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405A -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405A
KR20220080405A KR1020200169468A KR20200169468A KR20220080405A KR 20220080405 A KR20220080405 A KR 20220080405A KR 1020200169468 A KR1020200169468 A KR 1020200169468A KR 20200169468 A KR20200169468 A KR 20200169468A KR 20220080405 A KR20220080405 A KR 20220080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user terminal
platform server
sales
resourc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788B1 (ko
Inventor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서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2020016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7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약사의 의약품 판매를 위한 영업 및 마케팅을 제공하는 판매 대행 조직(CSO, Contracts Sales Organization)을 통해 운영되고, 병원들의 처방자료를 수집하여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약사를 통해 운영되고, 상기 판매 대행 주체에 의해 입력된 처방자료에 관한 통합 분석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처방자료에 관한 통합 DB를 구축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통합 DB를 통해 도출되는 통합 리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Integrated resource management platform system for medical personnel}
본 발명은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합 자원관리를 위한 일원화된 플랫폼을 제공하여 분산된 데이터의 통합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관련 영업대행 조직(Contract Sales Organization)은 대부분 1인 또는 2인으로 구성된 법인 또는 개인사업자로 ERP 프로그램 대신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하거나 또는 고비용의 설치형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의 취합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제약회사의 경우 자체 ERP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CSO의 분석 환경에 적용하기 어렵고, CSO의 자체 프로그램과의 호환도 불가능하여 상호 간의 데이터 취합 및 분석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하나의 병원에서 취급하는 약품들은 매우 많은 반면, 이를 관리하는 CSO 업체들이 각각 계약되어 활동하고 있어 CSO 업체들 간의 경쟁에 따라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다수의 병원들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이 각각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는 결과 지역 규모를 넘어 전국 규모의 데이터 통합이나 분석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54734호 (2013.04.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합 자원관리를 위한 일원화된 플랫폼을 제공하여 분산된 데이터의 통합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분산된 데이터를 일원화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또는 국내 신제품에 관한 시장조사 분석자료 등을 다양하게 생성하여 활용 가능하게 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제약사의 의약품 판매를 위한 영업 및 마케팅을 제공하는 판매 대행 조직(CSO, Contracts Sales Organization)을 통해 운영되고, 병원들의 처방자료를 수집하여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약사를 통해 운영되고, 상기 판매 대행 주체에 의해 입력된 처방자료에 관한 통합 분석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처방자료에 관한 통합 DB를 구축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통합 DB를 통해 도출되는 통합 리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웹(Web)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질환별 처방 약물 패턴, 지역별 질환 발병 패턴 및 급여/비급여 약물의 처방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상기 통합 리포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제약사의 특정 의약품에 대한 매칭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합 DB를 기초로 해당 특정 의약품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한 판매 대행 조직을 결정하여 상기 매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합 리포트에 관한 대가로서 상기 의약품 판매에 따른 수수료를 수신하고, 상기 통합 리포트에 사용된 처방자료의 출처를 기초로 상기 판매 대행 조직의 기여도를 산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통합 자원관리를 위한 일원화된 플랫폼을 제공하여 분산된 데이터의 통합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기존의 분산된 데이터를 일원화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또는 국내 신제품에 관한 시장조사 분석자료 등을 다양하게 생성하여 활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ERP 방식을 통한 자원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플랫폼 서버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종래의 ERP 방식을 통한 자원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ERP 방식은 1개의 병원에서 생산된 처방자료들이 여러 CSO 주체들에게 분산될 수 있고, 각 CSO 주체와 계약된 제약사들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다. 