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730A -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730A
KR20130088730A KR1020120140030A KR20120140030A KR20130088730A KR 20130088730 A KR20130088730 A KR 20130088730A KR 1020120140030 A KR1020120140030 A KR 1020120140030A KR 20120140030 A KR20120140030 A KR 20120140030A KR 20130088730 A KR20130088730 A KR 20130088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information
slices
medical
imag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연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2014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730A/ko
Publication of KR2013008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은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된 제1 정보를 다른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하는 의료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제1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와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가 삭제되더라도 3D 데이터에 대한 주석 또는 마킹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sha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료 영상 저장 및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원/3차원(2D/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의료 영상들 예를 들어, thin-slice 데이터와 2차원(2D) 디스플레이를 위한 의료 영상들 예를 들어, thick-slice 데이터간 좌표 연동을 통하여 thin-slice 데이터의 3D 데이터에 대한 주석 또는 마킹 등을 thick-slice 데이터와 공유할 수 있는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10038419, 과제명: 지능형 영상진단 및 치료지원 시스템].
일반적으로,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 행위에 있어서 임상 진단은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의료 기술의 발전은 정확한 임상 진단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의존도는 더욱 더 높아질 것이다.
이에,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r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의료 영상 장비들은 현대의학에서는 필수적인 장비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의료 서비스는 의료 영상 장비들로 환자의 이상 부위를 찍고 그것을 필름으로 인화하여 환자의 주치의에게 전달됨으로써, 최종 적으로 임상 진단을 내리기까지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 비효율적인 자원 운영뿐만 아니라, 병원의 재정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으며, 무엇보다 환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를 받을 수가 없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X-Ray 필름을 5년 동안 의무적으로 보관토록 규정하고 있는바, 각 병원에서는 X-Ray 필름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있는데, 갈수록 병원의 규모가 커지고 환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보관해야 할 X-Ray 필름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필름의 보관 및 관리에 따른 공간 및 인력낭비 등의 문제 예를 들면, 보관상태가 좋지 않은 불량필름 및 필름 분실로 인한 재촬영, 필름 분실로 인한 의료 분쟁, 보관된 필름을 찾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인력의 낭비 등의 문제가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
한편,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계에서도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병원 전체에 컴퓨터 통신망을 설치하고, 모든 X-Ray 필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다음, 서버와 연결된 대형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두고, 필요 시에 각 진료실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원하는 환자의 X-Ray 화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이 최근에 도입되었다.
PACS는 의료 영상, 특히 방사선학적 진단 영상들을 디지털 형태로 획득(Acquisition)한 후, 고속의 통신망(Network)을 통하여 전송하고, 의료 영상은 과거의 X-ray 필름 대신에 디지털 데이터로 보관되기 때문에 방사선과 의사들과 임 상 의사들이 기존의 필름 뷰박스(Film view box) 대신에 영상조회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포괄적인 디지털 영상 관리 시스템 및 전송 시스템을 말한다.
PACS의 궁극적인 목표는 필름이 없는(Filmless) 병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영상표시 및 처리(Image display and processing), 정보통신 및 네트워킹(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데이터베이스(Database), 정보관리(Information management),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정보저장 및 관리(Data storage and management) 등의 기술이 종합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PACS에서의 통신은 다이콤(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프로토콜을 표준으로 하고 있는데, 상기 DICOM 프로토콜은 산업 표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CT와 MRI뿐만 아니라 핵의학, 초음파 등의 각종 디지털 영상획득장치와 다른 정보 시스템간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1984년에 미국의 방사선과(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 ACR)와 의료기 업체(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NEMA)가 공동으로 표준화를 시작한 것으로 그 이듬해인 1985년에 첫번째 표준이 제정되었다.
