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099B1 -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099B1
KR102367099B1 KR1020190179783A KR20190179783A KR102367099B1 KR 102367099 B1 KR102367099 B1 KR 102367099B1 KR 1020190179783 A KR1020190179783 A KR 1020190179783A KR 20190179783 A KR20190179783 A KR 20190179783A KR 102367099 B1 KR102367099 B1 KR 10236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management
space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085A (ko
Inventor
김형우
이현동
신현실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현실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0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하여 병원내 유휴 공간을 모니터링 하고, 환자를 지정공간에 배정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검색 없이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환자가 방문접수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테블릿 PC에 설치된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에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고, 병원 담당자가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진료 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진료가 가능한 공간에 환자를 입체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지정된 공간의 PC 프로그램으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 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 하므로 신속하며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정보관리도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R-based 3D Spatial Information}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 하므로 신속하며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정보관리도 가능한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병원에 방문한 환자가 접수되면 등록된 환자정보(진료정보, 의료영상)를 환자의 이동 공간에 따라 3D 공간정보 관리 AR 프로그램으로 지정하는 공간의 디바이스(PC, 테블릿 PC,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140108호에는 다수의 비콘 장치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환자 단말과 의료진 단말과 상호 연동되는 병원 서버의 비콘 기반의 병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원 서버가 적어도 한명의 환자 각각에 휴대되는 환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의료진의 진료 상황, 환자 각각의 진료 접수 내역과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환자 진료 장소, 대기 순번 및 시간, 환자 현재 위치에서 환자 진료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 및 진료실 입장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 후 상기 환자 단말 각각을 통해 안내하는 단계;
진료 대상 환자의 상기 환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진료실 입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대상 환자의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한 후, 상기 진료 대상 환자가 입장한 진료실에 위치한 상기 의료진단말에 자동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의 병원 관리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3619호에는 병원에 설치된 처방전달시스템(OCS)과 연동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대기하는 환자를 관리하는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으로, 대기환자의 순서를 포함한 대기환자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처방전달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처방전달시스템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처방전달시스템에 방문환자 또는 예약환자가 접수되면 상기 처방전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방문환자 또는 예약환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방문/예약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방문/예약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테이블 구조를 갖는 대기환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대기환자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처방전달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방문/예약 데이터가 삽입, 갱신 또는 삭제되는 이벤트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처방전달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문/예약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병원에서 생성되는 환자의 의료정보를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료내용과 처방에 관련한 의무기록만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영상정보, 상담정보(음성,동영상), 병원내 환자 위치정보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관리가 어렵다.
또한 방문 접수한 환자의 의료정보를 원하는 장소에서 열람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고유 코드나 이름을 검색하여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환자의 방문 접수 후 병원 담당자가 진료 가능한 진료실을 오프라인으로 확인하고, 환자를 해당 공간으로 안내하여 환자 관련 정보를 이름이나 고유코드를 검색한 후 의료정보를 개시하여 준비, 새롭게 생성하는 부가정보(치료영상, x-ray, 상담기록(음성, 영상))들은 관리용 PC에서 따로 관리하는 형식으로 복잡하게 처리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 하므로 신속하며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정보관리도 가능한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하여 병원내 유휴 공간을 모니터링 하고, 환자를 지정공간에 배정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검색 없이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환자가 방문접수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테블릿 PC에 설치된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에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고, 병원 담당자가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진료 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진료가 가능한 공간에 환자를 입체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지정된 공간의 PC 프로그램으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 하므로 신속하며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정보관리도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서비스 시나리오 설명도
도 2는 본발명의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발명의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관리 서버 아키텍쳐 구성도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하여 병원내 유휴 공간을 모니터링 하고, 환자를 지정공간에 배정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검색 없이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자가 공간을 이동하면 공간배정 정보를 갱신하여 환자의 이동 공간에 의료정보가 자동으로 개시, 신규로 생성하는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환자가 방문접수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테블릿 PC에 설치된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에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고, 병원 담당자가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진료 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진료가 가능한 공간에 환자를 입체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지정된 공간의 PC 프로그램으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발명의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서비스 시나리오 설명도,도 2는 본발명의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발명의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관리 서버 아키텍쳐 구성도이다.
본발명은 AR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즉, 환자가 방문접수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테블릿 PC에 설치된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에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고, 병원 담당자가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진료 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진료가 가능한 공간에 환자를 입체적으로 지정하는 방식으로, 지정된 공간의 PC 프로그램으로 환자의 모든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없이 자동으로 개시된다.
본 발명은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하여 병원내 유휴 공간을 모니터링 하고, 환자를 지정공간에 배정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검색 없이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가 공간을 이동하면 공간배정 정보를 갱신하여 환자의 이동 공간에 의료정보가 자동으로 개시, 신규로 생성하는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 기술과의 차별화 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의 전체 서비스 시나리오를 참고하면, 환자가 방문접수요청하면, 메인서버는 환자를 등록하고 3차원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환자에 따른 스탭과 의사를 배정한다. 각 해당 스탭과 의사의 PC에 환자정보를 전송한다. 환자가 공간을 이동하면 공간배정 정보를 갱신하여 환자의 이동 공간에 의료정보가 자동으로 개시, 신규로 생성하는 부가정보를 추가하는 것이며, 해당 스탭과 의사의 PC에서 전송되는 진료상황정보를 받으면, 3차원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에서 공간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공간정보 DB에 저장한다.새로운 환자가 방문접수요청하면, 공간정보 DB에 새로운 환자를 등록한다.
메인서버인 의료정보 통합관리 서버는 EMR DB, 통합 DB와 연동되며, EMR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자동접수관리, 공간운영관리, 상담 정보관리, 메시지 관리, 예약정보관리, 의료영상관리, 임상정보관리, 차트 관리, 장비 상태 관리, 그룹 관리, 메시지 통신 디바이스 ID관리, 영상정보통신 디바이스 ID 관리영역으로 구성된다.

