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637A -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637A
KR20210136637A KR1020200055167A KR20200055167A KR20210136637A KR 20210136637 A KR20210136637 A KR 20210136637A KR 1020200055167 A KR1020200055167 A KR 1020200055167A KR 20200055167 A KR20200055167 A KR 20200055167A KR 20210136637 A KR20210136637 A KR 20210136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unit
terminal
chatbo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791B1 (ko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7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관리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처방전을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처방전의 진위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부; 상기 처방전의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2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 상기 제1 확인부 및 상기 제2 확인부에 의해 상기 처방전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약국 측 제2 단말기에 상기 처방전을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ELEMETRY USING BLOCKCHAI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본 발명은 약품을 원격에서 관리하거나 의료 관련 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은 환자의 질병치료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것이나 항시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의 적정 사용을 위해 적절한 정보를 항시 수집, 분석하고 있으나, 여기서 그치는 것은 의미가 적다. 즉, 해당 내용을 의약품을 선택하는 당사자인 의사/약사에게 전달하고, 이들 전문인이 환자진료 또는 조제시점에 해당정보를 기억하고 반영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약품이 의약품인 것이다. 또한,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던 의약품도 사용과정에서 새로이 부작용이 발견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항시 최신의 정보를 구축하고, 의사/약사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의료 정보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사생활 침해가 우려되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개인 건강을 위한 지속적인 자료 관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54734호에는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54734호
본 발명은 원격으로 제공받은 처방전 및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의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인정보와 개인 의료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보호가 필요하므로 이를 제공하기 위한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을 더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처방전을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처방전의 진위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부; 상기 처방전의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2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 상기 제1 확인부 및 상기 제2 확인부에 의해 상기 처방전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약국 측 제2 단말기에 상기 처방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의 진위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의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의 진위가 인증되고 상기 약품이 비위험 군으로 분류되며 상기 처방전이 정상으로 확인되면, 약국 측 제2 단말기에 상기 처방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처방전을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질문을 처리하는 챗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챗봇부는 제1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며, 상기 인터넷에서 검색된 답변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챗봇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답변을 제공한 후에도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보정해 나가고, 상기 챗봇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질문이 재수신되면 지속적으로 수집되고 보정 중인 현재 시점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대화형 AI, 블록 체인, 기계 학습, 인공 지능(AI)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원격 의료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병에 걸렸거나 건강한 사람일 수 있는 사용자는 챗봇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정보를 처방전과 의료 관련 질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처방전이 입수되면, 처방전의 진위, 진정성 여부 등을 파악하고, 정상적인 처방전인 경우에 한해서 약국 또는 약사에게 처방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방전에 심각한 흠결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약사, 관리자, 보호자에게 경고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및 개인의료정보가 챗봇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관리되어야 되므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인증과 보안 기능을 강화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 경고부(150), 챗봇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1 단말기(1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휴대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강한 사람 또는 환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1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디지털 데이터가 처방전으로 분류되면, 제1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디지털 데이터를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 경고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디지털 데이터가 의료 관련 질문으로 분류되면, 챗봇부(160)에 제1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디지털 데이터를 챗봇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처방전이 획득되면, 인증부(120)는 처방전의 진위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방전은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의 사용자로부터 입수될 수 있다. 의약품의 잘못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처방전의 위조 여부가 판별될 필요가 있다.
인증부(120)는 제1 단말기(10)에 의해 업로드된 처방전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처방전을 발행한 의사의 서명 또는 봉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부(120)는 의사로부터 획득된 전자 서명과 처방전의 이미지에 포함된 서명 간의 비교를 통해 서명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20)는 봉인 상태(seal), 예를 들어 종이를 접어 가장자리 반반에 걸쳐 날인한 도장 등의 표식 또는 사용자는 확인 불가능한 위조 변조 문자/문양/도형 등의 확인을 통해 봉인 상태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의사의 서명 및 봉인 상태 모두가 정당한 것으로 판별되면, 처방전이 진정한 것임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의사의 서명 또는 봉인 상태 중 어느 하나가 위조 또는 거짓으로 판별되면, 처방전이 허위인 것임을 인증할 수 있다.
처방전의 소스에 대한 추가적인 인증 절차를 위해, 인증부(120)는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처방전의 발행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의사의 서명, 봉인 상태, 발행 이력 중 어느 하나에 흠결이 존재하면 처방전을 허위 또는 무효로 인증할 수 있다. 허위 또는 무효로 인증된 처방전은 약사 또는 약국 측의 제2 단말기(20)에 전달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증부(120)에서 의해 처방전이 정당한 것으로 판별되지 않은 경우, 해당 처방전의 의약품이 발행되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인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처방전이 관리 장치(100)에 업로드되면, 약국 측에 설비된 관리 장치(100)는 의사의 서명과 봉인 상태를 인증할 수 있다.