이후 1988년과 1993년의 두 번의 개정 작업을 통해 현재의 3.0 개정판에 이르러 비로소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러한 DICOM 프로토콜이 대두된 배경은 의료산업 분야가 정보화되면서 각각의 의료 장비들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서로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의료영상 장비들간에 의료영상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음에 있어 어떤 약속이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즉, 과거에는 일정한 표준이 없이 제조 업체마다, 영상 장비의 종류에 따라, 또한 영상 장비의 모델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하는 방법이 모두 달라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변환기(gateway)를 구매해야만 하거나 전혀 통신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DICOM 표준이 정착되면서 특별한 변환기가 필요 없어도 이 표준을 따르는 장비들은 제조 업체와 장비 종류를 막론하고 서로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비단 병원 내에 존재하는 DICOM 지원 장비들간의 통신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격지와의 통신도 가능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네트워크 구성 방식도 현재 컴퓨터 산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표준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병원 내부간의 연결, 원격 진료소간의 통신 그리고 원격 진단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모든 의료 영상 관련 시스템에 DICOM 표준을 쉽게 적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DICOM 표준을 적용한 PACS 시스템은 의료 영상 촬영 장비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로 2차원(2D)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의료 영상들(thick-slice)을 저장하는 제1 PACS, 주로 3차원(3D)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의료 영상들(thin-slice)을 저장하는 제2 PACS를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1 PACS에 저장된 2D용 의료 영상들은 주로 임상의(clinician)에 의해 사용되고, 제2 PACS에 저장된 3D용 의료 영상들은 주로 영상의(radiologist)에 의해 사용되는데, 영상의는 의료 영상들을 3D로 재구성한 후 이에 대한 주석(annotation) 또는 마킹(marking) 등을 입력하고 이를 제2 PACS에 해당 의료 영상들과 함께 저장한다.
제2 PACS는 저장 공간 등에 대한 문제로 인하여 저장된 3D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삭제하기 때문에 연구용으로 필요한 데이터는 사용자 개인이 직접 외장 하드 등으로 백업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하지만, 외장 미디어에 백업한 데이터는 관리 및 검색하기 어려우며, 외장 미디어로의 백업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D 데이터와 함께 입력/저장되는 주석 또는 마킹은 제1 PACS에 저장된 해당 3D 데이터에 대응하는 2D 데이터를 조회할 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3D 데이터가 삭제되면 주석 또는 마킹 또한 같이 삭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3D 의료 영상 데이터가 삭제되더라도 3D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주석 또는 마킹 등을 2D 의료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9244호 (공개일 2003.08.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thin-slice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주석 또는 마킹에 대한 정보를 thin-slice 데이터에 대응하는 thick-slice 데이터와 공유하도록 관리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가 삭제되더라도 3D 데이터에 대한 주석 또는 마킹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thin-slice 데이터에 주석 또는 마킹이 입력/저장되면 해당 thin-slice 데이터의 좌표 정보와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갖는 thick-slice 데이터에 상기 입력된 주석 또는 마킹을 표시(또는 저장)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가 삭제되더라도 해당 주석 또는 마킹이 thick-slice 데이터에 유지되고, 따라서 thick-slice 데이터를 통하여 주석 또는 마킹을 확인할 수 있는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를 동일한 PACS에서 관리함으로써, 두 개의 PACS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의료 영상 데이터를 관리하기가 용이한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은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된 제1 정보를 다른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하는 의료 영상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제1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와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은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원본 영상을 촬영하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에서 미리 설정되는 기준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기준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은 인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좌표들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상대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 및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 의료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별 역할에 기반하여(role-based) 상기 제1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저장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 또는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3 의료 영상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3 의료 영상 대한 공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장치는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동일한 원본 영상의 집합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 및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된 제1 정보를 다른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저장 수단은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의료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별 역할에 기반하여(role-based) 상기 제1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저장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접근 여부를 관리하는 접근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은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1 저장 단계; 상기 저장된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2 저장 단계; 및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된 제1 정보를 다른 하나의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하여 저장하는 제3 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를 동일한 PACS에서 관리하고, thin-slice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주석 또는 마킹에 대한 정보를 thin-slice 데이터에 대응하는 thick-slice 데이터와 공유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삭제되더라도 thick-slice 데이터와 관련된 주석 또는 마킹을 thick-slice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지/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되는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간 주석 또는 마킹을 공유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슬라이스 데이터 예를 들어, thin-slice 데이터의 제1 슬라이스에 주석 또는 마킹 정보가 입력/저장되면 다른 하나의 슬라이스 데이터 예를 들어, thick-slice 데이터의 제1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제2 슬라이스에 주석 또는 마킹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PACS에서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를 유지/관리함으로써, 두 개의 PACS를 구성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시스템 설치 비용을 줄일 수가 있으며,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를 관리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 영상 저장부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의료 영상 슬라이스의 DICOM 헤더에 좌표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전처리부에서 thick-slice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에게 의료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계 S660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은 의료 영상 촬영 기기(110), 의료 영상 저장(PACS)(120), 전처리부(APS)(130)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들(140, 150)을 포함한다.
