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784A -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784A
KR20220096784A KR1020200189539A KR20200189539A KR20220096784A KR 20220096784 A KR20220096784 A KR 20220096784A KR 1020200189539 A KR1020200189539 A KR 1020200189539A KR 20200189539 A KR20200189539 A KR 20200189539A KR 20220096784 A KR20220096784 A KR 2022009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y
user
server
dispensing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호
Original Assignee
장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호 filed Critical 장지호
Priority to KR102020018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784A/ko
Publication of KR2022009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환자)가 선택한 약국에서 사용자의 방문 이전에 사용자(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을 근거로 미리 원격 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원격 조제 시스템은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해당 사용자가 방문하려는 약국의 서버에게로 원격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약국에서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가 완료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조제 완료를 통지하고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방문을 인지하고 조제약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약국의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Remote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의료진으로부터 진료와 관련된 처방전을 발급받게 된다. 이에, 환자는 발급받은 처방전을 가지고 근처의 약국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처방전을 약사에게 전달하고 약을 구입/수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환자는 약사에게 처방전을 전달한 후 이전 대기자들의 약 조제가 끝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는 환자가 병원 근처의 약국이 아닌 원거리의 타지역 약국을 방문하는 경우 처방전의 약이 없어서 곤란을 겪게 되는 불편함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3512호(전자처방전을 이용한 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특허문헌 2)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8491호(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환자)가 선택한 약국에서 사용자의 방문 이전에 사용자(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을 근거로 미리 원격 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원격 조제 시스템은,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해당 사용자가 방문하려는 약국의 서버에게로 원격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약국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가 완료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조제 완료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문을 인지하고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약국의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원격 조제 이전에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약국에 설치된 비콘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제 완료된 조제약을 수납하는 조제약 사물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제약 사물함은 상기 약국의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수행한 후에 상기 조제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약사에게 알림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약사와의 대면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하는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달하고,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하는 해당 약국의 조제 가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해당 약국의 조제 가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할 때 자신의 약국의 약국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 및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약국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원격 조제 방법은, 약국의 서버가,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국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해당 사용자에게 조제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문을 인지하고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하려고 선택한 상기 약국의 서버에게로 처방전 정보를 직접 전송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는, 병원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방문하려고 선택한 상기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방문하려고 선택한 상기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방전 정보는 처방전을 스캔한 결과물, 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을 담은 코드를 스캔한 결과물, 및 처방전 자체를 사진찍은 결과물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은 상기 약국에 설치된 비콘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약사에게 알림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약사와의 대면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조제약을 조제약 사물함에 수납하고, 상기 조제약 사물함이 상기 약국의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수행한 후에 상기 조제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약국의 서버 및 다른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기초로 원격 조제에 따른 조제 가격을 산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한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한 약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어느 한 약국이 선택됨에 따른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약국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처방전 정보를 기초로 원격 조제에 따른 조제 가격을 산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는, 해당하는 약국의 약국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환자)가 선택한 약국에서 사용자가 해당 약국을 방문하기 이전에 사용자(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을 근거로 미리 원격 조제해 둠으로써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처방전을 수취한 사용자(환자)가 앱을 통해 해당 처방전 정보를 자신이 방문하려는 약국에게 원격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환자)가 직접 처방전을 약국에 가져가는 번거러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콘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약사 등에게 자동 통지해 줌으로써 약사는 일일이 해당 사용자가 방문하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환자)는 신속하게 조제약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부수적으로, 사용자의 약국 선택에 있어서 각각의 약국에서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하는 저마다의 조제 가격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보냄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알맞는 가격의 조제약 및 약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약국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 방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네트워크(200), 서비스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병원 서버(500), 약국 서버(700), 및 비콘(8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 서버(300)와 병원 서버(500) 및 약국 서버(7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병원 서버(500) 및 약국 서버(700)를 하나씩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각각 다수개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의사에게서 받은 처방전을 희망하는 약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처방전을 스캔한 결과물(즉, 처방전 정보; 사용자 성명, 주민번호, 및 처방 내역 포함)을 약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을 담은 코드(예컨대, QR코드, 바코드)를 스캔한 결과물(즉, 처방전 정보)을 약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처방전 자체를 사진찍은 결과물(즉, 처방전 정보)을 약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처방전 정보를 희망하는 약국으로 전송하도록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으로 병원(예컨대, 병원 서버(500))에서 직접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약국 서버(700)로부터의 결제 요청 메시지 및 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예컨대, 약국명, 약사명, 약국 위치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약국 선택 신호를 약국 서버(70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약국(600)에 설치된 비콘(8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비콘(8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비콘(800)과의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BL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는 메시지를 로우 에너지로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고, BLE specification 은 Volume 6 of the Bluetooth Specification 에 정의되어 있으며, Version 4.0은 2010년 6월 30일에 공표되었다. 