닝하고, 이를 한 글자씩 분석하며, 일반적인 테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글자 이미지를 아스키와 같은 글자코드(또는 문자코드)로 번역하는 등의 작업 등을 진행한다.
상기 문자코드(또는 글자코드)는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자나 기호 하나 하나에 할당시키는 고유의 숫자등을 말하며,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의 처리에서는 각 글자나 숫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스캐너로 읽어들인 이미지나 비트맵에 대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한 다음, 하나의 글자로 인식되면 아스키 코드로 변환한다. 한편, 인식단계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특별히 설계된 회로 기판이나 칩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의 종류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정보를 판독한 데이터는 마이컴(130)에서 처리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외부에 설치된 바코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정보를 판독하는 예(B)를 도시하였다.
바코드(bar code)는 컴퓨터가 읽고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 기호와 조합한 코드를 말한다. 이러한 바코드는 바코드 센서(또는 바코드 리더기) 등에 의해 판독되며, 상품 바코드에는 상품에 관한 모든 정보가 담겨질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바코드에 일반적으로 입력되는 정보 이외에 당해 상품의 성분이나 함량에 관한 정보를 미리 입력 해두는 경우, 상술한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보다 손쉽게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물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이외에,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2차원 바코드는 조그마한 사각형 안에 가로와 세로 (x,y) 양 방향으로 점자 또는 모자이크식 코드로 표현한 평면 바코드를 말하며, 1차원 바코드보다 휠씬 많은 고 밀도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바코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는 RFID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이란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서, 소형 반도체 칩을 사용해 사물 정보를 처리하는 인식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RFID는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해 대상 물체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품에 부착된 태그 정보를 자유롭게 식별하고 기록할 수 있는 자동식별 기술이다.
물론, 상기 RFID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품 정보가 기록된 태그가 개개의 상품에 부착되어야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외부에 설치된 RFID 센서(또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로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채용되어야 한다.
여기서 문자 인식(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이란 인쇄되거나 손으로 쓴 문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술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면 공지의 기술 중 어떠한 기술을 채용하여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상기 문자 인식 기술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는 레이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로서 레이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면 공지의 기술 중 어떠한 기술을 채용하여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상기 기술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에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되는 의료 정보로는 사용자의 의료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 자의 체질정보, 사용자 DNA 정보 등일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의료 정보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로는 유전자 서열 정보, SNP, 유전체 , 단백질체 및 대사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내부(100)에 설치되어 상술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저장 수단이라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상기 저장 수단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이컴(130)는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토대로,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마이컴(마이크로 컴퓨터, microcomputer)이란 일반적으로 연산 처리부를 1개 또는 수 개의 대규모집적회로(LSI)로 구성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기억장치 및 주변장치와의 인테페이스 회로등을 붙인 보드에 탑재한 극소형 컴퓨터를 말한다.
상기 마이컴(13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각 장치들의 제어를 담당하고, 미리 프로그래밍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와 같이 검출된 결과를 출력부(150)에 전송함 으로써,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마이컴(130)은 외부 기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140)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상품의 성분과 관련된 의학 정보 또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 상기 외부 기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에 상기 마이컴(130)에 미리 프로그래밍된 연산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외부 기기(2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200)로부터 의학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전송받은 의학 정보를 상기 마이컴(13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마이컴(130)이 상기 의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는 US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상기 마이컴(130)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다시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출력부또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마이컴(130)의 검출 결과를 LCD, PDP, LED 및 OLED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display)를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서 제공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를 통해서 상기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는 상기 마이컴(130)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 없으며, 여기서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부 기기(200)는 의학 정보 제공 서버,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 다양한 웹 서버 일 수 있다.
상기 의학 정보 제공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의 통신부(14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멜라민이나 기타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 금지하고 있는 유해물질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과 관련된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상기 통신부(14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인터넷에 연결된 다양한 웹 서버를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의 통신부(14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140)에 전송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통신부(140)에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 DNA 정보 등을 전송함으로써, 이를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이를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병원 또는 보건소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이란, 병원 등에서 기존의 종이차트로 관리되던 의무기록 관리 방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정보를 전산화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을 말한다.
즉, 상기 EMR 시스템은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되는 모든 형태의 의료정보 -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내역, 치료 내역,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등이 전산화된 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최신 뉴스, 상품의 성분에 관한 주의 사항, 다른 상품과의 비교 정보 등을 상기 통신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문제되고 있는 멜라민이 함유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상품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하여 전송받은 상품에 관한 최신 뉴스, 상품의 성분에 관한 주의 사항 등을 참조로 하여 경고 문구 등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단말기 형태 이외에 스마트 카드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카드(Smart Card)는 일반적으로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기억소자를 장착하여 대용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전자식 카드를 말한다.