의료 영상 촬영 기기(110) 예를 들어, 전산화 단층촬영(CT) 장치, 자기 공명 촬영(MRI) 장치는 피검자의 의료 영상을 촬영하여 이에 대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촬영한 원본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thin-slice 데이터를 의료 영상 저장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thin-slice 데이터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110)에 의하여 얻어진 원본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영상 데이터의 집합으로, 일반적으로 0.3~1 [mm] 정도의 간격으로 재구성된 의료 영상 슬라이스의 집합이며, 상세한 판독용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110)로부터 thin-slice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되는 thin-slice 데이터를 전처리부(130)로 제공하며 전처리부(130)로부터 thin-slice 데이터에 대응하는 thick-slice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thick-slice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3~5 [mm] 정도의 간격으로 재구성된 의료 영상 슬라이스의 집합이며, 저장 및 보관이 간편하다.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thin-slice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와 thick-slice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으며, thin-slice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는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의하여 일정 기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동일한 원본 영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간 주석 또는 마킹 등과 같은 정보(이하, "제1 정보"라 칭함)를 상호 공유/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thin-slice 데이터가 삭제되더라도 상응하는 thick-slice 데이터에 해당 제1 정보가 표시 또는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thin-slice 데이터가 삭제된 후에도 thick-slice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간 제1 정보를 공유/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한 좌표 정보는 피검자의 의료 영상을 촬영할 때 의료 영상 촬영 기기(110)에서 미리 설정되는 기준 좌표 정보일 수도 있고,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인체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상대 좌표 정보일 수도 있다. 물론, 좌표 정보는 thin-slice 데이터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후 thin-slice 데이터를 이용하여 thick-slice 좌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슬라이스의 좌표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해당 의료 영상 슬라이스의 다이콤(DICOM) 헤더(310)에 삽입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다이콤 헤더에 저장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간에 대응되는 슬라이스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정보를 슬라이스간에 공유/저장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 중 일부만이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일부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나머지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의 좌표 정보를 계산한 후 이를 해당 의료 영상 슬라이스의 다이콤 헤더에 추가/저장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임상과 소속 사용자와 영상 의학과 또는 3D-Lab 소속 사용자로부터 접속되는 경우 사용자별 역할에 기반(role-based)하여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과 사용자(임상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접속하면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임상의가 thick-slice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thick-slice 데이터가 저장된 스토리지로의 접근만을 허용하고, 영상의학과 사용자(영상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접속하면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영상의가 thin-slice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thin-slice 데이터가 저장된 스토리지로의 접근만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영상의 또는 임상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hanging protocol을 이용하여 제1 정보 또는 3D 데이터 캡쳐 영상에 대해 공개 여부를 설정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정보 또는 3D 캡쳐 영상 등의 의료 영상 공개 여부를 접속된 사용자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처리부(130)는 의료 영상 저장부(120)로부터 thin-slice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thin-slice 데이터를 이용하여 thick-slice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전처리부(130)는 thin-slice 데이터를 구성하는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를 이용하여 thick-slice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thin-slice 데이터의 일부를 thick-slice 데이터로 선택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전처리부(130)는 thin-slice 데이터를 이용한 평균 값 또는 보간 기법 등을 이용한 처리 과정을 통하여 thick-slice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유사한 방법들 또는 slice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로부터 thick-slice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부(130)는 도 4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thin-slice 데이터 즉, SI1,1 내지 SI1,N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을 이용하여 K(K<N) 개의 thick-slice 데이터 즉, SI2,1 내지 SI1,K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을 생성하는데, thin-slice 데이터 중 특정 인덱스에 해당하는 의료 영상 슬라이스들을 thick-slice 데이터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SI1,1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를 SI2,1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로 선택하고, SI1,4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를 SI2,2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로 선택하며, SI1,7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를 SI2,3의 의료 영상 슬라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즉, thin-slice 데이터에서 3개 간격으로 의료 영상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thick-slice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thin-slice 데이터에서 선택된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해 추가적인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thick-slice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임상과 클라이언트 단말기(140)는 임상의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임상과에서 사용하는 hanging protocol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thick-slice 데이터에 접근/수신하여 표시한다.
이 때, 임상과 클라이언트 단말기(140)는 수신되는 thick-slice 데이터에 thin-slice 데이터와 공유되는 제1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제1 정보는 제1 정보를 thin-slice 데이터에 입력하는 사용자에 의해 공개 여부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정보가 공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임상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지만, 제1 정보가 비공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화면상에 제1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
영상의학과 또는 3D-LAB 클라이언트 단말기(150)는 2D/3D 의료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기로서 영상의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영상의학과 또는 3D-LAB에서 사용하는 hanging protocol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thin-slice 데인터에 접근/수신하여 표시한다.