이러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는 짧은 파장의 무선 전송 주파수인 2.4GHz ISM band(2400-2483.5MHz)에서 동작하고, 그 범위에서 2MHz의 40 RF 채널을 사용한다. 또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는 전송될 데이터를 잘게 자르고, 잘라진 덩어리를 다른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하는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방식(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이라 불리는 무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전송은, 대략 50m의 전송 범위, 1 Mb/s 의 데이터 레이트, 기존 블루투스(Bluetooth) 대비 1% ~ 50%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2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병원 서버(500)로부터 사용자(환자)에 대한 처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전 정보는 처방전 자체를 스캔한 것일 수도 있고, 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을 담은 코드(예컨대, QR코드, 바코드)를 스캔한 정보일 수도 있고, 처방전 자체를 사진찍은 것일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에 대한 처방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각의 약국 서버(700)에게로 전송하고, 각각의 약국 서버(7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해당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예컨대, 약국명, 약사명, 약국 위치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수신한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가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각각의 약국에서의 조제 가격을 비교하고 나서 자신에게 가장 알맞는 가격의 조제약 및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와 같은 동작은 약국별 조제 가격의 비교없이 사용자가 직접 희망하는 약국을 선택하여 자신의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필요없는 동작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약국별 조제 가격을 활용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최적 가격의 조제약을 제공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약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환자)별 처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약국별 조제 가격을 저장하고, 약국 정보(예컨대, 약국명, 약사명, 약국 위치 등)를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00)는 처방전별로 선택된 약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병원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사용자(환자)별 처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병원 서버(500)는 사용자별 처방전 정보를 약국으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병원 서버(500)는 병원 단말기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병원 단말기라고 할 경우, 병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약국 서버(700)는 각각의 약국(600)에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약국 서버(700)를 약국 단말기라고도 할 수 있다. 약국 단말기라고 할 경우, 약국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약국 서버(7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처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약국 서버(7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조제 가격을 산출하여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약국 서버(700)는 약국 정보(예컨대, 약국명, 약사명, 약국 위치 등)를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약국 서버(7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약국 선택 신호 또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약국 선택 신호는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약국(즉, 조제약을 수령하고자 하는 약국)을 선택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발생된 약국 선택 신호는 직접 해당 약국의 서버(700)에게로 전송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된 후 서비스 서버(300)에서 알림 메시지화되어 해당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송될 수도 있다.
약국 서버(700)는 결제 요청 메시지 및 조제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요청 메시지는 해당 약국(600)에서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근거하여 원격 조제를 하기 이전에 비용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조제 완료 메시지는 해당 사용자의 처방전에 따른 원격 조제가 완료되었음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제 완료 메시지는 앱을 통한 푸시 알람 등으로 통보 가능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조제 완료 메시지는 비콘(800)을 통해 사용자(환자)에게 통보될 수도 있다.
약국 서버(700)는 비콘(800)과 연결되어 있다. 약국 서버(7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비콘(800)과의 접속 정보(즉, 사용자 단말기(100)가 비콘(800)에 접속하였음을 의미하는 접속 정보; 사용자 접속 정보라고 호칭함)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국 서버(7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약국 서버(700)는 사용자가 해당 약국(600)에 방문하였는지 또는 근처에 존재하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비콘(800)은 약국(600)별로 설치되고, 해당 약국(600)의 약국 서버(7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비콘(800)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콘(80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BL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약국 서버(700)가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비콘(800)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GPS 모듈이 비콘(800)에 포함되었다면 비콘(800)은 사용자가 해당 약국(600)에 방문하였는지 또는 근처에 존재하는지를 인지하여 그 결과를 약국 서버(700)에게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비콘(800)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근거리 통신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서비스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각각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400)가 서비스 서버(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예컨대, 약국명, 약사명, 약국 위치 등)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약국 서버(700)로부터의 결제 요청 메시지 및 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약국 선택 신호를 약국 서버(70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비콘(8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비콘(8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기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비콘(800)과의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BL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제약을 수령하고자 희망하는 약국을 키입력할 수 있게 한다. 키입력부(120)에서 어느 한 약국이 선택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약국 선택 신호)가 제어부(140)에게로 전송된다.