제1 확인부(130)는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위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확인부(130)는 처방전이 나타내는 약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확인부(130)는 처방전이 나타내는 약품 중 유독하거나 유해한 물질, 유해할 정도의 수량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확인부(130)는 유해한 물질, 유해한 수량이 확인되면, 처방전을 발행한 제1 의사에게 처방전의 내용을 재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인부(130)는 유해한 물질 정보, 유해한 수량을 나타낸 메시지를 제1 의사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확인부(130)는 제1 의사의 단말기로부터 정상 처방전이라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한해 해당 처방전을 약국 측 제2 단말기(20)에 제공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는 처방전의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는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고, 사용자의 과거 처방 내역과 현재의 처방전을 비교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는 과거 처방 내역과 현재의 처방전 간에 종류면 또는 수량면에서 설정값 이상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는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 잘못된 약을 주문한 처방전의 진위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는 환자가 제출한 약에 문제가 확인되면, 과거에 해당 환자에 대해 처방한 제1 의사를 탐색하고 제1 의사의 단말기에 해당 사실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는 제1 의사의 단말기로부터 정상 처방전이라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만 제2 단말기(20)에 해당 처방전을 제공 또는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확인부(130) 또는 제2 확인부(140)는 인증부(120)에 의해 처방전이 진실되거나 정당한 것으로 인증된 상태에서 처방전에 위험 약품이 포함되거나 처방에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처방전을 처방한 제1 의사를 제외한 기설정된 제2 의사에게 해당 처방전을 재확인할 수 있다. 제1 확인부(130) 또는 제2 확인부(140)는 제2 의사의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상태에서만 제2 단말기(20)에 처방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의사의 착오 또는 실수가 제2 의사의 도움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 모두에 의해 진실되고, 위험성에 대한 문제가 없으며, 처방에 대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처방전은 통신부(110),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2 단말기(20)에 제공되고 제2 단말기(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약국 측에 배치된 컴퓨터, 단말기 또는 약사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에는 처방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등의 시각 표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경고부(150)는 처방전의 허위, 약품의 위험, 잘못된 처방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처방전의 허위는 인증부(120)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약품의 위험은 제1 확인부(130)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잘못된 처방은 제2 확인부(140)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경고부(150)는 제2 단말기(20) 또는 관리자의 제3 단말기(30)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단말기(30)는 관리 장치(100)의 관리자, 처방전을 관리하는 관리자, 처방전을 제공한 사용자의 보호자/친구 등이 사용하는 컴퓨터, 휴대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제1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질문을 처리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기계 학습, 딥 러닝, 자연어 처리 및 퍼지 시스템과 같은 인공 지능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챗봇부(160)를 대상으로 유형의 질문, 질의를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로드된 질문에 대응하여 챗봇에는 다양한 기능이 마련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제1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며, 인터넷에서 검색된 답변을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제1 단말기(10)에 답변을 제공한 후에도 제1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보정해 나갈 수 있다. 챗봇부(160)는 제1 단말기(10) 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1 질문이 재수신되면 지속적으로 수집되고 보정 중인 현재 시점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챗봇부(160)는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을 사용하여 자체 성장할 수 있다. 사용자 질문에 따라 챗봇부(160)는 인터넷을 지속적으로 검색하여 관련 페이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사용자의 제1 단말기(10)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해 답변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챗봇부(160)의 답변에 대해 만족하거나 불만족을 선택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도뿐만 아니라 인터넷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에 의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제1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제1 단말기(10)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약국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검색된 약국의 정보를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약국의 정보에는 약국의 위치, 약국의 약품 가격과 주변 약국의 약품 가격의 비교 정보가 포함될 수 잇다.