Claims (3)

  1.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하여 병원내 유휴 공간을 모니터링 하고, 환자를 지정공간에 배정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검색 없이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환자가 공간을 이동하면 공간배정 정보를 갱신하여 환자의 이동 공간에 의료정보가 자동으로 개시, 신규로 생성하는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AR기반의 3차원으로 모델링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접수된 환자를 이동 공간에 할당하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환자가 방문접수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테블릿 PC에 설치된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에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고, 병원 담당자가 3차원 공간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진료 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진료가 가능한 공간에 환자를 입체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지정된 공간의 PC 프로그램으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없이 자동으로 개시하는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방문접수요청하면, 메인서버는 환자를 등록하고 3차원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환자에 따른 스탭과 의사를 배정하고 각 해당 스탭과 의사의 PC에 환자정보를 전송하며 환자가 공간을 이동하면 공간배정 정보를 갱신하여 환자의 이동 공간에 의료정보가 자동으로 개시, 신규로 생성하는 부가정보를 추가하는 것이며, 해당 스탭과 의사의 PC에서 전송되는 진료상황정보를 받으면, 3차원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에서 공간정보를 갱신하고 공간정보 DB에 저장한다.새로운 환자가 방문접수요청하면, 공간정보 DB에 새로운 환자를 등록하는 것으로,
    메인서버인 의료정보 통합관리 서버는 EMR DB, 통합 DB와 연동되며, EMR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자동접수관리, 공간운영관리, 상담 정보관리, 메시지 관리, 예약정보관리, 의료영상관리, 임상정보관리, 차트 관리, 장비 상태 관리, 그룹 관리, 메시지 통신 디바이스 ID관리, 영상정보통신 디바이스 ID 관리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기반의 3차원 공간모델을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79783A 2019-12-31 2019-12-31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783A KR102367099B1 (ko) 2019-12-31 2019-12-31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783A KR102367099B1 (ko) 2019-12-31 2019-12-31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085A KR20210086085A (ko) 2021-07-08
KR102367099B1 true KR102367099B1 (ko) 2022-02-25

Family

ID=7689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783A KR102367099B1 (ko) 2019-12-31 2019-12-31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0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7038A1 (en) 2013-12-27 2015-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integrated protocol and decision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604A (ko) * 2017-01-04 2018-07-12 부산대학교병원 의료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6646A (ko) * 2018-02-09 2019-08-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내의 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7038A1 (en) 2013-12-27 2015-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integrated protocol and decision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085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9010B2 (en) Telehealth scheduling and communications network
JP4861847B2 (ja) 診療情報配信装置
US8601385B2 (en) Zero pixel travel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1234805B1 (ko)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97861A1 (en) Examination management system and examination management method
CN103514378A (zh) 一种基于wlan室内定位技术的远程医疗看护系统
CN104680301A (zh) 用于智能放射工作分配的系统和方法
US9390230B2 (en)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2301400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procedure preparation
WO2002031743A1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the information for a hospital
US202301333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resource intelligence
CN104102807A (zh) 一种医疗系统、患者数据分析设备以及医院网关设备
Abd Ghani et al. The design of flexible telemedicine framework for healthcare big data
CA3036679C (en) Computer-aided dispatch including automatic diversions
KR101033619B1 (ko)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48999A (ja) 医療支援システム、その作動方法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医療支援装置
Wiweko et al. Overview the development of tele health and mobile health application in Indonesia
KR102367099B1 (ko) Ar기반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44952B2 (ja) 患者包括ケア情報自動配信システム
KR20110032161A (ko) 병원상담 및 수술과정을 포함한 병원진료의 녹화 및 이력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4882983B (zh) 一种智慧病房交互方法、系统及储存介质
JP6069111B2 (ja) アクセス制御情報管理システムとそのサー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61251A (ko) 병원정보 기반의 환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JP2012088935A (ja) 医用画像データ分散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17155357A1 (ko)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