필요에 따라, 키입력부(120)는 사용자로 하여금 약국별 조제 가격을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약국별 조제 가격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약국별 조제 가격 요청 신호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생성될 것이다.
표시부(130)는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 결제 요청 메시지, 및 조제 완료 메시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키입력부(120)로부터의 약국 선택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하는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으로, 약국별 조제 가격을 필요로 하는 경우(사용자가 요청한 경우)에 제어부(140)는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를 근거로 하는 약국 선택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약국 선택 신호가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신부(110)에서 비콘(800)과의 접속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300)의 내부 구성도이다.
서비스 서버(300)는 수신부(310), 메시지 생성부(320), 전송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수신부(310)는 각각의 병원 서버(500)로부터 사용자(환자)에 대한 처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각의 약국 서버(7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약국 서버(7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를 수신하는 이유는 서비스 서버(300)가 모든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를 취합하여 관리하기 위해서이다.
수신부(3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약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320)는 수신부(310)에 수신된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320)는 수신부(310)에 수신된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메시지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약국 서버(7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330)는 사용자가 조제약을 수령할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약국별 조제 가격 및 약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하는 약국 서버(7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서비스 서버(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40)는 수신부(310)에 수신된 처방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의 해당 사용자(환자)별로 구획된 영역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메시지 생성부(320) 및 전송부(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약국 서버(700)의 내부 구성도이다.
약국 서버(700)는 통신부(710), 조제 가격 산출부(720), 과금부(730), 메시지 생성부(740), 전송부(750), 및 제어부(760)를 포함한다.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처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약국(600)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약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으로, 통신부(71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해당 약국(600)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710)는 비콘(800)과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비콘(800)과의 접속 정보(즉, 사용자 단말기(100)가 비콘(800)에 접속하였음을 의미하는 접속 정보; 사용자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사용자 접속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710)는 사용자가 약국(600)에 방문하였는지 또는 근처에 존재하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조제 가격 산출부(720)는 통신부(710)에 수신된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조제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조제 가격을 산출함에 있어서, 조제약의 경우 비급여 항목이 있을 수 있는데 해당 비급여 항목의 약품에 대해서 약국별로 판매가격이 다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약국별로 저마다 비급여 항목을 감안한 환자의 부담금을 계산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각 약국별로 산출되는 조제 가격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 조제를 행하기 전에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 및 약국 정보를 사용자(환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실정(비용, 위치 등)에 가장 적합한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과금부(730)는 처방전 정보에 근거하여 원격 조제를 해야할 조제약의 결제 금액에 대한 과금을 실시한다.
메시지 생성부(740)는 통신부(710)에서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결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740)는 결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측에서의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행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740)는 조제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740)는 사용자가 약국을 방문하였음을 약사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750)는 약국 정보 및 조제 가격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제 가격 정보는 조제 가격 산출부(7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약국 정보는 제어부(76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전송부(750)는 메시지 생성부(740)에서 생성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750)는 결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측에서의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행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해당 약국(600)의 약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750)는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행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해당 약사의 휴대 단말기(도시 생략)에게로 보낼 수도 있고, 휴대 단말기와는 별도로 약국(600)에 구비되는 표시장치(도시 생략)에 표시되게 보낼 수도 있다.
또한, 전송부(750)는 메시지 생성부(740)에서 생성된 조제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제 완료 메시지는 앱을 통한 푸시 알람 등으로 통보 가능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조제 완료 메시지는 비콘(800)을 통해 사용자(환자)에게 통보될 수도 있다.
제어부(760)는 해당 약국 서버(7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760)는 처방 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 및 해당 약국이 선택되었음을 의미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에 원격 조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전 정보 및 약국 선택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것일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60)는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 또는 메시지가 약국(600)내의 알림 장치(예컨대, 표시부 또는 부저 등; 도시 생략) 또는 약사의 단말기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조제 가격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760)는 통신부(710)에 수신된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조제 가격 산출부(720)에서의 조제 가격 산출 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60)는 약국 정보 및 조제 가격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60)는 메시지 생성부(740)에서의 결제 요청 메시지가 전송부(7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60)는 메시지 생성부(740)에서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행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부(750)를 통해 해당 약사에게 보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60)는 해당 약국(600)에 근무하는 모든 약사들의 연락번호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760)는 메시지 생성부(740)에서 생성된 조제 완료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어부(760)는 통신부(710)와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인지할 수 있다. 즉, 통신부(71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76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약국(600)에 방문하였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760)는 사용자가 약국(600)을 지나쳐가거나 근처에 머물러 있는 경우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760)는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인지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약국을 방문하였음을 약사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약국의 약사의 단말기(도시 생략)에게 출력하도록 메시지 생성부(7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 방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사용자 성명, 주민번호, 및 처방 내용을 포함)를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송한다(S100).