챗봇부(160)는 약국의 약품 가격보다 주변 약국의 약품 가격이 설정값 이상 저렴하면, 주변 약국의 위치 정보를 제1 단말기(10)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챗봇부(160)는 사용자가 제공한 건강 정보 또는 처방전을 의료 서버(90)에 전송할 수 있다. 의료 서버(90)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해당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정보의 처리를 통해, 의료 서버(9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권장 조치에 대한 권장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의료 서버(9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치명적이거나 심각하면 친척/부모/친구에게 알릴 수 있다. 의료 서버(90)의 보고서는 이메일로 의사에게 보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의료 서버(90)의 각 기능은 챗봇부(160)에 의해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챗봇부(160)는 의료 관련 권장 사항을 사용자에게 설명할 수 있다. 최근에 신경망 기반의 머신 러닝 모델은 숫자 정보를 블랙 박스로 취급하고 권장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권장 사항은 모델의 출력을 이해할 수 없으므로 사람이 받아들일 수 없다. 챗봇부(160)는 인간이 NN(지능망) 기반 머신 러닝 모델의 권장 사항을 해석하고 이해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 eXplainable 인공 지능 (XAI)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관리 장치(100)는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 경고부(150), 챗봇부(160)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20), 제3 단말기(30)는 사람 기호로 표시되고 있다.
제1 단말기(1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가 업로드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①). 디지털 데이터가 각종 질문 등을 포함하는 경우 챗봇부(160)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a).
디지털 데이터가 처방전인 경우 통신부(110)는 처방전을 인증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인증부(120)에 의해 처방전의 진위 여부가 인증되며, 제1 확인부(130)에 의해 약품의 위험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에 의해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가 확인될 수 있다.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를 정상적으로 거친 처방전은 제2 단말기(20)에 제공될 수 있다(②).
만약,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 중 어느 하나에서 처방전에 흠결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처방전의 흠결 사실이 제2 단말기(20) 또는 제3 단말기(30)로 제공될 수 있다(③).
챗봇부(16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처방전 또는 질문 사항을 분석하고, 기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치명적인 약품 상태, 건강 상태가 파악되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경고 메시지는 관리자, 보호자 등의 제3 단말기(30)로 제공될 수 있다(⑤).
처방전 또는 질문 사항의 분석, 경고 메시지의 생성은 챗봇부(160)를 대신해 의료 서버(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방전 정보, 질문 사항 정보는 챗봇부(160)에 의해 의료 서버(90)로 전달될 수 있다(④).
도 3은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의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S 510). 통신부(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제1 단말기(10)는 처방전의 업로드를 위해 사전에 로그인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디지털 데이터가 처방전인지 질문 사항인지 구분할 수 있다(S 520).
제1 단말기(10)로부터 처방전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110)는 처방전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제2 확인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처방전의 처리 여부가 분석될 수 있다(S 530).
처방전의 처리 여부는 인증부(120), 제1 확인부(130) 및 제2 확인부(1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인증부(120)는 처방전의 진위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처방전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의사의 서명 또는 봉인 상태를 이용해서 처방전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1 확인부(130)는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위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확인부(140)는 처방전의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확인부(140)는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기존 처방전과 비교하고, 설정값 이상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제2 확인부(140)는 처방전 발행 당시 사용자의 스트레스 존재 여부 등을 파악하고, 해당 스트레스로 인한 처방전의 변동 사항이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처방전이 정상으로 처리되면, 약품을 발행하는 약국 측에 설비된 제2 단말기(20)를 통해 처방전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처방전의 진위가 인증되고 약품이 비위험 군으로 분류되며 처방전이 정상으로 확인되면, 약국 측 제2 단말기(20)에 처방전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처방전이 비정상으로 처리되면, 제2 단말기(20) 또는 제3 단말기(30)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S 540).
제1 단말기(10)로부터 질문 사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110)는 질문 사항(query)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챗봇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S 520).
챗봇부(160)는 인터넷 또는 자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통해 질문 사항에 대한 답변을 추출하고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S 550).