영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50)는 3D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3D 데이터 즉, 3D 의료 영상을 캡쳐하여 의료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3D 데이터에 대한 제1 정보를 입력/저장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의 해당 슬라이스에 제1 정보를 표시 또는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때, 영상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5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캡쳐된 3D 의료 영상의 공개 여부, 제1 정보의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런 정보가 해당 의료 영상과 함께 저장됨으로써, 사용자 본인만이 사용하고자 하는 정보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영상의는 캡쳐된 3D 의료 영상, thin-slice 데이터, 또는 thick-sli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타인에 대한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영상의가 미공개로 설정한 영상 데이터는 미공개에 대응하는 플래그(예를 들면, "hide")와 함께 저장된다. 영상의가 공개로 설정한 영상 데이터는 공개에 대응하는 플래그(예를 들면, "show")와 함께 저장된다. 타인이 로그인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타인이 미공개로 설정된 영상 데이터의 존재를 알 수 없도록 상기 플래그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은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를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주석 또는 마킹 등의 제1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가 삭제되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정보를 thick-slice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의료 영상 저장부(120) 즉, PACS는 thin-slice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과 thick-slice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모두 관리하며, 특히 thin-slice 데이터에 대한 저장 공간은 사용자별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사용자별로 사용할 수 있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저장 공간의 크기를 관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 즉, 모달리티(modality)에 의하여 얻어진 동일한 원본 영상(raw image data)으로부터 생성되는 2가지 종류의 영상 데이터의 집합으로, 도1 에서의 thick-slice 데이터는 thin-slice 데이터로부터 생성된다는 것만 상이할 뿐, 동일한 원본 영상으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을 자명하다. 또한,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는 동일한 원본 영상으로부터 서로 다른 기준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서로 다른 재구성 규칙(reconstruction rule)에 의하여 재구성될 수 있다. Thin-slice와 thick-slice는 동일한 원본 영상에 대한 서로 다른 버전(version)의 의료 영상 집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상세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thin-slice 데이터를 기초로 3차원 의료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내용은 이러한 실시예 및 thin-slice / thick-slice 의 간격 등 수치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 영상 저장부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장치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장치에 대해 도 1의 PACS로 설명하지만, PACS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 개념의 컴퓨팅 장치와 같이 별도의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저장부(120)는 제1 저장 수단(210), 제2 저장 수단(220), 접근 관리부(230) 및 데이터 관리부(240)를 포함한다.
제1 저장 수단(210)은 thin-slice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thin-slice 데이터, thin-slice의 DB, 3D 캡쳐 영상, 영상 필터링, 세그멘테이션, CAD 등을 저장한다.
이 때, 제1 저장 수단(210)은 thin-slice 데이터를 도 1에 도시된 의료 영상 촬영 기기(1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면 thin-slice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제2 저장 수단(220)은 thin-slice 데이터와 동일한 원본 영상으로부터 생성되는 thick-slice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thin-slice 데이터에 저장되는 제1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제2 저장 수단(220)은 제1 저장 수단(210)에 저장된 thin-slice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thick-slice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때, 제2 저장 수단(220)은 도 1에 도시된 전처리부(130)로부터 thick-slice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 기기로부터 thick-slice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thick-slice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접근 관리부(230)는 의료 영상 즉, thin-slice 데이터 또는 thick-slice 데이터를 요청하는 사용자별 역할에 기반(role-based)하여 제1 저장 수단(210)과 제2 저장 수단(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접근 여부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접근 관리부(230)는 임상의에 의해 의료 영상이 요청되면 thick-slice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2 저장 수단(220)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영상의에 의해 의료 영상이 요청되면 thin-slice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저장 수단(210)으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40)는 thin-slice 데이터, thin-slice 데이터와 상응하는 thick-slice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의료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thin-slice 데이터)에 제1 정보가 추가 저장되면, 추가 저장된 제1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의료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thick-slice 데이터)에 제1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 관리부(240)는 제1 저장 수단(210)에 저장된 thin-slice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슬라이스에 제1 정보가 표시 또는 저장되면, 제1 정보가 저장된 제1 슬라이스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저장 수단(220)에 저장된 thick-slice 데이터 중 상기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를 갖는 제2 슬라이스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 슬라이스에 제1 정보를 표시 또는 저장함으로써, thin-slice 데이터에 저장된 제1 정보를 thick-slice 데이터와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관리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수신되는 제1 정보 또는 3D 캡쳐 영상 등과 함께 공개 여부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공개 여부 정보를 제1 정보 또는 3D 캡쳐 영상 등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이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가 타인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장치는 해당 장치에 thin-slice 데이터와 thick-slice 데이터가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두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 thin-slice 데이터만 수신하고 thick-slice 데이터는 전처리 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경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두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의료 영상 저장부(120)와 전처리부(13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은 thin-slice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한다(S510).