이때, 해당 약국(600)의 서버(700)는 처방전 정보와 함께 해당 약국(600)이 선택되었음을 의미하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처방전 정보는 처방전 자체를 스캔한 것일 수도 있고, 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을 담은 코드(예컨대, QR코드, 바코드)를 스캔한 정보일 수도 있고, 처방전 자체를 사진찍은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는 기본적으로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0)의 앱을 통해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병원 서버(500)가 해당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300)가 해당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약국(600)은 사용자가 조제약을 수령하기 위해 선택한 약국일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 잘 다니는 약국이 있고 굳이 다른 약국으로 변경할 마음이 없을 경우 사용자는 익히 알고 있는 약국을 수령할 약국으로 선택할 것이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말기(100)에서 수령할 지역 등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역내의 약국중에서 해당 약국을 수령할 약국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약국별 조제 가격을 비교해 보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약국별 조제 가격을 비교한 후에 원하는 가격의 조제약을 제공해 주는 약국(600)을 수령할 약국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가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송된 이후에는, 해당 사용자와 약국(600)간의 결제가 이루어진다(S110). 즉, 약국 서버(700)는 해당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예컨대, 결제 금액, 계좌번호 등 포함)를 보내고, 해당 사용자는 그 메시지를 확인한 후에 결제를 행한다.
이와 같이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이후에는 약국(600)에서 해당 사용자의 처방전에 따른 원격 조제가 이루어진다(S120).
원격 조제가 완료되면 약국(600)의 서버(700)는 해당 사용자에게 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예를 들어, 조제 완료 메시지는 앱을 통한 푸시 알람 등으로 통보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해 있다면 비콘(800)을 통해서도 사용자(환자)에게 통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약국(600)에 방문하여 조제약을 수령한다(S140, S150). 여기서, 약국(60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콘(80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해당 약국(600)의 근처로 오게 되면 사용자의 방문을 인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약국 서버(700)는 사용자가 방문하였음을 해당 약국(600)에 별도로 구비된 표시장치(도시 생략)에 표시하거나 약사의 휴대 단말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에 따라, 약사는 사용자가 방문하기 전에 이미 조제하여 둔 해당 사용자의 조제약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약국 서버(700)는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약사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와 약사와의 대면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조제약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와 약사와의 대면 방식이 아닌 비대면 방식으로도 사용자가 조제약을 수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국(600)에 조제약을 수납할 수 있는 조제약 사물함(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조제약 사물함이 약국 서버(700)와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수행한 후에 조제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약국 서버(700)는 사용자별 개인 인증 코드를 미리 저장해 두고, 조제약 사물함에는 스캐너 또는 NFC 태그 리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인증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 바코드, NFC 태그 등을 조제약 사물함의 스캐너 또는 NFC 태그 리더에 갖다대거나 근거리에 위치시키게 되면 조제약 사물함은 약국 서버(700)와의 연계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조제약 사물함은 해당 사용자의 조제약을 토출시키거나 해당 조제약을 수납하고 있는 수납칸의 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약사와의 대면없이도 자신의 조제약을 언제든지 수령(약국 휴일에도 수령 가능)할 수 있다. 도면에는 조제약 사물함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 및 상술한 설명에 의해 조제약 사물함과 약국 서버(700)간의 연결 관계, 조제약 사물함의 구성 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향후에는 조제도 기계가 할 수 있고, 약국 휴일 같은 경우는 약국의 조제약 사물함에 온 환자를 대상으로 약사가 화상 복약지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도 5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조제약 수령을 위해 약국을 방문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조제약을 사용자에게 배달하는 것도 가능하리라 본다. 예를 들어, 사람이 배달할 수도 있고, 드론이 배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개인 인증) 후에 조제약이 건네져야 하므로, 드론, 배달자의 장비에 스캐너, NFC 태그 리더 등의 장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처방전을 수취한 사용자(환자)가 앱을 통해 처방전 정보를 자신이 방문하려는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원격 전송하여 조제를 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에게 보내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약국을 방문한 것을 인지하게 되면 조제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환자)가 약국에 방문하였음을 약사에게 자동으로 알려주게 되면 약사 입장에서는 여러가지 고객 응대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약국별 조제 가격을 요청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병원 서버(500)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S10). 