챗봇부(160)는 의료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을 구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약국의 정보를 제1 단말기(10)에 제공하거나, 복수 약국의 가격 정보를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S 560).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처방전 정보와 챗봇부를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통하여 개인 이력을 저장 및 관리하고 개인 건강을 위하여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처방 내용, 처방 용량, 지불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의 수행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관리 장치(100) 등) 일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제1 단말기 20...제2 단말기
30...제3 단말기 100...관리 장치
110...통신부 120...인증부
130...제1 확인부 140...제2 확인부
150...경고부 160...챗봇부

Claims (9)

  1. 제1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처방전을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처방전의 진위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부;
    상기 처방전의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2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 상기 제1 확인부 및 상기 제2 확인부에 의해 상기 처방전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약국 측 제2 단말기에 상기 처방전을 표시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의 허위, 상기 약품의 위험, 잘못된 처방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부가 마련되고,
    상기 경고부는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관리자의 제3 단말기에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업로드된 상기 처방전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처방전을 발행한 의사의 서명 또는 봉인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부는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처방전의 발행 이력을 추적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의사의 서명, 상기 봉인 상태, 상기 발행 이력 중 어느 하나에 흠결이 존재하면 상기 처방전을 허위로 인증하는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인부 또는 상기 제2 확인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처방전이 진실된 것으로 인증된 상태에서 상기 처방전에 위험 약품이 포함되거나 상기 처방에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처방전을 처방한 제1 의사를 제외한 기설정된 제2 의사에게 해당 처방전을 재확인하고,
    상기 제1 확인부 또는 상기 제2 확인부는 상기 제2 의사의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처방전을 표시하는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질문을 처리하는 챗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챗봇부는 제1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며, 상기 인터넷에서 검색된 답변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챗봇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답변을 제공한 후에도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보정해 나가고,
    상기 챗봇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질문이 재수신되면 지속적으로 수집되고 보정 중인 현재 시점의 답변을 제공하는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챗봇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약국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챗봇부는 검색된 약국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약국의 정보에는 약국의 위치, 상기 약국의 약품 가격과 주변 약국의 약품 가격의 비교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챗봇부는 상기 약국의 약품 가격보다 상기 주변 약국의 약품 가격이 설정값 이상 저렴하면, 상기 주변 약국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추가로 제공하는 관리 장치.
  7.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의 진위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의 처방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처방전의 진위가 인증되고 상기 약품이 비위험 군으로 분류되며 상기 처방전이 정상으로 확인되면, 약국 측 제2 단말기에 상기 처방전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와 챗봇부를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통하여 개인 이력을 저장 및 관리하고 개인 건강을 위하여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처방 내용, 처방 용량, 지불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의 수행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KR1020200055167A 2020-05-08 2020-05-08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10254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67A KR102544791B1 (ko) 2020-05-08 2020-05-08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67A KR102544791B1 (ko) 2020-05-08 2020-05-08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37A true KR20210136637A (ko) 2021-11-17
KR102544791B1 KR102544791B1 (ko) 2023-06-19

Family

ID=7870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67A KR102544791B1 (ko) 2020-05-08 2020-05-08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7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309A (ko) * 2010-01-20 2011-07-27 김동선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KR101254734B1 (ko) 2005-11-21 2013-04-1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687A (ko) * 2011-12-14 2013-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30681A (ko) *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전 견적에 기초한 약국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964733B1 (ko) *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5983A (ko) * 2018-08-06 2020-02-14 김정훈 chatbot을 이용한 의약품 사용법 제시, 의약품 식별정보 제시, 의약품 부작용 대처법 제시, 복약안내 제시를 위한 지능형 채팅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34B1 (ko) 2005-11-21 2013-04-1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5309A (ko) * 2010-01-20 2011-07-27 김동선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KR20130082687A (ko) * 2011-12-14 2013-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30681A (ko) *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전 견적에 기초한 약국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015983A (ko) * 2018-08-06 2020-02-14 김정훈 chatbot을 이용한 의약품 사용법 제시, 의약품 식별정보 제시, 의약품 부작용 대처법 제시, 복약안내 제시를 위한 지능형 채팅 방법 및 그 장치
KR101964733B1 (ko) *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791B1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9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anagement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and prescription refill verification
US83356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edication prescriptions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CA2715969C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edication prescriptions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CN110795433B (zh) 一种处方信息存储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201703302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Medical Claims Fraud
US86766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cation prescription consultation
US20130297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rescribing
EP1544768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09219854A (zh) 患者风险评分和评估系统
JP2011253533A (ja) 病歴診断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02167078U (zh) 一种自动售药装置
US11196734B2 (en) Safe logon
US200301671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raud and mistake in the issuance, filling and payment of medical prescriptions
JP5464124B2 (ja) 処方判断システム
KR101827795B1 (ko) 의료상담시스템 및 의료상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팅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544791B1 (ko)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JP2018032106A (ja) 処方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4059922A (ja) 薬剤の処方を確実に適切に行う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Ondiege et al. Health care professionals’ perception of security of personal health devices
KR20220052417A (ko) 인공지능 및 전문가 큐레이션을 이용한 양방향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플랫폼 및 양방향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CN11336218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2008310574A (ja) 副作用情報管理システム、副作用情報管理方法、副作用情報管理プログラム
Lovett et al. Online threats to senior safety: The direct-to-consumer medical marketplace and eelder Abuse
JP2002334154A (ja) 投与薬剤フォローアップシステム
US20210057072A1 (en) Responsive server, server system and server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based on comprehensive medication authorization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