즉, 하나의 병원에서 생산된 처방자료라고 하더라도 계약 관계, 예를 들어 병원과 CSO 주체간 및 CSO 주체와 제약사간의 계약에 따라 서로 분산되어 관리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CSO 주체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불가능하고, 제약사 간에도 상호 데이터 교환이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지역별 또는 국내에서 생산된 많은 처방자료가 하나로 통합되지 못하고 분산되어 관리됨으로써 전체 데이터에 기반한 통합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200)은 제1 사용자 단말(210), 제2 사용자 단말(230) 및 플랫폼 서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10)은 CSO 주체들에 의해 운용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CSO 주체들은 CSO 법인 또는 CSO 개인(즉, 개인사업자)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10)은 플랫폼 서버(2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210)들은 플랫폼 서버(2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10)은 플랫폼 서버(250)에 접속하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30)은 제약사들에 의해 운용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3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2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230)들은 플랫폼 서버(2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250)에 접속하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250)는 병원들의 처방자료를 통합하여 수집하고 관리하며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50)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플랫폼 서버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250)는 프로세서(310), 메모리(330), 사용자 입출력부(3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3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플랫폼 서버(25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3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3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플랫폼 서버(2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330), 사용자 입출력부(3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플랫폼 서버(25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플랫폼 서버(25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3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3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플랫폼 서버(25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3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자원관리 시스템(2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들을 통해 다양한 병원들에서 생산되는 처방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410). 이때, 처방자료는 대표적으로 처방약의 종류, 수량 및 관련 매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CSO 주체들에 의해 수집되고 관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자원관리 시스템(200)은 플랫폼 서버(25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10)들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병원들의 처방자료를 기초로 통합 DB를 구축할 수 있다(단계 S430). 이때, 통합 DB는 독립된 데이터베이스 장치로 구현되어 플랫폼 서버(250)와 연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250)는 웹(Web)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30)은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 서버(250)의 다양한 기능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30)은 사전에 플랫폼 서버(250)로부터 접근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한편, 플랫폼 서버(250)는 웹(Web) 기반으로 구현되어 판매 대행 조직(CSO)의 영업사원들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세무, 회계, 법무, 렌터카, 판촉물, 의료기 및 최신정보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약사 및 영업사원들의 동일한 프로그램 사용으로 상호 간의 자료 전달이나 제약사들의 자료 취합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자원관리 시스템(200)은 플랫폼 서버(25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통합 자료의 제공에 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50). 즉, 제약사들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제2 사용자 단말(230)을 통해 플랫폼 서버(25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특정하여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대가로서 수수료를 결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합 자원관리 시스템(200)은 플랫폼 서버(250)를 통해 요청된 정보에 관한 통합 리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250)는 기 구축된 통합 DB를 기초로 질환별 처방 약물 패턴(pattern), 지역별 질환 발병 패턴, 급여/비급여 약물의 처방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 단말(230)은 통합 분석 정보에 관한 요청을 플랫폼 서버(250)에 요청할 수 있고, 플랫폼 서버(25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종래 시스템으로는 분석되기 힘든 급여/비급여 약물의 처방 패턴에 관한 통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여/비급여 약물의 처방 패턴은 전국에 걸쳐 운영되고 있는 병원들의 처방 자료를 기초로만 도출될 수 있으며, 병원, 지역 및 질환 별로 각각 독립적인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250)는 제2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해당 제약사의 특정 의약품에 대한 매칭 요청을 수신한 경우 통합 DB를 기초로 해당 특정 의약품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한 판매 대행 조직을 결정하여 매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서버(250)는 통합된 처방 