여기서, 처방전 정보는 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을 담은 코드(예컨대, QR코드, 바코드)를 스캔한 정보일 수도 있고, 처방전 자체를 사진찍어 전송되어 오는 정보일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300)는 저장시킨 처방전 정보를 각각의 약국들에게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방전 정보는 각각의 약국 서버(700)에게로 전송되어 일시 저장될 것이다(S12). 물론, 사용자(환자)가 직접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을 방문할 수도 있는데, 이 때에는 해당 약국에서 처방전을 스캔하여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보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300)에서 재차 처방전 정보를 해당 약국에게 전송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 S12의 처방전 정보를 약국 서버(700)에 전송하는 것은 전국의 모든 약국 서버(700)들에게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조제약을 수령할 지역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지역의 약국의 약국 서버들에게만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약국 서버(700)에서는 수신한 처방전 정보(비급여 항목의 약품명 등이 포함될 수 있음)를 근거로 저마다의 조제 가격을 산출한다(S14). 여기서, 각각의 약국 서버(700)에서 산출된 조제 가격을 포함하는 정보(즉, 조제 가격 정보)는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된다. 조제 가격을 산출함에 있어서, 조제약의 경우 비급여 항목이 있을 수 있는데 해당 비급여 항목의 약품에 대해서 약국별로 판매가격이 다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약국별로 저마다 비급여 항목을 감안한 환자의 부담금을 계산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각 약국별로 산출되는 조제 가격이 상이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각각의 약국 서버(700)로부터의 조제 가격 정보 및 약국 정보(예컨대, 약국명, 약사명, 약국 위치 등)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한다(S16).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조제 가격 정보 및 약국 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실정에 가장 적합한 약국을 선택한다(S18).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약국이 다소 멀더라도 조제 가격이 제일 저렴하게 책정된 약국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조제 가격과는 무관한 반면에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약국을 선택할 수 있다. 약국을 선택하는 기준은 상술한 예들과는 다르게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한 약국(600)이 선택되면(S18)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약국 선택 신호가 서비스 서버(300)에게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는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약국(600)의 서버(700)에게로 전달한다(S20). 여기서,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에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연락번호 등)가 포함된다.
이어, 약국 서버(700)는 해당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예컨대, 결제 금액, 계좌번호 등 포함)를 보낸다.
그 후, 약국 서버(700)는 결제가 완료되면(S22에서 "Yes") 해당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원격 조제를 행하도록 한다(S24). 이때, 약국 서버(700)는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행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해당 약국(600)의 약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국 서버(700)는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행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해당 약사의 휴대 단말기(도시 생략)에게로 보낼 수도 있고, 휴대 단말기와는 별도로 약국(600)에 구비되는 표시장치(도시 생략)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해당 약국(600)의 약사는 처방전 정보에 근거한 원격 조제를 수행한다.
원격 조제가 완료되면 약국 서버(700)는 해당 사용자에게 조제 완료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26). 예를 들어, 조제 완료 메시지는 앱을 통한 푸시 알람 등으로 통보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해 있다면 비콘(800)을 통해서도 사용자(환자)에게 통보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약국(600)을 지나가거나 해당 약국(600)에 방문하였을 경우(S28에서 "Yes") 비콘(800)과 연결된 약국 서버(700)는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의 방문을 인식한다. 그리고, 약국 서버(700)는 해당 약국(600)의 약사에게 이를 알려준다(S30). 이 경우, 해당 약사의 휴대 단말기에 사용자의 방문을 알려줄 수도 있고, 휴대 단말기와는 별도로 해당 약국(600)에 구비된 표시장치(도시 생략)에 사용자의 방문을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약국(600)을 방문한 사용자는 조제약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S32).
상술한 도 6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약국 서버(700)가 처방전 정보에 근거하여 저마다의 조제 가격을 산출하고, 서비스 서버(300)가 이들을 취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는 조제해야 할 약품중에 비급여 항목의 약품이 있을 수 있고, 비급여 항목의 약품에 대해서는 약국별로 판매가격이 상이하므로 해당 약국에서 조제 가격을 산출하는 것이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리라는 판단하에 그리한 것이다. 만약, 각종 의약품에 대한 정보(즉, 약국별 비급여 항목의 의약품의 판매가격 포함)가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고 서비스 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400)의 정보를 활용하는 것으로 한다면 약국별 조제 가격 산출 및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약국별 조제 가격 전송을 서비스 서버(300)에서 모두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예시한 서비스 서버(300)에서 약국별 조제 가격 산출 및 사용자 단말기(100)로의 약국별 조제 가격 전송을 모두 행하는 경우는 의약품 정보의 갱신에서 실제와 약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약국별 조제 가격이 실제와는 다를 수도 있다.