이 때, 제1 의료 영상 집합은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생성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물론, 제1 의료 영상 집합은 의료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다.
저장된 제1 의료 영상 집합 중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를 이용하여 thick-slice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스토리지에 저장한다(S520, S530).
여기서, 제2 의료 영상 집합 또한 의료 영상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2 의료 영상 집합은 전처리부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관련된 제1 정보 즉, 주석 또는 마킹 등이 입력 저장되는지 판단하고, 제1 정보가 입력/저장되면 제1 정보가 표시 또는 저장된 제1 슬라이스의 좌표 정보를 확인한다(S540, S550).
이 때, 제1 슬라이스의 좌표 정보는 제1 슬라이스의 다이콤 헤더에서 확인할 수도 있고, 슬라이스와 좌표 정보가 매칭/저장된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도 있으며, 이 외의 좌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제1 슬라이스의 좌표 정보가 확인되면,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대응되는 제2 의료 영상 집합의 슬라이스들 중에서 제1 슬라이스와 대응되는 제2 슬라이스를 확인한다(S560).
이 때, 제2 슬라이스는 제1 슬라이스의 좌표 정보와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갖는 슬라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슬라이스와 제2 슬라이스에 포함되는 좌표 정보는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에서 물리적으로 미리 설정되는 기준 좌표 정보일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인체의 기준 좌표 모델에 대한 기준 좌표들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 정보일 수도 있다. 물론, 인체의 기준 좌표 모델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있을 수 있으며, 모델 각각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이용하여 상대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의료 영상 집합의 제2 슬라이스가 확인되면, 제1 슬라이스에 표시 또는 저장된 제1 정보를 제2 슬라이스에 표시하거나 함께 저장한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에게 의료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예를 들어, 임상의 또는 영상의로부터 의료 영상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610).
이 때, 의료 영상 요청 신호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PACS 솔루션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될 수 있고, 의료 영상 요청 신호는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 사용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분야(또는 역할)를 확인한다(S620).
의료 영상을 요청한 사용자가 임상의(clinician)인지 영상의(radiologist)인지 확인하여, 사용자가 영상의인 경우 thin-slice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으로의 접근을 허용한다(S630, S640). 즉, 제1 의료 영상 집합으로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40, S660).
반면, 단계 S630 판단 결과, 의료 영상을 요청한 사용자가 임상의인 경우 thick-slice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으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즉, 제2 의료 영상 집합으로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50, S660).
이 때, 단계 S660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의료 영상과 함께 저장된 제1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지만, 제1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의료 영상이 제1 사용자에 의해 캡쳐/저장된 3D 캡쳐 영상인 경우에도 제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개 여부에 따라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데 의료 영상의 공개 여부 설정에 따라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계 S660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요청된 의료 영상 예를 들어, 3D 캡쳐 영상의 설정된 공개 여부 항목에 따라 의료 영상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료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66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의료 영상에 대한 공개 여부 항목을 확인한다(S710).
여기서, 공개 여부 항목은 해당 의료 영상의 다이콤 헤더에 포함된 항목일 수도 있고, 해당 의료 영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에 설정된 항목일 수도 있다.
해당 의료 영상의 공개 여부 항목을 확인하여 공개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의료 영상이 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의료 영상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한다(S720, S740).
반면, 해당 의료 영상이 비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는 타사용자에게 비공개로 설정된 경우이기 때문에 의료 영상을 요청한 사용자가 해당 의료 영상의 공개 여부를 설정한 사용자 본인인지 판단한다(S730).
여기서, 사용자 본인 여부의 판단은 의료 영상을 요청한 시점의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고, 판단 시점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된 PACS 솔루션 소프트웨어와의 통신을 통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단계 S730 판단 결과, 의료 영상을 요청한 사용자가 사용자 본인인 경우에는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해당 의료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본인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의료 영상을 제공하지 않는다(S740).