자료를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제약사 별로 차별화된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약사가 플랫폼 서버(250)에 접속하여 특정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특정 의약품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CSO 주체들을 선정하여 매칭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제약사는 해당 매칭 정보를 통해 자신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CSO를 결정하여 판매(또는 영업) 대행 업무와 관련한 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250)는 단순히 CSO 주체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만으로 평가하지 않고, 정보 수집 능력, 계약 관계, 통합 분석에 대한 기여도 등 다양한 평가 요소들을 고려하여 매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250)는 제약사별 CSO 정책 대비 성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서버(250)는 제2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통합 리포트에 관한 대가로서 의약품 판매에 따른 수수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50)는 통합 리포트에 사용된 처방자료의 출처를 기초로 판매 대행 조직(CSO)의 기여도를 산정하여 제1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제약사로부터 수신한 수수료를 분배하여 지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 서버(250)는 제약사 및 CSO 주체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정확도 높은 병원의 처방자료에 관한 통합 정보를 가장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급여/비급여를 포함한 모든 약물이 처방 내역에 관한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서버(250)는 기존의 관리 체계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CSO 전문 업체와 제약사 간의 전문성 매칭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250)는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30)에서 실행되는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과 연동을 통해 병원의 처방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 서버(250)는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데이터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50)는 데이터 프로파일을 기초로 데이터 매칭 규칙을 생성할 수 있고, 데이터 매칭 규칙에 따라 제1 프로그램 또는 제2 프로그램과 연결된 개별 데이터베이스와 직접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서버(250)는 데이터 매칭 규칙에 따라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통합 DB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매칭 규칙은 통합 DB의 데이터 필드와 개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필드 간의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형식 및 단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명 정보가 통합 DB에서는 'med_name'이라는 필드명을 가지는 반면, 제1 사용자 단말(210)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d_name'이라는 필드명을 가지는 경우, 데이터 매칭 규칙은 {(제1 DB 식별정보, 제1 필드명)(제2 DB 식별정보, 제2 필드명)}과 같이 정의된 규칙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250)는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30) 사이의 일원화된 자원관리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30)은 일원화된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250)는 의약품 관련 대행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CSO 업체 및 개인들에 대한 세무, 회계, 법무, 판촉물, 렌트가, 의료기 및 최신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50)는 제약사들에게 신약개발, 시장조사, 신제품 론칭 등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통합 분석 자료를 정확도 높은 정보로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a의 경우, 플랫폼 서버(25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다양한 병원들에서 수집되는 처방 자료를 입력받아 통합 DB를 구축할 수 있다(S510). 플랫폼 서버(250)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DB는 종래 시스템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통합 분석 정보를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와 빠른 속도로 생성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특정 주제(예를 들어, 급여 또는 비급여 약물의 처방 패턴 정보)에 관한 분석 자료 요청을 수신하면, 플랫폼 서버(250)는 통합 DB로부터 해당 특정 주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통합 분석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S520). 종래 시스템은 각 CSO 주체별, 제약사별 독립된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어, 통합 DB 구축이 불가능하였고, 이에 따라 통합된 정보 자체를 생성하기 어려웠으나, 플랫폼 서버(250)는 일원화된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통합 DB를 구축함으로써 제약사에 유용한 통합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50)는 제2 사용자 단말(230)에게 분석 자료를 제공하는 대가로서 소정의 수수료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분석 자료의 기초로 사용된 처방 자료를 제공한 제1 사용자 단말(210)별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S530). 플랫폼 서버(250)는 제2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수신한 수수료를 기초로 각 기여도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210)에게 수수료를 분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10)의 플랫폼 이용을 적극 유도할 수 있다.