상술한 도 6은 사용자가 약국별 조제 가격을 요청하는 경우로 가정하고 설명한 것인데, 만약 약국별 조제 가격을 요청할 필요가 없는 경우 즉 사용자가 이미 잘 다니는 약국이 있고 굳이 다른 약국으로 변경할 마음이 없을 경우에는 상술한 도 5에서와 같은 방식을 취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710 : 통신부
120 : 키입력부 130 : 표시부
140, 340, 760 : 제어부 200 : 네트워크
300 : 서비스 서버 310 : 수신부
320, 740 : 메시지 생성부 330, 750 : 전송부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병원 서버
600 : 약국 700 : 약국 서버
720 : 조제 가격 산출부 730 : 과금부

Claims (20)

  1. 약국의 서버가,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국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해당 사용자에게 조제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문을 인지하고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하려고 선택한 상기 약국의 서버에게로 처방전 정보를 직접 전송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는,
    병원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방문하려고 선택한 상기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방문하려고 선택한 상기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원격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약국의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는 처방전을 스캔한 결과물, 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을 담은 코드를 스캔한 결과물, 및 처방전 자체를 사진찍은 결과물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은 상기 약국에 설치된 비콘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약사에게 알림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약사와의 대면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조제약을 조제약 사물함에 수납하고, 상기 조제약 사물함이 상기 약국의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수행한 후에 상기 조제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약국의 서버 및 다른 약국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정보를 기초로 원격 조제에 따른 조제 가격을 산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한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한 약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어느 한 약국이 선택됨에 따른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약국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기초로 원격 조제에 따른 조제 가격을 산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는,
    해당하는 약국의 약국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방법.
  12.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해당 사용자가 방문하려는 약국의 서버에게로 원격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약국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에 따른 원격 조제가 완료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조제 완료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문을 인지하고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약국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원격 조제 이전에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는 처방전을 스캔한 결과물, 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을 담은 코드를 스캔한 결과물, 및 처방전 자체를 사진찍은 결과물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약국에 설치된 비콘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제 완료된 조제약을 수납하는 조제약 사물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제약 사물함은 상기 약국의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수행한 후에 상기 조제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약사에게 알림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약사와의 대면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조제약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하는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달하고,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약국의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출력하고,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처방전 정보를 근거로 하는 해당 약국의 조제 가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약국의 서버는,
    상기 해당 약국의 조제 가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로 전송할 때 자신의 약국의 약국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 및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약국별 조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약국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약국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제 시스템.
KR1020200189539A 2020-12-31 2020-12-31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6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39A KR20220096784A (ko) 2020-12-31 2020-12-31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39A KR20220096784A (ko) 2020-12-31 2020-12-31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784A true KR20220096784A (ko) 2022-07-07

Family

ID=8239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39A KR20220096784A (ko) 2020-12-31 2020-12-31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668B1 (ko) * 2022-10-13 2023-04-26 타일러 자파르 사힙 처방전배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668B1 (ko) * 2022-10-13 2023-04-26 타일러 자파르 사힙 처방전배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787B2 (en) Adaptable medical workflow menu
KR20180047226A (ko)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US7694331B2 (en) Phone with secure element and critical data
KR101271333B1 (ko) 화상 복약 지도 기반 복약관리서버 및 그 방법
US20130151268A1 (e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20160188840A1 (en) Proper dispensing of items through proximity detected devices with users
US201200960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harmacy guide
KR20160038661A (ko) 약국의 약품 보유 정보를 이용한 약국 검색 시스템
KR20220096784A (ko)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JP5129670B2 (ja) 調剤システム
KR101937046B1 (ko) 모바일 약국 처방시스템
KR102186915B1 (ko)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진료고객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743914B1 (ko) 모바일 장치를 통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모바일 장치
KR100682123B1 (ko) 상품의 rfid를 이용한 건강관련 정보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41938A (ko) 처방 조제 관리 장치, 이를 이용한 처방 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0246A (ko)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6424A (ko)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 처방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020037970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의약 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4998A (ko) 전자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장치
KR10217236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93853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130140424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8816A (ko)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달 방법 및 시스템
JP2023068592A (ja) 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
JP2022066670A (ja) 薬歴データ送信システム、情報管理サーバ及び端末プログラム