물론, 의료 영상이 비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의료 영상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없도록 초기에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를 사용자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PACS에 접속한 경우 제2 사용자에 의해 비공개로 설정된 3D 캡쳐 영상, 제2 사용자에 의해 비공개로 설정된 제1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기반하여 공개로 설정된 모든 의료 영상 및 타사용자에 의해 공개로 설정된 제1 정보 등을 검색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thin-slice 데이터 또는 thick-slice 데이터는 검색가능 하지만, 비공개로 설정된 제1 정보는 사용자 본인만이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2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2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3차원 영상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함께 저장된 주석 또는 마킹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과 공유하여 저장하는 의료 영상 저장부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상기 제1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와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은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원본 영상을 촬영하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에서 미리 설정되는 기준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기준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은
    인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좌표들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상대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 및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
    을 포함하며,
    의료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별 역할에 기반하여(role-based) 상기 제1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저장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1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 또는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3 의료 영상,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 또는 상기 제2 의료 영상에 대한 공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시스템.
  8.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동일한 원본 영상의 집합에 의해 생성되는 2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2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 및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3차원 영상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함께 저장된 주석 또는 마킹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과 공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 수단은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의료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별 역할에 기반하여(role-based) 상기 제1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저장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접근 여부를 관리하는 접근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장치.
  11. 의료 영상 저장부에서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1 저장 단계;
    전처리부에서 상기 저장된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2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2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을 저장하는 제2 저장 단계; 및
    상기 의료 영상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3차원 영상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함께 저장된 주석 또는 마킹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과 공유하여 저장하는 제3 저장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저장 단계는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상기 제1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와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에 포함된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저장 단계는
    상기 제1 슬라이스들과 상기 제2 슬라이스들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의 원본 영상을 촬영하는 의료 영상 촬영 기기에서 미리 설정되는 기준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공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접근 관리부에서 의료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별 역할에 기반하여(role-based) 상기 제1 의료 영상 집합과 상기 제2 의료 영상 집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접근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저장 관리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40030A 2012-12-05 2012-12-05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88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30A KR20130088730A (ko) 2012-12-05 2012-12-05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30A KR20130088730A (ko) 2012-12-05 2012-12-05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07 Division 2012-01-31 2012-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730A true KR20130088730A (ko) 2013-08-08

Family

ID=4921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030A KR20130088730A (ko) 2012-12-05 2012-12-05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7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278B1 (ko) * 2018-01-18 2018-09-04 주식회사 뷰노 일련의 슬라이스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10752010A (zh) * 2019-09-25 2020-02-04 武汉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医学影像存储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278B1 (ko) * 2018-01-18 2018-09-04 주식회사 뷰노 일련의 슬라이스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WO2019143177A1 (ko) * 2018-01-18 2019-07-25 주식회사 뷰노 일련의 슬라이스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1816833B2 (en) 2018-01-18 2023-11-14 Vuno Inc. Method for reconstructing series of slice images and apparatus using same
CN110752010A (zh) * 2019-09-25 2020-02-04 武汉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医学影像存储系统
CN110752010B (zh) * 2019-09-25 2023-08-18 武汉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医学影像存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2199A1 (en) Integration of medical software and advanced image processing
US9532756B2 (en) Medical image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8384729B2 (en)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medical image display method, and medical image display program
US8254649B2 (en) Medical image observation system
US8280129B2 (en) Medical image management device and medical image system correlating images from past and present examinations
JP2019525364A (ja) 健康データを匿名化し、分析のために地理的領域を横断して健康データを修正及び編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287504A1 (en) Methods, systems and a platform for managing medical data records
US10503774B2 (en) Medical selection system
EP3376958B1 (en) Water equivalent diameter determination from scout images
KR101287382B1 (ko) 속성 정보와 영상 특성 정보를 활용하는 의료 영상 처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1095900A1 (en) Treatment plan creation workflow tracking
KR101176448B1 (ko) 기준 좌표를 이용한 의료 영상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8923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aided detection using pixel intensity values
JP2008036262A (ja) 画像転送方法、画像転送装置、及び画像転送プログラム
CN112582057A (zh) 分布式设置中的高级医学成像
US10176569B2 (en) Multiple algorithm lesion segmentation
KR101513412B1 (ko) 서버 기반의 의료 영상 공유를 통한 원격 협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105284A (ko) 원격 진료 방법
US20130195331A1 (en) Apparatus for sha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87383B1 (ko)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영상 처리, 생성, 저장,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150149190A1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locking medical exams in a healthcare system
KR20130088730A (ko)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의 정보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30046556A1 (en) Medical presentation creator
KR102130098B1 (ko)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1705228B2 (en) Control of viewing of patient information shared between healthcar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