구조적으로는 접속단자, IC칩, 플라스틱 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조 공정으로는 간단히 설명하면,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IC칩을 제작한 후, 다이(die)를 PCB(인쇄회로기판)에 부착한 후,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하고, 수지 보호층을 도포하고, 마이크로 모듈을 제작한다. 기저판의 인쇄 및 모듈용 홈을 가공한 후 마이크로 모듈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의 종류로는 크게,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되지 않는 메모리형 스마트 카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장형 스마트 카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I/O 프로토콜, 응용 프로그램 등을 내장하여 정보의 쌍방향 전달을 할 수 있는 대화형 스마트 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될 스마 트 카드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장형 스마트 카드 또는 대화형 스마트 카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의 카드 형태라는 특성상 영상 출력부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기존의 LCD 또는 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 디스플레이이며,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는 상술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와 기본적이 구성이 동일한바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는 병원 등에 설치된 사용자 의료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일례로 스마트 카드 리더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단계(S10), 제 2단계(S20), 제 3단계(S30), 제 4단계(S40) 및 제 5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단계(S10)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이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 도 2참조)에 저장된다. 저장되는 의료 정보로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 DNA 정보 등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로는 유전자 서열 정보, 유전체, SNP, 단백질체 및 대사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S20)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는 상품 정보 입력부(110, 도 2참조)를 통하여 입력된다.
이러한 상품 정보 입력부(110, 도 2참조)는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 바코드 센서, RFID 센서, 카메라 및 레이져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 바코드 센서, RFID 센서, 카메라 및 레이져 모두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 바코드 센서, RFID 센서, 카메라 및 레이져를 이용한 상품 정보 입력 과정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대한 설명시 이미 하였는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3단계(S30)는 외부 기기(200, 도 1참조)와 통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은 통신부(140, 도 2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통신부(140, 도 2참조)는 상기 외부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의료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전송받은 의료 정보를 상기 마이컴(130, 도 2참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마이컴(130, 도 2참조)이 상기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200, 도 1참조)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 의학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의학 정보 제공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 도 1참조)의 통신부(140, 도 2참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과 관련된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상기 통신부(140, 도 2참조)에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 도 1참조)의 통신부(140, 도 2참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140, 도 2참조)에 전송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통신부(140, 도 2 참조)에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 DNA 정보 등을 전송함으로써, 이를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 도 2참조)에 저장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이를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4단계(S40)는 상기 제 1단계(S10)에서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2단계(S20)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제 4단계(S40)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 도 2참조)에 내장된 마이컴(130, 도 2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즉, 상기 마이컴(130, 도 2참조)은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110, 도 2참조)로부터 입력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120, 도 2참조)로부터 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의학 정보에 상기 마이컴(130)에 미리 프로그래밍된 연산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5단계(S50)는 상기 제 4단계(S40)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제 5단계(S50)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장착된 출력부(150, 도 2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즉, 상기 출력부(150, 도 2참조)는 상기 마이컴(130, 도 2참조)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출력부(150, 도 2참조)는 다시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출력부 또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마이컴(130, 도 2참조)의 검출 결과를 LCD, PDP, LED 및 OLED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display)를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서 제공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를 통해서 상기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입력의 예시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200: 외부 기기
110: 상품 정보 입력부 120: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
130: 마이컴 140: 통신부
150: 출력부
A: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정보
B: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바코드 정보

Claims (30)

  1.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상품 정보 입력부;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을 표시한 문자를 스캐닝하여 상기 마이컴에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CR), 상품의 성분이나 함량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기, 상품 정보가 기록된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기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레이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출력부; 및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7.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상품 정보 입력부;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
    외부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을 표시한 문자를 스캐닝하여 상기 마이컴에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CR), 상품의 성분이나 함량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기, 상품 정보가 기록된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기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레이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의 의료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의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의 성분과 관련된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는 의학 정보 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사용자의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의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에 관한 최신 뉴스, 상기 상품의 성분에 관한 주의 사항 및 다른 상품과의 비교 정보 중 하나 이상 전송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상품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에 관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저장부로부터 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 및 상기 의학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학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1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출력부; 및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18.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의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가 카드 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