도 5b의 경우, 플랫폼 서버(250)는 제2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전문 CSO 매칭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통합 DB를 기초로 특정 의약품에 대해 전문성을 가진 CSO 업체 또는 개인들에 관한 매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540). 플랫폼 서버(250)는 매칭 리스트를 응답으로서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230)은 이에 대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30)은 매칭 리스트를 기초로 특정 CSO 주체를 선택하여 대행 계약을 제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수락을 통해 CSO 주체와 제약사 간의 계약이 성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210: 제1 사용자 단말 330: 제2 사용자 단말
250: 플랫폼 서버
310: 프로세서 330: 메모리
350: 사용자 입출력부 370: 네트워크 입출력부

Claims (5)

  1. 제약사의 의약품 판매를 위한 영업 및 마케팅을 제공하는 판매 대행 조직(CSO, Contracts Sales Organization)을 통해 운영되고, 병원들의 처방자료를 수집하여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약사를 통해 운영되고, 상기 판매 대행 주체에 의해 입력된 처방자료에 관한 통합 분석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처방자료에 관한 통합 DB를 구축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통합 DB를 통해 도출되는 통합 리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웹(Web)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질환별 처방 약물 패턴, 지역별 질환 발병 패턴 및 급여/비급여 약물의 처방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상기 통합 리포트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제약사의 특정 의약품에 대한 매칭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합 DB를 기초로 해당 특정 의약품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한 판매 대행 조직을 결정하여 상기 매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합 리포트에 관한 대가로서 상기 의약품 판매에 따른 수수료를 수신하고,
    상기 통합 리포트에 사용된 처방자료의 출처를 기초로 상기 판매 대행 조직의 기여도를 산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169468A 2020-12-07 2020-12-07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2477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68A KR102477788B1 (ko) 2020-12-07 2020-12-07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68A KR102477788B1 (ko) 2020-12-07 2020-12-07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405A true KR20220080405A (ko) 2022-06-14
KR102477788B1 KR102477788B1 (ko) 2022-12-15

Family

ID=8198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468A KR102477788B1 (ko) 2020-12-07 2020-12-07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426B1 (ko) * 2023-12-26 2024-03-08 주식회사 메드탑 의약품 유통을 위한 사용자 별 판매 및 지출 결의 보고 처리의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406A (ko) * 2009-02-26 2010-09-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의약품 판매 관리를 위한 약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4734B1 (ko) 2005-11-21 2013-04-1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1029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제약 영업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40090578A (ko) * 2013-01-09 2014-07-17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정보 자동입력에 기초한 영업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85513A (ko) *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34B1 (ko) 2005-11-21 2013-04-15 김용우 개방형 약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7406A (ko) * 2009-02-26 2010-09-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의약품 판매 관리를 위한 약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41029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제약 영업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40090578A (ko) * 2013-01-09 2014-07-17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정보 자동입력에 기초한 영업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85513A (ko) *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788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6515B (zh) 数据库建模与分析
US20150187036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healthcare data
CN103930863A (zh) 可轻松云化的应用的基于发现的标识和迁移
Hinsch et al. Enhancing medicine price transparency through price information mechanisms
Rejeb et al. Performance and cost evaluation of health information systems using micro-costing and discrete-event simulation
KR102477788B1 (ko)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US20140143158A1 (en) Methods, Software And Devices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Valuations Of Leasable Commercial Property
CN112181376B (zh) 代码资源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20100169225A1 (en) "system for outsourcing technology services"
US80103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healthcare consumers of changes in insurance coverage status for their healthcare service providers and/or medications
Trotter et al. Preparing for COVID-19 vaccination: A call to action for clinicians on immunization information systems
JP2023021403A (ja) 収益予測管理装置、収益予測管理方法、および、収益予測管理プログラム
Arredondo Why revisit your cost-accounting strategy
KR102301727B1 (ko) 온라인 쇼핑몰업의 세무 정보 정기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lzer et al.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a pediatric faculty inpatient attending service: a resource-based relative value scale analysis
Tátrai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uropean Centralised Public Procurement
US20140365339A1 (en) Standardized, Commercial Real Estate "Lease Analysis Conversion and Comp Data" Platform
Nawi et al. Public E-service sustainability failure factors: Project stakeholders’ views
WO2023042419A1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AU2021101228A4 (en) Digital management method of administrative functions using high-speed communication
KR102194041B1 (ko) 키워드 광고의 자동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JP4238981B2 (ja) 建物内機器類のリースによる調達の支援システム
Mosrie healthcare transformational landscape: impact on accounting from EHR platforms and other related costs
WO2014196031A1 (ja) ポータルサイトの利用実績収集システム
JP2023159634A (ja) 役務提供支援装置、役務提供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