  19. 상기 청구항 18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에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사용자 의료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20.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는 제 1단계;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2단계;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제 3단계;
    상기 제 2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의 성분 및 함량 중에서 사용자에게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단계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CR),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카메라 및 레이져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되,
    상기 광학식 문자판독기(OCR)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 2단계에서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을 표시한 문자를 스캐닝하고, 상기 제 4단계에서는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 데이터,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의 성분과 관련된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전송하는 의학 정보 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사용자의 병원 검진 기록, 병원 진료 기록,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 부작용 여부, 식품 영양학 정보, 사용자의 체질 정보, 사용자의 DNA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8.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상품에 관한 최신 뉴스, 상기 상품의 성분에 관한 주의 사항 및 다른 상품과의 비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제 2단계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품의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데이터,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 및 제 3단계를 통해 의학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학 정보 또는 약학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품과 사용자 개인 체질과의 상관관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30.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LCD, PDP, LED 및 OLED 중 하나를 이용하는 영상 출력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는 음성 출력을 통하여 상기 제 4단계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KR1020080118856A 2008-11-27 2008-11-27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KR10102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56A KR101020211B1 (ko) 2008-11-27 2008-11-27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PCT/KR2009/000277 WO2010062006A1 (ko) 2008-11-27 2009-01-19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56A KR101020211B1 (ko) 2008-11-27 2008-11-27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306A KR20100060306A (ko) 2010-06-07
KR101020211B1 true KR101020211B1 (ko) 2011-03-08

Family

ID=4222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56A KR101020211B1 (ko) 2008-11-27 2008-11-27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0211B1 (ko)
WO (1) WO2010062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4915B2 (en) 2012-04-07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to device regarding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081A1 (ko) * 2010-07-29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단말기,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 및 상기 복약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GB2493141A (en) * 2011-07-19 2013-01-30 Gene Onyx Ltd Method of selecting a product using a DNA sample
KR101301311B1 (ko) * 2011-09-27 2013-08-29 장유영 레시피 코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원재료 캡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KR101652701B1 (ko) * 2014-06-16 2016-08-31 이종승 질병에 치명적인 상품에 대한 알림 기능을 가진 쇼핑카트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604A (ko) * 2005-11-21 2007-05-2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6037A (ko) * 2005-03-01 2007-12-06 해리스 데이비드 엔. 제품 식별자들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912A (ko) * 1998-07-01 1998-10-26 조현정 약품정보검색방법
KR20000054412A (ko) * 2000-06-05 2000-09-05 남궁석 진료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037A (ko) * 2005-03-01 2007-12-06 해리스 데이비드 엔. 제품 식별자들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53604A (ko) * 2005-11-21 2007-05-2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4915B2 (en) 2012-04-07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to device regarding product
US9768975B2 (en) 2012-04-07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to device regarding product
US10237085B2 (en) 2012-04-07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to device regarding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306A (ko) 2010-06-07
WO2010062006A1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7555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59495B2 (en) Portable data terminal
US9818013B2 (en) Mobile computer configured to read multiple decodable indicia
KR101020211B1 (ko)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US20120280049A1 (en) Personal Health Record (PHR) ID card claiming priority for 61/482624
US201601715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products in a retail store using a mobile device
CN100517362C (zh) 用于客户产品信息的检索的方法和系统
US10395511B1 (en) Condition-responsive wearable device for sensing and indicating proximity of an article with a specific characteristic
KR20220015072A (ko) 영상의료 정보를 이용한 영상의료 전산정보 제공 방법
WO2004072811A2 (en) Display having optical sensor for triggering secondary display
JP2003051066A (ja) アイテム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5102984B2 (ja) 飲食物メニュー表
US20230290243A1 (en) Condition-responsive wearable device for sensing and indicating proximity of an article with a specific characteristic
JP2007133635A (ja) Icタグを用いた医科材料の物流システム及び診察システム
CN102592159A (zh) 营养标签、阅读器、食品包装及其身份识别认证方法和系统
CN109643425B (zh) 用于标识产品的系统和方法
KR100661587B1 (ko) 알에프아이디와 이미지 태그를 이용한 대상물 식별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rtwiriyaprapa et al. A low-cost audio prescription labeling system using RFID for Thai visually-impaired people
KR20120065988A (ko) 효능/용법/용량 및 원재료/영양성분 돋보기 정보 제공 시스템
WO2024079515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products
US20150019243A1 (en) Medicament regis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medicament by the same
KR20180007026A (ko) 성분정보를 이용한 상품검색시스템 및 상품검색방법
JPWO2016194657A1 (ja) 情報表示システム
WO201513116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enhancing
TW202201422A (zh) 藥品管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